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448B1 - 흉부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흉부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448B1
KR101615448B1 KR1020140131047A KR20140131047A KR101615448B1 KR 101615448 B1 KR101615448 B1 KR 101615448B1 KR 1020140131047 A KR1020140131047 A KR 1020140131047A KR 20140131047 A KR20140131047 A KR 20140131047A KR 101615448 B1 KR101615448 B1 KR 10161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tube
chest
catheter
air
ball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344A (ko
Inventor
류대식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4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4Artificial pneumothorax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삽입되어 신체 내로 유체를 배출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흉부 내에 삽입되어, 흉부 내의 가스 및 체액인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카테터튜브와, 상기 카테터튜브의 후방에 형성되고, 흉부 내에서 배출된 유체를 수집하는 백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카테터튜브의 유로에 수용되고, 상기 카테터튜브의 전단을 통해 노출된 탐침부로 카테터튜브의 전단을 체내로 안내하는 투관침과, 상기 카테터튜브를 따라 형성되어 에어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홀과, 상기 카테터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홀을 따라 제공되는 에어로 팽창하여 상기 카테터튜브를 흉부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벌룬 및 상기 카테터튜브의 후방측에 상기 에어홀과 연결되고, 에어인젝션과 연결되도록 하는 에어주입부를 포함하여, 흉부에 존재하는 공기, 혈, 고름 등의 유체를 간편하고 안전하며 정확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고, 흉부에 삽입하는 관의 직경이 비교적 작아 시술을 위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흉부에 흉터를 남기지 않고, 카테터튜브의 외면에 표시부를 형성하여, 카테터튜브의 진입 길이를 확인할 수 있어 높은 숙련도를 보유하지 않은 시술자도 장기의 손상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흉부용 카테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흉부용 카테터{Catheter for chest}
본 발명은 신체에 삽입되어 신체 내로 유체를 배출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흉부 내에 삽입되어, 흉부 내의 가스(공기) 및 체액인 유체를 배출하는 흉부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에서 발병하는 기흉, 혈흉, 농흉과 같은 질병의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갈비뼈와 갈비뼈 사이로 흉관(Chest Tube)을 환자의 흉강(Pleural space)에 삽입하여야 한다.
흉강에 흉관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기흉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인체의 다섯 번째 갈비뼈 사이 공간 중앙 액와선 부위를 통해 시술하는바, 환자가 의식이 있다면 국소 마취 후 주사기로 흉강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흉관이 들어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갈비뼈 사이 공간의 아래쪽 갈비뼈 바로 위)에 횡으로 2-3cm 정도 수술용 메스(blade)로 절개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인체의 흉강에 흉관을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스키토(Mosquito)라는 시술기구를 인체의 절개된 부위에 밀어 넣어 피하조직을 벌리고 난 후, 근육 조직을 박리하고 나서 그 후에 드러나는 흉막을 뚫어 절개 창을 만들고, 시술자가 롱켈리(Long Kelly)와 손가락을 사용하여 흉막의 관통 창을 넓혀 흉관이 흉강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미리 만들어 준다.
그리고, 상기 롱켈리로 흉관의 끝을 물고 흉막의 관통 창 안으로 넣은 후, 상기 흉관을 흉강 쪽으로 위치하게 한 다음, 롱켈리의 각을 뒤집어서 흉관이 적절한 위치 및 방향을 갖도록 하며, 이후로 상기 흉관을 흉강의 정확한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서 상기 롱켈리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스키토 기구와 롱켈리 기구를 이용하여 흉관을 흉강에 삽입하는 시술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 흉관을 삽입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흉강 내의 공기가 흉관 삽입 전에 빠져 나와 흉관이 흉강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흉관이 적절한 위치 및 방향을 갖도록 유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흉관이 흉강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원만한 시술을 위하여 관통 창의 크기를 넓게 잡아야 하기 때문에 위생적인 면에서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된 의사가 아니면 시술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트로카(Troca)를 이용하여 흉관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흉관을 흉강으로 삽입할 때 손놀림의 동작에 따라 끝부분이 뾰족한 트로카 기구로 갈비뼈 사이 혈관과 신경줄기 등 다른 장기(특히 심장)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숙련된 의사가 아니면 시술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0552호에서 "흉관 삽입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된 종래기술 역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0552호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에서 제안된 흉관 삽입장치는 거푸집에 형성된 유출홀을 개방하기 위해서 내시경 거푸집을 움직이기 위해서 두 손을 사용해야 하며 천공부 끝단의 뾰족함으로 인해 내부 장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흉관은 흉부에 삽입된 후 고정을 위해 테이핑하거나, 시술자가 시술을 마칠 때까지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카테터튜브에 흉막을 관통하는 투관침과, 흉부 내에서 팽창하여 카테터튜브를 흉부에 고정하는 벌룬을 포함하여 흉부에 존재하는 공기, 혈, 고름 등의 유체를 간편하고 안전하며 정확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고, 흉부에 삽입하는 관의 직경이 비교적 작아 시술을 위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흉부에 흉터를 남기지 않고, 카테터튜브의 외면에 표시부를 형성하여, 카테터튜브의 진입 길이를 확인할 수 있어 높은 숙련도를 보유하지 않은 시술자도 장기의 손상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흉부용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는 흉부 내에 삽입되어, 흉부 내의 가스 및 체액인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카테터튜브와, 상기 카테터튜브의 후방에 형성되고, 흉부 내에서 배출된 유체를 수집하는 백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카테터튜브의 유로에 수용되고, 상기 카테터튜브의 전단을 통해 노출된 탐침부로 카테터튜브의 전단을 체내로 안내하는 투관침과, 상기 카테터튜브를 따라 형성되어 에어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홀과, 상기 카테터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홀을 따라 제공되는 에어로 팽창하여 상기 카테터튜브를 흉부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벌룬 및 상기 카테터튜브의 후방측에 상기 에어홀과 연결되고, 에어인젝션과 연결되도록 하는 에어주입부가 포함되고, 벌룬은 상기 카테터튜브의 외면과 밀착 접합되는 접합막부와, 상기 접합막부의 대향진 측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홀을 통해 제공된 에어를 수용하면서 팽창하는 팽창막부와, 상기 팽창막부에는 형성되어 상기 팽창막부 보다 팽창 정도가 낮아, 팽창막부이 팽창할 시, 팽창막부 보다 상대적으로 팽창되지 않아 벌룬이 지정 형태로 형상되도록 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테터튜브의 외면에는 상기 카테터튜브가 삽입되는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벌룬은 상기 에어인젝션에서 제공하는 에어로 팽창하여 원반형을 이룬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벌룬의 그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벌룬의 내구성을 증대하고, 벌룬에서 에어를 뺄 시, 벌룬의 급격한 수축을 방지하는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테터튜브에는 '┌┘'형태로 절곡 형성한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유체가 유동하는 카테터튜브에 흉막을 관통하는 투관침과, 흉부 내에서 팽창하여 카테터튜브를 흉부에 고정하는 벌룬을 포함하여 흉부에 존재하는 공기, 혈, 고름 등의 유체를 간편하고 안전하며 정확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흉부에 삽입하는 관의 직경이 비교적 작아 시술을 위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흉부에 흉터를 남기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카테터튜브의 외면에 표시부를 형성하여, 카테터튜브의 진입 길이를 확인할 수 있어 높은 숙련도를 보유하지 않은 시술자도 장기의 손상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벌룬 내에 메쉬를 형성하여 벌룬에서 에어를 뺄 시, 벌룬의 급격한 수축을 방지하여 카테터튜브가 흉부에서 순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의 전방측을 보다 상세하게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의 벌룬 및 메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에 고정링을 구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의 전방측을 보다 상세하게 보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의 벌룬 및 메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흉부 내에 삽입되어, 흉부 내의 가스 및 체액인 유체를 배출하는 흉부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흉부용 카테터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흉부 내에 삽입되어, 흉부 내의 가스 및 체액인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11)를 제공하는 카테터튜브(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카테터튜브(10)는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곡되는 연성(플렉시블)을 가지며 전단과 후단이 연통하는 관상의 형태를 이루고, 전방측에는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홀을 형성하여, 흉부 내의 가스 및 체액인 유체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카테터튜브(10)의 후방에는 연결부(12)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흉부 내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수집하는 백(1)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튜브(10)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11)의 일측에는 별도의 에어홀(13)을 형성하는데, 상기 에어홀(13)은 유로(11)를 따라 상기 카테터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에어의 유동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카테터튜브(10)의 후방측에는 에어주입부(14)를 형성하는데, 상기 에어주입부(14)는 상기 에어홀(13)과 연통하고, 외측에는 에어인젝션(2)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인젝션(2)이 제공하는 에어를 에어홀(13)로 유동시킨다.
더불어 상기 카테터튜브(10)의 전방측에는 벌룬(20)을 구성하는데, 상기 벌룬(20)은 에어홀(13)과 연통하고, 상기 에어홀(13)을 따라 제공되는 에어로 팽창하여 흉부 내에 삽입된 상기 카테터튜브(1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벌룬(20)은 제공되는 에어에 의해 구 형태로 팽창하여 상기 카테터튜브(10)를 흉부에 고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벌룬(20)의 팽창된 형태가 원반형을 이루도록 해, 상기 벌룬(20)의 일측면이 흉벽과 면접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흉부 내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높아도 상기 카테터튜브(10)가 흉부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벌룬(2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튜브(10)의 외면과 밀착 접합되는 접합막부(21)을 구비하는데, 상기 접합막부(21)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홀(13)과 연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막부(21)의 대향진 측에는 팽창막부(22)를 구비하여, 상기 에어홀(13)을 통해 제공된 에어를 수용하면서 팽창한다.
이때 상기 팽창막부(22)에는 상기 팽창막부(22) 보다 두께를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형상유지부(23)를 구비하여, 상기 팽창막부(22)가 에어를 수용하면서 팽창할 시, 상기 팽창막부(22) 보다 팽창 정도가 낮아 상기 벌룬(20)이 지정 팽창 형상으로 팽창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형상유지부(23)를 팽창막부(22)의 중앙선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하면, 상기 팽창막부(22)가 에어를 수용하면서 팽창하면 상대적으로 팽창률이 낮은 환형의 형상유지부(23)에 의해 상기 벌룬(20)이 원반형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형상유지부(23)의 배치위치 및 배치갯수에 따라 상기 벌룬(20)의 팽창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벌룬(20)의 내부에는 메쉬(24)를 구비하여, 상기 카테터튜브(10)를 흉부에서 제거하기 위해 상기 벌룬(20)에서 에어를 뺄 시, 상기 벌룬(20) 급격한 수축을 방지하여, 상기 카테터튜브(10)가 흉부에서 순간 이탈을 방지한다.
더불어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튜브(10)는 근육으로 이루어진 흉막을 관통할 수 없기에 상기 카테터튜브(10)의 내부에는 카테터튜브(10)가 흉벽 같은 근육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투관침(30)을 수용하는데, 상기 투관침(30)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상기 투관침(30)의 전단은 흉막을 용이하게 관통하는 뾰족한 탐침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튜브(1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지정 길이만큼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투관침(30)의 후단에는 상기 카테터튜브(10)가 흉부에 삽입된 후, 상기 카테터튜브(10)의 유로(11)가 개방되도록 투관침(30)을 카테터튜브(10)에서 제거하는데, 이때 상기 투관침(3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손잡이(32)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투관침(30)은 상기 연결부(12)를 통해 카테터튜브(10)의 유로(11)에 수용되고, 상기 카테터튜브(10)의 전단을 통해 노출된 탐침부(31)로 카테터튜브(10)의 전단을 체내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카테터튜브(10)가 상기한 과정에 의해 흉부에 삽입이 되면, 시술자가 상기 투관침(30)의 손잡이를 이용해 카테터튜브(10)의 유로에서 투관침(30)을 제거하여, 개방된 유로를 통해 흉부 내에 존재하는 가스(공기), 혈, 고름 등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튜브(10)의 외면에는 표시부(15)를 형성하여, 카테터튜브(10)가 흉부로 삽입된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숙련도가 높지 않은 시술자도 장기를 해치는 의료사고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는 밀리미터 단위의 눈금으로 표시하거나, 대인, 소인, 영아 등 체형에 따른 삽입길이별로 구획하여 각각 색상을 달리한 다수의 띠로 형성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카테터튜브(1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태로 절곡 형성한 고정링(40)을 포함하는데, 고정링은 상기 카테터튜브(10)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시술자가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링(40)은 연결부보다 손잡이부가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링(40)을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흉부에 삽입된 카테터튜브(10)를 더 진입시키려 할 시, 상기 고정링(40)의 후방측인 손잡이부를 시술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코일형태를 이루어진 연결부는 한 쌍의 손잡이부가 서로 근접되게 조작하면, 코일형태를 이루는 연결부의 직경이 확장되어, 연결상태를 일시 해제되므로, 상기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일시 해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을 이동시켜, 상기 카테터튜브(10)와 상기 고정링(40)의 연결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고정링(40)은 상기 카테터튜브(10)에 연결되는 부분이 카테터튜브(10)에서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링(40)의 연결부를 집게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40)의 한 쌍의 손잡이부를 서로 근접하게 조작함에 따라 집게형으로 형성된 연결부가 벌어져, 상기 카테터튜브(10)에서 고정링(40)을 분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카테터튜브 11: 유로
12: 연결부 13: 에어홀
14: 에어주입부 15: 표시부
20: 벌룬 21: 접합막부
22: 팽창막부 23: 형상유지부
24: 메쉬 30: 투관침
31: 탐침부 32: 손잡이
40: 고정링

Claims (6)

  1. 흉부 내에 삽입되어, 흉부 내의 가스 및 체액인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카테터튜브;
    상기 카테터튜브의 후방에 형성되고, 흉부 내에서 배출된 유체를 수집하는 백이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카테터튜브의 유로에 수용되고, 상기 카테터튜브의 전단을 통해 노출된 탐침부로 카테터튜브의 전단을 체내로 안내하는 투관침;
    상기 카테터튜브를 따라 형성되어 에어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홀;
    상기 카테터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홀을 따라 제공되는 에어로 팽창하여 상기 카테터튜브를 흉부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벌룬; 및
    상기 카테터튜브의 후방측에 상기 에어홀과 연결되고, 에어인젝션과 연결되도록 하는 에어주입부;가 포함되고,
    상기 벌룬은 상기 카테터튜브의 외면과 밀착 접합되는 접합막부와;
    상기 접합막부의 대향진 측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홀을 통해 제공된 에어를 수용하면서 팽창하는 팽창막부와;
    상기 팽창막부에는 형성되어 상기 팽창막부 보다 팽창 정도가 낮아, 팽창막부이 팽창할 시, 팽창막부 보다 상대적으로 팽창되지 않아 벌룬이 지정 형태로 형상되도록 하는 형상유지부가 포함되는 흉부용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튜브의 외면에는
    상기 카테터튜브가 삽입되는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형성한 흉부용 카테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상기 에어인젝션에서 제공하는 에어로 팽창하여 원반형을 이루는 흉부용 카테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룬에는
    그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벌룬의 내구성을 증대하고, 벌룬에서 에어를 뺄 시, 벌룬의 급격한 수축을 방지하는 메쉬를 형성한 흉부용 카테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튜브에는
    '┌┘'형태로 절곡 형성한 고정링을 포함하는 흉부용 카테터.
KR1020140131047A 2014-09-30 2014-09-30 흉부용 카테터 KR10161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047A KR101615448B1 (ko) 2014-09-30 2014-09-30 흉부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047A KR101615448B1 (ko) 2014-09-30 2014-09-30 흉부용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44A KR20160038344A (ko) 2016-04-07
KR101615448B1 true KR101615448B1 (ko) 2016-04-25

Family

ID=5578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047A KR101615448B1 (ko) 2014-09-30 2014-09-30 흉부용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4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026A (ko) 2019-03-18 2020-09-28 (주)이롭 수술 후 통증 완화를 위한 카테터 장치
KR20220103531A (ko) * 2021-01-15 2022-07-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과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배액관 삽입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체액배출장치
KR20230161184A (ko) 2022-05-18 2023-11-27 강철 흉강 삽입용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930B1 (ko) * 2020-10-28 2023-01-09 김응석 줄을 이용한 흉부용 카테터
KR102486928B1 (ko) * 2020-10-28 2023-01-09 김응석 흉부용 카테터
WO2022154503A1 (ko) * 2021-01-15 2022-07-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KR102458412B1 (ko) * 2021-01-15 2022-10-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2206B2 (ja) * 1993-05-11 2004-05-31 シンバイオシス・コーポレイション 排液用トロカールカテーテル
JP2013521100A (ja) * 2010-03-06 2013-06-10 エヌヒュージョン 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 回収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2206B2 (ja) * 1993-05-11 2004-05-31 シンバイオシス・コーポレイション 排液用トロカールカテーテル
JP2013521100A (ja) * 2010-03-06 2013-06-10 エヌヒュージョン 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 回収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026A (ko) 2019-03-18 2020-09-28 (주)이롭 수술 후 통증 완화를 위한 카테터 장치
KR20220103531A (ko) * 2021-01-15 2022-07-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과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배액관 삽입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체액배출장치
KR102587610B1 (ko) * 2021-01-15 2023-10-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과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배액관 삽입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체액배출장치
KR20230161184A (ko) 2022-05-18 2023-11-27 강철 흉강 삽입용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44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448B1 (ko) 흉부용 카테터
JP3924033B2 (ja) 気管壁に孔を形成する装置
US6706017B1 (en) Percutaneous ostomy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stoma and implanting a canula
US8545513B2 (en) Uterine manipulator assemblie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5400773A (en) Inflatable endoscopic retractor
JP4185165B2 (ja) 血管創傷閉鎖装置
US20060079838A1 (en) Movable Balloon anchor for medical devices
US11865281B2 (en) Percutaneous access pathway system and method
US20100198005A1 (en) Surgical access device
JPH0263471A (ja) 器具ポートを有するガス吹き込みニードル
JP6432019B2 (ja) 処置具挿入補助具
JP2010005412A (ja) 調節可能なバルーン係留トロカール
JPH04263870A (ja) 医療用器具とそれの身体腔内への経皮的配置方法
US9486240B2 (en) Inflatable instrument for transanal minimal invasive surgery
JP5521195B2 (ja) 内視鏡用挿入補助具
KR20200115593A (ko) 자궁 조작기
JP2000507482A (ja) カニューレ付膨張装置
WO2012152725A1 (en) Dilatation system for a medical device
JP4588678B2 (ja) 胃ろうカテーテル導入装置
JP2015104485A (ja) カテーテル
US20220023513A1 (en) Methods of chest tube insertion
WO2014093401A1 (en) Video-guided chest tube insertion system
ES2787448T3 (es) Dispositivos de catéter, conjuntos de aguja y kits
US20170119430A1 (en) Peritonial dialysis port apparatus
CN108078613B (zh) 一种无创肛门镜手术辅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