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174A -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174A
KR20150136174A KR1020140062962A KR20140062962A KR20150136174A KR 20150136174 A KR20150136174 A KR 20150136174A KR 1020140062962 A KR1020140062962 A KR 1020140062962A KR 20140062962 A KR20140062962 A KR 20140062962A KR 20150136174 A KR20150136174 A KR 20150136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sealing
valve
port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1420B1 (ko
Inventor
장석윤
김준우
김서규
손재영
박창현
강동준
김치명
나성욱
박훈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420B1/ko
Priority to PCT/KR2014/005887 priority patent/WO2015182814A1/ko
Publication of KR20150136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57Packings
    • F16K5/0464Packings in th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18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cylindrical surfaces
    • F16K5/181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cylindrical surfaces with the housing or parts of the housing mechanically pressing the seals against the plu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구동식 자동차의 유체 순환회로에 설치되는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면에 적어도 2개의 포트를 가지고, 상기 포트와 소통하는 내부공간을 가진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실링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재에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을 상기 밸브부재의 외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링수단을 통해 실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VALVE APPARATUS FOR ELECTRICAL DRIVING TYPE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구동식 자동차의 유체 순환회로에 설치되어 유체 순환, 유체 흐름 단속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바디의 포트에 대한 밀봉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구동식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 구동식 자동차는 화학변화로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연료전지 구동식과,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2차 전지식 또는 배터리 전지식으로 대별되며, 열거된 것들 이외의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동력을 얻는 방식도 포함된다. 이러한 전기 구동식 자동차는 차량의 구동부에 전기를 공급할 경우 다량의 열이 발생된다. 또한, 전기 구동식 자동차는 배열이 발생할 경우 저항도 함께 상승하여 방전이 가속되고 충전효율이나 방전효율도 감소될 뿐만 아니라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열을 적절히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회로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 구동식 자동차는 그 내부에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와 유사하게 실내공간의 냉방 및 난방을 위한 냉매 순환회로, 실내공기의 환기를 위한 공기 순환회로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전기 구동식 자동차는 상술한 배터리의 냉각수 순환회로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회로, 냉매의 순환회로 등에 유체 흐름을 분배, 제어 내지 단속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밸브장치 중에서, 회전밸브(rotary valve)는 2개 이상의 포트를 가진 밸브 바디와, 밸브 바디의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2이상의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밸브는 배터리의 냉각수 순환회로에 주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회전밸브의 일 예로는 US 6315267 B1(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밸브는 밸브챔버(valving chamber)와 소통하는 유입포트(inlet port) 및 유출포트(outlet port)를 가진 밸브바디(valve body); 상기 밸브챔버 내에서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로 회전되게 설치된 원통형의 밸브부재(valve member); 유입포트 또는 유출포트 중에서 어느 하나와 밸브부재 사이에 개재된 곡면진 탄성 밀봉부재(resilient seal member); 상기 밸브 바디에 부착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회전시키는 토크 모터(torque motor); 및 상기 토크 모터의 로터와 상기 밸브부재를 개방시키도록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수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회전밸브는 밸브바디의 유입포트 또는 유출포트가 밸브부재의 회전에 의해 개방될 때, 탄성 밀봉부재가 밸브바디의 포트와 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개재되어 유입포트 또는 유출포트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밀봉되게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회전밸브는 탄성 밀봉부재의 탄성력이 취약하여 밸브바디의 유입포트 또는 유출포트에 대한 밀봉성이 낮아 유체의 누설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US 6315267 B1(2001.1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밸브바디의 어느 하나의 포트 내면에서 밸브부재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포트에 대한 밀봉성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과 더불어 누설가능성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 구동식 자동차의 유체순환회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순환을 제어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로서, 외면에 적어도 2개의 포트를 가지고, 상기 포트와 소통하는 내부공간을 가진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실링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재에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을 상기 밸브부재의 외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중심부에 포트와 소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링 몸체와, 상기 링 몸체에서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바이어싱부(biasing element)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바이어싱부는 상기 링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어싱부는 그 일단에 링 몸체의 내주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포트에 접속되는 포트 피팅의 단부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 몸체은 그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돌기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끼움돌기는 상기 바이어싱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 몸체의 끼움돌기는 상기 실링부재의 끼움홈들에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의 외면에는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에는 환형의 립 씰(lip seal)이 설치되며, 상기 립 씰은 상기 환형 홈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는 환형의 끼움몸체 및 상기 끼움몸체에서 외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연장된 립부(lip portion)를 가지고, 상기 립부는 상기 포트의 내면에 밀착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몸체의 내면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하나 이상의 변형돌기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과 탄성부재 사이에는 환형의 립 씰(lip seal)이 개재되고, 상기 환형의 립 씰은 리테이너(retainer)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실링부재의 내면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바디의 어느 하나의 포트 내면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실링부재를 밸브부재의 외면을 향해 편향(bias)시킴으로써 실링부재의 실링면은 밸브부재의 외면에 밀착되게 접촉됨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트에 대한 밀봉성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과 더불어 누설가능성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는 링 몸체에서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바이어싱부에 의해 실링부재를 밸브부재 측으로 높은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와 밸브부재 사이에 매우 강한 밀봉성이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는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바이어싱부의 지지부가 포트 피팅에 대해 지지된 상태에서 실링부재를 밸브부재 측으로 더욱 높은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와 밸브부재 사이에 매우 강한 밀봉성이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을 통해 실링부재의 일단에 일체화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탄성부재와 실링부재의 이격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탄성부재는 실링부재에 대한 탄성적 가압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링부재의 외면에 환형의 립 씰이 설치됨에 따라 실링부재의 외면과 포트의 내면 사이에서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밀봉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립 씰의 끼움몸체의 내면에 변형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립 씰의 끼움몸체가 환형 홈 내에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끼움몸체를 환형 홈의 외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낼 수 있으므로, 립부의 단부는 포트의 내면과 보다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수단의 탄성부재는 복수의 산과 골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웨이브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실링부재의 일단을 축선방향으로 가압하여 실링부재의 실링면이 밸브부재의 외면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수단은, 리테이너의 지지면과 실링부재의 일단 사이에 립씰이 끼움결합되고, 이러한 설치구조에 의해, 탄성부재가 립씰 및 리테이너의 지지면을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립씰의 립부는 포트의 내면과 보다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립씰과 포트의 내면 사이에서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밀봉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의 실링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의 실링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대한 대안적인 구조의 실링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링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링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는, 2 이상의 포트(11, 12)를 가진 밸브바디(10)와, 밸브바디(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부재(20)와, 밸브바디(10)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11, 12)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실링수단(30)을 포함한다.
밸브바디(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유체가 유입 내지 유출되는 2 이상의 포트(11, 12)를 가진다. 그리고, 밸브바디(10)는 내부에 포트(11, 12)와 소통하는 내부공간(15)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2개의 포트(11, 12)가 형성됨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포트의 갯수 및 위치 등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밸브바디(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면에서 돌출된 2 이상의 플랜지(13, 14)를 가지고, 각 포트(11, 12)는 도 3과 같이 각 플랜지(13, 14)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밸브바디(10)의 플랜지(13, 14)에 포트 피팅(16, 17; port fitting)의 플랜지부(16a, 17a)가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각 포트 피팅(16, 17)에 전기 구동식 자동차(예: 이차전지, 연료전지 등과 같이 전기로 구동되는 차량)의 냉매 순환회로, 냉각수 순환회로 등과 같은 유체 순환회로의 유체관(18, 19)이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밸브부재(20)는 밸브바디(10)의 내부공간(15)에 밸브축(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밸브축(25)의 상단은 밸브바디(10)의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하며, 이러한 밸브축(25)은 그 돌출된 상단에 구동모터 또는 기타 전동요소 등이 연결됨에 따라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밸브부재(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21, 22)를 가지고, 밸브부재(20)의 외면은 곡면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부재(20)는 그 중심부에 밸브축(25)이 설치되고, 밸브축(25)을 통한 밸브부재(20)이 회전함에 따라 밸브부재(20)의 개구(21, 22)가 밸브바디(10)의 각 포트(11, 12)와 선택적으로 소통함으로써 밸브바디(10)의 각 포트(11, 12)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링수단(30)은 밸브바디(10)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11, 12)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실링수단(30)에 의해 하나 이상의 포트(11, 12)에 대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링수단(30)은 포트(11, 12)의 내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31)와, 실링부재(31)의 일단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2)를 포함한다.
실링부재(31)는 그 내부에 유체가 관류하도록 형성된 중공부(31a) 및 포트(11, 12)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가진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실링부재(31)의 외면은 포트(11, 12)의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31)는 그 일단에 탄성부재(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실링부재(31)의 타단에 밸브부재(15)의 외면과 기밀하게 접촉하는 실링면(31b)이 형성된다.
탄성부재(32)는 실링부재(31)의 일단에 설치되어 실링부재(31)에 탄성력을 그 축선방향을 따라 인가함으로써 실링부재(31)의 실링면(31b)을 밸브부재(20)의 외면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해 실링부재(31)가 밸브부재(20)의 외면을 향해 편향(bias)됨으로써 실링부재(31)의 실링면(31b)은 밸브부재(20)의 외면에 밀착되게 접촉됨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31)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낮고, 내화학성이 양호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31)가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밸브부재(20)의 외면과 실링부재(31) 사이이 회전접촉(동적 부하) 시에 그 동적 마찰부하를 감소시켜 실링부재(31)의 마모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2)는 중심부에 포트(11, 12)와 소통하는 개구(33a)가 형성된 링 몸체(33)와, 링 몸체(33)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바이어싱부(34, biasing portion)를 가진다.
링 몸체(33)는 환형의 판형 스프링(plate spring)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 포트(11, 12)와 소통하는 개구(33a)가 형성되어 있다. 링 몸체(33)는 SUS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바이어싱부(34)는 링 몸체(33)에서 외측으로 경사방향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바이어싱부(34)는 링 몸체(33)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렇게 링 몸체(33)에서 경사방향으로 돌출한 바이어싱부(34)에 의해, 실링부재(31)는 밸브부재(20) 측으로 강한 탄성력으로 가압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31)와 밸브부재(20) 사이에서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바이어싱부(34)는 링 몸체(33)의 내주면에서 랜싱(lancing) 가공을 통해 성형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링 몸체(33)의 내주면의 일부분이 랜싱(lancing) 가공 즉, 전단(shear) 및 벤딩(bending)처리 등을 거쳐 링 몸체(33)의 평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다.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몸체(33)의 평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바이어싱부(34)는 그 일단에 링 몸체(33)의 내주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34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지지부(34b)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이어싱부(34)의 지지부(34b)는 포트(11, 12)에 접속되는 포트 피팅(16, 17)의 단부와 접촉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바이어싱부(34)의 지지부(34b)가 포트 피팅(16, 17)에 대해 지지된 상태에서 실링부재(31)를 밸브부재(20) 측으로 더욱 높은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31)와 밸브부재(20) 사이에 매우 강한 밀봉성이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링 몸체(33)은 그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돌기(35)를 가지고, 복수의 끼움돌기(35)는 바이어싱부(34)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실링부재(31)는 그 일단에 복수의 끼움홈(36)이 형성되고, 링 몸체(33)의 끼움돌기(35)는 실링부재(31)의 끼움홈(36)에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돌기(35) 및 끼움홈(35)을 통해 탄성부재(32)는 실링부재(31)의 일단에 일체화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탄성부재(32)와 실링부재(31)의 이격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탄성부재(32)는 실링부재(31)에 대한 탄성적 가압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31)의 외면에는 환형 홈(38)이 형성되고, 환형 홈(38)에는 환형의 립 씰(39, lip seal)이 설치되어 실링부재(31)의 외면과 포트(11, 12)의 내면 사이에서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밀봉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립 씰(39)은 환형 홈(38)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는 환형의 끼움몸체(39a)와, 이 끼움몸체(39a)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립부(39b, lip portion)를 가진다.
립 씰(39)은 보다 기밀한 밀봉성을 확보하도록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이 탄성적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립 씰(39)의 구성에 의해, 환형 홈(38) 내에 끼움몸체(39a)가 끼워질 경우에는 립부(39b)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그 단부가 포트(11, 12)의 내면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몸체(39a)의 내면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하나 이상의 변형돌기(39c)가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이 변형돌기(39c)는 끼움몸체(39a)가 환형 홈(38) 내에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끼움몸체(39a)를 환형 홈(38)의 외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낼 수 있으므로, 립부(39b)의 단부는 포트(11, 12)의 내면과 보다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2)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산과 골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웨이브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실링부재(31)의 일단을 축선방향으로 가압하여 실링부재(31)의 실링면(31b)이 밸브부재(20)의 외면과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42)와 실링부재(31) 사이에는 환형의 립씰(39, lip seal)이 개재되고, 환형의 립 씰(39)은 리테이너(45, retainer)에 의해 실링부재(31)의 일단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리테이너(45)은 실링부재(31)의 내면에 기밀하게 끼움결합되는 원통부(45a)와, 원통부(45a)의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지지면(45b)을 가진다.
리테이너(45)의 원통부(45a)가 실링부재(31)의 내면에 끼움결합될 때 지지면(45b)과 실링부재(31)의 일단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립씰(39)가 끼움결합되는 환형의 홈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테이너(45)의 지지면(45b)과 실링부재(31)의 일단 사이에 립씰(39)이 끼움결합되고, 이러한 설치구조에 의해 탄성부재(42)가 립씰(39) 및 리테이너(45)의 지지면(45b)을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립씰(39)의 립부(39b)는 포트(11, 12)의 내면과 보다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립씰(39)과 포트(11, 12)의 내면 사이에서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밀봉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밸브바디 11, 12: 포트
20: 밸브부재 21, 22: 개구
30: 실링수단 31: 실링부재
32: 탄성부재 33: 링 몸체
34: 바이어싱부 35: 끼움돌기
36: 끼움홈 38: 환형 홈
39: 립 씰

Claims (6)

  1.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체 순환회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순환을 제어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로서,
    외면에 적어도 2개의 포트를 가지고, 상기 포트와 소통하는 내부공간을 가진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실링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재에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을 상기 밸브부재의 외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중심부에 포트와 소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링 몸체와, 상기 링 몸체의 평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바이어싱부(biasing portion)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바이어싱부는 상기 링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은 그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돌기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끼움돌기는 상기 바이어싱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 몸체의 끼움돌기는 상기 실링부재의 끼움홈들에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외면에는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에는 환형의 립 씰(lip seal)이 설치되며,
    상기 립 씰은 상기 환형 홈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는 환형의 끼움몸체 및 상기 끼움몸체에서 외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연장된 립부(lip portion)를 가지고, 상기 립부는 상기 포트의 내면에 밀착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과 탄성부재 사이에는 환형의 립 씰(lip seal)이 개재되고, 상기 환형의 립 씰은 리테이너(retainer)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테이너은 상기 실링부재의 내면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KR1020140062962A 2014-05-26 2014-05-26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KR101601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62A KR101601420B1 (ko) 2014-05-26 2014-05-26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PCT/KR2014/005887 WO2015182814A1 (ko) 2014-05-26 2014-07-02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62A KR101601420B1 (ko) 2014-05-26 2014-05-26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174A true KR20150136174A (ko) 2015-12-07
KR101601420B1 KR101601420B1 (ko) 2016-03-10

Family

ID=5469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962A KR101601420B1 (ko) 2014-05-26 2014-05-26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1420B1 (ko)
WO (1) WO20151828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223A (ko) * 2019-08-01 2021-02-10 현대위아 주식회사 통합 열관리용 밸브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통합 열관리 모듈
US11143316B2 (en) 2019-10-11 2021-10-12 Hyundai Motor Company Valve assembly and seal member applied to the valv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332B1 (ko) * 2017-06-16 2019-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온도제어밸브
CN207974879U (zh) * 2018-02-01 2018-10-16 认知控管株式会社 车辆用多阀装置
KR20200056850A (ko) 2018-11-15 2020-05-25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밸브장치
KR102572239B1 (ko) 2021-06-30 2023-08-3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849A (ja) * 1996-02-09 1997-08-19 Nippon Boorubarubu Kk 定量供給ボールバルブ
US6315267B1 (en) 1999-09-16 2001-11-13 Eaton Corporation Electrically controlled servo operated engine coolant valve
KR20030087005A (ko) * 2001-02-21 2003-11-12 텍스트론 패스닝 시스템즈 리미티드 패스너 부분의 수집 수단을 포함한 패스너 설치용 공구
US20050258386A1 (en) * 2004-05-19 2005-11-24 Zhejiang Sanhua Co., Ltd. Ball valve
CN101813201A (zh) * 2010-04-16 2010-08-25 姜明 一体化高温高压金属密封球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68U (ko) * 1998-05-26 1999-12-27 정준모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KR20020023926A (ko) * 2001-12-29 2002-03-29 홍성기 파형 스프링 와셔 파형 성형 전용기의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849A (ja) * 1996-02-09 1997-08-19 Nippon Boorubarubu Kk 定量供給ボールバルブ
US6315267B1 (en) 1999-09-16 2001-11-13 Eaton Corporation Electrically controlled servo operated engine coolant valve
KR20030087005A (ko) * 2001-02-21 2003-11-12 텍스트론 패스닝 시스템즈 리미티드 패스너 부분의 수집 수단을 포함한 패스너 설치용 공구
US20050258386A1 (en) * 2004-05-19 2005-11-24 Zhejiang Sanhua Co., Ltd. Ball valve
CN101813201A (zh) * 2010-04-16 2010-08-25 姜明 一体化高温高压金属密封球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223A (ko) * 2019-08-01 2021-02-10 현대위아 주식회사 통합 열관리용 밸브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통합 열관리 모듈
US11143316B2 (en) 2019-10-11 2021-10-12 Hyundai Motor Company Valve assembly and seal member applied to the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420B1 (ko) 2016-03-10
WO2015182814A1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420B1 (ko)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KR101570494B1 (ko) 차량용 밸브장치
US8763640B2 (en) Rotary valve
JP5336191B2 (ja) 流体の流れ回路のためのシールが改良された制御バルブ
JP6634572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WO2017130598A1 (ja) 弁装置
US11125345B2 (en) Flow control device
KR101804764B1 (ko) 차량용 멀티밸브
JP6656846B2 (ja) 流路切換弁及びシール部材
CN108119671B (zh) 流量控制装置
CN111566397B (zh) 偏心型蝶形阀
US20040036052A1 (en) Ball valve
US11280414B2 (en) Plug valve hard seals on cylinder wall
KR20180069455A (ko)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차단밸브
JP6709409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US11953014B2 (en) Integrated water pump and valve device
KR101545223B1 (ko) 차량용 밸브장치
KR101567435B1 (ko) 전기 구동식 차량의 냉각수용 3방향 밸브
US20150184759A1 (en) Valve for controlling coolant fuel cell stack coolant of fuel cell vehicle
US20210108731A1 (en) Valve assembly and seal member applied to the valve assembly
JP6711967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CN112119248B (zh) 密封组件和流体阀
US11788632B2 (en) Expansion valve having a sealing ring holder for simplified assembly
JP2020051548A (ja) バルブ装置
KR102388972B1 (ko) 다중 포트 밸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