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046B1 -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5046B1 KR100555046B1 KR1020040016765A KR20040016765A KR100555046B1 KR 100555046 B1 KR100555046 B1 KR 100555046B1 KR 1020040016765 A KR1020040016765 A KR 1020040016765A KR 20040016765 A KR20040016765 A KR 20040016765A KR 100555046 B1 KR100555046 B1 KR 100555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gments
- segment
- tunnel
- foundation
- arcu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Abstrac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인 아치형 세그멘트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서 세그멘트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성토(盛土)하는 과정에서 세그멘트에 작용하는 토압(土壓)의 변화로 발생되는 세그멘트의 균열을 최소화한 터널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이 구조체는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제1,2기초가 형성되고, 제1기초에 아치형 제1세그멘트가 순차적으로 세워지고 제2기초에 아치형 제2세그멘트가 순차적으로 세워져 상호 마주하는 제1,2세그멘트 단부가 상호 지지되어 터널을 형성하는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며, 제1세그멘트(21)의 단부에는 원호형의 오목홈(21a)이 형성되고, 제2세그멘트(22)의 단부에는 오목홈(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형 볼록부(22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오목홈과 볼록부의 외면에는 금속플레이트(61)(62)가 고정되어 상호 마찰에 따른 균열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터널 구조체는 아치형의 제1,2세그멘트가 상호 원호형의 오목홈 및 볼록부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계별 성토과정에서 부재에 작용하는 토압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제1,2세그멘트가 상호 힌지거동함으로써 부재의 단면력의 변화에도 적응이 용이하다.
터널, 세그멘트, 아치, 힌지거동, 프리캐스트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터널구조체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일예의 터널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에 개시된 터널 구조체의 힌지거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터널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터널 구조체에 채용되는 기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 터널 구조체에 채용되는 제1,2세그멘트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시공상태 요부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제1세그멘트 21a...오목홈
22...제2세그멘트 22a...볼록부
31,32...제1,2기초 40...방수막
50...고정수단 51a,51b,52a,52b...보강근
55...분리블럭 61,62...금속플레이트
본 발명은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부재인 복수의 아치(arch)형 세그멘트(segment)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서 세그멘트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성토(盛土)하는 과정에서 세그멘트에 작용하는 토압(土壓)의 변화로 발생되는 세그멘트의 균열을 최소화하고, 동바리(supporting post)등의 가설재의 사용없이도 현장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복개형 터널의 시공은 지반상에 콘크리트 거푸집을 형성하고, 거푸집내에 콘크리트(concrete)를 현장 타설하여 터널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법은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하여 동바리(supporting post)등의 가설재의 설치가 요구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양생시간등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공장에서 미리 제조한 원호형 프리캐스트 세그멘트를 현장에셔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프리캐스트 세그멘트를 이용한 터널 시공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서, 이는 터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초(1)를 형성하고, 각 기초(1)에 세그멘트(2)를 서로 지그재그로 마주하여 상호 지지시키면서 터널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법은 하부 힌지부분인 기초(1)와 접하는 각 세그멘트(2)의 단부에서 큰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세그멘트(2)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므로, 세그멘트(2)의 운반 및 설치에 따른 막대한 노력이 요구된다.
도 2 및 도 3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된 시공법에 의해 시공된 터널의 단면을 나타낸다. 이는 일본특허공개공보 평8-109645호에 개시된 기술로서, 복개한 지반에 기초(4)를 설치하고 이 기초(4)에 원호형 프리캐스트 세그멘트(3)를 마주하도록 세워서 아치형 터널을 형성한 후, 터널의 외주측에 콘크리트층(11)을 일정두께로 타설하여 양생하고 성토(盛土)하여 터널을 완성한다.
또한, 상기 세그멘트(3)의 외주측에는 보강근(5)(6)을 돌설하여서 콘크리트층(11)에 매설되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터널 시공법은 보강근(5)(6) 및 콘크리트층(11)에 의해서 고강도의 아치형 터널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공장 제작한 프리캐스트 세그멘트(3)와 더불어 현장에서 콘크리트층(11)을 타설하여야 하는 시공상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그멘트(3)들이 상호 접하는 부분이 평편한 면 접촉("A:부분)으로 접촉됨으로써, 세그멘트(3)의 외주측에 성토(盛土)하는 과정에서 토압(土壓)에 의한 외력으로 힌지부분("A"부분)에서의 회동시 접촉부분이 손상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각 세그멘트(3)가 마주접하는 "A"부분이 평면접촉됨으로써, 세그멘트(3)의 외주측에 성토시 토압에 의한 전단방향의 외력이 세그멘트(3)에 작용하게 되므로 전단력에 취약한 콘크리트 재질의 세그멘트(3)의 균열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원호형 세그멘트를 마주 지지한 후 외주측에 성토하는 과정에서 토압에 의한 모멘트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세그멘트의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제1,2기초가 형성되고, 상기 제1기초에 아치형 제1세그멘트가 순차적으로 세워지고 상기 제2기초에 아치형 제2세그멘트가 순차적으로 세워져 상호 마주하는 제1,2세그멘트 단부가 상호 지지되어 터널을 형성하는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세그멘트의 단부에는 원호형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세그멘트의 단부에는 상기 오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과 볼록부의 외면에 마찰에 따른 마모 또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플레이트가 고정되며,
상기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제1세그멘트를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제2세그멘트를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각 고정수단은 상기 각 제1,2세그멘트의 단부 외면 가장자리에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배근되는 보강근과, 상기 제1세그멘트와 제2세그멘트의 경계부 상면에 안착되는 분리블록과, 상기 각 보강근이 매설되도록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 및 분리블럭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터널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a) 지반을 정지하고 터널폭의 간격으로 제1기초 및 제2기초를 시공하는 단계와, b) 일단부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단부 상면에 보강근이 배근된 아치형 제1세그멘트를 상기 제1기초에 세우는 단계와, c) 일단부에 상기 오목홈에 맞물리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단부 상면에 보강근이 배근된 아치형 제2세그멘트를 상기 제2기초에 세우되, 제1,2세그멘트를 서로 엇걸리게 맞물림시키면서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제1,2세그멘트를 순차적으로 세우는 단계와, d) 상기 제1,2세그멘트의 경계부 상면에 분리블럭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e) 상기 분리블럭을 경계로 상기 인접 설치된 복수의 제1세그멘트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근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제1세그멘트를 상호 고정시키는 단계와, f) 상기 인접 설치된 복수의 제2세그멘트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근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제2세그멘트를 상호 고정시키는 단계와, g)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및 분리블럭의 외면에 방수막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홈 및 볼록부의 주면에 각각 금속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터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은 제1세그멘트와 제2세그멘트가 상호 원호형의 면접촉으로 힌지결합됨으로써 제1,2세그멘트의 외주면에 성토(盛土)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압(土壓)의 변화에 따라 제1,2세그멘트의 접촉부분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므로 부재(제1,2세그멘트)에 발생하는 벤딩모멘트(bending moment)를 최소로 하여 구조적 안정을 이루게 한다.
또한, 제1,2세그멘트의 접촉면에 금속플레이트를 고정시킴으로써 힌지 거동시 마찰에 따른 부재의 균열 및 마모를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터널 구조체는 예컨대, 철도 또는 도로를 교차 통과하는 부분에 설치되어서 지하 통로를 형성하여 상/하부에서 차량이 교차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터널 구조체를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제1,2기초(3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기초(31)에 아치형(arch type) 제1세그멘트(21)가 순차적으로 세워지며, 상기 제2기초(32)에 아치형 제2세그멘트(22)가 순차적으로 세워져 상호 마주하는 제1,2세그멘트(21)(22) 단부가 상호 지지되어 터널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각 기초(31)(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31a)에 각 세그멘트(21)(22)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31b)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31b)의 바닥면에 기초모르타르(31c)가 타설되고, 각 세그멘트(21)(22)의 하단부가 수용홈(31b)에 수용된 후 모르타르(31d)를 수용홈(31d)에 충전시킨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멘트(21)(22)의 하단부 측면에는 고무와 같은 쿠션재(31k)를 채용하여서 성토(盛土)에 따른 토압으로 각 세그멘트(21)(22)가 힌지거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 기초(31)(32)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31e)에 각 세그멘트(21)(22)의 하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보강바아(31f)가 매설되고, 기초콘크리트(31e) 바닥면에 기초모르타르(31g)가 타설되며, 각 세그멘트(21)(22)의 하단부가 보강바아(31f) 내측에 수용된 후 모르타르(31h)를 충전시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2세그멘트(21)(22)의 하단부에는 토압(土壓)에 의한 모멘트 발생시 힌지거동이 용이하도록 모따기(21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2세그멘트(21)(22)는 상호 지지되어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그멘트(21)의 단부에는 원호형의 오목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세그멘트(22)의 단부에는 상기 오목홈(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형 볼록부(2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목홈(21a)과 볼록부(22a)의 외면에는 상호 마찰에 따른 마모 또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플레이트(61)(62)가 고정된다.
제1,2세그멘트(21)(22)는 아치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토압,수압 및 교통하중등이 제1,2세그멘트(21)(22)의 축방향 압축력으로 작용하므로 콘크리트의 높은 압축강도를 최대한 활용하여 경제적인 단면설계가 가능하다. 이러한 아치형 구조는 주로 압축력을 지지하는 콘크리트의 특성상 균열발생이 거의 없어 구조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 터널구조체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제1세그멘트(21)를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제2세그멘트(22)를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인접설치된 복수의 제1세그멘트(21)를 상호 고정시키고, 또한 인접설치된 복수의 제2세그멘트(22)를 상호 고정시킨다.
도 5,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각 고정수단(50)은 상기 각 제1,2세그멘트(21)(22)의 단부 외면 가장자리에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배근되는 보강근(51a,51b)(52a,52b)과, 상기 제1세그멘트(21)와 제2세그멘트(22)의 경계부 상면에 안착되는 분리블록(55)과, 상기 각 보강근(51a,51b)(52a,52b)이 매설되도록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53)(54)와, 상기 콘크리트(53)(54) 및 분리블럭(55)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막(56)과, 방수막(56) 표면에 방수보호막(57)이 도포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분리블럭(55)은 스티로폼(Styrofoam)과 같은 재질을 채용하여서 타설된 콘크리트(53)(54)들이 상호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후 시공되는 제1,2세그멘트(21)(22)의 외주면에 성토(盛土)하는 과정에서 제1,2세그멘트(21)(22)의 연결부분이 힌지거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31)(32) 상에 순차적으로 세워지는 제1,2세그멘트(21)(22)들이 상호 엇걸리게 맞물리도록 시공된 후, 제1,2세그멘트(21)(22)의 힌지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수단(50)이 시공되고 인접된 제1,2세그멘트(21)(22)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막(방수테이프;40)가 시공된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각 세그멘트(21)(22)의 가장자리 즉, 원호를 따르는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에 보강근(51c)(52c)를 배근하여서 인접하는 각 세그멘트(21)(22)의 보강근(51c)(52c)을 콘크리트(80) 타설로 함께 매설함으로써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인접 세그멘트들을 상호 고정시켜 구조적으로 안정을 취하도록 하였다. 참조부후 82는 쿠션재로서 세그멘트(21)(22)의 힌지거동을 용이하게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의 터널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다.
먼저, 지반을 정지하고 터널폭의 간격으로 제1기초(31) 및 제2기초(32)를 시공한다. 제1,2기초(31)(32)의 시공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으로 시공한다.
한편, 상기 제1,2세그멘트(21)(22)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어 조립하며, 제1,2세그멘트(21)(22)의 상호 힌지결합부에는 각각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의 오목홈(21a) 및 볼록부(22a)를 형성하여 제작한다.
이와 같이 공장제작된 제1,2세그멘트(21)(22)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건조수축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단기에 발생되는 크리이프(creep)형상의 효과적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제1,2세그멘트(21)(22)의 상단부에는 각각 보강근(51a)(52a)를 매설하여 일부가 돌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오목홈(21a) 및 볼록부(22a)의 주면에 각각 금속플레이트(61)(62)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제작된 제1,2세그멘트(21)(22)들은 각각 제1,2기초(31)(32)에 크레인(100)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워서 터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바,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그멘트(21)를 크레인(100)으로 제1기초(31)에 세운 상태에서 다른 크레인으로 제2세그멘트(22)를 제2기초(32)에 세운다. 이어서 제1,2세그멘트(21)(22)는 상호 엇걸리도록 맞물림시킨다.
이어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제2세그멘트(22)를 이미 세워진 제1세그멘트(21)의 나머지 부분에 지지시키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세워진 제2세그멘트(22)에 다른 제1세그멘트(21)를 지지시키면서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제1,2세그멘트(21)(22)를 상호 엇걸리도록 맞물림시킨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세그멘트(21)(22)에 매설된 보강근(51a)(52a)들을 다른 보강근(51b)(52b)으로 상호 고정시키고, 상기 제1,2세그멘트(21)(22)의 경계부 상면에 분리블럭(55)를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분리블럭(55)을 경계로 상기 인접 설치된 복수의 제1세그멘트(21)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근(51a)(51b)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53)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제1세그멘트(21)를 상호 고정시키고, 상기 인접 설치된 복수의 제2세그멘트(22)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근(52a)(52b)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54) 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제2세그멘트(22)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53)(54) 및 분리블럭(55)의 외면에 방수막(56)과 방수보호막(57)을 도포하여 방수처리한다.
이와 같이 터널이 시공된 후, 제1,2세그멘트(21)(22)의 외주면에 지반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하면서 성토(盛土)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터널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제1,2세그멘트(21)(22)가 상호 원호형의 오목홈(21a) 및 볼록부(22a)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계별 성토(盛土)과정에서 부재(제1,2세그멘트(21,22))에 작용하는 토압(土壓)의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제1,2세그멘트(210(22)가 상호 힌지거동함으로써 부재의 단면력의 변화에도 적응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서 부재 단부의 균열을 억제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터널구조체 및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아치형의 제1,2세그멘트(21)(22)가 상호 원호형의 오목홈(21a) 및 볼록부(22a)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계별 성토(盛土)과정에서 부재(제1,2세그멘트(21,22))에 작용하는 토압(土壓)의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제1,2세그멘트(21)(22)가 상호 힌지거동함으로써 부재의 단면력의 변화에도 적응이 용이 하다. 이에 따라서 부재 단부의 균열을 억제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공장 제작한 제1,2세그멘트(21)(22)를 크레인으로 상호 지지시키면서 터널을 형성함으로써 운행중인 차량의 통행을 중지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하다.
세째, 제1,2세그멘트(21)(22)를 공장에서 제작하므로 품질 높은 고강도 콘크리트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부재의 단면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미리 부재를 제작하므로서 콘크리트 양생기간이 단축되고, 가설 동바리를 필요치 않으므로 가설재 설치기간을 줄여 터널공사 기간이 타 공법에 비하여 단축된다.
네째, 제1,2세그멘트(21)(22)의 힌지거동부에 금속플레이트(61)(62)를 채용함으로써, 힌지거동시 마찰/마모에 따른 부재의 균열을 방지하여 더욱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한다.
Claims (5)
-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제1,2기초가 형성되고, 상기 제1기초에 아치형 제1세그멘트가 순차적으로 세워지고 상기 제2기초에 아치형 제2세그멘트가 순차적으로 세워져 상호 마주하는 제1,2세그멘트 단부가 상호 지지되어 터널을 형성하는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에 있어서,상기 제1세그멘트(21)의 단부에는 원호형의 오목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세그멘트(22)의 단부에는 상기 오목홈(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형 볼록부(22a)가 형성되며,상기 오목홈(21a)과 볼록부(22a)의 외면에 금속플레이트(61)(62)가 고정되고,상기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제1세그멘트(21)를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제2세그멘트(22)를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되,상기 각 고정수단은 상기 각 제1,2세그멘트(21)(22)의 단부 외면 가장자리에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배근되는 보강근(51a,51b)(52a,52b)과, 상기 제1세그멘트(21)와 제2세그멘트(22)의 경계부 상면에 안착되는 분리블록(55)과, 상기 각 보강근(51a,51b)(52a,52b)이 매설되도록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53)(54)와, 상기 콘크리트(53)(54) 및 분리블럭(55)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막(5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 삭제
- 삭제
- a) 지반을 정지하고 터널폭의 간격으로 제1기초(31) 및 제2기초(32)를 시공하는 단계와,b) 일단부에 오목홈(21a)이 형성되고 단부 상면에 보강근이 배근된 아치형 제1세그멘트(21)를 상기 제1기초(31)에 세우는 단계와,c) 일단부에 상기 오목홈(21a)에 맞물리는 볼록부(22a)가 형성되고 단부 상면에 보강근이 배근된 아치형 제2세그멘트(22)를 상기 제2기초(32)에 세우되, 제1,2세그멘트(21)(22)를 서로 엇걸리게 맞물림시키면서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제1,2세그멘트(21)(22)를 순차적으로 세우는 단계와,d) 상기 제1,2세그멘트(21)(22)의 경계부 상면에 분리블럭(55)를 안착시키는 단계와,e) 상기 분리블럭(55)을 경계로 상기 인접 설치된 복수의 제1세그멘트(21)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근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제1세그멘트(21)를 상호 고정시키는 단계와,f) 상기 인접 설치된 복수의 제2세그멘트(22)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근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제2세그멘트(22)를 상호 고정시키는 단계와,g)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및 분리블럭(55)의 외면에 방수막(56)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오목홈(21a) 및 볼록부(22a)의 주면에 각각 금속플레이트(61)(62)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구조체의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6765A KR100555046B1 (ko) | 2004-03-12 | 2004-03-12 |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6765A KR100555046B1 (ko) | 2004-03-12 | 2004-03-12 |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6791U Division KR200351467Y1 (ko) | 2004-03-12 | 2004-03-12 |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1355A KR20050091355A (ko) | 2005-09-15 |
KR100555046B1 true KR100555046B1 (ko) | 2006-03-03 |
Family
ID=3727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6765A KR100555046B1 (ko) | 2004-03-12 | 2004-03-12 |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504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7638B1 (ko) | 2012-02-06 | 2012-06-19 | 이형훈 |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
KR101202796B1 (ko) * | 2010-09-20 | 2012-11-19 | (주)나우이앤씨 | 변단면을 이용한 개착 타입 터널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시공구조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4885B1 (ko) * | 2007-04-27 | 2009-04-30 | (주)리뉴시스템 | 실드터널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체 |
KR101015611B1 (ko) * | 2010-05-13 | 2011-02-17 | 김광숙 | 천정부의 강결구조를 가지는 2분절 프리캐스트 아치터널 및 무지보에 의한 2분절 프리캐스트 아치터널 시공방법 |
KR101109724B1 (ko) * | 2011-05-23 | 2012-02-24 | (주)나우이앤씨 |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
KR101852083B1 (ko) * | 2017-07-17 | 2018-04-27 | 주식회사 택한 | 아웃리거가 구비된 아치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아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CN110863844B (zh) * | 2019-11-13 | 2021-03-02 | 浙江海洋大学 | 用于隧道施工的支撑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3473A (ja) * | 1992-07-08 | 1994-02-08 | Soc Civile Des Brevets De Henri Vidal | アーチ構造物 |
JPH08109645A (ja) * | 1994-10-11 | 1996-04-30 |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 アーチ型トンネルの構築工法 |
JP2001012190A (ja) * | 1999-06-30 | 2001-01-16 | Geostr Corp | 中空構造物の継手構造 |
-
2004
- 2004-03-12 KR KR1020040016765A patent/KR1005550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3473A (ja) * | 1992-07-08 | 1994-02-08 | Soc Civile Des Brevets De Henri Vidal | アーチ構造物 |
JPH08109645A (ja) * | 1994-10-11 | 1996-04-30 |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 アーチ型トンネルの構築工法 |
JP2001012190A (ja) * | 1999-06-30 | 2001-01-16 | Geostr Corp | 中空構造物の継手構造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2796B1 (ko) * | 2010-09-20 | 2012-11-19 | (주)나우이앤씨 | 변단면을 이용한 개착 타입 터널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시공구조체 |
KR101157638B1 (ko) | 2012-02-06 | 2012-06-19 | 이형훈 |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
WO2013119016A1 (ko) * | 2012-02-06 | 2013-08-15 | (주)대산시빌테크날러지 |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1355A (ko) | 2005-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48280B2 (en) | Method of providing a parapet wall on a bridge | |
US8474080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omposition girder bridge | |
US10518440B2 (en) | Pre-stressed box culvert and methods for assembly thereof | |
KR100555046B1 (ko) |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
US6668412B1 (en) |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bridge deck subpanel system | |
US6988337B1 (en) | Mean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ully precast top arch overfilled system | |
JP2007077630A (ja) | プレキャスト主桁セグメントを使用した連続桁およびその架設方法 | |
US11059201B2 (en) | Pre-stressed box culvert and methods for assembly thereof | |
CN110747903A (zh) | 多孔框架桥及其拼装施工方法 | |
KR100991869B1 (ko) | 단경간 및 다경간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0318565B1 (ko) | 주형의 박스화에 의한 피씨 빔 교량의 보강 방법 및 그에 의한 | |
KR101034973B1 (ko) | 프리캐스트 블록 연결에 의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CA2423228C (en) | Arch systems | |
KR102327700B1 (ko) |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1662036B1 (ko) | 종방향 연결콘크리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785634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 |
KR101604267B1 (ko) | 아치형 터널 구조체 | |
KR200351467Y1 (ko) |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 |
KR20090055935A (ko) | 분절형 복합 박스 거더 제작방법 | |
KR101684252B1 (ko) | 연속 교량의 연속부 보강 방법 및 그 보강 구조체 | |
KR100889140B1 (ko) | 조립식 중공 슬래브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 |
KR102512912B1 (ko) | Psc 블록식 아치 구조물의 시공 방법 | |
KR102273716B1 (ko) | 기설 교량용 방음터널 및 그 시공 방법 | |
KR102427300B1 (ko) |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20030206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를 가지는 구조물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1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