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54B1 -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754B1
KR101653754B1 KR1020150174476A KR20150174476A KR101653754B1 KR 101653754 B1 KR101653754 B1 KR 101653754B1 KR 1020150174476 A KR1020150174476 A KR 1020150174476A KR 20150174476 A KR20150174476 A KR 20150174476A KR 101653754 B1 KR101653754 B1 KR 10165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unit
information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혁
안장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해양기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해양기상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해양기상기술
Priority to KR102015017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1Air-sea rescue devices, i.e. equipment carried by, and capable of being dropped from, an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2Annular or U-shaped life-buoys intended to be thrown to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B64C2201/1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가,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위험 지역 중,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무인 항공 장치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을 판단하여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에 도달한 후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PROVIDING MARITIME SAFETY SERVICE BY USING INFORMATION ON DANGER AREA}
본 발명은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가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위험 지역으로 무인 항공 장치를 이동시키고, 무인 항공 장치를 통해 위험 지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인명구조 유닛을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해안에서 휴가를 즐기는 사람이 갯골에 빠지거나 갯바위, 갯벌 등에서 조난되는 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구조 활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드론 등의 무인 항공 장치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이 구조 활동에 사용되고 있으며, 무인 항공 장치에 구조 장비를 설치하여 조난자에게 구조 장비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도 구조 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 구조에 포커싱을 둔 기술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며, 기존의 무인 항공 장치에 설치되는 구조 장비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어, 다수의 사람이 위험할 경우 모든 사람에게 구조 장비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해양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사람에게 위험이 발생한 것을 파악한 후 사람이 위치한 곳으로 다수의 구조 장비가 설치된 무인 항공 장치를 보내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난된 사람의 특징 또는 조난된 사람수에 따라 무인 항공 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구조 장비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이 해양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기 전 또는 해양 위험 지역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진입하였을 때 사람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위험을 알림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가,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위험 지역 중,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무인 항공 장치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을 판단하여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에 도달한 후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i) 상기 복수의 위험 지역 중,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무인 항공 장치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을 판단하여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ii)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에 도달한 후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난된 사람의 특징 또는 조난된 사람수에 따라 무인 항공 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구조 장비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 해양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기 전 또는 해양 위험 지역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진입하였을 때 사람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위험을 알림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 장치에 설치된 인명구조 유닛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의 위험 지역을 나타내는 위험 지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항공 장치를 이용하여 조난자에게 인명구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및 무인 항공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프로세서(미도시)와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서버(200)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어 있는 통화 가능한 단말 또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착용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방수, 방진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는 GPS 등의 위치센서 (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은, 위치센서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의 현재 위치가 서버(200)에 의해 파악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는 SOS 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은, SOS 버튼을 눌러 직접 구조 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유닛(미도시)을 통해 구조 신호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사람이 구조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에는 알람 유닛(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으며, 알람 유닛은,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이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되어 있는 통신 가능한 단말 또는 서버(200)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소리, 진동, 온도 등의 알람을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위험 지역이란, 갯골이나 갯바위 등 사람에게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지역 또는 밀물이 들어오는 지역을 의미하며, 알람 유닛은,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이 위험 지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한 위험 알람 신호를 사용자 단말(100)이 획득했을 때 작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위험 지역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통해 더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알람 유닛은, 서버(200)로부터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위험 상황이란, 밀물 또는 썰물이 발생하거나 발생 예정인 시간에 위험 지역(밀물 또는 썰물이 발생하는 위험 지역임) 근처 또는 위험 지역 내에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이 있거나, 폭풍해일, 지진해일(쓰나미) 등의 장주기파랑이나, 낙뢰 등이 발생하거나 발생 예정인 위험 지역 근처 또는 위험 지역 내에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이 있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가령, 쓰나미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닷가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쓰나미 발생 예정 지역에 들어와 있어 대피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위험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알람 유닛으로 알람을 울리게 함으로써 단말을 소지한 사람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1에서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로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위험 지역 중,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35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무인 항공 장치(300)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을 판단하여 무인 항공 장치(300)가 특정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무인 항공 장치(300)가 특정 위험 지역에 도달한 후 인명구조 유닛(350) 중 적어도 하나를 무인 항공 장치(300)로부터 분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인명구조 유닛(350)이란, 사람을 구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장비를 뜻하며, 튜브, 구명 보트, 구명 조끼 등을 인명구조 유닛(350)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도 3a 내지 도 3b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도 2를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 장치(300)는, 특정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에 대한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특정 위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설치된 인명구조 유닛(350)을 분리하여 구조를 요청한 사람에게 인명구조 유닛(350)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 장치(3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도 3을 통해 뒤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관제 센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0),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0),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부(230)가 전부 서버(200)에 물리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서버(200)와 연동하는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0),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부(23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0)는,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는 위험 지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통신부(220)를 통해 획득되면, 프로세서부(23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0)로부터 획득한 위험 지역에 대응되어 있는 좌표 범위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위험 지역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이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20)는, 무인 항공 장치(300)가 구조가 필요한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무인 항공 장치(300)가 구조가 필요한 위험 지역에 도달한 후 인명구조 유닛(350) 중 적어도 하나를 무인 항공 장치(300)로부터 분리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통신부(220)는, 도 3의 무인 항공 장치(300)의 검출 모듈(340)을 통해 위험 영역에서 사람이 검출(가령, 영상 센서 등을 이용하여 검출)되거나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무인 항공 장치(300)가 인명구조 유닛(350)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은 사용자 단말(100)의 SOS 버튼을 눌러 구조 신호를 무인 항공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 장치(300)는,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바로 인명구조 유닛(350)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230)는, 복수의 위험 지역 중, 무인 항공 장치(300)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을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서버(200)는, 통신부(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0)에 저장된 복수의 위험 지역의 위치 정보와 비교할 수 있으며, 복수의 위험 지역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험 지역을 무인 항공 장치(300)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고, 통신부(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구조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험 지역을 무인 항공 장치(300)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구조 신호는, 특정 위험 지역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 발생되거나, 사람이 특정 위험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자동적으로 발생되거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는 다른 단말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는 다른 단말로부터 구조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의 가족의 통신 단말과 사용자 단말(100)이 연동되어 있을 때,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의 가족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지점의 근처에 있는 위험 지역을 나타내는 위험 지도를 앱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이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거나 위험 지역 안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 단말(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어 있는 다른 단말임)을 통해 구조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며, 사용자 단말(100)이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의 가족은,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과 통화가 되지 않을 때 상기 통신 단말을 통해 구조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0)를 통해 획득한 위험 지역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이 위험 지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알람 유닛이 작동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람이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에 관하여는 도 4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세서부(230)는, 무인 항공 장치(300)의 검출 모듈(340)을 통해 획득되는 검출된 사람의 수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인명구조 유닛(350)의 분리 개수를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프로세서부(230)는, 무인 항공 장치(300)의 검출 모듈(340)을 통해 특정 위험 지역에 존재하는 사람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객체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람의 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인원수만큼 인명구조 유닛(350)이 분리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부(230)는,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350) 중 적어도 일부의 사이즈는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인 항공 장치(300)의 검출 모듈(340)을 통해 획득되는 검출된 사람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인명구조 유닛(350) 중 분리될 유닛의 사이즈를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프로세서부(230)는, 검출 모듈(340)을 통해 획득되는 특정 위험 지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이미지 정보를 대상으로 객체 검출 및 식별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위험에 처한 사람이 어린 여자아이인 것으로 판단되면, 어린이 사이즈의 튜브가 분리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사람을 검출함에 있어서, 이미지의 전경 및 배경의 특성을 참조로 하여 위험도 산출에 있어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가령, 검출된 사람이 바다의 파란색 배경 속에 포함되어 있다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로서, 바다의 파란색 배경 내에 배(ship)의 형태의 객체가 있는 것으로 검출되고 배의 안에 사람이 검출된다면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기준은 현재의 기상 상태를 추가로 참조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현재의 기상 상태에 따라 위험 지도의 정보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현재의 풍랑이 기설정된 수치 이하이면 배 안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검출될 경우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취급할 수 있지만, 현재의 풍랑이 기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면 배 안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검출된다고 하더라도 위험도를 높은 것으로 취급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부(230)는, 특정 위험 지역의 기상 정보를 참조하여 인명구조 유닛(350)에 대한 분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의 무인 항공 장치(300)의 위치가 계산되면, 무인 항공 장치(300)를 계산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인명구조 유닛(350)을 분리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튜브같이 바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인명구조 유닛(350)이 구조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인명구조 유닛(350)에 대한 분리가 이루어 지는 시점의 무인 항공 장치(300)의 위치는, 기상 정보 중 풍향, 풍속, 날씨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되는 인명구조 유닛(350)이 떨어지는 방향을 참조하여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 장치(300)에 설치된 인명구조 유닛(350)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 장치(300)는 프로펠러 유닛(310), 구동 유닛(320), 하우징(330), 검출 모듈(340), 인명구조 유닛(350) 및 연결 유닛(350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 3에 도시한 쿼터드론처럼 인명 구조 유닛을 이송할 수 있고 통신 기능이 구비된 무인 항공 장치(300)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무인 항공 장치(300)는 프로세서 유닛(미도시)와 통신 유닛(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 장치(300)는, 특정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에 대한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200)에 의해 특정 위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무인 항공 장치(300)는 위험 지역 정찰을 위해 소정의 위험 지역으로 서버(200)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무인 항공 장치(300)는, 검출 모듈(340)을 통해 위험 지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특정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 유닛(미도시)가 인명구조 유닛(350)을 분리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200)의 프로세서부(230) 또는 무인 항공 장치(300)의 프로세서 유닛(미도시)은, 검출 모듈(340)을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정보를 참조하여 위험 지역 내의 사람을 검출할 수 있을 것이며, 위험 영역 내의 사람이 검출되는 경우, 무인 항공 장치(300)는, 인명구조 유닛(350)을 분리하여 사람에게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조 신호는, 특정 위험 지역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의 버튼을 눌러 발생될 수도 있으며, 무인 항공 장치(300)는, 통신 유닛(미도시)을 통해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바로 인명구조 유닛(350)을 분리하여 구조를 요청한 사람에게 빠르게 인명구조 유닛(350)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 장치(300)에는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350)이 복수의 연결 유닛(350a)을 통해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350) 각각은 내부에 기체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 포함되어 있는 수축된 상태로 무인 항공 장치(3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에는, 수축된 상태의 복수의 튜브가 연결 유닛(350a)을 통해 무인 항공 장치(3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 유닛(350)의 내부에는 소정의 기체로 채워진 소형 탱크(도 3b 참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3b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무인 항공 장치(300)로부터 인명구조 유닛(350)이 분리되면, 소형 탱크의 팽창 유닛이 작동하여 소정의 기체가 상기 분리된 인명구조 유닛(350) 내부로 급속히 퍼져 분리된 인명구조 유닛(350)을 팽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가령, 팽창 유닛과 연결 유닛(350a)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가 인명구조 유닛(350)이 무인 항공 장치(300)로부터 분리될 때 팽창 유닛과 연결 유닛(350a)이 분리되면, 팽창 유닛이 작동하여 인명 구조 유닛이 팽창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명구조 유닛(350)이 튜브인 경우, 튜브가 분리된 후 튜브의 내부가 팽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무인 항공 장치(300)는, 다른 튜브를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서버(200)의 프로세서부(230) 또는 무인 항공 장치(300)의 프로세서 유닛(미도시)은, 튜브에 설치된 기체 센서를 통해 소형 탱크(미도시) 안의 기체가 튜브 내부로 퍼졌는지를 확인하거나, 검출 모듈(340)을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정보를 참조하여 튜브가 팽창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무인 항공 장치(300)의 프로세서 유닛(미도시)은, 검출 모듈(340)에 의해 획득되는 검출된 사람의 수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인명구조 유닛(350)의 분리 개수를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350) 중 적어도 일부는 사이즈가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출 모듈(340)에 의해 획득되는 검출된 사람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인명구조 유닛(350) 중 분리될 유닛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의 위험 지역을 나타내는 위험 지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해안의 복수의 위험 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복수의 위험 지역 중 하나의 위험 지역을 확대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와 같은 위험 지역은 시간(즉, 현재의 기상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복수의 위험 지역 중, 무인 항공 장치(300)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을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구조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험 지역으로 무인 항공 장치(300)를 파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위험 지역으로부터의 거리 범위에 따라 다르게 구조 활동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이 위험 지역의 반경 700m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100)로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알람 유닛이 작동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에게 위험 지역으로 진입했다는 것을 알릴 수도 있고, 사람이 위험 지역의 반경 200m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조 신호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한 후 무인 항공 장치(300)를 파견할 수도 있으며, 사람이 위험 지역의 반경 50m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조 신호 발생 여부에 상관없이 무인 항공 장치(300)를 해당 위험 지역으로 바로 파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위험 지역으로부터의 거리 범위에 따라 위험도의 수치를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은 위험도를 결정하는 팩터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미지 프로세싱 결과 사람의 위치가 바다의 위치와 비교하여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결과, 현재의 기상 상태 등과 더불어 위험 지역으로부터의 거리 범위 등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항공 장치(300)를 이용하여 조난자에게 인명구조 유닛(350)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 장치(300)에는 각각 다른 사이즈를 갖는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35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무인 항공 장치(300)는 구조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성별 또는 나이에 따라 해당되는 사이즈의 인명구조 유닛(350)을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복수의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 무인 항공 장치(300)는, 복수의 사람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튜브를 사람에게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서버
300: 무인 항공 장치

Claims (34)

  1.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가,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위험 지역 중,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무인 항공 장치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을 판단하여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에 도달한 후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 각각은 내부에 기체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 포함되어 있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무인 항공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명구조 유닛의 내부에는 소정의 기체로 채워진 소형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상기 인명구조 유닛이 분리되면, 상기 소형 탱크의 팽창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소정의 기체가 상기 분리된 인명구조 유닛 내부로 퍼져 상기 분리된 인명구조 유닛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위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 내에 있거나 상기 복수의 위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 근처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한 단말로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람에게 상기 위험 상황을 알리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밀물, 썰물, 쓰나미, 장주기 파랑, 낙뢰 등의 위험 상황에 대한 알람을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무인 항공 장치의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특정 위험 영역에서 사람이 검출되거나 상기 특정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인 항공 장치는,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 장치는,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검출된 사람의 수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인명구조 유닛의 분리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사이즈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인 항공 장치는,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검출된 사람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분리될 유닛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 장치는,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사람을 검출함에 있어, 상기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되는 특정 위험 지역 이미지에 나타난 전경 및 배경의 특성을 참조하여 상기 사람이 위험한 정도를 나타내는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위험도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험 지역 이미지에 나타난 전경 및 배경의 특성 정보에다가 기상 상태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험 지역 이미지에 나타난 전경 및 배경의 특성 정보, 상기 기상 상태 정보에다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으로부터의 거리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 유닛이 튜브인 경우, 상기 튜브가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튜브의 내부가 팽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다른 튜브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특정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에 대한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 하여금 상기 특정 위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신호는, 상기 사람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 발생되거나, 상기 사람이 상기 특정 위험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자동적으로 발생되거나, 상기 단말과 연동되는 다른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험 지역의 기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인명구조 유닛에 대한 분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의 상기 무인 항공 장치의 위치가 계산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무인 항공 장치를 상기 계산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인명구조 유닛을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 유닛에 대한 분리가 이루어 지는 시점의 상기 무인 항공 장치의 위치는, 상기 기상 정보 중 풍향, 풍속, 날씨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되는 상기 인명구조 유닛이 떨어지는 방향을 참조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i) 상기 복수의 위험 지역 중,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무인 항공 장치가 파견될 특정 위험 지역을 판단하여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ii)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에 도달한 후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 각각은 내부에 기체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 포함되어 있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무인 항공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명구조 유닛의 내부에는 소정의 기체로 채워진 소형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상기 인명구조 유닛이 분리되면, 상기 소형 탱크의 팽창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소정의 기체가 상기 분리된 인명구조 유닛 내부로 퍼져 상기 분리된 인명구조 유닛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위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 내에 있거나 상기 복수의 위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 근처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한 단말로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람에게 상기 위험 상황을 알리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밀물, 썰물, 쓰나미, 장주기 파랑, 낙뢰 등의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람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1. 삭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 장치의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특정 위험 영역에서 사람이 검출되거나 상기 특정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이 소지한 단말로부터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검출된 사람의 수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인명구조 유닛의 분리 개수를 결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사이즈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검출된 사람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분리될 유닛의 사이즈를 결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사람을 검출함에 있어, 상기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되는 특정 위험 지역 이미지에 나타난 전경 및 배경의 특성을 참조하여 상기 사람이 위험한 정도를 나타내는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위험도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명구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험 지역 이미지에 나타난 전경 및 배경의 특성 정보에다가 기상 상태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험 지역 이미지에 나타난 전경 및 배경의 특성 정보, 상기 기상 상태 정보에다가 상기 특정 위험 지역으로부터의 거리 정보를 추가로 참조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삭제
  29. 삭제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 유닛이 튜브인 경우, 상기 튜브가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튜브의 내부가 팽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인 항공 장치가, 다른 튜브를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험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에 대한 구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무인 항공 장치로 하여금 상기 특정 위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신호는, 상기 사람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 발생되거나, 상기 사람이 상기 특정 위험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자동적으로 발생되거나, 상기 단말과 연동되는 다른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험 지역의 기상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인명구조 유닛에 대한 분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의 상기 무인 항공 장치의 위치가 계산되면, 상기 무인 항공 장치를 상기 계산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인명구조 유닛을 분리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 유닛에 대한 분리가 이루어 지는 시점의 상기 무인 항공 장치의 위치는, 상기 기상 정보 중 풍향, 풍속, 날씨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되는 상기 인명구조 유닛이 떨어지는 방향을 참조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50174476A 2015-12-08 2015-12-08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5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476A KR101653754B1 (ko) 2015-12-08 2015-12-08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476A KR101653754B1 (ko) 2015-12-08 2015-12-08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754B1 true KR101653754B1 (ko) 2016-09-02

Family

ID=5694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476A KR101653754B1 (ko) 2015-12-08 2015-12-08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7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73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아세스 드론을 이용한 인명 구조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069649A (ko) * 2017-12-06 2019-06-20 주식회사 아세스 수상 레저 안전성 예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105095A (ko) * 2020-02-18 2021-08-2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이퍼브
KR102527923B1 (ko) 2022-10-24 2023-05-02 옥해안 해수욕장 위험성 평가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73B1 (ko) * 2013-04-02 2013-09-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보앱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및 경보앱을 이용한 위험경보방법
KR101373038B1 (ko) * 2012-12-27 2014-03-11 김영진 수상인명구조를 위한 에어백과 에어백 낙하장치를 갖춘 공중부양 비행로봇
KR200474119Y1 (ko) * 2014-05-02 2014-09-19 안정철 익수자 구조용 무인비행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38B1 (ko) * 2012-12-27 2014-03-11 김영진 수상인명구조를 위한 에어백과 에어백 낙하장치를 갖춘 공중부양 비행로봇
KR101305073B1 (ko) * 2013-04-02 2013-09-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보앱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및 경보앱을 이용한 위험경보방법
KR200474119Y1 (ko) * 2014-05-02 2014-09-19 안정철 익수자 구조용 무인비행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73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아세스 드론을 이용한 인명 구조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069649A (ko) * 2017-12-06 2019-06-20 주식회사 아세스 수상 레저 안전성 예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67875B1 (ko) * 2017-12-06 2020-01-20 주식회사 아세스 드론을 이용한 인명 구조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62065B1 (ko) * 2017-12-06 2020-10-14 주식회사 아세스 수상 레저 안전성 예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105095A (ko) * 2020-02-18 2021-08-2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이퍼브
KR102338081B1 (ko) * 2020-02-18 2021-12-09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이퍼브
KR102527923B1 (ko) 2022-10-24 2023-05-02 옥해안 해수욕장 위험성 평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54B1 (ko)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90122529A1 (en) Independent and automatic incident alert device, system & method
CN111953937B (zh) 落水人员救生系统及落水人员救生方法
KR101804129B1 (ko) 안전 부표
KR101641787B1 (ko) IoT 지능형 선박의 안전 항해 및 재난 대응 플랫폼 및 방법
CN102956089B (zh) 一种搜救终端和基于该搜救终端的水上搜救方法
US11830337B2 (en) Signal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and surveilance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KR102098778B1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00106278A (ko) 해상 조난자 위치 발신 장치 및 수색용 드론 운용 시스템
US10093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KR20150136229A (ko)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80042655A (ko) 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KR20190125588A (ko) 열화상 카메라와 줌 카메라가 장착된 해상 조난자 수색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조난자 수색 시스템
KR20140115684A (ko) 선박용 융합형 선박위치 자동 발신시스템
KR101462100B1 (ko) 해저용 위치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위치확인시스템
KR101882417B1 (ko) 선박의 음성 경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00637A (ko) 단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재난상황 관제시스템
KR20160104498A (ko) Gps장착 구명조끼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해난방지 안전 시스템
KR102192784B1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633185B1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2407829B1 (ko) 탈부착 가능한 조난 대비용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N115973373B (zh) 一种海上遇险的应急救援方法及设备
CN109935051A (zh) 一种防溺水救助系统
KR101825842B1 (ko) 위급 상황 알림 장치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44296A (ko) 해상조난감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