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658B1 - 변기용 세정액 용기 - Google Patents

변기용 세정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658B1
KR102028658B1 KR1020180108892A KR20180108892A KR102028658B1 KR 102028658 B1 KR102028658 B1 KR 102028658B1 KR 1020180108892 A KR1020180108892 A KR 1020180108892A KR 20180108892 A KR20180108892 A KR 20180108892A KR 102028658 B1 KR102028658 B1 KR 10202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수
Original Assignee
최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수 filed Critical 최현수
Priority to KR102018010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58B1/ko
Priority to PCT/KR2018/014591 priority patent/WO20200047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1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flushing 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관이 외관의 일측을 관통하는 이중관 구조를 갖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내관을 따라 세정액수용부로 배출되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세정액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이 급수관으로 유출되어 물과 세정액이 동시에 변기로 배출될 수 있는 변기용 세정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관이 외관의 일측을 관통하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급수관,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세정제가 구비된 제1 세정액수용부 및 내부 공간에 제1 세정액수용부가 설치되고, 급수관과 연통되는 제2 세정액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기용 세정액 용기{Cleaning fluid container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변기용 세정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관이 외관의 일측을 관통하는 이중관 구조를 갖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내관을 따라 세정액수용부로 배출되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세정액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이 급수관으로 유출되어 물과 세정액이 동시에 변기로 배출될 수 있는 변기용 세정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양변기의 작동 원리를 살피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레버를 누르면 물탱크 내의 물이 변기로 공급되면서 저장수의 압력에 의해 용변이 저장수와 함께 내려간다. 동시에 물탱크 내의 부유체가 수면 하강과 동시에 따라 내려오면서 밸브가 열리고, 외부의 급수관을 통해 물탱크 내로 물이 채워진다.
이러한 양변기는 물탱크에 항상 일정한 양의 저장수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크며, 변기의 내부 또한 사용자의 용변에 의하여 악취가 나고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갖는다.
이에, 물탱크에 고체로 된 세정제를 첨가하여 세정제가 저장수에 녹도록 함으로써 물탱크 내에서의 세균발생을 방지하고, 세정제를 함유한 저장수가 변기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변기에서의 악취 및 세균을 저감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고체 세정제를 물탱크 내에 한꺼번에 투입하여 고체 세정제가 저장수에 서서히 용해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용해 초기에는 저장수 내에서의 세정제 농도가 진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세정제의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즉, 시간에 따라 세정제의 희석비율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악취 및 세균발생 저감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20-0165629호는,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는, 좌변기 상부의 물탱크 내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세정액 용기와, 세정액 용기의 하단에 삽입되며 상단 및 하단에 밸브막이 형성된 밸브뭉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막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중앙에는 원형의 세정액 배출홈이 형성되어 세정액을 일정량씩 담아서 변기의 물탱크 내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저장수의 수압에 의해 밸브막이 개방되고 이로 인해 배출홈을 통해 세정액 용기에 수납된 세정제가 토출되는 특징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세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양의 배출이 어려워 세정의 효과를 발휘하는 데는 미흡한 점이 많은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5629호
본 발명은 내관이 외관의 일측을 관통하는 이중관 구조를 갖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내관을 따라 세정액수용부로 배출되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세정액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이 급수관으로 유출되어 물과 세정액이 동시에 변기로 배출됨으로써, 일정하게 세정액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변기용 세정액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변기용 세정액 용기는, 내관이 외관의 일측을 관통하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급수관;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세정제가 구비된 제1 세정액수용부; 및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세정액수용부가 설치되고, 하부 일측이 급수관과 연통되는 제2 세정액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관의 하단부는 제1 세정액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내관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세정제와 희석되어 제1 세정액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세정액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내관의 하단부는 제1 세정액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약 1 내지 3 cm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정제와 물을 효율적으로 희석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관의 하단부 말단은 굴곡되도록 형성되고, 굴곡된 하단부 말단의 직경(d2)은 내관 상단부의 직경(d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는, 내관이 외관의 일측을 관통하는 이중관 구조를 갖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내관을 따라 세정액수용부로 배출되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세정액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이 급수관으로 유출되어 물과 세정액이 동시에 변기로 배출됨으로써, 급수관에 적은 양의 물을 공급할 시에도 일정량의 세정액이 변기로 배출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세정액의 세정 작용에 의해 변기의 악취를 차단하고,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의 일부가 세정액수용부로 배출되어 세정제와 희석됨에 따라, 변기 물통 내부에 세정제를 포함하는 방법에 비하여 세정제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기용 세정액 용기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10)는 급수관(100), 제1 세정액수용부(200) 및 제2 세정액수용부(300)를 포함한다.
급수관(100)은 내관(120)이 외관(110)의 일측을 관통하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관(120)의 하단부는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급수관(100)의 물의 일부가 제1 세정액수용부(200)로 배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급수관(100)의 상단부는 후레쉬 밸브(40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후레쉬 밸브(400)를 누름으로써 직수관의 물이 급수관(100)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후, 급수관(100)으로 공급된 물은 내관(120) 및 외관(110)으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물의 일부는 외관(110)을 따라 흐르면서 변기로 유출되고, 물의 일부는 내관(120)을 따라 흐르면서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내관(120)의 직경은 외관(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급수관(100)으로 공급되는 물의 20 ~ 30%(부피 기준)가 내관(120)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세정액수용부(200)는 내부 공간에 세정제(210)를 구비하고, 또한 내부 공간에 내관(120)의 하단부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내관(120)을 통해 공급된 물과 세정제(210)가 희석되게 되며, 이를 통해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내부에 세정액이 수용된다.
이후, 내관(120)으로부터 다시 물이 배출될 때,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세정제(210)와 배출된 물이 혼합되는 동시에, 제1 세정액수용부(2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액의 일부가 제2 세정액수용부(300)로 흘러 넘치게 되고, 세정액배출부(211)를 통해 다시 외관(110)으로 공급되는 물과 혼합되어 변기로 공급된다.
이때 물의 와류를 적절히 형성하기 위하여, 내관(120)의 하단부는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바닥면으로부터 1 내지 3cm 이격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1 cm 미만으로 이격 설치된 경우, 제1 세정액수용부(200)로 물을 공급하기 어려워지고, 3 cm를 초과하여 이격 설치된 경우에는, 물의 와류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없다.
또한, 내관(120)의 하단부 말단은 굴곡지게 형성되고, 굴곡된 하단부 말단의 직경(d2)은 내관(120) 상단부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상기 굴곡된 하단부 말단을 갖는 내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직선 형태의 내관(120)보다 와류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정제(210)와 물이 효율적으로 희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세정액수용부(200)로부터 제2 세정액수용부(300)로 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제(210)는, 예를 들어, 스테릴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릴산,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의 유기계면활성제와, C10-C12 지방산계 모노 에탄올 아미드, 에톡시레이트 알킬 페놀, 폴리옥시에칠렌 글리콜, 에칠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코폴리머 등의 용해도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성분으로 향료, 착색제, 살균제, 효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정액수용부(200)는 망(2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망(220)은 일측이 제1 세정액수용부(200) 내부 공간의 측면에 부착되고, 타측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망(220)의 하부 공간에 세정제(210)를 투입함에 따라 세정제(210)가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여기서 망(220)은, 예를 들어, 철, 플라스틱 등과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세정액수용부(300)는 내부 공간에 제1 세정액수용부(200)를 구비하고, 하부 일측이 세정액배출부(211)를 통해 급수관(100)의 외관(110)과 연통되어, 제1 세정액수용부(200)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을 급수관(100)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세정액수용부(300)는 상부에 덮개(310)를 포함하며, 덮개(310)를 제2 세정액수용부(300)로부터 분리하여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세정제(210)를 투입한 후, 다시 덮개(310)를 덮어 외부의 이물질이 제1 세정액수용부(200) 및 제2 세정액수용부(3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준다.
한편, 제2 세정액수용부(300)로 유출된 세정액은 세정액배출부(211)로 배출되며, 외관(110)을 따라 배출되는 물과 동시에 변기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세정액수용부(200)에 수용된 세정액과 외관(110)을 따라 흐르는 물이 동시에 변기로 배출됨으로써, 급수관(100)에 적은 양의 물을 공급할 시에도 일정량의 세정액이 변기로 배출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세정액의 세정 작용에 의해 변기의 악취를 차단하고,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관(100)의 물의 일부가 제1 세정액수용부(200)에 배출되어 세정제(210)와 희석됨에 따라, 변기 물통 내부에 세정제를 포함하는 방법에 비하여 세정제(210)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용기(20)는 급수관(100), 2 개의 제1 세정액수용부(200) 및 2 개의 제2 세정액수용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앞선 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급수관(100)은 2개의 내관(130, 140)이 외관(110)의 양측을 관통하는 삼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관(130, 140)의 하단부는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급수관(100)의 물이 제1 세정액수용부(200)로 배출되도록 한다.
2개의 제1 세정액수용부(200)는 내부 공간에 각각 세정제(210)를 구비하고, 또한 내부 공간에 내관(130, 140)의 하단부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2 개의 제1 세정액수용부(200) 내부 공간에 동일한 성분의 세정제(210)를 포함할 수 있고, 혹은 상이한 성분을 갖는 세정제(2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변기용 세정액 용기(20)는, 급수관(100)의 내관(130, 140) 입구의 상측에 형성되어, 내관(130, 140)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150)는 2 개의 가이드레일(151) 및 2 개의 개폐판(152)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51)은 양측이 외관(110)에 부착되며, 중심부가 2개의 내관(130, 140) 입구 상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개폐판(152)이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내관(130, 140) 입구를 개폐하도록 한다.
개폐판(152)은 가이드레일(151)의 내부홈에 삽입되며,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내관(130, 140)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판(152)은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내관(130, 140)의 입구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내관(130, 140) 입구를 폐쇄하거나, 또는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급수관(100)의 외부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내관(130, 140)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재(150)를 사용하여 내관(130, 140)의 입구를 하나만 개방하거나, 혹은 내관(130, 140)의 입구를 동시에 개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이한 세정액을 변기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2개의 내관(130, 140)의 직경을 다르게 형성하고, 많은 세정액이 필요한 경우와 적은 세정액이 필요한 경우를 구분하여 개폐부재(150)를 개방함으로써 세정액과 물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10, 20 : 변기용 세정액 용기 100 : 급수관
110 : 외관 120, 130, 140 : 내관
150 : 개폐부재 151 : 가이드레일
152 : 개폐판 200 : 제1 세정액수용부
210 : 세정제 211 : 세정액배출부
220 : 망 300 :제2 세정액수용부
310 : 덮개 400 : 후레쉬 밸브

Claims (3)

  1. 내관이 외관의 일측을 관통하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급수관;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세정제가 구비된 제1 세정액수용부; 및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세정액수용부가 설치되고, 하부 일측이 급수관과 연통되는 제2 세정액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의 하단부는 제1 세정액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내관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세정제와 희석되어 제1 세정액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세정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세정액수용부의 내부 공간의 측면에 망이 부착되어 상기 세정제를 수용하고,
    상기 내관의 하단부 말단은 굴곡되도록 형성되되, 내관의 하단부는 제1 세정액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1 내지 3 cm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굴곡된 하단부 말단의 직경(d2)은 내관 상단부의 직경(d1)보다 커서 제1 세정액수용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액 용기.
  2. 2개의 내관(130, 140)이 외관(110)의 양측을 관통하는 삼중관 구조를 갖는 급수관(100);
    급수관(100)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세정제가 구비되는 제1 세정액수용부(200);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세정액수용부(200)가 설치되고, 하부 일측이 급수관(100)과 연통되는 제2 세정액수용부(300); 및
    급수관(100)의 내관(130, 140) 입구의 상측에 형성되어, 내관(130, 140)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내관(130, 140)의 하단부는 각각 급수관(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내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상기 세정제와 희석되어 제1 세정액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에 세정액이 수용되며,
    각각의 제1 세정액수용부의 내부 공간의 측면에 망이 부착되어 상기 세정제가 수용되고,
    각각의 내관의 하단부 말단은 굴곡되도록 형성되되, 내관의 하단부는 제1 세정액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1 내지 3 cm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굴곡된 하단부 말단의 직경(d2)은 내관 상단부의 직경(d1)보다 커서 제1 세정액수용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이 와류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부재(150)는 2 개의 가이드레일(151) 및 2 개의 개폐판(152)을 포함하되, 가이드레일(151)은 양측이 외관(110)에 부착되며, 중심부가 2개의 내관(130, 140) 입구 상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개폐판(152)은 가이드레일(151)의 내부홈에 삽입되며,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내관(130, 140) 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액 용기.
  3. 삭제
KR1020180108892A 2018-06-29 2018-09-12 변기용 세정액 용기 KR10202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892A KR102028658B1 (ko) 2018-09-12 2018-09-12 변기용 세정액 용기
PCT/KR2018/014591 WO2020004731A1 (ko) 2018-06-29 2018-11-26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892A KR102028658B1 (ko) 2018-09-12 2018-09-12 변기용 세정액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658B1 true KR102028658B1 (ko) 2019-10-04

Family

ID=6820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892A KR102028658B1 (ko) 2018-06-29 2018-09-12 변기용 세정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76A (ko) * 2020-01-23 2021-08-02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양변기 세정제 배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629Y1 (ko) 1999-08-13 2000-02-15 권영택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KR20020017735A (ko) * 2000-08-31 2002-03-07 장운용 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629Y1 (ko) 1999-08-13 2000-02-15 권영택 절수식 변기 세정제 장치
KR20020017735A (ko) * 2000-08-31 2002-03-07 장운용 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76A (ko) * 2020-01-23 2021-08-02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양변기 세정제 배출장치
KR102351212B1 (ko) 2020-01-23 2022-01-18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양변기 세정제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392B1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CN205557738U (zh) 泡沫式生态厕所
KR102028658B1 (ko) 변기용 세정액 용기
CN108797733B (zh) 供水装置和马桶
KR101816779B1 (ko)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200493746Y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N104032814A (zh) 高压水囊冲水马桶
CN205369432U (zh) 一种多功能节水水箱
CN109954415B (zh) 一种臭氧水混合装置及具有该混合装置的清洗设备
CN103821200A (zh) 一种利用滚筒洗衣机排出水的马桶冲水装置
CN211228734U (zh) 一种洗漱池及二次水水箱和马桶
CN212053076U (zh) 一种具有自动添加消毒剂功能的马桶冲水箱
CN212224103U (zh) 一种粪口排水消毒装置
WO2020004731A1 (ko)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CN201108385Y (zh) 马桶泡沫产生装置及含有马桶泡沫产生装置的马桶
CN208121921U (zh) 一种基于虹吸原理的低水位坐便器
CN207194057U (zh) 一种城市高楼循环水二次利用装置
CN112982598A (zh) 无水箱马桶洁厕液的使用方法
CN103161211A (zh) 一种用于厕所防溅的泡沫产生装置
CN220978240U (zh) 一种泡沫液混合装置
CN219385682U (zh) 一种自动投放装置及具有其的组合式衣物处理设备
CN205556187U (zh) 一种新型消毒池
KR20200002071A (ko)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CN209011246U (zh) 一种泡沫式生态卫生间
CN201771026U (zh) 生活用水二次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