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003A - 전선결속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전선결속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003A
KR20050086003A KR1020037002705A KR20037002705A KR20050086003A KR 20050086003 A KR20050086003 A KR 20050086003A KR 1020037002705 A KR1020037002705 A KR 1020037002705A KR 20037002705 A KR20037002705 A KR 20037002705A KR 20050086003 A KR20050086003 A KR 2005008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weight
parts
comparative exampl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사이타
카즈오 스즈키
시게오 카와사키
타케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도요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3700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6003A/ko
Publication of KR2005008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0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Abstract

PVC계의 테이프를 연소시키면, 다이옥신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는 등을 배경으로, PVC계 점착 테이프 대신에, PVC계 점착 테이프와 동등한 물리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비할로겐 테이프가 요망되고 있다. PVC를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수지로 단순히 치환한 것만으로는 핸드커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 폴리에틸렌계 수지 1∼70중량부, 평균입자직경 0.5∼10㎛의 무기질 충전제 1∼200중량부 및 상용화제 0.1∼50중량부를 가지는 조성으로 고안해 내고, 더욱이, MD 방향으로 1.05배∼3배까지 연신하는 한편, 필름 두께를 0.03∼0.5㎜로 유지하였다

Description

전선결속용 테이프{Tape for tying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기 기구나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전선 케이블에 전기 절연재로서 감겨진 폴리올레핀(PO)계의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내핀홀성(pinhole resistance), 핸드커팅성(hand cutting), 난연성, 내열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의 전선 결속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선결속용 테이프(이하, 「테이프」로 약칭한다.)로서는 폴리염화비닐(이하, 「PVC」라 칭한다.)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전선 결속용으로서 필요로 하는 물리적 성질(유연성, 핸드커팅성, 난연성) 및 전기적 특성(절연성, 내전성(耐電性), 파괴 전압)을 고려하여 선택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PVC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테이프의 염소량은 30∼45중량%이며, 이것을 연소시키면, 그 연소 조건에 따라서는 다이옥신이 발생하여 외부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염화수소가 발생하여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등의 환경면의 과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PVC계 수지조성물을 단순히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수지로 치환한 것만으로는 「핸드커팅성」이 나쁘고 실용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핸드커팅성은 테이프를 종이관으로부터 되감았을 때에, 손으로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절입(切入)하여 절단할 때, 절단 단면이 늘어나지 않고 잘리는 특성을 말하며, 테이프의 실용화에 있어서는 중요한 특성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PVC계의 테이프의 상기 물리적 성질 및 상기 전기적 특성을 구비하면서, 핸드커팅성이 양호하고, 또한 난연성, 내열성을 구비한 비할로겐계의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표)은 각 실시예ㆍ비교예에서 사용한 합성수지 조성물의 배합과 그 특성치(特性値)를 나타낸 그림(표)이다.
본원 발명자들은 예의(銳意)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합성수지 조성물을 띠 형상으로 형성한 기재(基材)를 구비하는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 폴리에틸렌계 수지 1∼70중량부, 평균입자직경 0.5㎛∼10㎛의 무기질 충전제 1∼200중량부 및 상용화제(相溶化劑) 0.1∼50중량부를 배합함과 동시에, MD 방향으로 1.05∼3배까지 연신(延伸;연장하여 늘어남)하도록 고안해 냄으로써, 「핸드커팅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난연성」에 관해서는 테이프 기재에 단순히 무기물 충전제를 함유시키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점착제 100부에 대해 무기질 충전제를 0.5부∼50부 함유시킴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내열성」에 관해서는 테이프에 가교제(架橋劑)를 첨가하여 전자선 조사(照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향상시킴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선 결속용 테이프에 있어서, 합성수지 조성물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채용한 것은 전선 결속용 테이프로서 필요로 되는 물리적 성질(유연성, 핸드커팅성, 난연성), 전기적 특성(절연성, 내전성, 파괴전압) 및 비할로겐화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일반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한 고(高)결정성 호모폴리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랜덤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블록폴리머, 폴리프로필렌과 CH2=CHR(R:탄소수 2∼8의 지방족 및 방향족)을 중합한 폴리프로필렌 블록폴리머, TPO 등이 있다. 이 TPO는 폴리프로필렌을 하드(hard) 세그먼트로 하고, 에틸렌-프로필렌 부타디엔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고무(NBR) 및 천연고무(NR) 등을 소프트(soft) 세그먼트로 하고, 더욱이 용융 혼연(混練) 및 리액터로 중합한 폴리프로필렌 폴리머를 말한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지만 복수 종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 조성물에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배합하는 이유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단독으로 테이프를 형성하면, 테이프 자체에 핀홀이 발생하기 쉬워져서 절연성, 내전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단독에서는 융점이 130∼170℃이기 때문에, 고온이면서 또한 좁은 온도 범위로 테이프 제조시의 가공 온도(180∼220℃)를 설정해야 하지만,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배합하면, 가공 온도 범위를 저하 또한 확대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조하기 쉬워진다. 이것은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연화점(軟化点)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러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배합한 효과가 발휘되지 않고 테이프 자체에 핀홀이 발생하기 쉬워져서, 절연성, 내전성이 저하하며, 한편 너무 많으면 테이프의 유연성이 지나치게 향상하여 핸드커팅성이 나빠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배합량은 1∼7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20∼50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종래의 공지된 수지를 적절히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으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直鎖狀)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α,β-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와의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가 있다. 이들을 단독 혹은 복수 종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합성수지 조성물에 무기 충전제를 배합하는 이유는 테이프의 핸드커팅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성형 가공시의 열 전도를 크게 하여 합성수지 조성물의 냉각 효과를 높여, 이 합성수지 조성물에서 발생하는 뒤틀림을 작게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무기 충전제의 평균입자직경은 너무 작으면 핸드커팅성이 나빠지고, 한편 너무 크면 테이프의 인장(引長) 강도, 파단신도(破斷伸度)의 저하와 더불어 핀홀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본원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 무기 충전제의 평균입자직경은 0.5∼10㎛가 바람직하고, 1.0∼5.0㎛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질 충전제의 배합량은 너무 적으면 핸드커팅성이 나빠지고, 너무 많으면 인장 강도, 파단신도의 저하와 더불어 핀홀이 발생하기 쉽게 되므로, 1∼2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50∼150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질 충전제로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지르코니움,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수산화바륨, 트리페닐호스피트, 폴리인산암모늄, 폴리인산아미드, 산화지르코니움,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몰리브덴, 인산구아니딘, 하이드로탈사이트, 스멕타이트, 붕산아연, 무수붕산아연, 메타붕산아연, 메타붕산바륨, 산화안티몬, 3산화안티몬, 5산화안티몬, 적인(赤燐), 타르크, 알루미나, 실리카, 베마이트(boehmite), 벤토나이트, 규산소다, 규산칼슘, 황산칼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이 있다. 이들을 단독 혹은 복수 종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좋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 조성물에 상용화제를 배합하는 이유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상기 무기질 충전제를 단순히 배합한 것만으로는 균일하게 분산하지 않고 테이프에 핀홀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이며, 바꿔 말한다면, 이들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이다.
상용화제의 배합량은 너무 적으면 테이프에 핀홀이 발생하기 쉽게 되고, 한편 너무 많으면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저하하여 테이프의 핸드커팅성이 나빠져 버린다. 이 때문에 0.1∼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3∼20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용화제로서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수첨(水添;물 첨가) 스티렌부타디엔고무(HSBR), 스티렌-에틸렌부티렌-올레핀결정-블록코폴리머(SEBC), 올레핀결정-에틸렌부티렌-올레핀결정-블록코폴리머(CEBC), 폴리에틸렌-무수말레인산 변성공중합체(PE-M), 폴리프로필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PP-M) 등이 있다. 이들을 단독 혹은 복수 종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테이프는 MD 방향의 연신 처리를 채택함과 동시에, 기재의 두께를 0.03∼0.5㎜로 설정한 이유는 핸드커팅성과 유연성이라는 양 특징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MD 방향의 연신 배율은 예의 연구한 바 1.05∼3배가 바람직하다. 1.05배를 밑돌면 전선을 결속할 때 기재가 지나치게 늘어나 버려서 핸드커팅성이 나빠져서, 작업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한편, 3배를 상회하는 연신을 한 경우에는 기재가 딱딱해져서 기재가 손으로 절취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더욱이 기재의 두께를 0.03∼0.5㎜로 설정한 이유는 여러 가지 형상을 이루는 전선에 감는 작업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성이 요구되며, 이 유연성은 일반적으로 테이프 두께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테이프에 전자선을 조사(照射)하여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을 가교함으로써, 테이프의 온도 의존성(환경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성)을 적게 할 수가 있다.
이 전자선의 조사량은 250Mrad 이하가 바람직하다. 250Mrad를 상회하면 기재가 수축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선 가교를 촉진하기 위한 가교제를 첨가해도 좋다.
구체적인 가교제로서는 분자 내에 탄소-탄소 2중결합을 적어도 2개 이상 가지는 저분자량 화합물이나 올리고머가 좋고,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티롤메탄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모노히드록시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혹은 1,4-부티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탄소-탄소 2중결합을 적어도 2개 이상 가지는 가열 경화성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형 또는 폴리에테르형 등의 폴리올 화합물과 다가(多價)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를 들면, 2,4-토리렌지이소시아네이트, 2,6-토리렌지이소시아네이트, 1,3-키시릴렌지이소시아네이트, 1,4-키시릴렌지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말단(末端) 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프레폴리머에,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혹은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 있다.
상술한 기재 배합 조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테이프에서는 테이프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착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가 있으며, 예를 들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점착제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난연제로서 기능하는 무기질 충전제를 첨가해도 좋다. 점착제층에의 무기질 충전제의 첨가량은 5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50중량부를 상회하면 점착성의 저하를 초래하여 전선에 붙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테이프로 사용하는 합성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착색제, 항산화제, 자외선흡수제, 활제(滑劑), 안정제, 혹은 그 외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를 도 1(표)에 의거하여 비교예와 대비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표) 에서 「PP」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PE」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나타낸다. 「TPO」는 폴리프로필렌을 하드세그먼트로 하고,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및 천연고무(NR) 등을 소프트세그먼트로 하며, 더욱이 용융 혼연 및 리액터로 중합한 폴리프로필렌폴리머를 나타낸다. 또한 도 1(표)의 합성수지 조성물의 난에서 나타낸 값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특성치의 평가방법>
도 1(표)의 특성치의 「전선 박리성(剝離性)」은 테이프를 전선에 하프랩 상으로 감고, 23℃, 50℃의 조건하에서 1개월 방치한 후의 테이프의 벗겨짐을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내(耐) 핀홀성은 폭 25㎜, 길이 100㎜로 형성한 이 테이프를 인장(引長) 속도 300㎜/분에서 길이 200㎜로 될 때까지 연신하고, 이 테이프 표면의 핀홀의 유무를 목시(目視)로 판정하였다. 핀홀이 없는 없는 것을 양호(○), 하나 이상 발생한 것을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핸드커팅성」은 폭 25㎜, 길이 100㎜로 형성한 이 테이프를 가로 방향으로 손으로 절단하고, 절단면의 잘려진 곳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절단면의 잘려진 곳이 깔끔하게 잘려진 경우를 양호(○)로 하고, 잘려진 곳에서 테이프가 늘어져 잘려진 경우를 불량(×)으로 하였다.
「내열성」은 10,000시간 동안 대응할 수 있는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테이프를 전선에 하프 랩 상으로 감고, 테이프에 갈라짐, 균열, 용융 등의 지장이 없고, 10,000시간 동안 대응할 수 있는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난연성」은 JIS K7201 산소지수법(酸素指數法)에 의한 연소시험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도 1(표)에 나타난 OI값은 그 수치가 클수록, 난연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표) 중의 「종합평가」는 특성치가 모두 양호한 것을 적(適)(○)으로 하고, 어느 하나의 특성치가 불량인 것을 부적(不適)(×)으로 하였다.
( 실시예 1.)
실시예 1의 테이프는 본 실시예 1의 테이프인 합성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TPO 100중량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30중량부, 평균입자직경 3.0㎛의 무기질 충전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70중량부, 상용화제로서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중량부이며{도 1(표) 참조}, 그 외에도 소량의 안정제, 활제, 착색제를 함유시킨 것이다.
상기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혼연한 후 카렌다 가공으로써 1.15배로 연신하고, 두께를 약 0.1㎜로 형성하였다.
점착제층은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다른 실시예와 비교예는 특별히 언급한 부분 이외에는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조건이다.
( 실시예 2.)
실시예 2의 테이프는 실시예 1의 TPO 100중량부를 TPO 50 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 랜덤폴리머 50중량부의 합계 100중량부로 한 것이다. 복수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목적으로 하는 테이프가 얻어진다는 것을 실증하기 위해 준비한 실시예이다.
( 실시예 3.)
가교제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5중량부 첨가하고, 전자선 조사를 100Mrad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 실시예 4.)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가교제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5중량부 첨가하고, 전자선 조사를 100Mrad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점착제층에는 난연제인 폴리인산암모늄을 고무계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첨가하였다.
( 실시예 5.)
기재인 합성수지 조성물에는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고(전자 조사 처리 없음) 점착제층에 난연제인 폴리인산암모늄을 5중량부 첨가하였다.
( 비교예 1.)
실시예 1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을 30중량부에서 0.5중량부로 변경하였다. 즉, 본 비교예 1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적게 배합한 비교예이다.
( 비교예 2.)
실시예 1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을 100중량부로 변경하였다. 즉, 본 비교예 2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배합량을 증가시킨 비교예이다.
( 비교예 3.)
실시예 1의 무기질 충전제인 수산화마그네슘의 배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하였다. 즉, 본 비교예 3은 무기질 충전제의 배합을 적게 한 비교예이다.
( 비교예 4.)
실시예 1의 무기질 충전제인 수산화마그네슘의 배합량을 250중량부로 변경하였다. 즉, 본 비교예 4는 무기질 충전제의 배합량을 증가시킨 비교예이다.
( 비교예 5.)
실시예 1의 무기질 충전제인 수산화마그네슘의 평균입자직경을 3.0㎛에서 0.3㎛로 변경하였다. 즉, 본 비교예 5는 무기질 충전제의 평균입자직경을 작게 한 비교예이다.
( 비교예 6.)
실시예 1의 무기질 충전제인 수산화마그네슘의 평균입자직경을 3.0㎛에서 15.0㎛로 변경하였다. 즉, 본 비교예 6은 무기질 충전제의 평균입자직경을 크게 한 비교예이다.
( 비교예 7.)
실시예 1의 상용화제의 배합량을 5중량부에서 0.05중량부로 변경하였다. 즉, 본 비교예 7은 상용화제의 배합량을 감소시킨 비교예이다.
( 비교예 8.)
실시예 1의 상용화제의 배합량을 5중량부에서 70중량부로 변경하였다. 즉, 본 비교예 8은 상용화제의 배합량을 증가시킨 비교예이다.
( 비교예 9.)
실시예 1의 연신 배율을 1.15배에서 1.01배로 변경하여 형성하였다. 즉, 본 비교예 9는 연신 배율을 작게 한 비교예이다.
( 비교예 10.)
실시예 1의 연신 배율을 1.15배에서 5배로 변경하여 형성하였다. 즉, 본 비교예 10은 연신 배율을 크게 한 비교예이다.
( 비교예 11.)
가교제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5중량부 첨가하고, 전자선 조사를 300Mrad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즉, 본 비교예 11은 전자선 조사를 강하게 한 비교예이다.
( 비교예 12.)
실시예 1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고무계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제인 폴리인산암모늄을 60중량부 첨가한 비교예이다. 즉, 본 비교예 12는 점착제층의 난연제를 실시예 5보다도 많이 배합한 비교예이다.
<특성치의 평가결과>
비교예 1에서는 내 핀홀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을 100중량부로 변경한 비교예 2에서는 핸드커팅성이 불량이었다.
실시예1의 수산화마그네슘의 배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한 비교예 3에서는 핸드커팅성이 불량이었다. 실시예 1의 수산화마그네슘의 배합량을 250중량부로 변경한 비교예 4에서는 내 핀홀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1의 수산화마그네슘의 평균입자직경을 0.3㎛로 변경한 비교예 5에서는 핸드커팅성이 불량이었다.
실시예 1의 수산화마그네슘의 평균입자직경을 15.0㎛로 변경한 비교예 6에서는 내 핀홀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1의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배합량을 0.05중량부로 변경한 비교예 7에서는 내 핀홀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1의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배합량을 70중량부로 변경한 비교예 8에서는 핸드커팅성이 불량이었다.
실시예 1의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1.01배로 한 비교예 9에서는 기재가 지나치게 늘어나 핸드커팅성이 불량이었다.
실시예 1의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5배로 변경한 비교예 10에서는 기재가 딱딱해져서, 핸드커팅성이 불량이었다.
실시예 1의 합성수지 조성물에 가교제를 첨가하고, 300Mrad의 조건에서 전자선을 조사한 비교예 11에서는 기재가 수축해 버려서 핸드커팅성이 불량이었다.
실시예 1의 점착제층에 60중량부의 난연제를 배합한 비교예 12에서는 전선 박리성이 불량이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5는 종합 평가는 모두 적(○)이었음에 대해, 비교예 1∼12의 종합 평가는 모두 부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는 PVC계 테이프의 상기 물리적 성질 및 상기 전기적 특성을 구비하면서, 핸드커팅성이 양호하고, 또한 난연성 및 내열성을 구비한 비할로겐계의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음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도 1(표)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실시예 1의 테이프의 160℃도에서의 가열 변형율은 ―30%이었다. 이 가열 변형율은 160℃에서 5분간 열처리한 후, 23℃에서 30분 이상 방치시킨 테이프와 처리 전의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변형율이며, 이 테이프의 온도의존성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 1의 필름 기재에 70Mrad의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면, 그 가열 변형율이 ―5%가 되어, 온도의존성이 작아졌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1(표)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실시예 1, 2는 종래의 PVC계 점착테이프와 동등한 인장강도, 파단신도, 전기절연성(체적 고유 저항치이며 1×1012Ωㆍ㎝ 이상), 내전성 및 파괴전압을 구비하고 있었다.
합성수지 조성물을 띠 형상으로 형성한 기재를 구비하는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 폴리에틸렌계 수지 1∼70중량부, 평균입자직경 0.5∼10㎛의 무기질 충전제 1∼200중량부 및 상용화제 0.1∼50중량부를 배합, 혼연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이 필름의 MD 방향으로 1.05∼3배의 연신을 행하는 한편, 필름 두께를 0.03∼0.5㎜로 유지하여 얻어진 본 발명에 관련된 테이프는 PVC계 테이프의 물리적 성질(인장강도, 파단신도, 난연성) 및 전기적 특성(절연성ㆍ내전성ㆍ파괴전압)을 유지하면서, 비할로겐화되고, 또한 이 테이프를 연신하더라도 핀홀이 발생하지 않으며, 핸드커팅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전선 결속용의 테이프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합성수지 조성물을 띠(帶) 형상으로 형성한 기재(基材)를 구비하는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 폴리에틸렌계 수지 1∼70중량부, 평균입자직경 0.5∼10㎛의 무기질 충전제 1∼200중량부 및 상용화제(相溶化劑) 0.1∼50중량부를 배합, 혼연(混練)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이 필름의 MD 방향으로 1.05∼3배의 연신(延伸)을 행하는 한편, 필름 두께를 0.03∼0.5㎜로 유지하여 테이프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에 가교제가 첨가되고, 전자선 조사(照射)에 의한 가교 처리가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용 테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처리는 250Mrad 이하에서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용 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무기질 충전제를 50중량부 이하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용 테이프.
KR1020037002705A 2003-02-24 2002-10-31 전선결속용 테이프 KR20050086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7002705A KR20050086003A (ko) 2003-02-24 2002-10-31 전선결속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7002705A KR20050086003A (ko) 2003-02-24 2002-10-31 전선결속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003A true KR20050086003A (ko) 2005-08-30

Family

ID=3726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705A KR20050086003A (ko) 2003-02-24 2002-10-31 전선결속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6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3059B2 (en) 2014-06-13 2017-10-31 Hyundai Motor Company Polyolefin resin molded product,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ir duct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3059B2 (en) 2014-06-13 2017-10-31 Hyundai Motor Company Polyolefin resin molded product,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ir duct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9322B (zh) 無鹵素難燃性樹脂組成物及使用它之電線/電纜
JP4451783B2 (ja) 電線結束用テープ
EP1576066B1 (de) Leicht reissbares wickelband
JP2010118207A (ja) 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
JP2010215684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発泡体及び積層シート
EP0993475A1 (en) Polyolefin compositions
JP2003128849A (ja) 難燃性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2212356A (ja) テープ
JP4989871B2 (ja) 粘着テープ
JPWO2008117685A1 (ja) 粘着テープ
KR20050086003A (ko) 전선결속용 테이프
JP2007197619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JP2000103934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13149425A (ja) 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
MXPA06004111A (es) Lamina de envoltura suave sin halogeno elaborada de una poliolefina que contiene hidroxido de magnesio.
JP4601040B2 (ja) 結束用テープ
JP5334793B2 (ja) 難燃性樹脂フィルム及び難燃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S638445A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DE10341123A1 (de) Leicht reißbares Wickelband aus coextrudierter Folie
JPH04298551A (ja) 難燃性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押出被覆用材料
JPH1149866A (ja) 架橋軟質ポリオレフィン
JP2831059B2 (ja) 熱可塑性弾性体組成物
WO2002076726A1 (en) Wiring harness wrap
KR20220068022A (ko) 전력 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6313082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