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768U -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 Google Patents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768U
KR19990041768U KR2019980008782U KR19980008782U KR19990041768U KR 19990041768 U KR19990041768 U KR 19990041768U KR 2019980008782 U KR2019980008782 U KR 2019980008782U KR 19980008782 U KR19980008782 U KR 19980008782U KR 19990041768 U KR19990041768 U KR 199900417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spring
flat washer
fla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모
Original Assignee
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모 filed Critical 정준모
Priority to KR2019980008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768U/ko
Publication of KR19990041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768U/ko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계 및 건축구조물등 일반 모든 산업분야의 작업과정에서 분리된 구조물을 조립할 때에, 볼트와 너트 사이에 체결되는 스프링와셔와 평와셔의 기능을 일체화 한 스프링 평와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례의 4단계 볼트 조립공정(볼트→평와셔→스프링와셔→너트)을 3단계(볼트→스프링 평와셔→너트)의 공정으로 간소화 함으로서, 작업공정의 능률과, 자재관리의 효률성, 2개의 와셔 생산라인을 1개의 생산라인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본 고안은 기계 및 건축구조물등 일반 모든 산업분야의 작업과정에서 분리된 구조물을 결합할 때에, 볼트와 너트 사이에 체결되는 와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의 체결 강도와 결합장치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와 너트 사이에 동시 체결되는 스프링와셔와 평와셔의 기능을 일체화 시킨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구조물의 결합장치에 사용되는 체결용 기계 부품으로서, 모든 산업 구조물의 조립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품의 하나이다.
여기에, 구조물의 강도와 결합장치의 견고성을 완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와셔는 이들 볼트와 너트 사이에 없어서는 안될 절대적인 중요한 부품이라는 것은 누구나가 다 알고 있는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 목적으로 사용되는 와셔는 일반적으로, 너트 또는 볼트 머리 밑에 체결되어 조립부분의 안전 및 보호용도로 사용되는 평와셔와, 너트의 풀림방지 및 조립부분의 강도와 견고성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와셔등 두 가지의 기능을 가진 와셔로 대별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두 가지의 기능을 갖춘 와셔를 기계조립 또는 부품조립의 완벽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 1의 종래기술의 실시예인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볼트(11) 상면으로 조립체(A,B)를 사이에 두고, 평와셔(12)와 스프링와셔(13)를 체결한 다음 너트(14)를 체결하는 과정, 즉 볼트(11)→평와셔(12)→스프링와셔(13)→너트(14) 순으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인 조립 공정작업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조립 공정작업은 단위규격의 구성요소가 4가지 부품, 즉 볼트(11), 평와셔(12), 스프링와셔(13), 너트(14)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재관리상의 번거러움과, 극히 작은 규격의 조립 공정작업에서도 최소 4회 이상의 손작업 또는 기계적인 동작이 필요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일반 산업분야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대형공사 라든지, 큰 구조체의 공사에서는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한편, 공기 일정을 맞추기 위한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착오나 판단 유탈로 인하여, 상기 4가지 부품 조립순서에서 완벽성을 기하지 못하고, 볼트(11)→평와셔(12)→(너트14) 순으로 조립된 경우, 또는 볼트(11)→스프링와셔(13)→너트(14)가 조립된 경우, 또는 상기 평와셔(12)와 스프링와셔(13)등의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 볼트(11)→너트(14)만 조립된 경우 등의 불량 결합으로 인하여, 조립품이나 구조물 결합장치등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볼트가 풀어져 결합장치의 파손과 위험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와 같은 조립공정은 평와셔(12)와 스프링와셔(13)가 각기 다른 기능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재관리도 별도로 하여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지만, 평와셔(12)와 스프링와셔(13)는 그 생산라인에서도 별도의 생산공정 및 인력투자 등을 동시에 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측면, 그리고 비 경제적인 인력자원의 낭비등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평와셔와 스프링와셔의 기능을 일체화 함으로서, 조립 작업공정을 간소화 하여 체계된 자재관리와 공사시간의 단축으로 작업의 효률성을 제공하고, 평와셔와 스프링와셔의 2개의 와셔 생산라인을 1개의 와셔 생산라인으로 줄임으로서, 불필요한 인력자원의 낭비를 해소함과 동시에, 경제적으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평와셔와 스프링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중앙부에 홈을 형성한 종래의 평와셔 내측 시계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 코일 모양의 경사 곡면 돌출판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래기술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원형판
21 : 원형홈
22 : 외주연
23,24 : 절결부
25,26 : 관통절결부
27,28 : 코일 경사 돌출판
30 : 스프링 평와셔
40 : 볼트
50 : 너트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판상체의 강재가 원형판(20)으로 구성되고, 그 중앙부에 일정한 크기의 원형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판(20) 외주연(22)과 중앙부의 원형홈(21)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중앙면을 중심으로 반원형상의 절결부(23,24)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23,24)의 일측 끝단부는 중앙부의 원형홈(21)으로 관통절결부(25,26)를 형성 함으로서, 상기 반원형상의 절결부(23,24)와 관통절결부(25,26)면를 중앙부의 원형홈(21) 외측 시계회전 방향의 중심으로 코일 경사 돌출판(27,28)이 각각 상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일 경사 돌출판(27,28)은 상부로 돌출되어, 스프링와셔의 기능을 하게되고, 코일 경사 돌출판(27,28)의 외주연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판(20)은 평와셔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일 경사 돌출판(27,28)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어도 1개소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원형판(20)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일실시예의 작용상태 내지는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스프링 평와셔(30)가 볼트(40)와 조립품(a,b), 및 너트(50) 사이에 체결되는 조립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조립품(a,b) 상단에 체결되는 스프링 평와셔(30)의 외주연의 원형판(20)은 종래의 평와셔로서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중앙부의 원형홈(21) 외측 시계회전 방향으로 돌출된 코일 경사 돌출판(27,28)은 너트(50) 결합시 원만한 회전을 도모하고, 완전 결합시 에는 코일 경사 돌출판 측면에 의하여, 너트(50)가 풀리는(역회전)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원형판(20)과 코일 경사 돌출판(27,28)은 동심원 상에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중심 정열의 기능을 하게 됨으로 인하여, 상기 원형판(20)과 코일 경사 돌출판(27,28)이 각각 종래의 평와셔와 스프링와셔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평와셔와 스프링와셔 등의 기능을 일체화 함으로서, 조립 공정작업이 간소화 되어 체계된 자재관리가 가능하고, 더불어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능률의 효률성을 제공하며, 평와셔와 스프링와셔의 2개의 와셔 생산라인을 1개의 와셔 생산라인으로 전환이 가능 함으로서, 불필요한 인력자원의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경제적으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판상체의 강재 원형판 중앙부로 원형홈이 형성되고, 원형판 외주연과 중앙부의 원형홈 사이에 반원형상의 절결부, 관통절결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반원형상의 절결부, 관통절결부에 의하여 시계회전 방향으로 코일 경사 돌출판이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원형판 외주연과 코일 경사 돌출판이 각각 평와셔, 스프링와셔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와셔와 스프링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KR2019980008782U 1998-05-26 1998-05-26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KR199900417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782U KR19990041768U (ko) 1998-05-26 1998-05-26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782U KR19990041768U (ko) 1998-05-26 1998-05-26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68U true KR19990041768U (ko) 1999-12-27

Family

ID=6970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782U KR19990041768U (ko) 1998-05-26 1998-05-26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76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814A1 (ko) * 2014-05-26 2015-12-03 인지컨트롤스주식회사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KR20160056347A (ko) * 2014-11-10 2016-05-20 보명테크 주식회사 분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의 설치구조
US9915356B2 (en) 2014-05-26 2018-03-13 Inzi Controls Co. Ltd. Valve apparatus for vehicle
KR20190115829A (ko) 2018-04-04 2019-10-14 조용원 풀림방지용 체결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814A1 (ko) * 2014-05-26 2015-12-03 인지컨트롤스주식회사 전기 구동식 자동차용 밸브장치
US9915356B2 (en) 2014-05-26 2018-03-13 Inzi Controls Co. Ltd. Valve apparatus for vehicle
KR20160056347A (ko) * 2014-11-10 2016-05-20 보명테크 주식회사 분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의 설치구조
KR20190115829A (ko) 2018-04-04 2019-10-14 조용원 풀림방지용 체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904B1 (ko) 나사 체결 구조 및 나사부재
JP6096420B2 (ja) ロックナット
KR19990041768U (ko) 스프링와셔와 평와셔를 일체화 한 볼트 체결용 스프링 평와셔
JP4511540B2 (ja) 家電製品用レッグアセンブリのためのロックナットおよびレンチ
KR20150115411A (ko) 볼트 풀림 방지구조
CN101369756B (zh) 电机固定结构和电机组件
JP2004225817A (ja)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座金
JP3866343B2 (ja) 防舷材の取付け構造
JPH0519273Y2 (ko)
KR930007755Y1 (ko) 저잡음 블럭콘버터(lnb)의 고정장치
KR20240053180A (ko) 휠 조립지그 및 조립지그를 이용한 휠 조립 방법
CN212352085U (zh) 一种内走线工业机器人的同轴转动关节
JPH02138512A (ja) ねじ付ファスナの緩み止め装置
JP2000104719A (ja) ボルトまたはナットの抜き取り防止カバー
JPH0542485A (ja) ボルト、ナツトの締緩装置
KR200339999Y1 (ko) 프레임 연결장치
JPH11132218A (ja) ナット・ワッシャー固定キャップ
JPH075290Y2 (ja) 締付ナット
KR19980033811U (ko) 스터드볼트(Stud Bolt)의 구조
JP2003083317A (ja) スプリングワッシャー付き角度座金
KR100569122B1 (ko) 너트런너의 충격 흡수 리액션바
JPS5941916Y2 (ja) 自転車用クランクギヤ
KR20050039997A (ko) 분실 방지용 볼트
KR200324076Y1 (ko) 전동렌치의 상하케이스의 체결구조
KR19980019328A (ko) 너트(N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