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29Y1 -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 Google Patents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629Y1
KR200165629Y1 KR2019990016631U KR19990016631U KR200165629Y1 KR 200165629 Y1 KR200165629 Y1 KR 200165629Y1 KR 2019990016631 U KR2019990016631 U KR 2019990016631U KR 19990016631 U KR19990016631 U KR 19990016631U KR 200165629 Y1 KR200165629 Y1 KR 200165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water tank
water
cleaning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택
Original Assignee
권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택 filed Critical 권영택
Priority to KR2019990016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7Active dispensers, i.e. comprising a moving dos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의 물탱크 내에 세정액 용기를 걸어서 설치되는 방향 및 살균 겸용 세정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좌변기 상부의 물탱크(1) 내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연결고리(1')가 형성된 세정액 용기(2)와, 이 세정액 용기의 하단으로 삽입하되 상단 및 하단에는 밸브막(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막(3,3')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중앙이나 또는 세정액 용기(2)의 하단 표면에는 세정액 배출홈(4a)(4b)이나 세정액 배출공(4c)을 형성시킨 밸브뭉치(5)로 구성되어,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상기 세정액 배출홈(4a)(4b)이나 또는 세정액 배출공(4c)을 통해 소량의 세정액을 물탱크 내로 일정하게 배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A Clean Apparatus of A Toilet Stool of Water Saving Type}
본 고안은 좌변기의 물탱크 내에 세정액 용기를 걸어서 설치되는 방향 및 살균 겸용 세정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탱크에 새로운 물이 공급될 때마다 소량의 세정액이 상기 물탱크 내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세정액에 첨가된 향료 및 살균제에 의해 방향 및 살균을 하며, 물속에 투입되는 세정액의 부피만큼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수식 세정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10)의 물탱크(20) 내에 투입되는 종래의 변기 세정제(30)(대표적인 것으로 시중에서는 청크린이라는 이름으로 보급되고 있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누 모양으로 응고된 물체로 되어 있어 물탱크 속에 장기간 담가 놓고 사용하므로 물에 의해 쉽게 용해되어 장기간 사용이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세정제가 용해되는 변화에 따라 물탱크 내 물의 색깔이 일정하지 않았다.
또, 어느 때는 세정제가 다량으로 용해되어 변기의 물탱크 내 물의 색상이 필요이상으로 진하게 되고, 계속해서 변기를 사용했을 때는 세정제가 미쳐 용해되지 않아 흐린 색상의 물만 물탱크 내에 차이게 되며, 장기간 변기를 사용하지 않다가 오랫만에 변기를 사용할 때는 물탱크 속에서 세정제가 완전히 용해된 상태에서 일시에 진한 원액이 빠져나와 한꺼번에 세정제를 전부 사용해 버리는 폐단이 있었 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변기 세정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응고된 물체가 아닌 액체로 된 세정액을 일정한 부피(2000cc)를 갖고 있는 용기에 담아 변기의 물탱크 내에 걸어서 설치해 놓고,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마다 일정하게 소량(1cc)만 물탱크 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변기 세정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언제나 일정하게 장기간 동안 세정액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변기의 물탱크 내에 투입되는 종래 변기 세정제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 세정제 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a)는 세정액이 배출되기 전의 사용상태 단면도,
(b)는 세정액이 배출될 때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 세정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a)는 세정액이 배출되기 전의 사용상태 단면도,
(b)는 세정액이 배출될 때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 세정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로서,
(a)는 세정액이 배출되기 전의 사용상태 단면도,
(b)는 세정액이 배출될 때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물탱크, 1'...연결고리,
2...세정액 용기, 3,3'...밸브막,
4a,4b...세정액 배출홈, 4c...세정액 배출공,
5...밸브뭉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변기 세정제 장치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 세정제 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에 물탱크(1) 내로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연결고리(1)가 형성된 세정액 용기(2)와, 이 세정액 용기의 하단으로 삽입하되 상단 및 하단에는 밸브막(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막(3,3')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중앙에는 세정액을 일정량씩 담아서 변기의 물탱크 내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세정액 배출홈(4a)을 형성시킨 밸브뭉치(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액 장치를 변기의 물탱크 속에 물탱크 연결고리(1)로 걸어서 설치해 놓으면, 부력으로 인해 밸브뭉치(5)가 위로 상승하여 하단의 밸브막(3')이 세정액 용기(2)의 하단을 밀폐하면서, 세정액 배출홈(4a)은 상기 세정액 용기(2) 내에 위치하게 되어 세정액이 물탱크 내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용변을 본 후 물탱크 내의 물을 내리게 되면 물이 빠져나감과 동시에 밸브뭉치(5)가 밑으로 하강하여 상단의 밸브막(3)이 세정액 용기(2)의 하단 위쪽을 밀폐하면서, 세정액 배출홈(4a)은 상기 세정액 용기(2)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어 배출홈 내에 일정량(1cc)을 담고 있었던 세정액을 물탱크 내로 배출하게 된다.
도 3의 (a)와 (b)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변기 세정제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세정액 배출홈(4b)의 형상을 원형에서 직사각형의 홈으로 변경하여 구성한 것 이외는 상기한 세정제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인 도 4의 (a)와 (b)는 세정액 배출홈의 기능을 세정액 용기(2)의 하단 표면에 밸브뭉치(5)의 양 옆으로 형성한 세정액 배출공(4c)에 의해 대신하게 한 것으로서, 변기의 물탱크 내에 물이 채워져 있을 때에는 밸브뭉치(5) 하단의 밸브막(3')이 세정액 배출공(4c)을 막고 있다가, 변기의 사용으로 물이 빠지면서 밸브뭉치(5)가 하강하면 상기 배출공으로 세정액이 일정량 물탱크로 빠져나간 후, 밸브뭉치(5) 상단의 밸브막(3)에 의해 상기 배출공이 밀폐되고, 물탱크 내로 물이 다시 차오르면서 밸브뭉치(5)가 상승하면 재차 세정액 배출공(4c)을 통해 세정액이 빠져나간 후, 밸브뭉치(5) 하단의 밸브막(3')에 의해 상기 배출공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세정액 성분의 구성은 방향 및 살균 기능을 겸하고 물에 스며들어 희석될 때 무색인 물과 구분하기 위해 향료, 살균액, 색소 및 세정액 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변기 세정제 장치는 2000cc의 세정액 용기에 담겨진 세정액이 1회에 일정량(1cc)만 배출되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량 및 일정한 색상의 세정액이 나오게 되고, 향료에 의해 물탱크의 물이 빠지는 순간 향기로운 향기를 화장실 내로 발산하게 된다.
또, 변기를 사용하고나서 즉시 재사용한다 해도 똑같은 색상의 세정액이 배출되며, 변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한 후 사용한다 해도 언제나 일정량의 세정액이 나오게 되고, 종래의 제품에는 화장실 내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 별도의 방향제나 향분사기를 사용하였으나,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화장실 내의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또, 물탱크 내에 담겨 있는 세정액 용기만큼의 물소비(약 2000cc)를 매번 절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5인 가족이 연간 약 20톤의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크다.

Claims (3)

  1. 좌변기 상부의 물탱크(1) 내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연결고리(1)가 형성된 세정액 용기(2)와, 이 세정액 용기의 하단으로 삽입하되 상단 및 하단에는 밸브막(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막(3,3')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중앙에는 세정액을 일정량씩 담아서 변기의 물탱크 내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세정액 배출홈(4a)을 형성시킨 밸브뭉치(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세정액 배출홈(4b)의 형상을 직사각형의 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세정액 용기(2)의 하단 표면의 양옆 일정 위치에 형성된 세정액 배출공(4c)이 세정액 배출홈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KR2019990016631U 1999-08-13 1999-08-13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KR200165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31U KR200165629Y1 (ko) 1999-08-13 1999-08-13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31U KR200165629Y1 (ko) 1999-08-13 1999-08-13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629Y1 true KR200165629Y1 (ko) 2000-02-15

Family

ID=1958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631U KR200165629Y1 (ko) 1999-08-13 1999-08-13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6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280A (ko) 2015-09-30 2017-04-07 신동윤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102028658B1 (ko) 2018-09-12 2019-10-04 최현수 변기용 세정액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280A (ko) 2015-09-30 2017-04-07 신동윤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102028658B1 (ko) 2018-09-12 2019-10-04 최현수 변기용 세정액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120C (zh) 一种抽水马桶的清洁和净化装置
CN100570083C (zh) 用于向抽水马桶中释放处理制剂的散发器
EP1507934B1 (en) Toilet rim mounted device for dispensing two liquids
CA1217604A (en) Support of cleaning and/or coloring products for hooking under the inner margin of a toilet bowl
US4248827A (en) Method for sanitizing toilets
US6651261B1 (en) Toilet rim mounted toilet cleaner with extension plate
US4308625A (en) Article for sanitizing toilets
RU2011150485A (ru) Сферические блоки для унитаза,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подвесные контейнеры со сферическими блоками для унитаза
JP2010537091A (ja) 保守管理間隔を決定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6625821B2 (en) Dispenser for adding a cleaning and/or deodorizing product to a toilet bowl
JP2004520499A (ja) 複数のトイレケア作用を有する装置
EP0116219A1 (en) Chemical dispenser, particularly for a flushing toilet
US9850645B2 (en) Floating automatic toilet bowl cleaning device
KR200165629Y1 (ko)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US5759574A (en) Tel-tale-tablets
JP4465818B2 (ja) 流し台
JP2916383B2 (ja) サニタリー用フロート
US20140259336A1 (en) Liquid status indicator
JP2002356700A (ja) 発泡洗浄具及び洗浄方法
KR200220454Y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제 투입용기
KR102613733B1 (ko) 본액 희석 용기 및 이에 착탈되는 본액 공급 용기
KR19990008141U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RU848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тоянной очистки и санитарной обработки унитаза
JPH022782Y2 (ko)
JPS6251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