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060A -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060A
KR20150135060A KR1020150026080A KR20150026080A KR20150135060A KR 20150135060 A KR20150135060 A KR 20150135060A KR 1020150026080 A KR1020150026080 A KR 1020150026080A KR 20150026080 A KR20150026080 A KR 20150026080A KR 20150135060 A KR20150135060 A KR 20150135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creen
display
us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167B1 (ko
Inventor
김소영
한세현
김대명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10222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443773B/zh
Priority to CN201610927728.8A priority patent/CN107103840B/zh
Priority to TW104116494A priority patent/TWI596507B/zh
Priority to CN201580000588.3A priority patent/CN105452983B/zh
Priority to EP21169166.2A priority patent/EP3872599A1/en
Priority to EP15735832.6A priority patent/EP2965184A4/en
Priority to TW106116843A priority patent/TWI762485B/zh
Priority to PCT/KR2015/005142 priority patent/WO2015178714A1/en
Priority to US14/721,210 priority patent/US20150338888A1/en
Publication of KR2015013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167B1/ko
Priority to US17/571,584 priority patent/US118862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면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친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면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OLD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 투명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이용 상황에 따라 접어서 이용하거나 펼쳐서 이용할 수 있어, 전자 장치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유기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는 등, 가요성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적어도 접히는 부분에서는 가요성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폴더플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사용화됨에 따라, 다양한 적용 분야들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에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플레서블 표시 장치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이들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에서, 현재 상황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접고 펴는 간단한 동작을 이용하여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면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친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면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2 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면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접는 일부 접힌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접힌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일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일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의 상기 제 1 면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면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친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면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미리 저장된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면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제 1 면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접는 일부 접힌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접힌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일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일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의 상기 제 1 면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한 특성을 갖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현재 상황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폴더블 디바이스를 접고 펴는 간단한 동작을 이용하여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통해 접히는 디바이스(100)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부려짐으로써 접힐 수 있는 디바이스(100)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디바이스(100)가 벤더블 구조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되는 표시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별되는 표시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9a 내지 도 2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와 일부 접힘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a 내지 도 3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a 내지 도 3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c)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S3906 단계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8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1은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2는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4는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오른쪽에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5는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6은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왼쪽에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8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d)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접힌다’는 것은, 평면 형태의 전자 장치가 임의의 선을 기준으로 변형됨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 면이 서로 맞닿을 정도로 근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 경우, 평면 형태의 전자 장치는 구부러짐으로써 변형되거나, 힌지를 통하여 꺽임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폴더블 디바이스(100)에 힌지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접히는 양 면이 서로 접촉 하여 평행이 되거나 평행에 근접한 상태가 됨으로써,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힐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가요성 소재로 구현된 경우, 임의의 선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려짐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 면이 평행에 가깝게 근접한 상태가 됨으로써, 폴더블 디바이스는 접힐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통해 접히는 디바이스(100)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를 이용하여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도 1의 (a)와 같이 접힘 상태로 이용되거나, 도 1의 (b)와 같이 펼침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에 따라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장치의 접힘 형태(folding shape)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와 펼침 상태(open state)의 두 가지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의 정의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접힘 동작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펼침 동작은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장치, 전자책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0)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 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의 결과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의 결과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또한, 도 1a을 참조하면, 힌지를 통해 디바이스(100)가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면의 면적이 동일하여 대칭적으로 접히도록 구현되거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디바이스(100)가 힌지를 통해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 면의 면적이 상이하여 비대칭적으로 접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부려짐으로써 접힐 수 있는 디바이스(100)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임의의 선을 기준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짐에 따라 접히는 선이 위치한 영역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굴곡될 수 있다. 또한, 구부려짐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 면이 평행에 가깝게 근접하게 됨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접힐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a)는 표시부(210), 상태 검출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표시부(210)는 제어부(23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전자 장치(100a)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210)에, 실행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1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a)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다가, 디바이스(100a)가 펼침 상태로 변화되어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에서 표시될 때, 동일한 화면으로 표시되고, 크기만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에서 표시될 때, 각각 화면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메뉴의 위치 또는 크기가 달라지거나, 아이콘의 배치 또는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230)는 디바이스(100a)의 동작을 총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a)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실행 및 제어, 각종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100a)의 각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표시부(210), 상태 검출부(220) 등)의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 검출부(220)는 디바이스(100a)의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을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부(220)는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동작, 또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변화되는 동작 자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센서부(7880, 도 78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88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788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홀 센서(Hall sensor), 굽힘 센서(Bending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근접 센서,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상태 검출부(220)는 센서부(7880)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로 변화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검출부(220)는 접힘 영역에 구비된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 자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부(220)는 디바이스(100a)의 현재 상태가 펼침 상태인지 접힘 상태인지를 검출하고, 현재 상태가 변화되면,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부(220)는 디바이스(100a)의 구부러짐 또는 접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a)가 힌지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 힌지 구조에서 접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부(220)는 디바이스(100a)의 구부러짐 또는 접힘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지점에 상태 검출 센서를 배치하여, 접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검출 센서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자기 센서, 홀 센서, 터치 센서, 벤딩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제어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30)는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를 따로 판단할 필요 없이, 상태 검출부(220)의 출력에 따라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부(220)에서 구부러짐 또는 접힘 각도에 대한 정보 또는 상태 검출 센서의 센싱 정보를 제어부(230)에 제공하면, 제어부(230)에서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10)는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20)는 하드웨어적으로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는 두 개의 하드웨어 스크린(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는 각각 폴더블 디바이스(100b)의 어느 일 면에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310)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앞면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320)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뒷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2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영역이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별되는 각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100b)의 어느 일 면에 배치된 하나의 표시부가 소프트웨어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영역들이 표시부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폴더블 디바이스(100b)의 앞면을 향하는 하드웨어 스크린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분리된 두 개의 영역이 각각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폴더블 디바이스(100b)의 앞면을 향하는 하드웨어 스크린의 일부 영역이 제1 표시부(310)이고, 폴더블 디바이스(100b)의 뒷면을 향하는 하드웨어 스크린의 일부 영역이 제2 표시부(320)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표시부의 위치 및 크기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히거나 말림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20)의 두 개의 표시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b)가 두 개 이상의 복수 개의 표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에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고, 제2 표시부(320)에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b)의 정면이 제1면이고, 후면이 제2면인 경우, 제1 표시부(310)는 전자 장치(100b)의 제1면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320)는 전자 장치(100b)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는 전자 장치(100b)의 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1 표시부(310)는 디바이스(100b)의 제1면에 일체로 배치되거나,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2 표시부(320)는 디바이스(100b)의 제2면에 일체로 배치되거나,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디바이스(100)가 벤더블 구조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짐으로써 접히도록 구현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제1 표시부(310), 제2 표시부(320), 제어부(230), 하우징 등의 구성 요소들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지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한 디바이스(100)의 일부 구성요소(예를 들면 하우징 등)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지니고, 나머지 구성 요소들(예를 들면 배터리 등)은 리지드한 특성을 지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10)는 폴더블 구조, 플렉서블 구조, 및 리지드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310)는 폴더블한 성질을 갖고, 제2 표시부(320)는 리지드한 성질을 갖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표시부(210)가 폴더블한 성질을 갖는 경우, 접히는 영역이 디바이스(100)의 접히는 영역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표시부(210)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는 경우, 디바이스(100) 상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210)가 리지드한 성질을 갖는 경우, 디바이스(100)의 접히는 영역 또는 구부러지는 영역을 피해서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되는 표시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0)는 힌지를 통해 변형되거나 구부려짐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는 변형에 의해 접힐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에서 접힘 영역(610)은, 디바이스(100)이 힌지를 통해 접히거나 구부려져서 접히는 경우에, 접힘에 의해 변형되는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10a)는 디바이스(100a)의 제1면에서 접힘 영역(610)를 덮도록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10a)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면에는 표시부(21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동작은 제1면이 드러나고, 제2면의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펼침 동작은 제1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10a1, 210a2)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10a1, 210a2)는 디바이스(100a)의 제1면에서 접힘 영역(610)과 만나지 않도록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210a1, 210a2)는 폴더블 표시 장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리지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동작은 제1면이 드러나고, 제2면의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펼침 동작은 제1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310a) 및 제2 표시부(32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a)는 디바이스(100b)의 제1면에서 접힘 영역(610)을 덮도록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20a)는 디바이스(100b)의 제2면에서 접힘 영역(610)과 만나지 않도록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 중 한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a)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20a)는 폴더블 표시 장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리지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310a) 및 제2 표시부(3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a)는 디바이스(100b)의 제1면에서 접힘 영역(610)을 덮도록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20b)는 디바이스(100b)의 제2면에서 접힘 영역(610)을 덮도록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a) 및 제2 표시부(320b)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310a) 및 제2 표시부(320c1, 220c2)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a)는 디바이스(100b)의 제1면에서 접힘 영역(610)을 덮도록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20c1, 220c2)는 디바이스(100b)의 제2면에서 접힘 영역(610)과 만나지 않도록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a)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20c1, 220c2)는 폴더블 표시 장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리지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310b1, 210b2) 및 제2 표시부(32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b1, 210b2)는 디바이스(100b)의 제1면에서 접힘 영역(610)과 만나지 않도록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20a)는 디바이스(100b)의 제2면에서 접힘 영역(610)과 만나지 않도록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 중 한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b1, 210b2) 및 제2 표시부(320a)는 폴더블 표시 장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리지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별되는 표시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a)는 디바이스(100b)의 제1면에 배치된 하드웨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부(320a)는 디바이스(100b)의 제2면에 배치된 하드웨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에에 따르면, 제1 표시부(310a1)는 디바이스(100)의 제1면에 배치된 하드웨어 스크린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부(310a2)는 디바이스(100)의 제1면에 배치된 하드웨어 스크린 중 제1 표시부(310a1)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 (b), (c)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힌지를 통해 접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14의 (d), (e), (f)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짐에 따라 접히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는, 소정 범위의 접힘 형태 평가값으로 양자화될 수 있다. 상기 접힘 형태 평가값은 상태 검출부(22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접힘 형태 평가값은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의 구부러진 각도, 디바이스(100)의 접힌 각도, 상기 상태 검출 센서의 센싱값 등이다. 상기 상태 검출 센서의 센싱값은 예를 들면, 근접 센서의 센싱값, 조도 센서의 센싱값, 자기 센서의 센싱값, 홀 센서의 센싱값, 터치 센서의 센싱값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바이스(100)의 접힌 각도로 접힘 형태를 평가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상태는 디바이스(100)의 접힘 각도가 제1 범위 이내에 포함된 상태를 의미한다. 접힘 상태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의 접힘 각도가 0도 이상 a도 미만인 상태를 의미한다. 접힘 각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에 의해 발생하는 두 영역의 마주보는 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접힘 각도는 접힘에 의해 발생하는 두 영역의 마주보는 면에 의해 정의되는 꼭지점을 중심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힘 상태는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적외선 센서 등에서, 접힘에 의해 발생하는 두 영역의 근접 정도를 나타내는 센싱값이 제3 범위 이내에 속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가 접히는 선은 미리 정의되어 있고, 디바이스(100)는 미리 정의된 선에서만 접힐 수 있다. 상기 접히는 선은 실시예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2단으로 접히거나, 3단으로 접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임의의 지점에서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접히거나 구부러진 형태를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의 접힘 상태는, 디바이스(100)가 대칭적으로 접힌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영역(610)에 의해 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힌지를 통해 접히며 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구부려짐에 따라 접히며 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의 접힘 상태는, 디바이스(100)가 비대칭적으로 접힌 상태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도 16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제1 영역(1610)이 드러나도록 비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힌지를 통해 접히며 비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구부려짐에 따라 접히며 비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다.
제1 영역(1610)에는 실시예들에 따라, 키 버튼, 표시부(210)의 일부 영역, 터치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b)의 접힘 상태는, 디바이스(100b)의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 중 일 표시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일 표시부와 반대편에 배치된 다른 표시부 중 일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비대칭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접힌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표시부(320) 중 일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접힐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힌지를 통해 접히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부려짐에 따라 접힐 수도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b)의 접힘 상태는, 디바이스(100b)의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 중 일 표시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일 표시부와 반대편에 배치된 다른 표시부 중 일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비대칭적으로 삼각형 모양으로 접힌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표시부(320) 중 일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접힐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힌지를 통해 접히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부려짐에 따라 접힐 수도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b)의 접힘 상태는, 디바이스(100b)의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 중 일 표시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일 표시부와 반대편에 배치된 다른 표시부 중 일부가 복수의 영역에서 드러나도록 접힌 상태이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표시부(320)의 제3 영역(1910) 및 제4 영역(1920)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접힐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힌지를 통해 접히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부려짐에 따라 접힐 수도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a), (b), (c)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힌지를 통해 접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20의 (d), (e), (f)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구부려짐에 따라 접히는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펼침 상태는 디바이스(100)의 접힘 각도가 제2 범위 이내에 포함된 상태를 의미한다. 펼침 상태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의 접힘 각도가 a도 이상 180도 이하인 상태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펼침 상태는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적외선 센서 등에서, 접힘에 의해 발생하는 두 영역의 근접 정도를 나타내는 센싱값이 제4 범위 이내에 속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접힘 각도가 180도 상태로 펼쳐진 상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상태에서 보여지는 표시부(210)의 창이 분할되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S2102).
펼침 상태에서 보여지는 표시부(210)의 반대면은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부가 구비되거나 표시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대면의 표시부들은 꺼짐 상태로 될 수 있다(S2104).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접힘 각도가 180도 상태로 펼쳐진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상태에서 보여지는 표시부(210)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S2202).
펼침 상태에서 보여지는 표시부(210)의 반대면은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부가 구비되거나 표시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대면의 표시부들은 꺼짐 상태로 될 수 있다(S2204).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실시하는 디바이스는, 힌지를 통해 집히거나 구부려짐에 따라 접히도록 구현되고,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라면 어떠한 형태의 전자 장치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100a) 또는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100b)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100a)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실시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0a)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부(210)에 표시한다(S2502).
상태 검출부(220) 또는 제어부(230)가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을 검출하면(S2504),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부(210)에 함께 표시한다(S2506).
도 7 내지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표시부들을 이용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동작(S2506)은, 단계 S2502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 일 표시부 이외의 다른 표시부를 이용하거나,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 표시부와 다른 표시부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화되는 펼침 동작을 검출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함께 표시한다.
우선 디바이스(100)는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S2602).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면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제1면에 일체형으로 표시부(210a)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표시부(210a) 중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표시부(210a1, 210a2)가 디바이스(100a)의 제1면에서 접힘 영역(610)과 만나지 않도록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 각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두 표시부(210a1, 210a2) 중 한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2와 같이 제2 표시부(320b)가 접힘 영역(610)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제2 표시부(320b) 중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20b) 중 일부 영역은 예를 들면, 사용자를 향하는 영역, 미리 정의된 영역 등일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제2 표시부(320c1, 320c2)가 디바이스(100a)의 제2면에서 접힘 영역(610)과 만나지 않도록 접힘 영역(610)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 각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제2 표시부(320c1, 320c2) 중 한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320c1, 320c2) 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한 영역은 예를 들면, 사용자를 향하는 영역, 미리 정의된 영역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태 검출부(220)가 펼침 동작을 검출한 경우(S2604),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함께 표시한다(S2606).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은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평소에는 디바이스(100)를 접은 상태로 사용하다가, 넓은 화면을 활용하고 싶을 때, 디바이스(100)를 펼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펼침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넓은 화면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가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변화된 경우, 표시부(210)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상태에서 제1면의 표시부(210)의 일부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고, 펼침 상태에서 제1면의 표시부(210)의 전체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상태에서 제1면의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고, 펼침 상태에서 제2면의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b)가 펼침 상태에서 일부가 접힌 일부 접힘 상태로 변화되는 접힘 동작이 검출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함께 표시한다. ‘일부 접힘 상태’는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b)의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 중 일 표시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일 표시부와 반대편에 배치된 다른 표시부 중 일부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비대칭적으로 접힌 상태를 의미한다.
우선, 디바이스(100b)는 펼침 상태에서 제1 표시부(3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S2802). 상태 검출부(220)가 디바이스(100a)가 일부 접힘 상태로 변화되는 접힘 동작을 검출하면(S2804), 제어부(230)는 제1 표시부(310)의 일부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320)의 일부 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S2806).
도 28에서,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20)는 디바이스(100b)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310)의 일부 영역은, 디바이스(100b)의 일부 접힘 상태에 따라, 제1 표시부(310)의 전체 영역 중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부(310)의 일부 영역은, 제1 표시부(310)의 전체 영역 중 제2 표시부(3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320)의 일부 영역은, 디바이스(100b)의 일부 접힘 상태에 따라, 제1 표시부(310)와 동일한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와 일부 접힘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9a 내지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상태에서 제1 표시부(3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S2902), 디바이스(100a)가 사각형 형태의 일부 접힘 상태로 변화된 경우(S2904), 제1 표시부(310)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320)의 적어도 일부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1 표시부(310)의 영역 중, 접힘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도 2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가 잘린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는 제2 표시부(3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2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실시예에 따라, 접힘에 의해 제2 표시부(32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의 크기에 맞게, 제1 어프리케이션의 화면의 크기 및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2 표시부(320) 중 접힘에 의해 제1 표시부(310)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2 표시부(320) 중 접힘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크기에 맞게 크기가 변화되어 표시되거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가 잘린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0a 내지 도 3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0a 내지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상태에서 제1 표시부(3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b)가 삼각형 형태의 일부 접힘 상태로 변화된 경우, 제1 표시부(310)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320)의 적어도 일부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1 표시부(310)의 영역 중, 접힘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도 3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가 잘린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는 제2 표시부(3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3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실시예에 따라, 접힘에 의해 제2 표시부(32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의 크기에 맞게,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크기 및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표시부(310) 중 제2 표시부(3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이더라도,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2 표시부(320) 중 접힘에 의해 제1 표시부(310)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2 표시부(320) 중 접힘에 의해 제1 표시부(310)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영역의 크기에 맞게 크기가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1a 내지 도 3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1a 내지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상태에서 제1 표시부(3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b)가 복수의 영역에서 일부 접힘 상태로 변화된 경우, 제1 표시부(310)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320)의 적어도 일부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1 표시부(310)의 영역 중, 접힘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가 잘린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는 제2 표시부(320)의 복수의 영역들(3110, 31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실시예에 따라, 접힘에 의해 제2 표시부(320)의 복수의 영역들(3110, 3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의 크기에 맞게,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크기 및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접힘에 의해 제1 표시부(310)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제2 표시부의 복수의 영역들(3110, 31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320)의 복수의 영역들(3110, 3120) 각각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2 표시부(320) 중 접힘에 의해 제1 표시부(310)와 같은 방향을 향하는 영역(3110, 3120)의 크기에 맞게 크기가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역(3110)에 김철수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표시되고, 제3 영역(3120)에 김철수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 전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b)는 힌지를 통해 접히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부려짐에 따라 접힐 수도 있다.
도 28 내지 도 3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b)를 펼침 상태로 이용하다가, 간단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을 때, 디바이스(100b)의 일부 영역을 접음으로써, 반대 편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간단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을 보다가 문자 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알림(2910)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디바이스(100b)의 일부를 접어서 간단하게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3202), 상태 검출부(220)가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을 검출하면(S3204), 제어부(230)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S3206).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결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3208).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기준은, 예를 들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 결정,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 미리 결정된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따라 결정, 최근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 사용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상술한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c)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c)는 표시부(210), 상태 검출부(220), 제어부(230), 및 사용자 입력부(3310)를 포함한다.
표시부(210)는 제어부(23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디바이스(100c)의 상태를 나태는 화면 등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10)는 제1면에 배치된 제1 표시부(310) 및 제2면에 배치된 제2 표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1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230)는 디바이스(100c)의 동작을 총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c)의 운영체제의 실행 및 제어, 각종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100c)의 각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표시부(210), 상태 검출부(220), 사용자 입력부(3310) 등)의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3310)는 예를 들면, 키, 터치 센서, 터치 스크린, 펜 인식 패널, 벤딩 센서, 생체 신호 검출 센서,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3310)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10)는 디바이스(100c)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3310)는 디바이스(100b)의 온/오프 지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지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3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표시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33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표시부(210)에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입력부(33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3310)는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것을 선택한 경우에만,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우선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S3402).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는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는 표시부(210)에 GUI의 형태로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는 상기 디바이스(100c)의 하우징의 소정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 키 버튼 등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210)의 소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을 검출하면(S3404), 제어부(23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해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6).
사용자 선택이 수신된 경우(S3406),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함께 표시한다(S3408).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S3406), 소정의 기준에 따라 표시부(210)의 화면을 변경한다(S3410). 상기 소정의 기준은 실시예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될 것으로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사용자가 설정 등의 메뉴에서 미리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크기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배치를 변경하는 등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보고 싶은 제2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선택한 상태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자동으로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멀티 윈도우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c)는 비대칭적인 모양으로 접히고,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부(210)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를 제1 영역(3510)을 통해 제공한다.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고,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3510)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선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2 표시부(320)에 표시되고, 제1 영역(3510)은 제1 표시부(31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3510)은 접힘 상태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제1 표시부(310)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영역(3510)에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가 표시되고, 제1 표시부(31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형태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3510)은 디바이스(100c)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터치 센서, 근접 센서 등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에 대한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의 제1 영역(3510)에 표시되거나, 표시부(210)의 겉으로 드러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대칭적인 접힘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부(21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소정의 영역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비대칭적인 접힘에 의해 드러나는 아래층의 영역을 이용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가리거나, 화면 배치를 복잡하게 만들지 않으면서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는,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한 경우에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접힘 상태에서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요청하는 제1 메뉴(3640)를 표시할 수 있다(S3610). 사용자는 제1 메뉴(3640)를 선택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메뉴(3640)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할 것을 요청한 경우, 제어부(230)는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650)를 표시한다(S3620). 사용자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650)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키 입력, 펜 입력, 음성 입력 등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650)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디바이스(100c)를 펼침 상태로 변경하면(S3630), 제어부(230)는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S3630). 앞서 도 3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 되었을 때, 소정의 기준에 따라 표시부(210)의 화면이 결정되고 표시될 수 있다.
도 36에서는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함께 제공하는 실시예에서도,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요청하는 제1 메뉴(364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펼침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1 메뉴(3640)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650)를 요청하면, 펼침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65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디바이스(100c)가 펼침 상태로부터 접힘 상태로 변화될 때,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로 인해 화면이 복잡해지거나,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가리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펼침 상태에서 제1 표시부(3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730)를 표시한다(S3710).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730)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디바이스(100c)가 일부 접힘 상태로 변경되면, 제어부(230)는 제1 표시부(3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320)의 겉으로 드러난 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S37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c)의 일부만을 휘거나 접는 간단한 제스처를 이용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c)는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디바이스(100c)의 하우징 상에 형성된 사용자 입력부(3310)의 구성요소(3810a, 3810b)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을 수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3310)의 구성요소인 터치 센서(3810a, 3810b)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가 차지하는 화면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디바이스(100c)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3310)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
우선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부(210)에 표시한다(S3902).
다음으로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을 검출하면(S3904), 제어부(23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S3906).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이 수신된 경우(S3908),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함께 표시한다(S39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된 후(S3904),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3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화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 후 용이하게 함께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0은 도 39의 S3906 단계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c)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어부(230)는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40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가 함께 표시된다.
우선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부(210)에 표시한다(S4102).
다음으로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4104),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함께 표시한다(S4106).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기준은, 예를 들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 결정,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 미리 결정된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따라 결정, 최근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 사용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이 수신된 경우(S4108),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함께 표시한다(S41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표시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 대체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표시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함께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된 후(S4104),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3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화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우선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열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접힘 상태에서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펼침 상태로 변경되면,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421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접힘 상태에서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4310),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표시부(2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요청하는 제1 메뉴(435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S4320).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제1 메뉴(4350)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4360)를 표시한다(S4330).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436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4340).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는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미리 저장된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우선 디바이스(100a)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4402),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4404), 제어부(230)가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S4406).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미리 저장된 것으로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매칭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낸 리스트이다.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c)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결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4408).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매칭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책인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사전이고, 제1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인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사진첩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자동으로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킴으로써,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었을 때, 사용자가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상태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이용 중, 디바이스(100c)가 펼침 상태로 변화되면, 제어부(230)가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사진첩으로 결정하고, SNS 화면과 함께 사진첩 화면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첩 화면으로부터 사진을 드래그 앤 드롭하는 등, SNS에 사진을 용이하게 업로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c)는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은 사용자의 현재 관심사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아,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100c)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4702),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4704), 제어부(230)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제어부(23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기 위해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을 분석한다(S4706).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은 예를 들면,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송신자 또는 수신자의 음성, 메신저의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S4708).
제2 어플리케이션이 결정되면, 제어부(230)는 결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4710).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전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통화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통화 내용을 인식하고, 통화 내용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통화 중 한 사용자가 “주말에 강남역에 놀러 갈까?”라고 이야기한 경우, 제어부(230)는 통화 내용 중 특정 지명이 포함된 것은 인식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지도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에 디바이스(100c)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서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때, 제어부(230)는 통화 내용에서 인식된 “강남역”을 검색한 지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신되거나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번에 갤럭시 s5가 새로 나왔대”라는 메시지가 발신되거나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에 디바이스(100c)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인 메신저의 화면 또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서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 창에 입력하여 검색한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a)의 접힘 형태를 변경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100a)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5002),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5004), 제어부(230)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제어부(230)는 우선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06). 상기 알림 이벤트는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메일 수신, 메신저 메시지 수신, SNS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알림 수신,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알림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5006), 상기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S5008).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다. 메일을 수신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메일 어플리케이션이다. 메신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SNS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알림을 수신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SNS 어플리케이션이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결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5012).
제어부(23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S5006), 소정의 기준에 따라 표시부(210)의 화면을 변경한다(S5010). 상기 소정의 기준은 실시예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될 것으로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사용자가 설정 등의 메뉴에서 미리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크기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배치를 변경하는 등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메신저 메시지가 수신되고, 디바이스(100c)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알림 이벤트를 나타내는 아이콘(5110)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b)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을 수행하여,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알림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는 컨텐츠 또는 링크가 수신된 경우,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컨텐츠 또는 링크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a)를 접거나 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링크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100a)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5202),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5204), 제어부(230)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제어부(230)는 우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 또는 링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6). 상기 컨텐츠는 예를 들면, 사진, 동영상, 음악, 연락처, 전자 명함 등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는 예를 들면, 인터넷 사이트 링크, 어플리케이션 실행 경로 링크,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정보 링크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컨텐츠 또는 링크를 수신한 경우(S5206),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상기 컨텐츠 또는 링크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S5208). 예를 들면, 사진을 수신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사진첩 어플리케이션, 사진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1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진 열람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1 어플리케이션 내의 동영상 열람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악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음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연락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전자 명함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전자 명함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인터넷 사이트 링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경로 링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설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정보 링크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지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결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5212).
제어부(230)는 컨텐츠 또는 링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S5206), 소정의 기준에 따라 표시부(210)의 화면을 변경한다(S5210). 상기 소정의 기준은 실시예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될 것으로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사용자가 설정 등의 메뉴에서 미리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기준은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크기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배치를 변경하는 등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진을 첨부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30)는 디바이스(100c)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2 어플리케이션을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디바이스(100c)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230)는 사진첩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에 첨부된 사진을 재생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4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지도 링크를 첨부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30)는 디바이스(100c)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제2 어플리케이션을 지도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디바이스(100c)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230)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링크에 해당하는 지점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는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우선 디바이스(100a)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5502),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5504), 제어부(230)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S5506).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최근에 실행한 어플리케이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선택 히스토리를 학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얻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결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5508).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는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
우선 디바이스(100a)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5602),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5604),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전 설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S5606).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펼쳤을 때, 항상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a)의 설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설정 메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결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5608).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정하여,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는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우선 디바이스(100a)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S5702),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5704),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한다(S5606).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시간, 스케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결정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한다(S5708).
도 58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 현재 시간, 및 일정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오늘 오후 3시에 서초동 성당에서 결혼식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현재 시간이 2시인 경우, 사용자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상태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을 수행하면, 현재 위치에서 결혼식 장소인 서초동 성당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c)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거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100c)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함과 함께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제공한다(S590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는 표시부(210)에 표시되어 GUI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는 앞서 도 35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를 제공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디바이스(100c)의 하우징의 소정 영역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태 검출부(220)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면(S5904), 제어부(230)는 윈도우 분할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906).
윈도우 분할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함께 표시한다(S5908). 제2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윈도우 분할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S5906),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S5910). 즉, 윈도우 분할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3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함 없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6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c)는 비대칭적인 모양으로 접히고,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부(210)에 표시하고,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6020)를 제4 영역(6010)을 통해 제공한다.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602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할지(Split Window), 표시하지 않을지(Full Window) 여부에 대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영역(6010)을 두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에 윈도우 분할 옵션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영역(6010)은 표시부(21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제4 영역(6010)은 접힘 상태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표시부(210)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부(2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4 영역(6010)에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6020)가 표시되고, 표시부(21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형태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영역(6010)은 디바이스(100c)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터치 센서, 근접 센서 등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6020)에 대한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의 제4 영역(6010)에 표시되거나, 표시부(210)의 겉으로 드러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대칭적인 접힘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21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소정의 영역에서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비대칭적인 접힘에 의해 드러나는 아래층의 영역을 이용하여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가리거나, 화면 배치를 복잡하게 만들지 않으면서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1은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접힘 상태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옵션을 선택하고, 디바이스(100c)를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변경한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62는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접힘 상태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옵션을 선택하고, 디바이스(100c)를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변경한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 펼침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거나, 화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c)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함께 표시할 때,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배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는 표시부(210) 또는 디바이스(100c)의 하우징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6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c)는 비대칭적인 모양으로 접히고,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부(210)에 표시하고,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6320)를 제5 영역(6310)을 통해 제공한다.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632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배치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예를 들면,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632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왼쪽에 배치할지, 오른쪽에 배치할지, 풀 스크린 형태로 배치할지에 대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영역(6310)을 세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에 윈도우 배치 옵션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영역(6310)은 표시부(21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제5 영역(6310)은 접힘 상태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표시부(210)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부(2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5 영역(6310)에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6320)가 표시되고, 표시부(21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형태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영역(6310)은 디바이스(100c)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터치 센서, 근접 센서 등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6320)에 대한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의 제5 영역(6310)에 표시되거나, 표시부(210)의 겉으로 드러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대칭적인 접힘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표시부(21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소정의 영역에서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비대칭적인 접힘에 의해 드러나는 아래층의 영역을 이용하여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가리거나, 화면 배치를 복잡하게 만들지 않으면서 윈도우 분할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배치를 결정함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배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64는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오른쪽에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오른쪽에 표시하는 옵션을 선택하고, 디바이스(100c)를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변경한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오른쪽에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왼쪽에 표시한다.
도 65는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옵션을 선택하고, 디바이스(100c)를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변경한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표시하지 않는다.
도 66은 윈도우 배치 선택 메뉴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왼쪽에 표시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접힘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왼쪽에 표시하는 옵션을 선택하고, 디바이스(100c)를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변경한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왼쪽에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오른쪽에 표시한다.
도 6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함께 표시될 때,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a)의 접힘 형태가 변경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함께 표시될 때,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6710)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를 가리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팝업 창의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의 접힘 형태가 변경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함께 표시될 때,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6710)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를 덮도록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를 덮도록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같은 크기로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6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이 검출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함께 표시될 때, 복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실시예에 따라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a)의 접힘 형태가 변경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함께 표시될 때,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복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분할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변경하거나, 복수의 화면 중 한 화면을 없애는 등의 동작이 가능하다.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하여,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20) 중 사용자가 바라보는 면의 표시부만 켜고, 사용자가 바라보는 면의 반대편의 표시부는 끌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표시부(310)가 배치된 면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 제2 표시부(320)는 오프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하기 위해, 카메라, 시선 검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때,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어플리케이션이 연락처인 경우,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a)를 펼치면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디바이스(100a)를 펼치거나 접으면 알림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문자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a)를 펼치면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d)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d)가 접힘에 따라 숨겨지는 제1면에 표시부(210c)가 배치되고,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2면에는 표시부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d)는 비대칭적인 모양으로 접히고, 디바이스(100d)가 접힌 상태에서 제1면의 일부가 겉으로 드러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d)가 접힌 상태에서 드러나는 제1면의 일부 영역 상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는 표시부(210)에 GUI의 형태로 표시된다. 표시부(210c)는 디바이스(100d)가 접힌 상태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제1 영역(7210)을 포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210c)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가 표시되는 제6 영역(7210)과 디바이스(100c)의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제7 영역(7220)이 실시예에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프레임 등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는 상기 디바이스(100d)의 하우징의 소정 영역에 배치된 터치 센서, 키 버튼 등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210)의 소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고,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영역(7210)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선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킬 수 있다.
도 7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을 이용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실행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d)가 접힌 상태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를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고 디바이스를 펼침 상태로 변경하면(S7402), 디바이스(100d)는 표시부(210c)의 소정의 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d)가 스마트폰이고, 접힌 상태에서 대기 모드에 있는 중에,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에서 전화 기능을 선택한 후, 디바이스(100d)를 펼침 상태로 전환하면(S7402), 표시부(210c)의 제8 영역(7410)에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고, 제9 영역(7420)에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S7404).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예를 들면, 대기 모드에서 화면을 켰을 때 나타나는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목록 화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d)를 이용하여 전화를 하는 중에,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을 인식하고, 통화 내용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단어가 인식되면,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에 포함시킨다. 음성 통화 내용의 인식은 다양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인식된 단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디바이스(100d)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d)가 접힌 상태에서 통화를 하는 중에 “일정”이라는 단어를 언급한 경우를 가정한다(S7532). 디바이스(100d)에 “일정”이라는 단어 및 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d)는 “일정”이라는 단어를 인식한다(S7532). 디바이스(100d)는 “일정”이라는 단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7510)를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 상에 배치한다(S7534).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d)는 인식된 단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선택 메뉴(7510)를 표시부(210a)를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시키고, 해당 선택 메뉴(7510)에 대응하는 그림 또는 문자를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 상에 추가로 배치된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메뉴(7510)를 이용하여,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디바이스(100d)를 펼침에 의해(S7534),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520)을 볼 수 있다(S7536).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바로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e)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e)는 롤러블 디바이스(rollable devic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0d)는 말려진 상태(rolled state)와 펼친 상태(unrolled state)의 두 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말려진 상태에서 디바이스(100e)의 소정의 부분(7610)을 잡고 당기거나, 소정의 버튼을 누름에 의해 디바이스(100e)를 펼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e)가 말려진 상태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디바이스(100e)의 소정의 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려진 상태에서 표시부(210d)를 보관하는 디바이스(100e)의 하우징의 소정의 영역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는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버튼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에서 선택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e)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결정되거나, 디바이스(100e)의 동작 모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7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e)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e)가 말려진 상태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S7702), 디바이스(100e)를 펼친 상태로 전환하면(S7704), 표시부(210d)가 드러나면서 표시부(210d)에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다(S7706).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동작(S7702)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부(210d)를 펼치는 동작(S7702)을 시작하기 이전에 수행되거나, 펼치는 동작(S7702)을 수행하는 중에 수행되거나, 표시부(210d)가 펼쳐진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3520)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디바이스(100e)는 미리 설정된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이미 실행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함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8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f)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f)의 구성은,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8에 따르면, 디바이스(100f)는 디스플레이부(7810), 제어부(7870), 메모리(7820), GPS 칩(7825), 통신부(7830), 비디오 프로세서(7835), 오디오 프로세서(7840), 사용자 입력부(7845), 마이크부(7850), 촬상부(7855), 스피커부(7860), 움직임 감지부(7865), 센서부(78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810)는 표시패널(7811) 및 표시 패널(78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7811)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7811)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810)는 사용자 입력부(7845)의 터치 패널(7847)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7811)과 터치 패널(7847)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82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787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87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820)는 디바이스(100f)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820)에는 잠금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7870)는 메모리(78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781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78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7870)는 메모리(78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부(78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870)는 디스플레이부(7810)의 일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70)는 RAM(7871), ROM(7872), CPU(7873), GPU(Graphic Processing Unit)(7874) 및 버스(78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RAM(7871), ROM(7872), CPU(7873) 및 GPU(7874) 등은 버스(787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7873)는 메모리(782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78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78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78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디바이스(100f)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7873)가 ROM(78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7820)에 저장된 OS를 RAM(78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7873)는 메모리(78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7871)에 복사하고, RAM(787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7874)는 디바이스(100f)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7810)의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7874)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7874)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7874)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7874)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78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7810)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GPS 칩(7825)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100f)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87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782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78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7830)는 와이파이칩(7831), 블루투스 칩(7832), 무선 통신 칩(7833), NFC 칩(78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870)는 통신부(78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7831), 블루투스 칩(78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7831)이나 블루투스 칩(78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78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783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7835)는 통신부(78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78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783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7840)는 통신부(78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78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78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787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7835) 및 오디오 프로세서(784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스피커부(7860)는 오디오 프로세서(784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84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845)는 키(7846), 터치 패널(7847) 및 펜 인식 패널(78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7846)는 디바이스(100f)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784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7847)이 표시 패널(7811)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7848)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7848)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7848)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7848)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7848)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7848)은 표시 패널(781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어, 표시 패널(7811)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부(785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7870)는 마이크 부(78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 동작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782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7855)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7855)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상부(7855) 및 마이크부(785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7870)는 마이크부(78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7855)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f)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7870)는 촬상부(785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7870)는 마이크부(78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7865)는 디바이스(100f)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f)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움직임 감지부(7865)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78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는, 디바이스(100f)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바이스(100f)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100f)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10)는 도 78의 디스플레이부(781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도 78의 제어부(787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7845)는 도 78의 사용자 입력부(7845)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검출부(220)는 도 78의 센서부(7880)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디바이스
110: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
120: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
210: 표시부
220: 상태 검출부
310: 제1 표시부
320: 제2 표시부
610: 접힘 영역
3310: 사용자 입력부

Claims (18)

  1.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면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친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면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상태 검출부는, 상기 제 2 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면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접는 일부 접힌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접힌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일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일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의 상기 제 1 면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면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친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면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를 통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관련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알림 이벤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면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제 1 면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접는 일부 접힌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접힌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일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일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 면의 상기 제 1 면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50026080A 2014-05-23 2015-02-24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927728.8A CN107103840B (zh) 2014-05-23 2015-05-22 可折叠装置及其控制方法
TW104116494A TWI596507B (zh) 2014-05-23 2015-05-22 可折疊裝置及其控制方法
CN201580000588.3A CN105452983B (zh) 2014-05-23 2015-05-22 可折叠装置及其控制方法
EP21169166.2A EP3872599A1 (en) 2014-05-23 2015-05-22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2010222887.4A CN111443773B (zh) 2014-05-23 2015-05-22 可折叠装置及其控制方法
EP15735832.6A EP2965184A4 (en) 2014-05-23 2015-05-22 A COLLEC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TW106116843A TWI762485B (zh) 2014-05-23 2015-05-22 可折疊裝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5/005142 WO2015178714A1 (en) 2014-05-23 2015-05-22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721,210 US20150338888A1 (en) 2014-05-23 2015-05-26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7/571,584 US11886252B2 (en) 2014-05-23 2022-01-10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544 2014-05-23
KR20140062544 2014-05-23
KR1020140127683A KR20150135038A (ko) 2014-05-23 2014-09-24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0127683 2014-09-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849A Division KR20160032079A (ko) 2014-05-23 2016-03-11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60A true KR20150135060A (ko) 2015-12-02
KR101713167B1 KR101713167B1 (ko) 2017-03-07

Family

ID=54883378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83A KR20150135038A (ko) 2014-05-23 2014-09-24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0026080A KR101713167B1 (ko) 2014-05-23 2015-02-24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0029849A KR20160032079A (ko) 2014-05-23 2016-03-11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024576A KR102074516B1 (ko) 2014-05-23 2018-02-28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0012238A KR102321293B1 (ko) 2014-05-23 2020-01-31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45544A KR102432119B1 (ko) 2014-05-23 2021-10-28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83A KR20150135038A (ko) 2014-05-23 2014-09-24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849A KR20160032079A (ko) 2014-05-23 2016-03-11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024576A KR102074516B1 (ko) 2014-05-23 2018-02-28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0012238A KR102321293B1 (ko) 2014-05-23 2020-01-31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45544A KR102432119B1 (ko) 2014-05-23 2021-10-28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6) KR20150135038A (ko)
CN (2) CN105452983B (ko)
TW (2) TWI762485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60A (ko) * 2015-12-16 2017-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179905A1 (ko) * 2016-04-12 2017-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94059A (ko) * 2016-09-29 2018-08-22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스마트 팔찌
WO2019147031A1 (ko) * 2018-01-26 2019-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162713A1 (ko) * 2019-02-10 2020-08-13 심성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01674A (ko) * 2019-02-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213984A1 (en) 2019-04-18 2020-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for providing split screen
KR20200122386A (ko) * 2018-08-29 2020-10-27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페이지 전환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컴퓨터 기기
WO2020218742A1 (ko) * 2019-04-24 2020-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2685255A (zh) * 2020-12-30 2021-04-20 恒安嘉新(北京)科技股份公司 一种接口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048379B2 (en) 2016-08-03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2025720A1 (ko) * 2020-07-30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4662515A (zh) * 2016-04-26 2022-06-24 手持产品公司 用于采用立体成像来解码可解码标记的标记读取设备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866B1 (ko) * 2016-01-07 202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3269B1 (ko) * 2016-01-18 2022-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06095243B (zh) * 2016-06-15 2019-0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复制粘贴的方法及移动终端
KR102574183B1 (ko) * 2016-08-19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36648B1 (ko) *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CN106484283A (zh) * 2016-09-19 2017-03-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6228911A (zh) * 2016-09-29 2016-12-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状态检测方法
CN108091298B (zh) * 2016-11-22 2019-11-1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屏及其显示控制方法
US10372398B2 (en) * 2017-04-04 2019-08-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interactable user interface surface on the external shell
CN106951163B (zh) * 2017-04-05 2021-06-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7232700A (zh) * 2017-06-12 2017-10-10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
CN107146529A (zh) 2017-07-13 2017-09-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柔性显示屏的显示方法、柔性显示装置
KR102536140B1 (ko) 2017-09-18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07678724A (zh) * 2017-10-19 2018-02-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7656685A (zh) * 2017-10-19 2018-02-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虚拟目标运动的方法和终端
CN107786740A (zh) * 2017-10-19 2018-03-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来电控制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44228B (zh) * 2017-10-24 2021-03-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7809504B (zh) * 2017-11-07 2019-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765959B (zh) * 2017-11-07 2020-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后台应用程序显示方法和终端
CN107704177B (zh) * 2017-11-07 2020-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7943374B (zh) * 2017-12-14 2020-04-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终端中应用程序的启动方法及可折叠终端
CN108228275B (zh) * 2017-12-18 2021-08-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8196743A (zh) * 2017-12-26 2018-06-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中应用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8319436A (zh) * 2018-01-18 2018-07-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屏移动终端屏幕显示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8255378B (zh) * 2018-02-09 2020-05-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262962B1 (ko) * 2018-02-14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 또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8459815B (zh) * 2018-03-16 2020-06-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TWI707253B (zh) * 2018-05-24 2020-10-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第二螢幕之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540815B1 (ko) * 2018-06-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192113B (zh) * 2018-06-29 2021-12-0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787298A4 (en) * 2018-06-29 2021-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SCREEN DISPLAY PROCESS AND TERMINAL
KR102527064B1 (ko) * 2018-07-13 2023-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837324A (zh) * 2018-08-15 2020-02-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用标识的显示方法、装置、多屏终端及存储介质
CN112262366B (zh) * 2018-08-15 2023-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装置
KR102554087B1 (ko) 2018-08-28 2023-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딩 축을 중심으로 분산 배치된 무선 통신 회로들을 갖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1465917A (zh) * 2018-09-25 2020-07-2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弯折电子设备及其界面适配方法
KR102604051B1 (ko) 2018-10-16 2023-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1081143B (zh) * 2018-10-22 2022-08-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42552A (zh) * 2018-10-24 2019-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20200057392A (ko) * 2018-11-16 2020-05-26 (주)대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덮는 투명 커버, 투명 커버의 제조 방법 및 투명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542398B1 (ko) * 2018-11-29 2023-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CN109582477A (zh) * 2018-11-30 2019-04-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文件传输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09542328B (zh) * 2018-11-30 2021-04-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675919B1 (ko) * 2018-11-30 2024-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118490A1 (zh) * 2018-12-10 2020-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自动分屏的方法、图形用户界面及电子设备
CN109656439A (zh) 2018-12-17 2019-04-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快捷操作面板的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639547B1 (ko) 2019-01-02 2024-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703500B1 (ko) * 2019-01-10 202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CN109782976B (zh) 2019-01-15 2020-12-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00100923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00926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610818B (zh) 2019-02-22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终端和可折叠终端的亮屏控制方法
CN113504866A (zh) * 2019-02-22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961694B (zh) 2019-02-28 2023-02-28 重庆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09976633B (zh) * 2019-03-15 2021-10-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交互方法及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682500B1 (ko) * 2019-03-26 2024-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KR20200117638A (ko) 2019-04-0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굴곡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0033702B (zh) * 2019-04-12 2021-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706227B1 (ko) * 2019-04-17 2024-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CN110032327A (zh) * 2019-04-18 2019-07-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折叠屏移动终端的手势操作方法及移动终端
KR20200128286A (ko) 2019-05-02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표시 장치
KR20200128925A (ko) * 2019-05-07 2020-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CN110225186A (zh) * 2019-05-13 2019-09-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可折叠式电子设备
KR20200132008A (ko) 2019-05-15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제공 방법
KR20200135599A (ko) * 2019-05-22 2020-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46110B1 (ko) * 2019-06-14 2022-09-22 박신호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7138A (ko) 2019-08-07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4303113A (zh) 2019-08-19 2022-04-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CN110673694A (zh) * 2019-08-20 2020-0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打开方法和电子设备
CN112615947B (zh) * 2019-09-18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快速进入应用的方法与折叠屏电子设备
KR20210041768A (ko) * 2019-10-08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046475A (ko) * 2019-10-18 202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기능 구동 방법
CN111026350A (zh) * 2019-11-28 2020-04-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016651A (zh) * 2019-12-10 2020-04-17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车辆、车机设备、可扩展式车机显示屏幕及控制方法
KR20210082316A (ko) 2019-12-24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10082910A (ko) * 2019-12-26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10117605A (ko) 2020-03-19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17643A (ko) * 2020-03-19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26175A (ko) 2020-04-09 2021-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431379B (zh) * 2020-04-20 2021-04-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电路和电子装置
KR20210132491A (ko) * 2020-04-27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3687743A (zh) * 2020-05-18 2021-1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627333B (zh) * 2020-05-26 2022-08-09 张骁 可穿戴显示设备及穿戴辅助组件
CN115668900A (zh) 2020-05-27 2023-01-31 三星电子株式会社 臂结构、包括臂结构的铰链结构以及包括铰链结构的电子设备
KR20220007469A (ko) * 2020-07-10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22512A (ko) 2020-08-18 2022-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29904A (ko) * 2020-09-02 2022-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20033262A (ko) 2020-09-09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윈도우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220064655A (ko) * 2020-11-12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WO2022114892A1 (ko) 2020-11-30 2022-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방향 확장 장치 및 방법
KR20220078782A (ko) * 2020-12-03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2119058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세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87659A (ko) 2020-12-17 2022-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구동 방법
CN112527152B (zh) * 2020-12-18 2023-01-06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触控区域控制方法、装置、触控系统以及电子设备
US11922842B2 (en) 2021-05-26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extendable display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KR20220159715A (ko) * 2021-05-26 202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컨텐츠 제공 방법
CN113241012A (zh) * 2021-06-11 2021-08-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241013B (zh) * 2021-06-18 2022-08-1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和可折叠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20230009222A (ko) 2021-07-08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화면 분할 방법
KR20230023386A (ko) 2021-08-10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출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4054041A1 (ko) * 2022-09-06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4080727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및 비 일시적 저장 매체
CN115866127A (zh) * 2022-11-29 2023-03-28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折叠屏的终端设备的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6320110A (zh) * 2023-03-09 2023-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拨号方法及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226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6082A (ko) * 2012-07-30 2014-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24145A (ko) * 2012-08-20 201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37041A1 (en) * 2012-11-14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rranging for list i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698A (en) * 1996-09-17 1998-12-08 Dataventures, Inc. Electronic book device
US6144358A (en) * 1997-08-20 2000-11-07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electronic devices having open and closed configurations
WO2001053919A2 (en) * 2000-01-24 2001-07-26 Spotware Technologies, Inc. Compactable/convertible modular pda
JP4576843B2 (ja) * 2004-01-29 2010-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
US7782274B2 (en) * 2006-06-09 2010-08-24 Cfph, Llc Folding multimedia display device
US9009984B2 (en) * 2008-09-08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60718B1 (ko) * 2009-05-29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EP2287702B1 (en) * 2009-08-17 2018-05-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734405B1 (en) * 2011-02-10 2024-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927839B2 (en) *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KR101801359B1 (ko) * 2011-07-28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43357B1 (ko)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01651B1 (ko) * 2013-05-21 2015-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용탕 균일공급을 위한 박판 주조용 노즐
TWM475986U (en) * 2013-12-23 2014-04-11 Portwell Inc Foldable multi-screen machin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226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6082A (ko) * 2012-07-30 2014-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24145A (ko) * 2012-08-20 201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37041A1 (en) * 2012-11-14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rranging for list i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60A (ko) * 2015-12-16 2017-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179905A1 (ko) * 2016-04-12 2017-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CN114662515A (zh) * 2016-04-26 2022-06-24 手持产品公司 用于采用立体成像来解码可解码标记的标记读取设备和方法
US11048379B2 (en) 2016-08-03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94059A (ko) * 2016-09-29 2018-08-22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스마트 팔찌
WO2019147031A1 (ko) * 2018-01-26 2019-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90982A (ko) * 2018-01-26 2019-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586249B2 (en) 2018-01-26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ective display of graphic objects
KR20200122386A (ko) * 2018-08-29 2020-10-27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페이지 전환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컴퓨터 기기
WO2020162713A1 (ko) * 2019-02-10 2020-08-13 심성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01674A (ko) * 2019-02-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22725A (ko) * 2019-04-18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213984A1 (en) 2019-04-18 2020-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for providing split screen
CN113748407B (zh) * 2019-04-18 2024-07-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显示提供分屏的对象的电子装置和方法
US11042284B2 (en) 2019-04-18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for providing split screen
CN113748407A (zh) * 2019-04-18 2021-12-0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显示提供分屏的对象的电子装置和方法
EP3931678A4 (en) * 2019-04-18 2022-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FOR PROVIDING SPLIT SCREEN
WO2020218742A1 (ko) * 2019-04-24 2020-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2094393B2 (en) 2019-04-24 2024-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WO2022025720A1 (ko) * 2020-07-30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2099708B2 (en) 2020-07-30 2024-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12685255A (zh) * 2020-12-30 2021-04-20 恒安嘉新(北京)科技股份公司 一种接口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6661A (zh) 2015-12-16
CN107103840B (zh) 2020-03-20
KR20160032079A (ko) 2016-03-23
TW201729041A (zh) 2017-08-16
KR102074516B1 (ko) 2020-02-06
KR102321293B1 (ko) 2021-11-04
KR101713167B1 (ko) 2017-03-07
KR20180027467A (ko) 2018-03-14
TWI762485B (zh) 2022-05-01
CN105452983A (zh) 2016-03-30
KR20210133201A (ko) 2021-11-05
KR20200014878A (ko) 2020-02-11
TWI596507B (zh) 2017-08-21
KR20150135038A (ko) 2015-12-02
KR102432119B1 (ko) 2022-08-16
CN107103840A (zh) 2017-08-29
CN105452983B (zh)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119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1443773B (zh) 可折叠装置及其控制方法
US99526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US108412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11119651B2 (en) Method for displaying multi-task management interface,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213467B2 (en) Interaction method and interaction device
KR101688154B1 (ko) 인터넷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086090A (ko)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321730A1 (en) Search system, serv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earch system and server system
US2015006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US9182954B2 (en) Web browser having user-configurable address bar button
KR10203240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307349B1 (ko) 검색 장치 및 방법
CN105446602B (zh) 定位文章关键词的装置和方法
CN109240512A (zh) 计算机设备、键盘及界面展示方法、装置
KR102138728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태그 정보 처리 방법
KR20150075989A (ko) 컨텐츠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