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952B1 -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 Google Patents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952B1
KR101186952B1 KR1020110131453A KR20110131453A KR101186952B1 KR 101186952 B1 KR101186952 B1 KR 101186952B1 KR 1020110131453 A KR1020110131453 A KR 1020110131453A KR 20110131453 A KR20110131453 A KR 20110131453A KR 101186952 B1 KR101186952 B1 KR 10118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ship
vess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덕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엔아이
(주)텔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엔아이, (주)텔미전자 filed Critical (주)아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1013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연안 또는 내륙 운하를 통과하는 선박에 운항장치(100)를 설치하며, 상기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여 모든 선박을 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상교통관제시스템(Vessel Traffic Service ; VTS, 200)을 포함하며,
상기 운항장치에서 수신된 항해 선박 리스트를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선박 리스트는 카메라가 인식한 선박 숫자와 비교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AIS정보가 없는 항해선박을 카메라가 자동 줌 인하여 관제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박의 정보매체인 AIS를 장착하지 않은 선박은 일목요연하게 관제 및 통제 가능하도록 카메라가 해당 항로에 항해하는 선박을 객체 인식하여 선박의 운항중인 숫자를 자동 표시해주며, 해당 항로에 운항중인 선박 중 자동 항로 인식 송출 시스템인 AIS를 장착하지 않은 선박들을 자동으로 선박 객체를 인식하여 별도의 미확인 선박 아이디를 그 선박의 영상에 태그 하여 관제사가 미확인 선박을 별도 관리 가능하도록 해주는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VESSEL NAVIGATIO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제사들은 선박으로부터 수신된 AIS의 데이터에 따라 입출항하는 선박을 통제하고 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수신되는 AIS 데이터의 오류에 의해 선박의 통제가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오류를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영상객체인식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오류시 문제가 되는 지역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송신함으로서 관제사들은 AIS데이터 에러에도 적절한 긴급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해상에서 선박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선박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는 선박의 위치, 침로, 속력 등 항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선박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에서 장착을 권고하고 있는 장치이다.
하지만 선박자동식별장치는 선박의 운항 정보를 선박 자체가 주위에 일방향(one-way)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이를 수신한 선박에서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해상에서 운항 중인 선박을 관제하기 위한 양방향(two-way) 정보로 활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선박자동식별장치에서 발신하는 전파의 도달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관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거리마다 기지국을 세워야 하는데 공해상에서 선박자동식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기지국을 세우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선박자동식별장치는 운항 중인 선박을 관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주위에서 운항중인 선박을 탐지하고 충돌로부터 회피하도록 하는 목적 또는 국토 방위를 위한 목적으로 경비함 등에서 주변 선박을 정확히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선박자동식별장치는 입출항하는 선박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선박항로 관제사들이 운영하는 과정에서 몇몇 종류의 조건으로부터 에러가 발생하여 선박 관제사가 혼란에 빠져 지금의 VTS 관제시스템으로 상황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능형 CCTV 영상객체인식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관제사가 알 수 없는 AIS데이터 에러에 적절한 긴급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선박의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014628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VTS 항로표시기에 운항중인 선박이 서로 교차하거나 접근되어 선박 상호간 거리가 일정거리로 접근되는 경우 카메라가 자동 인식하여 해당 선박들을 줌인하여 운항 흐름을 관제사가 선명히 확인될 수 있도록 하고,
선박의 형상을 유형별로 분류한 데이터 베이스를 실장한 시스템은 연안항구의 선박들의 형상이 모여서 혼잡스런 항해 상태가 되면 선박 객체를 자동으로 카운트하여 선박의 인식 숫자가 많은 항로로 카메라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선박 크기를 식별하는데 충분한 상태로 줌인하여 관제사가 선박 감시하기 좋도록 해주는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IS에서 수신된 항해 선박 리스트를 VTS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선박 리스트는 카메라가 인식한 선박 숫자와 비교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AIS정보가 없는 항해선박을 카메라가 자동 줌 인하여 관제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박의 정보매체인 AIS를 장착하지 않은 선박은 일목요연하게 관제 및 통제 가능하도록 카메라가 해당 항로에 항해하는 선박을 객체 인식하여 선박의 운항중인 숫자를 자동 표시해주며, 해당 항로에 운항중인 선박 중 자동 항로 인식 송출 시스템인 AIS를 장착하지 않은 선박들을 자동으로 선박 객체를 인식하여 별도의 미확인 선박 아이디를 그 선박의 영상에 태그 하여 관제사가 미확인 선박을 별도 관리 가능하도록 해주는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안 또는 내륙 운하를 통과하는 선박에 운항장치(100)를 설치하며, 상기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여 모든 선박을 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상교통관제시스템(Vessel Traffic Service ; VTS, 200)을 포함하는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200)은 다수의 선박에 설치된 각각의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제서버(210)와, 상기 관제서버(210)로부터 이상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카메라를 통제하여 이상신호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서버(220)와, 상시에는 고정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영상서버(220)로부터 수신된 통제신호에 따라 선택된 위치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영상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제서버(210)는 선박이 정박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항로를 기준으로 주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지역정보 저장부(211)와, 상기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관제 정보를 수집하는 AIS정보 수집부(212)와, 상기 지역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된 항로와 AIS정보 수집부(212)를 통해 수집된 관제 정보를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류인식부(213)와, 상기 오류인식부(213)에의해 AIS정보가 오류였음을 판단되게 하면 관제사에게 경고음을 발생하여 신속한 대인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음발생부(214)와, 상기 AIS정보 수집부(212)를 통해 수집된 관제 정보를 해석하여 관제사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화면으로 출력하는 관제 정보 출력부(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오류인식부(213)는 상기 AIS정보 수집부(212)에서 수신되는 관제정보와 상기 지역저장부(211)에 저장된 지역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오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오류인식부(213)에서 인지하는 오류현상은 스와핑현상, 선박lost형상, AIS미장착선박, 본선과 예인선 AIS값 혼란현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영상서버(220)는 해안이나 섬등에 분포되어 설치된 카메라부(230)를 위치를 인식하며 설치된 카메라의 고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인식부(221)와, 상기 카메라부(230)를 통해 수신된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선박의 이름 및 크기 등을 인식하여 수집하는 선박인식부(222)와, 상기 선박인식부(222)를 통해 수신된 선박과 상기 관제서버(210)의 AIS정보 수집부(212)로 부터 수신된 선박을 매칭시키는 선박매칭부(223)과, 상기 관제서버(210)의 오류인식부(213)를 통해 수신된 오류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부(230)가 촬영하고자 하는 선박 및 촬영위치, 촬영각도, 줌인 또는 줌아웃 등이 자동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컨트롤부(224)와, 상기 카메라부(23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출력부(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부(230)는 상기 영상서버(220)의 통제하에 특정 선박의 위치를 찾아내어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카메라 트래킹 각도인 360도를 65550으로 미세 분할하고, 분할된 값을 위,경도값으로 변환함으로서 카메라 영상을 이동하여 선박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항장치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와 영상서버의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복잡한 해안 인접 지형과 산악 지형을 통과하는 연안 또는 내륙 운하에서의 선박 관제의 어려움과 비효율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선박 관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AIS에서 수신된 항해 선박 리스트를 VTS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선박 리스트는 카메라가 인식한 선박 숫자와 비교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AIS정보가 없는 항해선박을 카메라가 자동 줌 인하여 관제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의 선박에 탑재되는 운항 장치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의 해상교통관제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관제서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서버의 관제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영상서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카메라부를 통해 선택된 선박을 줌인한 화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관제시스템에서 인지된 오류현상에 대한 화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안 또는 내륙 운하를 통과하는 선박에 운항장치(100)를 설치하며, 상기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여 모든 선박을 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상교통관제시스템(Vessel Traffic Service ; VTS, 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박에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위성(300)을 통해 상기 해상교통관제시스템(Vessel Traffic Service ; VTS, 200)에 정보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운항 장치(100)는 GPS 위성(300)으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와 각종 운항 정보를 결합한 관제 정보를 생성하여 응답(송출)하며, 해상교통관제시스템(Vessel Traffic Service ; VTS, 200)은 운항 장치(100)로부터 송출된 관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관제 정보를 해석하여 관제 현시를 위해 선박 호출 부호(call sign), 위치 정보, 선급, 속도, 운항 방향 등을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을 기반으로 연안 또는 내륙 운하에서의 선박 관제가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의 선박에 탑재되는 운항 장치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운항 장치(100)는 관제 장치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관제 정보의 질의를 수신 및 이에 응답하는 관제 정보 응답기(110)와, 관제 정보 응답기(110)에 의한 응답을 위해 선박의 관제 정보를 생성하는 관제 정보 생성기(120)를 포함한다.
관제 정보 응답기(110)는 송수신부(111) 및 트랜스폰더(transponder)(113)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11)는 관제 장치(200)로부터 관제 정보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트랜스폰더(113)를 통해 관제 정보 생성기(120)에게 전달하며, 관제 정보 생성기(120)에 의해 생성된 관제 정보가 트랜스폰더(113)를 통해 전달되면 관제 정보에 대한 질의에 응답하기 위해 트랜스폰더(113)로부터 전달받은 관제 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트랜스폰더(113)는 송수신부(111)를 통해 수신되는 관제 정보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관제 정보 생성기(120)에게 전달하며, 관제 정보 생성기(120)에 의해 생성된 관제 정보가 전달되면 신호 증폭하여 송수신부(111)를 통해 송출한다.
관제 정보 생성기(120)는 입력부(121), 위치 정보 수신부(123), 관제 정보 생성부(125), 선박 정보 저장부(127) 및 화면출력부(129)를 포함한다.
선박 관제를 위해서 할당받은 고유 식별 코드가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되며, 위치 정보 수신부(123)는 선박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위치 좌표 값(예로서, GPS 좌표 값)을 생성하고, 선박 정보 저장부(127)에는 선박 관제 정보에 포함될 호출부호, 운항 경로, 속도 등의 각종 선박 정보가 저장되며, 관제 정보 생성부(125)는 입력부(121)를 통해 받은 고유 식별 코드와 위치 정보 수신부(123)에 의해 생성된 위치 좌표값 및 선박 정보 저장부(127)로부터 추출한 선박 정보들을 포함하는 관제 정보를 생성한다. 관제 정보 생성부(125)에 의해 생성된 관제 정보를 관제 정보 응답기(110)를 통해 송출됨과 아울러 화면출력부(129)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어 선박 운항사가 관제 정보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관제 정보 응답기(110)에 의한 관제 정보의 송출에 사용하는 전송 프로토콜은 도달거리 등을 고려할 때 초단파(Very High Frequency; VH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의 해상교통관제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관제서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서버의 관제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영상서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선박에 설치된 각각의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제서버(210)와, 상기 관제서버(210)로부터 이상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카메라를 통제하여 이상신호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서버(220)와, 상시에는 고정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영상서버(220)로부터 수신된 통제신호에 따라 선택된 위치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영상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관제서버(210)는 선박이 정박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항로를 기준으로 주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지역정보 저장부(211)와, 상기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관제 정보를 수집하는 AIS정보 수집부(212)와, 상기 지역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된 항로와 AIS정보 수집부(212)를 통해 수집된 관제 정보를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류인식부(213)와, 상기 오류인식부(213)에의해 AIS정보가 오류였음을 판단되게 하면 관제사에게 경고음을 발생하여 신속한 대인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음발생부(214)와, 상기 AIS정보 수집부(212)를 통해 수집된 관제 정보를 해석하여 관제사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화면으로 출력하는 관제 정보 출력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지역저장부(211)는 연안이나 해당 등의 주변 지역의 지형과 항로 등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이는 정확한 항로와 항구 위치 및 위험지역 등을 상기 운항장치(100)에 송신하여 선박의 항해사로 하여금 선수의 방향 및 속도 등을 조절하여 안전하게 항구에 정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IS정보 수집부(212)는 상기 운항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선박의 위치(경도 및 위도)와 선수 방향 및 속도 등의 관제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이는 데이터화하여 후술되는 상기 오류인식부(213)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류인식부(213)는 상기 AIS정보 수집부(212)에서 수신되는 관제정보와 상기 지역저장부(211)에 저장된 지역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오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오류인식부(213)에서 인지하는 오류현상은 스와핑현상, 선박lost형상, AIS미장착선박, 본선과 예인선 AIS값 혼란현상 등이 있다.
상기 경고음발생부(214)는 상기 오류인식부(213)에서 감지된 오류에 따라 관제사로 하여금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제 정보 출력부(215)는 상기 지역저장부(211)와 AIS정보 수집부(212)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제사로 하여금 영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항해 중은 선박의 위치를 AIS데이터에 따라 점과 같은 형상으로 표시하게 되며, 특정 선박을 클릭함으로서 선박의 이름, 선박의 타입, 크기, 및 위치 등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서버(220)는 해안이나 섬등에 분포되어 설치된 카메라부(230)를 위치를 인식하며 설치된 카메라의 고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인식부(221)와, 상기 카메라부(230)를 통해 수신된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선박의 이름 및 크기 등을 인식하여 수집하는 선박인식부(222)와, 상기 선박인식부(222)를 통해 수신된 선박과 상기 관제서버(210)의 AIS정보 수집부(212)로 부터 수신된 선박을 매칭시키는 선박매칭부(223)과, 상기 관제서버(210)의 오류인식부(213)를 통해 수신된 오류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부(230)가 촬영하고자 하는 선박 및 촬영위치, 촬영각도, 줌인 또는 줌아웃 등이 자동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컨트롤부(224)와, 상기 카메라부(23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출력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인식부(221)는 해안이나 섬등에 분포되어 있는 카메라부(230)를 를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통해 카메라의 고정여부를 관제사로 하여금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박인식부(222)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촬영된 운항중인 선박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선박에 표시된 국적, 이름, 크기 등을 가늠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박매칭부(223)는 상기 선박인식부(222)를 통해 데이터화된 정보와 상기 상기 관제서버(210)의 AIS정보 수집부(212)부터 수집된 관제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관제서버(210)를 통해 수집된 선박과 실질적으로 촬영된 선박이 동일한 선박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동일하게 매칭된 선박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관제서버(210)의 경고음발생부(214)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이상신호로 감지된 선박을 줌인하여 영상출력부(225)를 통해 관제사로 하여금 육안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컨트롤부(224)는 상기 관제서버(210)의 오류인식부(213)를 통해 수신된 오류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부(230)가 촬영하고자 하는 선박 및 촬영위치, 촬영각도, 줌인 또는 줌아웃 등이 자동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출력부(225)는 상기 카메라부(23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부(230)는 상기 영상서버(220)의 통제하에 특정 선박의 위치를 찾아내어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평시에는 한곳에 고정되어 실시간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영상서버(220)로부터 위치추적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선박의 아이디와 이동경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있도록 줌인 아웃 시켜 정확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해안이나 섬 등에 설치하여 항해하는 선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 트래킹 각도인 360도를 65550으로 미세 분할하고, 분할된 값을 위,경도값으로 변환함으로서 카메라 영상을 이동하여 선박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해상교통관제시스템(200)을 통해 수신된 AIS 오류현상을 살펴보면,
첫 번째, 스와핑 현상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운항장치(100)로부터 기수신된 진행예상경로와 관제서버(210)의 관제정보출력부(215)를 통해 출력되는 선박의 진행상황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관제서버(210)의 오류인식부(213)가 이를 인지함과 동시에 경고음발생부(214)를 통해 관제사에게 경고음을 발생하여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상기 영상서버(220)는 카메라 컨트롤부(224)를 통해 변경된 항로의 위치가 되도록 카메라부(2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하여 영상출력부(2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관제사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지정된 선박이 예상경로가 아닌 곳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선박에 연락을 하여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로스트 현상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운항장치(100)로 수신된 AIS 데이터에 따라 관제서버(210)의 관제정보출력부(215)를 통해 출력되던 선박이 갑자기 사라지게 되면, 상기 관제서버(210)의 상기 관제서버(210)의 오류인식부(213)가 이를 인지함과 동시에 경고음발생부(214)를 통해 관제사에게 경고음을 발생하여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상기 영상서버(220)로 하여금 카메라부(230)를 통해 LOST된 위치를 촬영하여 영상출력부(2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관제사가 육안으로 선박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세번째, 본선과 예인선의 AIS값 혼란 현상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서버(210)의 관제정보출력부(215)를 통해 출력되던 본선과 예인선의 AIS값이 갑자기 바뀌어 충동상황으로 인식될 경우에는 관제사가 선텍된 선박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서버(220)의 카메라 컨트롤부(224)를 통해 선택된 선박을 촬영하여 영상출력부(2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관제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운항장치 110 : 관제 정보 응답기
120 : 관제 정보 생성기 200 : 해상교통관제시스템
210 : 관제서버 220 : 영상서버
230 : 카메라부 300 : GPS 위성

Claims (5)

  1. 연안 또는 내륙 운하를 통과하는 선박에 운항장치(100)를 설치하며, 상기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여 모든 선박을 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상교통관제시스템(Vessel Traffic Service ; VTS, 200)을 포함하는 선박관제 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200)은 다수의 선박에 설치된 각각의 운항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제서버(210)와, 상기 관제서버(210)로부터 이상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카메라를 통제하여 이상신호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서버(220)와, 상시에는 고정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영상서버(220)로부터 수신된 통제신호에 따라 선택된 위치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영상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210)는 선박이 정박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항로를 기준으로 주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지역정보 저장부(211)와, 상기 지역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된 항로와 AIS정보 수집부(212)를 통해 수집된 관제정보를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류인식부(213)와, 상기 오류인식부(213)에 의해 AIS정보가 오류였음을 판단되게 하면 관제사에게 경고음을 발생하여 신속한 대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음발생부(214)와, 상기 AIS정보 수집부(212)를 통해 수집된 관제 정보를 해석하여 관제사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화면으로 출력하는 관제 정보 출력부(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인식부(213)는 상기 AIS정보 수집부(212)에서 수신되는 관제정보와 상기 지역저장부(211)에 저장된 지역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오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오류인식부(213)에서 인지하는 오류현상은 스와핑현상, 선박lost형상, AIS미장착선박, 본선과 예인선 AIS값 혼란현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서버(220)는 해안이나 섬등에 분포되어 설치된 카메라부(230)를 위치를 인식하며 설치된 카메라의 고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인식부(221)와, 상기 카메라부(230)를 통해 수신된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선박의 이름 및 크기 등을 인식하여 수집하는 선박인식부(222)와, 상기 선박인식부(222)를 통해 수신된 선박과 상기 관제서버(210)의 AIS정보 수집부(212)로 부터 수신된 선박을 매칭시키는 선박매칭부(223)과, 상기 관제서버(210)의 오류인식부(213)를 통해 수신된 오류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부(230)가 촬영하고자 하는 선박 및 촬영위치, 촬영각도, 줌인 또는 줌아웃 등이 자동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컨트롤부(224)와, 상기 카메라부(23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출력부(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230)는 상기 영상서버(220)의 통제하에 특정 선박의 위치를 찾아내어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카메라 트래킹 각도인 360도를 65550으로 미세 분할하고, 분할된 값을 위,경도값으로 변환함으로서 카메라 영상을 이동하여 선박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KR1020110131453A 2011-12-09 2011-12-09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KR10118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53A KR101186952B1 (ko) 2011-12-09 2011-12-09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53A KR101186952B1 (ko) 2011-12-09 2011-12-09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952B1 true KR101186952B1 (ko) 2012-09-28

Family

ID=4711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453A KR101186952B1 (ko) 2011-12-09 2011-12-09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9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60440R1 (es) * 2012-11-09 2014-06-03 Mikel LARRAÑAGA OTAÑO Tabla interactiva para deportes acuáticos
WO2014092238A1 (ko) * 2012-12-13 2014-06-19 (주)장산아이티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관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69921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선박 상황 감시시스템
WO2020153472A1 (ja) * 2019-01-25 2020-07-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離着岸指揮者支援装置、離着岸指揮者支援方法および船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785B1 (ko) * 2007-07-20 2009-05-08 김기종 해상 관제 시스템
KR101012281B1 (ko) * 2010-09-27 2011-02-08 (주)피앤씨네트워크 거점적 최적 영상 관제 시스템
KR101048508B1 (ko) 2011-04-11 2011-07-11 (주)에디넷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항만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785B1 (ko) * 2007-07-20 2009-05-08 김기종 해상 관제 시스템
KR101012281B1 (ko) * 2010-09-27 2011-02-08 (주)피앤씨네트워크 거점적 최적 영상 관제 시스템
KR101048508B1 (ko) 2011-04-11 2011-07-11 (주)에디넷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항만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60440R1 (es) * 2012-11-09 2014-06-03 Mikel LARRAÑAGA OTAÑO Tabla interactiva para deportes acuáticos
WO2014092238A1 (ko) * 2012-12-13 2014-06-19 (주)장산아이티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관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69921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선박 상황 감시시스템
KR102389919B1 (ko) 2017-12-12 2022-04-22 현대글로벌서비스 주식회사 선박 상황 감시시스템
WO2020153472A1 (ja) * 2019-01-25 2020-07-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離着岸指揮者支援装置、離着岸指揮者支援方法および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78433A1 (en) Real-time monitoring of surroundings of marine vessel
US8674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tress at sea
US20060244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rveillance of vessels
KR101805564B1 (ko) 선박 충돌 방지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799012B1 (ko) 선박 안전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안전 관리 장치 및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112000B1 (ko) 레이더 기반 해상교량 및 해안시설물 충돌 경보 시스템
BRPI0717242A2 (pt) Programação de porto baseado em vetor
CN111126734A (zh) 海上风电场调度管理系统
CN112562417A (zh) 一种船舶应急指挥管理系统和方法
JP2013515294A (ja) 海上における船舶の追跡システム
KR101453555B1 (ko) 해상교통관제에서 레이더 심벌과 ais 심벌 통합 장치
KR101186952B1 (ko)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KR20140099386A (ko) 모바일 단말과 전자해도 서버 및 그의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전자해도 갱신 방법
KR102231343B1 (ko) 교량 시설물 보호를 위한 해상경보시스템
Bloisi et al. Camera based target recognition for maritime awareness
KR20180130230A (ko) 전자해도를 이용한 소형선박 항해 및 조업 보조 시스템
CN101986170A (zh) 桥梁防撞雷达预警管理系统
KR100981990B1 (ko) 부표를 이용한 연안 선박의 위치 및 궤적 추정을 통한 안전관제장치 및 그 방법
KR100990764B1 (ko) 항만 영상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031212B1 (ko) 사물인터넷 무선통신장치를 탑재한 임베디드 방식의 선박 자율 운영시스템
KR102421242B1 (ko) 레이더 장비와 연동되는 전자해도 기반 해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83968B1 (ko) 이미지 학습 기반 시정 관측 정보 생성 및 공유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40115684A (ko) 선박용 융합형 선박위치 자동 발신시스템
KR20140137233A (ko) 3차원 공간계를 이용한 선박 견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7102986A (ja) 端末装置、警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