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391A - 리프팅용 봉합사 - Google Patents

리프팅용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391A
KR20150145391A KR1020140074678A KR20140074678A KR20150145391A KR 20150145391 A KR20150145391 A KR 20150145391A KR 1020140074678 A KR1020140074678 A KR 1020140074678A KR 20140074678 A KR20140074678 A KR 20140074678A KR 20150145391 A KR20150145391 A KR 2015014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lifting
separation preventing
presen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194B1 (ko
Inventor
신미향
Original Assignee
신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미향 filed Critical 신미향
Priority to KR102014007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194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용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에 삽입된 봉합사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봉합사의 후단부에 이탈 방지부를 형성시킨 리프팅용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리프팅용 봉합사에 있어서, 인체 내에 삽입되는 봉합사 몸체부; 및 상기 봉합사 몸체부의 후단에 적어도 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팅용 봉합사{Suture using lifting}
본 발명은 리프팅용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에 삽입된 봉합사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봉합사의 후단부에 이탈 방지부를 형성시킨 리프팅용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들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지역의 러프(Ruff)와 러시아의 슐라만츠(Sulamanidze)는 새로운 형태의 의료용 봉합사들이 외과적 봉합 이외에 얼굴, 목, 가슴 등의 주름 개선이나 얼굴 조직 당김을 위한 안면거상 및 주름 성형을 위한 성형외과적 수술에 이용될 수 있음을 발표하였다. 이후 의료용 봉합사를 비롯한 조직 고정을 위한 다양한 의료용 실이 비매듭 봉합 목적 및 안면거상술(face lift)에 이용되는 두 가지 목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안면거상술이란, 봉합사를 얼굴 피부 아래 삽입한 후 이를 당겨줌으로써 봉합사가 피부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시술로써, 피부의 절개가 불필요하고 시술 시간 및 회복 기간이 짧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근래들어 많이 시행되고 있는 시술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통상의 봉합사를 이용한 안면거상술을 시행하는 경우, 인체 내에 삽입된 봉합사가 체내 조직과의 사이에 고정이 형성되기 전에 삽입 구멍을 통해 빠져나오는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8495호(발명의 명칭: 의료용 봉합 기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07421호(발명의 명칭: 외과용 봉합도구 및 그 적용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 내에 삽입된 봉합사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봉합사의 후단부에 이탈 방지부를 형성시킨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리프팅용 봉합사에 있어서, 인체 내에 삽입되는 봉합사 몸체부; 및 상기 봉합사 몸체부의 후단에 적어도 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봉합사 몸체부의 후단 5㎜ 내지 6㎜ 영역에 상기 봉합사 몸체부의 전단 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이탈 방지 돌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탈 방지 돌기 및 상기 봉합사 몸체부 사이의 경사 각도는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 돌기는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와 1.5㎜ 내지 2.5㎜ 이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의 사이에는 일정한 각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한 각도는 180°, 120°또는 9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리프팅용 봉합사에 의하면, 봉합사의 후단부에 이탈 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체 내에 삽입된 봉합사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탈 방지부에 의해 봉합사의 흔들림이나 위치 이동 등이 최소화 됨으로써, 봉합사와 체내 조직 사이에 신속한 고정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프팅용 봉합사가 장착된 천자침의 구성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100)는 몸체부(110) 및 이탈 방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봉합사 몸체부(110)는 시술 시 인체 내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써 통상의 봉합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탈 방지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후단에 적어도 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이탈 방지 돌기(125)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즉, 봉합사 몸체부(110)의 후단, 가령, 5㎜ 내지 6㎜ 영역에는 봉합사 몸체부(110)의 전단 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이탈 방지 돌기(12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이탈 방지 돌기(125) 및 봉합사 몸체부(110) 사이의 경사 각도(θ)는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이탈 방지 돌기(125)는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125)와 1.5㎜ 내지 2.5㎜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이탈 방지 돌기(125)는 봉합사 몸체부(110) 후단의 5㎜ 내지 6㎜ 영역에 1.5㎜ 내지 2.5㎜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이탈 방지부(120)는 2 내지 4개 정도의 이탈 방지 돌기(125)에 의해 구성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 돌기(125)는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125)와의 사이에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일정한 각도는 180°, 120°또는 9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125) 사이의 각도가 180°를 유지하는 경우 이탈 방지부(120)는 2 방향으로 형성된 이탈 방지 돌기(125)를 구비하게 되며, 120°일 경우에는 3 방향, 90°일 경우에는 4 방향으로 형성된 이탈 방지 돌기(125)에 의해 이탈 방지부(120)가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간격과 배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이탈 방지 돌기(125)에 의해 구성되는 이탈 방지부(120)를 통해, 인체 내에 삽입이 이루어진 봉합사 몸체부(110)는 체외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한편, 회복 기간 등의 치료 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게 된다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가, 다양한 사이즈(가령, 20㎜ 내지 60㎜)의 리프팅용 봉합사에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때, 각각의 봉합사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이탈 방지부(120)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부(110)의 후단 5㎜ 내지 6㎜ 영역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2는 도 1의 리프팅용 봉합사가 장착된 천자침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천자침이란 마취, 진단, 처치 및 시술 등에서 인체에 카테터(catheter)나 약물 등을 삽입 또는 주입하기 위해 피부나 조직을 천자할 때 사용되는 의료용 도구로써, 최근에는 안면의 주름 제거를 위한 리프팅(lifting) 시술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천자침은 통상 침관(210), 침기(220) 및 날개(2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에 이러한 통상의 천자침을 도시하였다.
침관(210)은 일단부가 피부 내에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형태를 가지며, 약물이나 약실 또는 카테터 등의 삽입을 위해 중공(中空)의 구성을 갖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가 장착된 침관(210)을 도시하였다.
날개(230)는 시술자의 작업 편의성 및 정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손잡이의 기능을 하며, 침기(220)는 침관(210)을 고정시키고 날개(230)와의 사이에 연결부로 기능한다.
한편, 천자침(200)에 대한 보관, 운반 등의 작업시 날카로운 침관(210)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침관(210)의 파손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덮개(미도시)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덮개는 안전을 위하여 침관(210)과 끝단이 일치되거나 조금 더 돌출되도록 구성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와 같은 통상의 천자침에 별도의 구성 변경 등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를 적용하여 사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의 소요 없이 보다 효율적인 리프팅 등의 시술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자침은 얼굴의 팔자 주름이나 이마 주름 등을 시술하기 위해 리프팅용 봉합사를 피부 아래로 삽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이 경우, 천자침을 이용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의 삽입이 이루어지면, 얼굴 근육의 움직임 등을 통해 삽입된 봉합사가 이탈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더라도, 이탈 방지부의 기능에 의해 봉합사의 삽입이 유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탈 방지부가, 봉합사 몸체부의 후단, 가령, 5㎜ 내지 6㎜ 영역에는 봉합사 몸체부의 전단 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이탈 방지 돌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이탈 방지 돌기 및 봉합사 몸체부 사이의 경사 각도가 10° 내지 20°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아울러, 일 이탈 방지 돌기는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와 1.5㎜ 내지 2.5㎜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 사이에는 180°, 120°또는 90°의 일정한 각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 또한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리프팅용 봉합사 110: 봉합사 몸체부
120: 이탈 방지부 125: 이탈 방지 돌기

Claims (4)

  1. 리프팅용 봉합사에 있어서,
    인체 내에 삽입되는 봉합사 몸체부; 및
    상기 봉합사 몸체부의 후단에 적어도 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봉합사 몸체부의 후단 5㎜ 내지 6㎜ 영역에 상기 봉합사 몸체부의 전단 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이탈 방지 돌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탈 방지 돌기 및 상기 봉합사 몸체부 사이의 경사 각도는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돌기는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와 1.5㎜ 내지 2.5㎜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이탈 방지 돌기의 사이에는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되, 상기 일정한 각도는 180°, 120°또는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KR1020140074678A 2014-06-19 2014-06-19 리프팅용 봉합사 KR101618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678A KR101618194B1 (ko) 2014-06-19 2014-06-19 리프팅용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678A KR101618194B1 (ko) 2014-06-19 2014-06-19 리프팅용 봉합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391A true KR20150145391A (ko) 2015-12-30
KR101618194B1 KR101618194B1 (ko) 2016-05-04

Family

ID=5508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678A KR101618194B1 (ko) 2014-06-19 2014-06-19 리프팅용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910B1 (ko) 2017-06-05 2019-04-17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897793B1 (ko) 2016-07-08 2018-09-12 김근식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085B1 (ko) 2017-12-29 2020-05-12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및 그 제조방법
KR102094519B1 (ko) 2018-09-05 2020-04-23 김근식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421A (ko) 2008-11-11 2009-01-16 마렌 안드레비치 술라마니즈 외과용 봉합도구 및 그 적용방법
KR101198495B1 (ko) 2004-03-02 2012-11-06 코비디엔 아게 의료용 봉합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95B1 (ko) 2004-03-02 2012-11-06 코비디엔 아게 의료용 봉합 기구
KR20090007421A (ko) 2008-11-11 2009-01-16 마렌 안드레비치 술라마니즈 외과용 봉합도구 및 그 적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194B1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871B2 (en) Fully detachable trocar
KR101618194B1 (ko) 리프팅용 봉합사
US10238815B2 (en) Puncture assisting device and puncture device set
US11311312B2 (en) Subcutaneous delivery tool
US9408667B2 (en) Guide sheath and guide sheath system
JP2013138860A (ja) 補強されたリングを有する創傷保護具
KR101866488B1 (ko)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US9545264B2 (en) Trocars and obturators
US20150238698A1 (en) Aspiration syringe accessory
US20180325551A1 (en) Surgical trocar
US11572906B2 (en) Trocar packaging clip
JP4319601B2 (ja) 翼付湾曲針
KR101615448B1 (ko) 흉부용 카테터
US20060025814A1 (en) Medical device
JP6346111B2 (ja) 内視鏡用穿刺デバイス
CN107898491A (zh) 安全型穿刺芯
JPWO2017073658A1 (ja) グリップ及び注射器組立体
JP5905968B2 (ja) シリンジ
KR101301914B1 (ko) 수술용 싱글포트
KR20180068074A (ko) 복강경 수술용 복벽 견인장치
KR102032510B1 (ko) 의료용 트로카
JP2019072234A (ja) 皮内注射用補助具
JP4544943B2 (ja) 翼付湾曲針
KR101854570B1 (ko) 외과수술용 견인장치
JP2006116249A (ja) 胃瘻造設用オーバー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