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147B1 -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147B1
KR101467147B1 KR20140059288A KR20140059288A KR101467147B1 KR 101467147 B1 KR101467147 B1 KR 101467147B1 KR 20140059288 A KR20140059288 A KR 20140059288A KR 20140059288 A KR20140059288 A KR 20140059288A KR 101467147 B1 KR101467147 B1 KR 10146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ontinuous wall
underground continuous
main shaft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배
이현채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2014005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과 같은 지하 정거장 구조물에서 지중 연속벽과 슬래브를 반강접으로 접합하여 모멘트 재분배가 이루어져 절점부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수직근을 수직으로 매입구성하고, 각층 슬래브의 단부와 연결되는 절점부에는 수평으로 커플러 연결철근을 배근하고, 커플러 연결철근의 일측단부에는 커플러가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지중 연속벽을 형성하는 단계; (b) 지중 연속벽의 두부를 정리하고, 최상층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지반을 굴착한 후, 슬래브가 설치될 지중 연속벽의 면에 일측이 돌출되도록 전단 저항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을 배근하고,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의 양단부를 각각 지중 연속벽의 커플러에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지중 연속벽의 슬래브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절점부에는 판형상의 단절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지중 연속벽과 콘크리트가 서로 단절되도록 최상층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 (d) 다음 중간층 슬래브의 설치위치까지 굴착하고, 슬래브가 설치될 지중 연속벽의 면에 일측이 돌출되도록 전단 저항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e)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을 배근하고,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의 양단부를 각각 지중 연속벽의 커플러에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지중 연속벽의 슬래브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절점부에는 판형상의 단절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지중 연속벽과 콘크리트가 서로 단절되도록 중간층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 (f) (d) 내지 (e)의 단계를 반복하여 최하층의 슬래브까지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Subway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using semi-rigid connection}
본 발명은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과 같은 지하 정거장 구조물에서 지중 연속벽과 슬래브를 반강접으로 접합하여 모멘트 재분배가 이루어져 절점부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에서 지하철 정거장 공사시 주위 지반침하, 인접건물 및 지중 매설물 등의 피해 등 여러 여건에 의해 공사 지연 및 중단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근래 도심지 건물의 지하층 대형화, 고층화로 인하여 지하 구조의 효율적인 활용성을 위하여 지하층 층수가 증가하고 도심지 주차시설의 확충에 따른 지하주차장 확충에 따른 지하주차장 확보를 위하여 지하층 면적을 최대로 넓히는 추세이며, 지하 토공사의 안정성 및 토질상태의 불확실성으로 지하 토공사시 예측불허의 붕괴사고 발생이 빈번하며 특히 도심지 밀집 지역에서 붕괴사고는 전기 통신 급/배수 등 공공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하철 정거장 구조물에서 최소 필요 폭원을 제외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두께는 정거장에 통상 설치되는 1.0~1.2m의 기둥뿐이기 때문에, 지하철 정거장 설계시 중앙에 기둥을 설치하지 않으면 기둥 두께에 해당하는 폭만큼 정거장 폭을 줄일 수 있어 장경간의 슬래브 구조는 정거장의 개방감을 높이고 시공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4a는 종래의 강접합(Full rigid) 시공시의 정거장 구조물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휨모멘트도(Bending Moment Diagram)이다.
도 4a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장경간 슬래브 구조의 정거장 구조물 경우에는 상부 슬래브와 벽체 접속부에서 단부 구속조건을 Full Rigid(강접합)로 모델링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도 4b에서와 같이, 장경간의 상부 슬래브에서 발생한 부모멘트는 벽체에 같은 크기로 전달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벽체의 두께도 상부 슬래브와 유사한 두께로 설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장경간 슬래브 구조의 정거장에 인접하여 건물이나 지장물이 있을 경우 또는 지중 연속벽(Diaphragm Wall)공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벽체의 두께를 슬래브 두께와 같이 크게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특히, Diaphragm Wall 구조는 굴착장비의 조건상 두께를 최대 150cm이상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벽체 두께는 슬래브 만큼 두껍게 할 수 없는 경우 슬래브에서 발생하여 벽체에 전달되는 모멘트를 일부 제한시켜야 하지만 종래의 방법과 같이 상부 슬래브와 벽체 접속부에서 단부 구속조건을 Full Rigid로 모델링으로 할 경우에는 벽체에 전달되는 모멘트를 제한할 수 없어, 벽체의 두께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285372호 "지하철 정거장 및 지하철 정거장의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개착식 방법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지하로 시공되는 상부 구조물과, 터널식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철이 통과하는 좌측 및 우측 본선 터널에 시공되는 하부 구조물을 각각 분리하여 시공한 다음, 상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통로 구조물을 시공하되, 상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은 동시에 각각 분리 시공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승강장을 시공하기 위해 지하철이 통과하는 본선 터널을 확장할 때, 본선 터널이 손상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또는 강재 등의 기둥을 이용하여 지지한 상태로 굴착하며, 굴착 후 상기 기둥은 스크린 도어의 설치 지주로 이용하는 지하철 정거장의 시공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벽체에 전달되는 모멘트를 제한할 수 없어, 벽체의 두께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285372호 "지하철 정거장 및 지하철 정거장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중 연속벽(Diaphragm Wall) 공법과 탑다운(Top-down) 공법을 적용하여 지하 토공 작업시 인접건물의 침하와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향후 영구 구조물로 사용 가능하며, 기존공사 공기에 대비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중 연속벽과 슬래브를 반강접으로 접합하여 모멘트 재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래브에서 발생하여 벽체에 전달되는 모멘트의 일부를 제한시켜 벽체가 저항할 수 있는 크기 만큼의 부모멘트를 수용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슬래브의 정모멘트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벽체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a) 수직근을 수직으로 매입구성하고, 각층 슬래브의 단부와 연결되는 절점부에는 수평으로 커플러 연결철근을 배근하고, 커플러 연결철근의 일측단부에는 커플러가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지중 연속벽을 형성하는 단계; (b) 지중 연속벽의 두부를 정리하고, 최상층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지반을 굴착한 후, 슬래브가 설치될 지중 연속벽의 면에 일측이 돌출되도록 전단 저항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을 배근하고,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의 양단부를 각각 지중 연속벽의 커플러에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지중 연속벽의 슬래브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절점부에는 판형상의 단절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지중 연속벽과 콘크리트가 서로 단절되도록 최상층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 (d) 다음 중간층 슬래브의 설치위치까지 굴착하고, 슬래브가 설치될 지중 연속벽의 면에 일측이 돌출되도록 전단 저항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e)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을 배근하고,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의 양단부를 각각 지중 연속벽의 커플러에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지중 연속벽의 슬래브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절점부에는 판형상의 단절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지중 연속벽과 콘크리트가 서로 단절되도록 중간층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 (f) (d) 내지 (e)의 단계를 반복하여 최하층의 슬래브까지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b) 단계와 (d) 단계에서, 전단 저항 부재는 케미컬 앵커, 철근 및 형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중 연속벽(Diaphragm Wall) 공법과 탑다운(Top-down) 공법을 적용하여 지하 토공 작업시 인접건물의 침하와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향후 영구 구조물로 사용 가능하며, 기존공사 공기에 대비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지중 연속벽과 슬래브를 반강접으로 접합하여 모멘트 재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래브에서 발생하여 벽체에 전달되는 모멘트의 일부를 제한시켜 벽체가 저항할 수 있는 크기 만큼의 부모멘트를 수용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슬래브의 정모멘트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기둥을 설치하지 않고도 벽체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개방감이 좋고 정거장 폭을 줄임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별로 도시한 시공순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 B 및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단부구속조건에 따른 모멘트를 도시한 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강접합(Full rigid) 시공시의 정거장 구조물의 단면형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휨모멘트도(Bending Moment Diagram)이다.
도 5는 종래의 상부 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하철과 같은 지하 정거장 구조물에서 지중 연속벽(Diaphragm Wall) 공법과 탑다운(Top-down) 공법을 적용하되, 지중 연속벽과 슬래브의 단부 구속조건을 반강접으로 접합하여 모멘트 재분배가 이루어져 절점부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탑다운(Top-Down) 공법은 굴착공사 이전에 지하 외부 벽체와 지하층 기둥을 미리 시공한 다음, 단계별로 지하층 슬래브와 토공사를 반복해 가면서 위에서 아래로 지하구조물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탑다운 공법은 특히 도심지의 대규모 구조물을 위한 굴착공사에도 안정적이며, 구조물의 1층 바닥 선시공으로 인한 작업장의 조기확보 및 지상과 지하의 동시 시공으로 인한 공기단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공법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별로 도시한 시공순서도이고, 도 2a, 도 2b 및 도 2c는 각각 상기 도 1의 A, B 및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먼저, 도 1a(a)에서와 같이, 커플러(13)가 미리 설치된 지중 연속벽(10)을 시공한다(a).
지중 연속벽(10)은 공지의 방법과 동일하게 워킹 플랫폼 및 가이드 월을 설치하고 수직근(11)을 배근하고 시공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지중 연속벽(10)의 각층 슬래브(S1..n-1..n)의 단부와 연결되는 절점부(P)에는 커플러(13)가 설치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3) 설치를 위하여, 각층 슬래브(S1..n-1..n)의 단부와 연결되는 절점부(P)에 커플러 연결철근(12)을 각층 슬래브(S1 ..n-1..n)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근하고, 커플러 연결철근(12)의 일측단부에는 커플러(13)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커플러(13)는 절점부(P)에서 외측면과 일치되어, 각층 슬래브(S1 ..n-1..n)의 시공을 위하여 굴착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커플러(13)는 각층 슬래브(S1..n-1..n)와의 접속을 위하여 설치되며, 철근망 등의 삽입시에 미리 커플러(13)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커플러(13)는 다양한 공지의 철근 이음을 위한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다.
커플러(13) 설치를 위해 지중 연속벽(Diaphragm Wall)(10)의 단부에서 허용할 수 있는 부모멘트를 Simply supported과 와 Fixed의 2가지 경계조건으로 산정하여 배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단부에서 수용가능한 부모멘트만을 적용하고 나머지는 슬래브 중앙에서 정모멘트로 저항할 수 있도록 구조계산을 수행하여 배치한다.
또한, 지중 연속벽(10)의 각 층의 슬래브(S1..n-1..n)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면에는 판형상의 단절 플레이트(14)가 설치되도록 하여, 지중 연속벽(10)과 각 층의 슬래브(S1..n-1..n)가 결합되지 않고 단절되도록 한다. 즉, 지중 연속벽(10)과 각 층의 슬래브(S1..n-1..n)는 상부 주근(21) 및 하부 주근(22) 만이 커플러(13)에 연결되도록 하여, 지중 연속벽(10)과 슬래브가 반강접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중 연속벽(10)과 각 층의 슬래브(S1..n-1..n)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은 전단 저항 부재가 부담하도록 한다.
단절 플레이트(14)는 절점부(P)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슬래브(S1..n-1..n)의 단부에 설치되며, 금속, 플라스팅 등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도 1a(b)에서와 같이, 지중 연속벽(10)의 수직근(11) 등 두부를 정리하고, 최상층 슬래브(S1)를 시공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지반을 굴착한다(b).
최상층 슬래브(S1)의 설치위치까지 굴착시에는 커플러(13)가 설치되는 절점부(P)까지 굴착하도록 한다.
이때, 굴착 후 슬래브(S1)가 설치될 지중 연속벽(10)의 절점부(P)에 전단 저항 부재(15)를 설치하여 최상층 슬래브(S1)와 지중 연속벽(10)의 경계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한다.
전단 저항 부재(15)는 노출된 절점부(P)에 설치하되, 타측은 지중 연속벽(10)에 설치되고 일측이 굴착된 굴착부로 돌출되도록 슬래브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슬래브(S1) 시공시 슬래브(S1)에 일측이 매입되도록 한다.
전단 저항 부재(15)는 전단에 저항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공지의 다양한 케미컬 앵커, 철근 및 T형강, U형강, ㄴ형강, H형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형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후, 도 1a(c)에서와 같이, 최상층의 슬래브(S1)를 시공한다(c).
최상층의 슬래브(S1) 시공을 위하여, 먼저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을 배근하되,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의 단부는 각각 지중 연속벽(10)의 노출된 절점부(P)의 커플러(13)에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한다.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최상층 슬래브(S1)가 설치될 위치의 지중 연속벽(Diaphragm Wall)(10)의 단부에는 단절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최상층 슬래브(S1)와 지중 연속벽(10)은 철근과 전단 저항 부재(15)로만 연결되고 콘크리트는 서로 일체화되지 않고 단절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최상층 슬래브(S1)와 지중 연속벽(Diaphragm Wall)(10)은 구조적으로 반강접 접합이 된다.
한편,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 및 커플러(13)의 연결부는 중간층 슬래브(Sn-1)에서와의 연결부와 동일하기 때문에, 후술하기로 한다.
이후, 도 1b(a)에서와 같이, 다음 중간층 슬래브(Sn-1)의 설치위치까지 굴착한다(d).
중간층 슬래브(Sn-1)의 설치위치까지 굴착시에는 커플러(13)가 설치되는 절점부(P)까지 굴착하도록 한다.
이때, 도 2b에서와 같이, 굴착 후 중간층 슬래브(Sn-1)가 설치될 지중 연속벽(10)의 절점부(P)에 전단 저항 부재(15)를 설치하여 한 슬래브(S1)와 지중 연속벽(10)의 전단파괴를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단 저항 부재(15)는 노출된 절점부(P)에 설치하되, 타측은 지중 연속벽(10)에 설치되고 일측이 굴착된 굴착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중간층 슬래브(Sn-1) 시공시 중간층 슬래브(Sn-1)에 일측이 매입되도록 한다.
이후, 도 1b(b)에서와 같이, 중간층 슬래브(Sn-1)를 시공한다(e).
중간층 슬래브(Sn-1)는 최상층의 슬래브(S1)의 시공시와 마찬가지로, 먼저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을 배근하되, 도 2c에서와 같이,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의 단부는 각각 지중 연속벽(10)의 노출된 절점부(P)의 커플러(13)에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1b(c)와 도 1c(a) 및 도 1c(b)에서와 같이, 상기 (d) 내지 (e)의 단계를 반복하여 최하층의 슬래브(Sn)까지 시공하여 정거장 구조물을 완성한다(f).
도 3은 단부구속조건에 따른 모멘트를 도시한 도이다.
일반적으로 정거장 구조물 전체 폭원 중에서 벽체 두께를 좌우하는 조건은 상부 슬래브와 연결된 지점에서 부모멘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구속조건이 기존 방법과 달리 단순접합(Simply supported)과 강접합(Fixed)의 중간적인 경계조건인 반강접(Semi-Rigid)이 되고 그에 따라 모멘트 재분배가 이루어져 절점부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슬래브(S1..n-1..n)와 지중 연속벽(10)의 단부구속조건을 반강접(Semi-Rigid)으로 할 경우 지중 연속벽(10)와 슬래브(S1..n-1..n)의 두께를 상황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중 연속벽(Diaphragm Wall) 공법과 탑다운(Top-down) 공법을 적용하여 지하 토공 작업시 인접건물의 침하와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향후 영구 구조물로 사용 가능하며, 기존공사 공기에 대비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지중 연속벽과 슬래브를 반강접으로 접합하여 모멘트 재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래브에서 발생하여 벽체에 전달되는 모멘트의 일부를 제한시켜 벽체가 저항할 수 있는 크기만큼의 부모멘트를 수용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슬래브의 정모멘트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기둥을 설치하지 않고도 벽체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개방감이 좋고 정거장 폭을 줄임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지중 연속벽
11 : 수직근
12 : 커플러 연결철근
13 : 커플러
14 : 단절 플레이트
15 : 전단 저항 부재
S1, Sn-1, Sn : 슬래브
21 : 상부 주근
22 : 하부 주근
P : 절점부

Claims (4)

  1. (a) 수직근(11)을 수직으로 매입구성하고, 각층 슬래브(S1..n-1..n)의 단부와 연결되는 절점부(P)에는 수평으로 커플러 연결철근(12)을 배근하고, 커플러 연결철근(12)의 일측단부에는 커플러(13)가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지중 연속벽(10)을 형성하는 단계;
    (b) 지중 연속벽(10)의 두부를 정리하고, 최상층 슬래브(S1)를 시공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지반을 굴착한 후, 슬래브(S1)가 설치될 지중 연속벽(10)의 면에 일측이 돌출되도록 전단 저항 부재(15)를 설치하는 단계;
    (c)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을 배근하고,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의 양단부를 각각 지중 연속벽(10)의 커플러(13)에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지중 연속벽(10)의 슬래브(S1)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절점부(P)에는 판형상의 단절 플레이트(14)를 설치하여 지중 연속벽과 콘크리트가 서로 단절되도록 최상층 슬래브(S1)를 형성하는 단계;
    (d) 다음 중간층 슬래브(Sn-1)의 설치위치까지 굴착하고, 슬래브(Sn-1)가 설치될 지중 연속벽(10)의 면에 일측이 돌출되도록 전단 저항 부재(15)를 설치하는 단계;
    (e)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을 배근하고, 상부 주근(21)과 하부 주근(22)의 양단부를 각각 지중 연속벽(10)의 커플러(13)에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지중 연속벽(10)의 슬래브(Sn-1)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절점부(P)에는 판형상의 단절 플레이트(14)를 설치하여 지중 연속벽과 콘크리트가 서로 단절되도록 중간층 슬래브(Sn-1)를 형성하는 단계;
    (f) (d) 내지 (e)의 단계를 반복하여 최하층의 슬래브(Sn)까지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b) 단계와 (d) 단계에서,
    전단 저항 부재(15)는 케미컬 앵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b) 단계와 (d) 단계에서,
    전단 저항 부재(15)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b) 단계와 (d) 단계에서,
    전단 저항 부재(15)는 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40059288A 2014-05-16 2014-05-16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6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9288A KR101467147B1 (ko) 2014-05-16 2014-05-16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9288A KR101467147B1 (ko) 2014-05-16 2014-05-16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147B1 true KR101467147B1 (ko) 2014-11-28

Family

ID=5229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9288A KR101467147B1 (ko) 2014-05-16 2014-05-16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1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578A (zh) * 2015-06-23 2015-12-16 中建六局土木工程有限公司 复杂地质及环境接入地铁既有支护体系施工方法
CN105672353A (zh) * 2016-02-29 2016-06-15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现浇地下连续墙与装配式地铁车站施工一体化方法
CN107119711A (zh) * 2017-07-06 2017-09-01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大范围邻接既有换乘车站的衔接结构及施工方法
CN107221885A (zh) * 2017-06-14 2017-09-29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地下综合管廊电缆引出节点及其施工方法
CN112391961A (zh) * 2020-12-16 2021-02-23 沈阳铁道勘察设计院有限公司 带多点式凸榫的现浇站台墙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63A (ja) 1998-08-31 2000-03-07 Nippon Steel Corp 鋼製地中連続壁と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主鉄筋との接合部構造
JP2004003170A (ja) 2002-05-31 2004-01-08 East Japan Railway Co 部材の接合構造
KR100927344B1 (ko) 2007-09-21 2009-11-19 박무용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JP5411375B1 (ja) 2013-04-30 2014-02-12 黒沢建設株式会社 制震柱状体を用いた建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63A (ja) 1998-08-31 2000-03-07 Nippon Steel Corp 鋼製地中連続壁と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主鉄筋との接合部構造
JP2004003170A (ja) 2002-05-31 2004-01-08 East Japan Railway Co 部材の接合構造
KR100927344B1 (ko) 2007-09-21 2009-11-19 박무용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JP5411375B1 (ja) 2013-04-30 2014-02-12 黒沢建設株式会社 制震柱状体を用いた建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578A (zh) * 2015-06-23 2015-12-16 中建六局土木工程有限公司 复杂地质及环境接入地铁既有支护体系施工方法
CN105672353A (zh) * 2016-02-29 2016-06-15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现浇地下连续墙与装配式地铁车站施工一体化方法
CN107221885A (zh) * 2017-06-14 2017-09-29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地下综合管廊电缆引出节点及其施工方法
CN107221885B (zh) * 2017-06-14 2018-09-14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地下综合管廊电缆引出节点及其施工方法
CN107119711A (zh) * 2017-07-06 2017-09-01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大范围邻接既有换乘车站的衔接结构及施工方法
CN107119711B (zh) * 2017-07-06 2022-09-06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大范围邻接既有换乘车站的衔接结构及施工方法
CN112391961A (zh) * 2020-12-16 2021-02-23 沈阳铁道勘察设计院有限公司 带多点式凸榫的现浇站台墙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795B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패널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1467147B1 (ko) 반강접 접합을 적용한 정거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71225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도심지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20090094555A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1171040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립식 간이 흙막이 시공 방법
KR101148272B1 (ko) 미끄럼 골거푸집(scf)을 활용한 지하실 하향공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JP5579635B2 (ja)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187170B1 (ko)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
KR101293550B1 (ko)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KR20070052109A (ko) 슬림형 합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슬라브와 외벽의 동시 타설 및 지하 역타설 동시구축방법
KR20090090742A (ko) 영구 스트럿을 이용한 상향식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20190022132A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JP4558145B2 (ja) 既存建物の地下免震化工法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54696B1 (ko) 슬러리 월에서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토압 지지가이루어지도록 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구축 공법
CN112921986A (zh) 一种装配式地下结构及其与基坑一体化施工方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JP5875651B2 (ja)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2004027609A (ja) 地中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構造物
JP2003003690A (ja) 免震建物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KR101744378B1 (ko) 굴착면 그라우팅에 의한 수동저항력 증대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JP3641227B2 (ja) 地下構造躯体の施工法
KR100397958B1 (ko) 띠장을 분리하여 설치한 흙막이벽 지보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