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895B1 -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 Google Patents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895B1
KR102268895B1 KR1020210011129A KR20210011129A KR102268895B1 KR 102268895 B1 KR102268895 B1 KR 102268895B1 KR 1020210011129 A KR1020210011129 A KR 1020210011129A KR 20210011129 A KR20210011129 A KR 20210011129A KR 102268895 B1 KR102268895 B1 KR 10226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bridge support
coupling
suppor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1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구조와 상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이격되면서 수평면 형상인 하면과 상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수직면 형상의 후면과 전면, 및 상기 상면의 전단부와 상기 전면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후면, 상면, 회전면, 전면 순으로 연결되어 전면 상측이 라운드진 폐사각형 형상의 교량받침;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에 배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상부구조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교량받침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하부구조를 견고히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회전면에 의하여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는 시공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과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됨으로써 온도응력과 부모멘트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하부구조에 설치된 교량받침이 상부구조의 변형에 대응하면서 견고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고, 교량받침의 구조 간소화로 제작 및 시공이 간편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Bridge support structure that can prevent rotation, flow, and conduction, and ramen bridge using it}
본 발명은 교량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시공중 발생하는 상부구조의 하중에 의한 만곡 변형이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에 잘 대응하면서도 예측하지 못한 횡방향 전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멘교는 거더 등의 상부구조와 이를 떠받치는 벽체 등의 하부구조가 강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강성이 매우 우수하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결합되는 우각부에서 부모멘트가 과다하고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예로,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8825호,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가 개시되어 있다(도 24a 참조). 이 종래기술은 교량의 상부거더(200)의 높낮이 조절과 수평이동 변위 및 회전 거동을 모두 수용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벽체 상면에 앵커볼트(103)로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05)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를 관통하여 위치하며, 상승 수용높이 및 하강 수용높이를 포함하여 받침높이 이상의 높이를 가져 절단 및 용접 없이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상부거더의 하중을 벽체에 전달하는 복수개 이상의 나사강봉(12)과; 상부거더의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나사강봉의 상부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한 쌍의 받침너트(14)와; 나사강봉에 삽입되고 한 쌍의 받침너트 위에 지지되어, 한 쌍의 받침너트의 위치 조정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며 나사강봉의 좌굴하중을 증가시키는 수평 밑판(161)과; 하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반달형상이며 상면이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 하면에 결합되고 하부 곡면이 수평 밑판과 선접촉되어 상부거더의 수평 변위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는 수직 반달판(162)과; 수평 밑판을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강봉에 체결된 고정너트(18)와; 나사강봉과 상부거더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강봉의 상부에 조립된 전도방지너트(20) 및 상부와셔(22)와; 상부와셔와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거더의 회전 거동시 발생되는 회전변위(Δθ)를 수용하는 탄성판(24)과; 나사강봉에 삽입되어 탄성판과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변위(Δh)를 수용하는 미끄럼 상판(26) 및 미끄럼 하판(28)을 포함하며, 나사강봉이 상부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상부거더의 하부플랜지에 트랙형 홀(28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청구항 1 참조)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거더(200) 등의 하중을 4개의 나사강봉(12)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시공중 발생하는 상부거더(200)의 전후 좌우 유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거더(200)의 지지구조가 앵커볼트(103), 베이스플레이트(105), 나사강봉(12), 받침너트(14), 받침와셔(15), 수평 밑판(161), 고정너트(18), 수직 반달판(162), 미끄럼 하판(28), 미끄럼 상판(26), 탄성판(24), 상부와셔(22), 전도방지너트(20) 등으로 구성되어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2305호, '단순보 형식으로 제작되어 지점부에서 발생되는 휨모멘트를최소화하는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24b 참조). 이 종래기술은 강재거더(20)의 하부 플랜지 둘레에 케이싱 콘크리트(12)를 합성하는 중앙부 합성거더의 제작단계와; 상기 중앙부 합성거더의 케이싱 콘크리트에 미리 내설된 긴장재(13)를 잡아당겨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단계와;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지 아니한 강재거더를 상기 중앙부 합성거더의 양단에 교축 방향으로 용접 또는 볼트로 연결하여 단순거더를 제작하는 단계와; 다수의 수직 철근(71)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미리 시공된 교대의 상부에 설치된 단순지지용 받침(40)위에 상기 단순거더의 양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단순거더를 양단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순거더의 양단부의 상부 모서리부의 외측을 지나도록 배근된 다수의 주철근(61)을 상기 교대 위로 돌출된 다수의 수직철근과 연결하되, 미리 정해진 길이보다 더 길게 중복되게 인접 배열되어 상호 연결하는 겹이음 방식을 배제한 방법으로 상기 수직 철근과 상기 주철근을 상호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 단계와; 상기 단순거더의 노출된 강재를 감싸면서 교대 상부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여 상기 단순거더와 상기 교대를 일체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청구항 1 참조)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강재거더(20)가 단순히 단순지지용 받침(40)의 곡면 상측의 선상에 거치됨으로써 시공중 강재거더(20)의 전후 좌우 유동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렵고 단순지지용 받침(40)에서 이탈할 위험이 있다.
또한, 강재거더(20)의 지지구조가 단순지지용 받침(40), 다수의 수직 철근(71), ㄱ자로 절곡한 주철근(61), 주철근(61)을 연결하는 철근 커플러(80) 등으로 구성되어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단순지지용 받침(40)을 미리 교대(70)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강재거더(20)는 단순지지용 받침(40)에 단순히 거치될 뿐 추가의 고정 구조가 없어, 우각부 모멘트 저항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또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8812호,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24c 참조). 이 종래기술은 I형 강재 거더(11)의 하부플랜지(13)를 강선정착판(14)이 끼워질수 있는 폭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복부판(12)도 강선정착판(14)의 세로높이의 1/2 만큼 강선정착판(14)의 폭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부분에 강선정착판(14)을 끼우고 하부플랜지(13)와 복부판(12)이 밀착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강선정착판(14)을 지탱해줄 정착브라켓(15)을 하부플랜지(13)의 윗면과 밑면에 다수개 용접하여 부착함으로써 상기 하부플랜지(13)에 제작되는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의 내부에 PC강선(30)이 위치하도록 조립하여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I형 강재거더(11)에 프리플렉스 하중도입 중 상기 I형 강재거더(11)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부판(12)에 수직 보강재(11a)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I형 강재거더(11)의 프리플렉스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의 압축도입과 더불어 상기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추가적인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 내의 PC 강선(30)을 1차 및 2차에 걸쳐 분할 긴장하는 단계와; 상기 I형 강재거더(11)의 하부플랜지(13)에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를 양생하여 프리플렉스된 합성거더(10)를 현장의 지반(G)에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제작된 좌우 벽체(50, 55) 상단에 고정단 받침장치(60)와 롤러단 받침장치(65)을 설치하고, 상기 합성거더(10)를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치된 합성거더(10) 위의 중앙부부터 단부측으로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와 상기 고정단 받침장치(60)와 롤러단 받침장치(65) 및 상기 좌우 벽체(50, 55)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장 나중에 타설함으로써 상기 합성거더(10) 단부에 휨모멘트가 발생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거더를 이용한 합성형라멘교의 시공방법(청구항 1 참조)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합성거더(10)가 전도방지 보강판(70)이 설치되기 이전에는 단순히 강봉(81)에 거치됨으로써 합성거더(10)의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유동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거더(10)의 지지구조가 걸림턱(82a, 82b), 강봉(81), 강철지지판(81a), 받침장치(60), 보강판(70), 보강판(70)을 받침장치(60)에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 구성되어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합성거더(10)가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경우 합성거더(10) 등의 하중을 보강판(70)과 이를 고정단 받침장치(60)을 결합하는 볼트가 전적으로 부담함에 따른 구조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88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23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88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중 거더 등의 상부구조의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이나 하중에 의한 만곡 변형을 수용할 뿐 아니라, 횡방향 전도를 완벽하게 방지하고, 동시에 시공 후 부모멘트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교량받침의 구조 간소화로 제작과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여 시공비용과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는, 교량의 하부구조와 상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이격되면서 수평면 형상인 하면과 상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수직면 형상의 후면과 전면, 및 상기 상면의 전단부와 상기 전면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후면, 상면, 회전면, 전면 순으로 연결되어 전면 상측이 라운드진 폐사각형 형상의 교량받침;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에 배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상부구조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교량받침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하부구조를 견고히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회전면에 의하여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는 시공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과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됨으로써 온도응력과 부모멘트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하면, 후면, 상면, 회전면, 전면을 내부에서 연결하면서 밀폐하는 밀폐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과 제2결합공은 상기 밀폐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상면과 교량의 상부구조 사이에 구비되는 슬립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립플레이트는 상기 상부구조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되고,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과는 상기 결합볼트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례에 따른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는, 교량의 하부구조와 상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이격되면서 수평면 형상인 하면과 상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수직면 형상의 후면과 전면, 및 상기 하면의 전단부와 상기 전면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후면, 상면, 전면, 회전면 순으로 연결되어 전면 하측이 라운드진 폐사각형 형상의 교량받침; 상기 교량받침의 하면에 배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하부구조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과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를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조는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상부구조를 견고히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 또는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과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를 결합하는 용접이고, 상기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회전면에 의하여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는 시공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과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됨으로써 온도응력과 부모멘트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하면, 후면, 상면, 전면, 회전면을 내부에서 연결하면서 밀폐하는 밀폐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과 제2결합공은 상기 밀폐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하면과 교량의 하부구조 사이에 구비되는 슬립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를 이용한 라멘교량에 있어서, 서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벽체; 상기 한 쌍의 벽체의 상측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교량 받침구조; 상기 교량 받침구조 상측에 설치되는 거더; 상기 교량 받침구조를 내포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 중 거더 등의 상부구조의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이나 하중에 의한 만곡 변형을 수용할 뿐 아니라 횡방향 전도를 완벽하게 방지하고, 시공 후 부모멘트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교량받침의 단순한 구조로 인하여 제작과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여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약된다.
또한, 교량받침의 넓은 상면으로 상부구조를 지지함으로서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교량받침의 호 형상의 회전면으로 인하여 응력집중 없이 상부구조의 만곡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받침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교량받침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 받침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받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의 교량받침이 적용된 다양한 모습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교량받침의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1의 교량받침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교량 받침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교량받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 내지 도 20은 도 15의 교량받침이 적용된 다양한 모습의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 설치되는 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2 내지 도 23은 도 21의 쐐기를 교량받침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한 도면
도 24a 내지 도 24c는 종래기술의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받침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교량받침을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례에 따른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100)는, 교량의 하부구조(10)와 상부구조(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20)를 받쳐 지지하는 것으로, 교량받침(110), 결합볼트(120), 제2결합볼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량의 하부구조(10)는 라멘교의 벽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량의 상부구조(20)는 교량 상판, 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더는 I형 거더, PC 거더, 박스형 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량받침(110)은 교량의 하부구조(10)와 상부구조(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면과 상면, 후면과 전면, 회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과 상면은 서로 이격되는 것으로 사각의 수평면 형상일 수 있다. 후면과 전면은 하면과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각의 수직면 형상일 수 있다. 회전면(111)은 상기 상면의 전단부와 전면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교량받침(110)은 하면, 후면, 상면, 회전면, 전면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전면 상측이 라운드진 폐사각 형상일 수 있다. 이하, 전면은 교대 등의 지점부에서 교축 방향으로 교량의 중심쪽을 볼때의 전방면을 지칭한다.
상부구조(20)는 교량받침(110)의 평면 형상의 상면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구조(20)는 교량받침(110)의 평면 형상의 상면상에서 교축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안정되게 미끄러질 수 있다. 즉, 온도 변화에 따른 상부구조(20)의 신축이 발생하는 경우 상부구조(20)는 교량받침(110)의 상면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하는 결합공(12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구조(20)는 자중 등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구조(20)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회전면에 의해 잘 만곡될 수 있다. 즉,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회전면에 의해 집중응력 등이 발생함이 없이 잘 만곡될 수 있다. 볼록하게 라운드진 회전면은 후술하는 결합공(121)의 전단부 위치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결합볼트(120)는 교량받침(110)의 상면에 배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 결합공(121)에 관통 설치되어 상부구조(20)와 교량받침(110)을 유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볼트(120)는 상부구조(20)가 교축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고,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게 적은량이지만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볼트(120)는 결합공(121)의 전단부 근처에 체결되고, 결합공(121)의 전단부에서 회전면이 형성됨으로써, 상부구조(20)는 전후 방향의 유동과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결합볼트(120)는 결합공(121)에 관통 설치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교량의 상부구조(20)가 회전면(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다소 느슨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공(121)의 후측에 결합볼트를 추가로 체결할 수 있다. 결합볼트(121)와 추가로 체결되는 결합볼트는 교량받침(110)과 상부구조(20)를 견고히 결합함으로써 부모멘트에 저항력이 증가될 수 있다. 결합볼트(121)와 추가로 체결되는 결합볼트는 상부구조(20)가 셋팅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
제2결합볼트(130)는 교량받침(110)과 교량의 하부구조(1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볼트(130)는 교량의 하부구조(10)에 매설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일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볼트(130)의 볼트는 하부구조(10)에 모르타르, 화학물질, 소켓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결합볼트(130)는 교량받침(110)의 하면에 관통 형성된 제2결합공(131)을 통해 관통 설치되어, 교량받침(110)과 교량의 하부구조(1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교량받침(110)은 하부구조(10)에 견고히 결합되고, 교량의 상부구조(20)와는 다소의 유동이나 만곡이 가능한 정도로 구조가 형성되고 결합됨으로써, 상부구조(20)는 시공중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과 하중에 의한 만곡이 가능하여 온도 응력이나 부모멘트가 발생하지 아니하고, 동시에 횡방향으로의 전도가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교량받침(110)은 그 내부를 연결하는 밀폐면(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면(112)은 교량받침(110)의 하면, 후면, 상면, 회전면, 전면을 연결하면서 밀폐시킬 수 있다. 즉, 밀폐면(112)은 교량받침(110)의 중간에 설치되어 교량받침(110)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밀폐면(112)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밀폐면(112)은 결합공(121)이나 제2결합공(131)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측인 좌우측에서 결합볼트(120)나 제2결합볼트(130)를 체결함에 장애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밀폐면(112)의 좌우측인 외측에 결합공(121)과 제2결합공(13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교량받침(110)의 상면과 교량의 상부구조(20) 사이에 구비되는 슬립플레이트(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립플레이트(113)는 상부구조(20)에 볼트,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슬립플레이트(113)는 하측의 교량받침(110)과 결합볼트(110)에 의해 유동 가능하고, 만곡 가능하게 다소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슬립플레이트(113)는 상부구조(20)에 견고히 결합된 후 교량받침(110)과 상부구조(20)가 유동 가능하고 만곡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슬립플레이트(113)는 강재인 상부구조(20)에 용접 결합되거나, 슬립플레이트(113) 상측에 용접 결합된 앵커볼트가 콘크리트인 상부구조(20) 매설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례인 교량받침 구조(100)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설계 도면에 따라 하면, 후면, 상면, 회전면, 전면을 각각 준비한 후 순차로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교량받침(110)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고 마지막 부분만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교량받침(110)의 상면에는 결합공(121)이 길게 관통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결합공(1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량받침(110) 내부에는 밀폐면(112)이 용접 설치될 수 있다. 밀폐면(112)의 좌우측에 결합공(121)과 제2결합공(13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작된 교량받침(110)의 하면을 교량의 하부구조(10) 즉,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벽체의 상면에 각각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벽체에 안착되는 교량받침(110)은 회전면(111)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벽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교량받침(110)은 교량받침(110)의 하면에 관통된 제2결합공(131)을 통해 제2결합볼트(130)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량받침(110)의 하면은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벽체의 상면에 면접촉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벽체에 결합된 교량받침(110)의 상면에 교량의 상부구조(20)인 거더를 안착시킬 수 있다. 거더의 하면은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교량받침(110)의 상면에 면접촉 되고, 동시에 상기 상면에 관통된 결합공(121)과 거더에 관통된 결합공이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의 결합공(121)으로 결합볼트(120)의 볼트를 돌출시키고, 너트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결합볼트(120)는 거더의 전복을 방지하면서도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나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변형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슬립플레이트(113)는 상부구조(20)인 거더와 볼트, 용접 등으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교량받침(110)은 슬립플레이트(113)와 결합볼트(120)로 다소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슬립플레이트(113)는 저면이 교량받침(1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거나 회전면(111)에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상부구조(20)는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 변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교량받침(110)은 상부구조(20)인 거더의 크기에 따라 교량의 하부구조(10)와 상부구조(20) 사이에 복수로 설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과정으로 교량받침(110)에 안착된 거더가 거더의 자중 등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때, 거더의 양단부는 결합볼트(120)를 따라 교량받침(110)의 상부로 미소하게 이동하고, 동시에 거더의 저면은 회전면(11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후 결합볼트(120)를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더 이상의 유동을 없게 할 수 있다.
상부구조(20)는 시공하는 동안 양단부가 구속되지 아니함으로써, 우각부에서 휨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아 응력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의한 거더의 신축 변위가 구속되지 않아 불필요한 응력이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벽체에 거더를 설치하고, 상기 거더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바닥판과 벽체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라멘교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100')는, 교량받침(110'), 결합볼트(120), 결합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량의 하부구조(10)와 상부구조(20)는 전술한 실시에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생략된 구성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교량받침(110')은 교량의 하부구조(10)와 상부구조(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면과 상면, 후면과 전면, 회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과 상면은 서로 이격되면서 사각 수평면 형상일 수 있다. 후면과 전면은 하면과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각 수직면 형상일 수 있다. 회전면(111)은 하면의 전단부와 전면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후면, 상면, 전면, 회전면 순으로 연결되어 전면 하측이 라운드진 폐사각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교량받침(110')은 전술한 실시예의 교량받침(110)을 뒤집어 설치한 형상이므로, 전체적으로는 전술한 교량받침(110)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결합볼트(120)는 교량받침(110')과 교량의 하부구조(10)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볼트(120)의 일례로 하부구조(10)에 매설되고 상측으로 노출되는 볼트와 볼트의 상측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볼트(120)는 교량받침(110')의 하면에 배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 결합공(121)에 설치될 수 있다. 결합볼트(120)는 교량의 상부구조(20)의 만곡에 따라 교량받침(110')이 회전면(111)을 따라 회전하게 하고, 동시에 온도 변화에 따라 교량받침(110')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다소 느슨하게 체결될 수 있다.
결합구조(140)는 교량받침(110')의 상면과 교량의 상부구조(20)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결합구조(140)는 교량받침(110')과 상부구조(20)를 결합하는 용접이거나, 또는 교량받침(11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된 제2결합공을 통해 상부구조(20)에 결합되는 제2결합볼트(미도시)일 수 있다.
즉, 용접 결합은 상부구조(20)가 강재인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볼트는 상부구조(20)가 강재 뿐 아니라 콘크리트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교량받침(110')의 내부를 연결하는 밀폐면(112)을 더 포함하고, 밀폐면(112)은 교량받침(110')의 하면, 후면, 상면, 전면, 회전면을 연결하여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밀폐면(112)의 좌우측에 결합공과 제2결합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교량받침(110')의 하면과 교량의 하부구조(10) 사이에 구비되는 슬립플레이트(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립플레이트(113)는 하부구조(10)에 볼트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되거나 단순히 설치될 수 있다. 즉, 슬립플레이트(113) 하측에 볼트를 용접 결합하고, 용접 결합된 볼트가 하부구조(10)에 매설될 수 있다. 또한, 하부구조(10)의 상측에 노출된 철근 등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슬립플레이트(113)는 단순히 결합볼트(120)에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슬립플레이트(113)에 형성된 결합볼트(120)의 관통공이 크지 않다면 하중에 의해 안정되게 교량받침(110')을 지지할 수 있다.
교량받침(110')은 슬립플레이트(113) 상측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교량받침(110')의 하면에 형성된 장공에 의해 교량받침(110')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동시에 회전면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부구조(20)는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인 교량받침 구조(100')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설계 도면에 따라 하면, 후면, 상면, 전면, 회전면 순으로 연결되거나 만곡되고, 전면 하측이 라운드진 사각형 형상의 교량받침(11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교량받침(110')의 하면에는 결합공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고, 상면에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받침(110') 내부에는 밀폐면(112)이 더 설치될 수도 있고, 밀폐면(112)의 좌우측에 결합공과 제2결합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작된 교량받침(110')의 하면을 교량의 하부구조(10) 즉,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벽체의 상면에 각각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벽체에 안착되는 교량받침(110')은 회전면(111)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교량받침(110')은 하면에 관통된 결합공(121)을 통해 결합볼트(120)로 하부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결합은 적절한 유동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나소 느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볼트(120)의 볼트 상단부가 결합공(121)으로 돌출되면서 하면이 벽체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량받침(110')의 하면이 벽체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결합공(121)으로 돌출된 결합볼트(120)의 볼트 상측에 너트가 체결되고,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교량받침(110')의 하면이 벽체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대, 상기 교량받침(110')의 하면은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벽체의 상면에 면접촉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벽체에 결합된 교량받침(110')의 상면에 교량의 상부구조(20)인 거더를 안착시키는데, 거더의 하면은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교량받침(110')의 상면에 면접촉되고, 동시에 결합구조(140) 즉, 용접이나 제2결합볼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교량받침(110')과 상부구조(2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교량의 하부구조(10)인 벽체에 설치된 결합볼트(120)에 슬립플레이트(113)와 교량받침(110')의 결합공을 삽입하여 벽체 상면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상기 결합볼트(120)의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교량받침(110') 상면에 거더를 안착시켜 볼트, 용접 또는 별도의 결합부재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교량받침(110')은 상부구조(20)와 견고히 결합된 후, 슬립플레이트(113)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회전면(111)을 이용하여 회전함으로서 거더의 변형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교량받침(110')은 상부구조(20)인 거더의 크기에 따라 교량의 하부구조(10)와 상부구조(20) 사이에 복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의 과정으로 교량받침(110')에 안착된 거더가 거더의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시, 거더의 양단부에 결합된 교량받침(110')은 회전면(111)을 이용하여 적절히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볼트(120)는 다소 느슨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부구조(20)는 시공하는 동안 양단부가 구속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우각부에서 휨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아 응력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의한 상부구조의 신축 변위를 구속시키지 않아 불필요한 응력이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벽체에 거더를 설치한 후, 상기 거더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바닥판과 벽체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라멘교를 제작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면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고, 내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쐐기(200)는 거더 등의 상부구조(20)가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되면서 발생한 공간에 후부로부터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쐐기(200)의 절개홈은 결합볼트(120)를 수용하면서 교량받침(110)과 거더 등의 상부구조(2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쐐기(200)는 미리 후면의 높이가 상이한 즉, 쐐기각이 상이한 여러개를 준비하고, 거더의 변형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이 쐐기(200)는 교량받침(110)과 거더에 면접촉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거더를 받쳐 지지하고, 거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쐐기(200)는 교량받침(110)과 거더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하부구조(10)와 상부구조(20)를 견고히 결합함으로서 시공 후 큰 부모멘트 저항 능력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시공 중에는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과, 자중 등에 의한 만곡을 수용하여 불필요한 응력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하고, 시공 후에는 견고한 부모멘트 저항 능력과 구조적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쐐기(200)는 벽체 등의 하부구조(10)와 그 상측의 교량받침(110')의 회전에 따른 공간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쐐기(200)의 절개홈이 결합볼트(120)을 수용하면서 벽체 등의 하부구조(10)과 교량받침(110') 사이에 삽입되고, 동시에 쐐기(200)가 벽체와 교량받침(110')에 면접촉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교량받침(110')을 받쳐 지지하고, 교량받침(110') 및 거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교량받침(110')의 하측에 삽입되는 쐐기(200)는 교량받침(110)의 상측에 삽입되는 쐐기(200)와 효과가 동일하다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100': 교량 받침구조
110,110': 교량받침
111: 회전면
112: 밀폐면
113: 슬립플레이트
120: 결합볼트
130: 제2결합볼트
140: 결합구조
200: 쐐기

Claims (7)

  1. 교량의 하부구조와 상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이격되면서 수평면 형상인 하면과 상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수직면 형상의 후면과 전면, 및 상기 상면의 전단부와 상기 전면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후면, 상면, 회전면, 전면 순으로 연결되어 전면 상측이 라운드진 폐사각형 형상의 교량받침;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에 배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상부구조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교량받침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하부구조를 견고히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회전면에 의하여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는 시공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과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됨으로써 온도응력과 부모멘트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하면, 후면, 상면, 회전면, 전면을 내부에서 연결하면서 밀폐하는 밀폐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과 제2결합공은 상기 밀폐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전면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고, 내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쐐기는 상기 상부구조가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되면서 상기 교량받침과 상기 상부구조 사이에 발생한 공간에 후부로부터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교량의 상부구조 사이에 구비되는 슬립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립플레이트는 상기 상부구조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되고,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과는 상기 결합볼트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4. 교량의 하부구조와 상부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이격되면서 수평면 형상인 하면과 상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수직면 형상의 후면과 전면, 및 상기 하면의 전단부와 상기 전면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후면, 상면, 전면, 회전면 순으로 연결되어 전면 하측이 라운드진 폐사각형 형상의 교량받침;
    상기 교량받침의 하면에 배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하부구조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과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를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조는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과 교량의 상부구조를 견고히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 또는 상기 교량받침의 상면과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를 결합하는 용접이고,
    상기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회전면에 의하여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는 시공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과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됨으로써 온도응력과 부모멘트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하면, 후면, 상면, 전면, 회전면을 내부에서 연결하면서 밀폐하는 밀폐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과 제2결합공은 상기 밀폐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전면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고, 내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쐐기는 상기 상부구조가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되면서 상기 교량받침과 상기 하부구조 사이에 발생한 공간에 후부로부터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면과 교량의 하부구조 사이에 구비되는 슬립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7.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4, 청구항 6 중 한 항의 교량 받침구조를 이용한 라멘교량에 있어서,
    서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벽체;
    상기 한 쌍의 벽체의 상측 각각에 설치되는 상기 교량 받침구조;
    상기 교량 받침구조 상측에 설치되는 거더;
    상기 교량 받침구조를 내포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라멘교량.
KR1020210011129A 2021-01-27 2021-01-27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KR10226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29A KR102268895B1 (ko) 2021-01-27 2021-01-27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29A KR102268895B1 (ko) 2021-01-27 2021-01-27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895B1 true KR102268895B1 (ko) 2021-06-24

Family

ID=7660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129A KR102268895B1 (ko) 2021-01-27 2021-01-27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7263A (zh) * 2021-08-13 2021-12-07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的主轴轴承座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10U (ja) * 1991-05-16 1993-04-20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橋梁等の構造物の支承装置
KR20090117592A (ko) * 2008-05-09 2009-11-12 (주)삼현피에프 단순보 형식으로 제작되어 지점부에서 발생되는 휨모멘트를최소화하는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KR101198812B1 (ko) 2012-05-11 2012-11-07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244894B1 (ko) * 2012-06-14 2013-03-18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
JP2014040753A (ja) * 2012-08-23 2014-03-06 Asahi Engineering Kk 橋桁支持構造
KR101637330B1 (ko) * 2016-02-05 2016-07-07 강경훈 오차보정이 가능한 라멘교의 거더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808825B1 (ko) 2016-12-02 2017-12-13 (주)아이오컨스텍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KR102059631B1 (ko) * 2019-03-25 2019-12-26 김준영 설치 시의 오차 보정을 위한 변위 수용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의 변위 수용이 가능한 거더용 받침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10U (ja) * 1991-05-16 1993-04-20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橋梁等の構造物の支承装置
KR20090117592A (ko) * 2008-05-09 2009-11-12 (주)삼현피에프 단순보 형식으로 제작되어 지점부에서 발생되는 휨모멘트를최소화하는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KR101052305B1 (ko) 2008-05-09 2011-07-27 (주)삼현피에프 단순보 형식으로 제작되어 지점부에서 발생되는 휨모멘트를최소화하는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KR101198812B1 (ko) 2012-05-11 2012-11-07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244894B1 (ko) * 2012-06-14 2013-03-18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
JP2014040753A (ja) * 2012-08-23 2014-03-06 Asahi Engineering Kk 橋桁支持構造
KR101637330B1 (ko) * 2016-02-05 2016-07-07 강경훈 오차보정이 가능한 라멘교의 거더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808825B1 (ko) 2016-12-02 2017-12-13 (주)아이오컨스텍 시공 중 상부거더의 설치높이 조절 및 변위 수용과 전도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KR102059631B1 (ko) * 2019-03-25 2019-12-26 김준영 설치 시의 오차 보정을 위한 변위 수용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의 변위 수용이 가능한 거더용 받침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7263A (zh) * 2021-08-13 2021-12-07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的主轴轴承座
CN113757263B (zh) * 2021-08-13 2023-05-16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的主轴轴承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066B1 (ko)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ps)개복식 콘크리트 아치교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5713747B2 (ja) 立体高架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728700B1 (ko) 흙막이 가시설용 보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
HUE030423T2 (en) Steel sheet structure and steel sheet concrete wall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2007239250A (ja) 立体高架橋構造の施工方法
KR101962853B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20170027234A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268895B1 (ko)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KR102107191B1 (ko) 거더결합용 케이싱을 이용한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JP5217428B2 (ja) 橋梁の柱頭部または桁端部の複合中空構造
KR101447722B1 (ko) 저형고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17878A (ko) 교량 상부 구조의 가로보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2433658B1 (ko) 힌지형 지점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시공방법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02908A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JP4038821B2 (ja) 道路拡張構造
EP0253150A2 (en) Wall of pre-cast panels, particulary for earth-retaining and for building liquid-holding tanks
KR102199927B1 (ko) 부반력 제어 및 낙교 방지 강재박스 거더교
JPH0579017A (ja) 複合橋脚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