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990B1 -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990B1
KR101825990B1 KR1020160017072A KR20160017072A KR101825990B1 KR 101825990 B1 KR101825990 B1 KR 101825990B1 KR 1020160017072 A KR1020160017072 A KR 1020160017072A KR 20160017072 A KR20160017072 A KR 20160017072A KR 101825990 B1 KR101825990 B1 KR 10182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oating
event
buoyancy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544A (ko
Inventor
양찬수
김선화
홍단비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1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9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64C2201/101
    • B64C2201/108
    • B64C2201/127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는 선박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하여 공중에 부상하는 부상장치와, 상기 부상장치와 본체를 연결하는 바인딩 케이블(Binding Cable)을 구비한다.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공중으로 전개된 상태의 부상장치는 바인딩 케이블을 통해 본체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서 지지된다. 본 발명의 부상장치는 예컨대 선박이 전복 등의 긴급 상황에 처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부상하여 선박에서 발생하는 상황 등을 촬영하는 방법으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Monitoring Apparatus Equipped on Ship and Monitor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선박의 긴급 상황이나 사용자 제어에 따라 공중으로 전개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등의 상황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상황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항해 중인 선박은 언제든지 전복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만약 선박이 전복에 직면한 상황이라면 그 상황을 관제센터 등에서 최대한 빨리 확인할 수 있어야 초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통상 선박은 각종 통신 장비, 레이더 장비, GPS 수신장치 등을 구비하고 운행을 하게 되며, 선박 자동 식별 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가 반경 50㎞ 이내의 모든 선박과 관제센터에 선박의 선명, 목적지, 현재 진로, 속력, 적재화물 등을 송수신하도록 구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박이 다양한 원인에 의한 직면하게 되는 전복의 위치 상황에서는 이러한 장치들이 제공하는 정보들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어서, 현재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장치들이 필요하다.
한편, 현재 선박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범위의 상황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상당한 높이에서 선박 내지 선박 주위 상황을 촬영하여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그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긴급 상황이나 사용자 제어에 따라 공중으로 전개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등의 상황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선박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하여 공중에 부상하는 부상장치와, 상기 부상장치와 본체를 연결하는 바인딩 케이블(Binding Cable)을 구비한다.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공중으로 전개된 상태의 부상장치는 바인딩 케이블을 통해 본체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서 지지된다.
상기 본체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부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개 이벤트와 회수 이벤트 중 하나를 생성하는 M-제어부; 상기 전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공중으로 전개시키는 부상장치 전개부; 및 상기 회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바인딩 케이블을 감아 상기 부상장치를 회수하는 장치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상장치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전개 이벤트에 응답하여 부력을 생성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공중으로 부상시키고, 상기 회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부력을 제거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상기 본체로 귀환시키는 부력모듈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방법은,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선박의 일 측에 고정하는 단계; 측정값에 따라 상기 본체의 M-제어부가 전개 이벤트 및 회수 이벤트 중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부상장치전개부가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부상장치의 부력모듈이 부력을 생성하여 상기 부상장치가 공중으로 부상하는 단계; 상기 바인딩 케이블과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부상장치가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부력모듈이 상기 부상장치의 부력을 제거하고, 상기 본체의 회수장치가 상기 바인딩 케이블을 감아 상기 부상장치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선박의 일측으로 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선박에 급박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공중으로 전개되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에서 운행 중인 선박이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경우에, 그 상황에 대한 정보(정확한 위치, 현장 상황 영상 등)를 선박 자체는 물론이고 외부 단말기인 해상 관제센터 등에 제공함으로써 그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기능은 긴급상황에서 자동으로 전개되어 수행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동작하여 포획할 어군을 탐지하거나 전방의 항로 상황을 확인하는 등의 기능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상장치는 공중으로 전개된 이후에도 바인딩 케이블을 통해 선박에 설치된 본체에 묶여 있는 상태로 동작하였다가 바인딩 케이블을 감는 방법으로 회수 가능한 형태로 설계됨으로써, 부상장치의 회수와 재활용이 가능하고, 악천후 상황에서도 동작 중인 부상장치를 유실할 위험을 줄인다. 예를 들어, 공중으로 전개되어 동작 중에 선박의 사고 등으로 인하여 결국 추락하더라도 바인딩 케이블을 통해 선박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수 가능하며, 선박 사고의 원인 등을 추적할 블랙박스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 중 긴급 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이하, 간단히 '모니터링 장치'라 함)(100)는, 선박(1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본체(110)와, 본체(110)로부터 이탈하여 공중으로 부상하여 전개되는 부상장치(120)와, 부상장치(120)와 본체(110)를 연결하는 바인딩 케이블(Binding Cable)(130)을 구비한다. 기본적으로, 부상장치(120)는 '전개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는 본체(110) 또는 선박(10)에 고정된 상태이다가, '전개 이벤트'가 발생하면 본체(110)로부터 분리되어 공중으로 전개되어 부상한 다음 각종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개 이벤트는 부상장치(12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어 공중으로 전개하는 이벤트로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M-제어부(116)에 의해 다양한 조건에서 생성될 수 있다.
공중으로 전개된 상태에서도, 부상장치(120)와 본체(110)는 바인딩 케이블(130)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바인딩 케이블(130)은 부상장치(120)를 본체(110)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로 묶어두고, 모니터링 동작을 완료한 부상장치(120)를 선박(10)으로 회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부상장치(120)의 최대 부상 높이는 바인딩 케이블(130)의 전체 길이에 종속되며, 통상 수십 미터 내지 수 백미터, 높게는 수 킬로미터까지도 가능하다. 바인딩 케이블(130)의 인장 강도와, 부상장치(120)의 무게 등이 부상장치(120)의 최대 부상 높이를 결정하는 인자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부상장치(120)는 카메라부(121), 측정부(122), S-통신부(123) , 부력모듈(124), 추진모듈(125) 및 S-제어부(127)를 포함하며, 본체(110)는 부상장치전개부(111), 전원공급부(112), 장치회수부(113), M-통신부(114), 센서부(115) 및 M-제어부(116)를 포함한다.
<부상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우선, 부상장치(1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부상장치(120)의 카메라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21-1)를 구비하여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동영상 포함)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부(121)의 카메라는 회전형 또는 로터리 형으로 마련되거나 서로 다른 방향을 주시하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주변 360°를 모두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야간 촬영을 위해 적외선(Infra-Red) 카메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측정부(122)는 주변 상황(풍속, GPS 위치정보, 조도 등)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센서 또는 측정수단을 구비하여 풍속, 조도 등을 측정하거나, GPS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S-통신부(123)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유선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유선 랜(LAN), 기타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유선 통신 프로토콜이 가능하다. 무선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무선랜(Wireless LAN),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각종 방송통신망 등 종래의 어떠한 무선 프로토콜도 가능하며 복수 개의 무선 프로토콜을 보유할 수도 있다. 본체(110)의 M-통신부(114)와의 통신에 유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인딩 케이블(130)과 함께 통신선(미도시)을 배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S-제어부(127)와 M-제어부(116) 사이, 또는 S-제어부(127)와 외부 단말기(미도시) 사이에서 직접 이루어지는 것처럼 설명되더라도, 당연히 S-통신부(123)가 매개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력모듈(124)은 부력을 생성하여 부상장치(120)를 공중으로 부상시키고 기본적인 부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개 이벤트가 발생하여 부상장치(120)가 공중으로 전개될 때 동작한다. 부력모듈(124)이 부력을 생성하는 방법은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처럼, 부력모듈(124)은 부력을 생성하도록 가스를 수용하는 에어백(Air Bag)(124-1)을 구비한다. 에어백(124-1)은 미리 가스를 충진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고, 전개 이벤트에 따라 부상장치전개부(111)에서 가스를 공급할 수도 있다.
부상장치(120)가 본체(110)로 귀환하거나 고도를 낮출 경우를 대비하여, 부력모듈(124)은 에어백(124-1)에 주입된 가스의 양을 줄이는 방법으로 필요한 경우에 부력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추진모듈(125)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부상장치(120)의 모니터링 동작 등을 위해 필요한 위치/자세 제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공중에는 일정한 풍속의 바람이 불기 마련이고, 바인딩 케이블(130)이 형태가 일정한 강체가 아니기 때문에, 부력모듈(124)만으로는 부상장치(120)의 위치를 제어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상장치(120)가 특정한 곳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나, 해상 조난자에게 긴급 구명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수적이다.
추진모듈(125)의 실제 구성도 공중의 비행체의 위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알려진 어떠한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펠러는 기본적인 추진모듈(125)의 예가 될 것이다.
S-제어부(127)는 부상장치(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이를 위해 모니터링제어부(128) 및 자세제어부(129)를 포함한다.
모니터링제어부(128)는 카메라부(121)와 측정부(122)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따른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자세제어부(129)는 기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추진모듈(125)을 이용한 자세제어를 수행한다.
<본체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체(1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체(110)가 선박(10)에 고정된 별도의 장치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체(110)가 선박(10)에 운행 등을 위해 기본적으로 보유한 장치 내에 설치되거나, 본체(110)가 그 기본 장치에 이미 설치된 센서부(115)나 M-통신부(114)와 같은 구성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부상장치전개부(111)는 전개 이벤트에 따라 부상장치(120)의 잠금을 해제하여 공중으로 전개시킨다.
전개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는 부상장치(120)는 본체(110) 또는 선박(10)의 일 측에 마련된 잠금장치(111-1)에 고정된다. 잠금장치(111-1)는 부상장치전개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면 족하므로, 반드시 본체(110)에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선박(10)의 일측에 마련되더라도 부상장치전개부(111)에 의해 제어되면 된다. 부상장치전개부(111)는 전개 이벤트 시에 잠금장치(111-1)의 잠금을 해제하여 부상장치(120)를 공중으로 전개시킨다.
부력모듈(124)이 에어백(124-1)을 구비하는 실시 예의 경우, 부상장치전개부(111)는 에어백(124-1)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1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개 이벤트에 따라 가스공급부(111-2)가 에어백(124-1)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한다. 가스 공급이 완료됨과 동시에 잠금장치(111-1)의 해제가 수행되면서 부상장치(120)가 공중으로 전개되고, 공중으로 전개된 부상장치(120)는 부력모듈(124)이 가지는 부력에 의해 일정한 높이까지 공중으로 부상하게 된다.
전원공급부(112)는 부상장치(120)와 전원 케이블(112-1)을 통해 연결되어 부상장치(120)의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케이블(112-1)은 바인딩 케이블(130)과 함께 배선할 수 있다.
장치회수부(113)는 '회수 이벤트'에 따라 바인딩 케이블(130)을 감아서 부상장치(120)를 본체(110)나 선박(10)으로 회수한다. 여기서 회수 이벤트는 공중으로 전개된 부상장치(120)를 선박(10)으로 회수하는 이벤트로서, M-제어부(116)에 의해 생성된다.
M-통신부(11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기본적으로 부상장치(120)의 S-통신부(123) 및 외부 단말기(미도시)와의 통신에 제공된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는 선박(10)의 주된 통신수단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S-제어부(127)와 M-제어부(116) 사이에서 직접 이루어지는 것처럼 설명되더라도, 당연히 M-통신부(114)가 매개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센서부(115)는 전개 이벤트의 생성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10)이 전복 등과 같은 위급상황에 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압력센서, 기울기 센서 등이 해당한다. 압력센서는 선박(10) 또는 본체(110)의 일 측에 마련되어 압력을 측정한다. 기울기 센서는 지자기 센서 등의 조합으로 선박(10) 또는 본체(110)의 자세, 즉 기울기를 측정한다.
M-제어부(116)는 부상장치전개부(111), 전원공급부(112), M-통신부(114), 장치회수부(113) 및 센서부(115)를 전체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본체(110)의 전반적인 기본 동작을 제어한다. (1) 부상장치전개부(111) 및 M-통신부(114)의 동작개시, 중지뿐만 아니라 동작 오류 등의 모니터링, (2) 전원공급부(112)의 전원 공급개시/ 중지/ 전원 모니터링 등 (3) 장치회수부(113)의 동작 개시/중지/모니터링 등이 이러한 기본 동작에 포함된다.
특별히 M-제어부(116)는 이벤트처리부(117)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전개 이벤트와 회수 이벤트를 생성하고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전개 이벤트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전개 이벤트와 '긴급 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가 있다.
긴급 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는 선박(10)의 전복과 같은 위급 상황에서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벤트처리부(117)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는 긴급 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의 자동 수행 방법을 설명한다.
[긴급 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의 처리: 도 3]
<부상장치 고정: S301>
전개 이벤트가 없는 상태의 부상장치(120)는 잠금장치(111-1)에 의해 본체(110) 또는 선박(10)에 고정된 상태이다. 부상장치(120)의 부력모듈(124)은 부력을 미리 생성하여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2의 부력모듈(124)의 에어백(124-1)은 가스로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다만, 부력모듈(124)의 실시 예에 따라 항상 일정한 부력을 유지할 수는 있다.
또한, 바인딩 케이블(130)은 다른 장치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으나, 장치회수부(113)에 의해 얼레(미도시) 등에 감긴 상태일 수도 있다.
<전개 이벤트를 위한 조건 판단 및 전개 이벤트 생성: S303, S305>
도 3의 전개 이벤트는 선박(10)의 위급상황에서 생성된다. 이를 위해, 이벤트처리부(117)는 센서부(115)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그 조건을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센서부(115)는 압력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벤트처리부(117)는 위급상황(즉, 전복상황)을 나타내는 센서부(115) 측정값(또는 그 측정값의 변화)를 전개 이벤트 생성조건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미도시)의 경우, (1) 측정값이 제1 기준값 이상(또는 이하)이 되거나, (2) 측정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 되지 않더라도 그 기울기의 변화량이 일정한 패턴으로 급변하는 경우에는 전복 등의 긴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준값 이상(또는 이하)나 그 변화량 패턴 등을 전개 이벤트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압력 센서의 경우는 선박(10)의 일 측에 부착되어 큰 파도 등이 덮칠 때의 압력 또는 그 압력 변화를 기설정된 조건으로 하여 긴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벤트처리부(117)는 센서부(115)의 측정값을 모니터링하면서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계속 판단하고(S303),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전개 이벤트를 생성한다(S305).
<부상장치의 부력모듈이 부력 생성: S307>
S305 단계에서 전개 이벤트가 생성되면, 이벤트처리부(117)는 부상장치(120)의 부력모듈(124)로 하여금 부력을 생성하도록 한다. 도 2의 예처럼, 부력모듈(124)이 에어백(124-1)을 구비한 경우라면, 이벤트처리부(117)는 부상장치전개부(111)로 하여금 에어백(124-1)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부상장치전개부(111)의 가스공급부(111-2)는 에어백(124-1)에 가스를 공급한다. 에어백(124-1)에 일정한 압력의 가스가 공급되면서, 부상장치(120)는 부력을 받게된다.
<잠금장치의 해제에 따른 부상장치의 부상: S309>
에어백(124-1)에 일정한 압력의 가스가 충진되어 부력이 생성되면, 이벤트처리부(117)는 부상장치전개부(111)로 하여금 부상장치(120)를 공중으로 부상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부상장치전개부(111)는 잠금장치(111-1)의 잠금을 해제하여, 부상장치(120)가 공중으로 부상하도록 한다.
이때, 바인딩 케이블(130)이 장치회수부(113)에 의해 얼레(미도시)에 감긴 상태면, 이벤트처리부(117)는 장치회수부(113)가 얼레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도록 제어하여, 바인딩 케이블(130)이 부상장치(120)를 따라 올라가도록 제어한다.
<부상장치의 자세 제어: S311>
긴급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처리되는 것이 아니므로, 부상장치(120)가 공중에서 수행할 모니터링 동작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부상장치(120)가 공중으로 부상하게 되면, 이벤트처리부(117)는 S-제어부(127)의 자세제어부(129)로 하여금 기설정된 모니터링 알고리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자세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자세제어부(129)는 추진모듈(125)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자세 제어를 수행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전개 이벤트 이후에 자세제어부(129)가 이벤트처리부(117)로부터 특정 자세제어 알고리즘을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이벤트처리부(117)가 S-제어부(127)에게 현재 상황이 긴급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임을 전달하면 자세제어부(129)가 해당 긴급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에 대해 기설정된 자세제어 알고리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이벤트처리부(117)가 제공하는 본체(110)의 좌표를 중심점으로 일정한 거리의 원 궤적을 따라 선회하는 자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부상장치(120)가 위치하는 고도에서의 바람에 의해 해당 원 궤적을 벗어나는 경우에, 자세제어부(129)는 추진모듈(125)을 제어하여 원 궤적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모니터링 동작 수행: S313>
S-제어부(127)는 카메라부(121)와 측정부(122)를 제어하여, 긴급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에 대해 기설정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S-제어부(127)는 측정부(122)가 측정한 값과 카메라부(121)가 생성한 이미지를 본체(110)의 M-제어부(116)나 외부 단말기(미도시)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긴급 상황에 따른 전개 이벤트에 따른 전개 이벤트의 생성방법 및 처리 방법이 수행된다.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전개 이벤트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받고 수행하는 것이므로, (1) S303 내지 S305 단계를 대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전개 이벤트를 생성하는 점과, (2) 전개 이후에 S311 및 S313 단계에서 제어명령을 통해 요청된 동작을 수행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한편, 회수 이벤트는 긴급상황이 해제되거나 사용자의 필요가 충족된 경우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있는 경우에 수행된다.
회수 이벤트의 경우에, 이벤트처리부(117)는 장치회수부(113)로 하여금 바인딩 케이블(130)을 얼레에 감아 부상장치(120)를 회수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이벤트처리부(117)는 S-제어부(127)에게 회수 이벤트를 통지함으로써, 추진모듈(125) 및 부력모듈(124)가 부상장치(120) 회수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부상장치(120)를 선박(10)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장치회수부(113)의 회수 동작이 원할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
실시 예에 따라, 부력모듈(124)은 부상장치(120)를 공중에서 활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鳶)(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2의 추진모듈(125)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4)

  1. 선박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하여 공중에 부상하는 부상장치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부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인딩 케이블을 구비한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부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개 이벤트와 회수 이벤트 중 하나를 생성하는 M-제어부;
    상기 전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공중으로 전개시키는 부상장치 전개부; 및
    상기 회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바인딩 케이블을 감아 상기 부상장치를 회수하는 장치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상장치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전개 이벤트에 응답하여 부력을 생성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공중으로 부상시키고, 상기 회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부력을 제거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상기 본체로 귀환시키는 부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모듈은,
    부력을 생성하기 위한 가스를 수용하는 에어백(Air Bag)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상장치전개부는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전에 상기 전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에어 백에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모듈은,
    상기 부상장치를 공중에서 활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장치는,
    공중에서 위치 이동을 위한 추진력을 생성하는 추진모듈; 및
    상기 추진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부상장치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M-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측정값 또는 상기 측정값의 변화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선박의 전복 위험을 판단하여 상기 전개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또는 선박 일측에 설치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M-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선박의 전복 위험을 판단하여 상기 전개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장치는,
    상기 선박의 주변 상황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상기 본체, 상기 선박 또는 외부에 마련된 통신 기기로 제공하는 S-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9.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선박에 고정된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공중으로 부상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부상장치 및 상기 부상장치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바인딩 케이블(Binding Cable)을 포함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마련하고,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상장치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선박의 일 측에 고정하는 단계;
    측정값에 따라 상기 본체의 M-제어부가 전개 이벤트 및 회수 이벤트 중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부상장치전개부가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부상장치의 부력모듈이 부력을 생성하여 상기 부상장치가 공중으로 부상하는 단계;
    상기 바인딩 케이블과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부상장치가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부력모듈이 상기 부상장치의 부력을 제거하고, 상기 본체의 회수장치가 상기 바인딩 케이블을 감아 상기 부상장치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선박의 일측으로 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장치가 공중으로 부상하는 단계는,
    상기 부상장치전개부가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전에 상기 전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부상장치의 에어 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방법.
  12.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상장치의 추진모듈이 공중에서 상기 부상장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추진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상장치의 자세제어부가 상기 추진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부상장치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의 측정값 또는 상기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선박의 전복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선박 일측에 설치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의 측정값 또는 그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선박의 전복 위험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017072A 2016-02-15 2016-02-15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10182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72A KR101825990B1 (ko) 2016-02-15 2016-02-15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72A KR101825990B1 (ko) 2016-02-15 2016-02-15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44A KR20170095544A (ko) 2017-08-23
KR101825990B1 true KR101825990B1 (ko) 2018-02-08

Family

ID=5975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72A KR101825990B1 (ko) 2016-02-15 2016-02-15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28B1 (ko) 2018-05-24 2018-09-12 (주)해양정보기술 선박용 영상처리 모니터의 수평 유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111B1 (ko) * 2018-01-31 2020-04-13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고공 촬영 장치
JP6644247B1 (ja) * 2018-07-20 2020-02-12 株式会社エアロネクスト 飛行体
KR102100637B1 (ko) * 2019-12-19 2020-04-14 주식회사 아소아 릴 구동 제어장치가 구비된 어라운드 뷰 장치
KR102640790B1 (ko) * 2021-12-28 2024-02-28 (주)한컴인스페이스 상대적인 풍속 보정 기능을 갖는 유선 드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31B1 (ko) * 2012-06-21 2013-04-08 이정훈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31B1 (ko) * 2012-06-21 2013-04-08 이정훈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28B1 (ko) 2018-05-24 2018-09-12 (주)해양정보기술 선박용 영상처리 모니터의 수평 유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44A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990B1 (ko)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JP6337253B2 (ja) 水中探査システム
KR101911756B1 (ko) 해상 부이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DK201900074U1 (da) Systemer og fremgangsmåder til stabilitet ved ophængt last
KR101888930B1 (ko) 드론 모바일스테이션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043035A (ko) 수중, 수면 및 수상 복합 검사 시스템
KR20150071472A (ko) 무인 수상 구조 로봇과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및 방법
US8654189B1 (en) Anchor surveillance for maritime vessels
CA2904109A1 (fr)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JP2017217942A (ja) 無人機システム、無人機、係留装置
CN111422350A (zh) 多无人机汽车系统及其使用方法
KR20150136229A (ko)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CN111953937A (zh) 落水人员救生系统及落水人员救生方法
KR20170031896A (ko) 비행체를 이용한 선박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JP5884978B2 (ja) 水中航走体の揚収装置及び揚収方法
KR20180033024A (ko) 조난 사고 감지용 드론 시스템
CN107390293A (zh) 一种用于浅水岛礁区的海洋探测系统和控制方法
JP2018095051A (ja) 無人航空機
KR101653754B1 (ko)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692497B2 (en) Tethered airborne device
WO2016059953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0120593A (ja) 地すべり検出装置の設置装置、及び地すべり検出装置の設置方法
KR20170004560A (ko) 비행체를 이용한 선박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JP6393157B2 (ja) 宇宙機の探索回収システム
KR20220108837A (ko) 한손 조종용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드론 충전 스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