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944A -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 Google Patents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944A
KR20130092944A KR1020120149637A KR20120149637A KR20130092944A KR 20130092944 A KR20130092944 A KR 20130092944A KR 1020120149637 A KR1020120149637 A KR 1020120149637A KR 20120149637 A KR20120149637 A KR 20120149637A KR 20130092944 A KR20130092944 A KR 2013009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psc
type
eas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262B1 (ko
Inventor
박근화
노경범
노우현
노옥근
노실근
Original Assignee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경기술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SC I형 거더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철근콘크리트블록을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철근콘크리트블록에 의해서 구조역학적으로 교량 신설시 PSC I형 거더의 전도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교량 완공시에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완벽한 기능을 하며, 공용중 유지관리를 위한 교좌장치 교체시에는 교량 상하부 구체의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교량을 인상할 수 있도록 한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내측거더와 상기 내측거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거더로 구성되는 PSC I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내측거더의 지점부 복부 양측에 내측거더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측거더는 지점부 복부 일측에 외측거더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PSC I-type girder for easy maintenance and fall prevention}
본 발명은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PSC I형 거더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철근콘크리트블록을 돌출 형성시켜 철근콘크리트블록에 의해서 구조역학적으로 PSC I형 거더의 전도가 방지되도록 한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SC I형 거더는 PC강선의 편심효율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상부플랜지가 하부플랜지보다 폭이 커 PSC I형 거더의 무게중심이 상부에 치우쳐져 있으며, 또한 경제성을 고려하여 가격이 타교량 형식보다 저렴하여 장경간화를 추진함에 따라 PSC I형 거더의 형고가 대폭 증대되고 있어, PSC I형 거더의 제작, 운반 거치 등 시공시에 많은 전도사고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PSC I형 거더의 전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PSC I형 거더를 제작 및 시공하는 과정에서 번번이 PSC I형 거더에 전도방지시설을 시공함에 따라 인력과 자재의 낭비가 자주 발생하고, 시공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PSC I형 거더의 각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도사고로 인하여 인적, 물적 피해가 다수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공사관리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은 현실적으로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공용중에 있는 PSC I형 교량의 PSC I형 거더를 유지관리하기 위해 교좌장치를 교체할 경우에도 교량 인상용 유압잭과 교대 및 교각의 상부와의 연단거리 부족으로 인하여 교대 및 교각의 상부가 파손되어 PSC I형 거더가 주저앉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PSC I형 거더의 파손 및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교량인상용 강재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자재와 인력의 추가 소요로 교좌장치 교체 공사비가 대폭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교좌장치 교체의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해 교량인상용 강재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체가 아닌 단순히 활하중의 하중분배 역할만 하는 가로보의 하면에 교량 인상용 유압잭을 설치하여 교량을 인상하다가 가로보를 파손하거나 균열을 야기시켜 PSC I형 거더를 주저앉히거나 가로보의 역할을 감소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는 특허 제10-1034013호 (명칭: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은 도 1a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를 설치할 위치에 성토작업을 실시하고, 파일을 시공한 다음, 교대를 시공하고, 교대 벽체의 상면에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단계; 길이방향의 양쪽 끝단에 각각 온도변화에 의한 교대 뒷채움부 토압에 저항하고,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되는 활하중을 교대에 분배하는 단부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거더를 교량 받침 위에 거치한 후 이웃하는 거더를 가로보로 연결하는 단계; 거더의 단부 격벽 사이의 공간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이웃하는 거더의 단부 격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 및 교대의 배면에 뒷채움을 실시한 후 바닥판과 접속슬래브를 동시에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는 I자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거더 본체와; 거더 본체의 양쪽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거더 본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고 단부면에는 각각 수직홈이 형성된 단부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은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하여 거치시 별도의 전도방지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거더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고, 급속 시공이 가능하며 주행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은 교대의 신축이음장치를 배제하기 위한 구조이며, 내측지점부에서 종방향으로 연결 합성이 거더의 단부 PC강선정착부에서 무수축 모르타르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연결 강성이 매우 약하며, 거더 양측으로 돌출된 블록간에는 연결 합성수단을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하여, 내측지점부에서는 가로보를 겸용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블록을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블록에 의해서 구조역학적으로 교량 신설시 PSC I형 거더의 전도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교량 완공시에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완벽한 기능을 하며, 공용중 유지관리를 위한 교좌장치 교체시에는 교량 상하부 구체의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교량을 인상할 수 있도록 한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내측거더와 상기 내측거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거더로 구성되는 PSC I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내측거더의 지점부 복부 양측에 내측거더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측거더는 지점부 복부 일측에 외측거더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블록에 의해서 전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안전성을 완벽히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PSC I형 거더의 전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PSC I형 거더의 장경간화와 고형고화를 도모하여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PSC I형 거더의 공용 중 교좌장치 교체 시 PSC I형 거더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성이 향상되며, 경제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PSC I형 거더의 형태가 직교 및 사교에 관계없이 모든 거더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단부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단부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단부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의 단부 격벽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종래의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시공을 도시한 공정도,
도 7 내지 도 10은 종래의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3경간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시공을 도시한 공정도,
도 11은 종래의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주요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1,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1,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1,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1,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1,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1,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1,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1,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직교 평면도 1,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사교 평면도 1,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 및 종방향 연결합성 상태를 도시한 연속경간 직교 평면도 1,
도 23은 도 22의 A-A'선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B-B'선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 및 종방향 연결합성 상태를 도시한 연속경간 사교 평면도 1,
도 26은 도 25의 A-A'선 단면도,
도 27은 도 25의 B-B'선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1,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1,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1,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1,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공용중 돌출된 철근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2,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2,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2,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2,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2,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2,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2,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2,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1,
도 42는 도 41의 A-A'선 단면도,
도 43은 도 41의 B-B'선 단면도,
도 44는 도 41의 C-C'선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1,
도 46은 도 45의 A-A'선 단면도,
도 47은 도 45의 B-B'선 단면도,
도 48은 도 45의 C-C'선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직교 평면도 2,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사교 평면도 2,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의 설치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5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공용중 돌출된 철근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2,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3,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3,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3,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3,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3,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3,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3,
도 6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3,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65는 도 64의 A-A'선 단면도,
도 66은 도 64의 B-B'선 단면도,
도 67은 도 64의 C-C'선 단면도,
도 6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69는 도 68의 A-A'선 단면도,
도 70은 도 68의 B-B'선 단면도,
도 71은 도 68의 C-C'선 단면도,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직교 평면도 3,
도 7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사교 평면도 3,
도 7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의 설치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3,
도 7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3,
도 7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3,
도 7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공용중 돌출된 철근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3,
도 7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4,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4,
도 8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4,
도 8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4,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84는 도 83의 A-A'선 단면도,
도 85는 도 83의 B-B'선 단면도,
도 86은 도 83의 C-C'선 단면도,
도 8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3,
도 88은 도 87의 A-A'선 단면도,
도 89는 도 87의 B-B'선 단면도,
도 90은 도 87의 C-C'선 단면도,
도 9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직교 평면도 4,
도 9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사교 평면도 4,
도 9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의 설치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4,
도 9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4,
도 9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4,
도 9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3,
도 9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공용중 돌출된 철근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4.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1,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1,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1,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1,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1,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1,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1,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1,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직교 평면도 1,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사교 평면도 1,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 및 종방향 연결합성 상태를 도시한 연속경간 직교 평면도 1, 도 23은 도 22의 A-A'선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B-B'선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 및 종방향 연결합성 상태를 도시한 연속경간 사교 평면도 1, 도 26은 도 25의 A-A'선 단면도, 도 27은 도 25의 B-B'선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1,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1,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1,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1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내측거더(IG)와 상기 내측거더(IG)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거더(OG)로 구성되는 PSC I형 거더(G)에 있어서, 상기 내측거더(IG)의 지점부 복부(W) 양측에 내측거더(IG)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RC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측거더(OG)는 지점부 복부(W) 일측에 외측거더(OG)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RC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PSC I형 거더(G)의 내측거더(IG)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OG)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블록(RCB)을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형성하면, 상기 블록(RCB)에 의해 구조역학적으로 전도가 방지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블록(RCB)은 직교용 거더(SG)의 복부(W) 좌우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RCB)은 사교용 거더(CG)의 복부(W) 좌우 양측에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블록(RCB)의 설치는 내측거더(IG)의 복부(W) 좌우 양측에 설치하고, 외측거더(OG)는 복부(W) 좌우 일측에 설치하며, 직교용 거더(SG)에는 복부(W)의 직각방향으로 설치하고, 사교용 거더(CG)에는 복부(W)에 경사지게 설치한다.
한편, 상기 내측거더(IG)의 블록(RCB)은 단면형상이 내측거더(IG)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단면형상이 내측거더(IG)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측거더(IG)의 양단부 무게중심축 하부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측거더(IG)의 양단부 무게중심축 하부의 높이를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블록(RCB)의 규모 및 형상은 제작되는 PSC I형 거더(G)의 형고나 단면특성을 고려하여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와 동일한 규모의 사각형 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 보다 낮은 규모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 보다 낮은 마름모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형태에 따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와 동일한 규모의 사각형 형상의 블록(RCB)은 우선 제작장에서 제작이 쉽고, 교대(A) 및 교각(P)에 설치 후, 인접 PSC I형 거더(G) 간의 연결합성은 용이하나, PSC I형 거더(G)의 단부 무게중심축이 상부부분에 있으므로 하부가 안정되지 않아 운반 및 거치시에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PSC I형 거더(G)의 양단부 부분의 무게중심축 하부에 사각형 형상의 블록(RCB)은 운반 및 거치시에 무게중심축이 하부부분에 있어, 시공상 안전성은 유리하나, PSC I형 거더(G)의 제작이 다소 번거롭다.
셋째, PSC I형 거더(G)의 양단부 부분 무게중심축 하부는 마름모꼴 형상의 블록(RCB)으로 형성하면 무게중심축이 하부부분에 있어, 시공상 안전성이 유지되고, 인접 PSC I형 거더(G)간 연결합성도 용이하나, 제작장에서 제작이 다소 번거롭다.
첫째에서 셋째까지 3가지 방법 모두 각각의 시공상 장단점이 있는 관계로 PSC I형 거더(G)의 형상과 시공여건을 고려하여 블록(RCB)의 형태를 탄력적으로 결정하면 가장 효율적인 시공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된 PSC I형 거더(G)를 가장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가 장경간화되거나, 형고가 높거나, PSC I형 거더(G)의 효율향상을 위해 무게중심을 상부로 대폭 편기시키는 각 시공과정에서 안전성이 담보되므로 PSC I형 거더(G)의 추가적인 기술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SC I형 거더(G)의 슬래브(S)가 비연속화하는 외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은 횡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로 상호 합성 연결된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의 슬래브(S)가 연속화하는 내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와 연결강봉(SB)에 의해 상호 합성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RCB)은 강합성 콘크리트블록 또는 강재블록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RCB)은 공용중 교좌장치 교체시에 교량인상용 지지점으로 사용되고, 외부강선 보강시에는 PC강선정착부(EPCA)의 정착블록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PSC I형 거더(G)는 PSC U형 거더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PSC I형 거더(G)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IG)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OG)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블록(RCB)을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형성하면, 상기 블록(RCB)에 의해 구조역학적으로 전도가 방지되는 구조로써, 제작장에서 PSC I형 거더(G)의 제작과 제작 후, 트레일러에 의한 운반, 크레인에 의한 교대(A) 및 교각(P)에 거치시에도 전도 안전성이 대폭 증대되어 각 시공과정에서 별도의 전도방지 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한, 공용중에 유지관리를 위한 교좌장치 교체시에도 지점부 양단부 좌우 양측에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돌출 형성된 블록(RCB)의 하면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인상하면, 교대(A) 및 교각(P) 상부에서 충분한 연단거리가 확보되어, 교량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교량을 인상할 수 있으므로 값비싼 강재브라켓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공사비도 대폭절감 할 수 있고, 유압잭의 설치 위치를 PSC I형 거더(G) 좌우에 복수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교량 상부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가로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로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돌출 형성된 블록(RCB)은 교대(A), 교각(P)에 거치 후에는 전도방지 역할 이외에 활하중 분배를 위한 가로보로의 역할도 겸하도록 하기 위해, 슬래브(S)가 비연속화하는 외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이 횡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 타설 철근콘크리트로 상호합성 연결되어 하중의 횡분배를 담당하도록 하고, 슬래브(S)가 연속화하는 내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에 각각 돌출 형성된 블록(RCB)과 현장 타설 철근콘크리트와 연결강봉(SB)에 의해 상호합성 연결되어 하중의 횡분배를 담당하는 가로보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 경우도 가로보의 설치를 위한 시공이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제작장에서 기제작되어 거치된 전도방지와 유지관리가 용이한 블록(RCB)의 연결 합성부분만 시공하므로 가로보의 시공과정을 대폭단축 할 수 있어, 공중에서 시공에 따른 안전성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된 블록(RCB)은 공용중 유지관리시에 외부강선보강용 PC강선정착부(EPCA)로도 활용할 수 있어, 그 용도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공용중 돌출된 철근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2,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2,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2,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2,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2,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2,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2,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2,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1, 도 42는 도 41의 A-A'선 단면도, 도 43은 도 41의 B-B'선 단면도, 도 44는 도 41의 C-C'선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1, 도 46은 도 45의 A-A'선 단면도, 도 47은 도 45의 B-B'선 단면도, 도 48은 도 45의 C-C'선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직교 평면도 2,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사교 평면도 2,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의 설치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5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공용중 돌출된 철근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내측거더(IG)와 상기 내측거더(IG)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거더(OG)로 구성되는 PSC I형 거더(G)에 있어서, 상기 내측거더(IG)의 지점부 복부(W) 양측에 내측거더(IG)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RC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측거더(OG)는 지점부 복부(W) 일측에 외측거더(OG)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RC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PSC I형 거더(G)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IG)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OG)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블록(RCB)을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형성하면 지점부 양단부에 좌우 양측 또는 일측에 돌출 형성된 블록(RCB)에 의해 구조역학적으로 전도가 방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블록(RCB)은 직교용 거더(SG)의 복부(W) 좌우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RCB)은 사교용 거더(CG)의 복부(W) 좌우 양측에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블록(RCB)은 그 단면형상이 내측거더(IG)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측거더(IG)의 양단부 무게중심축 하부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측거더(IG)의 양단부 무게중심축 하부의 높이를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의 슬래브(S)가 비연속화하는 외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은 횡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로 상호 합성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PSC I형 거더(G)의 슬래브(S)가 연속화하는 내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와 연결강봉(SB)에 의해 상호 합성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블록(RCB)은 철근콘크리트블록, 강합성콘크리트블록 또는 강재블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RCB)은 공용중 교좌장치 교체시에 교량인상용 지지점으로 사용되고, 외부강선 보강시에는 외부강선보강용 PC강선정착부(EPCA)의 정착블록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블록(RCB)은 PSC U형 거더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PSC I형 거더(G)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IG)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OG)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블록(RCB)을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형성하면 지점부 양단부에 좌우 양측 또는 일측에 돌출 형성된 블록(RCB)에 의해 구조역학적으로 전도가 방지되는 구조이므로, 제작장에서 PSC I형 거더(G)의 제작과 제작 후, 트레일러에 의한 운반, 크레인에 의한 교대(A) 및 교각(P)에 거치시에도 전도 안전성이 대폭 증대되어 각 시공과정에서 별도의 전도방지 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가 장경간화되거나, 형고가 높거나 PSC I형 거더(G)의 효율향상을 위해 무게중심을 상부로 대폭 편기시키는 각 시공과정에서 안전성이 담보되므로 PSC I형 거더(G)의 추가적인 기술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에 블록(RCB) 설치는 내측거더(IG)는 지점부 좌우 양측에 설치하고, 외측거더(OG)는 지점부 좌우의 일측에 설치하며, 직교용 거더(SG)는 직각방향으로 설치하고, 사교용 거더(CG)는 경사진 각도를 고려하여 경사지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한 블록(RCB)의 규모 및 형상은 제작되는 PSC I형 거더(G)의 형고나 단면특성을 고려하여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와 동일한 규모의 사각형 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보다 낮은 규모의 사각형 형상이거나,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보다 낮으면서 마름모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형태에 따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와 동일한 규모의 사각형 형상의 블록(RCB)은 우선 제작장에서 제작이 쉽고, 교대(A) 및 교각(P)에 설치 후, 인접 PSC I형 거더(G)간의 연결합성은 쉬우나 PSC I형 거더(G)의 단부부분 무게중심축이 상부부분에 있어 하부가 안정되지 않아 운반, 거치시 안전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PSC I형 거더(G)의 양단부 부분의 무게중심축 하부에 사각형 형상의 블록(RCB)은 운반, 거치시 무게중심축이 하부부분에 있어 시공상 안전성은 유리하나 PSC I형 거더(G)의 제작이 다소 번거롭다.
셋째, PSC I형 거더(G)의 양단부 부분 무게중심축 하부에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에는 삼각형 형상으로 블록(RCB)을 형성하면 무게중심축이 하부부분에 있어, 시공상 안전성이 유지되고, 인접 PSC I형 거더(G) 간 연결합성도 용이하나 제작장에서 제작이 다소 번거롭다.
첫째에서 셋째까지 3가지 방법 모두 각각의 시공상 장단점이 있는 관계로 PSC I형 거더(G)의 형상과 시공여건을 고려하여 블록(RCB)의 형태를 탄력적으로 결정하면 가장 효율적인 시공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된 PSC I형 거더(G)를 가장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공용중에 유지관리를 위한 교좌장치 교체시에도 지점부 양단부부분 좌우 양측에 PSC I형 거더(G)와 일체화된 구조로 돌출 형성된 블록(RCB)의 하면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인상하면 교대(A) 및 교각(P) 상부에서 충분한 연단거리가 확보되어 교량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교량을 인상할 수 있으므로 값비싼 강재브라켓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공사비도 대폭절감 할 수 있고, 유압잭의 설치 위치를 PSC I형 거더(G) 좌우에 복수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교량 상부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가로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로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돌출 형성된 블록(RCB)은 교대(A), 교각(P)에 거치 후에는 전도방지 역할 이외에 활하중 분배를 위한 가로보로의 역할도 겸하도록 하기 위해, 슬래브(S)가 비연속화하는 외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이 횡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로 상호합성 연결되어 하중의 횡분배를 담당하고, 슬래브(S)가 연속화하는 내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에 각각 돌출 형성된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와 연결강봉(SB)에 의해 상호합성 연결되어 하중의 횡분배를 담당하는 가로보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 경우도 가로보의 설치를 위한 시공이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된 블록(RCB)으로 제작장에서 기제작되어 거치된 전도방지와 유지관리가 용이한 블록(RCB)의 연결 합성부분만 시공하므로 가로보의 시공과정을 대폭 단축할 수 있어, 공중에서 시공에 따른 안전성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형성된 블록(RCB)은 공용중 유지관리시에 외부강선보강을 위한 외부강선보강용 정착부(EPCA)로도 활용할 수 있어, 그 용도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3,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3,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3,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3,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3,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3,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3, 도 6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3,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65는 도 64의 A-A'선 단면도, 도 66은 도 64의 B-B'선 단면도, 도 67은 도 64의 C-C'선 단면도, 도 6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69는 도 68의 A-A'선 단면도, 도 70은 도 68의 B-B'선 단면도, 도 71은 도 68의 C-C'선 단면도,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직교 평면도 3, 도 7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사교 평면도 3, 도 7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의 설치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3, 도 7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3, 도 7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3, 도 7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2,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공용중 돌출된 철근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3이며, 도 7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4,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4, 도 8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직교 평면도 4, 도 8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를 도시한 사교 평면도 4,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내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84는 도 83의 A-A'선 단면도, 도 85는 도 83의 B-B'선 단면도, 도 86은 도 83의 C-C'선 단면도, 도 8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외측지점부를 도시한 단면도 3, 도 88은 도 87의 A-A'선 단면도, 도 89는 도 87의 B-B'선 단면도, 도 90은 도 87의 C-C'선 단면도, 도 9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직교 평면도 4, 도 9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간 횡방향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경간 사교 평면도 4, 도 9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거더의 설치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4, 도 9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설치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4, 도 9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4, 도 9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교좌장치 교체시 교각을 도시한 횡단면도 3, 도 9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의 공용중 돌출된 철근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4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내측거더(IG)와 상기 내측거더(IG)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거더(OG)로 구성되는 PSC I형 거더(G)에 있어서, 상기 내측거더(IG)의 지점부 복부(W) 양측에 내측거더(IG)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RC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측거더(OG)는 지점부 복부(W) 일측에 외측거더(OG)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RC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PSC I형 거더(G)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IG)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OG)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블록(RCB)을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형성하면 지점부 양단부에 좌우 양측 또는 일측에 돌출 형성된 블록(RCB)에 의해 구조역학적으로 전도가 방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블록(RCB)은 직교용 거더(SG)의 지점부 복부(W) 좌우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RCB)은 사교용 거더(CG)의 지점부 복부(W) 좌우 양측에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블록(RCB)은 그 단면형상이 내측거더(IG)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측거더(IG)의 양단부 무게중심축 하부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측거더(IG)의 양단부 무게중심축 하부의 높이를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의 슬래브(S)가 비연속화하는 외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은 횡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로 상호 합성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PSC I형 거더(G)의 슬래브(S)가 연속화하는 내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와 연결강봉(SB)에 의해 상호 합성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블록(RCB)은 강합성 콘크리트블록 또는 강재블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RCB)은 공용중 교좌장치 교체시에 교량인상용 지지점으로 사용되고, 외부강선 보강시에는 외부강선보강용 PC강선정착부(EPCA)의 정착블록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는 PSC U형 거더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PSC I형 거더(G)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블록(RCB)을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형성하면 지점부 양단부에 좌우 양측 또는 일측에 돌출 형성된 블록(RCB)에 의해 구조역학적으로 전도가 방지되는 구조이므로, 제작장에서 PSC I형 거더(G)의 제작과 제작 후, 트레일러에 의한 운반, 크레인에 의한 교대(A) 및 교각(P)에 거치시에도 전도 안전성이 대폭 증대되어, 각 시공과정에서 별도의 전도방지 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가 장경간화되거나 형고가 높거나 PSC I형 거더(G)의 효율향상을 위해 무게중심을 상부로 대폭 편기시키는 각 시공과정에서 안전성이 담보되므로 PSC I형 거더(G)의 추가적인 기술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G)에 블록(RCB)의 설치는 내측거더는 지점부 좌우 양측에 설치하고, 외측거더는 지점부 좌우의 일측에 설치하며, 직교용 거더(SG)는 직각방향으로 설치하고, 사교용 거더(CG)는 경사진 각도를 고려하여 경사지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한 블록(RCB)의 규모 및 형상은 제작되는 PSC I형 거더(G)의 형고나 단면특성을 고려하여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와 동일한 규모의 사각형 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보다 낮은 규모의 사각형 형상이거나,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보다 낮으면서 마름모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형태에 따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PSC I형 거더(G)의 형고 높이와 동일한 규모의 사각형 형상의 블록(RCB)은 우선 제작장에서 제작이 쉽고, 교대(A) 및 교각(P)에 설치 후, 인접 PSC I형 거더(G)간의 연결합성은 쉬우나 PSC I형 거더(G)의 단부부분 무게중심축이 상부부분에 있어 하부가 안정되지 않아 운반, 거치시 안전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PSC I형 거더(G)의 양단부 부분의 무게중심축 하부에 사각형 형상의 블록(RCB)은 운반, 거치시 무게중심축이 하부부분에 있어, 시공상 안전성은 유리하나, PSC I형 거더(G)의 제작이 다소 번거롭다.
셋째, PSC I형 거더(G)의 양단부 부분 무게중심축 하부에 마름모꼴 형상의 블록(RCB)으로 전체적으로 마름모꼴로 형성하면 무게중심축이 하부부분에 있어, 시공상 안전성이 유지되고 인접 PSC I형 거더(G)간 연결합성도 용이하나 제작장에서 제작이 다소 번거롭다.
첫째에서 셋째까지 3가지 방법 모두 각각의 시공상 장단점이 있는 관계로 PSC I형 거더(G)의 형상과 시공여건을 고려하여 블록(RCB)의 형태를 탄력적으로 결정하면 가장 효율적인 시공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된 PSC I형 거더(G)를 가장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가 장경간화되거나, 형고가 높거나, PSC I형 거더(G)의 효율향상을 위해 무게중심을 상부로 대폭 편기시키는 각 시공과정에서 안전성이 담보되므로 PSC I형 거더(G)의 추가적인 기술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SC I형 거더(G)의 슬래브(S)가 비연속화하는 외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은 횡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와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로 상호 합성 연결된다.
또한, 상기 PSC I형 거더(G)의 슬래브(S)가 연속화하는 내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 좌우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와 연결강봉(SB)에 의해 상호 합성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RCB)은 철근콘크리트블록, 강합성콘크리트블록, 강재블록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RCB)은 공용중 교좌장치 교체시에 교량인상용 지지점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RCB)은 외부강선 보강시에는 PC강선정착부(EPCA)의 정착블록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블록(RCB)은 PSC U형 거더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는 PSC I형 거더(G)의 내, 외측지점부 양단부에서 내측거더(IG)는 좌우 양측에, 외측거더(OG)는 좌우 일측에 일정한 크기의 블록(RCB)을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형성하면, 상기 블록(RCB)에 의해 구조역학적으로 전도가 방지되는 구조로써, 제작장에서 PSC I형 거더(G)의 제작 및 제작 후, 트레일러에 의한 운반, 크레인에 의한 교대(A) 및 교각(P)에 거치시에도 전도 안전성이 대폭 증대되어 각 시공과정에서 별도의 전도방지 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이 증대된다.
또한, 공용중에 유지관리를 위한 교좌장치 교체시에도 블록(RCB)의 하면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인상하면 교대(A) 및 교각(P) 상부에서 충분한 연단거리가 확보되어 교량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교량을 인상할 수 있으므로 값비싼 강재브라켓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유압잭의 설치 위치를 PSC I형 거더(G) 좌우에 복수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교량 상부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가로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로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PSC I형 거더(G)와 일체화된 구조체로 돌출 형성된 블록(RCB)은 교대(A), 교각(P)에 거치 후에는 전도방지 역할 이외에 활하중 분배를 위한 가로보로의 역할도 겸하도록 하기 위해, 슬래브(S)가 비연속화하는 외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이 횡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의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로 상호합성 연결되어 하중의 횡분배를 담당하고, 슬래브가 연속화하는 내측지점부에서는 지점부 복부(W)에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RCB)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인접한 PSC I형 거더(G)에 각각 돌출 형성된 블록(RCB)과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와 연결강봉(SB)에 의해 상호합성 연결되어 하중의 횡분배를 담당하는 가로보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 경우도 가로보의 설치를 위한 시공이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제작장에서 기제작되어 거치된 전도방지와 유지관리가 용이한 블록(RCB)의 연결 합성부분만 시공하므로 가로보의 시공과정을 대폭단축 할 수 있어, 공중에서 시공에 따른 안전성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PSC I형 거더(G)와 일체로 된 블록(RCB)은 공용중 유지관리시에 외부강선보강을 위한 외부강선보강용 정착부(EPCA)로도 활용할 수 있어, 그 용도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A: 교대 CG: 사교용 거더
CL: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합성구간 EPCA: 외부강선보강용 PC강선정착부
G: PSC I형 거더 IG: PSC I형 거더의 내측거더
M: 무수축모르타르 OG: PSC I형 거더의 외측거더
P: 교각 PC: PC강선
PCA: PC강선정착부 RCB: 블록
SB: 연결강봉 SBH: 연결강봉설치구멍
SG: 직교용 거더 W: 복부

Claims (4)

  1. 내측거더(IG)와 상기 내측거더(IG)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거더(OG)로 구성되는 PSC I형 거더(G)에 있어서,
    상기 내측거더(IG)의 지점부 복부(W) 양측에 내측거더(IG)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RC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측거더(OG)는 지점부 복부(W) 일측에 외측거더(OG)의 형고 높이 이하로 일정 폭의 블록(RC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거더(IG)의 블록(RCB)은 단면형상이 내측거더(IG)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단면형상이 내측거더(IG)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측거더(IG)의 양단부 무게중심축 하부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측거더(IG)의 양단부 무게중심축 하부의 높이를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RCB)과 블록(RCB)과의 연결은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로 상호 합성 연결되거나,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와 연결강봉(SB)에 의해 상호 합성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RCB)은 공용중 교좌장치 교체시에는 교량인상용 지지점으로 사용되거나 외부강선 보강시에는 PC강선정착부(EPCA)의 정착블록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KR1020120149637A 2012-02-13 2012-12-20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KR101561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4173 2012-02-13
KR1020120014173 2012-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944A true KR20130092944A (ko) 2013-08-21
KR101561262B1 KR101561262B1 (ko) 2015-10-19

Family

ID=4921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637A KR101561262B1 (ko) 2012-02-13 2012-12-20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158A (ko) 2014-06-10 2015-12-22 (주)지승컨설턴트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KR101713653B1 (ko) * 2016-06-03 2017-03-08 유근무 전도방지 psc 빔을 이용한 교량의 시공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847B1 (ko) 2021-08-02 2022-06-30 주식회사 빌드윈 잔교용 거더의 연결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178A (ja) * 2003-03-05 2004-09-30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Pc橋の桁構造
KR200395542Y1 (ko) * 2005-06-17 2005-09-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중공슬래브 전단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158A (ko) 2014-06-10 2015-12-22 (주)지승컨설턴트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KR101713653B1 (ko) * 2016-06-03 2017-03-08 유근무 전도방지 psc 빔을 이용한 교량의 시공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262B1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CN110820561A (zh) 一种大悬臂预应力盖梁支架装置及施工方法
KR101840763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CN106149576A (zh) 上跨既有线桥梁整组拆除与安装施工方法
CN104404887B (zh) 一种大跨度钢管拱桥无支架吊装工艺
JP5367297B2 (ja) プレキャスト横桁とプレキャスト縦桁とを備えた橋梁およびその施工法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20130092944A (ko)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KR101395114B1 (ko)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파형 강판 웨브 피에스씨 거더교의 슬래브 구조
CN205662832U (zh) 下承式贝雷梁钢便桥
KR101243777B1 (ko)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300296B1 (ko) 스템형상을 갖는 격벽교대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CN204530425U (zh) 预应力钢桁架桥
KR101404481B1 (ko) 거더 제작이 협소한 곳에서의 복공판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CN105821908A (zh) 一种多重止水带、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9209574A (ja) 橋梁の架設工法及び架設構造
CN102535344A (zh) 一种用于沟壑地区高墩桥梁梁体混凝土运输的方法
KR20080093261A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CN210599005U (zh) 一种tbm隧道仰拱块衬砌结构
CN209907211U (zh) 一种钢梁落梁装置
CN202718126U (zh) 深基坑土方开挖转换平台
KR101043710B1 (ko) 가각부가 형성된 하로교 및 하로교에 가각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CN211228134U (zh) 一种大悬臂预应力盖梁支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