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158A -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158A
KR20150142158A KR1020140070394A KR20140070394A KR20150142158A KR 20150142158 A KR20150142158 A KR 20150142158A KR 1020140070394 A KR1020140070394 A KR 1020140070394A KR 20140070394 A KR20140070394 A KR 20140070394A KR 20150142158 A KR20150142158 A KR 2015014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bridge
shape
wall
ste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박종면
Original Assignee
(주)지승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승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지승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14007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158A/ko
Publication of KR2015014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의 양 단부측에 돌출 스템벽을 형성시켜 수동토압이나 지진 발생시 회전 저항이 이루어져 교량의 불안정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거더 본체와; 상기 거더 본체의 양쪽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거더 본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단부 격벽과; 상기 단부 격벽의 단부면에 각기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단부 격벽과 일체로 형성된 돌출 스템벽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Turn movement resistent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더의 단부측에 돌출 스템벽을 형성시켜 수동토압이나 지진 발생시 회전저항이 이루어져 교량의 불안정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사각이 큰 경우에는 교량의 시점부 교대와 종점부 교대에 위치하는 양측 교대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력의 분력 영향으로 교량계가 회전 변위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동시에 교대 배면에 발생하는 토압력은 말뚝에 조합응력으로 작용하므로 사각은 교축 직각방향에서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국도로공사 전문설계서인 '무조인트교량설계지침'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된 각도 이내에서도 도 8과 같이 교량의 온도 팽창에 따른 토압력이 증가되거나 교량의 사각이 증가될 경우 교량의 중심(O)과 교대 배면에 발생하는 토압력(P1)의 중심점간의 편심거리(ℓe)가 증가하게 되어 회전모멘트(M)가 커지고, 이 결과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회전 거동이 일어나 불안정해질 뿐만 아니라 교대와 일체로 거동하는 접속슬래브 부속구조물(연석, 중앙분리대 등)의 변형을 가져오게 되므로 이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92944호로서, PSC I형 거더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철근콘크리트블록을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철근콘크리트블록에 의해서 구조역학적으로 교량 신설시 PSC I형 거더의 전도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교량 완공시에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완벽한 기능을 하며, 공용중 유지관리를 위한 교좌장치 교체시에는 교량 상하부 구체의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교량을 인상할 수 있도록 한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가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교량 신설시 PSC I형 거더의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 PSC I형 거더가 사각을 갖는 교량('사교'라고 함)으로 시공되는 경우 수동토압에 의한 회전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교량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92726호로서, 지반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단면이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된 제1홈 또는 상기 제1홈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가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부교대; 상기 하부교대 상에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하 방향의 외력에 대해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 상에 상기 신축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교대와 함께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며, 하면에는 상기 하부교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홈 또는 상기 결합돌기 중 상기 하부교대와는 다른 하나가 형성된 상부교대;를 포함하는 반일체식 교대를 제공한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상부교대와 하부교대로 분리된 반일체식 교대를 제공함으로써 상부 구조의 변위가 하부 지지기초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교로 시공되는 경우 수동토압에 의한 회전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교량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92944호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92726호
따라서 본 발명은 거더의 단부측에 돌출 스템벽을 형성시켜 수동토압이나 지진 발생시 회전 저항이 이루어져 교량의 불안정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거더 본체와;
상기 거더 본체의 양쪽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거더 본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단부 격벽과;
상기 단부 격벽의 단부면에 각기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단부 격벽과 일체로 형성된 돌출 스템벽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 스템벽의 돌출 방향은 단부 격벽의 단부면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 스템벽의 돌출 방향은 거더 본체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 스템벽은 단부 격벽의 단부면 중앙 또는 편측에 1개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 스템벽은 단부 격벽의 단부면에 2개 이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 스템벽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형, 다각형, 반원형, 곡면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강재를 사용한 거더이거나 콘크리트를 사용한 거더를 대상으로 하되, 거더 본체의 단면 형상은 I형, H형, U형, 사각 박스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은,
교대를 설치할 위치에 성토작업을 실시하고, 파일을 시공한 다음 교대를 시공하고, 교대의 상면에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단계와;
교량의 온도 팽창이나 지진시 교대 배면에서 발생되는 수동토압에 의한 교량의 회전 모멘트를 억제하기 위해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시켜 교량 받침 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거더의 단부 격벽 사이의 공간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거더의 단부 격벽을 일체로 연결하여 거더측 단부의 돌출 스템벽이 뒤채움층에 놓이도록 시공하는 단계; 및
바닥판을 시공하고, 교대의 배면에 뒤채움을 실시하여 돌출 스템벽이 뒤채움층에 매설되도록 한 후, 바닥판과 접속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일 스팬 단경간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양 단부에 돌출 스템벽을 갖는 거더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더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2경간 이상의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점부 교대와 종점부 교대에 거치되는 해당 거더의 단부측에만 돌출 스템벽을 형성시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부 격벽과 돌출 스템벽이 없는 거더의 경우에 복수개 이상의 거더들의 단부를 상호 콘크리트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로 일체된 격벽을 시공하되, 이 격벽 부분에 돌출 스템벽을 동시에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격벽 부분의 시공후 후차적으로 형성시켜 교량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수동토압이나 지진 발생으로 교량에 회전모멘트가 발생되더라도 거더의 양 단부측에 돌출 스템벽이 뒤채움층에서 회전억제를 위한 저항력을 발휘하여 교량의 불안정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형태로서 거더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의 다양한 단면 형태에 따른 단부측 사시도.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의 단부 격벽측에 형성된 돌출 스템벽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 3의 (가),(나)는 거더측 단부 격벽에 형성된 돌출 스템벽의 다양한 형성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를 적용한 경우 교량의 온도팽창에 의해 교대 배면에 발생되는 수동토압의 토압력(P1)으로 일어난 교량의 회전모멘트(M)에 대해 거더의 단부면에 형성된 돌출스템벽에 의해 토압력(P2)이 발생되어 교량상부구조물에 저항회전모멘트(MR)가 대응되게 저항을 발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를 적용한 교량의 시공 순서에 따른 시공상태도.
도 8은 일반적인 사교에서 수동토압에 따른 회전모멘트(M)의 발생을 나타내고 있는 개념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10)(이하 '거더'로 약칭함)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거더 본체(11)와, 거더 본체(11)의 양쪽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거더 본체(11)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단부 격벽(12,12)과, 단부 격벽(12,12)의 단부면(마구리면)에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단부 격벽(12,12)과 일체로 형성된 돌출 스템벽(13,1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거더 본체(11)는 거더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수 있다. 예로, 도 2a와 같이 I형 PSC 콘크리트 거더의 경우 I형 단면을 가지고, 도 2b와 같이 U형 PSC 콘크리트 거더의 경우 U형 단면을 가지고, 도 2c와 같이 박스형 PSC 콘크리트 거더나 강재로 제작된 박스형 스틸 거더의 경우 사각박스형 단면을 가지고, 도 2d와 같이 H형강 또는 I형강 스틸플레이트 거더의 경우 H형 또는 I형 단면을 가지고, 도 2e와 같이 개구형 스틸 플레이트 거더의 경우 상단에 플랜지를 갖고 상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대략 U형 단면을 갖는다.
이같이 거더 본체(11)는 거더(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갖는 것으로, 특정한 단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거더(10)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주지의 정착블록, 정착구 및 PS강재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거더 본체(11)에는 주지의 철근 배근과 전단연결재 등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부 격벽(12,12)은 거더 본체(11)의 양단부에 일체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교량의 사각(Skew)에 대응하여 평형사변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교량의 사각'이란 교대가 거더(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직각을 벗어나 둔각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부 격벽(12,12)은 거더 본체(11)의 양단부에서 철근을 통해 합성된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다. 단부 격벽(12)의 높이는 거더 본체(11)의 높이와 동일하고 길이는 교대(교량받침)에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결정되며 폭은 교대 위에 거치되는 거더 사이의 간격에 따라 이웃하는 단부 격벽(12)이 맞닿거나 약간의 틈을 가지고 설치될 수 있을 정도에서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대략 거더 폭의 3~4배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단부 격벽(12)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도록 단부 격벽(12)의 폭이 결정되는 것이 제작 및 시공 오차를 흡수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이웃하는 단부 격벽(12) 사이의 틈은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교대 위에 거치된 거더의 단부 격벽(12)들이 수동토압에 대해 일체로 저항하고 상재하중을 균등하게 교대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웃하는 단부 격벽(12)은 일체로 합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부 격벽(12)의 구조에는 변형된 형태들이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부 격벽(12)의 양쪽 측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철근(121)이 돌출되어 나타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같이 돌출 스템벽(13)은 거더의 회전 거동에 저항하기 위한 부분으로 단부 격벽(12)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돌출 스템벽(13)은 단부 격벽(12)의 성형시 동일한 콘크리트로 함께 일체로 성형되거나 시공단계에 따라 단부격벽(12)을 성형한 이후 주지의 철근이나 전단연결재 등을 설치한 후 돌출 스템벽(13)을 일체로 성형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하여 이를 볼트나 앵커볼트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돌출 스템벽(13)을 구성하는 재료는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H형강이나 앵글, 채널과 같은 형강을 사용하여 구성하거나, 강재와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돌출 스템벽(13)은 사각 형태로서 일정한 두께와 높이 및 길이를 갖는다. 돌출 스템벽(13)의 두께는 거더의 회전거동에 저항하는 저항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결정된다. 이때 돌출 스템벽(13)의 돌출 방향은 거더(10)의 회전 거동에 따른 억제를 제한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도 3의 (가)와 같이 거더 본체(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이루어지거나 (나)와 같이 단부 격벽(12)의 단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돌출 스템벽(13)은 단부 격벽(12)의 단부면에 임의의 각도(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로, 사교가 아닌 경우 돌출 스템벽(13)의 돌출 방향은 단부 격벽(12)의 단부면에 대해 직각이 바람직하고, 사교인 경우 돌출 스템벽(13)의 돌출 방향은 거더 본체(11)의 길이 방향(교축방향)과 나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거더의 회전거동'이란 도 4와 같이 교각도에 의한 편심거리(ℓe)로 인해 교량의 온도 팽창시 교대 배면에서 발생되는 수동토압의한 저항력(P1)으로 회전모멘트(M)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지진으로 인해 거더가 일방향으로 회전모멘트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돌출 스템벽(13)은 단부 격벽(12)의 단부면 중앙에 1개소 형성되어 있으나, 단부 격벽(12)의 단부면 편측으로 1개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 스템벽(13)은 단부 격벽(12)의 단부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거나 다수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스템벽(13)의 단면 형상을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형, 반원형으로 구성하거나 그 이외 다각형이나 곡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더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거더의 회전 거동의 억제 작용을 함께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교대(20)를 설치할 위치에 성토작업을 실시하고, 파일(21)을 시공한 다음, 교대(20)를 시공하고, 교대(20)의 상면에 교량받침(30)을 설치한다.
그 다음, 도 6과 같이 교량의 온도 팽창이나 지진시 교대 배면에서 발생되는 수동토압에 의한 교량의 회전 모멘트를 억제하기 위해 상술한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10)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시켜 교량 받침(30) 위에 거치한 후 이웃하는 거더(10와 10)를 가로보(40)로 연결한다.
이때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10)는 본 실시 예와 같이 교대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10)는 교량의 중앙 또는 교량의 일측으로 1개소 설치되거나, 교량 양측으로 2개소 설치되거나, 일반적인 거더와 번갈아 가면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교의 기울기 각도가 작은 경우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10)는 감소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사교의 기울기 각도가 큰 경우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10)의 수량을 증가시켜 설치될 수 있다.
그 다음, 거더(10)의 단부 격벽(12) 사이의 공간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거더(10)의 단부 격벽(12)을 일체로 연결하여 거더(10)측 단부의 돌출 스템벽(13)이 뒤채움층(50)에 놓이도록 시공한다.
그 다음, 교량의 바닥판(60)을 시공하고, 교대(20)의 배면에 뒤채움을 실시하여 돌출 스템벽(13)이 뒤채움층(50)에 매설되도록 한 후 받침슬래브(72)와 접속슬래브(70)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10)가 설치되어 교량이 시공되어지는 경우 도 4와 같이 교량의 온도 팽창이나 지진시 교대 배면에서 발생되는 수동토압(P1)에 의한 교량의 회전 모멘트(M)가 발생될 때, 돌출 스템벽(13)이 뒤채움층(50) 내부에 매설된 상태에서 걸림턱 기능을 수행하여 저항회전모멘트(MR)에 관련된 대응력인 저항력(P2)으로 회전모멘트의 억제가 이루어짐으로써 교량이 안정화된다.
미설명 부호 '74'는 '신축조절조인트'이다.
한편, 본 시공 방법에 있어 단일 스팬 단경간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양 단부에 돌출 스템벽(13)을 갖는 거더(10)가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더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2경간 이상의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점부 교대와 종점부 교대에 거치되는 해당 거더의 단부측에만 돌출 스템벽(13)을 형성시켜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에서 돌출 스템벽(13)을 거더 본체(11)의 단부 격벽(12)측 단부면에 형성시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단부 격벽(12)이 없는 거더의 경우에도 후에 복수개 이상의 거더들의 단부를 상호 콘크리트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로 일체화시키는 과정에서 형성된 격벽 부분에 돌출 스템벽(13)을 동시에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격벽 시공후 후차적으로 형성시켜 교량이 시공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거더 본체
12: 단부 격벽
13: 돌출 스템벽

Claims (11)

  1.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거더 본체(11)와;
    상기 거더 본체(11)의 양쪽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거더 본체(11)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단부 격벽(12,12)과;
    상기 단부 격벽(12,12)의 단부면에 각기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단부 격벽(12)과 일체로 형성된 돌출 스템벽(1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2. 제 1항에 있어서,
    돌출 스템벽(13)의 돌출 방향은 단부 격벽(12)의 단부면에 대해 임의의 각도(θ)에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3. 제 1항에 있어서,
    돌출 스템벽(13)의 돌출 방향은 거더 본체(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4. 제 1항에 있어서,
    돌출 스템벽(13)은 단부 격벽(12)의 단부면 중앙 또는 편측에 1개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5. 제 1항에 있어서,
    돌출 스템벽(13)은 단부 격벽의 단부면에 2개 이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6. 제 1항에 있어서,
    돌출 스템벽(13)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형, 다각형, 반원형, 곡면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7. 제 1항에 있어서,
    강재를 사용한 거더이거나 콘크리트를 사용한 거더를 대상으로 하되, 거더 본체(11)의 단면 형상은 I형, H형, U형, 사각 박스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8. 교대(20)를 설치할 위치에 성토작업을 실시하고, 파일(21)을 시공한 다음 교대(20)를 시공하고, 교대(20)의 상면에 교량받침(30)을 설치하는 단계와;
    교량의 온도 팽창이나 지진시 교대 배면에서 발생되는 수동토압에 의한 교량의 회전 모멘트를 억제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10)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시켜 교량 받침(30) 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거더(10)의 단부 격벽(12) 사이의 공간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거더(10)의 단부 격벽(12)을 일체로 연결하여 거더(10)측 단부의 돌출 스템벽(13)이 뒤채움층(50)에 놓이도록 시공하는 단계; 및
    바닥판(60)을 시공하고, 교대(20)의 배면에 뒤채움을 실시하여 돌출 스템벽(13)이 뒤채움층(50)에 매설되도록 한 후, 바닥판(60)과 접속슬래브(70)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단일 스팬 단경간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양 단부에 돌출 스템벽(13)을 갖는 거더(10)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거더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2경간 이상의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점부 교대와 종점부 교대에 거치되는 해당 거더의 단부측에만 돌출 스템벽(13)을 형성시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단부 격벽(12)과 돌출 스템벽(13)이 없는 거더의 경우에 복수개 이상의 거더들의 단부를 상호 콘크리트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로 일체된 격벽을 시공하되, 이 격벽 부분에 돌출 스템벽(13)을 동시에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격벽 부분의 시공후 후차적으로 형성시켜 교량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KR1020140070394A 2014-06-10 2014-06-10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KR20150142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94A KR20150142158A (ko) 2014-06-10 2014-06-10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94A KR20150142158A (ko) 2014-06-10 2014-06-10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158A true KR20150142158A (ko) 2015-12-22

Family

ID=5508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394A KR20150142158A (ko) 2014-06-10 2014-06-10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1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86B1 (ko) * 2021-07-05 2022-02-14 김성 T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US20230076675A1 (en) * 2021-09-07 2023-03-09 Picosun Oy Precursor container
KR102538558B1 (ko) * 2021-12-22 2023-06-01 (주)지승씨앤아이 휨 비틀림 압축 저항력을 개선한 보강강성플랜지를 갖는 psc거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726A (ko) 2012-02-13 2013-08-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상부교대 및 하부교대의 회전 변위를 허용하는 반일체식 교대
KR20130092944A (ko) 2012-02-13 2013-08-21 우경기술주식회사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726A (ko) 2012-02-13 2013-08-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상부교대 및 하부교대의 회전 변위를 허용하는 반일체식 교대
KR20130092944A (ko) 2012-02-13 2013-08-21 우경기술주식회사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86B1 (ko) * 2021-07-05 2022-02-14 김성 T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US20230076675A1 (en) * 2021-09-07 2023-03-09 Picosun Oy Precursor container
US11873558B2 (en) * 2021-09-07 2024-01-16 Picosun Oy Precursor container
KR102538558B1 (ko) * 2021-12-22 2023-06-01 (주)지승씨앤아이 휨 비틀림 압축 저항력을 개선한 보강강성플랜지를 갖는 psc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758B1 (ko)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KR101851557B1 (ko) 리브보강형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42158A (ko)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KR101591480B1 (ko)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
JP2016528406A (ja) 土留め仮施設工事の切梁連結構造
KR20150093523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파일 접합 구조체
KR101467147B1 (ko)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00296B1 (ko) 스템형상을 갖는 격벽교대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KR101026583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20150102412A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KR20150010421A (ko) 캡빔 구조체
KR101426155B1 (ko)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JP2016528407A (ja) 土留め仮施設工事用撓み防止切梁
KR102268895B1 (ko)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KR100555046B1 (ko)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6536895B2 (ja) 補強盛土一体橋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壁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7310406B2 (ja) 山留め壁の支持構造及び山留め壁の支持方法
KR200258949Y1 (ko) 흙막이벽 구축용 트러스식 지보구조체
KR100412162B1 (ko) 트러스식 지보구조에 의한 지반 굴착공법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6840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JP2020094421A (ja) 杭と上部構造との接合構造、接合構造の施工方法、及び構造物
KR100694887B1 (ko)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KR101901391B1 (ko)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띠장 구조 또는 버팀보 구조
KR102554428B1 (ko)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 띠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