KR102305434B1 - 양변기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434B1
KR102305434B1 KR1020200124292A KR20200124292A KR102305434B1 KR 102305434 B1 KR102305434 B1 KR 102305434B1 KR 1020200124292 A KR1020200124292 A KR 1020200124292A KR 20200124292 A KR20200124292 A KR 20200124292A KR 102305434 B1 KR102305434 B1 KR 102305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mpression plate
attachment ring
elastic par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419A (ko
Inventor
박중진
권옥순
Original Assignee
박중진
권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9398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18130A/ko
Application filed by 박중진, 권옥순 filed Critical 박중진
Priority to KR102020012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4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유연성 있는 재질의 판을 포함하는 압축판(20); 및 하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12)를 구비한 유연성 재질의 부착링(10)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 압축장치{Toilet Bowl Com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내측에 유연성 있는 재질의 판을 포함하는 압축판(20); 및 하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12)를 구비한 유연성 재질의 부착링(10)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변기가 막혔을 때 압축판을 압력을 이용해 변기의 막힘을 해소하는 양변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생리작용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는 종래의 고전적인 화장실 구조에서 서양의 양변기를 채택하여 설치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사회 활동이 활발한 최근에는 신체의 생리적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무실, 식당 또는 공공장소에 마련된 화장실을 빈번하게 이용하는 실정이다.
예컨대 상술한 사회적 현상과 더불어 생활습관이 서구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모든 공중화장실, 호텔, 병원, 대중음식점 및 숙박시설 등의 화장실에는 종래의 재래식 화장실보다 서양식 양변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변기는 대개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기 때문에 양변기의 배출부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공공장소의 화장실인 경우에는 관리 부족으로 인한 양변기의 배출부 막힘 현상이 다수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양변기의 배출부 막힘 현상을 해소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를 이용하기 어렵고,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양변기의 배출부를 막는 오물로 인하여 화장실의 공기가 오염되어 사용자가 세균의 감염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양변기의 배출부가 막힌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게 되는 경우에는 화장실의 악취 등에 따른 불결한 인상으로 사용이 기피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압축기를 화장실에 구비하여 양변기의 배출부 막힘 현상을 해소하려 하였으나, 종래의 압축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양변기의 배출부 막힘 현상을 손쉽게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상술한 압축기를 통하여 배출부를 뚫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양변기의 상부로 이물질이 튀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물론 화장실 내부의 위생상태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장실의 내측에 압축기를 구비하여 보관 및 관리하기가 어려우며 분실하게 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비용을 들여 재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록실용신안 20-0478740호(등록일자 2015년11월04일)는 '막힌 변기 테두리(20) 및 변기 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200); 막힌 변기의 테두리(20)에 접착된 상기 시트부(100)를 막힌 변기로부터 분리할 때 잡기 위한 손잡이부(400); 및 상기 시트부(100)를 보관 시에 상기 접착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이형지부(300)는, 상기 접착부(200)의 후부에 형성되어, 막힌 변기 테두리(20)의 후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접착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제1 이형지부재(310); 상기 접착부(200)의 양 측에 형성되어, 막힌 변기 테두리(20)의 양 측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접착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제2 이형지부재(320); 상기 접착부(200)의 전부에 형성되어, 막힌 변기 테두리(20)의 전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접착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제3 이형지부재(330); 및 상기 시트부(100)에 상기 접착부(200)가 형성되지 않은 가운데 부분 쪽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접어 상기 시트부(100)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34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340)를 통해 상기 시트부(100)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잡아준 후, 상기 제1 이형지부재(310), 상기 제2 이형지부재(320), 상기 제3 이형지부(330)를 순서대로 떼어내어 변기의 크기에 따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해소 시트'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보관시에는 접착부(200)를 제1, 2, 3 이형지부재(310, 320, 330)가 보호하고 변기 테두리(20)에 접착부(200)를 접착할 때에는 이형지를 떼내고 접착부(200)를 변기 테두리(20)에 접착하고 있었다.
하지만, 위와 같이 변기 테두리(20)에 접착부(200)를 접착하기 전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변기 테두리(20)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물기를 번거롭게도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물질이나 물기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고 변기 테두리(20)에 접착부(200)를 접착하는 경우 변기 테두리(20)에 접착부(200)가 제대로 접착되지 않아 변기 막힘을 해소하기 위해 시트부(100)를 손으로 위에서 아래로 누를 때 변기 내의 공기가 변기 테두리(20)와 접착부(200) 사이로 누출되어 버림으로써 변기 막힘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4050호(2014.08.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이나 물기를 번거롭게 제거하지 않고도 압착에 의한 간단한 압착을 이룰 수 있는 양변기 압축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형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관이 용이한 양변기 압축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압축장치은 내측에 유연성 있는 재질의 판을 포함하는 압축판(20); 및 하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12)를 구비한 유연성 재질의 부착링(10)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판(20)과 상기 부착링(10)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링(10)은 상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1, 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각각 압착됨으로써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상기 부착링(10)의 상측면 사이, 및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각각 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판(20)과 상기 부착링(1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각각 압착됨으로써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각각 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판(20)은 테두리부(21)와 상기 테두리부(21) 내측의 유연성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21)가 상기 유연성부(22)보다 더 두껍고 또한 더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물질이나 물기를 번거롭게 제거하지 않고도 압착에 의한 간단한 압착을 이룰 수 있고, 이형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관이 용이한 양변기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부착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압축판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압축장치의 압축판의 횡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판과 부착링 일체형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판과 부착링 일체형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른 착좌판이 위로 들려 올라간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양변기의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b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의 양변기에 도 4b의 압축판이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압축장치와 양변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형 압축판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형 압축판이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어 변기 물을 내려 부풀어 올랐다가 압축되기 시작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도 6b의 상태에서 자바라형 압축판이 충분히 압축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각 문어빨판형 압축판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각형 압축판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b의 횡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7b의 실시예에서 오목한 음각형의 흡착부에 공기 연통하는 공기 연통로의 일측에 연통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의 압축판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탄성부의 사용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부착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압축판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른 착좌판이 위로 들려 올라간 양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양변기의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는 분리형 또는 일체형의 압축판(20) 및 부착링(1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양변기(30)는 양변기 본체(31)와, 이 양변기 본체(31)의 후측 상방에 설치된 수조(34)와, 힌지식으로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를 개폐하는 착좌판(32) 및 힌지식으로 착좌판(32)을 개폐하는 커버(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판(20)은 내측에 유연성 있는 재질(예, 수지, 플라스틱, PVC 재질, 또는 아스테이지)의 판을 포함하는데, 또한 상기 압축판(20)은 테두리부(21)와 상기 테두리부(21) 내측의 유연성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21)가 상기 유연성부(22)보다 더 두껍고 또한 더 단단하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압축장치의 압축판의 횡단면도이고, 도 5d는 도 5a의 양변기에 도 4b의 압축판이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압축장치와 양변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5c를 참조하면, 압축판(20)은 단단한 테두리부와 이 테두리부 안쪽에서 힘을 가할 때 변형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재질(예, 수지, 플라스틱, PVC 재질, 또는 아스테이지)의 유연성부로 이루어지되, 테두리부의 두께가 유연성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도 4b 및 도 5d를 참조하면, 압축판(20)은 단단한 테두리부와 이 테두리부 안쪽에서 유연성 있는 재질(예, 수지, 플라스틱, PVC 재질, 또는 아스테이지)의 유연성부로 이루어지되, 테두리부와 유연성부의 두께가 동일하며 테두리부와 유연성부가 육안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부착링(10)은 하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12)를 구비한 유연성 재질(예, 고무, 수지, 플라스틱, 또는 PVC 재질 등)로 이루어져 있는데, 측면의 단면은 모래시계의 측면 모양을 하고 있다.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씰링한다.
도 1, 2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20)과 상기 부착링(10)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링(10)은 상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1, 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각각 압착됨으로써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상기 부착링(10)의 상측면 사이, 및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각각 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11, 12)는 각각 부착링(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서 1줄 이상(예, 2줄 또는 3줄)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판과 부착링 일체형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1, 2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4c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압축판(20)은 테두리부의 외측면과 하측면에 압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압착부는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각각 압착됨으로써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각각 씰링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 하측면의 압착부는 테두리부 하측면에서 1줄 이상(예, 2줄 또는 3줄)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판(20)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부착되어 씰링되고 나서 양변기의 물을 내리면 양변기 본체(31) 내부에 물이 차올라 오면서 양변기 본체(31)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며, 이와 같이 양변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면, 압축판(20)의 유연성부(22)의 가운데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이때 볼록한 부분(가운데 부분)을 손으로 눌러 가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압축에 의해 유연성부(22)가 아래로 변형되어 처지고 그에 의해 양변기 내부의 압축 공기가 양변기 내부의 물이나 오물에 압력을 가하여 변기 막힘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a는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형 압축판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형 압축판이 양변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어 변기 물을 내려 부풀어 올랐다가 압축되기 시작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c는 도 6b의 상태에서 자바라형 압축판이 충분히 압축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자바라형 압축판은 부착링(10), 및 상기 부착링(10) 상면에 부착되는 자바라(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링(10)은 외측면이 잘록하게 구성되어 있고 하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압착부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에 배치된 후 압착되어 부착링(10)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에 압착되어 부착된다.
상기 자바라(40)는 부착링(10)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부착된 후 자바라(40)의 상면(41)을 바로 손으로 압축하면 자바라(40)가 압축되면서 자바라(40) 내부의 공기가 양변기 본체(31) 내부의 물 또는 오물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양변기 본체(31)에 연결된 오물 배수관이 막힌 경우 이 부분에 압력이 전달되어 막힌 오물 배수관을 뚫게 된다.
또한, 부착링(10)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에 부착된 후 양변기의 물을 한번 내리게 되면 양변기 본체(31) 내에는 물이 차오르고 그에 따라 자바라(40)는 차오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 위로 부풀어 오르게 되는데, 이때 자바라(40)의 상면(41)을 손으로 압축하면 자바라(40)가 압축되면서 자바라(40) 내부의 공기가 양변기 본체(31) 내부의 물 또는 오물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더욱 증대되게 되고 이에 의해 양변기 본체(31)에 연결된 오물 배수관이 막힌 경우 이 부분에 가압된 압력이 전달되어 막힌 오물 배수관을 더욱 잘 뚫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각 문어빨판형 압축판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각형 압축판의 평면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횡단면도이고, 도 7d는 도 7b의 실시예에서 오목한 음각형의 흡착부에 공기 연통하는 공기 연통로의 일측에 연통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의 압축판의 단면도이다.
도 7a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판(20)은 그 하면에 문어 빨판 형태의 흡착부(23)를 내측과 외측에 각각 1열씩 2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는데, 각 열은 서로 간격을 둔 복수 개의 흡착부(23)로 구성되되 외측 열의 흡착부(23)와 내측 열의 흡착부(23)는 이들 외측 열의 흡착부(23)와 내측 열의 흡착부(23) 사이에 연결벽(23)으로 연결된 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테두리부(21)가 유연성부(21)보다 더 두껍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압축판(20)에 의하면 문어 빨판 형태의 흡착부(23)에 의해 압축판(20)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압착되어 부착되는 경우 압축판(20)과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의 사이는 폐쇄된다.
도 7b 및 7c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판(20)은 그 하면에 오목한 음각형의 흡착부(23)를 내측과 외측에 각각 1열씩 2열로 형성하고 있는데, 각 열은 서로 간격을 둔 복수 개의 흡착부(23)로 구성되되 외측 열의 흡착부(23)와 내측 열의 흡착부(23)는 이들 외측 열의 흡착부(23)와 내측 열의 흡착부(23) 사이에는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은 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압축판(20)에 의하면 오목한 음각형의 흡착부(23)에 의해 압축판(20)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압착되어 부착되는 경우 압축판(20)과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의 사이는 폐쇄된다.
또한, 도 7d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판(20)은, 유연성부(22)의 내부에 공기 연통로(24)를 형성하고 이 공기 연통로(24)에 압축판(20) 하면의 내외측 열에 각각 형성된 오목한 음각형의 흡착부(23)가 공기 연통하며 다시 상기 공기 연통로(24)의 일측(예, 테두리부(21))에 연통하는 공기 흡입구(25)가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이 공기 흡입구(25)에 공기흡입장치를 연결하여 공기를 공기 연통로(24) 및 흡착부(23)로부터 흡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부에서 공기흡입장치를 통해 공기를 공기 연통로로부터 흡입하고 이에 의해 흡착부(23) 내의 공기도 흡입되면서 흡착부(23)가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7a 내지 7d의 실시예에서는, 압축판(20)이 테두리부(21)와 상기 테두리부(21) 내측의 유연성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21)가 상기 유연성부(22)보다 더 두껍고 또한 더 단단하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유연성부(22)는 유연성 있는 재질(예, 수지, 플라스틱, PVC 재질, 또는 아스테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7a 내지 7d의 실시예에서, 압축판(20)은 단단한 테두리부와 이 테두리부 안쪽에서 유연성 있는 재질(예, 수지, 플라스틱, PVC 재질, 또는 아스테이지)의 유연성부로 이루어지되, 테두리부와 유연성부의 두께가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a 내지 7d의 실시예에서, 흡착부(23)가 내측과 외측에 각각 1열씩 2열로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1열 또는 3열 이상으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도 1, 2의 실시예에서 압착부(11, 12)가 각각 부착링(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서 1줄로 형성되고 이 1줄의 압착부(11, 12)의 내측 또는 외측에 2열의 문어 빨판 형태의 흡착부(23)를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도 8a는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의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탄성부의 사용예이다.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에는 탄성부(50)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5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판(20)에 대응되는 형상의 평판체로 구비되어 부착링(10)과 압축판(20)의 사이에 위치되되, 압축판(20)의 유연성부(22)가 위치된 중심측에는 내측 탄성부(51)가 위치되고, 압축판(20)의 테두리부(21)가 위치된 가장자리측에는 외측 탄성부(52)가 위치된다.
자세하게는, 탄성부(50)의 내측 탄성부(51)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거미줄이나 바큇살처럼 뻗어 나간 모양의 방사상의 형태를 갖고, 외측 탄성부(52)는 방사상으로 뻗어 나간 내측 탄성부(51)에 결합된 링 형태로서 구비된다.
전술된 구성의 탄성부(50)는 평판체 중심측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측인 내측 탄성부(51)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측의 외측 탄성부(52)로 갈수록 완만한 곡선으로서 이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탄성부(5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탄성부(52)가 내측 탄성부(51)측인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차츰 감소되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되 내측 탄성부(51)측 하부면은 편평한 형태의 평탄부를 갖고, 이 평탄부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상부를 향해 직선상으로 경사를 가져 그 두께가 감소되는 경사부(52a)를 갖는다.
이와 같은, 탄성부(50)는 압축판(20)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부착되어 씰링되고 나서 압축판(20)의 유연성부(22)를 손으로 눌러 가압할 때 유연한 재질의 유연성부(22)가 변형되어 눌림이 힘든 경우와, 내부의 압축 공기로 인해 눌리기 위한 힘이 많이 드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쉽게 눌러 압력을 가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부(5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다가 손으로 눌러 가압하면 편평하게 펴지게 되되, 외측 탄성부(52)가 테두리부(21)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도 8b의 상측 도면에서와 같이 볼록한 상태인 테두리부(21)의 상측면에 경사부(52a)가 밀착되어져 도 8b의 하측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21)가 편평하게 펴지며 양변기의 상면(31a)에 부착되게 하며, 이와 함께 탄성부(50)의 상부면이 유연성부(22)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어 보다 쉽게 눌림을 가할 수 있다. 이때, 내측 탄성부(51)가 방사상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그 중심측을 누르기만 해도 외측 탄성부(52)까지 힘이 고루 분산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보다 손쉽게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50)의 중심측이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그 내측의 오목부에는 어느 정도의 공기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양변기의 물을 내려 양변기 본체(31) 내부에 물이 차올라 오도록 하는 행위를 하지 않고 부착된 상태에서 유연성부(22)에 바로 힘을 가하여 양변기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물론, 양변기의 물을 내려 본체(31) 내부에 물이 차올라 오도록 하는 한 후 유연성부(22)를 눌러 양변기의 막힘을 해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바에 따른 탄성부(50)는 부착링(10)과 압축판(20)보다 단단하게 구비되되 눌렀을 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되며, 이때, 내측 탄성부(51) 보다 외측 탄성부(52)가 더 단단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된 바에 따른 탄성부(50)는 압축판(20)과 부착링(10)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그 사이에 위치된 후 상호 압착되어 그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압축판(20)과 부착링(10)이 일체형인 경우 도 8b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는 분리형인 경우 부착링(10)의 형상을 내측 또는 외측의 측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양변기의 상면(31a)에 맞춰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세면대나 싱크대 등과 같은 곳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일체형인 경우 분리된 구성을 각각의 위치와 순서에 맞도록 위치하여 부착한 후 사용하는 번거러움 없이 부착 이후 양변기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양변기 압축장치는 흡착판 형태로서 압착후 사용하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물기를 제거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물기가 있는 경우 그 압착력이 더욱 증대되므로 물기가 없는 경우 뿐만 아니라 물기 제거없이도 바로 사용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부착링 11, 12 : 압착부
20 : 압축판 21 : 테두리부
22 : 유연성부 23 : 흡착부
24 : 공기 연통로 25 : 공기 흡입구
30 : 양변기 31 : 양변기 본체
31a : 상면 32 : 착좌판
33 : 커버 34 : 수조
40 : 자바라 41 : 상면
50 : 탄성부 51 : 내측 탄성부
52 : 외측 탄성부 52a : 경사부

Claims (1)

  1. 내측에 유연성 있는 재질의 판을 포함하는 압축판(20); 및 하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12)를 구비한 유연성 재질의 부착링(10)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씰링하며, 상기 부착링(10)은 상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압착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1, 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각각 압착됨으로써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상기 부착링(10)의 상측면 사이 및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과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각각 씰링하며,
    상기 부착링(10)은 압착될 때 상기 압착부(12)가 편평하게 펴지면서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압축판(20)의 하면과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면(31a)에 각각 압착되어 상기 양변기 본체(31)의 상기 상면(31a)과 상기 부착링(10)의 하측면 사이를 각각 씰링하며, 상기 압축판(20)은 테두리부(21)와 상기 테두리부(21) 내측의 유연성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압축장치에 있어서,

    탄성부(50)는 상기 압축판(20)에 대응되는 형상의 평판체로 구비되어 상기 부착링(10)과 상기 압축판(20)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압축판(20)의 유연성부(22)가 위치된 중심측에는 내측 탄성부(51)가 위치되고, 상기 압축판(20)의 테두리부(21)가 위치된 가장자리측에는 외측 탄성부(52)가 위치되며,
    상기 탄성부(50)의 내측 탄성부(51)는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거미줄이나 바큇살처럼 뻗어 나간 모양의 방사상의 형태를 갖고, 상기 외측 탄성부(52)는 방사상으로 뻗어 나간 내측 탄성부(51)에 결합된 링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50)는 평판체 중심측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 탄성부(51)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측의 상기 외측 탄성부(52)로 갈수록 완만한 곡선으로서 이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50)는 상기 외측 탄성부(52)가 상기 내측 탄성부(51)측인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차츰 감소되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되 상기 내측 탄성부(51)측 하부면은 편평한 형태의 평탄부를 갖고, 상기 평탄부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상부를 향해 직선상으로 경사를 가져 상기 내측 탄성부(51)측 하부면은 두께가 감소되는 경사부(52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압축장치.
KR1020200124292A 2018-08-10 2020-09-24 양변기 압축장치 KR102305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92A KR102305434B1 (ko) 2018-08-10 2020-09-24 양변기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989A KR20200018130A (ko) 2018-08-10 2018-08-10 양변기 압축장치
KR1020200124292A KR102305434B1 (ko) 2018-08-10 2020-09-24 양변기 압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989A Division KR20200018130A (ko) 2018-08-10 2018-08-10 양변기 압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419A KR20200115419A (ko) 2020-10-07
KR102305434B1 true KR102305434B1 (ko) 2021-09-27

Family

ID=7288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292A KR102305434B1 (ko) 2018-08-10 2020-09-24 양변기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4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45Y1 (ko) * 2009-09-23 2010-08-24 정민구 변기 막힘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257U (ko) * 2008-09-11 2009-06-01 문수민 변기 뚫음 장치
KR200474050Y1 (ko) 2011-01-14 2014-09-23 김승일 일회용 양변기 압축시트
KR20130089626A (ko) * 2013-07-23 2013-08-12 주식회사 한반도 변기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45Y1 (ko) * 2009-09-23 2010-08-24 정민구 변기 막힘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419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331Y1 (ko) 좌변기 물내림에 의한 오물튀김을 방지하고 세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KR100838406B1 (ko)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US6594831B1 (en) Anti-splash guard
KR102305434B1 (ko) 양변기 압축장치
KR20080050384A (ko)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JP3974250B2 (ja) 空気弁
KR20170081788A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0453545Y1 (ko)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20200018130A (ko) 양변기 압축장치
KR101523880B1 (ko) 양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KR102141616B1 (ko) 변기 막힘 해소 기구
KR20120005356U (ko) 일회용 양변기 압축시트
US20070226885A1 (en) Disposable protector for engaging a clogged toilet and containing splashes in the clogged toilet occuring during unclogging of the clogged toilet by a plunger
DE60129035D1 (de) Schüsselanordnung für vakuumtoilette
KR102248021B1 (ko) 좌변기용 보조커버
US8782822B1 (en) Plunger cup with elongated rim
KR200438511Y1 (ko) 양변기커버
KR200449945Y1 (ko) 변기 막힘 제거장치
JP4381626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20090009581A (ko) 좌변기용 밀폐식 압축기
KR100941727B1 (ko) 막힘제거 기능이 있는 변기
KR20130089626A (ko) 변기 덮개장치
CN204033224U (zh) 马桶垫及马桶盖套件
GB2354265A (en) Means for sealing a W.C. bowl
KR200262166Y1 (ko) 변기설치용 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