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218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3218A KR20150133218A KR1020157028708A KR20157028708A KR20150133218A KR 20150133218 A KR20150133218 A KR 20150133218A KR 1020157028708 A KR1020157028708 A KR 1020157028708A KR 20157028708 A KR20157028708 A KR 20157028708A KR 20150133218 A KR20150133218 A KR 201501332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el
- auger
- tuyere
- motor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electric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2—Header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01D57/02—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using reels
- A01D57/025—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using reels with synchronised driv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동력 생성 장치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콤바인(1)은 측부에 동력 생성 장치인 릴용 구동 장치(91)를 마련한다. 릴용 구동 장치(91)는 릴용 구동 장치(91)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릴(21)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콤바인(1)은 측부에 동력 생성 장치인 오거용 구동 장치(93)를 마련한다. 오거용 구동 장치(93)는 오거용 구동 장치(93)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PF 오거(23)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콤바인(1)은 측부에 동력 생성 장치인 풍구용 구동 장치(95)를 마련한다. 풍구용 구동 장치(95)는 풍구(42a)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며, 풍구(42a)에 대해 기체(2)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흡기구(45)로부터 풍구(42a) 측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력 생성 장치인 모터를 이용하여, 릴, 플랫폼 오거, 풍구 등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콤바인의 기술은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그러나, 모터를 콤바인의 측부에 마련하는 경우, 모터가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하여 모터를 컴팩트하게 배치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본 발명은, 동력 생성 장치가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측부에 동력 생성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동력 생성 장치는 상기 동력 생성 장치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에 대해 기체(機體)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구동부 측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곡간을 긁어 모으는 릴이고, 상기 동력 생성 장치는 상기 릴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릴용 구동 장치이며, 상기 릴용 구동 장치가 상기 릴 내에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릴용 구동 장치는 릴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릴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과 상기 릴의 회전축 축선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릴용 구동 장치는 상기 릴용 모터와 상기 릴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릴은 좌우의 릴 프레임에 가로로 걸친 타인(tine) 장착 로드에 복수의 타인을 병렬로 장착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릴의 좌우 일측에는 상기 타인의 회전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크랭크 기구가 마련되며, 상기 릴의 좌우 타측에는 상기 릴용 구동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예취 곡간을 거둬들이는 플랫폼 오거이며, 상기 동력 생성 장치는 상기 플랫폼 오거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오거용 구동 장치이며, 상기 오거용 구동 장치가 상기 플랫폼 오거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상기 오거용 구동 장치는 오거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오거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과 상기 플랫폼 오거의 회전축 축선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거용 구동 장치는 상기 오거용 모터와 상기 플랫폼 오거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예취부에는 좌우의 측벽 및 상기 좌우의 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바닥판을 가지는 예취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플랫폼 오거는 상기 예취 프레임의 상기 좌우의 측벽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오거용 구동 장치는 상기 플랫폼 오거와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이 변경될 때, 상기 플랫폼 오거와 일체로 변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탈곡물을 바람 선별하기 위한 풍구이며, 상기 동력 생성 장치는 상기 풍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풍구용 구동 장치이고, 상기 풍구용 구동 장치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풍구 측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풍구용 구동 장치는 풍구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풍구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과 상기 풍구의 회전축 축선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풍구용 구동 장치는 상기 풍구용 모터와 상기 풍구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개구가 상기 풍구의 흡기구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력 생성 장치가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용 구동 장치가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예취폭으로부터 릴용 구동 장치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의 릴용 모터로 저속 고토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랭크 기구에 방해받지 않고 릴용 구동 장치를 릴 내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거용 구동 장치가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예취폭으로부터 오거용 구동 장치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폼 오거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거용 소형 모터로 저속 고토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폼 오거와 예취 프레임의 바닥판 사이의 간격 변경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구용 구동 장치가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구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구용 소형 모터로 저속 고토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구의 흡기구를 이용하여 풍구용 구동 장치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상면도이다.
도 3은 탈곡부 및 선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동 모터 및 그 주변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릴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릴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예취부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예취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오거용 전동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X 단면도이다.
도 12는 오거용 구동 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PF 오거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X-X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기체 사이드 커버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풍구용 구동 장치를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상면도이다.
도 3은 탈곡부 및 선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동 모터 및 그 주변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릴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릴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예취부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예취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오거용 전동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X 단면도이다.
도 12는 오거용 구동 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PF 오거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X-X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기체 사이드 커버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풍구용 구동 장치를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보통형 콤바인(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1)은 주행부(10), 예취부(20), 탈곡부(30), 선별부(40), 곡립 저장부(50), 배출 짚 처리부(60), 조종부(70), 엔진(80) 및 발전기(81)를 구비한다.
주행부(10)는 기체(2)의 하부에 마련된다. 주행부(10)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를 가지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11)를 가지고 있고, 이 크롤러식 주행 장치(11)에 의해 기체(2)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취부(20)는 기체(2)의 전방에 마련되며 기체(2)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취부(20)는 릴(21), 예취날(22), 플랫폼 오거(PF 오거)(23) 및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FH 컨베이어)(24)를 가지고 있다. 릴(21), 예취날(22) 및 PF 오거(23)는 예취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25)과 기체(2) 사이에는 피더 하우스(26)가 마련되어 있으며, 피더 하우스(26) 내에는 FH 컨베이어(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취부(20)에는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 모터(91a·92a·93a·94a)가 마련되어 있다.
예취부(20)는 릴(21)에 의해 곡간을 긁어모아, 예취날(22)에 의해 긁어모은 곡간의 그루터기를 절단하고, 그리고 예취한 곡간을 PF 오거(23)에 의해 긁어모으고 나서 FH 컨베이어(24)로 받아 넘겨, FH 컨베이어(24)에 의해 탈곡부(30)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탈곡부(30)는 기체(2)의 좌측 상부에 마련되며 예취부(2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곡부(30)는 급동(扱胴)(31) 및 탈곡망(32)을 가지고 있다. 탈곡부(30)는 급동(31) 및 탈곡망(32)에 의해 예취부(2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곡간을 후방으로 보내면서 탈곡하고, 그 탈곡물을 누하(漏下)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별부(40)는 기체(2)의 좌측 하부에 마련되며 탈곡부(30)의 하방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별부(40)는 요동 선별 장치(41), 바람 선별 장치(42), 곡립 반송 장치(43) 및 2번 환원 장치(44)를 가지고 있다. 선별부(40)는 요동 선별 장치(41)에 의해 탈곡부(30)로부터 낙하하는 탈곡물을 곡립이나 지푸라기 등으로 요동 선별하고, 그 요동 선별한 것을 바람 선별 장치(42)에 의해 곡립과 지푸라기 등으로 추가로 바람 선별하여, 선별 후의 곡립을 곡립 반송 장치(43)에 의해 곡립 저장부(50) 측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요동 선별 장치(41)는 제1 채프 시브(chaff seive)(41a), 제2 채프 시브(41b), 사분(篩分) 부재(41c)를 가지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41)는 급동(31)의 하방에 배치된다. 요동 선별 장치(41)에는 요동 기구(41)가 마련된다. 요동 기구(41d)는 제1 채프 시브(41a), 제2 채프 시브(41b) 및 사분 부재(41c)를 기체(2)에 대하여 요동시킨다.
제1 채프 시브(41a) 및 제2 채프 시브(41b)는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마다 가로놓여진 복수의 채프 핀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각 채프 핀은 그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이 약간 전저후고(前低後高)로 경사진 상태에서 전후로 병설된다. 사분 부재(41c)는 빗살 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제1 채프 시브(41a)의 후단부에 기어부가 후방을 향하여 마련되며, 제2 채프 시브(41b)의 앞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요동 선별 장치(41)는 제1 채프 시브(41a), 제2 채프 시브(41b) 및 사분 부재(41c)를 요동시킴으로서 탈곡부(30)로부터 낙하하는 탈곡물로부터 곡립을 대강 선별하고, 그 대강 선별한 것을 바람 선별 장치(42)에 누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누하시키는 양은 제1 채프 시브(41a) 및 제2 채프 시브(41b)에서 각각 복수의 채프 핀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조절된다.
바람 선별 장치(42)는 풍구(42a), 1번 컨베이어(42b) 및 2번 컨베이어(42c)를 가지고 있다. 풍구(42a)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기체(2)의 좌측 전단 부근에 배치된다. 1번 컨베이어(42b) 및 2번 컨베이어(42c)는 각각 풍구(42a)의 후방에 배치되며 서로 전후로 병설된다.
바람 선별 장치(42)에는 풍구(42a)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풍구용 전동 모터(95a)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 선별 장치(42)는 풍구(42a)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선별풍을 일으켜 후방으로 보내어, 상기 선별풍을 요동 선별 장치(41)로부터 낙하하는 곡립이나 지푸라기에 맞혀 이들을 비중 선별한다. 그리고, 이들 중, 비중이 무거운 것이 선별풍의 영향을 받지 않고 1번 컨베이어(42b)로 낙하하는데 비하여, 비중이 가벼운 것은 선별풍에 의해 후방으로 운반되어 2번 컨베이어(42c)에 낙하하고, 더 가벼운 먼지 등이 후방으로 배출된다.
바람 선별 장치(42)는 또한, 1번 컨베이어(42b)를 구동시킴으로써, 이 1번 컨베이어(42b)에 낙하해 온 것을 제1물로서 우측으로 보내어 곡립 반송 장치(43)로 넘긴다. 곡립 반송 장치(43)는 이 제1물을 곡립 저장부(50) 측으로 반송한다.
또한, 바람 선별 장치(42)는 2번 컨베이어(42c)를 구동시킴으로써, 이 2번 컨베이어(42c)에 낙하해 온 것을 2번물로써 우측으로 보내어 2번 환원 장치(44)의 2번 반송 장치(44a)로 넘긴다.
2번 환원 장치(44)는 2번 반송 장치(44a) 및 2번 처리 장치(44b)를 구비한다. 2번 반송 장치(44a)는 요동 선별 장치(41) 및 바람 선별 장치(42)의 우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고후저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2번 처리 장치(44b)는 요동 선별 장치(41)의 전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2번 반송 장치(44a)와 접속된다.
2번 환원 장치(44)는 2번 반송 장치(44a)에서 받은 2번물을 2번 처리 장치(44b)로 보내고, 2번 처리 장치(44b)에서 2번물에 대하여 이삭가지를 제거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요동 선별 장치(41)에 낙하시켜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요동 선별 장치(41) 및 바람 선별 장치(42)를 거친 2번물이 반복하여 선별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저장부(50)는 기체(2)의 우측 전후 중앙부에 마련되며, 탈곡부(30) 및 선별부(40)의 우측에 배치된다. 곡립 저장부(50)는 곡립 탱크(51) 및 곡립 배출 장치(52)를 가지고 있다. 곡립 저장부(50)는 선별부(4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곡립을 곡립 탱크(51)에서 저장하고, 곡립 배출 장치(52)에 의해 저장중의 곡립을 임의의 방향으로 반송하고 나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출 짚 처리부(60)는, 기체(2)의 좌측 후상방에 마련되며, 탈곡부(30) 및 선별부(40)의 후방에 배치된다. 배출 짚 처리부(60)는 탈곡부(30)로부터 탈곡이 끝난 곡간을 배출 짚으로서 외부로 배출함과 함께, 선별부(40)로부터 지푸라기나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종부(70)는 기체(2)의 우측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곡립 저장부(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조종부(70)에는 릴(21)을 조작하기 위한 릴용 조작구(71)나, 예취날(22)을 조작하기 위한 예취날용 조작구(72)나, PF 오거(23)를 조작하기 위한 오거용 조작구(73)나, FH 컨베이어(24)를 조작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조작구(74)나, 풍구(42a)를 조작하기 위한 풍구용 조작구(75)가 마련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조종부(70)에는 스티어링 핸들(76) 및 변속 레버를 포함한 각종 조작구나, 조종석이나, 캐빈(77)이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80)은 기체(2)의 우측전단에 마련되며, 조종부(70)의 하방에 배치된다. 엔진(80)의 좌측에는 발전기(81)가 마련되어 있다. 발전기(81)는 엔진(80)에 접속되어 있으며 엔진(80)의 회전이 전달되어 구동된다.
기체(2)의 우측후단에는 배터리(82)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82)는 발전기(8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발전기(81)에서 발전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콤바인(1)의 동력 전달에 대해 설명한다.
콤바인(1)은 엔진(80)의 동력을 주행부(10), 탈곡부(30), 선별부(40)(풍구(42a) 제외), 곡립 저장부(50) 및 배출 짚 처리부(60)에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계를 통해 전달하여 엔진(80)의 동력에 의해 이러한 각 부를 구동시킨다.
또한, 콤바인(1)은 예취부(20)의 각 부(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 및 선별부(40)의 풍구(42a)에 관해서는, 전동 모터(삼상 교류 모터)(91a·92a·93a·94a·95a)의 동력에 의해 구동시킨다(도 5 참조).
다음으로, 전동 모터(91a·92a·93a·94a·95a) 및 그 주변 기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주행시(엔진(80)의 회전시)에는, 발전기(81)는 엔진(80)에 의해 구동되어 교류 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교류 전력이 인버터(83)에 의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직류 전력은 인버터(192·193·194)에 의해 각각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전동 모터(92a·93a·94a)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상기 직류 전력은 DC-DC 컨버터(84)에 의해 전압이 조정된 후, 인버터(191·195)에 의해 각각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전동 모터(91a·95a)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발전 전력보다 적은 경우,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FH 컨베이어(24) 및 풍구(42a)가 발전기(81)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며, 잉여 전력이 배터리(82)에 저장된다. 또한, 소비 전력이 발전 전력보다 많은 경우, 배터리(82)로부터도 전력이 공급된다.
엔진(80)의 정지시에는, 배터리(82)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이 인버터(191·192·193·194·195)를 통하여 전동 모터(91a·92a·93a·94a·95a)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엔진(80)의 정지시에는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FH 컨베이어(24) 및 풍구(42a)가 배터리(82)의 전력으로 구동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에는 조작구(71·72·73·74·75) 및 인버터(191·192·193·194·195)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00)는 조작구(71·72·73·74·75)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인버터(191·192·193·194·195)를 제어하여 전동 모터(91a·92a·93a·94a·95a)의 회전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100)는 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FH 컨베이어(24) 및 풍구(42a)의 동작을 제어한다.
종래, 엔진의 동력은 복수 개의 전동 벨트 및 풀리를 통하여 예취부의 각 부나 풍구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콤바인(1)은 예취부(20)의 각 부(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나, 선별부(40)의 풍구(42a)에 전동 모터(91a·92a·93a·94a·95a)를 각각 접속하여, 각 전동 모터(91a·92a·93a·94a·95a)의 동력으로 예취부(20)의 각 부나 풍구(42a)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종래 사용하고 있던 전동 벨트나 전동 풀리 등의 엔진에 접속하기 위한 부품을 삭제할 수가 있음과 함께, 예취부(20)나 풍구(42a)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예취부(20)의 각 부(릴(21), 예취날(22), PF 오거(23) 및 FH 컨베이어(24))나 선별부(40)의 풍구(42a)에 관해서는, 동력 전달계가 엔진(80)과의 동력 전달계와 별개의 계통으로 되어 있으므로, 엔진(80)과는 관계없이 전동 모터(91a·92a·93a·94a·95a)의 출력축을 각각 회전시켜, 메인테넌스나 조정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은 작업 상황에 따라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부위(예취부(20)의 각 부나 풍구(42a))에 대해서는, 각각에 동력원(전동 모터(91a·92a·93a·94a·95a)을 마련함으로써, 각각의 회전 속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일정 회전 속도가 필요한 부위(탈곡부(30)나 발전기(81))에 대해서는, 엔진(80)을 동력원으로 한다. 이와 같이, 콤바인(1)은 각 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력원을 복수 종류 마련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1)은 예취부(20)에 전동 모터(91a·92a·93a·94a)를 마련하고, 기체(2)의 후단(곡립 저장부(50)의 후방)에 배터리(82)를 마련한다. 이것은, 예취부(20)에 전동 모터(91a·92a·93a·94a)를 마련함으로써 콤바인(1)의 중심이 전측으로 치우치지만, 기체(2)의 후단에 배터리(82)를 마련함으로써 콤바인(1)의 전후 중량 밸런스를 맞추어 중심의 편향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콤바인(1)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1)은 측부에 동력 생성 장치인 릴용 구동 장치(91)를 마련한다. 릴용 구동 장치(91)는 릴용 구동 장치(91)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릴(21)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1)은 측부에 동력 생성 장치인 오거용 구동 장치(93)를 마련한다. 오거용 구동 장치(93)는 오거용 구동 장치(93)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PF 오거(23)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도 2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1)은 측부에 동력 생성 장치인 풍구용 구동 장치(95)를 마련한다. 풍구용 구동 장치(95)는 풍구(42a)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며, 풍구(42a)에 대해 기체(2)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흡기구(45)로부터 풍구(42a) 측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갖는다.
이에 따라, 콤바인(1)에서는, 동력 생성 장치(릴용 구동 장치(91), 오거용 구동 장치(93) 및 풍구용 구동 장치(95))가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릴(21) 및 릴용 전동 모터(91a)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21)은 예취 프레임(25)의 전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25)의 상방 후단에는 좌우 한쌍의 지지 아암(21a)의 후부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예취 프레임(25)과 지지 아암(21a) 사이에는 승강 실린더(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아암(21a)은 예취 프레임(25)의 전측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단에는 릴(2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실린더에 의해 릴(21)을 승강시킴으로써, 릴(21)이 긁어모으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21)은 좌우 한쌍의 지지 아암(21a)에 수평으로 가설된 회전축(21b), 회전축(21b)에 연결 고정된 정육각 형상의 릴 프레임(21c), 좌우의 릴 프레임(21c)의 정점부 6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수평으로 가설된 타인 장착 로드(21d), 타인 장착 로드(21d)에 일정 피치로 병렬 장착된 복수의 타인(21e) 및 회전축(21b)의 축심(P)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치우친 편심 축심(Q)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정육각 형상의 보조 릴 프레임(21f)을 가지고 있다.
각 타인 장착 로드(21d)의 우단으로부터 아암(21g)이 뒤를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고, 아암(21g)의 선단이 보조 릴 프레임(21f)의 바깥단 모서리부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릴 프레임(21c)이 회전축(21b)의 축심(P) 주위를 회전되면, 이에 동조하여 보조 릴 프레임(21f)이 편심 축심(Q) 주위를 추종 회전함으로써 타인 장착 로드(21d)가 회전축(21b)의 축심(P) 주위를 공전하면서 타인 장착 로드(21d)의 축심 주위를 역방향으로 자전하여, 타인(21e)의 회전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타인(21e)의 회전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구를 크랭크 기구라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크랭크 기구(보조 릴 프레임(21f), 아암(21g) 등)를 릴(21)의 우측에 마련하고 있다. 릴(21)에는 릴용 구동 장치(91)가 접속되어 있다.
릴용 구동 장치(91)는 릴(21)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릴용 구동 장치(91)는, 릴용 전동 모터(91a) 및 감속기(91b)로 구성된다. 릴용 전동 모터(91a) 및 감속기(91b)는 각각 케이스(91c·91d)에 수용되어 있다.
릴용 전동 모터(91a)는 릴(21)의 측부(좌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릴용 전동 모터(91a)의 모터 본체(91e)는 좌측의 지지 아암(21a)의 전단에 고정되어 있다. 릴용 전동 모터(91a)의 출력축(91f)은 릴(21)의 회전축(21b)에 접속되어 있고, 릴용 전동 모터(91a)의 출력축(91f) 축선과 릴(21)의 회전축(21b) 축선이 동일 직선(L)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릴용 전동 모터(91a)의 회전을 풀리, 벨트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릴(21)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릴(21)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릴용 전동 모터(91a)의 출력축(91f)과 릴(21)의 회전축(21b) 사이에는 감속기(91b)가 마련되어 있다. 감속기(91b)는, 예를 들면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릴용 전동 모터(91a)의 출력축(91f)의 회전은, 감속기(91b)에 의해 감속되고 나서 릴(21)의 회전축(21b)으로 전달되어 릴(21)이 구동된다. 감속기(91b)를 마련함으로써, 소형 모터로 저속 고토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릴용 구동 장치(91)가 릴용 전동 모터(91a)와 감속기(91b)에 의해 릴(21)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고 있다.
감속기(91b)는 릴(21) 내에 측방(좌측)으로부터 들어가 있다. 릴(21) 내란, 좌우의 릴 프레임(21c)과 타인 장착 로드(21d)로 둘러싸이는 공간이다.
이와 같이, 릴용 구동 장치(91)는 릴(21)의 측부에 마련되며, 릴(21) 내로 들어가는 부분(감속기(91b))을 갖는다. 이에 따라, 릴용 구동 장치(91)가 릴(2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예취폭(W)으로부터 릴용 구동 장치(91)의 돌출량(릴용 구동 장치(91)의 돌출 부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용 전동 모터(91a)가 릴(21)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감속기(91b)를 더욱 릴(21) 내의 안쪽에 배치하여 릴용 전동 모터(91a)도 릴(21) 내에 들어가게 해도 된다. 이에 따라, 릴용 구동 장치(91)의 돌출 부분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콤바인(1)은 타인(21e)의 회전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상기 크랭크 기구를 릴(21)의 우측에 마련하고, 릴용 전동 모터(91a)를 릴(21)의 좌측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크랭크 기구에 방해받지 않고 감속기(91b)를 릴(21) 내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릴용 구동 장치(91)를 릴용 전동 모터(91a)와 감속기(91b)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릴용 구동 장치(91)를 릴용 전동 모터(91a)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콤바인(1)은 릴용 전동 모터(91a)의 출력축(91f) 축선과 릴(21)의 회전축(21b) 축선을 동일 직선(L) 상에 배치하고, 릴용 전동 모터(91a)의 출력축(91f)을 릴(21)의 회전축(21b)에 직접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릴(21)의 좌우 위치 일측(우측)에 상기 크랭크 기구를 마련하고, 릴(21)의 좌우 타측(좌측)에 릴용 전동 모터(91a)를 마련하여, 릴용 전동 모터(91a)를 릴(21) 내로 들어가게 한다.
이에 따라, 릴용 전동 모터(91a)의 돌출 부분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 기구에 방해받지 않고 릴용 전동 모터(91a)를 릴(21) 내로 들어가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릴용 전동 모터(91a)의 회전을 풀리, 벨트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릴(21)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져, 릴(21)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예취 프레임(25), PF 오거(23) 및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 프레임(25)의 전방 하부에는 예취날(22)이 마련되어 있고, 예취 프레임(25)의 전후 중앙부에는 PF 오거(23)가 마련되어 있으며, 예취 프레임(25)의 좌측 후방에는 피더 하우스(26)가 마련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25)은 좌우 한 쌍의 측벽(25a·25b), 측벽(25a·25b) 사이의 후부 우측에 마련되는 후판(25c) 및 측벽(25a·25b) 사이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판(25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벽(25a·25b) 사이의 후부 좌측에는 피더 하우스(26)가 연결되는 개구(25e)가 형성되어 있다.
PF 오거(23)에 의해 긁어 모은 곡간이 개구(25e)를 통하여 FH 컨베이어(24)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PF 오거(23)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고 있다. PF 오거(23)의 외주에는 곡간을 예취 프레임(25)의 개구(25e) 전방에 긁어모으기 위하여, 개구(25e)의 중앙을 향해 경사진 반송 나선(23a)이 마련되어 있다.
PF 오거(23)는 예취 프레임(25)의 측벽(25a·25b) 사이에 가설되어 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PF 오거(23)에는 오거용 구동 장치(93)가 접속되어 있다.
오거용 구동 장치(93)는 PF 오거(23)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오거용 구동 장치(93)는 오거용 전동 모터(93a) 및 감속기(93b)로 구성된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거용 전동 모터(93a)는 PF 오거(23)의 측부(우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출력축(93c) 축선과 PF 오거(23)의 회전축 축선이 동일 직선(L)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회전을 풀리, 벨트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PF 오거(23)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PF 오거(23)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출력축(93c)과 PF 오거(23) 사이에는 감속기(93b)가 마련되어 있다. 감속기(93b)는, 예를 들면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출력축(93c)의 회전은 감속기(93b)에 의해 감속되고 나서 PF 오거(23)로 전달되어, PF 오거(23)가 구동된다. 감속기(93b)를 마련함으로써, 소형 모터로 저속 고토크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오거용 구동 장치(93)가 오거용 전동 모터(93a)와 감속기(93b)에 의해 PF 오거(23)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고 있다.
감속기(93b)는 PF 오거(23) 내로 우측으로부터 들어가 있다. PF 오거(23) 내란, PF 오거(23)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다.
이와 같이, 오거용 구동 장치(93)는 PF 오거(23)의 측부에 마련되며, PF 오거(23) 내로 들어가는 부분(감속기(93b))을 갖는다. 이에 따라, 오거용 구동 장치(93)가 PF 오거(23)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예취폭(W)으로부터 오거용 구동 장치(93)의 돌출량(오거용 구동 장치(93)의 돌출 부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오거용 전동 모터(93a), 감속기(93b) 및 PF 오거(23)의 장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 프레임(25)의 우측벽(25b)에는 PF 오거(23) 내부로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본체부(93d)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PF 오거(23) 내로 돌출되어 있다.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본체부(93d)에는 모터 플랜지부(93h)를 통하여 케이스(93e)가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스(93e)의 외주에는 케이스 플랜지부(93f)가 고정되어 있다. 우측벽(25b)의 좌측에는 케이스 플랜지부(93f)가 존재하고 있으며, 우측에는 우측 장착판(25g)이 존재하고 있고, 우측벽(25b)이 케이스 플랜지부(93f)와 우측 장착판(25g)으로 좌우로부터 끼워진 상태가 되어 있다. 우측 장착판(25g)은 우측벽(25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우측 장착판(25g)의 우측에는 우측 지지판(25h)이 존재하고 있다. 우측벽(25b), 케이스 플랜지부(93f), 우측 장착판(25g) 및 우측 지지판(25h)이 체결 부재(볼트 및 너트)(25i)로 체결됨에 따라, 케이스 플랜지부(93f)가 우측벽(25b)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오거용 전동 모터(93a)가 예취 프레임(25)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우측 장착판(25g) 및 우측벽(25b)에는 긴 구멍(25j·25s)이 형성되어 있으며, 긴 구멍(25j·25s)에는 체결 부재(25i)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25i)의 체결 위치가 긴 구멍(25j·25s)의 범위 내에서 변경됨으로써, 오거용 전동 모터(93a)와 함께 PF 오거(23)의 우측 단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지지판(25h)의 상단이 우측 장착판(25g)에 볼트 및 너트(25k)로 접속되어 우측 지지판(25h)의 높이가 유지되고 있다.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출력축(93c)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예취 프레임(25) 내로 돌출되어 있다.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출력축(93c)의 좌단에는 감속기(93b)가 접속되어 있다. 감속기(93b)의 출력축(도시 생략)에는 날개 형상의 연결 부재(93g)가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93g)는 PF 오거(23)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속기(93b)의 출력축과 PF 오거(23)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 프레임(25)의 좌측벽(25a)에는 PF 오거(23) 내부로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벽(25a)의 좌측에는 좌측 장착판(25m)이 존재하고 있으며, 좌측 장착판(25m)이 좌측벽(25a)의 상기 구멍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측 장착판(25m)에는 지지 부재(25n)가 볼트 및 너트(25t)로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25n)에는 축부(25u)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으며, 축부(25u)에는 원반부(25o)가 고정되어 있다. 원반부(25o)는 PF 오거(23)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PF 오거(23)와 일체로 회전한다.
좌측벽(25a)의 우측에는 중앙부에 구멍이 뚫린 판재(25p)가 배치되어 있고, 좌측벽(25a)이 판재(25p)와 좌측 장착판(25m)으로 좌우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좌측벽(25a), 판재(25p) 및 좌측 장착판(25m)은 체결 부재(볼트 및 너트)(25q)로 체결되어 있다. 좌측벽(25a)에는 긴 구멍(25r)이 형성되어 있으며 긴 구멍(25r)에는 체결 부재(25q)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25q)의 체결 위치가 긴 구멍(25r)의 범위 내에서 변경됨으로써, PF 오거(23)의 좌단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콤바인(1)에서는, 체결 부재(25i·25q)의 체결 위치를 긴 구멍(25j·25s·25r)의 범위 내에서 변경함으로써, PF 오거(23) 및 오거용 구동 장치(93)(오거용 전동 모터(93a) 및 감속기(93b))가 일체로 변위되어, PF 오거(23)와 예취 프레임(25)의 바닥판(25d) 사이의 간격(α)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곡간의 종류나 거둬들이는 속도에 따라, PF 오거(23)와 예취 프레임(25)의 바닥판(25d) 사이의 간격(α)을 변경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엔진의 동력을 풀리, V 벨트 등을 이용하여 PF 오거까지 전달하고 있었다. 그리고, PF 오거와 예취 프레임의 바닥판 사이의 간격을 변경한 경우에는 상기 풀리와 PF 오거의 위치 관계가 바뀌므로, V 벨트의 장력 상태의 조정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PF 오거(23)와 예취 프레임(25)의 바닥판(25d) 사이의 간격(α)을 변경하는 경우, 오거용 구동 장치(93)가 PF 오거(23)와 일체로 변위되므로, 종래와 같은 조정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PF 오거(23)와 예취 프레임(25)의 바닥판(25d) 사이의 간격(α)의 변경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거용 구동 장치(93)를 오거용 전동 모터(93a)와 감속기(93b)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거용 구동 장치(93)를 오거용 전동 모터(93a)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출력축(93c)의 축선과 PF 오거(23)의 회전축의 축선을 동일 직선상에 배치하여, 오거용 전동 모터(93a)를 PF 오거(23) 내로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출력축(93c)을 PF 오거(23)의 내주면에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오거용 전동 모터(93a)가 PF 오거(23) 내로 들어가,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돌출 부분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거용 전동 모터(93a)의 회전을 풀리, 벨트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PF 오거(23)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PF 오거(23)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풍구(42a) 및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2) 좌부의 하측에는 측판(45)이 배치되어 있다. 측판(45)의 내측(우측)에는 선별부(40)가 배치되어 있으며, 측판(45)이 선별부(40)의 측부를 덮고 있다. 측판(45)에는 풍구(42a)의 흡기구(45a)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45a)는 풍구(42a)의 좌측(기체(2)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풍구(42a)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고 있으며, 회전함에 따라 측판(45)의 흡기구(45a)로부터 외기를 흡인하여 선별풍을 발생시킨다.
측판(45)의 외측(좌측)은 기체 사이드 커버(5)로 덮여 있다.
풍구(42a)에는 풍구용 구동 장치(95)가 접속되어 있다.
풍구용 구동 장치(95)는 풍구(42a)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구용 구동 장치(95)는 풍구용 전동 모터(95a) 및 감속기(95b)로 구성된다.
풍구용 구동 장치(95)는 측판(45)의 흡기구(45a)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모터 본체(95c)는 브래킷(45b)을 통하여 측판(45)의 흡기구(45a)에 장착되어 있다.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출력축(95d)은 풍구(42a)의 회전축(42d)에 접속되어 있고,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출력축(95d) 축선과 풍구(42a)의 회전축(42d) 축선이 동일 직선(L)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회전을 풀리, 벨트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풍구(42a)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풍구(42a)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출력축(95d)과 풍구(42a)의 회전축(42d) 사이에 감속기(95b)가 마련되어 있다. 감속기(95b)는, 예를 들면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95e)에 수용되어 있다.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출력축(95d)의 회전은 감속기(95b)에 의해 감속되고 나서 풍구(42a)에 전달되어, 풍구(42a)가 구동한다. 감속기(95b)를 마련함으로써, 소형 모터로 저속 고토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풍구용 구동 장치(95)가 풍구용 전동 모터(95a)와 감속기(95b)에 의해 풍구(42a)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고 있다.
감속기(95b)는 측판(45)의 흡기구(45a)로부터 풍구(42a) 측으로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풍구용 구동 장치(95)는 측판(45)의 흡기구(45a)에 삽입 통과되며, 흡기구(45a)로부터 풍구(42a) 측으로 들어가는 부분(감속기(95b))을 갖는다. 이에 따라, 풍구용 구동 장치(95)가 기체(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량(풍구용 구동 장치(95)의 돌출 부분)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풍구용 전동 모터(95a)가 측판(45)의 외측(좌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감속기(95b)를 더욱 풍구(42a)측으로 들어가게 하여, 풍구용 전동 모터(95a)나 측판(45)의 내측(우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에 따라, 풍구용 구동 장치(95)의 돌출 부분을 더욱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콤바인(1)은 풍구용 구동 장치(95)의 돌출 부분을 억제함에 따라, 기체(2) 측부(측판(45)의 외측)에 기체 사이드 커버(5)를 장착할 때, 풍구용 구동 장치(95)가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풍구용 구동 장치(95)를 풍구용 전동 모터(95a)와 감속기(95b)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풍구용 구동 장치(95)를 풍구용 전동 모터(95a)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콤바인(1)은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출력축(95d) 축선과 풍구(42a)의 회전축(42d) 축선을 동일 직선(L) 상에 배치하고,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출력축(95d)을 풍구(42a)에 직접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풍구용 전동 모터(95a)를 측판(45)의 흡기구(45a)로부터 풍구(42a) 측으로 들어가게 한다.
이에 따라,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돌출 부분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풍구용 전동 모터(95a)의 회전을 풀리, 벨트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풍구(42a)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풍구(42a)에 대한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콤바인으로 이용 가능하다.
1: 콤바인
2: 기체
20: 예취부 21: 릴
21b: 회전축 23: PF 오거
40: 선별부 42a: 풍구
42d: 회전축 45: 측판
45a: 흡기구 91: 릴용 구동 장치
91a: 릴용 전동 모터 91b: 감속기
91f: 출력축 93: 오거용 구동 장치
93a: 오거용 전동 모터 93c: 출력축
95: 풍구용 구동 장치 95a: 풍구용 전동 모터
95d: 출력축
20: 예취부 21: 릴
21b: 회전축 23: PF 오거
40: 선별부 42a: 풍구
42d: 회전축 45: 측판
45a: 흡기구 91: 릴용 구동 장치
91a: 릴용 전동 모터 91b: 감속기
91f: 출력축 93: 오거용 구동 장치
93a: 오거용 전동 모터 93c: 출력축
95: 풍구용 구동 장치 95a: 풍구용 전동 모터
95d: 출력축
Claims (13)
- 측부에 동력 생성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동력 생성 장치는 상기 동력 생성 장치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에 대해 기체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구동부 측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곡간을 긁어 모으는 릴이고, 상기 동력 생성 장치는 상기 릴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릴용 구동 장치이며, 상기 릴용 구동 장치가 상기 릴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용 구동 장치는 릴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릴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과 상기 릴의 회전축 축선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용 구동 장치는 상기 릴용 모터와 상기 릴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은 좌우의 릴 프레임에 가로로 걸친 타인 장착 로드에 복수의 타인을 병렬로 장착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릴의 좌우 일측에는 상기 타인의 회전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크랭크 기구가 마련되며, 상기 릴의 좌우 타측에는 상기 릴용 구동 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예취 곡간을 거둬들이는 플랫폼 오거이며, 상기 동력 생성 장치는 상기 플랫폼 오거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오거용 구동 장치이며, 상기 오거용 구동 장치가 상기 플랫폼 오거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용 구동 장치는 오거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오거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과 상기 플랫폼 오거의 회전축 축선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용 구동 장치는 상기 오거용 모터와 상기 플랫폼 오거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는 좌우의 측벽 및 상기 좌우의 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바닥판을 가지는 예취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플랫폼 오거는 상기 예취 프레임의 상기 좌우의 측벽 사이에 가설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오거용 구동 장치는 상기 플랫폼 오거와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이 변경될 때, 상기 플랫폼 오거와 일체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탈곡물을 바람 선별하기 위한 풍구이며, 상기 동력 생성 장치는 상기 풍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풍구용 구동 장치이고, 상기 풍구용 구동 장치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풍구 측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용 구동 장치는 풍구용 모터를 가지며,
상기 풍구용 모터의 출력축 축선과 상기 풍구의 회전축 축선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용 구동 장치는 상기 풍구용 모터와 상기 풍구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상기 풍구의 흡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062573A JP2014183798A (ja) | 2013-03-25 | 2013-03-25 | コンバイン |
JPJP-P-2013-062571 | 2013-03-25 | ||
JP2013062571A JP6033142B2 (ja) | 2013-03-25 | 2013-03-25 | コンバイン |
JPJP-P-2013-062573 | 2013-03-25 | ||
JPJP-P-2013-062569 | 2013-03-25 | ||
JP2013062569A JP2014183794A (ja) | 2013-03-25 | 2013-03-25 | コンバイン |
PCT/JP2014/056301 WO2014156610A1 (ja) | 2013-03-25 | 2014-03-11 | コンバイン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3218A true KR20150133218A (ko) | 2015-11-27 |
Family
ID=5162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8708A KR20150133218A (ko) | 2013-03-25 | 2014-03-11 | 콤바인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3218A (ko) |
CN (1) | CN105050381A (ko) |
WO (1) | WO201415661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88039B2 (en) | 2015-09-30 | 2019-01-29 | Deere & Company | Electrical power generation for header systems from a combine backshaft |
KR102352998B1 (ko) * | 2017-05-08 | 2022-01-18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콤바인 |
US11690321B2 (en) | 2018-10-30 | 2023-07-04 | Cnh Industrial America Llc | System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gricultural harvester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01176B2 (ja) * | 2004-01-22 | 2010-01-20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モータを備えた電子機器 |
JP5194511B2 (ja) * | 2007-03-28 | 2013-05-08 | 井関農機株式会社 | 根菜類収穫機 |
JP2010051220A (ja) * | 2008-08-27 | 2010-03-11 | Yanmar Co Ltd | 刈取収穫機 |
JP5560072B2 (ja) * | 2010-03-19 | 2014-07-23 | ヤンマー株式会社 | 電動コンバイン |
JP5930610B2 (ja) * | 2011-05-25 | 2016-06-08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の掻き込みリール |
-
2014
- 2014-03-11 WO PCT/JP2014/056301 patent/WO201415661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3-11 KR KR1020157028708A patent/KR201501332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3-11 CN CN201480018081.6A patent/CN105050381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56610A1 (ja) | 2014-10-02 |
CN105050381A (zh) | 2015-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16817B2 (en) | Grain-moving arrangement for an agricultural combine | |
JP5560072B2 (ja) | 電動コンバイン | |
JP2004242558A (ja) | 自走式農作業機 | |
JP5676404B2 (ja) | コンバイン | |
KR20150133218A (ko) | 콤바인 | |
JP2009225761A (ja) | コンバイン | |
JP5752376B2 (ja) | 電動コンバイン | |
JP2014183794A (ja) | コンバイン | |
JP6033142B2 (ja) | コンバイン | |
KR20150139516A (ko) | 콤바인 | |
US10179511B2 (en) | Harvester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 |
JP2018029536A (ja) | コンバイン | |
WO2020195057A1 (ja) | コンバイン | |
JP2009178137A (ja) | コンバイン | |
JP2014183797A (ja) | コンバイン | |
JP6041724B2 (ja) | コンバイン | |
JP5560073B2 (ja) | 電動コンバイン | |
JP2014183799A (ja) | コンバイン | |
JP7004735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0207159A (ja) | コンバイン | |
JP2021083322A (ja) | 収穫機 | |
JP2014183798A (ja) | コンバイン | |
JP5112892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9171851A (ja) | コンバイン | |
JP2004016197A (ja) | コンバ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