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887B1 -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887B1
KR100694887B1 KR1020040110240A KR20040110240A KR100694887B1 KR 100694887 B1 KR100694887 B1 KR 100694887B1 KR 1020040110240 A KR1020040110240 A KR 1020040110240A KR 20040110240 A KR20040110240 A KR 20040110240A KR 100694887 B1 KR100694887 B1 KR 10069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haped steel
wire mesh
pile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604A (ko
Inventor
유성근
김영호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유성근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근, 김영호 filed Critical 유성근
Priority to KR102004011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8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H형강 부재(H형강 보, H형강 기둥, H형강 말뚝 또는 교량의 H형강 거더)의 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H형강 부재의 단부측 선단면에는 지압판이 용접되고, 단부측면에는 철망 또는 메탈라스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형강 보, H형강 거더, H형강 말뚝, 철근콘크리트, 강콘크리트 합성구조

Description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Detail of end part in H-shaped mem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말뚝이 철근콘크리트 확대기초 또는 교량의 교대에 매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2는 H형강 말뚝에 접합되는 지압판의 다른 실시를 보인 사시도.
도 3a, 도 3b는 H형강 말뚝에 볼트 결합되는 철망 또는 메탈라스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보 또는 거더가 철근콘크리트 기둥이나 벽체 또는 교량의 교대에 매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H형강 말뚝 12, 12' : H형강 말뚝의 플랜지
13 : H형강 말뚝의 선단면 14 : H형강 말뚝의 웨브
15 : H형강 말뚝의 플랜지 단부면 20 : 지압판
22 : 구멍 30 : 철망 또는 메탈라스
40 : 볼트 45 : 너트
50 : 플레이트 60 : 철근콘크리트 확대기초
70 : H형강 보 72, 72' : H형강 말뚝의 플랜지
73 : H형강 말뚝의 선단면 74 : H형강 말뚝의 웨브
75 : H형강 말뚝의 플랜지 단부면 80 : 철근콘크리트 벽체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H형강 부재의 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 기둥 또는 벽체에 매입되는 H형강 보의 단부, 철근콘크리트 확대기초 또는 교대에 매입되는 H형강 말뚝의 단부 또는 철근콘크리트 교대 또는 교각에 매입되는 H형강 거더의 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근콘크리트 기둥 또는 벽체에 접합되는 H형강 보의 단부, 철근콘크리트 확대기초 또는 교대에 매입되는 H형강 말뚝의 단부 또는 철근콘크리트 교대에 매입되는 H형강 거더의 단부의 경우,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H형강 보, H형강 말뚝 또는 H형강 거더(이하 'H형강 부재'라 한다)의 단부측 양 플랜지에 다수개의 스터드를 용접함으로써 콘크리트와 강재 부재 사이의 활동을 방지하고 이들이 서로 일체적으로 거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콘크리트와 H형강 부재 사이의 전단 연결재로 사용된 스터드의 경우 헤드와 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현장이나 공장에서 H형강 부재에 자동 또는 수작업으로 용접되므로 사용되는 스터드의 종류나 직경에 제한(최대 22mm)이 따른다. 따라서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었을 경우 단면의 저항 능력이 작으며 수평력에 대한 저항 강성도 작다. 또한, 헤드가 작아 상방향 인발력에 대해 재료 분리 방지 및 정착 효과 등의 측면에서 충분한 합성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매우 조밀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한편, H형강 부재의 선단면이나 양 플랜지 단부면에 접하는 콘크리트에는 높은 지압응력이 발생하여 콘크리트를 할렬파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단 연결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터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H형강 부재의 선단면에 접하는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높은 지압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H형강 부재의 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부재가 건축물의 확대기초 또는 교량의 교대 기초로 사용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H형강 말뚝의 단부구조는 H형강 말뚝(10)의 단부측 선단면(13)에는 지압판(20)을 용접하고, 단부측면에는 철망 또는 메탈라스(30)를 결합한 것이다.
상기 지압판(20)은 H형강 말뚝(10)의 단부측 선단면(13)에 접하는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지압응력을 균등하게 분포시켜(즉, 웨브와 동일한 응력분포를 나타내 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할렬파괴 및 전단파괴를 방지하고 인발력에 대해 전단키로 기능하므로서 접합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지압판의 크기는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지압응력에 의해 소성화되는 콘크리트의 영역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H형강 말뚝(10)의 양 플랜지(12, 12')와 웨브(14) 사이에 수직철근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확대기초 콘크리트(60)가 H형강 말뚝(10)의 양 플랜지(12, 12')와 웨브(14) 사이의 공간부에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상기 지압판(20)의 일부를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 위치는 지압판(20)이 용접되는 H형강 말뚝(10)의 양 플랜지(12, 12')와 웨브(14) 사이에 구멍(22)이 형성되도록 하면 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판(20)의 양측면을 절개하여 일측 개방 구멍을 형성시키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구멍을 뚫는다.
상기 철망 또는 메탈라스(30)는 H형강 말뚝(10)의 두부측 양 플랜지(12, 12')와 웨브(14) 사이의 공간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60)의 4면을 모두 구속하여 콘크리트(60)가 팽창할 때 3축 응력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H형강 말뚝(10)의 양 플랜지 단부면(15)에 접하는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지압응력을 균등하게 분포시켜(즉, 웨브와 동일한 응력분포를 나타내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할렬파괴 및 전단파괴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H형강 말뚝(10)과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력과 부착력을 증가시켜 별도로 스터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여기서, 철망 또는 메탈라스(3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 말뚝(10)의 양 플랜지(12, 12')면에 용접되거나,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 또는 메탈라스(30)가 결합되는 H형강 말뚝(10)의 두부측 양 플랜지(12, 12')를 관통하도록 양단에 나사가 가공된 볼트(40)를 결합하고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플레이트(50)을 이용하여 철망(30)을 H형강 말뚝(10)의 양 플랜지(12, 12')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볼트(40)는 전단 연결재로서의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철망은 짜귀철망, 용접철망, 마름모꼴철망, 귀갑철망을 모두 포함하고, 철망 또는 메탈라스(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 말뚝(10)을 감싸도록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 부재의 크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2개로 분할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부재가 철근콘리트 벽체(80)에 매입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H형강 보(70)의 단부구조는 H형강 보(70)의 단부측 선단면(73)에는 지압판(20)이 용접되어 있고, 단부측면에는 철망 또는 메탈라스(30)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지압판의 크기, 형상 및 기능, 철망 또는 메탈라스의 종류와 H형강 보 에 결합하는 방법 및 기능은 상기한 H형강 말뚝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H형강 부재의 단부측 선단면에 접하는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지압응력을 균등하게 분포시켜(즉, 웨브와 동일한 응력분포를 나타내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할렬파괴 및 전단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인발력에 대해 전단키로 기능하므로서 접합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H형강 부재의 단부측 플랜지 단부에 접하는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지압응력을 균등하게 분포시켜(즉, 웨브와 동일한 응력분포를 나타내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할렬파괴 및 전단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어떠한 수정이나 변형도 포함할 것이다.

Claims (4)

  1.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H형강 부재의 단부구조에 있어서,
    H형강 부재의 단부측 선단면에는 지압판을 용접하고, 단부측면에는 철망 또는 메탈라스를 결합하되, 상기 지압판은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H형강 부재의 양 플랜지와의 사이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H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 또는 메탈라스가 결합되는 H형강 부재의 단부측 양 플랜지를 관통하여 양단에 나사가 가공된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철망 또는 메탈라스는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H형강 부재의 양 플랜지에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H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 또는 메탈라스는 두 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H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KR1020040110240A 2004-12-22 2004-12-22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KR10069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240A KR100694887B1 (ko) 2004-12-22 2004-12-22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240A KR100694887B1 (ko) 2004-12-22 2004-12-22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04A KR20060071604A (ko) 2006-06-27
KR100694887B1 true KR100694887B1 (ko) 2007-03-13

Family

ID=3716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240A KR100694887B1 (ko) 2004-12-22 2004-12-22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9284B (zh) * 2012-09-29 2014-10-29 重庆大学 三向加载大型三维相似模拟试验试件箱
KR101658020B1 (ko) * 2014-02-07 2016-09-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용 파일 접합 구조체
KR101627512B1 (ko) * 2015-08-25 2016-06-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용 h-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04A (ko)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607B2 (ja) 耐モーメント構造物と、支持部材と、建築方法
JP4992042B2 (ja) プレキャスト横梁およびそれを用いた橋脚
WO1998036134A1 (fr) Joint pour structure acier, et structure combinee utilisant les memes joints pour structure acier
KR100585503B1 (ko) 유공 및/또는 서로 엇갈리게 찢은 강판을 이용한 전단연결재
JP2008063803A (ja) 内リブ付形鋼を用いた合成床版、合成床版橋又は合成桁橋
KR101918681B1 (ko) 띠장
JP6769549B2 (ja) 小梁接合方法、小梁接合構造、及び、支持部材
KR10071645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보강 구조
KR100694887B1 (ko)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에이치형강 부재의 단부구조
KR101921024B1 (ko) 전단연결재
JP2002004474A (ja) 梁構造
JPH11343700A (ja) カットt鋼材を用いた合成小梁
JP3804322B2 (ja) 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耐震補強鋼板の取付方法、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方法
JP2009102878A (ja) 柱梁接合構造
JP2008063805A (ja) フル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接合構造
KR20150142158A (ko) 회전거동이 억제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JP7040716B2 (ja) 鉄骨梁スラブ施工方法、及び鉄骨梁
KR102137943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용 내진 보강 구조체
KR101685632B1 (ko)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KR102618251B1 (ko) 교량의 바닥판 교체 시공방법
JP7217143B2 (ja) 柱と基礎の接合構造
JP2000087453A (ja) 柱あるいは壁と梁あるいは版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80070097A (ko) 시공단계에서 연속화 공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와이드 플랜지 보 구조시스템
JP6964523B2 (ja) 連結部材および支保工の連結方法
JP2023109553A (ja) 柱梁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