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961A -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961A
KR20210130961A KR1020200049143A KR20200049143A KR20210130961A KR 20210130961 A KR20210130961 A KR 20210130961A KR 1020200049143 A KR1020200049143 A KR 1020200049143A KR 20200049143 A KR20200049143 A KR 20200049143A KR 20210130961 A KR20210130961 A KR 20210130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etergent
cleaning agent
support memb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엘
Priority to KR102020004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961A/ko
Publication of KR2021013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7Active dispensers, i.e. comprising a moving dosing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상기의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부력에 의하여 세정제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닫히도록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에 있어서,
부유체,
상기 부유체와 결합되는 연결부의 일단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의 일단부;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에는 세제를 배출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한 세제배출 및 차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는 세제통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세제통에 있는 세제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정제 자동배출장치{Cleaner automatic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하여 세정제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세정제(C)가 보관되어 있는 수납체(10)와 상기 수납체(10)와 결합한 후 수납체(10)에서 세정제(C)를 공급받아 양변기의 물탱크(T)로 일정량 배출하도록 하는 세정제 배출체(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상시에 물탱크에 물(W)이 저장되어 있고, 세정제 배출체(150)의 세정제 충진부(153)에도 세정제(C)가 충진 된 상태로 세정제(C)가 배출되지 않고 보관된 상태이며, 수압관(110) 상단까지 물(W)이 저장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레버(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함)를 작동하여 용변을 처리하는 상태 즉, 물탱크의 물(W)이 변기로 배출되는 상태가 도 6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의 물(W)이 변기로 배출되면서 수압관(110)의 물(W) 또한 변기로 배출되어 물(W)의 압력 즉 빨아들이는 수압이 수압관(110) 상측으로 전달되고, 결과적으로 수압관(110) 상측에 연결되어 있는 세정제 배출관(120)에 전달되면서 세정제 배출관(120)의 세정제(C) 및 세정제 배출관(120) 타측에 있는 세정제 충진부(153)의 세정제(C)가 함께 수압관(110) 내측으로 배출되어 물탱크(T) 내로 낙하되 물(W)과 희석되면서 일부는 물(W)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양변기로 유입되고, 보다 많은 양의 세정제(C)는 물탱크(T)에 잔존해 물(W)이 재차 충진 되면 물(W)과 희석된 상태로 물탱크(T) 내에 저장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러나 수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의 높이나 환경이 변화하면 세정제를 항상 일정한 양으로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드시 양변기 상측에 걸이부를 걸어야하기 때문에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므로, 물의 높이가 일정 기준 오르지 못하면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등록특허공보 10-1816779(2018.01.09) 대한민국특허청공개특허공보 10-1356397(2014.01.28)
제1과제로는 부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수준으로 물이 배출될 때에만 세정제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시간동안만 적당량만을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경제적인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제2과제로는 물의 깊이에 따라 고정위치를 변경시켜 어느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부력에 의하여 세정제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닫히도록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에 있어서,
부유체,
상기 부유체와 결합되는 연결부의 일단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의 일단부;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에는 세제를 배출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한 세제배출 및 차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는 세제통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세제통에 있는 세제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는 전체적으로 구형부체로 구성하고, 상기 부유체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각각 돌출부와 연결내부통형부를 구성하여 억지끼움마춤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에는 원통형상의 돌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도록 상기 연결내부통형부를 구성하여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의 중앙부에 체결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체결공간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구성한 상기 연결내부통형부의 중앙부위에 상기 체결공간부에 상응하는 체결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는 상기 덮개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홀부를 구성하여, 상기 세제배출 및 차단부의 덮개연결부와 결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제배출 및 차단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부에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덮개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덮개부의 외부에 돌출된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구성한 연결홀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분에 원뿔지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원뿔지지부 상부에 꼬깔형태의 삼각원뿔형의 삼각원뿔차폐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상기 덮개부의 중앙에 구성된 상기 관통홀을 차폐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하부로 상기 지지부재가 더이상 낙하되지 않도록 이격걸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 외부의 구성은 상기 삼각원뿔차폐부가 안착하도록 요부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삼각원뿔차폐부가 위치한 주변에 가이드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연결부와 상기 덮개부가 가이드부재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효과로는 부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수준으로 물이 배출될 때에만 세정제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시간동안만 적당량만을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경제적인 효과가 탁월한 것이다.
제2효과로는 물의 깊이에 따라 고정위치를 변경시켜 어느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를 보이는 결합도이다.
제2도는 제1도를 이격하여 보이는 개별 구성도이다.
제3도는 부유체를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연결부의 일단을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연결부의 타단을 보이는 도이다.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덮개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1 및 도2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부력에 의하여 세정제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닫히도록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에 있어서,
부유체(100)와 결합되는 연결부(200)의 일단부;
상기 연결부(2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300)의 일단부;
상기 덮개부(300)의 일단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360)에는 세제를 배출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한 세제배출 및 차단부(400)를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300)의 내부에는 세제통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세제통에 있는 세제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를 구성한다.
도면에서 세제통은 도시하지 않은 것이다.
도1을 부유체(100)로 인한 부력에 의하여 세제배출 및 차단부(40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덮개부(300)의 관통홀(360)을 폐쇄한다.
물이 빠지면서 부유체(100)에 압력이 사라지면 부유체(1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러는 사이에 관통홀(360)이 개방되어 세정제가 외부로 흘러나온다. 다시 물이 채워지면 부유체(100)가 부력을 받아 세제배출 및 차단부(40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덮개부(300)의 관통홀(360)을 폐쇄한다.
즉 물이 빠질때부터 다시 차 오를 때까지의 시간동안에 세정제가 배출되게 된다.
세정제통과 세정제 배출장치는 수위에 따라 고정배치한다.
물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고정배치하는 장소를 이동설치한다.
3도 및 제4a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100)는 전체적으로 구형부체(110)로 구성하고, 상기 부유체(100)와 상기 연결부(200)의 일단부에 각각 돌출부(120)와 연결내부통형부(230)를 구성하여 억지끼움마춤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공간부(140)의 테두리에 체결돌기변두리부(130)를 구성하여 결합시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한다.부유체의 돌출부(120)가 연결부(200)에 안착되도록 연결바닥부(24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100)에는 원통형상의 돌출부(120)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200)의 일단부에 상기 돌출부(120)에 상응하도록 상기 연결내부통형부(230)를 구성하여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120)의 중앙부에 체결공간부(140)를 구성하고, 상기 체결공간부(140)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200)의 일단부에 구성한 상기 연결내부통형부(230)의 중앙부위에 상기 체결공간부(140)에 상응하는 체결돌기부(22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체와 맞닿은 부분은 연결부(200)의 연결베이스부(210)를 구성한다.
도4b 내지 도5d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0)의 타단부는 상기 덮개부(300)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홀부(290)를 구성하여, 상기 세제배출 및 차단부(400)의 덮개연결부(410)와 결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는 연결홀부(290)를 구성하고 연결홀부(290)에 주위에 제3베이스부(280)를 구성한다.
상기 제3베이스부(280)의 하부에 단차를 구성하여 제2베이스부(260)를 구성하고 상기 제2베이스부(260)의 하부에 단차를 구성하여 제1베이스부(260)를 구성한다.상기 제1베이스부(260)의 하부는 단차를 구성하여 연결외곽홈부(250)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외곽홈부(250)의 주변은 연결외곽부(255)로 구성되어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세제배출 및 차단부(400)는 지지부재(450)와 상기 지지부재(450)의 일부는 상기 덮개부(300)의 외부에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450)의 타부는 상기 관통홀(360)을 통하여 상기 덮개부(300)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덮개부(300)는 외부에 손으로 간단하게 세제통과 연결되도록 미끄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름부(310) 및 주름돌기부(320)를 구성한다.
상기 덮개부(300)의 외부에 돌출된 상기 지지부재(450)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200)의 타단부에 구성한 연결홀부(29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300)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재(450)의 일부분에 원뿔지지부(420)를 구성하고 상기 원뿔지지부(420) 상부에 꼬깔형태의 삼각원뿔형의 삼각원뿔차폐부(430)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450)가 관통하는 상기 덮개부(300)의 중앙에 구성된 상기 관통홀(360)을 차폐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관통홀(360)에 의하여 하부로 상기 지지부재(450)가 더이상 낙하되지 않도록 이격걸림부(44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되면 세제배출 및 차단부(400)가 도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 이상 하부로 추락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는 부유체(100)가 채워졌던 물이 내려가게 되면 부유체(100)를 압박했던 수압이 내려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실리콘재질로 차폐막의 구성을 가지는 삼각원뿔차폐부(430)가 하부로 이동되어(도5d와 같은 상태임.)덮개부의 상부에 체결된 세제통(미도시)에서 관통홀(360)에서 세제가 흘러나오는 것이다.
물의 높이가 올라가면 부유체(100)가 압력을 받아서 삼각원뿔차폐부(430)가 덮개부(300)의 관통홀(360)을 폐쇄시킴으로 세제가 더이상 하부로 흘러내리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300)의 일단부 외부의 구성은 상기 삼각원뿔차폐부(430)가 안착하도록 요부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300)의 하단부는 삼각원뿔차폐부(430)에 대응되는 요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300)의 일단부에는 상기 삼각원뿔차폐부(430)가 위치한 주변에 가이드부재(332,334,336,338)를 구성하여 상기 연결부(200)와 상기 덮개부(300)가 가이드부재(332,334,336,338)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부유체 110:구형부체 120:돌출부 130:체결돌기변두리부 140:체결공간부 200:연결부 210:연결베이스부
220:체결돌기부 230:연결내부통형부 240:연결바닥부 250:연결외곽홈부 255:연결외곽부 260:제1베이스부
270:제2베이스부 280:제3베이스부 290:연결홀부
300:덮개부 310:주름부 320:주름돌기부
332,334,336,338:가이드부재 340:결합나사부 350:돌출환형부
360:관통홀 400:세제배출 및 차단부 410:덮개연결부
420:원뿔지지부 430:삼각원뿔차폐부 440:이격걸림부 450:지지부재

Claims (7)

  1. 부력에 의하여 세정제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닫히도록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에 있어서,
    부유체,
    상기 부유체와 결합되는 연결부의 일단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의 일단부;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에는 세제를 배출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한 세제배출 및 차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는 세제통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세제통에 있는 세제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전체적으로 구형부체로 구성하고, 상기 부유체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각각 돌출부와 연결내부통형부를 구성하여 억지끼움마춤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에는 원통형상의 돌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도록 상기 연결내부통형부를 구성하여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의 중앙부에 체결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체결공간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구성한 상기 연결내부통형부의 중앙부위에 상기 체결공간부에 상응하는 체결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는 상기 덮개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홀부를 구성하여, 상기 세제배출 및 차단부의 덮개연결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배출 및 차단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부에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덮개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덮개부의 외부에 돌출된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구성한 연결홀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분에 원뿔지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원뿔지지부 상부에 꼬깔형태의 삼각원뿔형의 삼각원뿔차폐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상기 덮개부의 중앙에 구성된 상기 관통홀을 차폐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하부로 상기 지지부재가 더이상 낙하되지 않도록 이격걸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 외부의 구성은 상기 삼각원뿔차폐부가 안착하도록 요부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삼각원뿔차폐부가 위치한 주변에 가이드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연결부와 상기 덮개부가 가이드부재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KR1020200049143A 2020-04-23 2020-04-23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KR20210130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143A KR20210130961A (ko) 2020-04-23 2020-04-23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143A KR20210130961A (ko) 2020-04-23 2020-04-23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61A true KR20210130961A (ko) 2021-11-02

Family

ID=7847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143A KR20210130961A (ko) 2020-04-23 2020-04-23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096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397B1 (ko) 2012-11-13 2014-01-28 김재섭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KR101816779B1 (ko) 2015-09-30 2018-01-09 신동윤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397B1 (ko) 2012-11-13 2014-01-28 김재섭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KR101816779B1 (ko) 2015-09-30 2018-01-09 신동윤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277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RU2433076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KR101972810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US2913734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JP6528107B2 (ja) 洗濯機防水パンのトラップ配管構造
KR20190014853A (ko) 변기용 세정액 정량 공급 장치
US10196804B2 (en) Solution supply
KR20210130961A (ko) 세정제 자동배출장치
CN110453760A (zh) 抽水马桶清洁液加注装置
CN113167063B (zh) 自动马桶清洁装置
JP2010236276A (ja) 水洗大便器
KR100402596B1 (ko) 배수배출장치
JPH10204955A (ja) 水洗トイレ用洗浄芳香剤容器
JP2006169840A (ja) 手洗付ロータンク設備
KR101424746B1 (ko) 악취방지 무수소변기
JP7276735B2 (ja) 排水装置
JP3127777U (ja) トイレ洗浄液供給器
JP2021129638A (ja) 水栓装着型石鹸液供給具
JP2022130122A (ja) 手洗い器付き水洗大便器
JP3228357U (ja) 液体取り出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体入れ容器
KR102186940B1 (ko) 안전배출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JP7139209B2 (ja) 液体吐出容器
CN110857577B (zh) 坐便器及其水箱
JP5564374B2 (ja) 飲料サーバー
KR200313341Y1 (ko) 자동유출 변기세정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