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665A -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 Google Patents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665A
KR20150145665A KR1020140076130A KR20140076130A KR20150145665A KR 20150145665 A KR20150145665 A KR 20150145665A KR 1020140076130 A KR1020140076130 A KR 1020140076130A KR 20140076130 A KR20140076130 A KR 20140076130A KR 20150145665 A KR20150145665 A KR 2015014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pollen
pot
member body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865B1 (ko
Inventor
위선정
Original Assignee
위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선정 filed Critical 위선정
Priority to KR102014007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8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은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 상기 화분 본체에 씌워지는 지붕 부재; 상기 화분 본체가 받쳐질 수 있고 양액이 수용되며 수용된 양액 상공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양액을 유입하거나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을 배출시키는 양액 유출입 배관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의 상단을 덮어 상기 화분 본체에 수용된 토양이 받쳐지고 관통 홀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덮개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상기 화분 받침 덮개의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화분 받침 덮개 밑으로 내려온 토양이 수용되고 상기 화분 받침 덮개 밑으로 내려온 토양에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에 담기는 통기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형성된 공기층과 연통되는 공기 연통 연결관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형성된 공기층의 공기가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화분 본체에 담긴 토양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통기 부재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화분 받침 덮개의 상공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과 연통된 공기 연통 돌출관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에 의하면,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화분 본체, 지붕 부재, 화분 받침 부재 및 통기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장마철 등의 작물 재배 시에도 지붕 부재로 인해 작물에 대한 과다한 습기 공급이 방지되어 각종 세균 번식이 억제될 수 있고, 지붕 부재의 측면 망에 의해 작물에 해충 접근이 방지되어 농약 사용이 억제될 수 있으며, 작물의 뿌리가 화분 본체 내의 토양과 화분 받침 부재 내의 양액에 걸칠 수 있어서 양액과 토양을 겸한 재배가 가능하고, 산소가 화분 본체의 상부, 하부는 물론 중앙부 뿌리에까지도 원활하게 공급되어 작물이 원활하게 잘 자랄 수 있으며, 다수의 작물이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각각 심기고 그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서로 연결되어 양액이 공급될 수 있어서 다수의 작물이 함께 재배될 수 있고, 구획벽에 의해 화분 받침 부재가 구획되어 화분 받침 부재의 한 쪽에는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한 쪽에는 양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재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화분 받침 덮개만 들어올리면 작물이 뿌리채 토양과 함께 제거될 수 있어서 작물 교체, 청소 등이 용이하고, 양액과 공기가 지속적으로 작물에 공급될 수 있으며, 토양에 불필요하게 과다한 양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물의 생산량이 증대될 수 있고, 양액 토양 겸용 재배로서 양액 재배에서 재배가 불가능한 뿌리 식물 재배가 양액 토양 겸용 재배에서는 그 재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and flowerpot supporting member applied at the 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and flowerpot inner member}
본 발명은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채소나 과일 등의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는 양액 재배와 토양 재배 두 가지가 있는데, 이 두 가지 재배 방식은 서로 다른 특징이 있다.
먼저, 양액 재배는 작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이 함유된 양액에 작물의 하부를 담궈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작물에 대한 장기 재배가 가능하고, 작물에 일정한 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반면, 뿌리 채소의 재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양액 재배에 관한 문헌으로는 아래 제시된 등록특허 제 10-0453572호(등록일자: 2004.10.11., 발명의 명칭: 뿌리 차단 자루를 이용한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재배 방법)이 있다.
한편, 토양 재배는 토양에 퇴비를 공급하면서 그 토양에 작물의 뿌리를 심어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퇴비의 양분이 물에 씻겨나가기도 하고 미생물의 분해 작용으로 인해 양분이 분해되어 사라지기도 하여, 초기에는 작물이 질병 없이 잘 자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영양 공급이 저하되어 작물이 긴 수명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토양 재배에 관한 문헌으로는 공개특허 제 10-2002-0077740호(공개일자: 2002.10.14., 발명의 명칭: 농업용 용토(작물재배용 토양)제조 방법)이 있다.
종래에는 장마철에 노지에서 작물을 재배할 경우, 많은 비로 인한 높은 습도때문에 작물에 여러가지 세균성 질병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세균성 질병 예방을 위해 작물에 우산을 씌워 재배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진딧물, 각종 나방, 해충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 작물에 그러한 진딧물, 각종 나방, 해충 등을 없애기 위한 농약을 살포하여야 하였고, 그로 인해 작물의 잔류 농약이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작물 재배와 토양 재배의 장점을 모두 갖춘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 10-0453572호, 등록일자: 2004.10.11., 발명의 명칭: 뿌리 차단 자루를 이용한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재배 방법 공개특허 제 10-2002-0077740호, 공개일자: 2002.10.14., 발명의 명칭: 농업용 용토(작물재배용 토양)제조 방법
본 발명은 작물 재배와 토양 재배가 함께 가능한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많은 비로 인한 세균성 질병이 예방될 수 있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딧물, 각종 나방, 해충 등을 없애기 위한 농약 살포가 억제될 수 있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은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 상기 화분 본체에 씌워지는 지붕 부재; 상기 화분 본체가 받쳐질 수 있고 양액이 수용되며 수용된 양액 상공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양액을 유입하거나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을 배출시키는 양액 유출입 배관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의 상단을 덮어 상기 화분 본체에 수용된 토양이 받쳐지고 관통 홀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덮개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상기 화분 받침 덮개의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화분 받침 덮개 밑으로 내려온 토양이 수용되고 상기 화분 받침 덮개 밑으로 내려온 토양에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에 담기는 통기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형성된 공기층과 연통되는 공기 연통 연결관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형성된 공기층의 공기가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화분 본체에 담긴 토양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통기 부재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화분 받침 덮개의 상공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과 연통된 공기 연통 돌출관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는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가 받쳐질 수 있고 양액이 수용되며 수용된 양액 상공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부재 몸체;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양액을 유입하거나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을 배출시키는 양액 유출입 배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의 상단을 덮어 상기 화분 본체에 수용된 토양이 받쳐지고 관통 홀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덮개; 상기 화분 받침 덮개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 내부의 공기층과 연통되도록 하는 외부 공기 유입관; 및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 내부를 공간적으로 구획하여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이 서로 분절되도록 하는 구획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내부 부재는 바닥에 양액이 공급되어지고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화분 내부에 설치되는 화분 내부 부재 몸체; 및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렴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렴 연장부의 상부에는 상기 작물이 심긴 토양이 수용되고, 상기 수렴 연장부의 하부는 상기 화분 내부에 수용된 상기 양액에 담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에 의하면,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화분 본체, 지붕 부재, 화분 받침 부재 및 통기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장마철 등의 작물 재배 시에도 지붕 부재로 인해 작물에 대한 과다한 습기 공급이 방지되어 각종 세균 번식이 억제될 수 있고, 지붕 부재의 측면 망에 의해 작물에 해충 접근이 방지되어 농약 사용이 억제될 수 있으며, 작물의 뿌리가 화분 본체 내의 토양과 화분 받침 부재 내의 양액에 걸칠 수 있어서 양액과 토양을 겸한 재배가 가능하고, 산소가 화분 본체의 상부, 하부는 물론 중앙부 뿌리에까지도 원활하게 공급되어 작물이 원활하게 잘 자랄 수 있으며, 다수의 작물이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각각 심기고 그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서로 연결되어 양액이 공급될 수 있어서 다수의 작물이 함께 재배될 수 있고, 구획벽에 의해 화분 받침 부재가 구획되어 화분 받침 부재의 한 쪽에는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한 쪽에는 양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재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화분 받침 덮개만 들어올리면 작물이 뿌리채 토양과 함께 제거될 수 있어서 작물 교체, 청소 등이 용이하고, 양액과 공기가 지속적으로 작물에 공급될 수 있으며, 토양에 불필요하게 과다한 양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물의 생산량이 증대될 수 있고, 양액 토양 겸용 재배로서 양액 재배에서 재배가 불가능한 뿌리 식물 재배가 양액 토양 겸용 재배에서는 그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통기 부재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통기 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에 통기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의 일부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복수 개 연결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토양에 매설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에 일반 화분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내부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화분 내부 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통기 부재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통기 부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에 통기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의 일부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복수 개 연결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토양에 매설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에 일반 화분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은 화분 본체(140)와, 지붕 부재(150)와, 화분 받침 부재(120)와, 통기 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화분 본체(140)는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것으로, 토양이 수용되는 화분 본체 몸체(141)와, 상기 화분 본체 몸체(141)의 상단 테두리에 따라 형성되는 화분 본체 플랜지(142)를 포함한다.
상기 화분 본체 플랜지(142)에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에 후술되는 지붕 부재(150)의 지붕 지지 기둥(151)의 하단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화분 본체 플랜지(142)에 상기 지붕 부재(150)가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지붕 부재(150)는 상기 화분 본체(140)에 씌워지는 것으로, 상기 삽입 홀에 하단이 삽입되어 세워지는 상기 지붕 지지 기둥(151)과, 상기 지붕 지지 기둥(1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작물 지붕 프레임(152)과, 상기 작물 지붕 프레임(152)의 내측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작물 지붕 지지체(153)와, 상기 작물 지붕 지지체(153)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작물 지붕 프레임(152) 상에 형성되는 투명 지붕(154)과, 상기 작물 지붕 프레임(152)의 각 측면에서 하단으로 늘어지는 그물 형태의 측면 망(155)을 포함한다.
상기 작물 지붕 프레임(152)은 상기 화분 본체(140)를 덮을 수 있는 형태와 넓이로 형성되고, 상기 작물 지붕 지지체(153)는 상기 작물 지붕 프레임(152)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지붕(154)은 투명 비닐 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작물 지붕 지지체(153)를 덮으면서 상기 작물 지붕 프레임(152)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투명 지붕(154)은 햇빛은 통과시키면서도, 빗물 등은 막아서, 빗물 등이 상기 지붕 부재(150) 하측의 상기 화분 본체(140)에 심겨진 작물에 과도하게 쏟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측면 망(155)은 상기 작물 지붕 프레임(152)의 각 측면을 덮는 그물 형태로 형성되어, 해충 등이 상기 화분 본체(140)에 심겨진 작물에 접근하는 것을 막으면서도,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러한 해충 등을 박멸하기 위한 농약 사용이 억제될 수 있어서, 친환경 작물 재배가 가능해진다. 상기 측면 망(155)은 상기 작물 지붕 프레임(15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화분 받침 부재(120)는 상기 화분 본체(140)를 받칠 수 있는 것으로,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와, 양액 유출입 배관(122, 123, 125, 126)과, 화분 받침 덮개(127)와, 외부 공기 유입관(128)과, 구획벽(124)을 포함한다.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는 상기 화분 본체(140)와 동일한 형태,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그 상단에 상기 화분 본체(140)가 받쳐질 수 있고 내부에 양액이 수용되며 수용된 양액 상공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는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의 상단을 덮어 상기 화분 본체(140)에 수용된 토양이 받쳐지고 관통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착탈 가능하게 얹혀진 형태로 적용된다.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는 토양은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공기 유통이 가능하도록 미세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 홀은 그러한 미세망 형태의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의 일부가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어 후술되는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 부재(130)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공기 유입관(128)은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의 공기층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화분 본체(140)의 토양을 관통하여 그 토양 상공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 공기 유입관(128)을 통해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 하측의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의 공기층과 교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24)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를 공간적으로 구획하여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수용된 양액이 서로 분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124)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그 각 공간에 수용된 양액이 상기 구획벽(124)을 넘어 직접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양액 유출입 배관(122, 123, 125, 126)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양액을 유입하거나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수용된 양액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양액 유출입 배관(122, 123, 125, 126)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가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일 측 공간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배관(122)과, 상기 제 1 배관(122)과 대면되도록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가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일 측 공간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배관(123)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가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타 측 공간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 3 배관(125)과, 상기 제 3 배관(125)과 대면되도록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가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타 측 공간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 4 배관(12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배관(122)을 통해 양액이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로 유입되면, 그 양액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에 머무르면서 작물에 양분을 공급한 다음 상기 제 2 배관(123)을 통해 유출될 수 있고, 상기 제 3 배관(125)을 통해 양액이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로 유입되면, 그 양액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에 머무르면서 작물에 양분을 공급한 다음 상기 제 4 배관(126)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도 6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양액 펌프(162)에 가장 근접된 것)의 제 1 배관(122)은 양액 저수조(163)에서 양액을 퍼올리는 양액 펌프(162)가 설치된 양액 공급 주 배관(160)과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2 배관(123)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도 6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중간에 위치된 것)의 제 1 배관(122)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4 배관(126)은 양액 저수조(163)로 양액을 되돌리는 양액 환수 주 배관(161)과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3 배관(125)은 이웃하는 상기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4 배관(126)과 연결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도 6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양액 펌프(162)와 가장 먼 것)의 제 1 배관(122)은 상기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2 배관(123)과 연결되고,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2 배관(123)은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3 배관(125)과 자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4 배관(126)은 상기 다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제 3 배관(125)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면, 상기 양액 저수조(163)에서 상기 양액 펌프(162)에 의해 퍼올려진 양액이 상기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일 측 공간, 상기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일 측 공간,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일 측 공간, 상기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타 측 공간, 상기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타 측 공간 및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상기 구획벽(12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타 측 공간 순서로 유동된 다음 다시 상기 양액 저수조(163)로 유입되면서 순환하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이 세 개 연결된 것은 예시적인 것이고, 위와 같은 배관 연결 방식으로 다른 다양한 개수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기 부재(110)는 통기 부재 몸체(111)와, 공기 연통 연결관(113)과, 공기 연통 돌출관(112)을 포함한다.
상기 통기 부재 몸체(111)는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의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 밑으로 내려온 토양이 수용되고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 밑으로 내려온 토양에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수용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수용된 양액에 담기는 것이다.
상기 통기 부재 몸체(111)는 그 하단이 막힌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복수 개의 홀(114)이 형성되어 그 홀들(114)을 통해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의 양액과 공기가 상기 통기 부재 몸체(111) 내의 토양 속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형성된 공기층과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의 일 측은 상기 통기 부재 몸체(111)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의 타 측은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112)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112)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112)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형성된 공기층의 공기가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화분 본체(140)에 담긴 토양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통기 부재 몸체(111)에서 돌출되어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의 상공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과 연통된 것이다.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에도 복수 개의 홀(114)이 형성되어 그 홀들(114)을 통해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을 통해 상승된 공기가 토양 속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은 상기 통기 부재 몸체(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113)의 돌출 높이는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를 넘어 상기 화분 본체(140) 내부의 토양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은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 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 부재(130)는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의 상기 관통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 부재 몸체(131)와, 상기 지지 부재 몸체(131)에서 상기 지지 부재 몸체(131)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연장체(133)와, 상기 지지 연장체(133)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112)이 그 내부 홀(134)에 관통되면서 지지되는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13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 몸체(131)와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132) 사이의 공간(135)을 통해 상기 화분 본체(140) 내의 토양이 상기 통기 부재 몸체(111) 내부로 내려올 수 있으면서,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132)에 의해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112)이 지지되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 몸체(131)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132)는 상기 지지 부재 몸체(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연장체(133)는 상기 지지 부재 몸체(131)와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13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연장체(133)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 몸체(131)와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132) 사이에는 상기 화분 본체(140) 내부의 토양이 일부 상기 통기 부재 몸체(111) 내부로 내려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은 노지의 불룩한 부분으로 작물이 심길 수 있는 이랑(10)에 설치된다. 도면 번호 11은 상기 이랑(10) 사이의 오목한 부분인 고랑이다.
상세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 부재(150)와 상기 화분 본체(140)의 상부는 상기 이랑(10) 위로 노출되고, 상기 화분 본체(140)의 하부와 상기 화분 받침 부재(120)는 상기 이랑(10) 토양 속으로 묻힌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양액이 순환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 받침 부재(120)와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 부재(130)만을 이용하여, 일반 화분(50)이 상기 화분 받침 부재(120)와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 부재(130) 상에 놓일 수 있다.
이 때, 긴 봉 형태로 형성되는 부직포 등의 양액 흡수체(60)가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 부재(130)에 의해 세워지고, 상기 양액 흡수체(60)의 하부는 상기 화분 받침 부재(120) 내의 양액 내에 담기며, 상기 양액 흡수체(60)의 상부는 상기 일반 화분(50)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일반 화분(50) 내부로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화분 받침 부재(120) 내의 양액이 상기 양액 흡수체(60)를 통해 상기 일반 화분(5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 화분(50)에도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120)는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140)가 받쳐질 수 있고 양액이 수용되며 수용된 양액 상공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양액을 유입하거나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수용된 양액을 배출시키는 양액 유출입 배관(122, 123, 125, 126)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의 상단을 덮어 상기 화분 본체(140)에 수용된 토양이 받쳐지고 관통 홀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덮개(127)와, 상기 화분 받침 덮개(127)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의 공기층과 연통되도록 하는 외부 공기 유입관(128)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 내부를 공간적으로 구획하여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121)에 수용된 양액이 서로 분절되도록 하는 구획벽(124)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이 화분 본체(140), 지붕 부재(150), 화분 받침 부재(120) 및 통기 부재(110)를 포함함에 따라, 장마철 등의 작물 재배 시에도 지붕 부재(150)로 인해 작물에 대한 과다한 습기 공급이 방지되어 각종 세균 번식이 억제될 수 있고, 지붕 부재(150)의 측면 망(155)에 의해 작물에 해충 접근이 방지되어 농약 사용이 억제될 수 있으며, 작물의 뿌리가 화분 본체(140) 내의 토양과 화분 받침 부재(120) 내의 양액에 걸칠 수 있어서 양액과 토양을 겸한 재배가 가능하고, 산소가 화분 본체(140)의 상부, 하부는 물론 중앙부 뿌리에까지도 원활하게 공급되어 작물이 원활하게 잘 자랄 수 있으며, 다수의 작물이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에 각각 심기고 그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이 서로 연결되어 양액이 공급될 수 있어서 다수의 작물이 함께 재배될 수 있고, 구획벽(124)에 의해 화분 받침 부재(120)가 구획되어 화분 받침 부재(120)의 한 쪽에는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한 쪽에는 양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재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화분 받침 덮개(127)만 들어올리면 작물이 뿌리채 토양과 함께 제거될 수 있어서 작물 교체, 청소 등이 용이하고, 양액과 공기가 지속적으로 작물에 공급될 수 있으며, 토양에 불필요하게 과다한 양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물의 생산량이 증대될 수 있고, 양액 토양 겸용 재배로서, 양액 재배에서 재배가 불가능한 뿌리 식물 재배가 본원과 같은 양액 토양 겸용 재배에서는 그 재배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내부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화분 내부 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200)에 화분 내부 부재(270)가 설치된다.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200)에는 상술된 지붕 부재가 설치될 수 있고, 그 일환으로 도 10에는 지붕 지지 기둥(251), 투명 지붕(254), 측면 망(255) 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화분 내부 부재(270)는 바닥에 양액이 공급되어지고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화분 내부, 상세히는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 내부에 배치되어, 작물이 직접 심겨질 수 있도록 토양이 위에 올려지고 그 하부는 양액에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 내부의 바닥에는 양액이 수용되고, 그 양액 상공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상기된 제 1 실시예에서의 도면 번호 140)와 일체화된 것으로 제시될 수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된 제 1 실시예에서의 화분 받침 부재 몸체와 화분 본체가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에는 양액 유출입 배관(222, 223)이 형성되어, 양액이 외부에서 공급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양액 유출입 배관(222, 223)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배관(222)과, 상기 제 1 배관(222)과 대면되도록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배관(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 번호 228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에 형성되어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 내의 공기층과 외부 공기가 연통되도록 하는 공기 통로 오버홀이다.
상기 화분 내부 부재(270)는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는 화분 내부 부재 몸체(271)와,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271)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렴 연장부(272)를 포함하고, 상기 수렴 연장부(272)의 상부에는 상기 작물이 심긴 토양이 수용되고, 상기 수렴 연장부(272)의 하부는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 내부에 수용된 상기 양액에 담겨진다.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271)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수렴 연장부(272)는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271)의 개방된 상단에서 그 하방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형태, 예를 들어 역삼각형 단면 형태로 함몰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렴 연장부(272)는 나란히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상기 각 수렴 연장부(272)의 각 상단은 서로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271) 내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상기 수렴 연장부(272)가 복수 개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수렴 연장부(272)의 상부에는 상기 작물이 심길 수 있는 토양이 수용되는 토양 수용 홀(273)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렴 연장부(272)의 하부는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 바닥의 상기 양액에 담겨지게 되어 상기 양액을 상기 토양 수용 홀(273) 내의 토양으로 흡수 전달한다.
도면 번호 274는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271)와 상기 수렴 연장부(272)를 각각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 홀로, 상기 관통 홀(274)을 통해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 내부의 공기와 양액이 상기 수렴 연장부(27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면 번호 275는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271)의 중앙부 저면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획벽 수용 홈이고, 도면 번호 220a는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에 수용된 양액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구획벽이다. 상기 화분 내부 부재(270)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에 삽입될 때, 상기 구획벽 수용 홈(275)에 상기 구획벽(220a)이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화분 내부 부재(270)가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271)와, 상기 수렴 연장부(272)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수렴 연장부(272)의 상부에는 상기 작물이 심긴 토양이 수용되고, 상기 수렴 연장부(272)의 하부는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221) 내부에 수용된 상기 양액에 담겨질 수 있게 되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상기 수렴 연장부(272)의 일부인 하부만 양액에 담겨져 과도한 양액 공급이 방지될 수 있고, 양액에 담겨지는 상기 수렴 연장부(272)의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상기 수렴 연장부(272)의 중부 및 상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수렴 연장부(272) 내부의 토양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에 의하면, 작물 재배와 토양 재배가 함께 가능하고, 많은 비로 인한 세균성 질병이 예방될 수 있으며, 진딧물, 각종 나방, 해충 등을 없애기 위한 농약 살포가 억제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10 : 통기 부재 120 : 화분 받침 부재
140 : 화분 본체 150 : 지붕 부재

Claims (5)

  1.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
    상기 화분 본체에 씌워지는 지붕 부재;
    상기 화분 본체가 받쳐질 수 있고 양액이 수용되며 수용된 양액 상공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양액을 유입하거나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을 배출시키는 양액 유출입 배관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의 상단을 덮어 상기 화분 본체에 수용된 토양이 받쳐지고 관통 홀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덮개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상기 화분 받침 덮개의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화분 받침 덮개 밑으로 내려온 토양이 수용되고 상기 화분 받침 덮개 밑으로 내려온 토양에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에 담기는 통기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형성된 공기층과 연통되는 공기 연통 연결관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형성된 공기층의 공기가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화분 본체에 담긴 토양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통기 부재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화분 받침 덮개의 상공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공기 연통 연결관과 연통된 공기 연통 돌출관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은
    상기 화분 받침 덮개의 상기 관통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 부재 몸체와,
    상기 지지 부재 몸체에서 상기 지지 부재 몸체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연장체와,
    상기 지지 연장체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이 관통되면서 지지되는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 몸체와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화분 본체 내의 토양이 상기 통기 부재 몸체 내부로 내려올 수 있으면서,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체에 의해 상기 공기 연통 돌출관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연통 돌출관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받침 부재는
    상기 화분 받침 덮개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 내부의 공기층과 연통되도록 하는 외부 공기 유입관과,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 내부를 공간적으로 구획하여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이 서로 분절되도록 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4.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가 받쳐질 수 있고 양액이 수용되며 수용된 양액 상공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부재 몸체;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양액을 유입하거나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을 배출시키는 양액 유출입 배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의 상단을 덮어 상기 화분 본체에 수용된 토양이 받쳐지고 관통 홀이 형성되는 화분 받침 덮개;
    상기 화분 받침 덮개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 내부의 공기층과 연통되도록 하는 외부 공기 유입관; 및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 내부를 공간적으로 구획하여 상기 화분 받침 부재 몸체에 수용된 양액이 서로 분절되도록 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5. 바닥에 양액이 공급되어지고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화분 내부에 설치되는 화분 내부 부재 몸체; 및
    상기 화분 내부 부재 몸체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렴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렴 연장부의 상부에는 상기 작물이 심긴 토양이 수용되고, 상기 수렴 연장부의 하부는 상기 화분 내부에 수용된 상기 양액에 담겨져 상기 양액을 흡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내부 부재.
KR1020140076130A 2014-06-20 2014-06-20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KR101663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130A KR101663865B1 (ko) 2014-06-20 2014-06-20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130A KR101663865B1 (ko) 2014-06-20 2014-06-20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65A true KR20150145665A (ko) 2015-12-30
KR101663865B1 KR101663865B1 (ko) 2016-10-07

Family

ID=5508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130A KR101663865B1 (ko) 2014-06-20 2014-06-20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9856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애그유니 모듈형 토양관제화 식물재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9A (ja) * 1989-05-30 1991-01-07 Toshiba Corp インターナルポンプ
JPH05184215A (ja) * 1992-01-13 1993-07-27 Yukinori Aoshima 多目的植物栽培法及び自然滴下式自動給液システム
JP2000050753A (ja) * 1998-08-10 2000-02-22 Heihachi Hayashi 養液栽培装置
KR20020077740A (ko) 2001-04-02 2002-10-14 반채연 농업용 용토(작물재배용 토양)제조 방법
KR100453572B1 (ko) 2002-01-22 2004-10-20 대한민국 뿌리 차단 자루를 이용한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재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999B1 (ja) * 1998-09-08 2000-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装置ならびに音声認識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9A (ja) * 1989-05-30 1991-01-07 Toshiba Corp インターナルポンプ
JPH05184215A (ja) * 1992-01-13 1993-07-27 Yukinori Aoshima 多目的植物栽培法及び自然滴下式自動給液システム
JP2000050753A (ja) * 1998-08-10 2000-02-22 Heihachi Hayashi 養液栽培装置
KR20020077740A (ko) 2001-04-02 2002-10-14 반채연 농업용 용토(작물재배용 토양)제조 방법
KR100453572B1 (ko) 2002-01-22 2004-10-20 대한민국 뿌리 차단 자루를 이용한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재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9856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애그유니 모듈형 토양관제화 식물재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865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5725A (en) Method and means for automatically growing improved quality plants
CN102210246B (zh) 植物栽培装置
US20160066522A1 (en) Demand Driven Self-Watering Planter
KR101637227B1 (ko)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CN111657013A (zh) 多功能水旱双根系培育生态箱及运用方法
JP6347878B1 (ja) 育苗システム、浮き材
CN103250624B (zh) 兰科植物立体多层栽培装置
CN205408824U (zh) 一体式园林绿化环保育苗装置
KR101663865B1 (ko)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CN203233840U (zh) 兰科植物立体多层栽培装置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KR200461953Y1 (ko) 조립식 화분
KR200494218Y1 (ko) 식물 재배 장치
CN209268142U (zh) 一种农作物育苗种植架
KR20140022093A (ko) 주머니형 식물 재배기
JP4131820B2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JP2014045669A (ja) 水耕栽培装置
US8112936B1 (en) Container-based plant husbandry apparatus and controlled horticultural environment for using same
JP3181962U (ja) 計画的効率肥培育樹を可能とする筒管を備えた樹木農園
JP6981084B2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KR101864596B1 (ko)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CN212065019U (zh) 一种可回收利用雨水的环保雨水种植容器
KR20130040056A (ko) 무동력 관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JPH0137088B2 (ko)
KR101727113B1 (ko) 장수 화분 및 상기 장수 화분용 호기성 미생물 배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