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542Y1 - 중공슬래브 전단키 - Google Patents

중공슬래브 전단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542Y1
KR200395542Y1 KR20-2005-0017564U KR20050017564U KR200395542Y1 KR 200395542 Y1 KR200395542 Y1 KR 200395542Y1 KR 20050017564 U KR20050017564 U KR 20050017564U KR 200395542 Y1 KR200395542 Y1 KR 200395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lab
shear key
shear
concre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원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삼표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변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삼표,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변근주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슬래브 전단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거더와 슬래브를 일체로 시공할 수 있는 횡방향으로 조립되는 중공슬래브 세그먼트가 외부하중에 대하여 전단강도가 최대로 발휘되어 중공슬래브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 중공슬래브 전단키에 대한 것으로써, 상기 중공슬래브의 하부플랜지의 하단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다른 중공슬래브의 하부플랜지의 돌출보와 맞닿거나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연결부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는 연결부공간이 형성되고, 전단키는 세그먼트 양측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전단키의 높이(h)가 깊이(d)보다 크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전단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공슬래브 전단키{Shear Key For Precast Concrete Hollow Slab}
본 고안은 중공슬래브 전단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거더와 슬래브를 일체로 시공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 세그먼트가 외부하중에 대하여 전단강도가 최대로 발휘되어 중공슬래브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 중공슬래브 전단키에 대한 것이다.
도 1a는 중공슬래브 교량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중공슬래브(Hollow Slab,10)교량은 교각(20)에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및 단면크기를 가지는 중공슬래브 세그먼트(11)를 횡방향(A)으로 다수 병렬 설치하는 방식으로 교량상판을 형성시킴으로서, 슬래브콘크리트를 별도로 타설 하지 않아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량시공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때, 중공슬래브 세그먼트(11)와 세그먼트(11)는 횡방향으로 PS강재(30)를 이용하여 구속시켜 줌으로써 중공슬래브 세그먼트들이 횡방향으로 보다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중공슬래브가 보다 효율적으로 일체성을 가지고 하중에 대하여 거동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연결부에는 연결부 콘크리트(40)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연결구성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중공슬래브 외부 양 측면부에는 전단키(50)를 형성시켜 연결부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전단강도를 증진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측면부에 형성되는 전단키(50)에 대한 형태가 특허고안 제 201537호(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전단키)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전단키(50)는 도 1b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본체에 형성되는 저변부(h)와, 상기 저변부에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각(a)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돌출높이(d)로 구성되며, 상기 저변부(h)에 대한 돌출높이(d)의 비(d/h)는 6/12-8/12이고, 경사각(a)은 50˚ 내지 70˚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로서, 높은 전단키의 전단저항 능력 및 거동양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전단키(50)의 형태에 대한 한정사항은 도 1a와 같이 연결부 콘크리트에 의하여 중공슬래브 서로가 서로 일체화되는 방식에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슬래브 등 자체의 측면에 전단홈과 전단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일 뿐 만아니라 사다리꼴 형상의 전단홈에 돌출된 전단키가 끼워지는 형태에 있어 최적의 전단저항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본 고안과 같이 연결부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 고안의 효과가 그대로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왜냐하면 도 1b에서 도시하고 있는 상기 종래의 전단키(50)의 파괴거동은 전단키 또는 전단홈을 이루고 있는 세그먼트 주부재 자체의 파괴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전단키의 형태에 대한 한정사항은 곧 세그먼트 주부재를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에 받게 될 수밖에 없지만, 본 고안과 같이 연결부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단키 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세그먼트 주부재의 콘크리트 강도가 함께 최종적인 전단키의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양자의 파괴거동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전단키는 전단키의 돌출부 또는 전단홈의 균열(C1)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고안과 같이 연결부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전단키의 경우에는 전단키의 형태 및 위치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중공슬래브 세그먼트의 횡방향 연결에 있어서 연결부 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되는 전단키의 형태 및 위치를 최적화시켜 최대한의 전단강도가 확보된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교량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중공슬래브(100) 하부플랜지의 하단부 양 측면에 돌출부(110)를 형성시킴으로서 중공슬래브를 횡방향으로 연속 설치할 때, 자연스럽게 연결부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전단키(120)의 전단강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연결부의 횡폭(W)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상기 돌출부 및 전단키기 형성된 중공슬래브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돌출부의 기능은 종래와 같이 단순히 하부플랜지의 폭을 상부플랜지의 폭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서 전도방지 및 운반의 편의성이 고려되어 설치된 것에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마주 보도록 설치된 다른 돌출부와 함께 연결부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공간(S)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미리 정해진 돌출부의 폭을 가지도록 하여 전단키의 전단강도를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200)의 폭(W)은 본 고안에서 전단강도를 최대한으로 발할 수 있는 전단키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중공슬래브 하부플랜지의 하단부의 돌출 폭을 미리 중공슬래브 제작 시 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현장에서는 단지 중공슬래브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연결부의 폭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서 돌출부가 서로 접하여 설치되면 자연스럽게 연결부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되며, 종래의 연결부의 경우 연결부콘크리트 면적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연결부콘크리트를 충진시키는 작업자체의 시공성이 매우 떨어졌으나 본 고안에서는 연결부의 폭이 최대로 형성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전단키의 위치를 중공슬래브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전단키의 전단강도는 아래 표 1과 같이 중공슬래브 측면의 상부, 중앙 및 하부에 각각 위치시켰을 때 발현되는 전단키의 역할을 전단력에 의한 상대처짐 값으로 비교해 보면 전단키는 중공슬래브 높이의 중간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최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표1
전단키의 위치 중공슬래브 조립 개수
3 5 7
중공슬래브 중앙 1.00 1.00 1.00
중공슬래브 상단 1.15 1.14 1.14
중공슬래브 하단 1.27 1.26 1.26
셋째, 전단키가 중공슬래브의 높이(H)별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전단키의 높이(h)에 대한 깊이(d)의 비(d/h)를 결정하였다.
전단키의 깊이(d) 값을 변화시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h(전단키의 높이)를 변화시킨다. 왜냐하면 전단키의 높이(h)가 중공슬래브의 높이(H)에 비해 너무 작게 혹은 너무 크게 형성되는 경우 중공슬래브가 결합된 후 전단키가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중공슬래브의 높이에 따른 최적의 전단키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공용상태에서 구조시스템 전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에 아래 표 2에서는 일정한 중공슬래브 높이(H)를 기준으로 전단키의 높이(h)에 대한 깊이(d) 비(d/h)를 달리하여 전단력에 의한 상대처짐값을 비교함으로써 전단키가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비를 표시한 것이다.
표2
d/h 중공슬래브 높이(H)
50cm 60cm 70cm 80cm 90cm 100cm
1/2 1.11 1.11 1.15 1.14 1.21 1.21
1/10 1 1 1.10 1.09 1.15 1.14
1/20 1.08 1.08 1 1 1.10 1.10
1/25 1.12 1.12 1.08 1.10 1 1
1/30 1.16 1.17 1.13 1.14 1.09 1.10
상기 표 2와 같이 전단키가 d/h에 대한 비율이 1/2~1/30의 분포에 걸쳐있는 경우 전단키의 위치가 중공슬래브의 중간에 형성될 때의 처짐과 비교하여 상기 비율의 범위를 가지는 경우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을 가지는 전단키에 대한 형상은 삼각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 가장 시공성 및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중공슬래브 세그먼트의 횡방향 연결에 있어서 연결부 콘크리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단키의 형태 및 위치를 최적화시켜 최대한의 전단강도가 확보된 중공슬래브 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중공슬래브교를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종래의 전단키의 형태 및 파괴거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중공슬래브 세그먼트 2개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부분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중공슬래브
110:중공슬래브 하부플랜지 하단부의 돌출부
200:연결부 콘크리트
d:전단키의 깊이
h:전단키의 높이
w:연결부의 폭

Claims (2)

  1. 연속 설치되는 중공슬래브의 사이에 연결부콘크리트로 채워지는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슬래브 외부 각 측면에 블록아웃 되어 형성되는 형상의 전단키에 있어서,
    상기 중공슬래브의 하부플랜지의 하단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다른 중공슬래브의 하부플랜지의 돌출부와 맞닿아 설치되거나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연결부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는 연결부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전단키는 중공슬래브의 측면 중앙에 위치시키고, 전단키의 높이(h)에 대한 깊이(d)의 비(d/h)를 1/2 ~ 1/30 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전단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전단키.
KR20-2005-0017564U 2005-06-17 2005-06-17 중공슬래브 전단키 KR200395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64U KR200395542Y1 (ko) 2005-06-17 2005-06-17 중공슬래브 전단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64U KR200395542Y1 (ko) 2005-06-17 2005-06-17 중공슬래브 전단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57A Division KR100903985B1 (ko) 2004-03-24 2004-03-24 중공슬래브 전단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542Y1 true KR200395542Y1 (ko) 2005-09-13

Family

ID=4369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64U KR200395542Y1 (ko) 2005-06-17 2005-06-17 중공슬래브 전단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5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40B1 (ko) 2007-05-31 2009-03-16 주식회사 이산 조립식 중공 슬래브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145958B1 (ko) * 2011-10-13 2012-05-22 (주)우주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561262B1 (ko) * 2012-02-13 2015-10-19 우경기술주식회사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40B1 (ko) 2007-05-31 2009-03-16 주식회사 이산 조립식 중공 슬래브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145958B1 (ko) * 2011-10-13 2012-05-22 (주)우주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561262B1 (ko) * 2012-02-13 2015-10-19 우경기술주식회사 전도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psc i형 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031B2 (en) Load transfer plate for in situ concrete slabs
US8590240B2 (en) Compressive force transmitting connection element
US8381470B2 (en) Tapered load plate for transferring loads between cast-in-place slabs
KR101580940B1 (ko) 유지되는 발산 브렌치들을 구비하는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
KR101866466B1 (ko) 캔틸레버 반단면 바닥판과 이를 구비한 교량 구조
AU2002326898A1 (en) Load transfer plate for in situ concrete slabs
US20130263392A1 (en) Upper Structure for Bridge
KR200395542Y1 (ko) 중공슬래브 전단키
KR101184362B1 (ko)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슬래브시공방법
KR101119605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KR100903985B1 (ko) 중공슬래브 전단키
US20130302088A1 (en) Paver with interlocking spacer
CN106351118A (zh) 一种减隔震结构及其减震方法
KR100554342B1 (ko)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US11041278B2 (en) Connection assembly
KR102600814B1 (ko) 고강성 교량 구조물
KR101984211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KR200264354Y1 (ko)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장치
KR102555364B1 (ko)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102337657B1 (ko) 철도진동저감용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구조물
JP5065745B2 (ja) 弾性固定支承
KR20180056217A (ko) 스페리칼 받침
JP2001226910A (ja) 橋梁用弾性支承装置およびその据え付け方法
KR200250687Y1 (ko) 십자형 철근
KR200239888Y1 (ko) 침하방지용 도로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