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229A -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229A
KR20150136229A KR1020140063367A KR20140063367A KR20150136229A KR 20150136229 A KR20150136229 A KR 20150136229A KR 1020140063367 A KR1020140063367 A KR 1020140063367A KR 20140063367 A KR20140063367 A KR 20140063367A KR 20150136229 A KR20150136229 A KR 20150136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ship
information
unit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수
Original Assignee
홍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수 filed Critical 홍창수
Priority to KR102014006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6229A/ko
Publication of KR2015013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 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전송하는 내부 촬영부;와, 선박 외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전송하는 외부 촬영부;와,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위치를 추적하는 제1GNSS수신기의 정보와 전자해도의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항로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항로정보를 전송하는 항로 검출부;와, 선박의 조종실에 설치되어 조종실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수집하고, 그 수집된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음성 수집부;와,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온도센서;와,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의 침수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침수센서;와,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기울기 상태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와, 상기 촬영부와 항로 검출부와 음성 수집부 및 센서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장되는 블랙박스;와, 상기 블랙박스의 결속 및 외부이탈을 결정하는 이탈수단;과, 상기 블랙박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블랙박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블랙박스가 이탈되면 상기 제어부 및 저장부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선박의 사고 발생시 선박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 블랙박스를 이탈수단을 통해 외부로 이탈시켜 선박과 함께 블랙박스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랙박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랙박스에 내장된 조난신호 발생기를 통해 주변의 선박이나 육지의 무선국으로 조난신호를 발신하여 선박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이탈수단을 통해 외부로 이탈된 블랙박스는 제2GNSS수신기와 무선송신부를 통해 블랙박스의 현 위치를 무선으로 주변에 전파하여 블랙박스의 유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함에도 불구하고, 블랙박스가 회수되지 못해 전원부의 전원이 방전되어 가면 제어부에서 저장부의 저용량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된 저용량의 데이터 정보들을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주변으로 송신(전송)하여 블랙박스를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저장부의 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수집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Distress signals and sending the signal to the location of the black box, black box system for ships}
본 발명은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사고 발생시 선박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 블랙박스를 이탈수단을 통해 외부로 이탈시켜 선박과 함께 블랙박스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랙박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랙박스에 내장된 조난신호 발생기를 통해 주변의 선박이나 육지의 무선국으로 조난신호를 발신하여 선박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난 1994년 9월 발틱해에서 2,000명의 인명을 빼앗아간 로로 페리 에스토니아(Estonia)호의 전복 사고 후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은 모든 로로 여객선에 블랙박스 기록장치(Vorage Data Recorder : VDR)를 강제 탑제할 것을 1995년 솔라스(SOLAS) 당사국 회의에 권고하는 한편, 솔라스 제5장 개정작업을 진행중에 있는 NAV(Safety of Navigation) 소위원회가 선박설계의 장소 위원회(DE : Design and Equipment) 소위원회와 협력하여 탑재요건 및 성능기준을 검토하도록 하였으며, 북유럽 등의 국가들은 일정규모 이상의 선박에 대하여 블랙박스 기록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선박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기록장치는 선박의 운항중 각종 데이터의 실시간 기록의 유지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항해 데이터, 엔진의 상태, 항해자료, 기상정보 등을 신호변환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 후 메인 시스템에 전송하고, 이 전송된 자료를 원하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게 하여 자동으로 선박 항해자료를 기록함에 따라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항해일지 작성의 수고를 덜 수 있고 효율적인 운항 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치로서 우리나라에서도 블랙박스 기록장치의 의무화는 이미 수년 전부터 거론되어 오고 있다.
또한, 선박 충돌 등 기타의 조건에 의한 사고시 원인 규명을 위한 객관적인 수단이 없었고 이로 인한 보험사와 피보험자 간의 많은 트러블이 발생하였고, 따라서 선박 사고원인을 규명하는 객관적인 자료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바, 최근 선박 내에 비행기의 블랙박스와 같은 기기를 의무적으로 탑재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문제 해결의 객관적인 근거자료로 사용(IMO NAV SOLAS 협약 참조)하게 되었으며, 최근 국제적인 기구에서 선박용 블랙박스의 기본 개념 및 블랙박스에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의 종류에 대한 규정이 정해져 이를 기준으로 하는 선박용 블랙박스의 보급을 활성화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특히, 선박의 사고 발생시 블랙박스의 유실을 방지하고, 신속히 조난신호를 발신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블랙박스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의 사고 발생시 선박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 블랙박스를 이탈수단을 통해 외부로 이탈시켜 선박과 함께 블랙박스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랙박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랙박스에 내장된 조난신호 발생기를 통해 주변의 선박이나 육지의 무선국으로 조난신호를 발신하여 선박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이탈수단을 통해 외부로 이탈된 블랙박스는 제2GNSS수신기와 무선송신부를 통해 블랙박스의 현 위치를 무선으로 주변에 전파하여 블랙박스의 유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함에도 불구하고, 블랙박스가 회수되지 못해 전원부의 전원이 방전되어 가면 제어부에서 저장부의 저용량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된 저용량의 데이터 정보들을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주변으로 송신(전송)하여 블랙박스를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저장부의 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수집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 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전송하는 내부 촬영부;와, 선박 외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전송하는 외부 촬영부;와,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위치를 추적하는 제1GNSS수신기의 정보와 전자해도의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항로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항로정보를 전송하는 항로 검출부;와, 선박의 조종실에 설치되어 조종실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수집하고, 그 수집된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음성 수집부;와,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온도센서;와,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의 침수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침수센서;와,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기울기 상태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와, 상기 촬영부와 항로 검출부와 음성 수집부 및 센서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장되는 블랙박스;와, 상기 블랙박스의 결속 및 외부이탈을 결정하는 이탈수단;과, 상기 블랙박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블랙박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블랙박스가 이탈되면 상기 제어부 및 저장부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박의 다양한 정보가 상기 블랙박스의 저장부에 저장되므로, 그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 사고 발생시 선박의 사고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사고 발생시 상기 이탈수단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를 외부로 이탈시켜 선박과 함께 상기 블랙박스가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블랙박스가 선박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블랙박스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GNSS수신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2GNSS수신기를 통해 추적된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박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블랙박스의 위치를 추적하여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블랙박스가 선박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제1GNSS수신기에서 전송된 최후의 선박 위치정보와 함께 선박 고유의 MMSI(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번호를 주변의 선박 및 육지의 무선국으로 구조신호를 발신하는 조난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박의 사고 발생시 신속한 인명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선박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수단은 상기 블랙박스가 내장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랙박스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을 자력으로 당겨 상기 탄성스프링이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상기 블랙박스의 결속 및 외부이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음성 수집부, 항로 검출부 및 센서에서 수집(측정)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저용량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 량이 5 내지 20%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정보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의하면, 선박의 사고 발생시 선박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 블랙박스를 이탈수단을 통해 외부로 이탈시켜 선박과 함께 블랙박스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랙박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랙박스에 내장된 조난신호 발생기를 통해 주변의 선박이나 육지의 무선국으로 조난신호를 발신하여 선박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이탈수단을 통해 외부로 이탈된 블랙박스는 제2GNSS수신기와 무선송신부를 통해 블랙박스의 현 위치를 무선으로 주변에 전파하여 블랙박스의 유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함에도 불구하고, 블랙박스가 회수되지 못해 전원부의 전원이 방전되어 가면 제어부에서 저장부의 저용량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된 저용량의 데이터 정보들을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주변으로 송신(전송)하여 블랙박스를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저장부의 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수집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이탈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이탈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100)은 내부 촬영부(10)와, 외부 촬영부(20)와, 항로 검출부(30)와, 음성 수집부(40)와, 온도센서(50)와, 침수센서(60)와, 기울기 센서(70)와, 블랙박스(80)와, 이탈수단(90)과, 제어부(110)와, 전원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촬영부(10)는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 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후설될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촬영부(10)에서 촬영되는 촬영정보는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에 저장되므로, 선박의 사고 발생시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 활용된다.
한편, 상기 내부 촬영부(10)는 통상 선박에 설치되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로 구체화하여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본 발명의 사상을 선박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촬영부(20)는 선박 외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촬영부(20) 역시 상기에 상술한 내부 촬영부(10)와 같이 촬영되는 촬영정보가 상기 블랙박스(80)에 저장되므로, 선박의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소중한 자료로 활용됨은 물론이며, 상기 내부 촬영부(20)는 통상 선박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로 구체화되어 본 발명의 사상이 선박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로 검출부(30)는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위치를 추적하는 제1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수신기(31)의 정보와 전자해도(32)의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항로 및 레이더 영상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항로정보 및 레이더 영상을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항로 검출부(30)를 통해 추적되는 선박의 항로정보 및 레이더 영상을 통해 선박의 사고 직전의 항로를 추적할 수 있어 선박이 정상적인 항로로 운항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GNSS수신기(31)와 전자해도(32) 역시 선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항로 검출부(30)에서는 선박에 설치되는 상기 제1GNSS수신기(31)와 전자해도(32)의 정보를 통해 간편히 선박의 항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수집부(40)는 선박의 조종실에 설치되어 조종실에서 발생하는 음성 및 무선교신 내용을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를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수집부(40)를 통해 수집된 음성 정보, 즉 선박의 사고 발생시 조종실 내부에서 선장 및 선원들의 대화나 무선교신 내용을 통해 선박의 사고 상황 정도, 사고 원인, 사고에 대한 대처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어 선박의 사고 원인을 용이하게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장이나 선원들의 대처 상황(행동)을 통해 선장 및 선원들의 잘잘못을 규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수집부(40)는 음성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통상의 마이크로 구체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50)는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50)의 감지정보를 통해 선박의 사고 원인이 선박에서 종종 발생할 수 있는 화재로 인한 것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수센서(60)는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의 침수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침수센서(60)의 감지정보를 통해 선박의 어느 부위부터 침수가 진행되었는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울기 센서(70)는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기울기 상태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기울기 센서(70)의 감지정보를 통해 사고 발생시 선박의 상태를 짐작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박스(80)는 상기 촬영부(10,20)와 항로 검출부(30)와 음성 수집부(40) 및 센서(50,60,70)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81)가 내장되도록 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박스(80)는 상기 구성요소들(10,20,30,40,50,60,70)을 통해 수집된 대량의 정보가 총괄 수집되는 것으로, 선박의 사고 발생 후에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에 저장된 소중한 정보는 선박의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소중한 자료로 활용된다.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80)는 선박이 소실되더라도 반드시 회수되어 선박의 사고 원인을 규명할 자료로 활용되어야만 함으로, 후설될 상기 이탈수단(90)을 통해 선박 사고 발생시 외부로 이탈시켜 용이하게 회수(수거)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수단(90)은 후설될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80) 의 결속 및 외부이탈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블랙박스(80)가 내장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는 케이스(91)와, 상기 케이스(9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랙박스(8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92)과, 상기 케이스(91)의 저면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92)을 자력으로 당겨 상기 탄성스프링(92)이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전자석(9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50,60,70)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침몰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석(93)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자석(93)의 자력으로 인해 수축된 상기 탄성스프링(92)이 자연적으로 복원(팽창)되도록 하여 상기 블랙박스(80)가 상기 탄성스프링(92)의 탄력으로 선박 외부(바다)로 이탈되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로 이탈되는 상기 블랙박스(80)는 방수처리되어 상기 저장부(81)가 저장되는 내부의 기밀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설계함은 당연하다.
한편, 도 1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블랙박스(80)가 선박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블랙박스(80)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제2GNSS수신기(131)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2GNSS수신기(131)를 통해 추적된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32)를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 선박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블랙박스(80)의 위치를 용이하게 추적하여 상기 블랙박스(80)가 유실되지 않고 회수되어 선박의 사고를 규명할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도 1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블랙박스(80)가 선박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제1GNSS수신기(31)에서 전송된 최후의 선박 위치정보와 함께 선박 고유의 MMSI(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번호를 주변의 선박 및 육지의 무선국으로 구조신호를 발신하는 조난신호 발생기(140);를 더 포함하여,
선박의 사고 발생시 신속한 인명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선박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난신호 발생기(140)는 주변의 선박이나 육지의 무선국으로 특정 주파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장거리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50,60,70)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저장부(81)에 저장되는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50,60,7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화재, 침수, 침몰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을 제어하여 선박으로부터 상기 블랙박스(80)의 이탈을 결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으로 상기 블랙박스(80)가 이탈되면 상기 제어부(110) 및 저장부(81)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블랙박스(80) 내부에 내장되는 구성(81,110,131,132,140)이 작동하도록 전원을 제공하는 예비전원으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로 인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으로 상기 블랙박스(80)가 선박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블랙박스(80)는 선박으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지 못하므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이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전원부(120)의 전원이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는 구성(81,110,131,132,140)들로 공급되어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는 구성(81,110,131,132,140)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81)는 상기 촬영부(10,20)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81a)와, 상기 음성 수집부(40), 항로 검출부(30) 및 센서(50,60,70)에서 수집(측정)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저용량 데이터베이스(81b)로 구분하여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여,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120)의 전원 량이 5 내지 20%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저용량 데이터베이스(81b)에 수집된 정보를 상기 무선송신부(132)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이탈수단(90)을 통해 외부로 이탈된 상기 블랙박스(80)는 제2GNSS수신기(131)와 무선송신부(132)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80)의 현 위치를 무선으로 주변에 전파하여 상기 블랙박스(80)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블랙박스(80)가 회수되지 못해 상기 전원부(120)의 전원이 방전되어 가면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저장부(81)의 저용량 데이테베이스(81b)에 저장된 저용량의 데이터 정보들을 상기 무선송신부(132)를 통하여 주변으로 송신(전송)하여 상기 블랙박스(80)를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저장부(81)의 저용량 데이터베이스(81b)에 저장된 정보는 외부에서 최대한 수집될 수 있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81)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81a)에 저장되는 정보는 영상정보로 데이터 용량이 다소 커서 상기 무선송신부(132)로 신속하게 전송하기 곤란함으로, 상기 저용량 데이터베이스(81b)에 저장된 저용량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100)은 선박의 사고 발생시 선박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 상기 블랙박스(80)를 상기 이탈수단(90)을 통해 외부로 이탈시켜 선박과 함께 상기 블랙박스(80)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블랙박스(8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사고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된 상기 조난신호 발생기(140)를 통해 주변의 선박이나 육지의 무선국으로 조난신호를 발신하여 선박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운용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설치되는 촬영부(10,20), 항로 검출부(30), 음성 수집부(40) 및 각종 센서(50,60,70)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50,60,70)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침몰이 감지되면 이탈수단(90)을 작동시켜 상기 이탈수단(90)에 결속된 상기 블랙박스(80)를 선박으로부터 분리되어 외부로 이탈되게 한다.
그러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어 제2GNSS수신기(131)에서 상기 블랙박스(80)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된 위치정보를 무선송신부(132)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여 상기 블랙박스(80)가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회수되도록 유도한다.
동시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된 조난신호 발생기(140)를 통해 주변의 선박이나 육지의 무선국으로 구조신호를 발신하여 신속한 인명구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한편, 장시간이 경과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탈수단(90)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블랙박스(80)가 회수되지 못하여 전원부(120)의 전원이 방전되어 가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저장부(81)의 저용량 데이테베이스(81b)에 저장된 저용량의 데이터 정보들을 상기 무선송신부(132)를 통하여 주변으로 송신(전송)하여 상기 블랙박스(80)를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저장부(81)의 저용량 데이터베이스(81b)에 저장된 정보는 외부에서 최대한 수집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본 발명의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100)은 선박의 사고원인을 규명할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상기 블랙박스(80)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블랙박스(80)를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최소한의 정보는 수집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 내부 촬영부 20. 외부 촬영부
30. 항로 검출부 31. 제1GNSS수신기
32. 전자해도 40. 음성 수집부
50. 온도센서 60. 침수센서
70. 기울기 센서 80. 블랙박스
81. 저장부 81a.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81b. 저용량 데이터베이스 90. 이탈수단
91. 케이스 92. 탄성스프링
93. 전자석 110. 제어부
120. 전원부 131. 제2GNSS수신기
132. 무선송신부 140. 조난신호 발신기
100.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Claims (5)

  1.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 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전송하는 내부 촬영부(10);
    선박 외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전송하는 외부 촬영부(20);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위치를 추적하는 제1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수신기(31)의 정보와 전자해도(32)의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항로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항로정보를 전송하는 항로 검출부(30);
    선박의 조종실에 설치되어 조종실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수집하고, 그 수집된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음성 수집부(40);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온도센서(50);
    선박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선박의 침수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침수센서(60);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의 기울기 상태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70);
    상기 촬영부(10,20)와 항로 검출부(30)와 음성 수집부(40) 및 센서(50,60,70)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81)가 내장되는 블랙박스(80);
    상기 블랙박스(80)의 결속 및 외부이탈을 결정하는 이탈수단(90);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50,60,70)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저장부(81)에 저장되는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및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으로 상기 블랙박스(80)가 이탈되면 상기 제어부(110) 및 저장부(81)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박의 다양한 정보가 상기 블랙박스(80)의 저장부(81)에 저장되므로, 그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 사고 발생시 선박의 사고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사고 발생시 상기 이탈수단(90)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80)를 외부로 이탈시켜 선박과 함께 상기 블랙박스(80)가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블랙박스(80)가 선박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블랙박스(80)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제2GNSS수신기(131)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2GNSS수신기(131)를 통해 추적된 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박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블랙박스(80)의 위치를 추적하여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80)에 내장되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이탈수단(9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블랙박스(80)가 선박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제1GNSS수신기(31)에서 전송된 최후의 선박 위치정보와 함께 선박 고유의 MMSI(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번호를 주변의 선박 및 육지의 무선국으로 구조신호를 발신하는 조난신호 발생기(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박의 사고 발생시 신속한 인명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선박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수단(90)은,
    상기 블랙박스(80)가 내장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상부는 개방되는 케이스(91)와,
    상기 케이스(9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랙박스(8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92)과,
    상기 케이스(91)의 저면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92)을 자력으로 당겨 상기 탄성스프링(92)이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전자석(9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전자석(93)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결정하여 상기 케이스(91)에 내장되는 상기 블랙박스(80)의 결속 및 외부이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81)는,
    상기 촬영부(10,20)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81a)와,
    상기 음성 수집부(40), 항로 검출부(30) 및 센서(50,60,70)에서 수집(측정)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저용량 데이터베이스(81b)로 구분하여,
    상기 전원부(120)의 전원 량이 5 내지 20%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저용량 데이터베이스(81b)에 수집된 정보를 상기 무선송신부(132)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20140063367A 2014-05-27 2014-05-27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50136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67A KR20150136229A (ko) 2014-05-27 2014-05-27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67A KR20150136229A (ko) 2014-05-27 2014-05-27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29A true KR20150136229A (ko) 2015-12-07

Family

ID=5487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367A KR20150136229A (ko) 2014-05-27 2014-05-27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622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81A (ko) * 2016-12-07 2018-06-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90038212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표준형 등부표용 해양 블랙 박스 감시 장치
KR102011697B1 (ko) 2018-03-27 2019-08-19 주식회사 호서텔넷 음성인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음성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구조방법
KR102107168B1 (ko) * 2019-12-12 2020-05-07 이상국 선박용 블랙박스 장치
KR102267187B1 (ko) * 2020-10-14 2021-06-21 대한민국 다채널 선박용 블랙박스
CN114199788A (zh) * 2021-12-09 2022-03-18 中科计算技术西部研究院 基于多光谱的病虫害检测识别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220111021A (ko) * 2021-02-01 2022-08-09 김흥수 선박용 다기능 블랙박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81A (ko) * 2016-12-07 2018-06-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90038212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표준형 등부표용 해양 블랙 박스 감시 장치
KR102011697B1 (ko) 2018-03-27 2019-08-19 주식회사 호서텔넷 음성인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음성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구조방법
KR102107168B1 (ko) * 2019-12-12 2020-05-07 이상국 선박용 블랙박스 장치
KR102267187B1 (ko) * 2020-10-14 2021-06-21 대한민국 다채널 선박용 블랙박스
KR20220111021A (ko) * 2021-02-01 2022-08-09 김흥수 선박용 다기능 블랙박스
CN114199788A (zh) * 2021-12-09 2022-03-18 中科计算技术西部研究院 基于多光谱的病虫害检测识别方法、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6229A (ko)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888930B1 (ko) 드론 모바일스테이션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1135148B1 (ko)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
KR101386032B1 (ko) 비상 위치 지시용 무선 표지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상태 감시 장치와 방법
CN106056976B (zh) 船舶定位导航及安全预警报警系统
KR101801348B1 (ko) 해상구조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 시스템
KR101812487B1 (ko) 드론을 이용한 해상 인명구조시스템
US8674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tress at sea
US20080174484A1 (en) Location Recording System
EP3333822A1 (en) Independent and automatic incident alert device, system & method
KR101633347B1 (ko)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
KR102116563B1 (ko)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05411B1 (ko) 초음파와 무선신호 기반 해상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1896A (ko) 비행체를 이용한 선박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KR20170033174A (ko) 선박 안전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안전 관리 장치 및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25990B1 (ko)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JP5559488B2 (ja) 落水者検出装置
US10093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KR101653754B1 (ko)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31498A (ko) 수상 구조로봇을 이용한 인명 구조시스템
KR20140115684A (ko) 선박용 융합형 선박위치 자동 발신시스템
WO2011112030A2 (ko) 비상 위치 지시용 무선 표지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상태 감시 장치와 방법
KR101882417B1 (ko) 선박의 음성 경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80004825A (ko) 통합 해상 안전장치
KR101186952B1 (ko)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13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11

Effective date: 2017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