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57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572A
KR20150136572A KR1020150065213A KR20150065213A KR20150136572A KR 20150136572 A KR20150136572 A KR 20150136572A KR 1020150065213 A KR1020150065213 A KR 1020150065213A KR 20150065213 A KR20150065213 A KR 20150065213A KR 20150136572 A KR20150136572 A KR 20150136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
detecting member
vertical wall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042B1 (ko
Inventor
히데후미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감합 검지 기능을 갖춘 커넥터의 범용성을 향상시킨다.
커넥터는, 록 아암(32)을 갖는 제1 하우징(10)과, 록부(42)를 가지고 제1 하우징(10)에 감합 가능한 제2 하우징(40)과, 제1 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검지 부재(60)를 구비한다. 록부(42)에는,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수직벽(43)이 마련되어 있다. 수직벽(43)의 한쪽의 벽면에는, 제1, 제2 하우징(10, 40)의 정규 감합 시에 록 아암(32)에 걸리는 걸림 영역(48)이 마련되어 있다. 수직벽(43)의 다른쪽의 벽면에는,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과정에서 검지 부재(60)를 압박하는 압박 영역(44)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감합 검지 기능을 갖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서로 감합 가능한 암수 한쌍의 하우징과, 암컷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링 홀더(검지 부재)와, 스프링 홀더의 좌우 양측에 삽입되는 한쌍의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암컷 하우징에는, 휨 가능한 록 아암(lock arm)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컷 하우징에는, 걸림 돌기부(록부(lock portion))가 마련되고, 걸림 돌기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좌우 한쌍의 리브(rib)가 마련된다.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양 코일 스프링이 대응하는 리브와 접촉하여, 감합의 진행과 함께 양 코일 스프링이 리브에 압박되어 점차로 압축된다. 이때,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도중에 멈추면, 양 코일 스프링이 지금까지 축적한 압박력을 해방시켜, 수컷 하우징이 암컷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양 하우징이 반감합 상태인 채로 방치되는 것이 회피된다. 한편,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는, 암컷 하우징에 마련된 록 아암이 수컷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걸어, 양 하우징이 감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68003호 공보
상기의 경우, 수컷 하우징에,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한 전용의 리브가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리브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범용의 수컷 하우징을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감합 검지 기능을 갖춘 커넥터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록 아암을 갖는 제1 하우징과, 록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하우징에 감합 가능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제2 하우징에 압박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1, 제2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도중에 멈춘 경우에는, 상기 검지 부재측에 마련된 반력 발생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제2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었을 때에는, 상기 록부가 상기 록 아암에 탄성적으로 걸려, 상기 제1, 제2 하우징이 감합 상태로 유지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록부에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의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수직벽이 마련되며, 상기 수직벽의 한쪽의 벽면에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상기 록 아암에 걸리는 걸림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수직벽의 다른쪽의 벽면에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상기 검지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록부의 수직벽에 검지 부재를 압박하는 기능을 겸비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2 하우징에 검지 부재를 압박하기 위한 전용의 리브 등을 신설할 필요가 없고, 제2 하우징으로서 기존의 커넥터 하우징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커넥터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검지 부재가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에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또한,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얕게 감합되어,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 동작을 시작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또한,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깊게 감합되어, 검지 부재의 양 탄성 아암부가 휨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또한,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정규 감합되어,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상태를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하우징을 생략한 도 3의 상태를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검지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제2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2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2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2 하우징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록부에는, 상기 수직벽의 다른쪽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벽이 마련되고, 상기 압박 영역은, 상기 수직벽의 다른쪽의 벽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을 사이에 둔 양측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압박 영역이 가이드벽을 사이에 둔 양측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 압박 영역에 압박되는 검지 부재가 밸런스 좋게 이동된다.
상기 검지 부재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제2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상기 검지 부재가 이동될 때에는, 상기 수직벽이 상기 오목부에 대략 위치 결정하여 감입되어, 상기 오목부의 안쪽면에 상기 압박 영역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검지 부재가 압박 영역과의 사이에 위치 어긋나는 일없이 밸런스 좋게 이동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서로 감합 가능한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40)[이하, 제1, 제2 하우징(10, 40)이라고 함]과, 제1 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검지 부재(60)와, 제1 하우징(10)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로서의 토션(torsion) 스프링(9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제1, 제2 하우징(10, 40)이 서로 감합 동작을 개시할 때에 대향하는 면측을 전방측으로 한다.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도 5∼도 8, 도 11, 도 12, 도 14, 도 15 및 도 17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폭 방향은, 도 11 및 도 14의 좌우 방향과 동의어이다.
제2 하우징(40)은 합성 수지제로서, 도시하지 않는 기기에 연결되는 범용의 수컷(male)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구성된다. 도 14∼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40)은, 전방에 개구하는 통형의 후드부(41)를 가지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부(41) 내에는, 수컷 단자 금구(45)의 태브(tab)부(46)가 복수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드부(41)의 상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록부(42)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14∼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42)는, 폭 방향[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수직벽(43)과, 수직벽(43)의 전방면[제2 하우징(40)의 감합 방향 전방면으로서, 수직벽(43)의 다른쪽의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전후 방향[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방향]을 따른 가이드벽(47)으로 이루어진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42)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형을 이루고 있다.
수직벽(43)은, 배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판형을 이루고 있다.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벽(43)의 후방면[제2 하우징(40)의 감합 방향 후방면의]은, 상단(돌출단)을 향하여 약간 후방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수직벽(43)의 후방면에는, 거의 전체면에 걸쳐 제1 하우징(10)의 후술하는 록 아암(32)에 걸림 가능한 걸림 영역(48)이 마련되어 있다.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벽(43)의 전방면은, 상하 방향을 대략 따라 깍아지른 듯이 솟아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벽(43)의 전방면에는, 가이드벽(47)을 사이에 둔 폭 방향 양측에, 검지 부재(60)의 후술하는 피압박 영역을 압박하는 한쌍의 압박 영역(4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드부(41)의 하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도 상기 동형상의 록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벽(47)은, 측면에서 보아 직각 삼각형의 판형을 이루고 있다. 가이드벽(47)의 전단 가장자리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구배로 경사하는 테이퍼형의 경사면(49)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49)의 상단은, 수직벽(43)의 상단에 이르고 있다. 가이드벽(47)의 경사면(49)은, 본 실시예의 검지 부재(60)를 갖지 않는 별도의 사용 양태에 있어서, 상대방의 암컷(female)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록 아암의 휨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제로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후방부측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형의 감합 통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시에는, 제2 하우징(40)의 후드부(41)가, 하우징 본체(11)와 감합 통부(12) 사이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에는, 복수의 캐비티(1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캐비티(13)는,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캐비티(13)의 내벽 하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랜스(lance)(1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캐비티(13)에는, 후방으로부터 암컷 단자 금구(15)가 삽입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컷 단자 금구(15)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 등에 의해 성형하여, 전체로서 전후 방향이 가늘고 긴 형태로 되어 있다. 암컷 단자 금구(15)는, 통형의 본체부(16)와, 본체부(16)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선(20)의 코어선 부분 및 전선(20)에 끼워 장착된 고무 마개(19)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는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17)를 가지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6)에는, 제1, 제2 하우징(10, 40)의 정규 감합 시에, 수컷 단자 금구(45)의 태브부(46)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암컷 단자 금구(15)가 각 캐비티(13)에 정규 삽입되면, 랜스(14)가 본체부(16)에 탄성적으로 걸린다. 이에 의해, 암컷 단자 금구(15)가 캐비티(13)에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는, 시일 링(18)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하우징(10, 40)의 정규 감합 시에는, 시일 링(18)이 후드부(41)와 하우징 본체(11)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된다. 이에 의해, 제1, 제2 하우징(10, 40) 사이가 액밀하게 시일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에는, 전방으로부터 프론트 리테이너(21)가 부착된다. 프론트 리테이너(21)가 하우징 본체(11)에 정규로 부착됨으로써, 랜스(14)의 휨 동작이 규제되어, 암컷 단자 금구(15)의 빠짐 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프론트 리테이너(21)의 정규 부착에 의해, 시일 링(18)의 전방으로의 빠져 나감도 규제된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통부(12)의 상부에는, 한쌍의 보호벽(22)이 마련되어 있다. 양 보호벽(22)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 보호벽(22)은, 대략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양 보호벽(22) 사이에는, 검지 부재(60)를 장착 가능한 장착 영역(23)이 확보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보호벽(22)의 전단측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24)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24)는, 단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보호벽(22)의 높이 방향 중앙보다 조금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24)의 후단은,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전방 경사하는 역테이퍼형의 스토퍼단(26)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양 보호벽(22)의 내면에는, 가이드 리브(24)의 후방에, 높이 방향으로 한쌍씩의 유도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유도부(25)의 전단 가장자리는,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후방 경사하는 테이퍼형의 사면(27)(유도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도부(25)의 후단 가장자리는,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사면(27)보다 급한 경사각으로 전방 경사하는 테이퍼형의 후방 사면(28)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도부(25)의 단 가장자리 중, 사면(27)과 후방 사면(28) 사이는, 전후 방향을 따른 직선면(29)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보호벽(22)의 상단 사이에는, 가교부(31)가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마련되어 있다. 가교부(31)는, 띠판형을 이루며, 전후 방향에 관하여 유도부(25)의 전단측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교부(31)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록 아암(32)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아암(32)은, 가교부(3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후 하우징 본체(11)측을 향하여 경사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전단부(34)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띠판형의 록 부재(33)를 가지고 있다. 록 부재(33)의 전단부(34)에는, 폭 방향을 따른 리브형의 록 돌기(35)가 하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록 아암(32)은, 록 부재(33)의 연장 방향의 기단이 되는 가교부(31)의 전단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록 부재(33)가 상하 이동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록 부재(33)와 하우징 본체(11) 사이에는, 록 부재(33)의 휨 동작을 허용하는 휨 공간(36)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록 아암(32) 중, 록 부재(33)의 전단부(34)로부터 록 돌기(35)에 걸친 부분에는, 하방 및 후방에 개구하는 감합 오목부(37)가 마련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37)에는, 토션 스프링(90)의 코일부(91)(후술함)가 감합 상태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록 돌기(35)의 후방면이 되는 감합 오목부(37)의 안쪽면은, 록부(42)의 수직벽(43)의 걸림 영역(48)에 걸림 가능한 걸림 수취면(38)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검지 부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검지 부재(60)는 합성 수지제로서,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탄성 아암부(61)와, 양 탄성 아암부(61)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폭 방향을 따른 규제부(62)와, 양 탄성 아암부(61)의 전후 방향의 도중 부분을 연결하는 폭 방향을 따른 걸어 맞춤부(63)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검지 부재(60)는, 제1 하우징(10)의 장착 영역(23)에 장착된 상태로,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대기 위치(도 1, 도 2, 도 5, 도 6 및 도 9를 참조)와, 그 대기 위치보다 후방의 검지 위치(도 4 및 도 8을 참조)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61)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각주형의 아암 본체(64)와, 아암 본체(64)의 후단에 연속하여 상하 양 방향으로 돌출하는 슬라이딩 이동부(65)로 이루어진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61)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T자형을 이루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아암 본체(64)는, 걸어 맞춤부(63)와의 연결 부위를 지점으로 하여 내측[후술하는 제1 하우징(10)의 중앙축측]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본체(64)의 외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에 개구하는 가이드홈(66)이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부재(60)가 제1 하우징(10)의 장착 영역(23)이 장착되면, 가이드홈(66)에 가이드 리브(24)가 감합하여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홈(66)의 후단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전방 경사하는 스토퍼 수취부(67)로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수취부(67)는, 슬라이딩 이동부(65)를 베어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수취부(67)는, 제1 하우징(10)의 스토퍼단(26)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부(65)의 외측면의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에 걸친 범위에는, 원호형의 만곡면(68)이 마련되어 있다. 만곡면(68)은, 검지 부재(60)의 이동 시에 유도부(25)의 사면(27)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이동부(65)의 내측면의 전방면측에는, 수용부(69)가 오목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69)는, 단면 대략 L자형으로 구획되어 있다. 수용부(69)의 안쪽단은, 아암 본체(64)의 전단을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수용부(69)에는, 토션 스프링(90)의 스프링 단부(92)(후술함)가 진입하여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62)는, 양 아암 본체(64)의 전단 상면에 연결되어 양 아암 본체(64)보다 한층 높은 위치에 가설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62)의 후방면에는, 릴리프 오목부(71)가 마련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62)는, 검지 위치에서 록 아암(32)의 휨 동작을 규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62)의 릴리프 오목부(71)에는, 검지 위치에서 록 아암(32)의 록 부재(33)가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63)는, 양 아암 본체(64)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양 아암 본체(64)의 높이 범위에 가설되어 있다. 걸어 맞춤부(63)의 하면은, 양 아암 본체(64)의 하면과 민면으로 연속하고, 걸어 맞춤부(63)의 상면은, 양 아암 본체(64)의 상면과 민면으로 연속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63)의 후면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상향 구배로 경사하는 테이퍼형의 안내 사면(72)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63)의 전방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하면에 개구하는 오목부(7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3)의 안쪽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깊은 오목부(74)가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63)는, 그 전방면으로부터 오목부(73), 깊은 오목부(74)에 걸쳐 계단형으로 깊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73)에는, 수직벽(43)이 진입 가능하게 되고(도 6을 참조), 깊은 오목부(74)에는, 가이드벽(47)이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90)은, 하나의 커넥터에 대하여, 양 탄성 아암부(61) 사이에 하나만 설치되어 있다. 이 토션 스프링(90)은, 공지의 형태로서, 선재를 감아 원통형을 이루는 코일부(91)와, 코일부(91)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스프링 단부(92)로 이루어진다. 토션 스프링(90)이 양 탄성 아암부(61)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서는, 코일부(91)가, 축심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고, 양 스프링 단부(92)가, 후방을 향하여 점차로 폭 확대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90)은, 제1 하우징(10)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미 서술한 양 탄성 아암부(61) 및 양 유도부(25)는, 각각, 제1 하우징(10)의 폭 방향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중심축(L1)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동작 및 검지 부재(60)의 이동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조립에 있어서, 검지 부재(60)가 제1 하우징(10)의 장착 영역(23)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검지 부재(60)의 삽입 과정에서는, 검지 부재(60)의 양 가이드홈(66)에 제1 하우징(10)의 가이드 리브(24)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검지 부재(60)의 이동 안내가 이루어진다.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조립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탄성 아암부(61)의 스토퍼 수취부(67)가,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 리브(24)의 스토퍼단(26)에 접촉하여, 검지 부재(60)의 그 이상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검지 부재(60)의 양 슬라이딩 이동부(65)의 만곡면(68)이 제1 하우징(10)의 유도부(25)의 사면(27)과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60)의 후방(검지 위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검지 부재(60)의 조립에 전후하여, 토션 스프링(90)이 검지 부재(60)의 양 탄성 아암부(61) 사이에 설치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90)의 코일부(91)가 제1 하우징(10)의 록 아암(32)의 감합 오목부(37)에 감합 상태로 삽입됨으로써, 토션 스프링(90)이 하우징 본체(11) 상에 거의 위치 결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토션 스프링(90)의 양 스프링 단부(92)의 선단이 검지 부재(60)의 수용부(69)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양 탄성 아암부(61)에 대하여, 이 양 탄성 아암부(61)가 내측[제1 하우징(10)의 중앙축측]으로 휨 변형되는 것을 규제하는 방향으로의 반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양 탄성 아암부(61)가 부주의하게 휨 변형되는 경우가 없으며,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우발적으로 이동하는 사태가 회피된다.
계속해서, 제1 하우징(10)의 하우징 본체(11)가 제2 하우징(40)의 후드부(41) 내에 감합된다. 하우징 본체(11)가 후드부(41) 내에 얕게 감합되면, 록부(42)의 수직벽(43) 및 가이드벽(47)이 각각 검지 부재(60)의 오목부(73) 및 깊은 오목부(74)에 대략 위치 결정 상태로 감합된다. 더욱 감합이 진행되면,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벽(43)의 양 압박 영역(44)이 오목부(73)의 안쪽면의 폭 방향 양 단부를 압박하여,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를 향하여 원활하게 후퇴된다. 이 사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아암(32)의 록 돌기(35)가 걸어 맞춤부(63)의 안내 사면(72)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록 부재(33)가 상방으로 휨 변형된다. 그리고, 록 부재(33)가 상방으로 휨 변형됨에 따라, 토션 스프링(90)의 코일부(91)가 록 아암(32)의 감합 오목부(37)로부터 빠져 나온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를 향하여 후퇴되면, 도 3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슬라이딩 이동부(65)의 만곡면(68)이 유도부(25)의 사면(27)을 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에 의해 양 아암 본체(64)가 서로 접근하도록 내측으로 휨 변형된다. 양 아암 본체(64)가 휨 변형됨에 따라, 토션 스프링(90)의 양 스프링 단부(92)도 서로 접근하도록 휨 변형된다. 또한, 양 아암 본체(64) 및 토션 스프링(90)의 양 스프링 단부(92)의 휨 방향은,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방향[검지 부재(60)의 이동 방향이기도 함]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이렇게 하여, 양 탄성 아암부(61)와 토션 스프링(90)의 양 스프링 단부(92)가 함께 휨 변형됨으로써, 양 탄성 아암부(61) 및 토션 스프링(90)의 반력이 축적되어, 제2 하우징(40)에 대하여, 이 제2 하우징(40)을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밀쳐내는 것 같은 이격력이 부여된다. 즉, 양 탄성 아암부(61)와 토션 스프링(90)은, 제2 하우징(40)을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반력 발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만약,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동작을 도중에 멈추면, 양 슬라이딩 이동부(65)의 만곡면(68)이 유도부(25)의 사면(27)을 상기와는 역방향이 되는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양 아암 본체(64) 및 토션 스프링(90)의 양 스프링 단부(92)가 각각 복귀 방향을 향하여 탄성으로 확장 변위한다. 그리고, 양 아암 본체(64)가 복귀 방향으로 확장 변위함에 따라, 걸어 맞춤부(63)가 수직벽(43)의 압박 영역을 되밀어,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떼어진다. 그 결과, 제1, 제2 하우징(10, 40)이 반감합 상태인 채로 유지되는 것이 회피된다.
한편,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동작이 중단되는 일없이 진행되면, 양 슬라이딩 이동부(65)의 만곡면(68)이 유도부(25)의 직선면(29)을 넘어 후방 사면(28)을 슬라이딩 이동한다. 양 슬라이딩 이동부(65)가 후방 사면(28)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양 탄성 아암부(61) 및 토션 스프링(90)의 양 스프링 단부(92)가 복귀 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동작은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그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슬라이딩 이동부(65)가 유도부(25)의 후방으로 돌아 들어가는 위치에 이르면, 양 탄성 아암부(61) 및 토션 스프링(90)의 양 스프링 단부(92)가 각각 자연 상태로 탄성 복원된다. 이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탄성 아암부(61)의 아암 본체(64)는 상하에 배치된 유도부(25) 사이의 간극에 감입된다. 따라서, 양 탄성 아암부(61)의 복귀 동작이 유도부(25)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는 없다. 이렇게 하여,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게 된다. 또한, 제1 하우징(10)의 양 가이드 리브(24)가 검지 부재(60)의 가이드홈(66)에 감합 상태로 삽입됨으로써, 검지 부재(60)의 이동 자세 및 이동 후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록 아암(32)의 록 돌기(35)가 걸어 맞춤부(63)의 상면을 타고 넘어, 록 부재(33)가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원된다. 그리고, 록 부재(33)가 탄성 복원됨에 따라, 록 아암(32)의 록 돌기(35)의 걸림 수취면(38)이 수직벽(43)의 걸림 영역(48)에 대면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1, 제2 하우징(10, 40)이 감합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규제부(62)가 록 아암(32)의 록 부재(33)의 전단부(34)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록 부재(33)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록 아암(32)이 록부(42)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이 되는 상방으로 휨 변형되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검지 위치에서는, 록 부재(33)의 전단부(34)보다 후방의 경사 부분이, 규제부(62)의 릴리프 오목부(71)에 진입하여 릴리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동작을 도중에 멈추면,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된 탄성 아암부(61)의 이격력이 제2 하우징(40)에 작용하여, 제2 하우징(40)을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 제2 하우징(10, 40)이 반감합 상태인 채로 유지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여기서, 탄성 아암부(61)가 검지 부재(60)에 일체로 마련되고, 검지 부재(60)에, 종래의 경우와 다르게,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검지 부재(60)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탄성 아암부(61)의 휨 동작을 유도하는 유도면으로서 기능하는 사면(27)이 제1 하우징(10)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하우징(40)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아암부(61)가 사면(27)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하우징(10)의 내측으로 휨 변형되기 때문에, 휨 상태에 있는 탄성 아암부(61)가 제1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휨 상태에 있는 탄성 아암부(61)에 외부 이물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3) 제1, 제2 하우징(10, 40)의 정규 감합 시에 규제부(62)가 록 아암(32)에 접촉함으로써, 록 아암(32)이 록부(42)와의 걸림을 부주의하게 해제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4) 탄성 아암부(61)가 간격을 두고 한쌍 마련되고, 양 탄성 아암부(61) 사이에는 이 양 탄성 아암부(61)에 압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양 탄성 아암부(61)에 의한 이격력을 보조하는 탄성 부재로서의 토션 스프링(9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아암부(61)만인 경우보다, 제2 하우징(40)을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력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제2 하우징(10, 40)의 반감합 상태를 검지하는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5) 탄성 부재가 기존의 단일의 토션 스프링(90)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범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복수의 토션 스프링(90)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저렴히 억제할 수 있으며,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한쌍의 탄성 아암부(61) 사이에 단일의 토션 스프링(90)이 마련되게 되기 때문에, 제2 하우징(40)에 대하여 양 탄성 아암부(61)에 의한 이격력을 밸런스 좋게 균등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6)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토션 스프링(90)이 록 부재(33)와 하우징 본체(11)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록 부재(33)와 하우징 본체(11)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가 토션 스프링(90)의 배치 영역으로서 유효하게 활용되어, 제1 하우징(10)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7)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록부(42)의 수직벽(43)의 전방면에 압박 영역(44)이 마련되어, 수직벽(43)에 검지 부재(60)를 압박하는 기능을 겸비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2 하우징(40)에 검지 부재(60)를 압박하기 위한 전용의 리브 등을 신설할 필요가 없으며, 제2 하우징(40)으로서 기존의 수컷 커넥터 하우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커넥터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8) 압박 영역(44)이 수직벽(43)의 전방면에 있어서 가이드벽(47)을 사이에 둔 양측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 압박 영역(44)에 압박되는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를 향하여 밸런스 좋게 이동된다.
(9) 검지 부재(60)의 전단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오목부(73)가 마련되고, 제1, 제2 하우징(10, 40)의 감합 과정에서 검지 부재(60)가 이동될 때에는, 수직벽(43)이 오목부(73)에 대략 위치 결정하여 감입되어, 오목부(73)의 안쪽면에 압박 영역(44)이 접촉하기 때문에, 검지 부재(60)가 압박 영역(44)과의 사이에 위치 어긋나는 일없이 검지 위치를 향하여 한층 더 밸런스 좋게 이동된다.
<다른 실시예>
이하, 다른 실시예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1) 탄성 아암부가 높은 반력을 갖는 것이면, 탄성 부재로서의 토션 스프링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반력 발생 수단은, 탄성 아암부만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2)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 등의 다른 스프링재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쿠션재여도 좋다.
(3) 검지 부재는, 검지 위치를 향하여 제1 하우징을 전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검지 부재는, 대기 위치로부터 일단 후단한 후, 반력 발생 수단에 압박되어 재차 대기 위치로 복귀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4) 유도면으로서의 사면은, 제1 하우징이 아니라, 제2 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5) 탄성 아암부는, 사면을 따라 제1 하우징의 외측으로 휨 변형되는 것이어도 좋다.
(6) 검지 부재는, 검지 위치에 이른 후도, 하우징 본체와 록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10…제1 하우징
11…하우징 본체
27…사면
32…록 아암
33…록 부재
40…제2 하우징
41…후드부
42…록부
43…수직벽
44…압박 영역
47…가이드벽
48…걸림 영역
60…검지 부재
61…탄성 아암부
62…규제부
63…걸어 맞춤부
73…오목부
90…토션 스프링(탄성 부재)

Claims (3)

  1. 록 아암(lock arm)을 갖는 제1 하우징과, 록부(lock portion)를 가지고 상기 제1 하우징에 감합 가능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제2 하우징에 압박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도중에 멈춘 경우에는, 상기 검지 부재측에 마련된 반력 발생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었을 때에는, 상기 록부가 상기 록 아암에 탄성적으로 걸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감합 상태로 유지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록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수직벽이 마련되며,
    상기 수직벽의 한쪽의 벽면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상기 록 아암에 걸리는 걸림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수직벽의 다른쪽의 벽면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상기 검지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에는, 상기 수직벽의 다른쪽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벽이 마련되고, 상기 압박 영역은, 상기 수직벽의 다른쪽의 벽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을 사이에 둔 양측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상기 검지 부재가 이동될 때에는, 상기 수직벽이 상기 오목부에 위치 결정하여 감입되어, 상기 오목부의 안쪽면에 상기 압박 영역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0065213A 2014-05-27 2015-05-11 커넥터 KR101757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09180A JP6119671B2 (ja) 2014-05-27 2014-05-27 コネクタ
JPJP-P-2014-109180 2014-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572A true KR20150136572A (ko) 2015-12-07
KR101757042B1 KR101757042B1 (ko) 2017-07-11

Family

ID=5448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213A KR101757042B1 (ko) 2014-05-27 2015-05-11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05249B2 (ko)
JP (1) JP6119671B2 (ko)
KR (1) KR101757042B1 (ko)
DE (1) DE102015006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931B2 (en) 2017-02-02 2018-12-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CN110300505B (zh) * 2019-05-28 2020-08-25 西南电子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机载电子模块插拔锁紧起拔器
JP7091008B2 (ja) * 2020-04-24 2022-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5307B2 (ja) * 1996-03-07 2002-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3419689B2 (ja) * 1998-08-21 2003-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2002025706A (ja) * 2000-07-07 2002-01-25 Yazaki Corp コネクタ
JP3593958B2 (ja) * 2000-07-12 2004-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19670B2 (ja) * 2014-05-27 2017-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25759A (ja) 2015-12-14
US20150349458A1 (en) 2015-12-03
JP6119671B2 (ja) 2017-04-26
KR101757042B1 (ko) 2017-07-11
DE102015006580A1 (de) 2015-12-03
US9705249B2 (en)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043B1 (ko) 커넥터
JP6287987B2 (ja) コネクタ
JP5751196B2 (ja) コネクタ
KR101740170B1 (ko) 커넥터
KR101757042B1 (ko) 커넥터
KR101778888B1 (ko) 커넥터
JP2015170489A (ja) コネクタ
JP2006086090A (ja) コネクタ
JP6004279B2 (ja) コネクタ
KR101788931B1 (ko) 커넥터
JP6550034B2 (ja) コネクタ
KR101805990B1 (ko) 커넥터
KR20150115640A (ko) 커넥터
KR101746968B1 (ko) 커넥터
JP6210228B2 (ja) コネクタ
JP6094897B2 (ja) コネクタ
KR101810296B1 (ko) 커넥터
KR101746969B1 (ko) 커넥터
JP201617099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