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516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516A
KR20150139516A KR1020157027176A KR20157027176A KR20150139516A KR 20150139516 A KR20150139516 A KR 20150139516A KR 1020157027176 A KR1020157027176 A KR 1020157027176A KR 20157027176 A KR20157027176 A KR 20157027176A KR 20150139516 A KR20150139516 A KR 20150139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eeder house
motor
ree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후미 야사카
준 테라시마
토시노부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625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1838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62570A external-priority patent/JP60417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62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183797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30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37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2Heade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투입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콤바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콤바인(1)은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FH 컨베이어(24), 전동 모터(91a·92a·93a·94a), 제어 장치(100) 및 투입 작업 조작구(79)를 구비하며, 제어 장치(100)는 투입 작업 조작구(79)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릴(21) 및 예취날(22)을 각각 정지시킨 상태에서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를 각각 정회전시킨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취부의 각 부(릴, 예취날, PH 오거 및 FH 컨베이어)에 각각 전동 모터를 접속하여, 상기 각 전동 모터에 의해 예취부를 구동시키는 콤바인의 기술은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종래, 투입 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자는 예취부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예취부에 작물을 투입하고 있었다.
투입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또한, 투입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하고 싶다는 요청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71917호 공보
본 발명은 투입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곡물의 줄기(이하, '곡간(穀幹)'이라고 한다)를 긁어모으는 릴;
상기 릴을 구동시키는 릴용 구동 장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날;
상기 예취날을 구동시키는 예취날용 구동 장치;
상기 예취날에 의해 예취한 곡간을 거둬들이는 플랫폼 오거;
상기 플랫폼 오거를 구동시키는 오거용 구동 장치;
상기 플랫폼 오거에 의해 거둬들인 곡간을 탈곡부로 반송하는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용 구동 장치;
상기 릴용 구동 장치, 예취날용 구동 장치, 오거용 구동 장치 및 컨베이어용 구동 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릴, 예취날, 플랫폼 오거 및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투입 작업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투입 작업 조작구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릴 및 예취날을 각각 정지시킨 상태로 상기 플랫폼 오거 및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를 각각 정회전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입 작업 조작구는 기체(機體) 측면 또는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를 수용하는 피더 하우스의 측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취날 및 상기 예취날용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예취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예취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예취날이 장착되고, 상기 예취 프레임의 측부 후단에는 상기 예취날용 구동 장치가 장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취날용 구동 장치는 예취날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예취날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를 수용하는 피더 하우스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용 구동 장치는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의 구동축에 접속되는 컨베이어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가 상기 피더 하우스의 측방에 존재하고,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이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의 구동축 축선과 직교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는 기체 전단의 측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의 후방에는 상기 기체의 사이드 커버가 존재하고,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의 출력축의 축선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의 출력축 후단이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의 구동축에 접속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투입 작업 조작구를 조작하면, 투입 작업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투입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릴 및 예취날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랫폼 오거 및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가 각각 정회전하므로, 투입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투입 작업 조작구를 컨베이어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종부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어 투입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날용 구동 장치가 예취 프레임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예취폭으로부터 예취날용 구동 장치의 돌출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날용 모터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가 피더 하우스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모터를 컴팩트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폭으로부터 모터의 돌출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가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에 액세스하기 쉬워져,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의 메인테넌스 작업을 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커버의 개폐시에 모터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모터의 상단에 빗물 등이 고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작물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상면도이다.
도 3은 탈곡부 및 선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동 모터 및 그 주변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예취 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예취 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피더 하우스의 상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보통형 콤바인(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1)은 주행부(10), 예취부(20), 탈곡부(30), 선별부(40), 곡립 저장부(50), 배출 짚 처리부(60), 조종부(70), 엔진(80) 및 발전기(81)를 구비한다.
주행부(10)는 기체(2)의 하부에 마련된다. 주행부(10)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를 가지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11)를 가지고 있고, 이 크롤러식 주행 장치(11)에 의해 기체(2)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취부(20)는 기체(2)의 전방에 마련되며 기체(2)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취부(20)는 릴(21), 예취날(22), 플랫폼 오거(PF 오거)(23) 및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FH 컨베이어)(24)를 가지고 있다. 릴(21), 예취날(22) 및 PF 오거(23)는 예취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25)과 기체(2) 사이에는 피더 하우스(26)가 마련되어 있으며, 피더 하우스(26) 내에는 FH 컨베이어(24)가 설치되어 있다.
피더 하우스(26)의 측면에는 투입 작업 조작구(7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예취부(20)에는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 모터(91a·92a·93a·94a)가 마련되어 있다.
예취부(20)는 릴(21)에 의해 곡간을 긁어모아, 예취날(22)에 의해 긁어모은 곡간의 그루터기를 절단하고, 그리고 예취한 곡간을 PF 오거(23)에 의해 긁어모으고 나서 FH 컨베이어(24)로 받아 넘겨, FH 컨베이어(24)에 의해 탈곡부(30)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탈곡부(30)는 기체(2)의 좌측 상부에 마련되며 예취부(2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곡부(30)는 급동(扱胴)(31) 및 탈곡망(32)을 가지고 있다. 탈곡부(30)는 급동(31) 및 탈곡망(32)에 의해 예취부(2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곡간을 후방으로 보내면서 탈곡하고, 그 탈곡물을 누하(漏下)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별부(40)는 기체(2)의 좌측 하부에 마련되며 탈곡부(30)의 하방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별부(40)는 요동 선별 장치(41), 바람 선별 장치(42), 곡립 반송 장치(43) 및 2번 환원 장치(44)를 가지고 있다. 선별부(40)는 요동 선별 장치(41)에 의해 탈곡부(30)로부터 낙하하는 탈곡물을 곡립이나 지푸라기 등으로 요동 선별하고, 그 요동 선별한 것을 바람 선별 장치(42)에 의해 곡립과 지푸라기 등으로 추가로 바람 선별하여, 선별 후의 곡립을 곡립 반송 장치(43)에 의해 곡립 저장부(50) 측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요동 선별 장치(41)는 제1 채프 시브(chaff seive)(41a), 제2 채프 시브(41b), 사분(篩分) 부재(41c)를 가지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41)는 급동(31)의 하방에 배치된다. 요동 선별 장치(41)에는 요동 기구(41)가 마련된다. 요동 기구(41d)는 제1 채프 시브(41a), 제2 채프 시브(41b) 및 사분 부재(41c)를 기체(2)에 대하여 요동시킨다.
제1 채프 시브(41a) 및 제2 채프 시브(41b)는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마다 가로놓여진 복수의 채프 핀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각 채프 핀은 그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이 약간 전저후고(前低後高)로 경사진 상태에서 전후로 병설된다. 사분 부재(41c)는 빗살 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제1 채프 시브(41a)의 후단부에 기어부가 후방을 향하여 마련되며, 제2 채프 시브(41b)의 앞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요동 선별 장치(41)는 제1 채프 시브(41a), 제2 채프 시브(41b) 및 사분 부재(41c)를 요동시킴으로서 탈곡부(30)로부터 낙하하는 탈곡물로부터 곡립을 대강 선별하고, 그 대강 선별한 것을 바람 선별 장치(42)에 누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누하시키는 양은 제1 채프 시브(41a) 및 제2 채프 시브(41b)에서 각각 복수의 채프 핀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조절된다.
바람 선별 장치(42)는 풍구(42a), 1번 컨베이어(42b) 및 2번 컨베이어(42c)를 가지고 있다. 풍구(42a)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기체(2)의 좌측 전단 부근에 배치된다. 1번 컨베이어(42b) 및 2번 컨베이어(42c)는 각각 풍구(42a)의 후방에 배치되며 서로 전후로 병설된다.
바람 선별 장치(42)에는 풍구(42a)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풍구용 전동 모터(95a)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 선별 장치(42)는 풍구(42a)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선별풍을 일으켜 후방으로 보내어, 상기 선별풍을 요동 선별 장치(41)로부터 낙하하는 곡립이나 지푸라기에 맞혀 이들을 비중 선별한다. 그리고, 이들 중, 비중이 무거운 것이 선별풍의 영향을 받지 않고 1번 컨베이어(42b)로 낙하하는데 비하여, 비중이 가벼운 것은 선별풍에 의해 후방으로 운반되어 2번 컨베이어(42c)에 낙하하고, 더 가벼운 먼지 등이 후방으로 배출된다.
바람 선별 장치(42)는 또한, 1번 컨베이어(42b)를 구동시킴으로써, 이 1번 컨베이어(42b)에 낙하해 온 것을 제1물로서 우측으로 보내어 곡립 반송 장치(43)로 넘긴다. 곡립 반송 장치(43)는 이 제1물을 곡립 저장부(50) 측으로 반송한다.
또한, 바람 선별 장치(42)는 2번 컨베이어(42c)를 구동시킴으로써, 이 2번 컨베이어(42c)에 낙하해 온 것을 2번물로써 우측으로 보내어 2번 환원 장치(44)의 2번 반송 장치(44a)로 넘긴다.
2번 환원 장치(44)는 2번 반송 장치(44a) 및 2번 처리 장치(44b)를 구비한다. 2번 반송 장치(44a)는 요동 선별 장치(41) 및 바람 선별 장치(42)의 우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고후저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2번 처리 장치(44b)는 요동 선별 장치(41)의 전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2번 반송 장치(44a)와 접속된다.
2번 환원 장치(44)는 2번 반송 장치(44a)에서 받은 2번물을 2번 처리 장치(44b)로 보내고, 2번 처리 장치(44b)에서 2번물에 대하여 이삭가지를 제거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요동 선별 장치(41)에 낙하시켜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요동 선별 장치(41) 및 바람 선별 장치(42)를 거친 2번물이 반복하여 선별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저장부(50)는 기체(2)의 우측 전후 중앙부에 마련되며, 탈곡부(30) 및 선별부(40)의 우측에 배치된다. 곡립 저장부(50)는 곡립 탱크(51) 및 곡립 배출 장치(52)를 가지고 있다. 곡립 저장부(50)는 선별부(4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곡립을 곡립 탱크(51)에서 저장하고, 곡립 배출 장치(52)에 의해 저장중의 곡립을 임의의 방향으로 반송하고 나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출 짚 처리부(60)는, 기체(2)의 좌측 후상방에 마련되며, 탈곡부(30) 및 선별부(40)의 후방에 배치된다. 배출 짚 처리부(60)는 탈곡부(30)로부터 탈곡이 끝난 곡간을 배출 짚으로서 외부로 배출함과 함께, 선별부(40)로부터 지푸라기나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종부(70)는 기체(2)의 우측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곡립 저장부(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조종부(70)에는 릴(21)을 조작하기 위한 릴용 조작구(71)나, 예취날(22)을 조작하기 위한 예취날용 조작구(72)나, PF 오거(23)를 조작하기 위한 오거용 조작구(73)나, FH 컨베이어(24)를 조작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조작구(74)나, 풍구(42a)를 조작하기 위한 풍구용 조작구(75)가 마련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조종부(70)에는 스티어링 핸들(76) 및 변속 레버를 포함한 각종 조작구나, 조종석이나, 캐빈(77)이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80)은 기체(2)의 우측전단에 마련되며, 조종부(70)의 하방에 배치된다. 엔진(80)의 좌방에는 발전기(81)가 마련되어 있다. 발전기(81)는 엔진(80)에 접속되어 있으며 엔진(80)의 회전이 전달되어 구동된다.
기체(2)의 우측후단에는 배터리(82)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82)는 발전기(8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발전기(81)에서 발전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콤바인(1)의 동력 전달에 대해 설명한다.
콤바인(1)은 엔진(80)의 동력을 주행부(10), 탈곡부(30), 선별부(40)(풍구(42a) 제외), 곡립 저장부(50) 및 배출 짚 처리부(60)에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계를 통해 전달하여 엔진(80)의 동력에 의해 이러한 각 부를 구동시킨다.
또한, 콤바인(1)은 예취부(20)의 각 부(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 및 선별부(40)의 풍구(42a)에 관해서는, 전동 모터(삼상 교류 모터)(91a·92a·93a·94a·95a)의 동력에 의해 구동시킨다(도 5 참조).
다음으로, 전동 모터(91a·92a·93a·94a·95a) 및 그 주변 기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주행시(엔진(80)의 회전시)에는, 발전기(81)는 엔진(80)에 의해 구동되어 교류 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교류 전력이 인버터(83)에 의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직류 전력은 인버터(192·193·194)에 의해 각각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전동 모터(92a·93a·94a)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상기 직류 전력은 DC-DC 컨버터(84)에 의해 전압이 조정된 후, 인버터(191·195)에 의해 각각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전동 모터(91a·95a)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발전 전력보다 적은 경우,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FH 컨베이어(24) 및 풍구(42a)가 발전기(81)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며, 잉여 전력이 배터리(82)에 저장된다. 또한, 소비 전력이 발전 전력보다 많은 경우, 배터리(82)로부터도 전력이 공급된다.
엔진(80)의 정지시에는, 배터리(82)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이 인버터(191·192·193·194·195)를 통하여 전동 모터(91a·92a·93a·94a·95a)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엔진(80)의 정지시에는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FH 컨베이어(24) 및 풍구(42a)가 배터리(82)의 전력으로 구동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에는 조작구(71·72·73·74·75·79) 및 인버터(191·192·193·194·195)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00)는 조작구(71·72·73·74·75·79)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인버터(191·192·193·194·195)를 제어하여 전동 모터(91a·92a·93a·94a·95a)의 회전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100)는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FH 컨베이어(24) 및 풍구(42a)의 동작을 제어한다.
종래, 엔진의 동력은 복수 개의 전동 벨트 및 풀리를 통하여 예취부의 각 부나 풍구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콤바인(1)은 예취부(20)의 각 부(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나, 선별부(40)의 풍구(42a)에 전동 모터(91a·92a·93a·94a·95a)를 각각 접속하여, 각 전동 모터(91a·92a·93a·94a·95a)의 동력으로 예취부(20)의 각 부나 풍구(42a)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종래 사용하고 있던 전동 벨트나 전동 풀리 등의 엔진에 접속하기 위한 부품을 삭제할 수가 있음과 함께, 예취부(20)나 풍구(42a)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예취부(20)의 각 부(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나 선별부(40)의 풍구(42a)에 관해서는, 동력 전달계가 엔진(80)과의 동력 전달계와 별개의 계통으로 되어 있으므로, 엔진(80)과는 관계없이 전동 모터(91a·92a·93a·94a·95a)의 출력축을 각각 회전시켜, 메인테넌스나 조정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은 작업 상황에 따라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부위(예취부(20)의 각 부나 풍구(42a))에 대해서는, 각각에 동력원(전동 모터(91a·92a·93a·94a·95a)을 마련함으로써, 각각의 회전 속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일정 회전 속도가 필요한 부위(탈곡부(30)나 발전기(81))에 대해서는, 엔진(80)을 동력원으로 한다. 이와 같이, 콤바인(1)은 각 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력원을 복수 종류 마련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1)은 예취부(20)에 전동 모터(91a·92a·93a·94a)를 마련하고, 기체(2)의 후단(곡립 저장부(50)의 후방)에 배터리(82)를 마련한다. 이것은, 예취부(20)에 전동 모터(91a·92a·93a·94a)를 마련함으로써 콤바인(1)의 중심이 전측으로 치우치지만, 기체(2)의 후단에 배터리(82)를 마련함으로써 콤바인(1)의 전후 중량 밸런스를 맞추어 중심의 편향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콤바인(1)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투입 작업 조작구(79)에 대해 설명한다.
투입 작업 조작구(79)는 투입 작업을 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 작업 조작구(79)는 피더 하우스(26)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투입 작업 조작구(79)는 단일 조작구이며, 예를 들면 스위치나 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 작업 조작구(79)는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다. 투입 작업 조작구(79)가 조작됨으로써 제어 장치(100)에 신호가 송신된다.
제어 장치(100)는 투입 작업 조작구(79)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릴(21) 및 예취날(22)을 각각 정지시킨 상태에서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를 각각 정회전시킨다.
PF 오거(23)(FH 컨베이어(24))를 정회전시킨다는 것은 PF 오거(23)(FH 컨베이어 (24))를 예취 작업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작업자는 투입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엔진(80)을 구동시켜, 탈곡부(30), 선별부(40), 곡립 저장부(50) 및 배출 짚 처리부(60)를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 작업 조작구(79)를 조작한다. 이에 따라, 릴(21) 및 예취날(22)이 각각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가 각각 정회전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예취 프레임(21) 내에 작물을 투입함으로써 작물은 탈곡 및 선별되고, 그리고 선별 후의 곡립이 곡립 탱크(51)에 저장되며 배출 줄기가 기기 밖으로 방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투입 작업 조작구(79)를 조작하면, 예취부(20)의 각 부(20)(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가 상기한 소정의 움직임을 하여, 투입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작업자가 투입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투입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투입 작업 조작구(79)에 의한 투입 작업시에는 릴(21) 및 예취날(22)이 정지하고 있으므로, 투입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릴(21) 및 예취날(22)이 정지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작물을 투입할 때 작물이 릴(21)에 감기거나 말려들지 않고, 또한 예취날(22)에 의해 절단되는 일도 없다. 이에 따라, 작물(곡립)을 손상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투입 작업 조작구(79)가 피더 하우스(26)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투입 작업 조작구(79)를 컨베이어(1)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종부(70)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어, 투입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다.
한편, 투입 작업 조작구(79)가 장착되는 위치는 피더 하우스(26)의 측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2) 측면이어도 된다. 한편, 투입 작업 조작구(79)를 기체(2) 측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기체(2)의 전단 부근(예취부(20)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투입 작업 조작구(79)를 투입 작업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원활히 투입 작업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취 프레임(25), 예취날(22) 및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 프레임(25)의 전방하부에는 예취날(22)이 마련되어 있고, 예취 프레임(25)의 전후 중앙부에는 PF 오거(23)가 마련되어 있으며, 예취 프레임(25)의 좌측 후방에는 FH 컨베이어(24)가 마련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25)은 좌우 한쌍의 측벽(25a·25b), 측벽(25a·25b) 사이의 후부 우측에 마련되는 후판(25c) 및 측벽(25a·25b) 사이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판(25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벽(25a·25b) 사이의 후부 좌측에는 피더 하우스(26)가 연결되는 개구(25e)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25a·25b) 사이의 전방 하부에는 바닥판(25d)은 마련되지 않으며, 예취날대(臺)(25f)가 마련되어 있다.
예취날대(25f)는 예취 프레임(25)의 전방 하부에 그 좌우 전폭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예취날대(25f)에는 다수의 예취날(22)과 받이날(22a)이 장착된다. 예취날(22)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폭으로 왕복 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예취날(22)이 왕복동됨으로써, 예취날(22)과 받이날(22a)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식립(植立) 곡간의 그루터기부가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날(22)의 우단은 상기 링크 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 기구는 전동 케이스(22c)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링크 기구의 입력축(22d)은 전동 케이스(22c)로부터 우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입력축(22d)에는 예취날 풀리(22b)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예취날 풀리(22b)는 예취 프레임(25)의 우측 전방 하부의 외측(우방)에 배치되어 있다. 예취날 풀리(22b)의 회전은 상기 링크 기구에 의해 예취날(22)의 왕복동으로 변환된다. 예취날 풀리(22b)에는 예취날용 구동 장치(92)가 접속되어 있다.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는 예취날(22)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는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 및 감속기(92b)로 구성된다. 감속기(92b)는 케이스(92c)에 수용되어 있다.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는 예취 프레임(25)의 측부 후단(우측 후단)에 장착되어 있다.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는 예취 프레임(25)과 기체(2)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공간 중 좌측(예취 프레임(25)의 좌측 후방)에는 피더 하우스(26)가 존재하고 있는데 반하여, 상기 공간 중 우측(예취 프레임(25)의 우측 후방)은 비어 있다. 이에 따라,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를 예취 프레임(25) 우측 후단에 장착하고,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를 예취 프레임(25)의 우측 후방의 비어 있는 공간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를 기체(2)의 전단부, 예취날(22), PF 오거(23), 피더 하우스(26) 등에 방해받지 않고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취날용 구동 장치(92)가 예취 프레임(25)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예취폭(W)로부터의 예취날용 구동 장치(92)의 돌출량(예취날용 구동 장치(92)의 돌출 부분)을 억제할 수 있다.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의 출력축(92d)의 축선(L)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를 예취 프레임(25)의 후단부를 따라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가 예취 프레임(25)의 후단으로부터 후방(기체(2)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이 억제되므로,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의 출력축(92d)의 선단(우단)에는 감속기(92b)가 장착되어 있다. 감속기(92b)는, 예를 들면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감속기(92b)의 출력축(도시 생략)에는 출력 풀리(92e)가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풀리(92e)가 예취 프레임(25)의 우측 후단의 외측(우방)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 풀리(92e)의 전방에는 예취날 풀리(22b)가 존재하고 있으며, 출력 풀리(92e)와 예취날 풀리(22b)에는 벨트 부재(V 벨트)(92f)가 감겨있다. 벨트 부재(92f)에는 텐션 풀리(92g)가 용수철 등에 의해 가압되어 접촉되어 있다. 한편, 벨트 전동 대신 체인 전동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의 출력축(92d)의 회전은 감속기(92b)에 의해 감속되고 나서 출력 풀리(92e), 벨트 부재(92f), 예취날 풀리(22b) 및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예취날(22)에 전달되어 예취날(22)이 구동된다. 감속기(92b)를 마련함으로써, 소형의 모터로 저속 고토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예취날용 구동 장치(92)가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와 감속기(92b)에 의해 예취날(22)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고 있다.
예취날용 구동 장치(92)와 피더 하우스(26) 사이에는, 인버터(191·192·193)를 수용하는 박스(27)가 배치되어 있다. 박스(27)는 예취 프레임(25)의 후단의 좌우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박스(27)로부터는 인버터(191·192·193)의 냉각 핀이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인버터(191·192·193)는 박스(27)에 의해 냉각 핀 이외의 부분이 보호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를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와 감속기(92b)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를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취날용 전동 모터(92a)의 출력축(92d)에 출력 풀리(92e)를 연결하여, 출력 풀리(92e)와 예취날 풀리(22b)에 벨트 부재(92f)를 감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감속기(92b)의 배치 공간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예취날용 구동 장치(92)를 보다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더 하우스(26), FH 컨베이어(24) 및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2)의 전방에는 예취 프레임(25)이 마련되어 있으며, 기체(2)와 예취 프레임(25) 사이에는 피더 하우스(26)가 마련되어 있다. 피더 하우스(26)는 전후 양단이 개구하는 사각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앞부분이 예취 프레임(25)의 후단 좌측에 장착되며, 그 뒷부분이 기체(2)의 전단 좌측에 장착되어 있다.
피더 하우스(26) 내에는, FH 컨베이어(24)가 마련되어 있다. FH 컨베이어(24)는 피더 하우스(26) 내의 전단부에 종동축(24a)을 가로로 걸쳐 놓음과 함께, 피더 하우스(26)의 후단부에 구동축(24b)을 가로로 걸쳐 놓고 있다. 구동축(24b)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더 하우스(26)의 후단부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동축(24b)의 좌단에는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가 접속되어 있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본체부(94c)는 브래킷(2a)을 통하여 기체(2) 전단의 좌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는 기체(2) 전단의 좌단 상부의 측면에 마련한 브래킷(2a)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는 피더 하우스(26)의 후부 좌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 좌방에 존재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에는,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이 접속되어 있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의 후단에는 베벨 기어(94e)가 고정되어 있으며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의 좌단에는 베벨 기어(24c)가 고정되어 있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 상의 베벨 기어(94e)와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 상의 베벨 기어(24c)가 맞물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회전이 전달된다. 출력축(94d), 구동축(24b) 및 베벨 기어(94e·24c)는 케이스(94f)에 수용되어 있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의 회전은, 베벨 기어(94e·24c) 및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을 통하여 FH 컨베이어(24)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FH 컨베이어(24)가 구동된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는 베벨 기어(94e·24c)에 의해 회전 구동력의 전달 방향을 90도 바꾸어, FH 컨베이어(24)에 전달하고 있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의 축선(L1)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의 축선(L1)은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의 축선(L2)과 직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의 축선(L1)과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의 축선(L2)을 직교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가 피더 하우스(26)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예취폭(W)으로부터의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돌출량(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돌출 부분)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를 피더 하우스(26)의 좌방에 배치하였으나(도 2 참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를 피더 하우스(26)의 우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가 기체(2) 전단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의 축선(L1)과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의 축선(L2)을 직교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가 피더 하우스(26)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이 억제되므로,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배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를 피더 하우스(26)의 좌방에 배치하고, 기체(2) 전단의 좌단부 부근에 배치하는 편이 작업자가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에 액세스하기 쉬워,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메인테넌스 작업을 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유리하다(도 2 참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후방에는, 기체(2)의 사이드 커버(3)가 존재하고 있다. 사이드 커버(3)는 탈곡부(30)를 외측(좌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사이드 커버(3)는 그 전단을 중심으로 측방으로 회동됨으로써 탈곡부(30)를 개방한다. 작업자는 사이드 커버(3)를 열어 탈곡부(30)의 메인테넌스 작업을 실시한다.
도 1,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가 기체(2) 전단의 좌단부 부근에 배치되며,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의 축선(L1)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출력축(94d)의 후단이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가 기체(2) 전단의 좌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런데, 만일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를 기체(2) 전단의 좌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사이드 커버(3)의 개폐시에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가 사이드 커버(3)에 간섭하여 방해가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본체부(94c)의 상단에 빗물 등이 고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를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가 작물에 닿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를 기체(2) 전단의 좌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과, FH 컨베이어(24)의 구동축(24b) 사이에 감속기를 장착해도 된다. 감속기는, 예를 들면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된다.
이 경우, 컨베이어용 전동 모터(94a)의 출력축(94d)의 회전은 감속기에 의해 감속되고 나서 FH 컨베이어(24)에 전달되어, FH 컨베이어(24)가 구동한다. 감속기를 마련함으로써, 소형의 모터로 저속 고토크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콤바인으로 이용 가능하다.
 1: 콤바인 21: 릴
 22: 예취날 23: PF 오거
 24: FH 컨베이어 79: 투입 작업 조작구
 91a·92a·93a·94a: 전동 모터 100: 제어 장치

Claims (7)

  1. 곡간을 긁어 모으는 릴;
    상기 릴을 구동시키는 릴용 구동 장치;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날;
    상기 예취날을 구동시키는 예취날용 구동 장치;
    상기 예취날에 의해 예취한 곡간을 거둬들이는 플랫폼 오거;
    상기 플랫폼 오거를 구동시키는 오거용 구동 장치;
    상기 플랫폼 오거에 의해 거둬들인 곡간을 탈곡부로 반송하는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용 구동 장치;
    상기 릴용 구동 장치, 예취날용 구동 장치, 오거용 구동 장치 및 컨베이어용 구동 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릴, 예취날, 플랫폼 오거 및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투입 작업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투입 작업 조작구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릴 및 예취날을 각각 정지시킨 상태로 상기 플랫폼 오거 및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를 각각 정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작업 조작구는, 기체 측면 또는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를 수용하는 피더 하우스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날 및 상기 예취날용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예취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예취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예취날이 장착되고, 상기 예취 프레임의 측부 후단에는 상기 예취날용 구동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날용 구동 장치는 예취날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예취날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를 수용하는 피더 하우스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용 구동 장치는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의 구동축에 접속되는 컨베이어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가 상기 피더 하우스의 측방에 존재하고,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이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의 구동축 축선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는 기체 전단의 측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의 후방에는 상기 기체의 사이드 커버가 존재하고,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의 출력축의 축선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의 출력축 후단이 상기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의 구동축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57027176A 2013-03-25 2014-03-13 콤바인 KR20150139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2577 2013-03-25
JPJP-P-2013-062570 2013-03-25
JP2013062577A JP2014183801A (ja) 2013-03-25 2013-03-25 コンバイン
JP2013062570A JP6041724B2 (ja) 2013-03-25 2013-03-25 コンバイン
JP2013062572A JP2014183797A (ja) 2013-03-25 2013-03-25 コンバイン
JPJP-P-2013-062572 2013-03-25
PCT/JP2014/056634 WO2014156675A1 (ja) 2013-03-25 2014-03-13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516A true KR20150139516A (ko) 2015-12-11

Family

ID=5162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176A KR20150139516A (ko) 2013-03-25 2014-03-13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50139516A (ko)
CN (1) CN105050382A (ko)
WO (1) WO2014156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4919B1 (de) * 2015-07-08 2020-10-28 Zürn Harvesting GmbH & Co. KG Schneidwerksanordnung
EP3800980B1 (en) 2018-06-08 2024-03-06 AGCO Corporation Auto reel height
BR102020017363A2 (pt) * 2020-08-25 2022-03-08 Gts Do Brasil Ltda. Sistema de acionamento e controle de plataformas agrícola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795B2 (ja) * 1988-04-05 1996-06-19 井関農機株式会社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H03280806A (ja) * 1990-03-29 1991-12-1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手扱ぎ操作装置
CN1321557C (zh) * 2004-03-31 2007-06-20 井关农机株式会社 谷物排出装置
JP2008220326A (ja) * 2007-03-15 2008-09-25 Yanmar Co Ltd 収穫機
JP5144332B2 (ja) * 2008-03-25 2013-02-1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201440815U (zh) * 2008-12-10 2010-04-28 杜舜尧 小型联合收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50382A (zh) 2015-11-11
WO2014156675A1 (ja)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8512B2 (ja) コンバイン
JP2013051932A (ja) コンバイン
JP5144332B2 (ja) コンバイン
KR20150139516A (ko) 콤바인
JP2015181389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KR20150133218A (ko) 콤바인
JP2014183794A (ja) コンバイン
JP2009232819A (ja) コンバイン
JP2014183797A (ja) コンバイン
JP2009178137A (ja) コンバイン
JP6041724B2 (ja) コンバイン
JP6033142B2 (ja) コンバイン
JP2014103944A (ja) コンバイン
JP2013059283A (ja) コンバイン
JP6731880B2 (ja) コンバイン
JP5818712B2 (ja) 汎用コンバイン
WO2014003005A1 (ja) コンバイン
JP2014183799A (ja) コンバイン
JP2015188355A (ja) コンバイン
JP2011019495A (ja) コンバイン
JP2014183801A (ja) コンバイン
JP5870361B2 (ja) 脱穀装置
JP2009171851A (ja) コンバイン
JP2009165368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JP5112892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