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280A -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280A
KR20170038280A KR1020150137418A KR20150137418A KR20170038280A KR 20170038280 A KR20170038280 A KR 20170038280A KR 1020150137418 A KR1020150137418 A KR 1020150137418A KR 20150137418 A KR20150137418 A KR 20150137418A KR 20170038280 A KR20170038280 A KR 2017003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gent
water
water tank
toilet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779B1 (ko
Inventor
신동윤
Original Assignee
신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윤 filed Critical 신동윤
Priority to KR102015013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7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7Active dispensers, i.e. comprising a moving dosing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형태로 이루어진 세정제가 물탱크 내에 별도로 구비되어 물탱크 내에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레버 작동시 물탱크의 물이 배출될 때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수납체에 수납된 세정제가 물탱크 내로 공급되어 일부는 변기로 배출되고 일부는 물탱크 내에 공급된 상태로 유지되어 변기 및 물탱크의 세정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양변기용 물탱크(T)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세정제가 수납토록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30)의 하측에는 세정제가 배출되는 세정제 토출공(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토출공(141) 하단에는 차단막(142)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체(10)와;
상기 수납체(10)가 삽입되는 수납부(1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55)의 상단 외주에는 통기공(151)이 천공되어 있으며, 수납부(155)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체(10)의 차단막(142)을 관통하는 돌출바(15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바(152) 일측에는 하측에 충진공(154)이 천공되어 있는 세정제 충진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 일측으로는 수압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와 수압관(110)을 각각 관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세정제 배출관(120)이 형성되어 있는 세정제 배출체(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은 수납체에 수납된 세정제를 일정량씩 배출되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세정제 배출관(120)이 물탱크(T) 내의 물(W)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여 세정제(C)를 낙하하여 물(W)과 희석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량 및 일정한 색상의 세정제(C)가 나오게 되고, 향료에 의해 물탱크(T)의 물이 빠지는 순간 향기로운 향기를 화장실 내로 발산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변기(H)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한 후 사용한다 해도 언제나 일정량의 세정제(C)가 나오게 되는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WATER CLOSET FLU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형태로 이루어진 세정제가 물탱크 내에 별도로 구비되어 물탱크 내에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레버 작동시 물탱크의 물이 배출될 때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수납체에 수납된 세정제가 물탱크 내로 공급되어 일부는 변기로 배출되고 일부는 물탱크 내에 공급된 상태로 유지되어 변기 및 물탱크의 세정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양변기의 작동 원리를 살피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레버를 누르면 물탱크 내의 물이 변기로 공급되면서 저장수의 압력에 의해 용변이 저장수와 함께 내려간다. 동시에 물탱크 내의 부유체가 수면 하강과 동시에 따라 내려오면서 밸브가 열리고, 외부의 급수관을 통해 물탱크 내로 물이 채워진다.
이러한 양변기는 물탱크에 항상 일정한 양의 저장수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크며, 변기의 내부 또한 사용자의 용변에 의하여 악취가 나고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물탱크에 고체로 된 세정제를 첨가하여 세정제가 저장수에 녹도록 함으로써 물탱크 내에서의 세균발생을 방지하고, 세정제를 함유한 저장수가 변기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변기에서의 악취 및 세균을 저감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고체 세정제를 물탱크 내에 한꺼번에 투입하여 고체 세정제가 저장수에 서서히 용해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용해 초기에는 저장수 내에서의 세정제 농도가 진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세정제의 농도가 옅게 된다. 즉, 시간에 따라 세정제의 희석비율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악취 및 세균발생 저감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한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20-0165629호 고안의 명칭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의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좌변기 상부의 물탱크 내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세정액 용기와, 이 세정액 용기의 하단으로 삽입하되 상단 및 하단에는 밸브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막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중앙에는 세정액을 일정량씩 담아서 변기의 물탱크 내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세정액 배출홈을 형성시킨 밸브뭉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은 저장수의 수압에 의해 밸브막이 개방되고 이로 인해 배출홈을 통해 세정액 용기에 수납된 세정제가 토출토록 하는 것으로서 물론, 세정제의 절약이라는 측면에서는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세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양의 배출이 어려워 세정의 효과를 발휘하는 데는 미흡한 점이 없지 아니하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165629호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1993-000682호 국내특허출원 제10-2000-0027837호 국내특허출원 제10-2013-00703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상의 세정제가 수납된 수납체가 물탱크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물탱크 내에 물이 배출될 때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수납체에 수납된 세정제가 물탱크 내로 공급되어 물과 혼입 희석토록 하여 레버 작동시 변기로 공급 배출토록 한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양변기용 물탱크(T)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세정제가 수납토록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30)의 하측에는 세정제가 배출되는 세정제 토출공(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토출공(141) 하단에는 차단막(142)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체(10)와;
상기 수납체(10)가 삽입되는 수납부(1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55)의 상단 외주에는 통기공(151)이 천공되어 있으며, 수납부(155)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체(10)의 차단막(142)을 관통하는 돌출바(15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바(152) 일측에는 하측에 충진공(154)이 천공되어 있는 세정제 충진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 일측으로는 수압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와 수압관(110)을 각각 관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세정제배출관(120)이 형성되어 있는 세정제 배출체(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납체에 수납된 세정제를 일정량씩 배출되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세정제 배출관(120)이 물탱크(T) 내의 물(W)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여 세정제(C)를 낙하하여 물(W)과 희석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량 및 일정한 색상의 세정제(C)가 나오게 되고, 향료에 의해 물탱크(T)의 물이 빠지는 순간 향기로운 향기를 화장실 내로 발산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변기(H)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한 후 사용한다 해도 언제나 일정량의 세정제(C)가 나오게 되는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의 전체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수납체와 세정제 배출체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수납체와 세정제 배출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수납체와 세정제 배출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수납체가 양변기 및 물탱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물탱크에 물이 충진되어 있고 세정제 충진부에도 세정제가 충진되어 있는 레버를 작동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레버를 작동하여 물이 빠지면서 세정제 충진부의 세정제가 물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물이 빠지면서 세정제가 배출된 후 세정제 충진부로 세정제가 재차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물탱크 내로 물이 충진되는 수압에 의해 수압관을 통해 압력이 세정제 배출체 내측 수납부로 유입된 후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표현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수납체의 세정제가 세정제 배출체로 유입되는 것을 표현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수납체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수납체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체가 양변기 및 물탱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물탱크내에 물이 충진되지 아니한 즉, 레버를 작동하여 물이 빠진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있어서 물탱크내로 물이 충진되어 물의 충진되는 수압에 의해 수압관을 통해 압력이 수납체내로 유입되어 수납체내에 수반된 세정제가 압력에 의해 세정제 배출관을 통해 물탱크내로 세정제를 토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수납체 내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도 15에서 물탱크내에 물이 충진되지 아니한 즉, 레버를 작동하여 물이 빠진 상태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도 16에서 물탱크내로 물이 충진되어 물의 충진되는 수압에 의해 수압관을 통해 압력이 수납체내로 유입되어 수납체내에 수반된 세정제가 압력에 의해 세정제 배출관을 통해 물탱크내로 세정제를 토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도 16에서 세정제 수납부에서 수압 충진부로 세정제가 세정제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수압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변기의 물탱크에 본 발명을 비치한 후 별도의 장치 없이 물의 압력만으로 세정제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도 1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특히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제(C)가 보관되어 있는 수납체(10)와 상기 수납체(10)와 결합한 후 수납체(10)에서 세정제(C)를 공급받아 양변기의 물탱크(T)로 일정량 배출하도록 하는 세정제 배출체(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체(10)는 양변기용 물탱크(T)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세정제가 수납토록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30)의 하측에는 세정제가 배출되는 세정제 토출공(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토출공(141) 하단에는 차단막(142)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한편, 상기 세정제 배출체(150)는 상기 수납체(10)가 삽입되는 수납부(1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55)의 상단 외주에는 통기공(151)이 천공되어 있으며, 수납부(155)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체(10)의 차단막(142)을 관통하는 돌출바(15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바(152) 일측에는 하측에 충진공(154)이 천공되어 있는 세정제 충진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 일측으로는 수압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와 수압관(110)을 각각 관통해서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첨부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는 상측을 개방된 상태로 구비하고, 상기 수압관(110)은 상측은 차단되어 있고 하측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며, 상기 세정제 배출관(120)은 세정제 충진부(153)와 수압관(110)을 관통해 서로 연결하되 세정제 충진부(153)에서 수압관(110)으로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인 수납체(10)와 세정제 배출체(15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세정제(C)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체(10)를 세정제 배출체(150)의 수납부(155)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수납체(10)의 차단막(142)을 통해 세정제(C)가 보관된 상태에서 수납체(10)가 세정제 배출체(150)로 삽입될 시 돌출바(152)가 차단막(142)을 절개하며 관통해 결과적으로 수납체(10)의 세정제(C)가 세정제 배출체(150)의 수납부(155)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물탱크(T)에 물이(W) 저장되어 있는 상태 즉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하기 전 상태가 도 6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T)에 물(W)이 저장되어 있고, 세정제 배출체(150)의 세정제 충진부(153)에도 세정제(C)가 충진 된 상태로 세정제(C)가 배출되지 않고 보관된 상태이며, 수압관(110) 상단까지 물(W)이 저장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레버(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함)를 작동하여 용변을 처리하는 상태 즉, 물탱크(T)의 물(W)이 변기로 배출되는 상태가 도 도 7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T)의 물(W)이 변기로 배출되면서 수압관(110)의 물(W) 또한 변기로 배출되어 물(W)의 압력 즉 빨아들이는 수압이 수압관(110) 상측으로 전달되고, 결과적으로 수압관(110) 상측에 연결되어 있는 세정제 배출관(120)에 전달되면서 세정제 배출관(120)의 세정제(C) 및 세정제 배출관(120) 타측에 있는 세정제 충진부(153)의 세정제(C)가 함께 수압관(110) 내측으로 배출되어 물탱크(T) 내로 낙하되 물(W)과 희석되면서 일부는 물(W)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양변기로 유입되고, 보다 많은 양의 세정제(C)는 물탱크(T)에 잔존해 물(W)이 재차 충진 되면 물(W)과 희석된 상태로 물탱크(T) 내에 저장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정제 충진부(153)의 세정제(C)가 배출되면 수납부(155) 내측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제(C)가 재차 세정제 충진부(153) 내로 유입되는 상태가 도 8인 것으로, 이는 세정제 충진부(153)의 세정제(C)가 일시적으로 배출되면 충진공(154)을 통해 세정제(C)가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충진공(154)은 세정제 배출관(12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정량의 세정제(C)을 배출하기 위해 세정제 충진부(155)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제(C)만을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세정제 충진부(153)의 세정제(C)가 배출될 때 수납부(155)의 세정제(C)가 유입되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세정제(C)가 배출되는 데 있어 세정제 충진부(153)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제(C)만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해 본 발명을 보다 효율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해 물탱크(T)의 물(W)이 배출된 후 사용자가 레버의 압압을 해지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T) 내로 물(W)이 유입 저장되며 이때 유입되는 물의 압력 즉 공기가 수압관(110)을 통해 세정제 배출체(150)의 수납부(155) 내측에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수납부(155)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10은 수납체(10)의 세정제(C)가 세정제 배출체(10)의 수납부(155)로 유입되는 것을 표현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정제 충진부(153)의 세정제(C)가 물탱크(T)로 배출되고, 수납부(155)의 세정제(C)가 세정제 충진부(153)로 유입되면, 결과적으로 수납부(155)의 세정제(C)가 감소하게 된다.
이런 상태가 되면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체(10)의 세정제 토출공(141) 하측보다 수납부(155)의 세정제(C) 높이가 낮아지면서 자연적으로 세정제 토출공(14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된 후 수납부(155)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제(C)가 수납부(155)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정수기 원리를 생각하면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물탱크(T)의 물(W)이 저장된 상태에서 물(W)이 배출되는 압력 즉 수압관(110)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힘에 의해 세정제(C)가 배출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는데,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물탱크(T)의 물(W)이 배출된 후 재차 물(W)이 유입되면서 수압관(110)으로 유입되는 물(W)에 이해 발생하는 수압으로 세정제(C)가 배출되는 것으로 그 구성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특히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용 물탱크(T)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외부 일측 상단에는 수압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압관(11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세정제 배출관(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는 세정제가 수납토록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체(1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압관(110)은 외부인 물탱크(T) 내에 구비된 소정의 부위는 자바라식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물탱크(T)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수압관(110)의 신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압관(110)은 물탱크(T) 내로는 길게 인출되어 있고 수납체(10)내로는 상대적으로 짧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배출관(120)은 물탱크(T) 내로는 짧게 인출되어 있고 수납체(10)내로는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되되 수납체(10) 바닥 가까이까지 길게 구비토록 한 것으로서, 그 이유인 즉 물탱크(T)내로 물(W)이 유입될때 발생되는 압력을 수압관(110)을 통해 수납체(10)로 유입하여 수납체(10) 내에 수납된 세정제(C)를 세정제 배출관(120)을 통해 물탱크(T)내로 토출하기 위해서는 수압관(110) 및 세정제 배출관(120)의 길이 및 높이 등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 레버(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함)를 작동하여 용변을 처리한 상태 즉, 물탱크(T)에 물(W)이 저장되기 직전의 상태가 도 14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수압이 존재치 아니하므로 세정제 배출관(120)을 통해 수납체(10)에 수납된 세정제(C)가 배출되지 아니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의 압압을 해지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T)내로 물(W)이 유입 저장되며 이때 유입되는 물의 압력 즉 수압이 수압관(110)을 통해 수납체(10)로 유입되어 세정제(C)를 압압하여 세정제(C)가 세정제 배출관(120)을 통해 물탱크(T)내로 낙하되어 물(W)과 희석되어 일정한 농도 및 색상을 유지토록 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레버를 압압하면 변기를 통해 물과 희석된 세정제(C)가 변기로 용변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2보다 개량된 기술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도 11 및 도 13과 더불어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용 물탱크(T)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된 상태에서 내부는 양측에서 중앙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구획판(140)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는 세정제 수납부(131) 하부는 수압 충진부(132)로 구획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판(140)의 꼭지점인 하단에는 세정제 토출공(14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수압 충진부(132)의 외부 일측 하단에는 세정제 배출관(1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1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수압관(110)이 구비되어 있는 수납체(1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실시예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압관(110)은 외부인 물탱크(T) 내에 구비된 소정의 부위는 자바라식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압관(110)은 물탱크(T) 내로는 길게 인출되어 있고 수납체(10)내로는 상대적으로 짧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배출관(120)은 물탱크(T) 내로는 짧게 인출되어 있고 수납체(10)내로는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되되 수납체(10) 바닥 가까이까지 길게 구비토록 한 구조는 상시 실시예 2와 대동소이하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의 경우 세정제(C)가 수납체(10)내에서 소진되면 소진될수록 수압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어야 세정제 배출관(120)을 통해 세정제(C)가 배출되어야 하는데 이를 해소하고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원활하게 세정제(C)의 배출 즉, 물탱크(T)내로의 토출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 레버(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함)를 작동하여 용변을 처리한 상태 즉, 물탱크(T)에 물(W)이 저장되기 직전의 상태가 도 17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수압이 존재치 아니하므로 세정제 배출관(120)을 통해 수납체(10)에 수납된 세정제(C)가 배출되지 아니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실시예는 수납체(10) 내부를 구획판(140)을 통해 구획하여 세정제 수납부(131)를 상측에 구비하고 하측에는 수압 충진부(132)를 일정한 공간으로 유지토록 한 다음, 상기 세정제 수납부(131)로 부터 세정제(C)가 토출공(141)을 통해 수압 충진부(132)로 토출토록 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레버의 압압을 해지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T)내로 물(W)이 유입 저장되며 이때 유입되는 물의 압력 즉 수압이 수압관(110)을 통해 수납체(10)중에서 수압 충진부(132)로 유입되어 세정제(C)를 압압하여 세정제(C)가 세정제 배출관(120)을 통해 물탱크(T)내로 낙하되어 물(W)과 희석되어 일정한 농도 및 색상을 유지토록 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레버를 압압하면 변기를 통해 물과 희석된 세정제(C)가 변기로 용변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시 세정제(C)가 수압 충진부(132)에서 점차 소진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제 수납부(131)로 부터 토출공(141)을 통해 수압 충진부(132)로 세정제(C)가 토출되어 수압 충진부(132)의 공간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으로서 일정 수위의 수압으로 안정적으로 일정량의 세정제(C)가 물탱크(T)내로 유입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납체에 수납된 세정제를 일정량씩 배출되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세정제 배출관(120)이 물탱크(T) 내의 물(W)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여 세정제(C)를 낙하하여 물(W)과 희석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량 및 일정한 색상의 세정제(C)가 나오게 되고, 향료에 의해 물탱크(T)의 물이 빠지는 순간 향기로운 향기를 화장실 내로 발산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변기(H)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한 후 사용한다 해도 언제나 일정량의 세정제(C)가 나오게 되는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수납체 100 : 걸이부
110 : 수압관 120 : 세정제 배출관
130 : 공간부 131 : 세정제 수납부
132 : 수압 충진부 140 : 구획판
141 : 세정제 토출공 142; 차단막
150; 세정제 배출체 151; 통기공
152; 돌출바 153; 세정제 충진부
154; 충진공 155; 수납부
C : 세정제 H : 변기 T : 물탱크 W : 물

Claims (6)

  1. 양변기용 물탱크(T)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세정제가 수납토록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30)의 하측에는 세정제가 배출되는 세정제 토출공(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토출공(141) 하단에는 차단막(142)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체(10)와;
    상기 수납체(10)가 삽입되는 수납부(1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55)의 상단 외주에는 통기공(151)이 천공되어 있으며, 수납부(155)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체(10)의 차단막(142)을 관통하는 돌출바(15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바(152) 일측에는 하측에 충진공(154)이 천공되어 있는 세정제 충진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 일측으로는 수압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와 수압관(110)을 각각 관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세정제 배출관(120)이 형성되어 있는 세정제 배출체(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는 상측을 개방된 상태로 구비하고, 상기 수압관(110)은 상측은 차단되어 있고 하측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며, 상기 세정제 배출관(120)은 세정제 충진부(153)와 수압관(110)을 관통해 서로 연결하되 세정제 충진부(153)에서 수압관(110)으로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3. 양변기용 물탱크(T)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외부 일측 상단에는 수압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압관(11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세정제 배출관(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는 세정제가 수납토록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체(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4. 양변기용 물탱크(T)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된 상태에서 내부는 양측에서 중앙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구획판(140)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는 세정제 수납부(131) 하부는 수압 충진부(132)로 구획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판(140)의 꼭지점인 하단에는 세정제 토출공(14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수압 충진부(132)의 외부 일측 하단에는 세정제 배출관(1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1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수압관(110)이 구비되어 있는 수납체(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관(110)은 외부인 물탱크(T) 내에 구비된 소정의 부위는 자바라식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관(110)은 물탱크(T) 내로는 길게 인출되어 있고 수납체(10)내로는 상대적으로 짧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배출관(120)은 물탱크(T) 내로는 짧게 인출되어 있고 수납체(10)내로는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되되 수납체(10) 바닥 가까이까지 길게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1020150137418A 2015-09-30 2015-09-30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10181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18A KR101816779B1 (ko) 2015-09-30 2015-09-30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18A KR101816779B1 (ko) 2015-09-30 2015-09-30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280A true KR20170038280A (ko) 2017-04-07
KR101816779B1 KR101816779B1 (ko) 2018-01-09

Family

ID=5858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418A KR101816779B1 (ko) 2015-09-30 2015-09-30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483B1 (ko) 2019-12-19 2021-11-17 정준우 소변기 세정기
KR20210130961A (ko)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지아이엘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KR102487636B1 (ko) 2020-05-15 2023-01-12 정준우 좌변기용 세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629Y1 (ko) 1999-08-13 2000-02-15 권영택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KR20000027837A (ko) 1998-10-29 2000-05-15 김영환 반도체장치의 캐퍼시터 형성방법
KR20140147323A (ko) 2013-06-19 2014-12-30 김현수 플로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자동공급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756Y1 (ko) * 2001-10-31 2002-03-13 강한식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837A (ko) 1998-10-29 2000-05-15 김영환 반도체장치의 캐퍼시터 형성방법
KR200165629Y1 (ko) 1999-08-13 2000-02-15 권영택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KR20140147323A (ko) 2013-06-19 2014-12-30 김현수 플로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자동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779B1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779B1 (ko)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US20120000013A1 (en) Toilet plunger cleaning system
KR101908846B1 (ko)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US8453272B2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US11066821B2 (en) Toilet bowl chemical agent dispenser
JP3104910U (ja) 溶液排出器
KR101356397B1 (ko)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US1419498A (en) Sanitary flush bowl
CN102535616A (zh) 自动清洁液释出水箱
KR100676924B1 (ko)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변기
CN202108096U (zh) 环保节能型马桶自动清洁装置
KR200480074Y1 (ko)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배출장치
KR102251978B1 (ko)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JP2011252372A (ja) 男子用超節水小便器
JP3814599B2 (ja) 小便器装置
TW201024506A (en) An auto releasing device of cleaning agent for toilet
EP0109151B1 (en) Dispensing device
CN216238827U (zh) 一种抽水马桶及其清洁剂投放装置
CN111561034B (zh) 一种洁厕剂缓时释放的方法
CN205205969U (zh) 节水水箱
JP2014088765A (ja) 水洗大便器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CN105926734A (zh) 带有置物框的马桶水箱
TWI395859B (zh) 具有均勻水斑的省水馬桶
JP2020002623A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