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299B1 -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299B1
KR101068299B1 KR1020090073275A KR20090073275A KR101068299B1 KR 101068299 B1 KR101068299 B1 KR 101068299B1 KR 1020090073275 A KR1020090073275 A KR 1020090073275A KR 20090073275 A KR20090073275 A KR 20090073275A KR 101068299 B1 KR101068299 B1 KR 10106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slope
section
vehicle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847A (ko
Inventor
김승규
김종민
김동인
Original Assignee
김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규 filed Critical 김승규
Priority to KR102009007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2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량 인상에서 인상구간과 인상되지 않는 고정구간의 단차에 따른 차량 통행을 위해서, 이동판; 양쪽에 돌출된 지지부를 다수개 형성한 사면판; 유압잭으로 구성하는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은 인상구간에 고정하고, 상기 사면판은 고정구간에 위치하되, 각 이동판과 사면판의 각 끝단이 인상구간과 고정구간의 경계에서 힌지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된 사면판의 지지부에 유압잭을 각각 설치하여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설치를 완료하고, 인상구간의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면판의 기울기에 따라 유압잭이 각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인상 과정이 안전하고, 교량 인상 시공에서 차량이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73275
다리, 인상, 힌지, 가설, 교통, 차량 통행, 우회, 수리, 유압잭

Description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the structure for transit of vehicles in pulling up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본 발명은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량 인상에서 인상구간과 인상되지 않는 고정구간의 단차에 따른 차량 통행을 위해서, 이동판; 양쪽에 돌출된 지지부를 다수개 형성한 사면판; 유압잭으로 구성하는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은 인상구간에 고정하고, 상기 사면판은 고정구간에 위치하되, 각 이동판과 사면판의 각 끝단이 인상구간과 고정구간의 경계에서 힌지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된 사면판의 지지부에 유압잭을 각각 설치하여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설치를 완료하고, 인상구간의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면판의 기울기에 따라 유압잭이 각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인상 과정이 안전하고, 교량 인상 시공에서 차량이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호소, 해협, 만,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그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다리는 크게 슬래브와 상기 슬래브를 지지하는 주형(거더, girder)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 상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하부구조로 이루어지며(참고로,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접점에는 교좌 장치가 위치되며, 상기 교좌장치는 상부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고 지진, 바람, 온도 변화 등에 안전하게 적응토록 하고, 또한, 교량하중에 적응하고 신축을 흡수하여, 교량의 변위를 교각이나 교대에 직접 전달하지 않게 하며, 완충기능을 가지는 장치이다), 상기 하부구조는 상기 상부구조의 양쪽에(시종점부)의 받침인 교대와 상기 교대 이외의 중간 받침인 교각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의 상부구조 하부에 위치하는 코핑부, 지반에 위치하는 기초 슬래브(또는 기초), 상기 코핑부와 기초 슬래브 사이의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교량은 공사를 통해 가설을 완료한 이후에, 교량 가설시 예상치 못한 이유, 예를 들어, 하천의 제방 높이를 높이면서 교량의 침수를 방지하는 등의 이유로 설치한 교량의 높이를 인상(상승)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리를 인상하는 과정에서는, 인상 전에 임시 다리를 설치하여, 다리 인상 과정에는 임시 다리를 이용하거나, 임시 다리가 없는 경우에는, 우회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였다.
또한, 우회 도록 다리 인상과 동시에, 인상하는 다리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래서 국내특허등록 제0814388호에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에 따라 동시에 인상되는 도로의 중앙부분에 다수개의 H빔을 설치하여 토류벽을 형성하고,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도로부분에 접속가교를 설치하며, 상기 접속가교와 교량 상부구조물의 바닥판을 앵커볼트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1단계; 상기 접속가교로 차량을 통행시키면서 상기 접속가교와 교량 상부구조물을 원하는 인상높이까지 동시에 컴퓨터 제어에 의하여 유압잭을 밀어 올려 인상하고, 상기 교량 상부 구물의 인상 후 그 아랫부분인 교대 및 교각 상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한 높이로 교대 및 교각을 인상하고, 상기 교대 및 교각 상에 교좌 장치를 설치하는 2단계; 차량을 통행시키면서 접속가교를 순차적으로 철거하고, 접속도로 부분을 성토하고, 접속슬래브를 설치하며,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부분에 복공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위로 차량 통행을 실시하는 3단계; 상기 토류벽을 제거하고, 도로를 포장하고, 상기 교대 및 교각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이하고, 인상된 교량 상부 구조물 하강 시켜 교대 및 교각 상에 위치 시키는 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중 교량 인상 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리 인상 과정 중에서, 임시 다리의 건설은 시공이 많이 걸리고, 다리 인상 시공과 추가해서,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므로 실효성이 낮았다.
또한, 상기 예시한 국내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접속가교 하부측에 설치되는 유압잭으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고, 상기 유압잭이 접속가교의 하중과 다리 하중까지 담당하므로 유압잭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당히 높아서, 다리의 많은 인상은 기대하기 어렵고, 적은 높이로 인상하는데 적용하거나, 다리의 상부구조물의 저면 또는 하부, 즉, 교각이나 교좌 장치 등을 수리하는데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기재된 구조에서, 다리를 높은 높이로 인상하는 경우에는, 접속가교 하부에 위치된 유압잭의 거동 형태를 눈으로 확인하기가 어렵고, 다리를 인상하는 과정에서 유압잭을 보완하거나 지지하는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에는, 접속가교 하부는 인력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 인상에서 인상구간과 인상되지 않는 고정구간의 단차에 따른 차량 통행을 위해서, 이동판; 양쪽에 돌출된 지지부를 다수개 형성한 사면판; 유압잭으로 구성하는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은 인상구간에 고정하고, 상기 사면판은 고정구간에 위치하되, 각 이동판과 사면판의 각 끝단이 인상구간과 고정구간의 경계에서 힌지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된 사면판의 지지부에 유압잭을 각각 설치하여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설치를 완료하고, 인상구간의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면판의 기울기에 따라 유압잭이 각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인상 과정이 안전하고, 인상 시공에서 차량이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면판의 끝단에는, 보조판이 힌지 연결되어, 바닥과 사면판의 접지력을 높이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이공판과 사면판의 끝단에는 댐퍼판을 설치하여, 진동을 흡수하고, 하중을 분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교량 인상에서 인상구간과 인상되지 않는 고정구간의 단차에 따른 차량 통행을 위해서, 이동판; 양쪽에 돌출된 지지부를 다수개 형성한 사면판; 유압잭으로 구성하는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은 인상구간에 고정하고, 상기 사면판은 고정구간에 위치하되, 각 이동판과 사면판의 각 끝단이 인상구간과 고정구간의 경계에서 힌지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된 사면판의 지지부에 유압잭을 각각 설치하여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설치를 완료하고, 인상구간이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면판의 기울기에 따라 유압잭이 각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인상 과정이 안전하고, 인상 시공에서 차량이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면판의 끝단에는, 보조판이 힌지 연결되어, 바닥과 사면판의 접지력이 높아서, 차량 통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이공판과 사면판의 끝단에는 댐퍼판이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고, 하중을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량 인상에서 인상구간과 인상되지 않는 고정구간의 단차에 따른 차량 통행을 위해서, 이동판; 양쪽에 돌출된 지지부를 다수개 형성한 사면판; 유압잭으로 구성하는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은 인상구간에 고정하고, 상기 사면판은 고정구간에 위치하되, 각 이동판과 사면판의 각 끝단이 인상구간과 고정구간의 경계에서 힌지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된 사면판의 지지부에 유압잭을 각각 설치하여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설치를 완료하고, 인상구간의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면판의 기울기에 따라 유압잭이 각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인상 과정이 안전하고, 교량 인상 시공에서 차량이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설명하되, 먼저,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을 설명하고, 그 구조물을 이용한 구체적인 시공 방법을 순차로 설명하면서, 구조물의 구조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인상하는 다리의 경우, 다리를 인상하면서, 다리를 전체를 한번에 인상하는 경우, 또는, 긴 다리를 다수개로 절단하여 절단된 다리를 순차로 인상하는 경우, 또는, 단위 슬라브(상판 슬라브)를 순차로 인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인상되는 다리를 이하 인상구간(100)이라고 하고, 인상구간(100)의 양쪽(다리의 길이 방향의 양쪽)에 접하면서 인상되지 않는 부분을 고정구간(200)이라고 칭하는데, 다리를 한번에 인상하는 경우에는 육지 부분이 고정구간(200)이 되고, 다리를 부분적으로 순차로 인상하는 경우에는, 육지, 또는, 인상구간(100)의 이웃하는 다리가 고정구간(200)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인상구간(100)의 인상으로 인해, 인상구간(100)과 고정구간(200)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연결하는 구조물을 설치하여 차량을 용이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을 설명하면, 상기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로는, 크게 이동판(10), 사면판(20), 유압잭(3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이동판(10)은 사각의 판 형태(구조)로 구성되며,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판(10)의 일단은 사면판(20)의 연결을 위해 힌지(13)를 구성하고, 그 타단은 경사가 지도록 하며, 상기 이동판(10)은 판형태이나 조립과 설치를 위해서 골조구조(11) 및 상판(12)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동판(10)은 골조구조(11)와 상판(12)으로 구성되는데, 그 구조를 상 세히 설명하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조구조(11)는 프레임(주로, 사각빔, ㄷ’자 단면 형강, ‘H’자 단면 형강, ‘I’자 단면 형강을 사용한다)을 이용해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 또는, 메시 형태로 교차된 구조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판(12)은 상기 골조구조(11)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12)은 매끄러운 것보다는 엠보나 펀칭을 형성하여, 차량이 지나가면서 마찰로 인해서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판(10)의 끝단(힌지의 타단)은 경사를 형성하는데, 이동판(10)의 높이를 고려하여, 바닥과의 적절게 이어지도록 기울기를 형성하여, 차량이 이동판(10)을 이동하면서 인상구간(100)과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면판(20)은 사각의 판 형태(구조)이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지지부(23)을 구성하며, 상기 사면판(20)의 일단 이동판(10)의 연결을 위해 힌지(24)를 구성하고, 그 타단은 경사가 지도록 하거나 보조판(25)을 힌지(25a)로 연결하며, 상기 이동판(10)은 판형태이나 조립과 설치를 위해서 골조구조(11) 및 상판(12)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사면판(20)의 지지부(23)는 사면판(2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성되되, 도3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상부로 돌출된 수직부(25a)와, 상기 수직부(25a)에 대해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부(25b)가 일체되어 구성하는데, 상기 지지부(23)는 사면판(20)의 양쪽에 ‘
Figure 112009048641668-pat00001
’‘
Figure 112009048641668-pat00002
’의 단면으로 형성하며, 다수개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단면을 가지는 판형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사면판(20)은 골조구조(21)와 상판(22)으로 구성되는데,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조구조(21)는 프레임(주로, ㄷ형강, H형강, I 형강과 같은 형강, 또는, 사각 빔, 환봉 등을 사용한다)을 이용해서 하부프레임(21a)과 상부프레임(21b)이 격자 형태로 짜여진 구조로 구성하는데, 하부프레임(21a)은 다리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놓되, 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성하는데,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각 하부프레임(21a)에 연장되어 프레임으로 수직부(25a)와 수평부(25b)를 순차로 구성하여, 하부프레임(21a)과 지지부(23)가 일체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프레임(21a) 상부로는 상부프레임(21b)을 하부프레임(21a)의 수직된 방향으로 다리 폭의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다수개 설치한다.
그리고 상판(22)은 상기 상부프레임(21b)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22)은 매끄러운 것보다는 엠보나 펀칭을 형성하여, 차량이 지나가면서 마찰로 인해서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골조구조(21)와 상판(22)이 일체된 구조로 사면판(20)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사면판(20)의 끝단(힌지의 타단)은 경사를 형성하거나 보조판(25)을 구성하는데, 사면판(20)의 끝단에 경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상구간(100)의 인상 높이를 고려하여, 사면판(20)의 상판(22) 아랫부분의 하부프레임(21a)에 적절한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사면판(20)의 끝단에 보조판(25)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면판(20) 끝에 상기 사면판(20)의 폭을 가지는 보조판(25)을 더 구성하고, 상기 사면판(20)과 보조판(25)을 힌지(25a)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상기 보조판(25)의 상부는 엠보나 펀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보조판(25) 자체가 충분히 강도를 유지하는 재질 또는, 철근이나 사각빔, 환봉, 형강 등으로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10)의 폭은 인상구간(100)의 도로 폭과 유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마찬가지로, 사면판(20)은 지지부(23)를 제외한 폭이 이동판(10)의 폭과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압잭(30)은 유압을 이용해 물건 등을 들어올릴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유압잭(30)을 사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유압잭(30)은 다리 인상 높이에 맞는 행정거리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한다.
추가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판(40)(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댐퍼판(40)(40′)은, 차량 통행으로 인한 진동, 하중, 충격 등을 분산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분산판(41)과 하중분산판(42)으로 구성하며, 진동분산판(41)은 합성고무, 탄성판으로 구성되어, 진동을 흡수, 분산하며, 하중분산판(42)은 강판, 합금판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판(10)과 사면판(20)의 자체 하중, 및 차량 통행으로 인한 충격 및 하중을 흡수, 분산하도록 하며, 진동분산판(41)과 하중분산판(42)을 모두 설치할 경우에는, 진동분산판(41)을 먼저 바닥쪽에 설치하고, 하중분산판(42)을 상부쪽에 설치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동판(10), 사면판(20), 유압잭(30) 및 댐퍼판(40)(40′)을 이용한 시공 방법을 도14의 공정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서, 동시에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리 공정(S0)은, 구조물을 설치할 다리를 정리하는 공정으로, 인상구간(100) 및 고정구간(200)의 도로와 인도측에 간섭되는 부분이 없도록 정리를 하는데, 그러나 인상구간(100)과 고정구간(200) 중앙에 분리대 등이 있다면, 굳이 제거할 필요는 없고,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차선으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을 각각 설치하도록 하며, 또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은 인상구간(100)의 양단에 되므로, 인상구간(100) 양쪽을 정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댐퍼판 설치 공정(S1)은, 도5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상구간(100)과 고정구간(200)에 각각 댐퍼판(40)(40′)을 고정되게 설치하는 공정으로, 댐퍼판(40)(40′)은 이동판(10)과 사면판(20)의 길이를 고정하여, 이동판(10)과 사면판(20)의 끝단이 소속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인상구간(100)과 고정구간(200) 위치에 댐퍼판(40)(40′)을 놓고,(댐퍼판이 진동분산판과 하중분산판 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진동분산판을 먼저 놓고, 하중분산판이 상부로 오도록 설치한다) 앵커(50) 등으로 고정하는데, 인상구간(100)의 딤퍼판의 경우에는 이동판(10)을 설치하면서 댐퍼판(40)(40′)을 한번에 고정하는 할 수도 있으며, 고정구간(200)에 설치하는 댐퍼판(40′)은, 인상구간(100)의 인상 높이와 그에 따라 사면판(20)이 기울면서 이동하는 거리까지 고려하여 댐퍼판(4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판 및 사면판 설치공정(S2)은,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상구간(100)과 고정구간(200)에 각각 이동판(10)과 사면판(20)을 각각 설치하고 둘을 힌지(13)(24)로 연결하는 것으로, 먼저, 인상구간(100)에 이동판(10)을 고정하되, 인상구간(100) 가장자리에 이동판(10)의 힌지(13)가 위치되도록 하고, 힌지(13) 타단의 이동판(10) 끝단은 댐퍼판(4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이동판(10) 자체는 이동다리에 고정되도록 앵커(50) 등으로 고정한다.
또한, 사면판(20)은 고정구간(200)에 설치하되, 고정구간(200)의 가장자리에 사면판(20)의 힌지(24)가 위치되고, 힌지(24) 타단의 사면판(20) 끝단(또는, 보조판의 끝단)은 댐퍼판(4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지지부(23)는 다리폭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되는 구조이며, 상기 사면판(20)은 고정구간(20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만 잡도록 한다.
그리고 설치된 이동판(10)의 힌지(13)와 사면판(20)의 힌지(24)를 연결하여 꺾임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어지는 유압잭 설치 공정(S3)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된 사면판(20)의 양측면의 지지부(23), 자세하게는 지지부(23)의 수평부(25b) 하부에는 유압잭(30)을 설치하는데, 유압잭(30)은 사면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하도록 하며, 상기 유압잭(30)이 거동하는 높이는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사면판(20) 및 이동판(10)의 폭은 고정구간(200)의 도로(201)폭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면판(20)의 지지부(23)는 고정구간(200)의 인도(202) 쪽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유압잭(30)은 인도(202)쪽에 설치가 된다.
이렇게 인상구간(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이동판(10)과 고정구간(200)에 설치되는 사면판(20)이 힌지(13)(24)로 연결되고, 사면판(20)의 양 측면에 유압잭(3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을 구성하며,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구조물은 인상구간(100)의 양쪽에 대칭되게 구성한다.
다음으로, 다리를 인상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어지는, 다리 인상 공정(S4)은, 상기 인상구간(100)을 원하 는 높이로 인상하는 공정으로, 실제 다리를 인상하는 공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므로 상세한 부분은 생략하기로 하며,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에서는 다리 인상에 직접 관여하는 것은 없다.(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유압잭은 사면판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 인상 공정(S4)에서, 인상구간(100)을 인상하면, 인상구간(100) 양단에 설치된 이동판(10)은 인상구간(100)에 고정된 상태이고, 인상구간(100)과 고정구간(200)의 단차에 의해서, 사면판(20)은 기울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사면판(20)의 유압잭(30)을 제어하여, 그 위치에 맞게 유압잭(30)이 사면판(20)을 지지하도록 거동하는데,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렇게 유압잭(30)이 사면판(20)을 지지하므로 다리를 인상하는 과정 중에도 사면판(20)과 이동판(10)을 따라 다리의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또한, 다리 인상과정에서 사면판(20)은 기울기를 형성하면서 실제로 인상구간(100) 쪽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실제로 그 사면판(20)의 끝단 이동은 댐퍼판(40′) 내에서 이동하며, 사면판(20)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한 경우, 고정구간(200)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면판(20)의 끝단에 보조판(25)이 구성된 경우에는, 보조판(25)이 사면판(20)과 힌지(13)(24)에 의해 자연스럽게 꺾이면서 고정구간(200)과 사면판(20)을 자연스러운 기울기로 형성하게 된다.
추가로, 받침대 설치 공정(S4′)은,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상구간(100)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다리를 높게 인상하면서, 설치된 유압잭(30)의 거동 가동 거리보다 높은 높이로 인상하게 되면, 유압잭(30)의 하부에 발생하는 공간으로 받침대(31)를 설치하는데, 이때 유압잭(30)은 사면판(20)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그 거동의 확인이 용이하고, 받침대(31)의 설치 과정이 안전한 특징이 있다.
참고로, 상기 유압잭(30)을 추가로 지지하는 받침대(31)는 철근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 금속 구조물 등 압축력에도 강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참고로, 상기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설치한 후,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제거 전에 차량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면판(20)과 이동판(10)이 연결된 힌지 상부에 상기 힌지(13)(24) 부분을 충분히 덮는 보호판(60)을 설치하면, 차량 통행 과정에서 힌지(13)(24)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게 다리를 인상하는 과정 및 다리를 인상한 뒤에는 상기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을 통해 차량이 이동하되, 사면판(20)에서 유압잭(30)이 사면판(20) 양쪽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안전한 특징이 있으며, 사면판(20)을 지지하는 유압잭(30)은 사면판(20)을 벗어난 위치에 있으므로, 사면판(2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거동 확인이 용이하고, 거동에 따른 추가 작업이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에 차량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하중, 충격은 댐퍼판(40)(40′)이 흡수, 지지하므로, 사면판(20)과 이동판(10)의 손상과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사면판(20)과 이동판(10)의 파손을 방지하며, 차량이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을 통과하면서 주행성을 증가하도록 한다.
또한, 다리 인상 후처리 공정(S5)은, 상기 과정으로 인상구간(100)을 인상한 다음에는, 인상구간(100)을 인상한 목적에 맞게, 다리를 수리하거나, 또는, 다리를 영구 인상하기 위한 조치를 하는데, 다리 인상이 단순 수리를 위한 것이라면 수리 뒤에는 인상구간(100)을 다시 인하하고(인하하는 과정은 인상하는 과정의 역순이며, 인상 과정에서 유압잭에 받침대 사용하였다면, 인하하는 과정에서는 순차로 받침대를 순차로 제거하며, 인상구간을 인하하는 과정에서도 유압잭이 사면판을 지지하도록 하는데, 이렇게 인하하는 과정에도 차량 통행은 가능하다), 다리인상이 영구 인상하기 위한 것이라면, 영구 인상에 따른, 다리인상 하부에 영구 인상에 따른 보강 작업을 한다.
그리고 구조물 제거 공정(S6)은, 상기 인상구간 처리 공정(S5) 이후에 설치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설치한 순서의 반대로 철거를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마무리 공정(S7)은, 상기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철거 이후 에 고정구간(200)이나 인상구간(100)에 손상된 부분이 있으면 보수하고, 상면을 정리하는 공정이며,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교량 인상을 통한 다리 보수 또는 다리 영구 인상을 마치게 되는데, 다리 전체를 한번에 인상한 경우에는 다리 인상 시공이 마무리되고 다리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거나, 또는 단위 크기의 슬라브를 순차로 인상하는 경우에는, 다음 인상구간(100)에 상기 시공 방법 반복하여 다리 인상 시공을 완료한다.
이러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은 설치가 용이하고, 다리 인상 후는 물론, 다리 인상(시공 종류에 따라, 다리 인하도 포함)에도 차량 통행이 가능하며, 다리 인상 과정에서, 유압잭(30)의 거동 확인이 용이한 특징이 있으며, 유압잭(30)이 다리 인상을 담당하지 않고 사면판(20)만을 지지하고, 유압잭(30)이 사면판(20) 하부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다리 인상의 폭이 높더라도 유압잭(30)의 받침 설치가 안전하고 편리한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이동판(10)과 사면판(20)은 힌지(13)(24)로 연결되어 인상구간(100)의 인상에도 꺾임이 용이하고, 각 양단에는 댐퍼판(40)(40′)이 지지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이동시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사면판(20)과 이동판(10)의 하중을 분산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인상된 다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된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인상된 다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D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D 부분에 대한 다른 예시도.
도 12는 도 9의 EE´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된 다리 전체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을 적용하는 다리 인상 시공 방법에 대한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판 20 : 사면판
30 : 유압잭 40, 40´ : 댐퍼판

Claims (5)

  1. 교량 인상에서 인상되는 인상구간과 인상되지 않는 고정구간의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구조에 있어서,
    사각 판형의 골조구조와, 상기 골조구조 상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하는 이동판;
    사각 판형의 골조구조가 구비되어, 상기 골조구조 양측에 다수개의 지지부를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부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와, 바깥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부가 일체된 구조이며, 상기 골조구조 상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사면판이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과 사면판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사면판에 구성된 지지부의 수평부의 저면에는 유압잭이 설치되어 구성하는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구성되어,
    상기 구조물이 인상구간과 고정구간에 설치되어 안전한 차량 통행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판의 끝단에는,
    보조판이 힌지 연결되어,
    바닥과 사면판의 접지력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판의 골조구조는,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지지부가 일체되게 구성하되,
    하부프레임은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성하고, 지지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으로 연장되어 일체되게 구성하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로는, 하부프레임의 수직된 방향으로 다리 폭의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일체로 구성되어,
    내구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4. 교량 인상에서 인상되는 인상구간과 인상되지 않는 고정구간의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해당하는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판은 인상구간에 고정하고, 상기 사면판은 고정구간에 위치하되, 각 이동판과 사면판의 각 끝단이 인상구간과 고정구간의 경계에서 힌지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된 사면판의 지지부의 수평부 하부에 유압잭을 각각 설치하여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설치를 완료하고, 인상구간과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면판의 기울기에 따라 유압잭이 각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인상 시공에서 차량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과 사면판의 양 끝단 하부에는 댐퍼판을 설치하되,
    합성고무이나 탄성판으로 구성되는 진동분산판,
    강판이나 합금판으로 구성되는 하중분산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댐퍼판으로 사용되어,
    상기 댐퍼판을 통해 충격 및 하중을 흡수, 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090073275A 2009-08-10 2009-08-10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06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75A KR101068299B1 (ko) 2009-08-10 2009-08-10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75A KR101068299B1 (ko) 2009-08-10 2009-08-10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847A KR20110015847A (ko) 2011-02-17
KR101068299B1 true KR101068299B1 (ko) 2011-09-28

Family

ID=4377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275A KR101068299B1 (ko) 2009-08-10 2009-08-10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2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77B1 (ko) * 2011-12-27 2013-12-0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캔틸레버 구조물의 지지장치
CN103966937A (zh) * 2014-05-09 2014-08-06 陈婷 一种倾斜式垫板座
WO2021057172A1 (zh) * 2019-09-27 2021-04-01 南京毛勒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模块化桥接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579B1 (ko) * 2011-10-10 2012-04-17 (주)아이비건설 각도조절이 가능한 신축이음 장치
KR102361668B1 (ko) * 2021-08-17 2022-02-14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차량 통행이 가능한 스마트 교량 인상 제어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207A (ko) * 2004-07-23 2006-01-26 노윤근 교량 승상과 동시에 접속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 및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접속가교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60087322A (ko) * 2005-01-29 2006-08-02 (주)알티에스 노면 접속장치
JP2007247266A (ja) 2006-03-16 2007-09-27 Maeda Corp アプローチ部の施工方法
KR100892751B1 (ko) 2008-09-18 2009-04-10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교량상부구조물 인상 및 회전식 가교 시공에 의한 교량 개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207A (ko) * 2004-07-23 2006-01-26 노윤근 교량 승상과 동시에 접속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 및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접속가교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60087322A (ko) * 2005-01-29 2006-08-02 (주)알티에스 노면 접속장치
JP2007247266A (ja) 2006-03-16 2007-09-27 Maeda Corp アプローチ部の施工方法
KR100892751B1 (ko) 2008-09-18 2009-04-10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교량상부구조물 인상 및 회전식 가교 시공에 의한 교량 개보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77B1 (ko) * 2011-12-27 2013-12-0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캔틸레버 구조물의 지지장치
CN103966937A (zh) * 2014-05-09 2014-08-06 陈婷 一种倾斜式垫板座
CN103966937B (zh) * 2014-05-09 2016-05-04 张素平 一种倾斜式垫板座
WO2021057172A1 (zh) * 2019-09-27 2021-04-01 南京毛勒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模块化桥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847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259B1 (ko) 피에스씨 거더와 교량 하부구조의 강결방법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1300073B1 (ko) 거더 인상장치
KR100814388B1 (ko) 차량통행중 교량 인상방법
KR101068299B1 (ko)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507523B1 (ko)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을 구비한 철도 슬래브 궤도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949601B1 (ko) 가도없이 기존교량을 확폭하는 공법
KR101026012B1 (ko) 교각과 일체화시킨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해체공법
KR101026014B1 (ko) 수상에서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가설공법
CN101839063B (zh) 一种施工预制梁用的活动钢底座及其标准节
KR100892751B1 (ko) 교량상부구조물 인상 및 회전식 가교 시공에 의한 교량 개보수방법
KR101761477B1 (ko) 적층형 토목섬유 보강토지반벽체와 스프레드 토대판을 사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KR101998790B1 (ko)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하부구조물 단면 증설 방법
KR102109816B1 (ko) 교량용 베어링 교체 방법 및 베어링 구조물
KR200384998Y1 (ko) 매입형 합성 에이치 형강 거더교
KR101043710B1 (ko) 가각부가 형성된 하로교 및 하로교에 가각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JP3765053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補修方法
JP3806681B2 (ja) 道路の構築方法及び構築材
JP4901178B2 (ja) 鋼・コンクリート複合ラーメン橋の施工方法
JP2007291801A (ja) 高架道路構造体とその構築方法
KR100454387B1 (ko) 상부구조물 인상용 부축식 가벤트 및 그 형성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100478702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순차적 교체 방법
KR100556629B1 (ko) 교량 승상과 동시에 접속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 및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접속가교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757427B1 (ko)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KR100508773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가교 상판 및 그것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