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54503A1 -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54503A1
WO2022154503A1 PCT/KR2022/000607 KR2022000607W WO2022154503A1 WO 2022154503 A1 WO2022154503 A1 WO 2022154503A1 KR 2022000607 W KR2022000607 W KR 2022000607W WO 2022154503 A1 WO2022154503 A1 WO 20221545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horacic
unit
fluid
intrathoracic pressure
parietal pleu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06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062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8761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0625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58412B1/ko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21545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545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4Artificial pneumothorax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and a device for inserting the chest cavity includ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by inhaling air in the chest cavity up to a preset pressure and continuously monitoring the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to diagnose lung pneumothorax It relates to a device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and a device for inserting the chest cavity included therein.
  • a drainage tube is generally passed between the second intercostal space at the midline of the clavicle of the chest wall, and then the end of the drainage tube is inserted into the chest cavity.
  • the needle tip inserted into the drain tube is pulled to insert the drain tube end up to the apex, and after insertion, the needle tip inserted into the drain tube is removed and the drain tube can be quickly clamped with forceps or the like.
  • chest X-ray and CT can be used to diagnose pneumothorax, objective data to determine how to treat (observation, thoracentesis, chest tube intubation, surgery) are not available, and excessive treatment is being performed.
  • the inserted drainage tube is not completely fixed to the chest wall, so it is cumbersome to have to fix it with sutures or taping to the skin surface so that the inserted drainage tube does not fall out. There is uncertainty about the procedure.
  • the leak prevention uni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to prevent the body fluid in the chest cavity from leaking into the gap between the penetrated chest wall and the penetrating unit by expanding and fix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ed chest wall and the opposite skin surfac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having a fixing and leak-proof function.
  • an apparatus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includes a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disposed in the chest cavity between the parietal pleura and the iliac pleura that penetrates the parietal pleura in the body and wraps around the outside of the lung
  • a device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comprising: a thoracic insertion device having a first conduit through which body fluids and air present in the chest cavity are discharged and a second conduit through which the fluid can be moved; and an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it to receive the body fluid and air discharg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it to supply the fluid to the thoracic insertion device.
  • the apparatus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may diagnose pneumothorax of the lungs by inhaling air in the chest cavity up to a preset pressure and continuously monitoring the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 the preset pressure may be -8cmH2O.
  •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supply actuator when operating the discharge actuator to supply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to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duit.
  •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is disposed in the chest cavity between the iliac pleura and parietal pleura that penetrate the parietal pleura in the body and surround the outside of the lung, the penetrating unit having the first conduit and the second conduit;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to prevent the body fluid in the chest cavity from leaking into a gap between the penetrating parietal pleura and the penetrating unit by expanding and fixing the penetrating inner surface of the parietal pleura and the opposite outer skin surface. It may include a leak prevention unit coupled to.
  • the leak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n inner surface of the parietal pleura facing the lung by receiving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unit so as to prevent the body fluid in the chest cavity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arietal pleura and the penetrating unit; It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kin surface of the parietal pleura and can be simultaneously expanded toward the parietal pleura.
  • the leak prevention unit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through unit so that the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and an expandable part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simultaneously expanding toward the parietal pleura.
  • the fluid may be silicon.
  • the bodily fluid receiving part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so that the first space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 the body fluid accommodating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module having the first space accommodating body fluid and air therein; and a confirmation module mounted from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module toward the inside so as to check whether or not the body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from the outside.
  • the accommodating module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 the confirmation module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module by an external force after being fitted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accommodation module.
  • a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is a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 a penetrating unit disposed in the chest cavity between the pleura and having the first conduit and the second conduit formed therei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to prevent the body fluid in the chest cavity from leaking into a gap between the penetrating parietal pleura and the penetrating unit by expanding and fixing the penetrating inner surface of the parietal pleura and the opposite outer skin surface.
  • It may include a leak prevention unit coupled to.
  • the leak prevention unit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through unit so that the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and an inflatable part which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is recessed, and simultaneously expands toward the parietal pleura at one end and the skin surface at the other end.
  • the first expandable member and the second expandable member expands and includes a gripp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ietal pleura or the skin surface, wherein the gripping surface may have an upward slo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arietal pleura and the skin surface.
  • the body portion may have an upper surface lower tha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unit toward the chest cavity.
  • drain tub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 the needle tip may have a spherical handle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intra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heck modul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conduit of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ak prevention unit of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internal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leak prevention unit in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pansion part of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leakage preventing unit performs a temporary catheter role in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needle tip is positioned in the chest cavity through the skin surface and parietal pleura in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eedle tip is removed from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leak prevention unit expands in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flated leakage preventing unit of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of FIG. 20 prevents the outflow of body fluid.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evice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tra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device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It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rmation module of the 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nfirmation module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tate that the handle is attached to the confirmation modul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mark with a variable colo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firmation modul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mark with a variable colo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firmation module of the intrathoracic pressure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9 is a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thoracic insertion device of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conduit of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device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econd conduit of FIG. 11 is formed outside the drainage tube, and FIG. 13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eakage prevention unit of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pansion part of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of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le of a tether
  • 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le of a tether
  • FIG. 17 is a view showing that the thoracic insertion device of the device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e skin surface and parietal pleura, and the needle tip is positioned in the chest cavity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eedle tip is removed from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thoracic cavity pressure confi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nd FIG.
  • 20 is a view illustrating the expansion of the leak prevention unit in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flated leakage preventing unit of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of FIG. 20 prevents the outflow of body fluid.
  •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10 penetrates the parietal pleura (P4) in the body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lung.
  • a first conduit 302 is formed so that the body fluid and air present in the chest cavity P6 can be discharged, and the fluid is moved to expand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 Two conduits 303 may be formed.
  •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10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etration unit 300 and a leak prevention unit 400, and the penetration unit 300 includes a skin surface (P1), a fat (P2), and a muscle (P3). ), passes through the parietal pleura (P4) in the body, is disposed in the chest cavity (P6), and through the first conduit 302 formed in the penetration unit 300, the body fluid or air in the chest cavity (P6) 200),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30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it 303 to expand, thereby form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forated wall-side pleura (P4) and the penetrating unit ( 300) can serve to prevent leakage of body fluids or ai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horacic cavity.
  • the penetration unit 300 includes a skin surface (P1), a fat (P2), and a muscle (P3).
  • P4 parietal pleura
  •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may receive the body fluid and air dis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duit 302 of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100 described above.
  •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discharges the body fluid or air from the chest cavity P6 through the discharge actuator 224 , and includes a pressure sensor 222 to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hest cavity P6 .
  •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it 303 of the above-described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100 to supply the above-described fluid to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100 .
  • the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60, sucks air in the chest cavity P6 through the first conduit 302 up to a preset pressure, and continuously monitors the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P6. , can diagnose pneumothorax of the lungs.
  • the thoracic cavity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inhales air until the thoracic cavity P6 internal pressure becomes a preset pressure, and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measured thoracic cavity P6 internal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preset pressu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ir is leaking into the chest cavity (P6) through the lungs and whether additional treatment is required.
  • the additional treatment may be chest tube intubation treatment or surgical treatment,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dditional treatment is necessary after obtaining in advance data on intrathoracic pressure corresponding to air leakage requiring chest tube intubation or incision surgery.
  • the treatment direction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intrathoracic pressure through the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
  • the preset pressure may be the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P6), which is an internal spac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ribs, thoracic spine, sternum, and diaphragm, and is the pressure when the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P6) is in a normal state.
  • P6 the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 -4 to - It can be 10 cmH2O, but -8cmH2O is more suitable.
  •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3 hours,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P6) exceeds the preset pressur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confirmed that air is leaked into the chest cavity (P6) through the lungs and added through the pre-secured intrathoracic pressure data treatment can be determined.
  •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may include a body fluid receiving unit 220 , a fluid supply unit 240 , and a control unit 260 . Referring to FIG. 2 in detail, as follows.
  • the body fluid accommodating unit 220 may receive the body fluid an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actuator 224 in the first space (A).
  • the discharge actuator 224 may be a pump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A), and if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A) by sucking body fluid or air through the first conduit (302), the type , shape, form, and position may vary,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irst space (A)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conduit 302, and by arranging the pressure sensor 222 in the first space (A),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hest cavity (P6).
  • the first conduit 30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A through the check valve CV, thereby preventing the air or body fluid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A from flowing backward.
  • the fluid supply unit 240 forms the second space (B), and moves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B) to the second conduit 303 using the supply actuator 244 to finally move the above-described chest cavity. It is possible to inflate the leakage preventing unit 400 of the insertion device 100 .
  • the fluid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xpandable fluid, and may be silicone for one-time expansion of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but by reciprocating the expandable fluid in the second conduit 303 and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Even if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is repeatedly expanded or contracted so that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100 can be reused, it will be said that all of them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ly actuator 244 may be a pump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B, and if it can deliver the expandable fluid to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through the second conduit 303, the type, shape, and form , positions may vary,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roller 260 compares the measured internal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P6 with a preset pressure to determine a pneumothorax of the lung, and operates the discharge actuator 224 until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chest cavity P6 becomes a preset pressure.
  • the supply actuator 244 may be operated to control the fluid to be moved to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
  • control unit 260 operates the supply actuator 244 when operating the discharge actuator 224 to supply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B to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nduit 102 . You can also control it to be.
  • the arrangement of the body fluid receiving unit 220 and the fluid supply unit 240 may vary, but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device, as shown in FIG. 2 , a first space (A), which is a closed space with a central partition wall therebetween,
  • the second space (B) may be provided to be formed, and if the first space (A) and the second space (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be sealed, respectively, the same shape as shown in FIG. 3 for the expansion of the spac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provided in this overlapping form.
  • the barrier rib formed between the body fluid receiving unit 220 and the fluid supply unit 240 is formed wid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lower surface is stably seated on the ground to ensure stability. It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the pneumothorax of the lung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hest cavity P6 is positive pressure after inhaling air unti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horacic cavity P6 becomes a preset pressure, and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 the bodily fluid receiving unit 220 is opaque so that the first space (A)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prevent patients from directly check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bodily fluid containing blood and feeling fear.
  • the material may be provided.
  • the body fluid accommodating unit 22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module 221 and a confirmation module 226 , and the accommodating module 221 is provided to accommodate body fluids and air therein, so that the first space A is formed.
  •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so that the body fluid contained therein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 accommodation module 221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confirmation module 226 can be mounte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 the confirmation module 226 is moun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 so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body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A from the outside.
  • the confirmation module 226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and the color of the confirmation module 226 changes when a body fluid in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firmation module 226 can be
  • the color may be provided so as to change in the shape of a charact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firmation module 226 .
  • the confirmation module 226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by an external force after being fitted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
  • the confirmation module 226 includes a contact member 226a, a connection member 226b, and a fixing member 226c, and by providing the contact member 226a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the user It may be provided to be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by gripping the contact member 226a.
  • the connecting member 226b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eceiving module 221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receiving module 221 in the contact member 226a.
  • the fixing member 226c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member 226b so that the ends are divided into two parts, and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ends are each directed toward the contact member 226a and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module 221 .
  • the fixing member 226c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anchor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6b so that the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module 221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member 226a and the bent end of the fixing member 226c are accommodated.
  • the confirmation module 226 may be fixed in the receiving module 221 .
  • the fixing member 226c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lor changes when the body flui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module 221. 226) may be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module 221 .
  • the confirmation module 226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contact member 226a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member, the confirmation module 226 can be completely drawn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ccommodating member.
  • the confirmation module 226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226d, and the handle 226d is provided in an arcuate form on the central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member 226a as shown in FIG.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confirmation module 226 by putting his or her finger on it.
  • a handle 226d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haracter, and from one end of the contact member 226a in the radial direction A large arch-shaped handle 226d up to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confirmation module 226 .
  •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penetration unit 300 and a leak prevention unit 400, and the penetration unit 300 penetrates the parietal pleura P6 in the body to penetrate the outside of the lung. It is disposed in the chest cavity (P6) between the enclosing iliac pleura (P7) and parietal pleura (P4),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duit 302 and the second conduit 303 may be formed.
  • the penetrating unit 30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body fluid is discharged in various directions at the point of insertion into the body.
  • penetrating unit 3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chest cavity P6 as an embodiment, if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discharging body flui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an organ ( P5) ( ⁇ ) and the internal organs (P5) ( ⁇ ), even if it is dispos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body wall surrounding all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netrating unit 300 may be disposed in the chest cavity accommodating the intestine, lung, aorta, and esophageal organs P5 as well as the esophagus, stomach, small intestine, large intestine, liver, gallbladder, pancreas, and spleen organs. (P5) may be disposed in the abdominal cavity to accommodate the function of discharging the body fluid to the outside.
  •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300 described above, and by being fixed by expan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arietal pleura (P4) and the opposite skin surface (P1), the chest cavity (P6) ), when discharging the body flui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into the gap between the perforated parietal pleura P4 and the penetrating unit 300 .
  • a gap may occur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300 that forms a perforation in the parietal pleura (P4) and the penetrating unit 300 is fixed to the parietal pleura (P4)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foration.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nit 300 and at the same time leak toward the lateral muscle P3 and fat P2 of the parietal pleura P4 through the aforementioned gap.
  •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receives fluid from the outside, and among the organs P5 describ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parietal pleura (P4) facing the lungs and the outer muscles (P3) of the parietal pleura (P4), fat It passes through (P2) and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P1), and simultaneously expands toward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parietal pleura (P4) to stably fix the penetrating unit 300 to the parietal pleura (P4) and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can occlude.
  • the through unit 300 may include a needle tip 320 and a drain pipe 340 .
  • the needle tip 320 passes through the skin (P1) layer, the fat (P2) layer, and the muscle (P3) layer to reach the chest cavity (P6), passes through the chest cavity (P6), and the drainage tube 140 passes through the chest cavity (P6). It is formed long so that it can be located in the , and one end may have the shape of a tip ( ⁇ ).
  • the needle tip 320 may have a spherical handle 322 form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having a tip shape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and remove it from the drain pipe 340 to be described later.
  • the drain pipe 34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duit 302 formed therein, and the needle tip 320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duit 302 so that one end of the tip shape protrudes.
  • the drain tube 340 may discharge the body fluid in the chest cavity P6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ube 302 after the needle tip 320 is removed.
  • the drain tube 340 may be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ove-described needle tip 320 and the first conduit 302 is formed on the center side thereof.
  • the drainage tube 34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constitute a path through which the body fluid is discharged in various directions at the point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body.
  • the drain pipe 340 may include a hard needle fixing part 342 at one end.
  • Needle part fixing part only the tip of the needle tip 32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rain pipe 340, and in order to prevent one en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pipe line 302, it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 the needle fixing part 342 may have a fixing surfac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tip 320, and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pipe 340 from the central side of the fixing surface.
  • the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duit 302 .
  • the length of the needle tip 320 protruding from the drain pipe 34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hrough hole of the needle fixing part 342 .
  • the drain pipe 340 having the first conduit 302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with a second conduit 303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supply the fluid to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described above. .
  • the drain tube 340 has a second conduit 303 communicating with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duit 302 so that the expandable fluid is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240 of the thoracic internal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described above.
  •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and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expands, the gap is block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wall pleura (P4)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300 to prevent leakage of body fluid into the gap can do.
  • the inflatable fluid moving in the second conduit 303 may be silicone.
  • silicone is injected into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from the fluid supply unit 240 of the thoracic internal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conduit 303 so that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can be expanded.
  • the leakage prevention unit 400 can prevent the body fluid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described above by expanding, the second conduit 303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fluid supply unit 240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 Even if the leakage prevention unit 400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ir through the
  • connection part 344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drain pipe 340 to connect the second pipe line 303 and the first pipe line 302 .
  • connection part 344 may be provided in a rigid form, and may be provided in a connector form so as to be connected and fixed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drainage tube 340 is provided such that the second tube 303 communicating with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is intubat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the center, and the inflatable fluid is prevented from leaking from the fluid supply unit 240 of the thoracic internal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 It may be provided to move to the unit 400 .
  •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is attached to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parietal pleura (P4) and the drainage tube 340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can additionally perform the role of a temporary catheter.
  • the body fluid flow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300 fixed to the parietal pleura (P4)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foration to the lateral muscle (P3) and fat (P2) side of the parietal pleura (P4).
  •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receives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unit 240 of the thoracic internal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 and the inner and wall sides of the parietal pleura (P4) facing the trachea (P5)
  • the leakage prevention unit 400 which is disposed to contact the skin surface P1 through the lateral muscle P3 and fat P2 of the pleura (P4), and is simultaneously expanded toward the parietal pleura (P4), is largely a body part ( 420 ) and an expansion unit 440 .
  • the body 420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 unit 300 so that the fluid can be introduced or discharged from the outside.
  • the body portion 420 may receive or discharg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unit 240 of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20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unit 3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of the penetrating unit 300 toward the chest cavity P6.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2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301 formed in the drainage tube 340 so as to be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drainage tube 340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age tube 340, and then the parietal pleura (P4). It can be expan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foration.
  • the body portion 420 when the body portion 42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301 formed in the central direction in the penetration unit 300 and expand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parietal pleura P4 and connects the penetration unit 300 to the wall side. It can be primarily fixed to the pleura (P4).
  •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duit 303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420 , so that the inflatable fluid may be supplied from the above-described fluid supply unit 240 .
  • the expansion part 440 is recess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420, and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420 to face the parietal pleura (P4) at one end and the skin surface (P1) at the other end. It simultaneously expands toward the pleural wall P4 and finally fixes the penetrating unit 300 to the parietal pleura P4,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body fluid through the gap.
  • the expansion part 440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420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420.
  • the expansion part 440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4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the expandable part 440 may include a first expandable member 442 and a second expandable member 444 .
  • the first expandable member 442 may be disposed in the body portion 420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rietal pleura P4 through which it expand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ietal pleura P4.
  • the second expandable member 444 expands to the body portion 420 adjacent to the outer skin surface P1 of the parietal pleura (P4) penetra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kin surface P1 of the parietal pleura (P4). can be placed.
  • the gripping surface 446 may have an upward slop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arietal pleura (P4).
  • the gripping surfaces 446 formed on the first expandable member 442 and the second expandable member 444 may b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ide of the body 420 .
  •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maintains the expansion in the expanded state, the second conduit 303 is separated, and is finally fixed to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chest cavity P6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penetration unit 300. It can also serve as a temporary catheter for other procedures in (P6).
  • 17 to 21 show the process of discharging body fluid by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connected to the thoracic cavity inserting device 100 in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explained once again through
  • the chest cavity insertion device 100 penetrates the parietal pleura (P4) and is placed in a position for the operation in the body cavity (P6), and finally the handle 322 formed on the needle tip 320 of the penetrating unit 300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needle tip 320 by gripping.
  • the thoracic cavity insertion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thoracic internal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to introduce the expandable fluid into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through the second conduit 303 .
  • the leak prevention unit 400 is expanded, and the body fluid can be stably fixed without leaking into the above-described gap, and finally the chest cavity through the first conduit 302 connected to the thoracic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
  • (P6) bodily fluid may be discharged.
  • the above-described intrathoracic pressure checking device 200 may measure the pressure in the body cavity P6 by disposing a pressure sensor in the first conduit 302 .
  • a pressure sensor may be dispos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state in the body cavity P6 .
  • the device for checking intrathoracic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vice for inserting the chest cavity included therein, by accumulating data by measuring the intrathoracic pressure, it is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patients who can be observed and completed by thoracic puncture, as well as measure the intrathoracic pressure If air is inhaled up to normal intrathoracic pressure through a thoracic insertion device, it can have a therapeutic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는 체내에서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에 있는 흉강에 배치되는 흉강 삽입장치가 포함된 흉강 내압 확인기기로서, 상기 흉강에 존재하는 체액 및 공기가 배출되는 제1 관로 및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 관로가 형성된 흉강 삽입장치, 및 상기 제1 관로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체액 및 공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2 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흉강 삽입장치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흉강 내압 확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는, 기설정된 압력까지 상기 흉강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흉강 내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폐의 기흉을 진단한다.

Description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본 발명은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설정된 압력까지 상기 흉강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흉강 내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폐의 기흉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막외 주사, 응급 기관 절개술, 흉관 배액법, 및 경피 위루 형성술과 같은 시술등과 같이 의료 시술 중 치료, 마취 및 진단을 위해 필요한 단계로 종종 체강의 위치를 삽입 니들을 이용하여 연관된 체강의 위치를 정확히 찾고 이에 접근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설명을 위한 일례로서 흉강 배액법의 경우, 이러한 시술에서는 흉벽 쇄골 중심선에서 일반적으로 제2 늑간에 배액관을 관통시킨 다음 배액관 끝을 흉강까지 삽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액관 내에 삽입된 니들팁을 당겨 배액관 끝을 폐첨까지 삽입하게 되며, 삽입 후에는 배액관 내에 삽입된 니들팁을 제거하고 신속하게 배액관을 집게 등으로 클램프할 수 있다.
이러한 기흉의 진단으로서 흉부X선, CT로 가능하나 치료(관찰, 흉강천자, 흉관삽관, 수술)를 어떻게 할지는 결정하는 객관적 자료는 되지 못하며 과도한 치료가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관찰이나 흉강천자로 마칠 수 있는 환자에게 흉관삽관이나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삽입 니들을 이용하여 연관된 흉강의 위치를 정확히 찾고 이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삽입한 배액관은 흉벽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으므로, 삽입한 배액관이 빠지지 않도록 봉합 또는 피부면에 테이핑 등으로 고정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움과 시술에 대한 불안정성이 존재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흉벽과 배액관 사이의 틈으로 흉강 내의 체액이 흘러나와 염증 등 이차적인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설정된 압력까지 상기 흉강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흉강 내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폐의 기흉을 진단할 수 있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관통된 흉벽의 내면 및 반대되는 타측 피부면을 향해 팽창하여 고정됨으로써,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흉벽과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통유닛의 외주면에 누출방지유닛이 결합된 고정과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흉강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는, 체내에서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에 있는 흉강에 배치되는 흉강 삽입장치가 포함된 흉강 내압 확인기기로서, 상기 흉강에 존재하는 체액 및 공기가 배출되는 제1 관로 및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 관로가 형성된 흉강 삽입장치; 및 상기 제1 관로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체액 및 공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2 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흉강 삽입장치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흉강 내압 확인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는, 기설정된 압력까지 상기 흉강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흉강 내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폐의 기흉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는, 흉강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공기를 흡입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된 흉강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클 때, 폐를 통해 흉강 내로 공기가 누출됨을 확인하고 추가 치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압력은, -8cmH2O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는, 배출액추에이터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체액 및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간에 수용하며, 상기 제1 관로에 연결된 상기 제1 공간에 마련된 압력센서를 통해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체액수용부; 공급액추에이터를 통해 제2 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제2 관로를 통해 상기 흉강 삽입장치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및 측정된 흉강 내압을 기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폐의 기흉을 판단하고, 흉강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상기 배출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때 상기 공급액추에이터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상기 흉강 삽입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흉강 삽입장치는, 체내에서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에 있는 흉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가 형성된 관통유닛; 및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및 반대되는 외측 피부면을 향해 팽창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과 상기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유닛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누출방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출방지유닛은, 상기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과 상기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폐와 대향하는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및 상기 벽측흉막의 외측 피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벽측흉막을 향해 동시에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출방지유닛은,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관통유닛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벽측흉막을 향해 동시에 팽창하는 팽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는, 실리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액수용부는, 외부에서 제1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액수용부는, 내부에 체액 및 공기가 수용되는 상기 제1 공간이 형성된 수용모듈; 및 제1 공간에 체액 수용 유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수용모듈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장착되는 확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모듈은,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수용모듈의 관통홀을 통해 끼움결합되었다가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모듈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수용모듈의 외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에서 상기 수용모듈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모듈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끝단이 양갈래로 분할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끝단이 상기 접촉부재를 향하여 상기 수용모듈의 내면에 접촉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에 상기 수용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때, 상기 수용부재의 관통홀을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흉강 삽입장치는, 상술한 흉강 내압 확인기기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로서, 체내에서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에 있는 흉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가 형성된 관통유닛; 및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및 반대되는 외측 피부면을 향해 팽창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과 상기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유닛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누출방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출방지유닛은, 상기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과 상기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폐와 대향하는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및 상기 벽측흉막의 외측 피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벽측흉막의 내측 및 외측을 향해 동시에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출방지유닛은,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관통유닛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어 함입되어 있다가, 일단에서 벽측흉막을 향하고 타단에서 피부면을 향해 동시에 팽창하는 팽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팽창부는,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에 접하도록 팽창하는 제1 팽창부재; 및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의 외측 피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부면에 접하도록 팽창하는 제2 팽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팽창부재 및 상기 제2 팽창부재는. 팽창되어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또는 상기 피부면에 접하는 파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면은, 상기 벽측흉막 및 상기 피부면의 반대방향으로 상향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흉강을 향한 상기 관통유닛의 삽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부면이 상기 관통유닛의 외주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관통유닛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흉강을 관통하는 니들팁; 및 상기 니들팁의 일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거나 상기 니들팁이 탈거되면 상기 체액을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관로가 형성되는 배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액관은,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로부터 팽창성 유체가 상기 누출방지유닛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로 일측에 상기 누출방지유닛과 연통되는 제2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로는,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로부터 팽창성 유체가 상기 누출방지유닛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배액관의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삽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액관은, 가요성 재질의 관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액관은, 니들팁의 일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일단부에 경질의 니들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니들고정부는, 내부에 상기 니들팁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니들팁의 길이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고정부는, 상기 니들팁의 첨단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면에 상기 내부관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팁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타단부에 구형의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에 따르면, 흉강내압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축적하게 됨으로써 관찰, 흉강천자로 마칠 수 있는 환자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흉강 삽입장치를 통해 정상 흉강내압까지 공기를 흡입하면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배액관을 삽입한 후에 봉합 또는 피부면에 테이핑 등의 방법을 사용해서 고정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환자의 움직임을 포함한 외부환경이 변화하더라도 배액관이 원래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흉벽과 배액관 사이의 틈으로 흉강 내의 체액이 흘러나와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등 이차적인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확인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확인모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확인모듈에 손잡이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확인모듈의 상부면에 색상이 가변되는 캐릭터 마크가 형성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관통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제2 관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제2 관로가 배액관의 외부에 형성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누출방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에서 누출방지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팽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에서 누출방지유닛이 임시 카테터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가 피부면 및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니들팁이 흉강에 위치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에서 니들팁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가 흉강 내압 확인기기에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에서 누출방지유닛이 팽창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도 20의 흉강삽입장치의 팽창된 누출방지유닛이 체액의 유출이 방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확인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확인모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확인모듈에 손잡이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 내압 장치의 확인모듈의 상부면에 색상이 가변되는 캐릭터 마크가 형성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관통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제2 관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2 관로가 배액관의 외부에 형성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누출방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에서 누출방지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의 팽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에서 누출방지유닛이 임시 카테터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가 피부면 및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니들팁이 흉강에 위치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에서 니들팁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가 흉강 내압 확인기기에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의 흉강삽입장치에서 누출방지유닛이 팽창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20의 흉강삽입장치의 팽창된 누출방지유닛이 체액의 유출이 방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10)는, 체내에서 벽측흉막(P4)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P7)과 벽측흉막(P4) 사이에 있는 흉강(P6)에 배치되는 흉강 삽입장치(100)가 포함된 흉강 내압 확인기기(10)로서, 크게 흉강 삽입장치(100),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흉강 삽입장치(100)는 흉강(P6)에 존재하는 체액 및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관로(302)가 형성되고, 유체가 이동되어 후술할 누출방지유닛(400)을 팽창시키기 위한 제2 관로(30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흉강 삽입장치(100)는 관통유닛(300)과, 누출방지유닛(400)을 포함하며, 관통유닛(300)이 피부면(P1)과 지방(P2), 근육(P3)을 지나 체내에서 벽측흉막(P4)을 관통하여 흉강(P6)에 배치되고, 관통유닛(300)에 형성된 제1 관로(302)를 통해 흉강(P6) 내의 체액이나 공기를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로 배출시키는 경우에, 누출방지유닛(400)은 관통유닛(30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제2 관로(303)에 연결되어 팽창됨으로써, 관통된 벽측흉막(P4)의 내주면과 관통유닛(300)의 외주면 사이의 틈으로 체액이나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를 설명한 다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는 상술한 흉강 삽입장치(100)의 제1 관로(302)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체액 및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는 배출액추에이터(224)를 통해 체액이나 공기를 흉강(P6)에서 배출시키게 되고, 압력센서(222)를 구비하여 흉강(P6) 내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는 상술한 흉강 삽입장치(100)의 제2 관로(303)에 연결되어 흉강 삽입장치(100)로 상술한 유체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는 제어부(260)를 구비하고, 기설정된 압력까지 제1 관로(302)를 통해 흉강(P6)의 공기를 흡입하고, 흉강(P6) 내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폐의 기흉을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는 흉강(P6)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된 흉강(P6)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클 때, 폐를 통해 흉강(P6) 내로 공기가 누출됨을 확인하고 추가 치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치료는 흉관삽관치료 또는 수술적치료일 수 있으며, 흉관삽관이나 절개수술이 필요한 공기누출에 대응하는 흉강 내압 데이터를 미리 확보한 다음 추가 치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를 통해 흉강 내압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치료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압력은 늑골, 흉추, 흉골, 및 횡격막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체내 공간인 흉강(P6) 내의 압력일 수 있으며, 흉강(P6) 내의 압력이 정상상태일 때의 압력으로 구체적으로 -4 내지 -10cmH2O 일 수 있는데, -8cmH2O이면 더 적합하다.
또한 소정시간은 3시간 일 수 있으며, 소정시간이 경과 후에 흉강(P6)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폐를 통해 흉강(P6) 내로 공기가 누출됨을 확인하고 미리 확보한 흉강 내압 데이터를 통해 추가 치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는 체액수용부(220), 유체공급부(240),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를 통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액수용부(220)는 배출액추에이터(224)를 통해 배출되는 체액 및 공기를 제1 공간(A)에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액추에이터(224)는 제1 공간(A)에 수용될 수 있는 펌프일 수 있으며, 제1 관로(302)를 통해 체액이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간(A)에 수용할 수 있다면, 종류, 형상, 형태,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1 공간(A)은 상술한 제1 관로(302)에 연결되고, 제1 공간(A)에 압력센서(222)를 배치함으로써, 흉강(P6) 내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로(302)는 체크밸브(CV)를 통해 제1 공간(A)과 연결되어, 제1 공간(A)에 수용된 공기나 체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유체공급부(240)는 제2 공간(B)을 형성하며, 제2 공간(B)에 수용된 유체를 공급액추에이터(244)를 사용하여 제2 관로(303)로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상술한 흉강 삽입장치(100)의 누출방지유닛(400)을 팽창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유체는 팽창성 유체일 수 있으며, 누출방지유닛(400)을 일회성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실리콘일 수 있으나, 팽창성 유체가 제2 관로(303) 및 누출방지유닛(400)에서 왕복 이동됨으로써 누출방지유닛(400)을 반복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시켜 흉강 삽입장치(100)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공급액추에이터(244)는 제2 공간(B)에 수용될 수 있는 펌프일 수 있으며, 제2 관로(303)를 통해 팽창성 유체를 누출방지유닛(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면, 종류, 형상, 형태,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는 제어부(260)는 측정된 흉강(P6) 내압을 기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폐의 기흉을 판단하고, 흉강(P6)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배출액추에이터(224)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관로(303)와 제2 공간(B)이 연결되면, 공급액추에이터(244)를 동작시켜 누출방지유닛(400)으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배출액추에이터(224)를 동작시킬 때 공급액추에이터(244)를 동작시켜 제2 공간(B)에 수용된 유체를 제2 관로(102)를 통해 흉강 삽입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체액수용부(220)와 유체공급부(240)의 배치는 다양할 수 있으나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격벽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밀폐된 공간인 제1 공간(A), 제2 공간(B)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공간(A)과 제2 공간(B)이 서로 분리되고 각각 밀폐될 수만 있다면 공간의 확장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이 겹쳐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액수용부(220)와 유체공급부(240) 사이에 형성된 격벽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수직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하부면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흉강(P6)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된 흉강(P6) 내압이 양압일 때, 폐의 기흉을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체액수용부(220)는, 환자들이 혈액을 포함하는 체액이 배출되는 과정을 직접 확인하여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제1 공간(A)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액수용부(220)는 수용모듈(221), 확인모듈(2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모듈(221)은 내부에 체액 및 공기가 수용되도록 마련되어 제1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모듈(2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내부에 수용된 체액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용모듈(221)은 확인모듈(226)이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모듈(226)은 수용모듈(221)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장착되어 제1 공간(A)에 체액 수용 유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 재질로 형성된 수용모듈(221) 일측에 확인모듈(226)이 배치되되, 수용모듈(221) 내에 체액이 확인모듈(226)에 접촉되면 확인모듈(226)의 색상이 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환자가 영,유아인 경우에는, 체액이 확인모듈(226)에 접촉되면 확인모듈(226)의 외주면에서 캐릭터 형태로 색상이 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확인모듈(226)은 수용모듈(221)의 관통홀을 통해 끼움결합되었다가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모듈(22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모듈(226)은 접촉부재(226a), 연결부재(226b), 고정부재(226c)를 포함하고, 수용모듈(221)의 외면에 접촉부재(226a)가 접하게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접촉부재(226a)를 파지하여 수용모듈(221)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26b)는 접촉부재(226a)에서 수용모듈(221)의 관통홀을 통해 수용모듈(221)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고정부재(226c)는 상술한 연결부재(226b)에 연결되어 끝단이 양갈래로 분할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끝단이 각각 접촉부재(226a)를 향하여 수용모듈(221)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부재(226c)는 연결부재(226b)의 일단에서 닻 형태로 마련되어 끝단이 수용모듈(221)의 내면에 접하여 접촉부재(226a)의 내면과 고정부재(226c)의 절곡된 끝단이 수용모듈(221)의 외면과 내면에 접촉됨으로써, 수용모듈(221)에서 확인모듈(226)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226c)는, 수용모듈(221) 내에 체액이 접촉되면 색상이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고 제1 공간(A)에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해 확인모듈(226)을 수용모듈(221)에서 탈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접촉부재(226a)에 수용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수용부재의 관통홀을 통하여 확인모듈(226)이 완전히 인출될 수 있도록 확인모듈(226)은 가요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확인모듈(226)은 손잡이(226d)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226d)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226a)의 외면 중앙측에 아치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확인모듈(226)에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226a)의 외면에 캐릭터 형태가 색상이 변하는 경우에는 캐릭터 하단에 손잡이(226d)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접촉부재(226a)의 일단에서 직경방향으로 타단까지 아치형태의 손잡이(226d)부가 크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확인모듈(226)에 좀 더 쉽게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내지 21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 흉강 삽입장치(100)를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흉강 삽입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관통유닛(300), 누출방지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통유닛(300)은 체내에서 벽측흉막(P6)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P7)과 벽측흉막(P4) 사이에 있는 흉강(P6)에 배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관로(302) 및 제2 관로(30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유닛(300)은 가요성 재질로 마련되어 체내에 삽입되는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체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관통유닛(300)은 흉강(P6)에 배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체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동물의 체내에서 폐나 복부 장기을 포함하는 기관(P5)(器官)과 내부 기관(P5)(器官)을 감싸는 체벽과의 사이에 있는 빈 곳에 배치된다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관통유닛(300)은 장·폐·대동맥·식도 기관(P5)을 수용하는 흉강(胸腔)에 배치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식도, 위, 소장, 대장, 간, 담낭, 췌장, 비장 기관(P5)을 수용하는 복강(腹腔)에 배치되어 체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누출방지유닛(400)은, 상술한 관통유닛(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데, 관통된 벽측흉막(P4)의 내면 및 반대되는 타측 피부면(P1)을 향해 팽창하여 고정됨으로써, 흉강(P6) 내의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에, 관통된 벽측흉막(P4)과 관통유닛(300)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통유닛(300)이 벽측흉막(P4)에 천공을 형성하고 벽측흉막(P4)에 고정되는 관통유닛(300)의 외주면과, 천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체액이 관통유닛(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술한 틈으로 벽측흉막(P4)의 외측 근육(P3)과 지방(P2)쪽을 향해 누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누출방지유닛(400)은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상술한 기관(P5) 중 폐에 대향하는 벽측흉막(P4)의 내면 및 벽측흉막(P4)의 외측 근육(P3), 지방(P2)을 지나 피부면(P1)까지 접하도록 배치되고, 벽측흉막(P4)의 내측 및 외측 향해 동시에 팽창되어 관통유닛(300)을 벽측흉막(P4)에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술한 틈을 폐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출방지유닛(400)이 관통유닛(300)에서 팽창함으로써, 상술한 틈을 막는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관통유닛(300)은, 니들팁(320), 배액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니들팁(320)은 피부(P1)층, 지방(P2)층, 근육(P3)층을 지나 흉강(P6)까지 도달하고, 흉강(P6)을 관통하여 배액관(140)이 흉강(P6)에 위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첨단(尖端)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니들팁(320)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후술할 배액관(340)에서 탈거할 수 있도록, 첨단의 형태를 가진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부에 구형의 손잡이(32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액관(340)은 제1 관로(3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관로(302)에 상술한 니들팁(320)이 삽입되어 첨단 형태의 일단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액관(340)은 니들팁(320)을 제거한 후에 제1 관로(302)를 통해 흉강(P6) 내에 있는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액관(340)은 상술한 니들팁(3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중심측에 제1 관로(302)가 형성된 중공관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배액관(340)은 가요성 재질로 마련되어 체내에 삽입되는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체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액관(340)은, 일단부에 경질의 니들고정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고정부는, 배액관(340)의 외측으로 니들팁(320)의 첨단만 돌출되고, 일단이 제1 관로(302)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기위해서, 경질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들고정부(342)는, 니들팁(320)의 길이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면이 형성되고, 고정면의 중앙측에서 배액관(34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은 제1 관로(30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니들고정부(342)의 관통홀의 길이를 조절하여 배액관(340)에서 니들팁(320)이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관로(302)를 가지는 배액관(340)은, 상술한 누출방지유닛(400)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로(30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형성된 제2 관로(303)가 누출방지유닛(400)에 연결된 구체적인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배액관(340)은 누출방지유닛(400)과 연통되는 제2 관로(303)가 제1 관로(302) 일측에 형성되어 상술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의 유체공급부(240)로부터 팽창성 유체가 누출방지유닛(400)으로 이동되고 누출방지유닛(400)이 팽창됨으로써, 벽측흉막(P4)에 형성된 천공의 내주면과 관통유닛(300)의 외주면 사이에 틈을 막아 체액이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 관로(303) 내를 이동하는 팽창성 유체는 실리콘일 수 있다.
즉 실리콘이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의 유체공급부(240)로부터 제2 관로(303)를 통해 누출방지유닛(400)으로 주입되어 누출방지유닛(400)이 팽창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누출방지유닛(400)이 팽창함으로써 체액이 상술한 틈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외부, 즉,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의 유체공급부(240)로부터 제2 관로(303)를 통해 공기의 이동을 제어하여 누출방지유닛(400)을 팽창 또는 수축시킨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때 배액관(340)의 타단에는 연결부(344)가 형성되어 제2 관로(303)및 제1 관로(302)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44)는 경질 형태로 마련되고, 외부 장치와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커넥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액관(340)은, 누출방지유닛(400)과 연통되는 제2 관로(303)가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삽관되도록 마련되어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의 유체공급부(240)로부터 팽창성 유체가 누출방지유닛(400)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관로(303)를 배액관(340)의 외주면에 삽관되게 마련함으로써, 제2 관로(303)와 누출방지유닛(400) 간의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누출방지유닛(400)만 벽측흉막(P4)에 형성된 천공에 부착되고 배액관(340)은 외부로 분리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누출방지유닛(400)은 임시카테터의 역할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누출방지유닛(400)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벽측흉막(P4)에 고정되는 관통유닛(300)의 외주면과, 천공의 내주면 사이 틈으로 체액이 벽측흉막(P4)의 외측 근육(P3)과 지방(P2)쪽을 향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누출방지유닛(400)은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의 유체공급부(24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기관(P5)과 대향하는 벽측흉막(P4)의 내면 및 벽측흉막(P4)의 외측 근육(P3), 지방(P2)을 지나 피부면(P1)까지 접하도록 배치되고, 벽측흉막(P4)을 향해 동시에 팽창되는 누출방지유닛(400)은, 크게 몸체부(420), 팽창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몸체부(420)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420)는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의 유체공급부(240)로부터유체가 유입되거나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420)는 흉강(P6)을 향한 관통유닛(300)의 삽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부면이 관통유닛(300)의 외주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몸체부(420)의 상부면은 배액관(340)의 외주면보다 배액관(340)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배액관(340)에 형성된 삽입홈(301)에 결합되어 있다가, 벽측흉막(P4)의 천공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몸체부(420)는, 관통유닛(300)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301)에 결합되었다가 팽창하게 되면 벽측흉막(P4)에 형성된 천공의 내주면에 접하여 관통유닛(300)을 벽측흉막(P4)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420)에는 상술한 제2 관로(303)가 연결되어 상술한 유체공급부(240)에서 팽창성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팽창부(440)는 몸체부(420)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함입되어 있다가 몸체부(420)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어 일단에서 벽측흉막(P4)을 향하고 타단에서 피부면(P1)을 향해 동시에 팽창하여 관통유닛(300)을 벽측흉막(P4)에 최종적으로 고정하게 되고, 틈을 통한 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누출방지유닛(400)이 팽창한 경우에, 튜브형태로 마련된 몸체부(420)의 외주면 일단과 타단에서 팽창부(440)가 몸체부(420)의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420)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팽창부(440)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팽창부(440)는, 제1 팽창부재(442), 제2 팽창부재(4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팽창부재(442)는 팽창하여 벽측흉막(P4)의 내면에 접할 수 있도록 관통된 벽측흉막(P4)의 내면에 인접하게 몸체부(4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팽창부재(444)는 팽창하여 벽측흉막(P4)의 외측 피부면(P1)에 접할 수 있도록 관통된 벽측흉막(P4)의 외측 피부면(P1)에 인접하게 몸체부(420)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팽창부재(442)와 제2 팽창부재(444)는 각각 팽창되는 경우에 벽측흉막(P4)의 내면 또는 벽측흉막(P4)의 외측 피부면(P1)에 접하는 파지면(44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팽창부재(442)과 제2 팽창부재(444) 모두 파지면(446)이 형성되고, 제1 팽창부재(442)에 형성된 파지면(446)은 제1 팽창부재(442)가 팽창되는 경우에 벽측흉막(P4)의 내면에 접할 수 있고, 제2 팽창부재(444)에 형성된 파지면(446)은 제2 팽창부재(444)가 팽창되는 경우에 외측 피부면(P1)에 접할 수 있다.
이때 파지면(446)은 벽측흉막(P4)의 반대방향으로 상향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팽창부재(442)에 형성된 파지면(446)은 벽측흉막(P4)에서 흉강(P6)을 향해 상향경사를 가지고 제2 팽창부재(444)에 형성된 파지면(446)은 외측 피부면(P1)에서 신체의 외부를 향해 상향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팽창부재(442)와 제2 팽창부재(444)에 형성된 파지면(446)은 몸체부(420) 중앙측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로(303)를 통해 팽창성 유체가 유입되면 몸체부(420)가 팽창하게 되고 몸체부(420)와 연통되는 제1 팽창부재(442)와 제2 팽창부재(444)가 동시에 팽창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틈을 통한 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누출방지유닛(400)은 팽창된 상태에서 팽창을 유지하고, 제2 관로(303)가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관통유닛(300)에서 분리된 상태로 흉강(P6)에 형성된 천공에 고정되어 흉강(P6) 내의 다른 시술을 위한 일시적인 카테터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확인기기(10)에서 흉강 삽입장치(100)와 연결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가 체액을 배출하는 과정을 도 17 내지 도 21을 통해 다시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흉강 삽입장치(100)를 벽측흉막(P4)을 관통시켜 체강(P6) 내에서 시술을 위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최종적으로 관통유닛(300)의 니들팁(320)에 형성된 손잡이(322)를 파지하여 니들팁(320)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흉강 삽입장치(100)를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에 연결하여 제2 관로(303)를 통해 팽창성 유체를 누출방지유닛(40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출방지유닛(400)이 팽창되고, 체액이 상술한 틈으로 누출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에 연결된 제1 관로(302)를 통해 흉강(P6)의 체액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는 제1 관로(302)에 압력센서를 배치하여 체강(P6)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흉강 내압 확인장치(200)가 체강(P6)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가 배치되어 지속적으로 체강(P6) 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에 따르면, 흉강내압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축적하게 됨으로써 관찰, 흉강천자로 마칠 수 있는 환자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흉강 삽입장치를 통해 정상 흉강내압까지 공기를 흡입하면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배액관을 삽입한 후에 봉합 또는 피부면에 테이핑 등의 방법을 사용해서 고정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에 따라 환자의 움직임을 포함한 외부환경이 변화하더라도 배액관이 원래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흉벽과 배액관 사이의 틈으로 흉강 내의 체액이 흘러나와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등 이차적인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30)

  1. 체내에서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에 있는 흉강에 배치되는 흉강 삽입장치가 포함된 흉강 내압 확인기기로서,
    상기 흉강에 존재하는 체액 및 공기가 배출되는 제1 관로 및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 관로가 형성된 흉강 삽입장치; 및
    상기 제1 관로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체액 및 공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2 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흉강 삽입장치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흉강 내압 확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는,
    기설정된 압력까지 상기 흉강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흉강 내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폐의 기흉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는,
    흉강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공기를 흡입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된 흉강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클 때, 폐를 통해 흉강 내로 공기가 누출됨을 확인하고 추가 치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압력은,
    -8cmH2O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는,
    배출액추에이터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체액 및 상기 공기를 상기 제1 공간에 수용하며, 상기 제1 관로에 연결된 상기 제1 공간에 마련된 압력센서를 통해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체액수용부;
    공급액추에이터를 통해 제2 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제2 관로를 통해 상기 흉강 삽입장치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및
    측정된 흉강 내압을 기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폐의 기흉을 판단하고, 흉강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상기 배출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킬 때 상기 공급액추에이터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상기 흉강 삽입장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용부는,
    외부에서 제1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수용부는,
    내부에 체액 및 공기가 수용되는 상기 제1 공간이 형성된 수용모듈; 및
    제1 공간에 체액 수용 유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수용모듈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장착되는 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모듈은,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수용모듈의 관통홀을 통해 끼움결합되었다가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모듈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수용모듈의 외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에서 상기 수용모듈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모듈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끝단이 양갈래로 분할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끝단이 상기 접촉부재를 향하여 상기 수용모듈의 내면에 접촉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에 상기 수용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때, 상기 수용부재의 관통홀을 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삽입장치는,
    체내에서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에 있는 흉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가 형성된 관통유닛; 및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및 반대되는 외측 피부면을 향해 팽창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과 상기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유닛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누출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유닛은,
    상기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과 상기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폐와 대향하는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및 상기 벽측흉막의 외측 피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벽측흉막을 향해 동시에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유닛은,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관통유닛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벽측흉막을 향해 동시에 팽창하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확인기기.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흉강 내압 확인기기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로서,
    체내에서 벽측흉막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에 있는 흉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가 형성된 관통유닛; 및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및 반대되는 외측 피부면을 향해 팽창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과 상기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유닛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누출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유닛은,
    상기 흉강 내의 체액이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과 상기 관통유닛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폐와 대향하는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및 상기 벽측흉막의 외측 피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벽측흉막의 내측 및 외측을 향해 동시에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유닛은,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관통유닛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어 함입되어 있다가, 일단에서 벽측흉막을 향하고 타단에서 피부면을 향해 동시에 팽창하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에 접하도록 팽창하는 제1 팽창부재; 및
    관통된 상기 벽측흉막의 외측 피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부면에 접하도록 팽창하는 제2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창부재 및 상기 제2 팽창부재는.
    팽창되어 상기 벽측흉막의 내면 또는 상기 피부면에 접하는 파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면은,
    상기 벽측흉막 및 상기 피부면의 반대방향으로 상향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흉강을 향한 상기 관통유닛의 삽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부면이 상기 관통유닛의 외주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관통유닛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흉강을 관통하는 니들팁; 및
    상기 니들팁의 일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되거나 상기 니들팁이 탈거되면 상기 체액을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관로가 형성되는 배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관은,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로부터 팽창성 유체가 상기 누출방지유닛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로 일측에 상기 누출방지유닛과 연통되는 제2 관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로는,
    상기 흉강 내압 확인장치로부터 팽창성 유체가 상기 누출방지유닛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배액관의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삽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관은,
    가요성 재질의 관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관은,
    니들팁의 일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일단부에 경질의 니들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부는,
    내부에 상기 니들팁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니들팁의 길이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고정부는,
    상기 니들팁의 첨단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면에 상기 내부관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팁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타단부에 구형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삽입장치.
PCT/KR2022/000607 2021-01-15 2022-01-13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WO20221545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59 2021-01-15
KR10-2021-0006265 2021-01-15
KR1020210006265A KR102587610B1 (ko) 2021-01-15 2021-01-15 고정과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배액관 삽입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체액배출장치
KR1020210006259A KR102458412B1 (ko) 2021-01-15 2021-01-15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503A1 true WO2022154503A1 (ko) 2022-07-21

Family

ID=8244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0607 WO2022154503A1 (ko) 2021-01-15 2022-01-13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1545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36A (ko) * 2008-12-17 2010-01-13 (주)보성메디텍 란셋 일체형 캡 및 무통 채혈기
KR100978599B1 (ko) * 2010-03-22 2010-08-27 주식회사 아이베이지디쓰리 휴대용 체액 배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4524293A (ja) * 2011-08-20 2014-09-22 アドバンスド メディカル バルー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経肛門的流入カテーテル及び反射作用を調整した排便を断続的に誘引する方法
KR20160038344A (ko) * 2014-09-30 2016-04-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흉부용 카테터
JP2016202831A (ja) * 2015-04-28 2016-1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濃度測定装置、内視鏡リプロセッサおよび濃度測定用試験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36A (ko) * 2008-12-17 2010-01-13 (주)보성메디텍 란셋 일체형 캡 및 무통 채혈기
KR100978599B1 (ko) * 2010-03-22 2010-08-27 주식회사 아이베이지디쓰리 휴대용 체액 배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4524293A (ja) * 2011-08-20 2014-09-22 アドバンスド メディカル バルー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経肛門的流入カテーテル及び反射作用を調整した排便を断続的に誘引する方法
KR20160038344A (ko) * 2014-09-30 2016-04-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흉부용 카테터
JP2016202831A (ja) * 2015-04-28 2016-1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濃度測定装置、内視鏡リプロセッサおよび濃度測定用試験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4134A1 (ko) 초음파 프로브에 부착되는 혈관 천자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혈관 천자 시스템
WO2011139024A2 (ko)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US4351330A (en) Emergency internal defibrillation
US6972026B1 (en) Surgical access device
US52576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tracheal intubation
US20070167676A1 (en) Overtube and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rifice using the same
US201700072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s maintenance to a body cavity using a trocar
KR20080083711A (ko) 내시경용 오버튜브
WO2010008127A1 (ko)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WO2022154503A1 (ko) 흉강 내압 확인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흉강 삽입장치
WO2012144846A2 (ko) 복강경 수술용 투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1162491A2 (ko)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WO2017039193A1 (ko) 광유도 주입 장치
WO2019208946A1 (ko) 복강경 수술용 안전침 어셈블리
WO2012105744A1 (ko)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카테터 가이드 및 이들을 구비하는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유니트
WO2022005026A1 (ko) 만성 폐쇄성 관상동맥 시술용 밸브장치
WO2019107618A1 (ko) 질관 치료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WO2024014920A1 (ko) 폐 질환 치료기구
WO2019190061A1 (ko) 내시경 및 부비동 진입용 내시경
US20150342699A1 (en) Video-guided chest tube insertion system
WO2018124387A1 (ko) 진정하 내시경 시술을 위한 후두마스크 기도확보기
WO2018124554A1 (ko) 내시경 커버 장착장치
WO2015060545A1 (ko) 시야확보가 가능한 약품주입장치
KR102587610B1 (ko) 고정과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배액관 삽입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체액배출장치
WO2021101336A2 (ko) 직장 삽입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396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396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