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364B1 -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364B1
KR102555364B1 KR1020220057644A KR20220057644A KR102555364B1 KR 102555364 B1 KR102555364 B1 KR 102555364B1 KR 1020220057644 A KR1020220057644 A KR 1020220057644A KR 20220057644 A KR20220057644 A KR 20220057644A KR 102555364 B1 KR102555364 B1 KR 10255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eck
clearanc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한택
박은경
신현경
Original Assignee
장한택
박은경
신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한택, 박은경, 신현경 filed Critical 장한택
Priority to KR102022005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 받침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교량 받침 시스템은, 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제공되는 교량 받침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 마련되되, 상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부 및 제1 가동부를 구비하는 고정단; 및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타단 측에 마련되되, 상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가동부 및 제3 가동부를 구비하는 가동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동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폭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며, 상기 제2 가동부는 상기 제1 가동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폭 방향 이동보다 길이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고, 상기 제3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길이 방향 이동과 폭 방향 이동을 서로 대응되게 허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Bearing system for bridg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reof}
본 발명은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구조물은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길게 제작된 구조물이고, 하부 구조물은 이러한 상부 구조물을 지면 또는 수면 상으로 이격시키고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상부 구조물은 판상의 교량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상부 플레이트는 교량의 길이에 대응되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비되거나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구조물은 교량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교대 및 상기 양측 교대 사이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교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나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는 교량 받침이 설치된다. 상기 교량 받침은 차량 통행에 의하여 상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휨과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팽창이나 수축을 지지한다. 또한, 교량 받침은 지진이 일어날 때 교량에 가해지는 횡 압력을 흡수하여, 교량의 붕괴를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국내에 내진 설계가 도입된 1996년 이후에 토목 구조물의 내진 설계 기준은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되어, 현재의 내진 설계 기준으로 기존에 건설된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평가할 경우, 내진 성능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교량이 많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내진 성능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교량은 지진 발생 시 상부 구조물이 하부 구조물을 벗어나 탈락하는 낙교 현상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기존 교량의 부족한 내진 성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는 전단키와 같은 지진보강장치가 설치된다.
하지만,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전단키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 비용이 많이 들며, 교량 통행을 오랜 기간 동안 통제해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교량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 받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량의 교통 통제를 최소화하면서 기존 교량에 교량 받침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량 받침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 받침 시스템은, 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제공되는 교량 받침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 마련되되, 상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부 및 제1 가동부를 구비하는 고정단; 및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타단 측에 마련되되, 상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가동부 및 제3 가동부를 구비하는 가동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동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폭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며, 상기 제2 가동부는 상기 제1 가동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폭 방향 이동보다 길이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고, 상기 제3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길이 방향 이동과 폭 방향 이동을 서로 대응되게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상기 제1 가동부 내지 제3 가동부는 각각,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교량 상판과 마주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받침부; 및 상기 교량 상판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홈의 내벽과 유격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1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제2 유격을 가지되, 상기 제1 유격과 제2 유격의 크기는 0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동부는,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3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3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4 유격을 가지며, 상기 제2 가동부는,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5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5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6 유격을 가지되, 상기 제4 유격은 상기 제2 유격 및 상기 제6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제5 유격은 상기 제1 유격 및 상기 제3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제3 유격은 상기 제1 유격과 같거나 크며, 상기 제6 유격은 상기 제2 유격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가동부는,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7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제8 유격을 가지되, 상기 제7 유격은 상기 제1 유격 및 상기 제3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제8 유격은 상기 제2 유격 및 상기 제6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비되며, 삽입홈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상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은, 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교량 받침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부 구조물로부터 상기 교량 상판을 들어올려 기 설치되어 있는 교량 받침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상기 교량 상판과 마주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받침부를 고정하고, 상기 교량 상판의 하단에 상기 삽입홈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홈의 내벽과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삽입홈에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돌출부의 형성 위치가 상기 교량 상판의 네 모서리 중 제1 모서리 측인 경우,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1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제2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형성 위치가 상기 교량 상판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1 모서리와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모서리 측인 경우,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3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3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4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형성 위치가 상기 교량 상판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1 모서리와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고 상기 제2 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3 모서리 측인 경우,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5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5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6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형성 위치가 상기 교량 상판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2 모서리와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4 모서리 측인 경우,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7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제8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제공되는 교량 받침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 마련되되, 상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부 및 제1 가동부를 구비하는 고정단; 및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타단 측에 마련되되, 상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가동부 및 제3 가동부를 구비하는 가동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동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폭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며, 상기 제2 가동부는 상기 제1 가동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폭 방향 이동보다 길이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고, 상기 제3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길이 방향 이동과 폭 방향 이동을 서로 대응되게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량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 받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교량에 대한 내진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량 받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교량에 대한 교통 통제를 최소화하면서 기존 교량에 교량 받침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교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방향에서 교량을 바라본 측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의 제1 가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의 제2 가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가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9의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을 통하여, 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교량 받침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교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방향에서 교량을 바라본 측면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의 제1 가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의 제2 가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가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100)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제공되어, 지진 발생 시 교량에 가해지는 횡 압력 혹은 수평 전단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교량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100)은 교량에 대한 내진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교량 상판(10)일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구조물은 교각(20)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 상판(10)은 다경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량 상판(10)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이음 장치를 통하여,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100)은 고정단(100A) 및 가동단(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100A)은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단(100A)은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서 교량 상판(10)과 교각(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단(100A)은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동단(100B)과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단(100A)은 고정부(101) 및 제1 가동부(10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01)와 제1 가동부(102)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서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교량 상판(10)의 네 모서리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고정부(101)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일단 측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두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가동부(102)는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01)가 구비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모서리는 제1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고, 제1 가동부(102)가 구비되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는 제2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01)와 제1 가동부(102)는 하나의 교각(10)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교량 상판(10)은 폭 방향으로 복수 개, 예를 들어, 두 개의 교각(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부(101)와 제1 가동부(102)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서로 다른 교각(1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01)와 제1 가동부(102)는 교량 상판(10)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01)는 교량 상판(10)의 수평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1)는 교량 상판(10)의 수평 이동을 어느 정도 허용하지만, 그 허용 정도 혹은 허용 범위는 제1 가동부(102)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01)는 받침부(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10)는 상기 돌출부(120)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몸체(111)는 받침부(110)의 외관을 이룬다. 이러한 받침 몸체(111)는 강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12)은 교량 상판(10)의 하단과 마주할 수 있도록, 받침 몸체(111)의 상단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112)에는 돌출부(12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113)는 받침 몸체(111)의 양 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113)는 받침 몸체(111)의 양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113)에는 앵커 체결공(도 12의 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앵커 볼트(114)는 상기 앵커 체결공(113a)을 통하여 교각(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110)는 교각(2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교량 상판(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0)는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돌출부(12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20)는 충격 흡수가 가능한 탄성 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교각(20)의 상단에 구비되는 받침부(110)의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0)는, 그 단면이 사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상기 돌출부(120)의 단면은 원형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112)은 돌출부(120)의 형상에 상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돌출부(120)는 상기 삽입홈(112)의 내벽과 유격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120)의 하단면은 상기 삽입홈(112)의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01)는 삽입홈(112)의 내벽과 돌출부(120) 사이에 제1 유격(d1)과 제 2유격(d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유격(d1)은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도면 기준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격(d2)은 교량 상판의 폭 방향(도면 기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유격(d1)과 제2 유격(d2)의 크기는 0 이상일 수 있다. 즉, 고정부(101)의 경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도면 기준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일측면은 밀착될 수 있으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도면 기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타측면은 밀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유격(d1)과 제2 유격(d2)은 0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120)의 하단면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의 하단면이 이루는 정사각형은 후술되는 제3 가동부(104)의 돌출부(120) 하단면이 이루는 정사각형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01)는 제3 가동부(104)보다 교량 상판(10)의 수평 방향 이동을 더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가동부(102)는 교량 상판(10)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동부(102)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폭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동부(102)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은 고정부(101)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동부(102)는 고정부(101)와 마찬가지로, 받침부(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10)는 상기 돌출부(120)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교각(2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110)는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는 고정부(101)의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돌출부(120)는 고정부(101)의 돌출부(120)와 마찬가지로, 교량 상판(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0)는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교각(20)의 상단에 구비되는 받침부(110)의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0)는, 그 단면이 사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상기 돌출부(120)의 단면은 원형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112)은 돌출부(120)의 형상에 상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돌출부(120)는 상기 삽입홈(112)의 내벽과 유격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120)의 하단면은 상기 삽입홈(112)의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동부(102)는 삽입홈(112)의 내벽과 돌출부(120) 사이에 제3 유격(d3)과 제4 유격(d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유격(d3)은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도면 기준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유격(d4)은 교량 상판의 폭 방향(도면 기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유격(d4)은 상기 제3 유격(d3)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에 대하여, 돌출부(120)의 하단면은 도면 기준으로, 좌우 길이가 상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4 유격(d4)은 고정부(101)에 형성되는 제2 유격(d2)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동부(102)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폭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동부(102)에 의하여, 지진 발생 시 교량의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 전단력은 약화될 수 있다.
한편, 제3 유격(d3)은 고정부(101)에 형성되는 제1 유격(d1) 및 제2 유격(d2)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단(100B)은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타단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단(100B)은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타단 측에서 교량 상판(10)과 교각(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동단(100B)은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단(100A)과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단(100B)은 제2 가동부(103) 및 제3 가동부(10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동부(103)와 제3 가동부(104)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타단 측에서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교량 상판(10)의 네 모서리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2 가동부(103)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타단 측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두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에 구비될 수 있고, 제3 가동부(104)는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가동부(103)가 구비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모서리는 제3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고, 제3 가동부(104)가 구비되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는 제4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가동부(103)와 제3 가동부(104)는 하나의 교각(10)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교량 상판(10)은 폭 방향으로 복수 개, 예를 들어, 두 개의 교각(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가동부(103)와 제3 가동부(104)는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서로 다른 교각(1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교량 상판(10)의 이음 부분은 하나의 교각(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교각(20)의 상단에는 일측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후단 측에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가동부(103)와 제3 가동부(104), 그리고 타측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선단 측에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부(101)와 제1 가동부(102)가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가동부(103)와 제3 가동부(104)는 교량 상판(10)의 특정 방향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가동부(103)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폭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 가동부(102)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동부(103)는 제1 가동부(102)와 마찬가지로, 교량 상판(10)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가동부(103)는 제1 가동부(102)와 달리,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보다 길이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동부(103)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은 고정부(101)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동부(103)는 고정부(101) 및 제1 가동부(102)와 마찬가지로, 받침부(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10)는 상기 돌출부(120)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교각(2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110)는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는 고정부(101) 및 제1 가동부(102)의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돌출부(120)는 고정부(101) 및 제1 가동부(102)의 돌출부(120)와 마찬가지로, 교량 상판(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0)는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교각(20)의 상단에 구비되는 받침부(110)의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0)는, 그 단면이 사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상기 돌출부(120)의 단면은 원형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112)은 돌출부(120)의 형상에 상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돌출부(120)는 상기 삽입홈(112)의 내벽과 유격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120)의 하단면은 상기 삽입홈(112)의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가동부(103)는 삽입홈(112)의 내벽과 돌출부(120) 사이에 제5 유격(d5)과 제6 유격(d6)을 가질 수 있다.
제5 유격(d5)은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도면 기준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6 유격(d6)은 교량 상판의 폭 방향(도면 기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5 유격(d5)은 상기 제6 유격(d6)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에 대하여, 돌출부(120)의 하단면은 도면 기준으로, 상하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5 유격(d5)은 고정부(101)에 형성되는 제1 유격(d1) 및 제1 가동부(102)에 형성되는 제3 유격(d3)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동부(103)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보다 길이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동부(103)에 의하여, 지진 발생 시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 전단력은 약화될 수 있다.
한편, 제6 유격(d6)은 고정부(101)에 형성되는 제1 유격(d1) 및 제2 유격(d2)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제6 유격(d6)은 제1 가동부(102)에 형성되는 제3 유격(d3)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가동부(104)는 고정부(101)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동부(104)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폭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 가동부(102)와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으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보다 길이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동부(103)와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가동부(104)는 제1 가동부(102) 및 제2 가동부(103)와 마찬가지로, 교량 상판(10)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가동부(104)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과 폭 방향 이동을 서로 대응되게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동부(104)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은 고정부(101)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보다 클 수 있으며, 제3 가동부(104)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은 고정부(101)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가동부(104)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은 제1 가동부(102)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가동부(104)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은 제2 가동부(103)에 의해 허용되는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 이동과 같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3 가동부(104)는 고정부(101), 제1 가동부(102) 및 제2 가동부(103)와 마찬가지로, 받침부(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10)는 상기 돌출부(120)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교각(2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110)는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는 고정부(101), 제1 가동부(102) 및 제2 가동부(103)의 받침 몸체(111), 삽입홈(112), 날개부(113) 및 앵커 볼트(114)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돌출부(120)는 고정부(101), 제1 가동부(102) 및 제2 가동부(103)의 돌출부(120)와 마찬가지로, 교량 상판(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0)는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교각(20)의 상단에 구비되는 받침부(110)의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0)는, 그 단면이 사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상기 돌출부(120)의 단면은 원형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112)은 돌출부(120)의 형상에 상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돌출부(120)는 상기 삽입홈(112)의 내벽과 유격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120)의 하단면은 상기 삽입홈(112)의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가동부(104)는 삽입홈(112)의 내벽과 돌출부(120) 사이에 제7 유격(d7) 및 제8 유격(d8)을 가질 수 있다.
제7 유격(d7)은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도면 기준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8 유격(d8)은 교량 상판의 폭 방향(도면 기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상기 삽입홈(112)에 삽입된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7 유격(d7)과 제8 유격(d8)의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120)의 하단면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의 하단면이 이루는 정사각형은 고정부(101)의 돌출부(120) 하단면이 이루는 정사각형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7 유격(d7)은 고정부(101)에 형성되는 제1 유격(d1) 및 제1 가동부(102)에 형성되는 제3 유격(d3)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며, 제2 가동부(103)에 형성되는 제5 유격(d5)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제8 유격(d8)은 고정부(101)에 형성되는 제2 유격(d2) 및 제2 가동부(103)에 형성되는 제6 유격(d6)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며, 제1 가동부(102)에 형성되는 제4 유격(d4)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가동부(104)는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 이동과 길이 방향 이동을 동시에 서로 대응되게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가동부(104)에 의하여 지진 발생 시 교량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 전단력은 약화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삽입홈(112)의 바닥면 면적은 고정되고, 고정부(101), 제1 가동부(102), 제2 가동부(103) 및 제3 가동부(104)에 각각 구비되는 돌출부(12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와 반대로, 고정부(101), 제1 가동부(102), 제2 가동부(103) 및 제3 가동부(104)에 각각 구비되는 돌출부(120)의 크기는 고정되고, 고정부(101), 제1 가동부(102), 제2 가동부(103) 및 제3 가동부(104) 각각에 구비되는 삽입홈(112)의 바닥면 면적이 상대적으로 변화됨으로써, 교량 상판(10)의 특정 방향 수평 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100)은 교량 상판(10)에 대한 특정 방향 수평 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고정부(101) 및 제1 가동부(102)를 구비하는 고정단(100A) 및 제2 가동부(103) 및 제3 가동부(104)를 구비하는 가동단(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100)은 지진 발생 시 교량에 가해지는 수평 전단력을 약화시켜, 교량의 붕괴를 막을 수 있도록, 교량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량에 대한 내진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량 받침 시스템(1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의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들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9의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들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을 통하여, 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교량 받침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은 S110 단계 내지 S1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계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S110 단계에서는 먼저, 예를 들어, 하부 구조물인 교각(2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 구조물인 교량 상판(10)을 들어올린다. 그 다음, S110 단계에서는 교각(20)과 교량 상판(10) 사이에 기 설치되어 있는 기존 교량 받침(P)을 제거한다.
S120 단계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S120 단계에서는 교각(20)의 상단과 교량 상판(10) 사이에 삽입홈(도 12의 11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를 돌출부(12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S120 단계에서는 교량 상판(10)의 하단에 거푸집(S)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S)의 내측에 콘크리트(C)를 주입한 후 이를 양생하여, 교량 상판(10)의 하단에 콘크리트(C)로 이루어진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S120 단계에서는 하부 구조물인 교각(20)의 상단에 받침부(110)의 받침 몸체(1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S120 단계에서는 받침 몸체(111)의 양측 날개부(113)에 형성되어 있는 앵커 체결공(113a)을 통하여 앵커 볼트(114)를 교각(2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 몸체(111)의 상단면에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12)은 교량 상판(10),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10)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20)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12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성 위치가 교량 상판(10)의 네 모서리 중 제1 모서리 측인 경우, 즉, 고정부(도 15의 101)가 마련되는 위치인 경우, 후속으로 진행되는 S130 단계에서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제1 유격(도 15의 d1)을 가지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제2 유격(도 15의 d2)을 가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S12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하단면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12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성 위치가 교량 상판(10)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1 모서리와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모서리 측인 경우, 즉, 제1 가동부(도 15의 102)가 마련되는 위치인 경우, 후속으로 진행되는 S130 단계에서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제3 유격(도 15의 d3)을 가지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3 유격(도 15의 d3)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4 유격(도 15의 d4)을 가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S120 단계에서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에 대하여, 돌출부(120)의 하단면이, 도 15 기준으로, 좌우 길이가 상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12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성 위치가 교량 상판(10)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1 모서리와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고 상기 제2 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3 모서리 측인 경우, 즉, 제2 가동부(도 15의 103)가 마련되는 위치인 경우, 후속으로 진행되는 S130 단계에서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제5 유격(도 15의 d5)을 가지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5 유격(도 15의 d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6 유격(도 15의 d6)을 가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S120 단계에서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에 대하여, 돌출부(120)의 하단면이, 도 15 기준으로, 상하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12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성 위치가 교량 상판(10)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2 모서리와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4 모서리 측인 경우, 즉, 제3 가동부(도 15의 104)가 마련되는 위치인 경우, 후속으로 진행되는 S130 단계에서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제7 유격(도 15의 d7)을 가지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7 유격(도 15의 d7)과 동일한 크기의 제8 유격(도 15의 d8)을 가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S12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하단면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12)의 바닥면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S12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하단면이 이루는 정사각형이, 고정부(101)의 돌출부(120) 하단면이 이루는 정사각형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지도록, 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S130 단계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S130 단계에서는 삽입홈(112)의 내벽과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홈(112)의 내측에 돌출부(120)를 삽입한다.
이때, S13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성 위치가 고정부(도 15의 101)가 마련되는 위치인 경우,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제1 유격(도 15의 d1)을 가지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제2 유격(도 15의 d2)을 가지도록, 삽입홈(112)의 내측에 돌출부(120)를 삽입 시 돌출부(12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S13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성 위치가 제1 가동부(도 15의 102)가 마련되는 위치인 경우,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제3 유격(도 15의 d3)을 가지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3 유격(도 15의 d3)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4 유격(도 15의 d4)을 가지도록, 삽입홈(112)의 내측에 돌출부(120)를 삽입 시 돌출부(12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S13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성 위치가 제2 가동부(도 15의 103)가 마련되는 위치인 경우,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제5 유격(도 15의 d5)을 가지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5 유격(도 15의 d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6 유격(도 15의 d6)을 가지도록, 삽입홈(112)의 내측에 돌출부(120)를 삽입 시 돌출부(12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S130 단계에서는 돌출부(120)의 형성 위치가 제3 가동부(도 15의 104)가 마련되는 위치인 경우, 교량 상판(10)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일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일측면 사이에 제7 유격(도 15의 d7)을 가지며, 교량 상판(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삽입홈(112)의 타측 내벽과 돌출부(120)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7 유격(도 15의 d7)과 동일한 크기의 제8 유격(도 15의 d8)을 가지도록, 삽입홈(112)의 내측에 돌출부(120)를 삽입 시 돌출부(12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S130 단계를 통하여, 삽입홈(112)의 내벽과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홈(112)의 내측에 대한 돌출부(120)를 삽입이 완료되면, 교량 상판(10)과 교각(20) 사이에, 고정단(110A)과 가동단(100A)을 포함하는 교량 받침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을 통하여, 교량 상판(10)과 교각(20) 사이에, 교량 상판(10)에 대한 특정 방향 수평 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고정단(110A)과 가동단(100A)을 포함하는 교량 받침 시스템을 설치하면, 지진 발생 시 교량에 가해지는 수평 전단력을 약화시켜, 교량의 붕괴를 막을 수 있도록, 교량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량에 대한 내진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한 교통 통제를 최소화하면서 기존 교량에 교량 받침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어, 교량 이용자의 불편이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교량 받침 시스템 100A; 고정단
100B; 가동단 101; 고정부
102; 제1 가동부 103; 제2 가동부
104; 제3 가동부 110; 받침부
111; 받침 몸체 112; 삽입홈
113; 날개부 113a; 앵커 체결공
114; 앵커 볼트 120; 돌출부
10; 교량 상판 20; 교각
P; 기존 교량 받침 S; 거푸집
C; 콘크리트

Claims (8)

  1. 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제공되는 교량 받침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 마련되되, 상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부 및 제1 가동부를 구비하는 고정단; 및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 타단 측에 마련되되, 상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가동부 및 제3 가동부를 구비하는 가동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동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길이 방향 이동보다 폭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며,
    상기 제2 가동부는 상기 제1 가동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폭 방향 이동보다 길이 방향 이동을 더 허용하고,
    상기 제3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길이 방향 이동과 폭 방향 이동을 서로 대응되게 허용하되,
    상기 고정부, 상기 제1 가동부 내지 제3 가동부는 각각,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교량 상판과 마주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받침부; 및
    상기 교량 상판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홈의 내벽과 유격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1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제2 유격을 가지되,
    상기 제1 유격과 제2 유격의 크기는 0 이상이며,
    상기 제1 가동부는,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3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3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4 유격을 가지며,
    상기 제2 가동부는,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5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5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6 유격을 가지되,
    상기 제4 유격은 상기 제2 유격 및 상기 제6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제5 유격은 상기 제1 유격 및 상기 제3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제3 유격은 상기 제1 유격과 같거나 크며, 상기 제6 유격은 상기 제2 유격과 같거나 큰, 교량 받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동부는,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7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제8 유격을 가지되,
    상기 제7 유격은 상기 제1 유격 및 상기 제3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제8 유격은 상기 제2 유격 및 상기 제6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큰, 교량 받침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비되며,
    삽입홈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상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교량 받침 시스템.
  7. 교량 상판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교량 받침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부 구조물로부터 상기 교량 상판을 들어올려 기 설치되어 있는 교량 받침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상기 교량 상판과 마주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받침부를 고정하고, 상기 교량 상판의 하단에 상기 삽입홈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홈의 내벽과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삽입홈에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돌출부의 형성 위치가 상기 교량 상판의 네 모서리 중 제1 모서리 측인 경우,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1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제2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형성 위치가 상기 교량 상판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1 모서리와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모서리 측인 경우,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3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3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4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형성 위치가 상기 교량 상판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1 모서리와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고 상기 제2 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3 모서리 측인 경우,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5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상기 제5 유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6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형성 위치가 상기 교량 상판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제2 모서리와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4 모서리 측인 경우,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 사이에 제7 유격을 가지며, 교량 상판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의 타측 내벽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 사이에 제8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교량 받침 시스템 설치 방법.
  8. 삭제
KR1020220057644A 2022-05-11 2022-05-11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10255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44A KR102555364B1 (ko) 2022-05-11 2022-05-11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44A KR102555364B1 (ko) 2022-05-11 2022-05-11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364B1 true KR102555364B1 (ko) 2023-07-12

Family

ID=8716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644A KR102555364B1 (ko) 2022-05-11 2022-05-11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3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932A (ja) * 2005-01-12 2006-07-27 Yokohama Rubber Co Ltd:The すべりゴム支承装置
KR20070115473A (ko) * 2006-06-02 2007-12-06 유니슨 주식회사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932A (ja) * 2005-01-12 2006-07-27 Yokohama Rubber Co Ltd:The すべりゴム支承装置
KR20070115473A (ko) * 2006-06-02 2007-12-06 유니슨 주식회사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EP1905898B1 (en) Device for equipping an expansion joint between concrete slabs
KR101002232B1 (ko) 내진보강용 전단저항장치가 부착된 교량받침 및 이의 설치공법
JP4236670B2 (ja) 落橋防止構造
KR101920698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탄성받침
KR102555364B1 (ko)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101068299B1 (ko)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4274557B2 (ja) 水平荷重弾性支持装置
KR102077326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경사저항 탄성받침
KR102486675B1 (ko) Pc 슬래브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2473577B1 (ko) 시공 조인트
JP3592141B2 (ja) 既設橋桁支承部の改修方法
JP6269928B2 (ja) 橋台補強構造体
KR101193849B1 (ko) 건축?토목 구조물의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탄소성 강재 댐퍼
KR100448486B1 (ko) 교좌장치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0903985B1 (ko) 중공슬래브 전단키
JP3806681B2 (ja) 道路の構築方法及び構築材
KR102408101B1 (ko) 조적조 칸막이벽체의 면외방향 전도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31873B1 (ko)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JP2017227122A (ja) 橋台補強構造体
CN212505821U (zh) 一种高速公路工程自恢复桥墩结构及桥梁
KR101886760B1 (ko) 교량신축이음장치
KR200245130Y1 (ko) 교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