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199A -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43199A KR20150143199A KR1020140072422A KR20140072422A KR20150143199A KR 20150143199 A KR20150143199 A KR 20150143199A KR 1020140072422 A KR1020140072422 A KR 1020140072422A KR 20140072422 A KR20140072422 A KR 20140072422A KR 20150143199 A KR20150143199 A KR 201501431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propylene resin
- polyolefin resin
- inorganic filler
- weight
- crystallization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2—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area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접착력 및 분산성을 향상시켜 단열 성능, 기계적 물성 및 표면품질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통상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고, 냉각팬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열교환되어 응축된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팰브 및 증발기를 차례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블로어 유니트의 송풍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거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 상태로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는 장치와, 엔진의 냉각수가 히터코어를 거쳐 엔진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송풍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히터코어를 거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 상태로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를 포함한다. 즉, 자동차에 탑재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는 여러 가지 기후나 주행조건에서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이러한 자동차의 공조장치에 있어서, 송풍되는 공기는 공기의 이송 통로가 되는 에어 덕트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일단에 연결된 에어 벤트를 통해 자동차 실내로 송풍된다.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에어 덕트는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수지를 블로우 몰딩 성형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을 성형하여 제조한 솔리드 타입의 에어 덕트는 밀도가 커서 자동차의 경량화에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솔리드 타입의 에어 덕트는 단열성이 불량하여 수분의 응축 현상이 발생하며 자동차의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증가시켜 자동차의 연비가 불량해진다. 이에 따라 솔리드타입의 에어 덕트의 바깥 부분에는 부직포를 부착하여 단열성 향상과 함께 노이즈를 저감시키고 있으나, 중량에 따른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제조공정도 추가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포제의 의해 발포되어 가볍고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체를 에어덕트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지속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발포성 에어덕트는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 종류의 한계로 인하여,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어, 기계적 물성이 양호한 에어덕트를 제조하기 어렵고, 최종 생산된 에어덕트의 표면 품질이 불량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단열성 및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우수한 표면 품질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에어덕트용 수지 성형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계면접착력 및 분산성을 향상시켜 단열 성능, 기계적 물성 및 표면품질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이용한 에어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올레핀계 고분자;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에어덕트가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이용하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무기 필러의 계면접착력이 증가하고, 상기 무기 필러의 분산성이 향상됨에 따라, 기계적 물성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1종'이 의미하는 '종류'는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온도 범위를 통해 구분되는 종류를 뜻한다.
상기 기재에 포함된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프로필렌과 12몰% 이하의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12몰% 이하의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강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고, 특히 프로필렌과 10몰%이하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분리가 적기 때문에 발포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온도 230℃ 및 압력 2.16 Kgf 조건에서 0.5g/10분 내지 10g/10분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는 일정한 부하와 온도에서 10분동안 모세관을 흐르는 수지의 무게를 의미한다.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가 0.5g/10분 미만이면, 성형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가 10g/10분 초과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두께 균일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에 포함된 112℃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125℃ 내지 150℃, 또는 126℃ 내지 135℃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어도 1종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온도(Tc)는 결정화에 필요한 열처리 온도를 의미하며,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경우, 표면고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시 표면에 발포셀 터짐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에 포함된 112℃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112℃ 이상 125℃ 미만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어도 1종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에 포함된 112℃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112℃ 이상 125℃ 미만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각각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에 포함된 112℃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은 5중량% 내지 40중량%, 또는 8중량% 내지 35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이 5중량%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표면고화 속도가 느려져 표면에 발포셀 터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이 40중량% 초과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성형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펠렌 수지 조성물의 함량은 65중량% 내지 93중량%, 또는 70중량% 내지 9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65중량% 미만이면, 무기필러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성형시 제품 외관에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93중량% 초과이면, 무기 필러의 첨가에 따른 강성 및 내열성 상승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에 포함된 올레핀계 고분자는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무기필러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을 주쇄(기본 사슬)로써 포함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주쇄 또는 말단에 무기필러와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산, 무수 말레산,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반응성 작용기는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3 중량%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작용기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상기 무기 필러와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 간의 반응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상기 무기 필러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계면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반응성 작용기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7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와 무기 필러의 계면접착력 및 분산 효율 저하로 인해 기계적 물성, 치수안정성 및 표면품질 향상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의 함량이 7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의 직경은 0.5㎛ 내지 200㎛, 또는 1㎛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의 직경이 0.5 ㎛ 미만일 경우, 올레핀계 고분자의 직경이 너무 작아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00 ㎛ 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무기필러의 계면접착력 및 분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에 포함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890 g/㎤ 내지 0.940g/㎤, 또는 0.900 g/㎤ 내지 0.935g/㎤, 또는 0.918g/㎤ 내지 0.928 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제조방법에 따라 밀도가 서로 다른 폴리에틸렌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890 g/㎤미만이면, 저분자 용출량이 많아 발포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40 g/㎤초과이면, 결정성이 너무 높아 발포공정 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5 중량% 내지 20중량%, 또는 8 중량% 내지 1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20중량% 초과이면, 충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에 포함된 무기 필러는 강성 보강 및 발포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칼슘스테아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점토, 카본 블랙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0.5㎛ 내지 10㎛, 또는 1㎛ 내지 9㎛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의 평균 입경이 0.5 ㎛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무기 필러의 평균입경이 10㎛을 초과하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발포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10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강성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이 10중량%초과이면, 비중이 증가하고 충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상에는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할 수 있다. 상기 발포셀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내에 포함된 기포를 의미하며, 상기 발포셀을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발포방법으로는 물리적 발포법과 화학적 발포법 등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또는 발포제를 이용한 화학적 발포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셀의 평균 직경은 20㎛ 내지 50㎛, 또는 25㎛ 내지 4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발포셀의 평균 직경이 20㎛ 미만이면, 상기 발포셀이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 적정 수준의 밀도를 획득하기 어려워,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단열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발포셀의 평균 직경이 50㎛ 초과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다공성 정도가 매우 커져 재료로서의 기계적인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기재의 밀도는 0.3 g/㎖ 내지 0.8 g/㎖, 또는 0.4 g/㎖ 내지 0.7 g/㎖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내부에 상기 발포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포셀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는 분자간 거리가 매우 멀기 때문에, 상기 발포셀이 발생할수록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기재의 밀도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기재의 밀도가 0.3 g/㎖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내에 발포셀이 지나치게 발생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내후성 등 기계적인 강도가 낮아질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포함된 기재의 밀도가 0.8 g/㎖초과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내에 발포셀이 충분히 발생하지 못하여 단열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가소제, 열안정제, 슬립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또는 이들의 2종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성능 및 가공상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가소제, 열안정제, 슬립제, 대전방지제, 발포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범위 내에서 전체 제조량 및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여 최적 범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무기필러 및 올레핀계 고분자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 단계로 혼합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ASTM D638에 의한 인장강도가 230 ㎏/㎠이상, 또는 235㎏/㎠ 내지 300 ㎏/㎠일 수 있다. 상기 인장강도는 재료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 시험편이 파단할 때까지의 최대 인장 하중을, 시험 전 시험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ASTM D638에 의한 인장강도가 230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충분한 수준의 기계적인 강도를 가지지 못함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ASTM D790에 의한 굴곡탄성률이 9,700 ㎏/㎠이상, 또는 9,800㎏/㎠ 내지 14,000 ㎏/㎠일 수 있다. 상기 굴곡탄성률은 폴리머에 굴곡하중을 걸어 탄성한계 내에서의 응력과 변형의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결정화도와 용융지수가 크고 아이소탁티시티가 클수록 굴곡탄성율이 좋고, 코폴리머 보다는 호모폴리머의 굴곡탄성율이 높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ASTM D790에 의한 굴곡탄성률이 9,700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충분한 수준의 기계적인 강도를 가지지 못함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ASTM D256에 의한 IZOD 충격강도가 37 Kg·cm이상, 또는 38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충격강도는 물체가 충격을 받았을 때 나타나는 저항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며, 시료의 파단시에 소요되는 총에너지나 시료의 단위 길이당 흡수된 파단에너지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클수록, 유리전이온도가 높을수록 충격강도는 감소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ASTM D256에 의한 IZOD 충격강도가 37 ㎏·㎝미만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충분한 수준의 기계적인 강도를 가지지 못함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ASTM D648에 의한 열변형 온도가 80℃이상, 또는 85℃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열변형온도는 상기 폴레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일정 부하에서 임의의 양만큼의 변형이 발생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열변형 온도가 80℃미만이면, 상기 폴레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표면의 오픈 발포셀이 10개/㎠이하, 또는 5개/㎠ 이하 또는 5개/㎠ 내지 0개/㎠ 일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표면에는 오픈 발포셀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성형품 표면의 오픈 발포셀은 상기 성형품 제조시 표면에 발포셀 터짐 현상이 일어난 상태로 결정화된 발포셀을 의미하며, 상기 성형품 표면의 오픈 발포셀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많을수록 표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올레핀계 고분자;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올레핀계 고분자;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단계는,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올레핀계 고분자를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 압출 결과물에 발포제를 첨가하고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올레핀계 고분자 모두는 압출기에서 완전히 용융되고 압출기 내에서 서로 잘 혼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올레핀계 고분자;를 혼합하는 단계는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가소제, 열안정제, 슬립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단계는 200rpm 내지 1000rpm, 또는 300rpm 내지 800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로 5초 내지 90 초, 또는 10초 내지 60초간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이축이상의 압출기에 투입된 이후에, 압출기 내부에서 수지간 혼합 및 무기 필러 분산에 필요한 전단흐름(Shear flow) 및 신장흐름(Elongational flow)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스크류 회전 속도는 200 rpm 이상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및 올레핀계 고분자의 열화 방지 측면에서 스크류 회전 속도는 1,000 rp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올레핀계 고분자가 충분히 혼합되기 위해서는 압출기 내부 체류시간은 5초 이상이 되어야 하고, 열화 방지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체류시간은 90 초 이하가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용융 압출 단계의 온도가 160 ℃ 내지 200 ℃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가 160℃미만이면, 빠른 속도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용융시키기 어려워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용융 압출 온도가 200℃ 초과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열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포제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과 배합해 기포를 만들어 내는 물질을 총칭하며, 수지 또는 고무의 종류와 특성, 용도, 가공방법, 조건 등에 따라 화학적 발포제, 물리적 발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원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와 발포제의 함량비는 발포제의 발포능력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로는 고분자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발포 성형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을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펜타 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toluenesulfonylhydraz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질소(nitrogen) 또는 탄산 수소 나트륨(Sodium Bicarbon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1phr 내지 10phr, 또는 2phr 내지 5 phr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의 첨가량이 1phr미만이면, 상기 기재상에 분포하는 발포셀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여 최종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단열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발포제의 첨가량이 10phr초과이면, 발포셀이 지나치게 형성되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올레핀계 고분자;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단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성형 방법을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방법의 일 예로는 블로우 성형법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블로우 성형법은 튜브상의 패리슨을 준비하여 상형과 하형 사이에 투입하는 제1단계; 상기 패리슨을 사이에 두고 상형과 하형을 닫아서 합형하는 제2단계;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위치된 패리슨 일단에 블로우 노즐을 끼운 상태로, 고온의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패리슨이 캐비티 형태로 부풀도록 블로우 성형를 진행함과 동시에, 칼날금형의 칼날 인서트에 의해 패리슨 일측에 다수개의 리브를 성형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패리슨이 금형의 캐비티 형태로 다 부푼 상태에서, 상기 칼날금형을 열어서 칼날 인서트를 리브로부터 제거하는 제4단계; 상기 칼날금형이 열린 상태로 내부의 블로우 성형제품을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제5단계; 상기 상형과 하형을 열어 서로 이형하는 제6단계; 상기 금형 내부의 고화된 블로우 성형제품을 취출하는 제7단계; 이어서 상기 블로우 성형제품에 붙어있는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제품의 성형을 완료하는 제8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에어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는 자동차 내/외장용 소재이며,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시스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는 중앙에 위치한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좌우측에 위치한 좌측사이드덕트부와 우측사이드덕트부;및 상기 흡입부 상측에 접하여 설치된 중앙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좌측사이드덕트부와 우측사이드덕트부에 각각 연결된 측면흡입구와, 상기 측면흡입구 사이에 통공 형성된 중앙흡입구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 중앙흡입구는 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측에 구획바가 중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2를 참조하여 에어덕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상술한 에어덕트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상기 에어덕트는 흡입부(40)를 중심으로 좌측사이드덕트부(32)와 우측사이드덕트부(34)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사이드덕트부(32)와 우측사이드덕트부(34)는 에어벤트와 연결되는 사이드토출구(36)가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0)에는 좌측사이드덕트부(32)와 우측사이드덕트부(34)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하단 양측에 측면흡입구(4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흡입구(45) 사이에는 중앙흡입구(44)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사이드덕트부(32)와 우측사이드덕트부(34) 사이에는 중앙흡입구(44)와 측면흡입구(45)가 형성된 흡입부(40)가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덕트부(50)는 고정볼트(70)에 의하여 흡입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42) 내측에 구획바(46)가 중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구획바(46)를 중심으로 2개의 중앙흡입구(44)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접착력 및 분산성을 향상시켜 단열 성능, 기계적 물성 및 표면품질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에어덕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에어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에어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5: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및
에어덕트의
제조>
(1) 폴리올레핀 수지 기재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으로 반응물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L/D(스크류의 길이와 스크류직경의 비) 값이 40이고, 30㎜의 스크류 직경을 갖는 이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에 넣은 다음, 180 ℃의 온도에서 용융시키면서 400 rpm의 스크류 회전속도로 35초간 블렌딩한 다음, 다이를 통해 배출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기재를 제조하였다.
(2)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제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기재를 화학발포제 3phr과 함께 블로우 성형기에 넣고, 블로우 성형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3) 에어덕트의 제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이용하여 에어덕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내지 3: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및
에어덕트의
제조>
하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물의 조성을 달리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및 에어덕트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1 및 표2에 각각 나타내었다.
1. 기계적 물성
1-1. 인장강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대하여, ASTM D638에 따라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1-2. 굴곡탄성률(㎏/㎠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대하여, ASTM D790에 따라 굴곡탄성률을 측정하였다.
1-3. IZOD 충격강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대하여, ASTM D256에 따라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2. 열변형 온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대하여, ASTM D648에 따라 열변형 온도를 측정하였다.
3. 밀도(g/㎖)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대하여, 밀도를 측정하였다.
4. 표면 품질
4-1. 발포셀 평균 직경(㎛)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대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1x1㎝범위에서 발포셀의 평균 직경을 측정하였다.
4-2. 표면 오픈 발포셀 (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대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1x1㎝범위에서 블로우 성형품 표면의 오픈 발포셀 개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조성과 실험예의 결과를 하기 표1 및 2에 기재하였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
조성 | 폴리프로필렌(Tc 118℃) | 중량% | 78 | 68 | 58 | 76 | 66 |
폴리프로필렌(Tc 130℃) | 중량% | 10 | 20 | 30 | 10 | 20 | |
저밀도 폴리에틸렌 | 중량% | 10 | 10 | 10 | 10 | 10 | |
폴리프로필렌계 고분자(무수말레산 4중량% 포함, 평균 직경 100㎛) | 중량% | 1 | 1 | 1 | 3 | 3 | |
탈크(평균 직경 8㎛) | 중량% | 1 | 1 | 1 | 1 | 1 | |
물성 | 인장강도 (항복) | ㎏/㎠ | 240 | 243 | 250 | 270 | 275 |
굴곡탄성률 | ㎏/㎠ | 10,000 | 10,500 | 11,000 | 12,500 | 12,800 | |
IZOD충격강도(@23℃) | ㎏·㎝ | 44 | 43 | 40 | 40 | 38 | |
열변형 온도 | ℃ | 89 | 95 | 98 | 105 | 108 | |
밀도 | g/㎖ | 0.69 | 0.66 | 0.65 | 0.61 | 0.53 | |
발포셀 평균 직경 | ㎛ | 40 | 37 | 35 | 33 | 30 | |
표면 오픈 발포셀 | 개/㎠ | 3 | 3 | 2 | 0 | 1 |
구분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
조성 | 폴리프로필렌(Tc 118℃) | 중량% | 78 | 68 | 58 |
폴리프로필렌(Tc 124℃) | 중량% | 10 | 20 | 30 | |
저밀도 폴리에틸렌 | 중량% | 10 | 10 | 10 | |
폴리프로필렌계 고분자(무수말레산 1중량% 포함, 평균 직경 5㎜) | 중량% | 1 | 1 | 1 | |
탈크(평균 직경 8㎛) | 중량% | 1 | 1 | 1 | |
물성 | 인장강도 (항복) | ㎏/㎠ | 225 | 227 | 227 |
굴곡탄성률 | ㎏/㎠ | 9,100 | 9,200 | 9,500 | |
IZOD충격강도(@23℃) | ㎏·㎝ | 35 | 33 | 32 | |
열변형 온도 | ℃ | 75 | 77 | 79 | |
밀도 | g/㎖ | 0.85 | 0.83 | 0.81 | |
발포셀 평균 직경 | ㎛ | 200 | 170 | 160 | |
표면 오픈 발포셀 | 개/㎠ | 13 | 12 | 12 |
상기 표1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결정화온도(Tc)가 130℃인 폴리프로필렌과, 직경이 100㎛이며 무수말레산 함량이 4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고분자를 포함한 반면, 비교예의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결정화온도(Tc)가 124℃인 폴리프로필렌과, 직경이 5㎜이며 무수말레산 함량이 1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고분자를 포함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125℃이상의 결정화온도(Tc)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및 직경이 0.5 내지 200 ㎛이고 무수말레산이 2 내지 10 중량%가 결합된 폴리프로필렌계 고분자를 포함함에 따라, 비교예의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비해 인장강도, 굴곡탄성률,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값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80℃이상의 열변형온도와 0.8g/㎖이하의 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존재하는 발포셀의 평균직경이 감소하고, 상기 실시예의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의 표면 오픈 발포셀의 개수가 줄어드는 등 표면품질이 향상되는 특징이 나타났다.
20 : 차량용 에어덕트
32 : 좌측사이드덕트부
34 : 우측사이드덕트부
36 : 사이드토출구
40 : 흡입부
42 : 프레임
44 : 중앙흡입구
45 : 측면흡입구
46 : 구획바
50 : 중앙덕트부
70 : 고정볼트
32 : 좌측사이드덕트부
34 : 우측사이드덕트부
36 : 사이드토출구
40 : 흡입부
42 : 프레임
44 : 중앙흡입구
45 : 측면흡입구
46 : 구획바
50 : 중앙덕트부
70 : 고정볼트
Claims (29)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112℃ 이상 125℃ 미만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112℃ 이상 125℃ 미만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온도 230℃ 및 압력 2.16 Kgf 조건에서 0.5g/10분 내지 10g/10분의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온도 230℃ 및 압력 2.16 Kgf 조건에서 0.5g/10분 내지 10g/10분의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5 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125℃ 내지 150℃의 결정화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5 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산, 무수 말레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산, 무수 말레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0.3 g/㎖ 내지 0.8g/㎖의 밀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기재는 0.3 g/㎖ 내지 0.8g/㎖의 밀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올레핀계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890g/㎤ 내지 0.940g/㎤의 밀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890g/㎤ 내지 0.940g/㎤의 밀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0.5㎛ 내지 10㎛의 평균 입경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무기 필러는 0.5㎛ 내지 10㎛의 평균 입경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칼슘스테아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점토 및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상기 무기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칼슘스테아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점토 및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5 중량% 내지 93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5 중량% 내지 20 중량%; 무기 필러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올레핀계 고분자 0.1 중량%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5 중량% 내지 93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5 중량% 내지 20 중량%; 무기 필러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올레핀계 고분자 0.1 중량%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가소제, 열안정제, 슬립제, 발포제 및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가소제, 열안정제, 슬립제, 발포제 및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ASTM D638에 의한 인장강도가 230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ASTM D638에 의한 인장강도가 230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ASTM D790에 의한 굴곡탄성률이 9,700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ASTM D790에 의한 굴곡탄성률이 9,700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ASTM D256에 의한 IZOD 충격강도가 37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ASTM D256에 의한 IZOD 충격강도가 37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 1항에 있어서,
ASTM D648에 의한 열변형 온도가 80℃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ASTM D648에 의한 열변형 온도가 80℃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올레핀계 고분자;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올레핀계 고분자;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단계는,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올레핀계 고분자를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 압출 결과물에 발포제를 첨가하고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상기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올레핀계 고분자;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단계는,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및 올레핀계 고분자를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 압출 결과물에 발포제를 첨가하고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압출 단계는 200rpm 내지 1000 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로 5초 내지 90 초간 진행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상기 용융 압출 단계는 200rpm 내지 1000 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로 5초 내지 90 초간 진행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압출 단계의 온도가 160℃ 내지 200℃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상기 용융 압출 단계의 온도가 160℃ 내지 200℃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펜타 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toluenesulfonylhydraz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질소(nitrogen) 및 탄산 수소 나트륨(Sodium Bi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펜타 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toluenesulfonylhydrazid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질소(nitrogen) 및 탄산 수소 나트륨(Sodium Bi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1phr 내지 10phr 첨가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상기 발포제는 1phr 내지 10phr 첨가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112℃ 내지 15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적어도 1종; 저밀도 폴리에틸렌; 무기 필러; 주쇄 또는 말단에 결합한 반응성 작용기를 2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0.5㎛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에어덕트.
상기 기재 상에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인 발포셀이 분포하는, 에어덕트.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에어덕트.
상기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에어덕트.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중앙에 위치한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좌우측에 위치한 좌측사이드덕트부와 우측사이드덕트부; 및 상기 흡입부 상측에 접하여 설치된 중앙덕트부;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상기 에어덕트는 중앙에 위치한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좌우측에 위치한 좌측사이드덕트부와 우측사이드덕트부; 및 상기 흡입부 상측에 접하여 설치된 중앙덕트부;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좌측사이드덕트부와 우측사이드덕트부에 각각 연결된 측면흡입구와, 상기 측면흡입구 사이에 통공 형성된 중앙흡입구로 구획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상기 흡입부는, 상기 좌측사이드덕트부와 우측사이드덕트부에 각각 연결된 측면흡입구와, 상기 측면흡입구 사이에 통공 형성된 중앙흡입구로 구획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흡입구는 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측에 구획바가 중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상기 중앙흡입구는 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측에 구획바가 중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422A KR101637273B1 (ko) | 2014-06-13 | 2014-06-13 |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
US14/555,982 US9803059B2 (en) | 2014-06-13 | 2014-11-28 | Polyolefin resin molded product,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ir duct using the same |
DE102014224610.5A DE102014224610B4 (de) | 2014-06-13 | 2014-12-02 | Produkt geformt aus Polyolefinharz, Verfahren zum Ausbilden desselben und Luftkanal, welcher dieses verwendet |
CN201410737300.8A CN105315542B (zh) | 2014-06-13 | 2014-12-05 | 聚烯烃树脂成型产品、制备方法和使用该产品的空气管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422A KR101637273B1 (ko) | 2014-06-13 | 2014-06-13 |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3199A true KR20150143199A (ko) | 2015-12-23 |
KR101637273B1 KR101637273B1 (ko) | 2016-07-07 |
Family
ID=5470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2422A KR101637273B1 (ko) | 2014-06-13 | 2014-06-13 |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803059B2 (ko) |
KR (1) | KR101637273B1 (ko) |
CN (1) | CN105315542B (ko) |
DE (1) | DE102014224610B4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00899A (zh) * | 2016-03-17 | 2017-09-26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风道的聚烯烃复合材料组合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03777B (zh) * | 2012-10-10 | 2017-12-15 | 京洛株式会社 | 发泡成形体及其成形方法 |
US9897121B1 (en) * | 2016-09-28 | 2018-02-20 | Atieva, Inc. | Automotive air intake utilizing a vortex generating airflow system |
CN108276635B (zh) * | 2017-01-05 | 2020-08-28 | 上海清远管业科技有限公司 | 塑料专用料及基于该专用料的方管芯层发泡缠绕管的制备方法 |
US20180200940A1 (en) * | 2017-01-13 | 2018-07-19 | Nihon Plast Co., Ltd. | Hollow mold |
JP2020093562A (ja) * | 2018-12-10 | 2020-06-18 |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 車両用空調ダクト |
US20220267550A1 (en) | 2019-08-18 | 2022-08-25 |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 Use of a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foamed article |
CN112724505A (zh) * | 2020-12-25 | 2021-04-30 |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 用于移动空调排风管的复合发泡材料、排风管和移动空调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5356A (ja) * | 2004-08-04 | 2006-02-16 | Japan Polypropylene Corp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筒状発泡体 |
KR100654979B1 (ko) * | 2005-10-14 | 2006-12-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에어덕트 구조 |
KR101012743B1 (ko) * | 2010-06-18 | 2011-02-09 | 영보화학 주식회사 |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에어 덕트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074805A (ko) * | 2011-12-15 | 2013-07-05 | 삼성토탈 주식회사 | 미세 사출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16881A (en) * | 1990-03-14 | 1992-05-26 |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 Polypropylene foam sheets |
AU3967699A (en) * | 1998-05-27 | 1999-12-13 | Dow Chemical Company, The | Vehicle headliner comprised of a thermoformable thermoplastic foam sheet |
ATE311279T1 (de) * | 2000-06-06 | 2005-12-15 | Thermaflex Internat Holding B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ysikalisch geschäumten polyolefin-isolationsschäumen und danach hergestellte isolationsschäume |
US7884140B2 (en) | 2002-04-12 | 2011-02-08 | Mba Polymers, Inc. | Compositions of materials containing recycled plastics |
KR20050086003A (ko) | 2003-02-24 | 2005-08-30 | 도요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전선결속용 테이프 |
CN104086900B (zh) | 2004-11-25 | 2016-10-26 | 三井化学株式会社 | 丙烯系树脂组合物及其用途 |
JP5025549B2 (ja) | 2008-03-31 | 2012-09-12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発泡ブロー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5602468B2 (ja) * | 2010-03-24 | 2014-10-08 |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の製造方法 |
KR101180874B1 (ko) | 2010-06-17 | 2012-09-07 |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 발포 성형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
US20120018026A1 (en) * | 2010-07-21 | 2012-01-26 | Unique Fabricating, Inc. | Cross-linked polyolefin foam duct for hvac applications |
KR20120095011A (ko) | 2011-02-18 | 2012-08-28 | 영보화학 주식회사 | 에어덕트용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EP2711380A4 (en) | 2011-05-18 | 2014-11-05 | Mitsui Chemicals Inc | PROPYLENE COPOLYMER AND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FORM AND FOAM FOR THI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IS FOAM |
KR101936858B1 (ko) * | 2012-05-02 | 2019-01-0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공조 덕트 |
-
2014
- 2014-06-13 KR KR1020140072422A patent/KR1016372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1-28 US US14/555,982 patent/US9803059B2/en active Active
- 2014-12-02 DE DE102014224610.5A patent/DE102014224610B4/de active Active
- 2014-12-05 CN CN201410737300.8A patent/CN10531554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5356A (ja) * | 2004-08-04 | 2006-02-16 | Japan Polypropylene Corp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筒状発泡体 |
KR100654979B1 (ko) * | 2005-10-14 | 2006-12-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에어덕트 구조 |
KR101012743B1 (ko) * | 2010-06-18 | 2011-02-09 | 영보화학 주식회사 |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에어 덕트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074805A (ko) * | 2011-12-15 | 2013-07-05 | 삼성토탈 주식회사 | 미세 사출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00899A (zh) * | 2016-03-17 | 2017-09-26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风道的聚烯烃复合材料组合物 |
US9809691B2 (en) | 2016-03-17 | 2017-11-07 | Hyundai Motor Company | Polyolefin composite composition for automotive airduct |
CN107200899B (zh) * | 2016-03-17 | 2021-08-06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风道的聚烯烃复合材料组合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361237A1 (en) | 2015-12-17 |
CN105315542B (zh) | 2020-01-14 |
DE102014224610A1 (de) | 2015-12-17 |
KR101637273B1 (ko) | 2016-07-07 |
US9803059B2 (en) | 2017-10-31 |
CN105315542A (zh) | 2016-02-10 |
DE102014224610B4 (de) | 2022-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7273B1 (ko) |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 |
JP5360975B2 (ja) |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 | |
JP6310851B2 (ja) | 発泡用の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 |
US20170037214A1 (en) | Foamable masterbatch an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expandability and direct metallizing property | |
KR101727018B1 (ko) | 폴리올레핀과 폴리락트산의 혼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 |
CN103923381A (zh) | 一种高模量、超高抗冲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1786313B1 (ko) | 자동차 발포에어덕트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복합재 조성물 | |
CN109370006A (zh) | 一种高表观质量吹塑微发泡汽车风道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1761083B1 (ko) | 발포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품 | |
CN112708195B (zh) | 一种聚烯烃中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WO2017179754A1 (ko) | 자동차 부품용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조성물 | |
JP2013107963A (ja) | 発泡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5428061B2 (ja) | 発泡ブロー成形品 | |
KR101200679B1 (ko) |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발포 기재 | |
KR101720714B1 (ko) |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 | |
JP4055540B2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押出発泡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体 | |
JP2018141031A (ja) | 発泡成形用樹脂、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13045852A (zh) | 一种低取向abs材料 | |
KR20160069047A (ko) | 발포 블로우 성형용 폴리올레핀 복합재 수지 조성물 | |
KR20180029351A (ko) | 폴리프로필렌 복합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81466A (ko) |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 |
JP3538441B2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 |
JP2000273232A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からなる断熱発泡体 | |
JP7519233B2 (ja) |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の製造方法 | |
KR102004437B1 (ko) |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에어 덕트 및 그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