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049A -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 - Google Patents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049A
KR20150135049A KR1020147024858A KR20147024858A KR20150135049A KR 20150135049 A KR20150135049 A KR 20150135049A KR 1020147024858 A KR1020147024858 A KR 1020147024858A KR 20147024858 A KR20147024858 A KR 20147024858A KR 20150135049 A KR20150135049 A KR 20150135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elastic
tooth
connection
tra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앙민 창
싱 초우
Original Assignee
시앙민 창
싱 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320063137.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337001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043949.5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961201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423353.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434377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423258.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434374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423417.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43437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423312.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434375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423315.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43437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423355.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434378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733988.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739564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738009.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739565B/zh
Application filed by 시앙민 창, 싱 초우 filed Critical 시앙민 창
Publication of KR2015013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0Tooth pincett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무호흡 저호흡 증후군 또는 코골기(OSAHS)를 치료하기 위한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는 혓바닥 연결기구, 탄성 견인체와 치아측 고정기를 포함한다. 혓바닥 연결기구는 혓바닥부에 구비되고, 치아측 고정기는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에 고정되며, 탄성 견인체의 일단은 치아측 고정기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혓바닥 연결기구와 연결되어 치아측 고정기를 지점으로 하는 탄성견인장치를 형성함으로써 하수된 설근을 앞으로 당기고 설인두부의 기도의 협소와 막힘을 방지하며 코골기와 OSAHS를 치료한다. 탄성 견인체가 혓바닥부에 대하여 탄성 견인력을 인가하므로, 설근이 적당하게 당겨지는 동시에 혀끝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비교적 똑똑한 언어발음기능과 적절한 삼키기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또 양호한 쾌적성도 구비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은 또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와 배합 사용되는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에 대하여 공개하였다.

Description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 {TONGUE BACK ELASTIC TRACTION APPARATUS, HOLDING CLAMP, MOUNTING CLAMP, THREAD GUIDING APPARATUS, AND IMPLANTING METHOD}
본 발명은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쇄성 수면무호흡 저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하기 OSAHS라고 칭함)을 치료하기 위한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에 조합 사용되는 도구인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저호흡 증후군(OSAHS)은 수면 시에 상기도의 연조직에 꺼짐, 막힘이 발생하여 초래되는 코골이, 무호흡과 저호흡을 임상적 특징으로 하는 수면 호흡 장애성 질환이다.
OSAHS의 발병 메커니즘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다요소의 공동작용에 의해 초래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가 협소한 것 외에도, 주요원인은 수면 시에 상기도 개방을 유지하는 인두확장근육이 느슨해져 연조직 꺼짐현상이 발생하고 나아가서 막힘을 초래하는 것이다. 막힘 부위는 대부분이 구개인두와 설인두 평면에 위치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20%-25%의 OSAHS환자는 단순한 구개인두 평면의 꺼짐에 의해 초래된 것이고, 15%-20%의 OSAHS환자는 단순한 설인두 평면의 꺼짐에 의해 초래된 것이며, 50%-70%의 OSAHS환자는 동시에 구개인두와 설인두 평면의 꺼짐에 의해 초래된 것인 즉 혼합형 OSAHS환자에 속한다.
설하수 꺼짐에 의해 초래된 OSAHS를 치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중국특허출원 CN102198010A에서 식립형의 설근견인장치를 공개하였고, 해당 발명은 임상적으로 비교적 좋은 치료효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설근 꺼짐으로 인한 중등도 또는 중증 OSAHS환자의 수술치료에 적용된다.
이 밖에, 기존기술에 의하면 코골기와 OSAHS를 치료하기 위한 각종 구강 교정기가 존재한다. 기존기술에 따른 구강 교정기는 주로 구강 내에 장치를 장치시켜 하악을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혀를 앞으로 당김으로써 인강을 확대시켜 수면 시의 기도 막힘을 해소하는 것이다. 해당 방법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방법이 있고 일정한 효과가 있지만 대부분 환자들은 이러한 방법에 적응하기 어렵다. 구강 교정기는 일정한 자극성과 이물감이 있어 잠들기가 어렵고 또한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악관절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기술에 따른 구강 교정기 중에 존재하는 각종 결함을 극복함으로써 설하수 꺼짐으로 인해 초래되는 경도 또는 중등도OSAHS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상처가 더욱 작고 더욱 편안하며 사용이 더욱 편리한 혓바닥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혓바닥 연결기구(1), 탄성 견인체(2) 및 치아측 고정기(3)를 포함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설하수(glossoptosis)를 방지할 수 있는 혀점막하 터널식(submucosal tunnel) 견인연결기구(100)이거나 또는 혓바닥 위치에 구비되는 연결체(101)이고,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탄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연장될 수 있고 복원력을 형성하며 외력이 해제된 후 원시적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탄성 띠상 물체이거나 또는 탄성 사상 물체이거나 또는 스프링상 물체이거나 또는 탄성 띠상 물체를 포함하는 탄성기구이거나 또는 탄성 사상 물체를 포함하는 탄성기구이거나 또는 스프링상 물체를 포함하는 탄성기구이며,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브래킷(support bracket)(31)과,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될 수 있는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 및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에 고정시킬 수 있는 치아측 고정기구(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상기 지지 브래킷(31)에 설치되며, 베어링 지점으로서의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측 고정기구(33)를 통하여 치아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거나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측 고정기구(33)를 통하여 윗입술 밖 또는 아랫입술 밖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은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는 하기와 같다. 혀의 유곽유두 전방의 혓바닥 영역에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를 설립한 후,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에 고정된 치아측 고정기(3)를 지점으로 탄성 견인체(2)를 통하여 혓바닥 영역에 대하여 탄성 견인을 진행한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혓바닥 점막층 하에 설립되고 또한 구강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너비를 구비하므로,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이용하여 혓바닥 영역에 대하여 견인을 진행할 때 설근부에서 트렌치 효과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비교적 작은 견인력으로 하수된 설근부를 효과적으로 당겨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장시켜 OSAHS를 치료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견인하는 부위는 설근부와 가까운 유곽유두 전방의 혓바닥 영역으로서, 혀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되지 않고 다만 혓바닥 점막하의 깊이가 1cm 이하인 위치에서 구강을 따라 가로 너비가 1.5cm 이상인 혓바닥 범위에서 일정한 횡방향 면적을 가지는 탄성 견인을 진행한다. 이로써, 설근부를 효과적으로 당기는 동시에 혀끝과 혀체의 운동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이용하여 혀 견인을 진행할 때, 설근부에 대하여 적당한 견인력을 유지하고 설근하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혀끝과 혀체의 운동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아, 환자는 입을 다물고 호흡할 수 있다. 이로써 기존 기술에 따른 OSAHS교정기를 장착한 후 구강을 닫을 수 없고 침을 잘 흘리는 결점을 극복하였고, 똑똑한 언어기능과 적당한 삼키기 기능을 유지하였으며, 환자의 사용 쾌적성을 향상시켰다.
진일보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혀의 유곽유두(circumvallate papillae) 전방의 구강을 따라 세로 길이(L)가 0cm~5cm, 가로 너비(W)가 0.2cm~6cm, 깊이(H)가 0cm~1.0cm인 혓바닥 영역에 구비된다. 상기 혓바닥 영역 내에서 혓바닥 연결기구(1)를 설치 및 고정시킨다. 탄성 견인체(2)를 사용하여 상기 혓바닥 영역에 설치된 혓바닥 연결기구(1)에 대하여 탄성 견인을 진행할 경우, 비교적 작은 탄성 견인력으로 설근하수에 따른 꺼짐으로 인한 설인두부 기도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비교적 양호한 설근당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설근이 효과적으로 당겨진 후, 설인두부의 기도는 효과적으로 확대되어, 사용된 견인력이 작을 수록 혀의 운동에 대한 간섭도 작고, 혀가 당겨진 후의 쾌적성도 더욱 양호하다. 만약 상기 혓바닥 견인 영역을 넘어 설근부에 가까워지면 이물감이 강하고 불편감이 더해지며 환자는 이에 적응하고 견디기 어렵게 된다. 만약 혀끝부에 가까이 하여 당길 경우, 더욱 큰 견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또한 혀끝부의 양호한 신축성으로 인해 혀끝부에 대한 견인은 설근부를 효과적으로 앞당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장시키기 어렵고 설근하수에 따른 꺼짐으로 인한 설인두부 기도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어려우며 발음과 삼키기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혓바닥 영역은 혓바닥 연결기구(1)를 식립하는 최적 영역으로서, 가장 양호한 설인두부의 기도 확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혀의 운동에 지나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또한 양호한 발음과 삼키기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바, 이는 도33을 참조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가 치아측 고정기(3)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에서 형성하는 탄성 견인력은 15g~300g 사이이다. 상기 탄성 견인력의 범위는 최적화 후의 탄성 견인력 관련 범위로서, 환자의 개별적인 차이 및 혀 중량의 크기에 따라 의사의 지도하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로써, 설하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당겨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설하수 꺼짐으로 인한 설인두부 기도의 협소와 막힘을 개선시킬 수 있고, 혀의 운동에 지나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아, 양호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양호한 혀운동 기능을 유지함으로써 똑똑하게 발음하고 원활하게 음식을 삼킬 수 있으며 편안하게 잠들 수 있다.
진일보로, 혓바닥 연결기구(1)의 혀점막하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는 꺼낸 후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100-2)가 제거된 후 보류된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이거나 또는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식립한 후 혀점막하에서 형성된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이다. 여기서 공개된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구조는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이다.
상기 꺼낸 후 혓바닥 위치에서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100-2)는 의용 고분자재료 파이프 또는 의용 고분자재료 스프링파이프 또는 의용 고분자재료 와이어 또는 의용 고분자재료 띠 또는 의용 금속재료 파이프 또는 의용 금속재료 스프링파이프 또는 의용 금속재료 와이어 또는 의용 금속재료 띠를 사용한다.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은 의용 고분자재료 박벽 파이프 또는 의용 고분자 스프링파이프 또는 의용 금속 박벽 파이프 또는 의용 금속재료 스프링파이프를 사용한다.
진일보로, 상기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는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이고,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 양단에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는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을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이탈 방지의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에는 혀점막 표면과 매칭되는 평활면(100-4-2)을 포함한다.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의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양단에 모두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는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을 구비하므로,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이 혀점막하에 식립될 때,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은 외력의 작용하에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이 혀점막하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과 혀점막은 면접촉으로서, 이는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이 혀점막 표면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키고 사용자의 쾌적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 양단의 2개 평활면(100-4-2) 사이의 협각(β)은 90°~180°사이이다. 최적화를 거쳐, 상기 협각(β)은 100°~150°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혀체의 생물학적 형상은 일정한 각도를 구비하는 아치형 구조이므로,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의 양단의 2개의 평활면(100-4-2) 사이에 하나의 협각(β)을 형성하고,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이 혀점막하에 식립된 후,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은 혀체 표면 점막에 더욱 잘 접합되어 환자의 사용 과정 중에서의 쾌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는 의용 실리콘 또는 의용 고무 또는 의용 라텍스 또는 의용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용 연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는 의용 연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특히 의용 실리콘 또는 의용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제조할 경우,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를 혀점막하에 식립한 후, 혀의 운동에 따라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의 형상을 적당하게 개변시키거나 자동 조절할 수 있어 혀점막하의 통로에 잘 적응할 수 있다. 유연한 재질은 또한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이 혀점막 조직과 접촉할 때 더욱 좋은 유연성을 구비하도록 하여 혀점막 조직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고 환자의 의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체(101)는 혀점막하에 전부 식립할 수 있는 풀식립형 연결체(102)이거나 또는 일부가 혀점막하에 식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혀점막 밖에 노출되는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이거나 또는 혓바닥 점막에 고정할 수 있는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104)이다. 여기서 혓바닥 위치에 구비되는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체(101)와 혀 사이의 3가지 상이한 연결방식에 대하여 공개하였다. 즉, 풀식립형 , 하프식립형 및 표면접합형이다.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는 자성을 가지는 편평상 물체(102-1)이다.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의 자성을 가지는 편평상 물체(102-1)는 자성유닛(1021-1) 및 베이스체(1021-2)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유닛(1021-1)은 베이스체(1021-2)에 분포된다. 상기 자성유닛(1021-1)과 베이스체(1021-2)의 연결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는 바, 상기 자성유닛(1021-1)은 베이스체(1021-2)에 의해 완전히 피복될 수 있고, 또는 유연한 베이스체(1021-2)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또는 베이스체(1021-2)에 의해 그리드방식으로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의 자성을 가지는 편평상 물체(102-1)와 상기 탄성 견인체(2) 사이는 자성 연결이다.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 또는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식립부분에 식립물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는 스루홀(106) 또는 돌출계단(105)이 구비된다.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는 혓바닥 점막하에 장기적으로 식립될 수 있는 지지체(11)와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될 수 있고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지지체(11)에 설치된다.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상기 탄성 견인체(2)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오목홈(12-1) 또는 연결 돌출계단(12-2) 또는 연결훅(12-3) 또는 연결고리(12-6)이다.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지지체(11)는 호형 지지체 또는 U형 지지체 또는 링 지지체 또는 타원형링 지지체이다.
진일보로, 상기 혓바닥 탄성연결기구(1)가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일 경우,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지지체(11)는 탈착 불가한 일체화 구조이다. 상이한 재료 특성에 따라,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일반적으로 CNC 가공, 정밀 주조, 사출 성형 등 공예에 따라 제조된다.
상기 혓바닥 탄성연결기구(1)가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일 경우,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지지체(11)는 탈착 가능한 조립식 구조이다. 이러한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지지체(11)는 탈착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서 지지체(11)로 하여금 편리하게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통과하여 장착과 탈착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스레드 연결 또는 요철 맞춤 연결 또는 억지 끼워맞춤 연결 또는 접합의 방식에 의해 지지체(11)에 장착된다. 물론, 기타 형식의 탈착 가능한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진일보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가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일 경우,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 돌출계단(12-2)과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 오목홈(12-1)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오목홈(12-1)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오목홈(12-1)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에 분포된다.
상기 연결 오목홈(12-1)은 연결 돌출계단(12-2)의 축방향과 수직되는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및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과 공간적 교차를 형성하는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과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10°~90˚사이이다.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및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에 대하여 공간적 위치결정과 고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띠상구조를 사용하고, 상기 띠상 구조의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가 혀측 연결홀(21-1)일 경우, 상기 혀측 연결홀(21-1)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을 통과한 후,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치아측을 향하여 상기 띠상 구조의 탄성 견인체(2)를 힘껏 당길 경우, 상기 혀측 연결홀(21-1)의 가장자리는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내에 자동적으로 걸려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및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의 공간적 교차의 조합식 고정을 형성한다.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에 수직되고, 연결 돌출계단(12-2)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러한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연결 돌출계단(12-2)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구조는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과 서로 배합되어 탄성 견인체(2)에 대한 공간적 교차 고정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혀운동 시에 이탈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은 표면이 평활한 반구형 또는 원추형이다. 여기서 말하는 표면이 평활한 연결 돌출계단(12-2)은 각종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는 바, 반구형 또는 원추형이 바람직하고, 그 표면에 뾰족한 가장자리 또는 돌기가 없다.
상기 혓바닥 탄성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지지체(11) 사이에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가장자리에 의한 혀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는 원추형 전이기구(12-4)가 구비되고,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접근한 위치의 직경(d12)은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의 상기 지지체(11)와 접근한 위치의 직경(d11)보다 크며,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 사이에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혓바닥 연결기구에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혀표면 점막의 면접촉을 실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가장자리가 혀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키고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104)는 혓바닥 점막 표면에 접합 또는 흡착될 수 있는 지지 베이스(104-1)와,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되는 연결기구(104-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104-2)는 연결 오목홈(1042-1) 또는 연결 돌출계단(1042-2) 또는 연결훅(1042-3)이며, 상기 연결기구(104-2)는 상기 지지 베이스(104-1)에 구비된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혀측 연결기구(21)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고정기(3)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치아측 연결기구(22)를 포함한다.
진일보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와 혓바닥 연결기구(1)는 탈착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혀측 연결기구(21)는 혀측 연결홀(21-1) 또는 혀측 연결 돌출계단(21-2) 또는 혀측 연결훅(21-3) 또는 혀측 연결선(21-4) 등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의 몇가지 구체적인 연결방식에 대하여 공개하였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와 치아측 고정기(3)는 탈착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치아측 연결홀(22-1) 또는 치아측 연결 돌출계단(22-2) 또는 치아측 연결훅(22-3) 또는 치아측 연결선(22-4)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 견인체(2)와 치아측 고정기(3) 사이의 몇가지 구체적인 연결방식에 대하여 공개하였다.
진일보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탄성박막 또는 탄성 띠상물이고, 상기 의용 탄성박막 또는 탄성 띠상물은 의용 실리콘 박막 또는 의용 라텍스 박막 또는 의용 폴리우레탄 박막 또는 의용 고무 박막 또는 탄성 의용 재료 편직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며, 상기 의용 탄성박막 또는 탄성 띠상물의 두께는 0.01mm~3mm 사이이다. 여기서 최적화 후의 상기 탄성 견인체(2)의 박막 두께를 공개하였고, 상기 두께범위 내에서 필요한 탄성 견인력, 즉 300g 이하의 견인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탄성 선상물이고, 상기 의용 탄성 선상물은 의용 실리콘 또는 의용 라텍스 또는 의용 폴리우레탄 또는 의용 고무 또는 탄성 의용 재료 편직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며, 상기 의용 탄성 선상물의 직경은 0.05mm~5mm 사이이다. 여기서 최적화 후의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직경을 공개하였고, 상기 직경 범위 내에서 필요한 탄성 견인력, 즉 300g 이하의 견인력을 얻을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혀측 연결기구(21), 탄성 변형기구(20) 및 치아측 연결기구(22)를 포함하고,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와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에 하나의 혀측 연결홀(21-1)이 구비되어 있고, 치아측 연결기구(22)에 적어도 하나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와 치아측 연결기구(2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 복수개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상이한 위치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탄성 견인력의 세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혀측 연결기구(21)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보다 크고,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상기 혀측 연결기구(21) 또는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서는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은 상기 혀측 연결기구(21) 또는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의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종 성능의 탄성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제조할 경우,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작고 혀측 연결기구(21)의 횡단면의 면적보다도 작다. 일반적으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횡단면의 면적은 오직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혀측 연결기구(21)의 횡단면의 면적의 30% 또는 30% 이하이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에 구비된 혀측 연결홀(21-1)의 주위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1-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혀측 연결홀(21-1) 주위의 돌기에지(21-1-1)는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와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어,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가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에 구비된 치아측 연결홀(22-1)의 주위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2-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 주위의 돌기에지(22-1-1)는 치아측 고정기(3)를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어,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가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탄성 견인체(2)는 일체화 제조기술을 통하여 하나의 일체로 형성하여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탄성 견인체(2)를 포함한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치아측 연결기구(22), 탄성 변형기구(20) 및 혀측 연결기구(21)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양단에 위치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 적어도 하나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구비하며,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중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치아측 연결기구(2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상기 혀측 연결기구(21)를 통하여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서로 연결된다.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의 탄성 변형량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보다 크고,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상기 혀측 혓바닥 연결기구(1)에서는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의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변형 저항력은 적어도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3배 이상이다.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의 탄성 변형량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보다 크다.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서는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의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탄성 변형 저항력은 적어도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3배 이상이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긴띠상의 탄성물체로서,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탄성 변형기구(20), 혀측 연결기구(21) 및 혓바닥 연결기구(1)는 치아측 연결기구(22)-탄성 변형기구(20)-혀측 연결기구(21)-혓바닥 연결기구(1)-혀측 연결기구(21)-탄성 변형기구(20)-치아측 연결기구(22)의 순서에 따라 배열된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에 구비된 치아측 연결홀(22-1)의 주위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2-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기에지(22-1-1)는 치아측 고정기(3)를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어, 상기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가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종 성능의 탄성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제조할 경우,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작고 혓바닥 연결기구(1)의 횡단면의 면적보다도 작다. 일반적으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횡단면의 면적은 오직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혓바닥 연결기구(1)의 횡단면의 면적의 30% 또는 30% 이하이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에 대하여 300g 이하의 견인력을 인가하는 작업상태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지만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혓바닥 연결기구(1)에서는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밖에,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상기 탄성 변형기구(20) 사이의 전이영역은 상기 혀측 연결기구(21)를 구성한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로부터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과 서로 매칭되는 아크섹션을 가진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혓바닥의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로부터 통과될 수 있고,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에 대하여 효과적인 지지 고정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2개의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상기 일체형 탄성 견인체(2)의 양단에 위치하여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되도록 한다. 치아측 연결기구(22)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변형기구(20)는 혀에 대하여 적당한 탄성 견인력을 인가할 수 있어, 꺼진 설근을 앞으로 당겨 설근 꺼짐으로 인한 OSAHS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혀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아 코골기 또는 OSAHS를 치료하는 동시에 양호한 언어능력을 보류하여 환자의 쾌적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자성연결방식에 의해 치아측 고정기(3)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의용 실리콘으로 피복한 NdFeB 자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철 자성을 구비하는 의용 스테인리스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며,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자성에 의해 상기 치아측 고정기(3)에 흡착될 수 있다. 물론, 기타 구체적인 구조의 자성 연결기구로 설계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는 자성연결방식에 의해 혓바닥 연결기구(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는 의용 실리콘으로 피복한 NdFeB 자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철 자성을 구비하는 의용 스테인리스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를 혓바닥 영역에 식립하고,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자성에 의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 흡착될 수 있다. 물론, 기타 구체적인 구조의 자성 연결기구로 설계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브래킷(31)은 윗니 또는 아랫니에 고정되는 치아측 고정 지지 브래킷(31-1)이거나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이거나 또는 윗니 또는 아랫니에 탈착 가능하게 일치되는 치과 브레이스형 고정 지지 브래킷(31-3)이거나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에 탈착 가능하게 일치되는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이다. 여기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가 구강부에서의 4가지 고정방식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는 바, 즉 치아에 접합하는 방식, 치조골에 식립하는 방식, 치아에 씌우는 방식, 윗입술/아랫입술 밖에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진일보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라 삼각형 입술밖 치아측 고정기(3)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다.
A.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에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 오목홈(32-1) 및 위치결정 돌출계단(32-2)를 포함하고, B. 상기 치아측 고정기(3)에 적어도 3개의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을 포함하며, C.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는 아치형 구조이고,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의 일단은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에 합류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를 아치형의 지지레그로 하며 상악/하악 밖 피부와 접촉되는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밑부의 표면을 지지점으로 하는 방사상 아치형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이 아치형 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킬 경우, 상기 지지 브래킷(31-4)의 밖으로 돌출된 아치형 구조는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이 윗입술/아랫입술 등 민감한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였고, 말을 하거나 또는 입을 벌려 호흡하는 과정에서도 윗입술/아랫입술은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과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지지 브래킷(31-4) 밑부에 구비되는 치아측 고정기구(33)의 밑부의 평활한 곡면(33-1)이 상악 밖의 피부 및 하악 밖의 피부 그리고 입꼬리 밖의 피부와 서로 접촉된다. 하지만 이러한 지지점은 말을 하거나 또는 입을 벌려 호흡할 때의 운동폭이 비교적 작아 환자의 장착 사용과정에서의 쾌적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및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을 포함하는 3개의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을 포함하고,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사이의 협각(γ)은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 사이의 협각(ε) 이상이고,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사이의 협각(γ)은 상기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과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 사이의 협각(θ) 이상이다.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 또는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의 길이는 상기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의 길이 이상이다.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의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은 윗입술 밖, 아랫입술 밖 및 입꼬리 밖에 각각 지지되어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는 이러한 삼각형 지지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중량이 가벼워 본 발명의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가 인체의 생물학적 요구에 부합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피부표면과 접촉되는 표면은 평활한 곡면(33-1)이다.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가 탄성 견인체(2)를 통하여 상악/하악 밖에 고정될 때, 상기 치아측 고정구조(33)와 피부표면은 면접촉 방식으로서 피부표면의 단위면적의 응력이 작다. 이 밖에, 평활한 접촉 곡면은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가 피부표면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를 사용함으로써 사용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은 평활한 원추형 구조이다. 상기 평활한 원추형 구조는 가이드 작용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가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을 통하여 상기 위치결정 오목홈(32-1)에 고정될 때,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의 평활한 원추형구조는 상기 탄성 견인체(2)를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평활한 표면은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에 대하여 손상을 주지 않아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사용과정에서의 안전성을 강화시켰다.
진일보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라 치아에 접합되는 “工”자형 치아측 고정기(3)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다.
A.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 상기 지지 브래킷(31) 및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는 횡단면이 “工”자형인 치아측 고정기(3)를 구성하고, B.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탄성 견인체(2)와 서로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평활한 표면을 가지는 구형캡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이며, C. 상기 지지 브래킷(31)은 평활한 기둥체이고, D.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치아 표면과 적응되는 라디안을 가지는 케이스체(33-1)이다.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32)는 평활한 표면의 구형캡 설계를 사용하였으므로,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32)가 치아표면에 고정될 때,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인체 구강 내부 점막 조직의 접촉은 원활한 면접촉으로서, 인체 구강 점막조직에 대한 자극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환자가 장시간 사용시의 쾌적성을 확보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가 치아측 연결기구(22)를 통하여 상기 치아측 고정기(3)와의 연결을 구축할 때,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치아측 연결홀(22-1)은 상기 지지 브래킷(31)을 감싸고 위치결정 오목홈(32-1) 내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31)은 평활한 기둥체를 사용하여 설계된 것이므로, 평활한 표면은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에 대하여 손해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사용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강화시켰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가 접합되는 부위에 치아 표면과 서로 적응되는 라디안을 구비하므로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 표면이 더욱 잘 접합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 표면 사이의 접합의 신뢰성을 진일보로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사용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치아 표면과 서로 적응되는 라디안을 구비하는 케이스체(33-1)에 글루 수용홀(33-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케이스체(33-1)에 글루 수용홀(33-1-1)이 구비되므로,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 표면이 접합하는 과정에서의 접합제와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표면의 접합이 더욱 견고하도록 하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사용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강화시켰다.
진일보로,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탄성 견인체의 견인력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견인력 조절기구(34)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력 조절기구(34)는 회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를 말아 올리거나 또는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회동기구(34-1)를 이완시킬 수 있다.
상기 견인력 조절기구(34)는 슬라이딩을 통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슬라이딩 기구(34-2)를 조이거나 이완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견인체(2) 또는 혓바닥 연결기구(1) 또는 치아측 고정기(3)는 인체조직과 매칭되는 컬러을 가진다. 예를 들어, 혓바닥 연결기구(1)는 투명한 것이거나 또는 혀점막과 유사한 컬러를 구비함으로써 숨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탄성 견인체(2)로서의 의용 탄성박막도 투명한 것이거나 또는 구강 점막과 서로 매칭되는 컬러를 구비함으로써 숨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치아측에 접착 고정된 치아측 고정기(3)도 치아와 유사한 컬러를 구비할 수 있고, 치아못에 의해 잇몸에 고정된 치아측 고정기(3)는 잇몸 점막과 유사한 컬러를 구비한다. 이러한 컬러의 설계와 변화는 숨김과 미관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툴에 대하여 공개하였고, 상기 툴은 클램핑 펜치(400), 장착 펜치(500), 실잡이(200)를 포함한다.
진일보로,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하는 클램핑 펜치(clamping pinchers)에 있어서, A.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오른팔(401), 왼팔(402)과 회전축(403)을 포함하고, B. 상기 오른팔(401)은 오른쪽 펜치헤드(401-1), 오른팔 꼬리부(401-2),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을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펜치헤드(401-1)는 오른쪽 작업 오목홈(401-1-1),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1-1-3) 및 적어도 하나의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을 포함하며, 상기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에 회전축을 장착하기 위한 스루홀(401-3-1)이 구비되고, C. 상기 왼팔(402)은 왼쪽 펜치헤드(402-1), 왼팔 꼬리부(402-2),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을 포함하고, 상기 왼쪽 펜치헤드(402-1)는 왼쪽 작업 오목홈(402-1-1),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 및 적어도 하나의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을 포함하며, 상기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에 회전축을 장착하기 위한 스루홀(402-3-1)이 구비되고, D. 상기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과 상기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의 형상은 서로 매칭되고, 상기 오른팔 장착 회전축의 스루홀(401-3-1)과 상기 왼팔 장착 회전축의 스루홀(402-3-1)의 중선은 동일한 직선에 있으며, 상기 회전축(403)은 상기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1-3-1)과 상기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2-3-1)을 순서대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오른팔(401) 및 상기 왼팔(402)이 회전축(403)에 의하여 개방 또는 폐쇄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상기 오른쪽 작업 오목홈(401-1-1) 및 상기 왼쪽 작업 오목홈(402-1-1)은 상기 클램핑 펜치(400)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때 형성된 공간 내에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1-1-3) 및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상기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 및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은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잘 감쌀 수 있고, 상기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1-1-3) 및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이 상기 클램핑 펜치(400)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 및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은 작업상태하에서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내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핑 펜치(4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 및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을 통하여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을 상기 클램핑 펜치(400) 내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과 상기 클램핑 펜치(400)가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연결너트(12-7)를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의 연결스크류(11-7)에 체결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1-1-3) 및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의 존재로 인해,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연결너트(12-7)의 의외적인 이탈로 인체 내로 떨어져 이물질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리턴 스프링(404)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 사이에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에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회전축(403)에 감겨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에 지지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 사이에서 개방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셀프로킹 기구(405)를 포함하고,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하는 즉 A.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는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 구비되고,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왼팔 꼬리부(402-2)는 상기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406)을 포함하며, B.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는 핀(405-1), 토션 스프링(405-2)과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을 포함하고, C.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를 장착하기 위한 핀홀(401-2-1)이 구비되며, D. 상기 핀(405-1)은 상기 핀홀(401-2-1), 토션 스프링(405-2),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을 순서대로 통과한 후,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를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의 장착홈(406) 내에 고정시키고, 상기 토션 스프링(405-2)을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토션 스프링장착홈(405-3-4) 내에 위치시키고, 그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에 지지되어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에 대하여 폐합력을 형성하며, E.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은 로크 티스(405-3-1), 셀프로킹 스위치(405-3-2)와 장착 스루홀(405-3-3)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티스(405-3-1)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의 상기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406)의 위치결정 돌출계단(402-2-1)은 요철 맞춤을 형성하며, 상기 셀프로킹 스위치(405-3-2)는 잠금해제 슬롯(401-2-2)에서 돌출되고 상기 핀(405-1)은 상기 장착 스루홀(405-3-3)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은 상기 오른팔(401)의 장착홈(406) 내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로크 티스(405-3-1)가 상기 왼팔(402)의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406)의 위치결정 돌출계단(402-2-1)에 위치할 때,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오른쪽 펜치헤드(401-1)와 왼쪽 펜치헤드(402-1)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작인원이 의식적으로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셀프로킹 스위치(405-3-2)를 눌러야만 상기 로크 티스(405-3-1)를 위치결정 돌출계단(402-2-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오른쪽 펜치헤드(401-1)와 왼쪽 펜치헤드(402-1)를 오픈할 수 있다. 작업과정에서 오조작으로 인한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오른쪽 펜치헤드(401-1)와 왼쪽 펜치헤드(402-1)의 개방으로 초래된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연결너트(12-7)가 상기 클램핑 펜치(400)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오른팔(401)의 외측 및 왼팔(402)의 외측에 미끄럼방지 패턴 또는 미끄럼방지 오목홈(407)이 구비되어 있다. 작업상태하에서 상기 미끄럼방지 패턴 또는 미끄럼방지 오목홈(407)은 조작인원과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오른팔(401)과 왼팔(402)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작업과정에서의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이탈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오른팔(401)과 왼팔(402)에 가이드 작용과 위치결정 작용을 발휘하는 한 쌍의 서로 배합되는 위치결정 가이드블록(402-1-4)과 위치결정 가이드슬롯(401-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오른팔(401)과 왼팔(402)이 폐쇄될 때, 상기 위치결정 가이드블록(402-1-4)과 위치결정 가이드슬롯(401-1-4)은 요철 맞춤을 형성하여 상기 오른팔(401)과 왼팔(402)이 폐쇄과정에서 전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 및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은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내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어 조작의 원활성을 확보하였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오른팔(401), 왼팔(402) 및 회전축(403)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오른쪽 작업 오목홈(401-1-1)과 왼쪽 작업 오목홈(402-1-1)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는 상기 혓바닥 연결구조(1)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과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삽입된다. 상기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 및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내에 삽입될 수 있어,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연결너트(12-7)를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의 연결스크류(11-7)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셀프로킹 기구(405)는 오조작이 발생할 경우,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개방을 저애하여,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이 상기 클램핑 펜치(400)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일보로,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탄성 견인체를 장착하는 장착 펜치(500)에 있어서, A. 상기 장착 펜치(500)는 개방단(501)과 핸들단(502)을 포함하고, B. 상기 개방단(501)은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501-1)을 포함하며, C. 상기 브래킷(501-1)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501-2)은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상기 브래킷(501-1)에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오목홈(501-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501-1)에 오목홈(501-1-1)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를 장착 펜치(500)의 브래킷(501-1)에 위치시킬 때, 장착 펜치(500)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장착 펜치(500)의 브래킷(501-1)의 오목홈(501-1-1)의 위치결정작용으로 인해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가 장착 펜치(500)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상기 장착 펜치(500)의 작업과정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도록 한다.
진일보로, 상기 개방단(501)에 2개의 브래킷(501-1)이 대칭되게 분포되고, 상기 2개의 대칭 분포된 브래킷(501-1) 사이의 거리(d501)는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최대직경보다 크다. 조작 시에,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홀(21-1)을 확대시킨 후, 2개의 대칭되는 브래킷(501-1)에 씌우고,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확대된 혀측 연결홀(21-1) 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장착 펜치(500)를 빼내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홀(21-1)을 상기 브래킷(501-1)으로부터 슬라이드방식으로 이탈시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을 완성한다.
상기 핸들단(502)의 표면에 미끄럼방지 오목홈, 미끄럼방지 돌기에지 또는 미끄럼방지 패턴(502-1)이 있다. 상기 핸들단(502) 표면의 미끄럼방지 오목홈 또는 미끄럼방지 돌기에지 또는 미끄럼방지 패턴은 조작인원과 상기 장착 펜치(500) 사이의 마찰력을 강화시켜 사용 과정에서 장착 펜치(500)가 조작인원의 수중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펜치(500)는 의용금속재료 또는 의용고분자재료 또는 의용금속재료와 의용고분자재료의 복합재료를 포함하고 인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의용재료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장착 펜치(500)는 인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의용고분자재료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장착 펜치(500)로 탄성 견인체(2)를 장착할 때, 장착 펜치(500)의 브래킷(500-1)과 인체 혀점막 조직이 자주 직접적으로 접촉될 지라도 사용자에 대하여 그 어떠한 불량한 작용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장착 펜치(500)는 개방단(501)과 핸들단(502)을 포함하고, 개방단(501)은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501-1)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501-1)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501-2)은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1)의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1-1)에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목홈(501-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핸들단(502)의 표면에 미끄럼방지 오목홈, 미끄럼방지 돌기에지 또는 미끄럼방지 패턴(502-1)이 있어, 장착 펜치(500)의 사용 과정에서 조작인원의 수중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펜치(500)는 의용고분자재료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인체와 자주 직접적으로 접촉될 지라도 인체에 대하여 불량한 작용을 형성하지 않는다.
진일보로,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를 장착하는 실잡이(thread guide)에 있어서, A. 상기 실잡이(200)는 리드바(201)와 슬라이드블록(202)을 포함하고, B. 상기 리드바(201)는 평활한 가이드 헤드(201-1), 탄성 견인체(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훅(201-2)과 슬라이드블록(202)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정지슬롯(201-3)을 포함하며, C.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의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은 상기 리드바(201)의 정지슬롯(201-3)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D.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이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일단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장착훅(201-2)을 커버할 수 없고,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이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장착훅(201-2)과 가까운 일단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장착훅(201-2)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상기 정지슬롯(201-3)의 횡단면은 원형이다. 상기 정지슬롯(201-3)은 표면의 평활한 원기둥형 구조를 사용하므로,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이 정지슬롯(201-3) 표면을 에워싸고 슬라이딩할 경우, 추가적인 가이드기구를 설계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정지슬롯(201-3)이 슬라이드블록(202)에 대한 가이드작용을 효과적으로 강화시켰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이 정지슬롯(201-3) 표면에서의 슬라이딩이 더욱 안정적이고 탄성 견인체(2)의 와이어 리딩 과정에서 가이드 편차로 초래된 와이어 리딩이 원활하지 못한 현상이 잘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일단에 안쪽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박벽파이프이고, 상기 안쪽 플랜지는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을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안쪽 플랜지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을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의 원활한 과도를 실현하였고, 상기 실잡이(200)가 작업 과정에서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과 면접촉이 되도록 하여, 혀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켰으며, 상기 실잡이(200)의 작업 과정에서의 인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훅(201-2)은 U형훅 또는 J형훅이다. 진일보로, 상기 장착훅(201-2)의 꼬리부에 가이드 설계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실잡이(2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상기 장착훅(201-2) 내에 더욱 편리하게 위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잡이(200)는 리드바(201)와 슬라이드블록(202)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의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은 상기 리드바(201)의 정지슬롯(201-3)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이 상기 가이드 헤드(201-1)단에 가까이 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장착훅(201-2)을 커버할 수 없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이 상기 장착훅(201-2)을 가까이 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장착훅(201-2)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1)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가 본 발명의 실잡이에 연결될 때, 상기 실잡이(200)는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유도하여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편리하게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201-1)의 상단은 표면이 원활한 원추체이다. 따라서, 상기 실잡이(200)가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에 대하여 와이어 리딩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 표면은 면접촉으로써 혀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잡이(200)가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에 대하여 와이어 리딩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방해를 받을 경우, 상기 가이드 헤드(201-1)는 장애물을 잘 에돌아갈 수 있어, 와이어 리딩 과정에서의 안정적인 진행을 확보할 수 있다.
작업 상태에서 우선 상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을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단부에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상기 장착훅(201-2) 내에 위치시킨다. 다음,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을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장착훅(201-2)과 가까운 단부에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장착훅(201-2)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에 의하여 완전히 커버되도록 한다. 장착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상기 실잡이(200)를, 상기 가이드 헤드(201-1)를 이용하여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안정적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인출한 후, 다시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을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일단에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장착훅(201-2)을 노출시킨다. 다음,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상기 장착훅(201-2) 내로부터 빼낸다. 이로써, 상기 실잡이(200)가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에 대한 와이어 리딩 과정을 완성한다.
작업 상태일 시,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에 대한 슬라이딩을 통하여 상기 장착훅(201-2)을 완전히 커버시킬 수 있고 또한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상기 장착훅(201-2)에 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잡이(200)가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통과할 때,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장착훅(20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장착훅(201-2)은 슬라이드블록(202) 밖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장착훅(201-2)과 혀점막 표면의 직접적인 접촉과 자극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와이어 리딩 과정 중의 쾌적함과 원활성을 대폭 증가시켰다.
본 발명의 식립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은 구체적인 제품의 구조유형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된다. 즉,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식 견인연결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 혀점막하 풀식립형 연결체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 혀점막하 하프식립형 연결체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 및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을 포함한다.
식립방법1 :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식 견인연결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 장치의 식립방법
제1단계, 혀의 유곽유두 전방에 점막하 터널식 견인연결기구를 형성한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혓바닥 연결기구(1)의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100-2)를 식립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식립체(100-2)의 양단이 혀점막 밖에 노출되도록 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상기 식립체(100-2)를 제거한 후, 혓바닥 점막하에서 일정한 인장력을 견뎌 낼 수 있는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형성하고,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본 발명의 혀점막하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로 한다.
예를 들어, 의용 실리콘 파이프 또는 의용 실리콘띠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100-2)로 하여 혓바닥 위치에 식립시킨다. 다음, 의용 실리콘 파이프 또는 의용 실리콘띠의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된 양단을 연결시켜 환형으로 고정시킨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의용 실리콘 파이프 또는 의용 실리콘띠를 제거하면, 혀점막하에서 상피화 터널(100-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본 발명의 혀점막하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로 한다.
제2단계, 치아측 고정기(3)를 고정시킨다.
의용 접착제에 의해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 하나의 윗니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 또는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한다. 물론, 환자의 실제적인 상황에 따라 기타 윗니 또는 아랫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는 상이한 구조유형 및 이와 대응되는 고정방법이 있는 바,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을 각각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제3단계, 잠이 들기 전에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한다.
잠이 들기 전에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탄성 견인체(2)를 혓바닥 위치에서 형성된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통과시킨다. 상기 탄성 견인체(2)가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로부터 통과된 후,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양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장착과정을 완성한다.
제4단계, 기상 후,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제거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혀점막하의 터널(100-1)로부터 빼내어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제거할 수 있다.
식립방법2 : 혀점막하 박벽파이프 터널식 견인연결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 견인장치의 식립방법
제1단계, 혀의 유곽유두 전방에 점막하 터널식 견인연결기구를 형성한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혓바닥 연결기구(1)의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를 식립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양단의 관구가 바로 혀점막 표면에 노출되도록 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당길 시에 환자가 통증 및 불편감이 없을 경우 혓바닥 견인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포함하고 혀점막하에 식립 및 고정시켜 형성된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을 본 발명의 혀점막하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로 한다.
제2단계, 치아측 고정기(3)를 고정시킨다.
의용 접착제에 의해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 하나의 윗니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 또는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한다. 물론, 환자의 실제적인 상황에 따라 기타 윗니 또는 아랫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는 상이한 구조유형 및 이와 대응되는 고정방법이 있는 바,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을 각각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제3단계, 잠이 들기 전에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한다.
잠이 들기 전에,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혓바닥 위치에서 형성하는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을 통과시킨다.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가 상기 터널(100-3)로부터 통과된 후,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양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장착 과정을 완성한다.
제4단계, 기상 후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제거한다.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로부터 빼내어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시킨다.
식립방법3 : 혀점막하 풀식립형 연결체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
제1단계, 혀의 유곽유두 전방에 풀식립형 연결체를 식립한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0.5cm~2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를 사용하여 혀점막상에서 0.5cm 너비로 횡방향 절개를 진행한 후, 전용기계를 사용하여 풀식립형 연결체(102)를 앞에서 뒤로 혀점막하에 식립한다. 혀중선의 좌우 양측에 본 발명의 풀식립형 연결체(102)를 적어도 하나씩 식립한다. 상기 본 발명의 풀식립형 연결체(102)는 자성재료를 포함한다.
제2단계, 치아측 고정기(3)를 고정시킨다.
의용 접착제에 의해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 하나의 윗니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 또는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한다. 물론, 환자의 실제적인 상황에 따라 기타 윗니 또는 아랫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는 상이한 구조유형 및 이와 대응되는 고정방법이 있는 바,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을 각각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제3단계, 잠이 들기 전에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한다.
잠이 들기 전에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고 탄성 견인체(2)의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일단을 혓바닥부에 진입시켜 본 발명의 풀식립형 연결체(102)와 가까운 부분에서 자력의 작용하에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일단과 자성을 구비하는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를 함께 흡착시켜 자성 연결을 구성한다.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하에서 혀를 앞으로 당켜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장착 과정을 완성한다.
제4단계, 기상 후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제거한다.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동시에 혓바닥부로부터 탄성 견인체(2)의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일단을 분리 및 제거함으로써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시킨다.
식립방법4 : 혀점막하하프식립형 연결체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
제1단계, 혀의 유곽유두 전방에 하프식립형 연결체를 식립한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혓바닥 연결기구(1)의 하프식립형 연결체(103)를 식립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지지체(11)가 혀점막하에 매립되도록 하고,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가 혀점막 표면 밖에 노출되도록 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103)을 당길 시에 환자가 통증 및 불편감이 없을 경우 혓바닥 견인을 진행할 수 있다.
제2단계, 치아측 고정기(3)를 고정시킨다.
의용 접착제에 의해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 하나의 윗니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 또는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한다. 물론, 환자의 실제적인 상황에 따라 기타 윗니 또는 아랫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는 상이한 구조유형 및 이와 대응되는 고정방법이 있는 바,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을 각각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제3단계, 잠이 들기 전에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한다.
잠이 들기 전에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고 다른 일단을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에 고정시키며,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에 대하여 탄성 인장력을 형성한다.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하에서 혀를 앞으로 당겨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장착 과정을 완성한다.
제4단계, 기상 후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제거한다.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동시에 탄성 견인체(2)도 혓바닥 연결기구(1)의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로부터 분리 및 제거됨으로써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시킨다.
식립방법5 :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립방법
제1단계, 혀의 유곽유두 전방에 본 발명의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를 접합 고정시킨다.
환자가 거울 앞에서 자체 조작을 통하여 입을 벌리고 혀를 내밀어 혓바닥 표면을 청결 및 건조시킨 후 의용 접합제를 도포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의 지지 베이스(104-1)의 접합면에 의용 접합제를 도포한다. 다음, 의용 접합제를 도포한 본 발명의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를 혓바닥 표면에 접합 고정시키면 된다.
제2단계, 치아측 고정기(3)를 고정시킨다.
의용 접착제에 의해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 하나의 윗니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 또는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한다. 물론, 환자의 실제적인 상황에 따라 기타 윗니 또는 아랫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는 상이한 구조유형 및 이와 대응되는 고정방법이 있는 바,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을 각각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제3단계, 잠이 들기 전에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한다.
잠이 들기 전에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고 다른 일단을 상기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04-2)에 고정시키며,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에 대하여 탄성 인장력을 형성한다.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하에서 혀를 앞으로 당겨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장착 과정을 완성한다.
제4단계, 기상 후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제거한다.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동시에 탄성 견인체(2)와 본 발명의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도 혓바닥으로부터 분리 및 제거됨으로써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시킨다.
본 발명의 장점을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는 혓바닥 연결기구(1), 탄성 견인체(2)와 치아측 고정기(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은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혓바닥 연결기구(1)에 연결된다. 탄성 견인체(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치아측 고정기(3) 사이에서 탄성 견인력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에서 발생되는 견인력은 15g내지 300g 사이로서, 탄성 견인체(2)에 의한 탄성 견인은 혓바닥을 직접 앞으로 당겨 설하수를 방지하고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대시킴으로써 코골기와 OSAHS를 치료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탄성 견인체(2)는 혓바닥 연결기구(1)에 대하여 탄성 견인 작용을 구비하므로, 혓바닥을 적절하게 당기는 동시에 혀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일정한 삼키기 및 말하기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장시키는 동시에 또 양호한 쾌적성을 구비한다. 특히, 견인력 조절기구(34)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는 혓바닥부에 대한 견인력을 최적의 세기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는 장착이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세척과 소독이 용이한 우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윗니 내측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a는 도 1의 A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b는 도 1의 B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c는 도 1의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d는 도 1의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e는 도 1의 치아측 고정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f는 도 1의 치아측 고정기가 윗니 내측에 접합 고정되는 구조 설명도이다.
도 1g는 도 1의 혓바닥 연결기구가 혓바닥에 식립되는 구조 설명도이다.
도 1h는 도 1의 치아측 고정기가 윗니 내측에 고정되는 위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아 외측 접합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치조골 내측 치아못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3a는 도3의 치아측 고정기 및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3b는 단일 박막 띠상 탄성 견인체로 타원형링 혓바닥 연결기구를 연결하는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조골 외측 치아못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치아 브레이스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리콘 입술 밖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입술 밖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회전 조절하는 구조 설명도이다.
도 7a는 도7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입술 밖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슬라이딩 조절하는 구조 설명도이다.
도 8a는 도8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탄성 견인체 조절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식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0a는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가 혀에 식립된 구조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박벽파이프상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식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1a는 도 11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박벽파이프상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이 혀에서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코일 스프링상 혀점막하 터널식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자성 연결의 풀식립형 연결체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3a는 도 13의 풀식립형 연결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자성 연결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4a는 도 14의 E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4b는 도 14의 자성 풀식립형 연결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4c는 도 14b의 D-D사시도이다.
도 14d는 도 14의 자성 풀식립형 연결체의 혓바닥 위치에 식립된 위치 분포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혓바닥 접합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5a는 도 15의 연결 오목홈으로 대체 사용할 시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5b는 도 15의 연결훅으로 대체 사용할 시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5c는 탄성 견인체 원단을 혓바닥에 직접 붙일 경우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구조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입술밖 접합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의 동작원리 설명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평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연결 돌출계단에 종방향 연결 오목홈이 구비되어 있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혓바닥 연결기구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 및 종방향 연결 오목홈이 탄성 견인체을 고정시키는 구조 설명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4개의 오목홈 스레드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의 일단의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은 스레드형의 탈착 가능한 연결구조를 사용하고, 상기 지지체(11)의 다른 일단은 일체화 제조된 탈착 불가한 4개의 오목홈형 연결 돌출계단(12-2)이며, 이러한 구조는 스레드의 탈착에 편리하다.
도 18c는 도 18b의 분할도이다.
도 18d는 도 18b의 사시도이다.
도 18e는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4개의 오목홈 요철 맞춤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8f는 도 18e의 분할도이다.
도 18g는 도 18e의 사시도이다.
도 18h는 본 발명의 일체화 성형된 4개의 오목홈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 18i는 도 18h의 사시도이다.
도 18j는 본 발명의 4개의 오목홈형 원추형 연결 돌출계단의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은 원추형 구조를 사용하엿고, 원추형 구조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 18k는 본 발명의 2개의 오목홈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2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 18l은 본 발명의 3개의 오목홈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3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 18m은 본 발명의 5개의 오목홈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5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3단식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연결기구(22), 혀측 연결기구(21) 및 탄성 변형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 4개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에 오직 1개의 혀측 연결홀(21-1)이 구비되어 있다.
도 19a는 도 19의 사시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3단식 탄성 견인체의 동작원리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2개의 치아측 연결기구(22), 1개의 혓바닥 연결기구(1) 및 2개의 탄성 변형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 4개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치아측 연결홀(22-1)은 각각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탄성 복원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a는 도 20의 치아측 연결기구 위치의 F-F 사시도이다.
도 20b는 도 20의 탄성 변형기구 위치의 G-G 사시도이다.
도 20c는 도 20의 혓바닥 연결기구 위치의 J-J 사시도이다.
도 20d는 도 20의 K-K 사시도이다.
도 20e는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의 동작원리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삼각대형 입술밖 고정식 치아측 고정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1a는 도 21의 밑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의 평면도이다.
도 21c는 도 21b의 측면도이다.
도 21d는 본 발명의 삼각대형 입술밖 고정식 치아측 고정기의 동작원리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工”자형 치아측 고정기의 사시구조 설명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의 전면도이다.
도 22b는 도 22a의 사시도이다.
도 22c는 본 발명의 “工”자형 치아측 고정기의 동작원리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폐쇄 상태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 사이에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 지지된다.
도 23a는 도 23에 따른 클램핑 펜치의 헤드부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3b는 도 23의 사시도이다.
도 23c는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개방 상태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3d는 도 23c에 따른 클램핑 펜치의 헤드부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3e는 도 23c의 사시도이다.
도 23f는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분해도이다.
도 23g는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분해도이다.
도 23h는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오른팔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3i는 도 23h의 정면도이다.
도 23j는 도 23h의 사시도이다.
도 23k는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왼팔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3l은 도 23k의 정면도이다.
도 23m은 도 23k의 사시도이다.
도 23n은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3o는 도 23n의 사시구조 설명도이다.
도 23p는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 개방 후에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에 삽입하고자 할 시의 동작원리도이다.
도 23q는 도 23p의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을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에 삽입한 후의 동작원리도이다.
도 23r은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를 통하여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을 스레드 연결에 의해 혓바닥 연결기구의 지지체에 회전 삽입시키는 동작원리도이다.
도 23s는 셀프로킹 스위치를 누른 후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을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에서 꺼낼 시의 동작원리도이다.
도 23t는 리턴 스프링을 회전축에 장착한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분해도이다.
도 23u는 도 23t의 오른팔의 사시구조 설명도이다. 도 23t, 도 23u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회전축(403)에 감기고,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의 우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1-2-3)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의 좌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2-2-3)에 지지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장착 펜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장착 펜치의 전면도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장착 펜치의 좌측도이다.
도 24c는 도 24b의 P-P 사시도이다.
도 24d는 본 발명의 장착 펜치 동작원리도의 제1단계이다.
도 24e는 본 발명의 장착 펜치 동작원리도의 제2단계이다.
도 24f는 본 발명의 장착 펜치 동작원리도의 제3단계이다.
도 24g는 본 발명의 장착 펜치 동작원리도의 제4단계이다.
상기 도 24d 내지 도 24g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대로 혓바닥 연결기구(1), 탄성 견인체(2), 본 발명의 장착 펜치(500)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지지체(11)와 탄성 견인체와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 돌출계단(12-2)을 포함하며 그 중의 우측의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은 스레드를 통하여 지지체(11)와 함께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상단에 1개의 혀측 연결홀(21-1)을 포함하고, 상기 혀측 연결홀(21-1)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에 씌울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에 탈착 가능한 연결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장착 펜치는 개방단(501)과 핸들단(502)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단(501)은 한쌍의 브래킷(501-1)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501-1)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501-2)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홀(21-1)은 연장 확대 후 상기 장착 펜치(500)의 브래킷(501-1)의 오목홈(501-1-1) 위치에 씌울 수 있고, 다음 헤드부에 탄성 견인체(2)가 씌여 있는 상기 장착 펜치(500)를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에 씌우며, 장착 펜치를 빼낸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존재로 인해,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홀(21-1)은 지지체(11)에 수축 및 인서트 부싱되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 아래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을 완성할 수 있다.
도 24h는 본 발명의 장착 펜치를 사용하여 탄성 견인체를 혓바닥 연결기구에 장착한 동작원리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실잡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5a는 도 25의 사시도이다.
도 25b는 도 25a의 X 위치의 국부적 확대도이다.
도 25c는 본 발명의 용접 연결된 일체형 탄성견인기구 실잡이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바(201)의 가이드 헤드 부분과 리드바(201)의 장착훅 부분 사이에 용접 공예를 거쳐 함께 연결되어 있다.
도 25d는 도 25c의 T 위치의 국부적 확대도이다.
도 25e은 본 발명의 스레드 연결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 실잡이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바(201)의 가이드 헤드 부분과 리드바(201)의 장착훅 부분 사이에 스레드 연결 공예를 거쳐 함께 연결되어 있다.
도 25f는 도 25e의 Z 위치의 국부적 확대도이다.
도 25g는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의 치아측 연결기구의 치아측 연결홀을 본 발명의 탄성 견인체 실잡이의 장착훅에 삽입할 시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우선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을 상기 가이드 헤드(201-1)단에 가까이 하고, 상기 장착훅(201-2)을 상기 슬라이드블록(202) 밖에 노출시킨다. 다음 ,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 실잡이(200)의 장착훅(201-2) 내에 장치시킨다.
도 25h는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 실잡이의 장착훅과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의 부분단이 슬라이드블록에 의해 피복될 시의 구조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 실잡이(200)의 장착훅(201-2) 내에 장치시킨 후, 상기 장착훅(201-2)단을 향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을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장착훅(201-2) 및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상기 장착훅(201-2)의 부분에 장치시켜 완전히 피복시킨다. 이로써, 상기 탄성 견인체 실잡이(200)의 와이어 리딩 전의 준비를 완성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치조골 내측용 치아못 고정형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U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b는 본 발명의 타원형링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c는 본 발명의 링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d는 본 발명의 연결 오목홈 을구비하는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e는 본 발명의 연결훅을 구비하는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f는 본 발명의 연결훅이 스레드 연결인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g는 본 발명의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오목홈 및 이와 매칭되는 탄성 견인체의 혀측 연결 돌출계단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h는 본 발명의 연결고리를 구비하는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7i는 본 발명의 연결고리가 띠형 지지체에 장착된 혓바닥 연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더블훅형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8b는 본 발명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더블훅형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8c는 본 발명의 연결선을 포함하는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8d는 본 발명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4훅형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8e는 본 발명의 3훅 Y자형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9a는 치아측 고정기와 탄성 견인체 사이에 자성 연결된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과 탄성 견인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9b는 도 29a의 조립도이다.
도30a는 본 발명의 탄성 견인체와 치아측 고정기 사이의 연결방식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30b는 도30a의 분해도이다.
도31a는 본 발명의 탄성 견인체와 치아측 고정기 사이의 연결방식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31b는 도31a의 분해도이다.
도32a는 본 발명의 탄성 견인체와 치아측 고정기 사이의 연결방식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32b는 도32a의 분해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의 식립 영역 분포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OSAHS를 치료하는 원리는 하기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치아 또는 잇몸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을 지지점으로 하여,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잇몸 또는 입술밖에 고정시킨다. 혀에서 혓바닥 연결기구(1)를 설치한다.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은 치아측 고정기(3)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혓바닥 연결기구(1)에 연결된다. 탄성 견인체(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치아측 고정기(3) 사이에서 탄성 견인력을 형성하고, 하수된 혀를 당김으로써 설인두부 기도의 공간을 확대시켜 설하수 꺼짐으로 인한 코골기와 OSAHS를 치료한다.
탄성 견인체(2)는 아주 양호한 탄성을 구비하고 또한 치아측 고정기(3)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에서 탄성 견인력을 형성하여 혀로 하여금 충분한 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한다. 따라서, 설근이 적당하게 당겨지는 동시에 혀끝과 혀체의 운동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대시켜 OSAHS치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혀끝부의 양호한 운동기능을 유지하고 명확한 언어기능과 적당한 삼키기 기능을 보류하며 양호한 쾌적감을 가진다. 혀측 고정기(3)에 견인력 조절기구(34)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환자의 실제적인 수요에 따라 혓바닥부의 견인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쾌적감과 치료효과를 진일보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치아측 고정기(3)가 치아 내측에 고정될 경우, 양호한 숨김 효과를 가진다. 환자가 입을 벌리고 호흡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가 보이지 않아,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부담을 대폭 경감시켰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치아내측 숨김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내측 숨김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나타낸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지지체(11)와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11)는 의용 티타늄 금속으로 제조된 호형 금속 와이어이다. 상기 지지체(11)의 양단에 연결 돌출계단(12-2)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사이즈는 상기 호형 금속 와이어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어 탄성 견인체(2)의 장착 고정의 편리성을 도모한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은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구성하였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과 상기 지지체(11)의 단부는 스레드 연결, 또는 요철 맞춤 연결 또는 억지 끼워맞춤 연결 또는 접합제 접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과 상기 지지체(11)는 동일한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기계적 가공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과 지지체(11)는 동일한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기계적 가공을 거쳐 제조된 것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탄성박막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의용 실리콘 박막 또는 의용 라텍스 박막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박막의 두께는 0.01mm 내지 3mm 사이이고 일반적으로 두께가 0.10mm인 적용 라텍스 박막을 선택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직사각형 띠형 구조를 사용하고, 그 위에 혀측 연결홀(21-1)과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혀측 연결홀(21-1)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에 장착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으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다. 도 1b 및 도 1g를 참조하면, 상기 혀측 연결홀(21-1)은 혓바닥 연결기구(1)와 서로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를 구성한다.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은 치아측 고정기(3)의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에 장착 고정될 수 있고 또 치아측 고정기(3)의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으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f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은 치아측 고정기(3)와 서로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를 구성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지지 브래킷(31),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치아측 고정기구(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31)은 치아측 고정 지지 브래킷(31-1)이다. 상기 치아측 고정 지지 브래킷(31-1)은 치아측 접합면(31-1-1)와 지지 베이스(31-1-2)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측 접합면(31-1-1)은 윗니의 내측 표면과 서로 매칭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치과 접착제를 통하여 윗니의 내표면에 접합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f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측 접합면(31-1-1)은 치아측 고정기의 치아측 고정기구(33)를 구성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이다.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과 상기 지지 베이스(31-1-2)는 서로 연결된다. 도 1a 및 도 1f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은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에 장착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으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다.
도 1g를 참조하면, 임상적 사용 시에, 우선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연결기구(1)를 혓바닥 위치에 식립하여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가 혓바닥의 점막 하에 식립되도록 하고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가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되도록 한다. 수술 후 15일 내지 45일에, 상기 지지체(11)는 혓바닥 점막 하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된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당기면 하수된 혀를 당길 수 있다.
다음, 의용 접착제를 통하여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를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 하나의 윗니의 내측에 각각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 또는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한다. 물론, 환자의 실제 상황에 따라 기타 윗니 또는 아랫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할 수 있는 바, 도 1h를 참조한다.
잠이 들기 전에,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고, 다른 일단을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며, 탄성 견인체(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치아측 고정기(3) 사이에서 탄성 견인력을 형성하여 하수된 혀를 당김으로써 설인두부의 기도의 공간을 확대시켜 설하수 꺼짐으로 인한 OSAHS를 치료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을 참조한다. 구체적인 연결방식은 하기와 같다.
직사각형 띠형 구조의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홀(21-1)을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고정시킴으로써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의 연결을 완성하는 바, 이는 도 1g를 참조한다. 다음,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치아측 고정기(3)의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에 고정시킴으로써 탄성 견인체(2)와 치아측 고정기(3)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바, 이는 도 1f를 참조한다.
탄성 견인체(2)의 혓바닥 연결기구(1)에 대한 탄성 견인 작용에 의해, 하수된 혀를 적당히 당기는 동시에 혀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또한 양호한 쾌적성을 가진다.
이 밖에,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는 좌우 2개의 윗니의 내측에 각각 장착 고정되어 숨김 효과를 가진다. 환자가 수면 시에 입을 벌리지 않는 한, 구강 내에 장치된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가 보이지 않으므로,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인 부담감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치아 내측 숨김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는 장착이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세척과 소독이 용이하고 미관성과 쾌적감을 구비하는 우점을 가진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치아 외측 접합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실시예1의 구별점은, 실시예1에서 치아측 고정기(3)는 윗니의 내측에 접합 고정된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는 각각 좌우 양쪽의 각각 하나의 윗니에 고정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 또는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한다. 물론, 환자의 실제 상황에 따라 기타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치아측 고정기(3)에 탄성 견인체(2)를 장착할 시에 더욱 편리한 우점을 가지지만, 치아측 고정기(3)는 가끔 입술 밖에 노출되어 미관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 다른 구별점은, 상기 치아측 접합면(31-1-1)은 윗니의 외측 표면과 서로 매칭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치과 접착제를 통하여 윗니의 외표면에 접합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잇몸 내측 치아못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실시예1의 구별점은, 실시예1에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과 접합제를 통하여 치아에 접합 고정된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못형 구조로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통하여 상기 치아측 고정기(3)를 윗니 잇몸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구조는 잇몸에 고정될 수 있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의 하나의 치아측 고정기(3)는 상기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통하여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치아와 5번째 치아 사이의 윗니 잇몸의 내측에 고정된고, 다른 하나의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상기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통하여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치아와 5번째 치아 사이의 윗니 잇몸의 내측에 고정되는 바, 이는 도3을 참조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지지 브래킷(31),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치아측 고정기구(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31)은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이고, 그 구조는 치과의 고정나사(Miniscrews)와 유사하다.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이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잇몸에 고정시킬 수 있는 티타늄 금속 나사(33-1)일 수 있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상기 티타늄 금속 나사(33-1)를 통하여 잇몸에 고정될 수 있고,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은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과 지지 브래킷(31)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에 씌워 치아측 고정기(3)와 탄성 견인체(2) 사이의 연결 고정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변화예로서, 혓바닥에 식립된 혓바닥 연결기구(1)를 호형 지지체로부터 타원형링 지지 브래킷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바, 이는 도 3b를 참조한다. 혓바닥 연결기구(1)가 타원형링 지지 브래킷을 사용할 경우, 상기 타원형링 지지 브래킷의 일부분은 혓바닥 점막 하에 식립되어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로 한다. 상기 타원형링 지지 브래킷의 다른 일부분은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되어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로 한다. 탄성 견인체(2)는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된 타원형링 지지 브래킷을 통과한 후,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의 위치결정홀(22-1)을 윗니 좌측 잇몸의 치아측 고정기(3)에 씌우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다른 일단의 위치결정홀(22-1)을 윗니 우측 잇몸의 치아측 고정기(3)에 씌워 탄성 견인체(2)의 혓바닥 연결기구(1)에 대한 탄성 견인력을 형성한다. 이러한 혀에 대한 탄성견인방식은 하나의 탄성 견인체(2)만 사용한 것으로, 이는 도 3b를 참조한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잇몸 외측 치아못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실시예3의 구별점은,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통하여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치아와 5번째 치아 사이의 윗니 잇몸의 외측에 고정된고, 다른 하나의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상기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통하여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치아와 5번째 치아 사이의 윗니 잇몸의 외측에 고정된다. 혓바닥 연결기구(1)를 하프식립형으로 혓바닥부에 고정시킴으로써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가 혀점막하에 식립되도록 하고,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되도록 한다.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은 치아측 고정기(3)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탄성 견인체(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치아측 고정기(3) 사이에서 탄성 견인력을 형성하여 하수된 혀를 당김으로써 설인두부 기도의 공간을 확대시켜 설하수 꺼짐으로 인한 OSAHS를 치료한다.
실시예5: 본 발명의 치아 브레이스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실시예1의 구별점은, 실시예1에서 치아측 고정기는 윗니 내측에 접합 고정된 치아 내측 고정형 치아측 고정기(3)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치아 브레이스 고정형 치아측 고정기(3)를 사용한다. 상기 치아 브레이스 고정형 치아측 고정기(3)의 치아측 고정기의 지지 브래킷(31)은 윗니의 배열 형상과 서로 매칭되는 치조홈(31-2-1)을 포함하고, 상기 치조홈(31-2-1)은 치아측 고정기의 치아측 고정기구(33)로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가 윗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 브레이스 고정형 치아측 고정기(3)는 의용 형상기억 고분자재료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의용 형상기억 고분자재료로 제조된 치아 브레이스 고정형 치아측 고정기(3)를 45℃ 정도의 온수 중에 함침시킨 후, 치아 중에 넣어 교합하고, 온도가 체온으로 떨어질 때 형상기억 고분자재료는 자동 성형되어 윗니의 배열 형상과 서로 매칭되는 치조홈(31-2-1)을 형성한다. 상기 치조홈(31-2-1)은 치아측 고정기구(33)로서 치아측 고정기(3)기 윗니를 지지점으로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견인체(2)는 의용 탄성박막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단은 윗니 브레이스(31-3) 치과 브레이스형 고정기에 직접 장착 고정되고, 혀측 연결단에 혀측 연결홀(2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혀측 연결홀(21-1)은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6: 본 발명의 실리콘 입술 밖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실시예1의 구별점은, 본 실시예에서 치아측 고정기(3)는 의용 실리콘으로 일체화 제조한 입술 밖 고정형 치아측 고정기(3)를 사용한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의용 실리콘 고무에 의해 제조되고, 지지 브래킷(31),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치아측 고정기구(3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브래킷(31)은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이다.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은 힘을 지지하는 타원형의 실리콘링으로서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브래킷(31)에 해당될 수 있거나 또는 입술 밖에 위치하여 구강을 지지점으로 하는 치아측 고정기구(33)로 할 수 있다. 상기 힘을 지지하는 타원형의 실리콘링과 탄성 견인체(2)로서의 실리콘 박막 사이에 스루홀을 구비하는 전이영역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이영역은 지지 브래킷(31)과 탄성 견인체(2)를 서로 연결시켜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를 구성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탄성 견인체(2)와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을 함께 연결시킨다. 탄성 견인체(2)의 다른 일단에 혓바닥 연결기구(1)와 서로 연결되는 혀측 연결홀(2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를 입술 밖에 장치시키고 구강을 지지점으로 하며 탄성 견인체(2)가 혓바닥 연결기구(1)에 대한 견인을 통하여 하수된 혀를 당긴다. 이로써 설인두부의 기도의 공간을 확대시켜 설하수 꺼짐으로 인한 OSAHS를 치료한다.
실시예7: 본 발명의 회전 조절식 입술 밖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실시예6의 구별점은, 본 실시예에서 치아측 고정기(3)에 견인력 조절기구(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견인력 조절기구(34)는 회전 조절 방식을 사용하였고, 회동기구(34-1)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기구(34-1)는 회전축(3411)과 회전축 장착 위치결정 슬롯(34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411)에 위치결정 다변형(3411-1), 리턴 스프링(3411-2), 위치결정 너트(3411-3), 탄성 견인체 고정슬롯(3411-4), 노브(3411-5)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회전축 장착 위치결정 슬롯(3412)에 위치결정 다변형 슬롯(3412-1), 리턴 스프링 장착홀(3412-2), 위치결정 너트 장착홀(341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411)은 회전축 장착 위치결정 슬롯(3412) 내에 장착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3411-2)은 리턴 스프링 장착홀(3412-2) 내에 장착되며, 위치결정 너트(3411-3)로 리턴 스프링(3411-2)을 회전축(3411)의 원단에 고정시킨다.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단은 회전축(3411)의 탄성 견인체 고정슬롯(3411-4)에 고정된다.
노브(3411-5)를 외측으로 힘껏 당길 때, 리턴 스프링(3411-2)에 압축 변형이 발생하여 위치결정 다변형(3411-1)은 위치결정 다변형 슬롯(3412-1)의 제한을 벗어나 회전축(3411)을 회동시킬 수 있다. 탄성 견인체(2)가 탄성 견인체 고정슬롯(3411-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축(3411)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탄성 견인체(2)를 말아 올릴 수 있으며 탄성 견인체(2)의 견인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노브(3411-5)를 회전할 경우 회전축(3411)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탄성 견인체(2)를 이완시켜 탄성 견인체(2)의 견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견인력이 적당한 크기로 조절된 후, 노브(3411-5)를 이완시키고, 리턴 스프링(3411-2)의 탄력 작용하에서 위치결정 다변형(3411-1)은 위치결정 다변형 슬롯(3412-1) 내로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회전축(3411)의 회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견인력 조절기구(34)의 노브(3411-5)는 구강 밖에 설치하여 수동 조절이 편리하도록 한다.
실시예8: 본 발명의 슬라이딩 조절식 입술 밖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실시예7의 구별점은, 치아측 고정기(3)에 견인력 조절기구(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견인력 조절기구(34)는 슬라이딩 조절 방식을 사용하였고 슬라이딩 기구(34-2)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기구(34-2)는 슬라이드 블록(3421)과 위치결정 블록(34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3421)은 위치결정 치조(3421-1), 핸들(3421-2), 슬라이드블록 브래킷(3421-3)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 브래킷(3421-3)은 U형구조의 브래킷이고, 상기 핸들(3421-2)은 U형 슬라이드블록 브래킷(3421-3)의 양단에 위치한다. 내측으로 핸들(3421-2)을 가압할 경우, U형 슬라이드블록 브래킷(3421-3)은 내부로 수축되고 위치결정 치조(3421-1)는 상기 위치결정 블록(3422)을 이탈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블록(3421)은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핸들(3421-2)에 대한 압력을 해제할 경우, U형 슬라이드블록 브래킷(3421-3)은 기존의 형상을 회복하고, 상기 위치결정 치조(3421-1)는 위치결정 블록(3422)에 걸리어 슬라이드 블록(3421)의 앞뒤 운동을 제한시키는 작용을 하는 바, 이는 도 8a를 참조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단이 상기 U형 슬라이드블록 브래킷(3421-3)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블록(3421)을 앞으로 당길 때, 탄성 견인체(2)의 견인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슬라이드 블록(3421)이 뒤로 운동할 때, 탄성 견인체(2)의 견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9: 본 발명의 탄성 견인체 조절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별점은, 본 실시예에서 탄성 견인체(2)의 상이한 위치에 하나 이상의 혀측 연결홀(21-1) 또는 하나 이상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고, 상이한 위치의 혀측 연결홀(21-1)을 혓바닥 연결기구(1)에 고정시킴으로써 상이한 견인력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탄성박막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상기 의용 탄성박막은 의용 실리콘 박막, 의용 라텍스 박막, 의용 폴리우레탄 박막, 의용 고무 박막 등 의용탄성재료로부터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의용 탄성박막의 두께는 0.01mm~3mm 사이이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일반적으로 0.10mm~0.30mm의 의용 라텍스 박막 또는 의용 실리콘 박막을 선택하여 제조된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Y자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Y자형 탄성 견인체(2)의 상부 양단은 탄성 견인체(2)와 치아측 고정기(3)의 연결단으로 한다. Y자형의 상부 양단의 상이한 위치에 스루홀(Y1), 스루홀(Y2), 스루홀(Y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루홀(Y1) 또는 스루홀(Y2) 또는 스루홀(Y3)은 치아측 연결홀(22-1)을 구성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은 치아측 고정기(3)의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에 씌울 수 있다.
상기 Y자형 탄성 견인체(2)의 하단은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단으로 한다. 상기 Y자형 탄성 견인체(2)의 하단의 상이한 위치에 스루홀(S1), 스루홀(S2), 스루홀(S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루홀(S1) 또는 스루홀(S2) 또는 스루홀(S3)은 혀측 연결홀(21-1)로서, 상기 혀측 연결홀(21-1)은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이한 혀측 연결홀(21-1)을 사용하여 혓바닥 연결기구(1)와 연결할 경우, 탄성 견인체(2)는 상이한 탄성 변형량을 가지게 되고, 이를 통하여 상이한 크기의 견인력을 얻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치아측 연결홀(22-1)을 사용하여 치아측 고정기(3)와 연결할 경우에도 상이한 크기의 견인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견인체 조절형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10: 본 발명의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식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0 및 도 10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혓바닥 연결기구(1)는 하수된 혀를 당길 수 있는 혀점막하 터널식 견인기구(100)를 사용하였다. 상기 혀점막하 터널식 견인기구(100)는 하기와 같은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유곽유두 전방의 약 1cm~4cm 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혀점막하 터널의 식립체(100-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구간의 의용 실리콘 파이프를 사용하여 혓바닥 위치에 식립하여 상기 의용 실리콘 파이프의 대부분이 혓바닥의 점막하에 식립되도록 하고 양단이 혓바닥 점막의 좌우 양측에 노출되도록 한 후, 환형으로 매듭을 지어 고정시킨다. 수술 후 15일 내지 45일에 상기 의용 실리콘 파이프를 당겨 환자가 통증이나 불편감이 없을 경우 혓바닥 점막 하에 식립된 상기 의용 실리콘 파이프를 빼낸다. 상기 의용 실리콘 파이프를 빼낸 후, 의용 실리콘 파이프가 식립된 혓바닥 위치에 상피화 터널(100-1)이 형성된다.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은 본 발명의 혀점막하 터널식 견인기구(100)로서 탄성 견인체(2)가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통과하여 하수된 혀를 앞으로 당길 수 있는 바, 이는 도 10a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의 장점은, 혓바닥 위치에서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형성한 후, 혓바닥 위치에 그 어떤 식립물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이물감 또는 불편감을 초래하지 않는다. 수면 전에, 혓바닥에 대하여 견인을 진행해야 할 경우,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로부터 통과시켜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킴으로써 하수된 혀를 앞으로 당기고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대시켜 코골기와 OSAHS를 치료할 수 있다.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탄성 견인체(2)를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로부터 당겨 혀의 자유로운 운동을 회복시킨다.
본 실시예의 탄성 견인체(2)는 일반적으로 탄성이 양호한 의용 라텍스 박막 또는 의용 실리콘 박막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두께는 0.03mm~0.10mm 사이이다. 이 밖에, 의용 라텍스 파이프 또는 의용 실리콘 파이프를 선택하여 탄성 견인체(2)로 할 수 있다. 의용 라텍스 와이어 또는 의용 실리콘 와이어도 탄성 견인체(2)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선상의 탄성 견인체(2)는 박막 띠상의 탄성 견인체(2)에 비하여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더욱 쉽게 통과할 수 있어 사용상 더욱 편리하다.
본 실시예의 단점은,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은 지지력이 결여됨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꺼짐 상태에 처해있다. 상기 띠상의 탄성 견인체(2)는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로부터 통과되기 어려워, 전용도구 실잡이(200)의 보조을 거쳐야만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11: 본 발명의 박벽파이프상 혀점막하 터널식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1 및 도 1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실시예10에 대하여 개선을 하였는 바, 혀점막하에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식립하고,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은 한 구간의 호형으로 만곡된 의용 티타늄 금속 박벽파이프이다. 상기 의용 티타늄 금속 박벽파이프는 혀점막하에서 15일 내지 60일 동안 식립된 후, 상기 의용 티타늄 금속 박벽파이프는 혀점막하의 혀조직 중에 고정되고, 다만 의용 티타늄 금속 박벽파이프 양단의 관구만 혀점막 외에 노출된다. 이러한 박벽파이프의 지지력을 구비하는 혀점막하 터널은 본 발명에 따른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의 혀점막하 터널(100-3)을 구성한다.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은, 금속 박벽 파이프의 지지력이 존재하여 꺼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탄성 견인체(2)가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10에 따른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이 지지력의 결여로 인해 꺼짐 현상이 쉽게 발생하고 탄성 견인체(2)가 쉽게 통과되지 않는 결점을 극복하였다.
탄성 견인체(2)가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의 혀점막하 터널(100-3)을 더욱 쉽게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혀점막밖에 노출된 관구부분에 계단 또는 호온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으로 탄성 견인체(2)가 편리하게 삽입,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고정에 유리하여 변위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1b를 참조한다.
실시예12: 본 발명의 코일 스프링상 혀점막하 터널식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실시예11에 대하여 진일보로 개선을 진행하였다. 본 실시예의 구별점은, 상기 박벽파이프 식립물(100-4)은 형상기억기능을 구비하는 티타늄 니켈 형상기억 합금 밀집배열(multislice) 나선관이고, 실시예11에 사용되는 티타늄 합금 박벽파이프를 대체하였다.
상기 의용 밀집배열 코일 스프링 파이프는 혀점막하에 식립된 후, 혀점막하의 혀조직에 고정되고, 다만 밀집배열 나선관의 관구만 혀점막 양측에 노출된다. 혀점막하에 고정된 밀집배열 나선관은 본 발명의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을 구성한다.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은 밀집배열 코일 스프링 파이프의 지지가 있으므로 꺼짐이 발생하지 않고 탄성 견인체(2)가 쉽게 통과될 수 있다. 동시에, 밀집배열 코일 스프링 파이프는 티타늄 금속 박벽 파이프에 비하여 양호한 유연성을 구비하므로 혀의 쾌적성을 향상시켰는 바, 이는 도 12를 참조한다.
상기 밀집배열 코일 스프링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티타늄 니켈 형상기억 합금 와이어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정형화 열처리를 거치며 상기 밀집배열 코일 스프링 파이프의 기하적 형상은 혓바닥 식립 위치의 생리적 요구에 부합된다. 또한, 관구 위치에 호온개구를 구비하여 한편으로 탄성 견인체(2)가 편리하게 삽입 및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고정에 유리하여 변위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2를 참조한다.
실시예13: 본 발명의 철 자성 풀식립형 연결체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3과 도 1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혓바닥에 식립된 혓바닥 연결기구(1)의 혀에 고정되는 식립체(101)는 혀점막하에 완전히 식립되는 풀식립형 연결체(102)이다.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는 편평상 물체(102-1)이다.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는 철 자성을 구비하는 의용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예를 들어 두께가 0.30mm~0.60mm인 철 자성 의용 스테인레스 강판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상기 철 자성 의용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이즈가 약 8 mm×20 mm인 편평상 물체(102-1)로 제조한 후, 이를 혓바닥 연결기구(1)의 풀식립형 연결체(102)로 하여 혓바닥 위치에 식립한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유곽유두 전방 약 1cm~4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2cm 거리를 둔 양측의 혀점막하에, 하나의 상기 편평상 물체(102-1)를 각각 식립하여 상기 편평상 물체(102-1)가 혀점막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도록 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식립된 상기 철 자성을 구비하는 편평상 물체(102-1)가 혀점막하의 혀조직 중에 완전히 고정된 후, 혓바닥에 대한 탄성 견인을 진행할 수 있다.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탄성 견인체(2)를 선택하고, 상기 철 자성을 구비하는 풀식립형 연결체(102)에 대하여 탄성 견인을 진행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에는 자성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철 자성을 구비하는 풀식립형 연결체(102)에 흡착될 수 있고, 탄성 견인체(2)와 풀식립형 연결체(102)는 혀점막 조직을 사이에 두고 있어, 탄성 견인체(2)와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 사이에 자성 연결을 형성한다.
다음,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를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치아측 고정기(3)를 지지점으로 하고,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의 자성 연결을 통하여 하수된 혀를 당기고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대시켜 코골기와 OSAHS를 치료할 수 있다.
혀점막하에 식립된 풀식립형 연결체(102)가 혀조직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에 스루홀(106)을 설치할 수 있다. 혀조직이 상기 스루홀(106) 내에서 생장 및 부착되어,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가 혀조직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3a를 참조한다.
실시예14: 본 발명의 자성연결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4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13에 대하여 진일보로 개선을 진행하였다.
혓바닥 위치에 식립된 자성을 구비하는 풀식립형 연결체(102)의 혀운동에 대한 적응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자성을 구비하는 풀식립형 연결체(102)에 대하여 개선을 진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혓바닥 연결기구(1)로서의 풀식립형 연결체(102)는 편평상 물체(102-1)이다. 상기 편평상 물체(102-1)는 자성유닛(1021-1)을 베이스체(1021-2)에 완전히 피복시키는 복합구조를 사용하였는 바, 이는 도 14b와 도 14c를 참조한다.
의용 실리콘을 선택하여 베이스체(1021-2)로 할 수 있고, 인체에서 장기적으로 식립될 수 있는 기타 연성 의용재료, 예를 들어 의용 폴리우레탄 등을 선택하여 베이스체(1021-2)의 제조원료로 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4b와 도 14c를 참조한다.
NdFeB 영구자석재료를 선택하여 자성유닛(1021-1)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접촉면적이 큰 NdFeB 자성시트를 사용하여 자성유닛(1021-1)으로 한다. 또한, NdFeB 자성분말 또는 기타 영구자석재료 입자 또는 분말을 사용하여 자성유닛(1021-1)으로 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4b와 도 14c를 참조한다.
몰드에서 의용 실리콘이 금속분말을 피복하는 일반공예에 따라 NdFeB 자성시트의 자성유닛(1021-1)을 의용 실리콘의 베이스체(1021-2)에 완전히 피복시켜 자성을 구비하는 의용 실리콘 띠를 형성한다. 이를 절단한 후, 세척 멸균하여 혓바닥 연결기구(1)의 풀식립형 연결체(102)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성의 의용 실리콘 띠의 자성유닛(1021-1)은 의용 실리콘의 베이스체(1021-2)에 완전히 피복되고, 자성유닛(1021-1)의 존재로 인해 자성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의용 실리콘베이스체(1021-2)의 존재로 인해 양호한 탄성과 변형능력을 구비하게 된다. 이로써, 풀식립형 연결체(102)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탄성 견인체(2)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는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자성연결을 실현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4와 도 14a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도 이러한 베이스체(1021-2)가 자성유닛(1021-1)을 완전히 피복하는 자성을 구비하는 의용 실리콘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가 자성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의용 실리콘 재료로 제조된 식립체는 혀조직에 쉽게 부착, 고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에 사용된 편평상 물체(102-1)에 스루홀(106)과 돌출계단(105)을 설치할 수 있다. 혀조직의 스루홀(106)에서의 생장 및 부착 그리고 돌출계단(105)을 통하여 식립된 편평상 물체(102-1)의 변위를 방지하는 바, 이는 도 14a과 도 14b를 참조한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유곽유두 전방 약 1cm~4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2cm 거리를 둔 양측의 혀점막하에, 하나 이상의 상기 자성을 구비하는 편평상 물체(102-1)를 각각 식립하여 상기 자성을 구비하는 편평상 물체(102-1)가 혀점막에 완전히 피복되도록 하는 바, 이는 도 14d를 참조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식립된 상기 자성을 구비하는 편평상 물체(102-1)가 혀점막하의 혀조직 중에 완전히 고정된 후, 혓바닥에 대한 탄성 견인을 진행할 수 있다.
잠자기 전에, 상기 자성을 구비하는 탄성 견인체(2)를 선택하여 혓바닥 연결기구(1)의 자성을 구비하는 풀식립형 연결체(102)를 견인한다.
혓바닥 점막하에 식립된 풀식립형 연결체(102)가 자성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은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의 혀측 연결기구(21)도 자성을 구비하므로, 오직 상기 자성을 구비하는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를 혓바닥의 식립체 식립위치 근처로 연장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들의 자극이 서로 반대되고 서로 흡인하므로 자성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4와 도 14a를 참조한다. 이로써, 치아측 고정기(3)를 지지점으로 하고,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의 자성 연결을 통하여 하수된 혀를 당기고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대시켜 코골기와 OSAHS를 치료할 수 있다.
기상 후, 상기 자성을 구비하는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를 흡착된 혓바닥 위치로부터 힘껏 분리시키면 자성연결을 해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혀에 대한 탄성 견인을 해제시킬 수 있다.
실시예15: 본 발명의 혓바닥 접합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혀에 고정된 연결체(101)는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104)이다. 상기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104)는 혓바닥 점막 표면에 접합 또는 흡착될 수 있는 지지 베이스(104-1)와,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되는 연결기구(104-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104-2)는 연결 돌출계단(1042-2)으로서 상기 연결기구(104-2)는 상기 지지 베이스(104-1)에 구비된다.
상기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104)는 의용접합제에 의해 혓바닥 점막표면에 접착될 수 있는 바, 이는 도 15를 참조한다. 탄성 견인체(2)는 상기 연결 돌출계단(1042-2)에 씌울 수 있고, 탄성 견인체(2)의 견인력에 의해 하수된 혀에 대한 견인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기구(104-2)는 연결 오목홈(1042-1)을 사용할 수 있고,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기구(104-2)는 연결 돌출계단(1042-2)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기구(104-2)는 연결훅(1042-3)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혓바닥 점막표면의 지지 베이스(104-1)는 유연한 의용 실리콘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진공감압에 의해 지지 베이스(104-1)를 혓바닥 점막표면에 흡착시킬 수 있는 바, 이는 도 15를 참조한다.
도 15c를 참조하면, 탄성 견인체(2)의 원단, 즉 혀측과 가까운 일단의 단부(21-5)의 혓바닥 점막과 접촉되는 표면에 의용접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단부(21-5)를 혓바닥 점막의 표면에 직접 접합시킨다. 이때, 상기 단부(21-5)는 탄성 견인체(2)의 일부분이자 또 혓바닥 연결기구(1)의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104)에 해당된다.
실시예16: 본 발명의 입술밖 접합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혓바닥 연결기구(1)는 타원형링 연결체(101)를 사용하여 하프식립형으로 혓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타원형링 연결체(101)의 일부분은 혀점막하에 식립되고 다른 일부분은 혓바닥 점막 외에 노출된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라텍스 박막을 사용하여 제조된 긴띠형의 탄성 박막띠이고, 상기 띠상 탄성 견인체(2)의 양단에 의용접합제를 각각 도포하여 의용 접착형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띠형 탄성 견인체(2)는 타원형링 연결체(101)를 통과한 후, 보호막을 제거하고 상기 띠상 탄성 견인체(2)의 양단을 각각 입술 밖의 볼에 접착시킨다. 이로써 혓바닥에 대한 탄성견인을 실현하고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장시켜 코골기와 OSAHS를 치료할 수 있다. 이때, 의용 접합제가 도포된 탄성 견인체(2)의 양단 부분은 치아측 고정기(3)에 해당되는 바, 이는 도 16을 참조한다.
실시예17: 본 발명의 실리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의용 실리콘을 사용하여 제조된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이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양단에 복수개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구비하는 의용 실리콘을 사용하여 제조된 띠상의 탄성 견인체이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 표면에 접합 고정될 수 있는 치아측 고정기(3)이다. 2개의 상기 치아측 고정기(3)를 앞니의 양측의 적당한 위치의 치아 외측에 접합 고정시키고, 상기 견인체(2)는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의 중심홀(100-4-3)을 통과한 후, 상기 견인체(2)의 양단은 치아측 연결홀(22-1)을 각각 통과하여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리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구성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는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로서, 의용 실리콘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양단에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는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는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의 밑부에 혀점막 표면과 서로 매칭되는 평활면(100-4-2)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 양단의 2개의 평활면(100-4-2) 사이의 협각(β)은 100˚~150°사이이다.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혀점막하에 식립할 시,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 밑부의 혀점막 표면과 서로 매칭되는 평활면(100-4-2)은 혀점막과 면접촉을 실현하여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이 혀점막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과 혀점막의 면접촉은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이 혀점막 표면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사용상의 쾌적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 양단의 2개의 평활면(100-4-2) 사이에 100˚~150˚범위의 협각(β)을 형성할 수 있다. 혀체의 생물학적 형상은 일정한 각도를 구비하는 아치형 구조이므로,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이 혀점막하에 식립된 후, 상기 협각(β)은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으로 하여금 혀체 표면 점막에 더욱 잘 접합되도록 하여 환자의 사용 과정 중에서의 쾌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는 의용 실리콘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를 혀점막하에 식립할 시, 마음대로 형상을 개변시킬 수 있어 혀점막하의 통로에 잘 적응할 수 있다. 유연한 재질은 또한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이 혀점막 조직과 접촉할 때 더욱 좋은 유연성을 구비하도록 하여 혀점막 조직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고 환자의 의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임상에서 사용시에 우선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의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식립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양단의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이 혀점막 표면 밖에 바로 노출되도록 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견인하여 환자가 통증과 불편감을 느끼지 않을 때 혓바닥 견인을 진행할 수 있다.
제2단계로, 선택 사용하고자 하는 치아측 고정기(3)의 상이한 구체적 구조에 따라, 선택 사용하는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의 입술 밖을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의 외측에 접합 고정되는 바, 이는 도 17을 참조한다.
제3단계로, 잠이 들기 전에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본 발명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의 중심홀(100-4-3)을 통과시키고 다음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양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킨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점으로 하고, 본 발명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에 대하여 탄성 견인력을 형성한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하에서 꺼진 설근부를 앞으로 당겨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장시킴으로써 OSAHS를 치료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바, 이는 도 17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를 통하여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장착할 시에, 하기와 같은 요점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탄성 변형기구(20)의 탄성 견인력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우선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잘 선택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번 내지 4번의 치아측 연결홀(22-1)에서 2번 치아측 연결홀(22-1)을 선택하였다. 다음, 선택한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에 의해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킨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탄성 변형기구(20)의 적당한 탄성 견인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혓바닥 연결기구(1)가 상기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의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중심홀(100-4-3) 내에 바로 유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혓바닥 견인기구(1) 양측의 혀측 연결기구(21)의 위치와 본 발명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의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 양단의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 위치는 기본적으로 일치하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변형기구(20)는 본 발명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100)의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과 치아측 고정기(3) 사이의 공간에 노출된다. 혀의 운동과 함께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고 또한 항상 혓바닥에 적당한 탄성 견인력을 인가한다.
제4단계로, 기상 후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본 발명의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의 중심홀(100-4-3)로부터 빼내어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하는 바, 이는 도 17을 참조한다.
실시예18: 본 발명의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에 종방향 연결 오목홈이 구비되어 있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도 18 내지 도 18m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별점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2)와 서로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 돌출계단(12-2)의 구조를 사용하였고,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에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을 설치할 경우, 탄성 견인체(2)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을 강화시킬 수 있어, 혀가 격렬한 운동을 진행하는 상황하에서도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바, 이는 도 18a를 참조한다.
도 18h 내지 도 18m을 참조하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지지체(11) 및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1)는 호형 의 원기둥체이고, 호형 원기둥체의 양단에 원추형 전이기구(1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는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혀의 표면점막이 면접촉되도록 하여 혀 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키고 식립된 혓바닥 연결기구(1)의 쾌적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j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견인체와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 돌출계단(12-2)과 연결 오목홈(12-1)으로 구성된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은 반구형이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오목홈(12-1)은 1개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과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을 포함한다. 상기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은 연결 돌출계단(12-2)의 밑부와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의 단부 사이에 형성하는 오목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탄성 견인체(2)에 대한 고정작용을 공동으로 형성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임상에서 사용시에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를 혀점막하에 매입시키고,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혀점막 표면 밖에 노출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혓바닥 연결기구(1)을 견인하여 환자가 통증과 불편감을 느끼지 않을 때 혓바닥 견인을 진행할 수 있다.
제2단계로, 선택 사용하고자 하는 치아측 고정기(3)의 상이한 구체적 구조에 따라, 선택 사용하는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의 입술 밖을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의 외측에 접합 고정되는 바, 이는 도 18을 참조한다.
제3단계로, 잠이 들기 전에 우선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을 본 발명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에 고정시키고, 다음 탄성 견인체(2)의 다른 일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킨다.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점으로 하고, 본 발명의 혓바닥 연결기구(1)에 대하여 탄성 견인력을 형성한다.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하에서 꺼진 설근부를 앞으로 당겨 설인두부의 기도를 확장시킴으로써 코골기 또는 OSAHS를 치료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바, 이는 도 18을 참조한다.
제4단계로,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확대시키고,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낸다. 마찬가지로, 상기 탄성 견인체(2)도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로부터 분리 및 제거하여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하는 바, 이는 도 18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및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횡방향과 종방향에서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에 대하여 고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띠상 구조를 사용하고, 상기 띠상구조의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가 혀측 연결홀(21-1)일 경우, 상기 혀측 연결홀(21-1)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을 통과한 후,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 아래의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고정된다. 동시에, 치아측으로 상기 띠상구조의 탄성 견인체(2)을 죄일 경우,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혀측 연결홀(21-1)의 가장자리는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내에 자동적으로 걸릴 수 있어,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및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의 공간적 교차의 조합식 고정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18a 내지 도 18j를 참조한다.
이 밖에,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2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또는 3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또는 5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임상적인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바, 이에 관하여 도 18k, 도 18l, 도 18m을 각각 참조한다.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에 수직되는 방식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과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이 일정한 공간적 교차각을 이루는 방식일 수 있는 바, 이러한 공간적 교차각은 일반적으로 10˚내지 90˚이다.
실시예18-1: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4개의 오목홈 스레드형 혓바닥 연결기구
도 18b, 도 18c 및 도 18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여전히 실시예18의 최적화된 연결 돌출계단에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이 구비되어 있는 혓바닥 연결기구(1)를 사용한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 및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과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의 공동의 위치결정작용을 통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에 대한 양호한 고정, 연결을 실현한다. 실시예18과의 구별점은, 본 실시예의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과 상기 지지체(11) 사이는 탈착 가능한 스레드 연결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상기 지지체(11) 및 탄성 견인체와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1)는 호형의 원기둥체이고, 상기 탄성 견인체와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 돌출계단(12-2)과 연결 오목홈(1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과 지지체(11)의 단부는 나사산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연결너트(12-7)를 상기 지지체(11) 단부의 연결스크류(11-7)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상기 지지체(11)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다. 반대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연결너트(12-7)를 상기 연결스크류(11-7)로부터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상기 지지체(11)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탈착 가능한 스레드 연결형 혓바닥 연결기구는 혓바닥 점막 하에서의 장착 및 탈착이 모두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좌측은 스레드 연결구조의 탈착 가능한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상기 지지체(11) 사이의 조합식 연결을 실현한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우측은 일체화 제조방식을 사용하여 클램핑 펜치의 클램핑 장착의 편리를 도모한다.
실시예18-2: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4개의 오목홈 요철 맞춤식 혓바닥 연결기구
도 18e, 도 18f 및 도 18g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여전히 실시예18의 최적화된 연결 돌출계단에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이 구비되어 있는 혓바닥 연결기구(1)를 사용한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 및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과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의 공동의 위치결정작용을 통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에 대한 양호한 고정, 연결을 실현한다. 실시예18 및 실시예18-1과의 구별점은, 본 실시예의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과 상기 지지체(11) 사이는 탈착 가능한 요철 맞춤 연결 구조이다.
상기 지지체(11)의 요철 맞춤의 장착 돌출계단(11-5)을 상기 탄성 견인체와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요철 맞춤의 장착 오목홈(12-5) 내에 걸어 조립을 완성한다. 해제가 필요할 경우, 상기 지지체(11)의 슬롯홀(11-6)을 안쪽으로 압축시켜 슬롯홀(11-6)이 안쪽으로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철 맞춤의 장착 돌출계단(11-5)이 안쪽으로 수축되어 상기 요철 맞춤의 장착 돌출계단(11-5)이 상기 요철 맞춤의 장착 오목홈(12-5)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제거한다.
실시예19: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3단식 탄성 견인체
도 19 내지 도 19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위한 탄성 견인체(2)에 대하여 공개하였고,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실리콘 재료를 사용하여 몰드성형기술에 의해 일체화 제조된 것이다.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는 혀측 연결기구(21), 치아측 연결기구(22) 및 탄성 변형기구(20)를 포함한다.
도 19 내지 도 19a를 참조하면,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와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에 1개의 혀측 연결홀(2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 4개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치아측 연결홀(22-1) 사이의 간격은 약 3~5mm로서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의 견인력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와 치아측 연결기구(2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는 긴띠모양의 시트형 탄성물체이다. 의용탄성재료를 사용하여 일체화 제조된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는 가변단면의 방식에 의해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상기 혀측 연결기구(21) 또는 치아측 연결기구(22)에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실현하였다.
진일보로,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에 구비된 혀측 연결홀(21-1)의 주변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1-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기에지(21-1-1)는 혓바닥 연결기구(2)를 효과적으로 감싸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가 혓바닥 연결기구(1)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 4개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고, 각 치아측 연결홀(22-1) 사이의 간격은 5mm이며, 또한 각 치아측 연결홀(22-1)의 근처에 아라비아 숫자로 위치번호를 표기한다. 상이한 위치번호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킬 때, 본 발명의 3단식 탄성 견인체(2)가 혀에 대한 탄성 견인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이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를 가까이 할수록,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될 때 발생하는 탄성 견인력의 세기도 더욱 크다. 반대로,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이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를 멀리 할수록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될 때 발생하는 탄성 견인력의 세기도 더욱 작다.
진일보로, 상기 각 치아측 연결홀(22-1)의 주변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2-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기에지(22-1-1)는 치아측 고정기(3)를 효과적으로 감싸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가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작업상태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탄성변형이 발생하여 혀에 대하여 탄성 견인력을 인가함으로써 꺼진 설근을 앞으로 당기고 설근 꺼짐으로 인해 초래되는 OSAHS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혀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아 OSAHS를 치료하는 동시에 양호한 언어능력을 보류함으로써 환자의 사용 쾌적감을 향상시켰다.
진일보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작업상태에서 혀에 대하여 인가되는 탄성 견인력은 OSAHS 환자의 개별적인 차이 및 임상적 치료의 수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탄성견인력이 300g보다 작고, 일반적으로 30g~200g 사이이다.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상이한 위치번호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이러한 탄성 견인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임상에서 사용시에 우선 혀의 유곽유두 전방에 혓바닥 연결기구(1)를 식립한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다. 다음, 혓바닥 연결기구(1)를 식립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가 혀점막하에 매립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가 혀점막 표면 밖에 노출되도록 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수술을 거쳐 식립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를 손으로 당길 시에 환자가 통증 및 불편감이 없을 경우 혓바닥 견인을 진행할 수 있다.
제2단계로, 치아측 고정기(3)를 고정시킨다.
의용 접착제에 의해 2개의 치아측 고정기(3)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 하나의 윗니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 또는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를 선택하여 치아측 고정기(3)의 접합 고정점으로 한다.
제3단계로, 잠이 들기 전에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를 장착한다.
잠이 들기 전에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를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 고정시키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22)를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며,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점으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 대하여 탄성 견인력을 발생시킨다.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하에 혀를 앞으로 당긴다.
제4단계, 기상 후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를 제거한다.
기상 후, 상기 3단식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는 동시에 3단식 탄성 견인체(2)를 혓바닥 연결기구(1)로부터 분리 및 제거하여,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한다.
실시예20: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
도 20 내지 도 20e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기구의 혓바닥 연결기구(1)와 탄성 견인체(2)는 하나의 일체화 부품을 형성하여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구성한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탄성 견인체(2)를 포함하고, 의용 실리콘을 사용하여 몰드 성형기술에 의해 일체화 제조된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0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탄성 견인체(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연결기구(22), 탄성 변형기구(20), 혀측 연결기구(21)를 포함한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기구(22), 탄성 변형기구(20), 혀측 연결기구(21) 및 혓바닥 연결기구(1)는 아래와 같은 순서에 따라 배열된다.
치아측 연결기구(22)-탄성 변형기구(20)-혀측 연결기구(21)-혓바닥 연결기구(1)-혀측연결기구(21)-탄성 변형기구(20)- 치아측 연결기구(22).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가변단면의 디자인 사고에 따라, 동등한 응력조건 하에서 탄성체의 각 기능모듈이 상이한 탄성 변형량을 구비하도록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작고, 혓바닥 연결기구(1)의 횡단면의 면적보다도 작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횡단면의 면적은 오직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혓바닥 연결기구(1)의 횡단면의 면적의 30%이거나 30%보다 작다. 본 실시예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동등한 응력조건 하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발생되는 탄성 변형량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혓바닥 연결기구(1)에서 발생되는 탄성 변형량의 3배 이상에 달한다. 다른 각도에서 보면,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변형 저항력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혓바닥 연결기구(1)의 변형 저항력보다 작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가 300g 이하의 견인력을 인가하는 작업상태하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 탄성변형이 발생하지만,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혓바닥 연결기구(1)에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진일보로,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 4개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고, 각 치아측 연결홀(22-1) 사이의 간격은 5mm이며, 또한 각 치아측 연결홀(22-1)의 근처에 아라비아 숫자로 위치번호를 표기한다. 상이한 위치번호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킬 때,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가 혀에 대한 탄성 견인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이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를 가까이 할수록,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될 때 발생하는 탄성 견인력의 세기도 더욱 크다. 반대로,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이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를 멀리 할수록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될 때 발생하는 탄성 견인력의 세기도 더욱 작다.
이 밖에, 상기 각 치아측 연결홀(22-1)의 주변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2-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기에지(22-1-1)는 치아측 고정기(3)를 효과적으로 감싸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가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의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작업상태에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탄성변형이 발생하여 혀에 대하여 탄성 견인력을 인가함으로써 꺼진 설근을 앞으로 당기고 설근 꺼짐으로 인해 초래되는 OSAHS를 방지할 수 있다. 탄성견인의 방식을 사용하므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가 혓바닥에 인가하는 견인력은 온화하고 탄력적이여서 혀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아 OSAHS를 치료하는 동시에 양호한 언어능력을 보류함으로써 환자의 사용 쾌적감을 향상시켰다.
진일보로,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작업상태에서 혀에 대하여 인가되는 탄성 견인력은 OSAHS 환자의 개별적인 차이 및 임상적 치료의 수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탄성견인력이 300g보다 작고, 일반적으로 30g~200g 사이이다.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상이한 위치번호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이러한 탄성 견인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혓바닥 연결기구(1)는 혓바닥의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 내에 유치되어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과 서로 매칭되는 아크섹션을 구비한다. 작업상태일 때,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에 대하여 효과적인 지지 고정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견인 시의 혓바닥의 응력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설인두부 기도의 확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임상적인 사용시에, 우선 혓바닥의 혀점막하에 일정한 견인력에 견딜 수 있는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형성한다.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를 식립,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식립체의 양단이 혀점막 밖에 노출되도록 한다. 수술 후 15일~60일에 상기 식립체를 제거한 후, 혓바닥 점막하에 일정한 견인력에 견딜 수 있는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단계, 치아측 고정기(3)를 고정시킨다.
의용 접착제에 의해 2개의 상기 치아측 고정기(3)를 앞니로부터 왼쪽으로 4번째 윗니와 앞니로부터 오른쪽으로 4번째 윗니에 각각 고정시킨다.
제3단계, 잠이 들기 전에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 견인체를 장착한다.
잠이 들기 전에,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혓바닥 위치에서 형성된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통과시킨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가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로부터 통과된 후, 환자의 개별적인 차이에 따라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의 상이한 위치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의 2번 위치번호를 선택하였고, 2번 위치번호의 표기선에 따라 상기 치아측 위치 연결홀(22-1)의 3번 위치와 4번 위치를 잘라낸다. 상기 치아측 연결홀(22-1)은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양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켜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장착 과정을 완성한다.
제4단계, 기상 후 본 발명의 일체형 탄성 견인체를 제거한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로부터 빼내어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21: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삼각대형 입술밖 고정식 치아측 고정기
도 21 내지 도 21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치아측 고정기(3)에 대하여 공개하였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삼각대형 구조를 사용한 것으로, 상악과 하악이 만나는 입가 위치에 고정되고, 입술밖형의 치아측 고정기(3)에 속한다.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는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브래킷(31)과,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될 수 있는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 및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를 상악/하악 밖에 고정시킬 수 있는 치아측 고정기구(33)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피부표면이 접촉되는 표면은 평활한 곡면이다.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상기 지지 브래킷(31)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고정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결정 오목홈(32-1) 및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은 평활한 원추형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에 3개의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을 포함하고,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은 아치형 구조이다.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의 일단은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에 합류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는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을 아치형지지레그로 하며 상악/하악 외부 피부와 접촉되는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밑부의 평활한 곡면(33-1)을 지지점으로 하는 방사상 아치형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는 3개의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 즉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및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을 포함한다.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사이의 협각(γ)은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 사이의 협각(ε)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사이의 협각(γ)은 상기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과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 사이의 협각(θ) 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 또는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의 길이는 상기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의 길이 보다 크거나 같다.
작업 상태일 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의 평활한 원추형 구조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 오목홈(32-1) 내에 고정되고,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의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은 각각 윗입술 밖, 아랫입술 밖 및 입꼬리 밖에 지지되어 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변형기구(20)에 의해 인가된 탄성 견인력을 통하여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를 환자의 상악/하악 밖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견인체(2)가 상기 입술밖형 치아측 고정기(3)에 장착되는 과정을 완성하는 바, 이는 도 21d를 참조한다.
실시예22: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工”자형 치아측 고정기
도 22 내지 도 2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에 접합 고정될 수 있는 “工”자형 치아측 고정기(3)를 사용한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지지 브래킷(31),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 및 치아측 고정기구(33)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상기 지지 브래킷(31)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 상기 지지 브래킷(31) 및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이 구성하는 횡단면은 “工”자형이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접합의 방식으로 치아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32)는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결정 오목홈(32-1) 및 평활한 표면을 구비하는 구형캡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을 포함한다.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32)는 평활한 표면을 구비하는 구형캡 디자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므로,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32)가 치아 표면에 고정될 경우,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인체 구강 내부 점막 조직의 접촉은 원활한 면접촉으로서, 인체 구강 점막조직에 대한 자극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가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쾌적성을 확보한다.
상기 지지 브래킷(31)은 평활한 기둥체이다. 상기 탄성 견인체(2)가 치아측 연결기구(22)에 의해 상기 치아측 고정기(3)와 연결될 경우,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치아측 연결홀(22-1)은 상기 지지 브래킷(31)을 감싸고 위치결정 오목홈(32-1) 내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31)은 평활한 기둥체를 사용하여 설계된 것이므로, 평활한 표면은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에 대하여 손해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사용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강화시켰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치아 표면과 서로 적응되는 라디안을 구비하는 케이스체(33-1)이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가 접합되는 부위에 치아 표면과 서로 적응되는 라디안을 구비하므로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 표면이 더욱 잘 접합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 표면 사이의 접합의 신뢰성을 진일보로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사용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치아 표면과 서로 적응되는 라디안을 구비하는 케이스체(33-1)에 글루 수용홀(33-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케이스체(33-1)에 글루 수용홀(33-1-1)이 구비되므로,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 표면이 접합하는 과정에서의 접합제와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와 치아표면의 접합이 더욱 견고하도록 하고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사용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강화시켰다.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의용 티타늄 합금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한편으로 재료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여 인체조직과 장기적인 접촉하에서도 인체에 대하여 그 어떠한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 재료의 역학 성능이 요구에 부합되도록 하여 환자가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2c를 참조하면, 작업 상태일 때 우선 상기 치아측 고정기(3)를 그 위의 치아측 고정기구(33)의 치아 표면과 서로 적응되는 라디안을 구비하는 케이스체(33-1)를 통과시켜 치아표면과 접합한다. 견고하게 접합된 후, 상기 탄성 견인체(2)는 평활한 표면을 구비하는 구형캡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을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31)을 감싸고 위치결정 오목홈(32-1)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탄성 견인체(2)가 상기 치아측 고정기(3)에서의 장착 과정을 완성한다.
실시예23: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클램핑 펜치
도 23 내지 도 23o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4개의 오목홈스레드형 혓바닥 연결기구(1)를 장착하기 위한 클램핑 펜치에 대하여 공개하였고,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실시예18-1에 의해 공개된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4개의 오목홈스레드형 혓바닥 연결기구(1)와 서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오른팔(401), 왼팔(402), 회전축(403), 리턴 스프링(404), 셀프로킹 기구(405) 및 셀프로킹 기구(40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406)을 포함한다.
상기 오른팔(401)은 오른쪽 펜치헤드(401-1), 오른팔 꼬리부(401-2),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을 포함한다. 상기 오른쪽 펜치헤드(401-1)은 오른쪽 작업 오목홈(401-1-1),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1-1-3) 및 1개의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을 포함한다. 상기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에 회전축을 장착하기 위한 스루홀(401-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우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1-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오른팔(401)에 위치결정 가이드슬롯(401-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406)에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의 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도4 내지 도4-2를 참조한다.
상기 왼팔(402)은 왼쪽 펜치헤드(402-1), 왼팔 꼬리부(402-2),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을 포함한다. 상기 왼쪽 펜치헤드(402-1)는 왼쪽 작업 오목홈(402-1-1),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 및 1개의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을 포함한다. 상기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에 회전축을 장착하기 위한 스루홀(402-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 좌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2-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왼팔(402)에 위치결정 가이드블록(402-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406)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의 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도5 내지 도5-2를 참조한다.
상기 회전축(403)은 원기둥체이고, 직경과 우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1-3-1)은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403)을 상기 스루홀(401-3-1)에 고정시킨다. 상기 좌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2-3-1)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403)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왼팔(402)은 상기 스루홀(402-3-1)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403)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23f과 도 23g를 참조한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리턴 스프링(404)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 사이에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의 우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1-2-3) 내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의 좌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2-2-3) 내에 지지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 대하여 개방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펜치헤드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 이는 도 23b, 도 23e, 도 23f, 도 23g를 참조한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셀프로킹 기구(405)는 핀(405-1), 토션 스프링(405-2)과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406) 내에 장착한다.
진일보로, 상기 핀(405-1)은 원기둥체이고, 핀홀(401-2-1)과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405-2)은 상기 핀(405-1)에 감기고, 상기 토션 스프링(405-2)의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토션 스프링장착홈(405-3-4)에 지지되어,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로크 티스(405-3-1)로 아래로 향하는 폐쇄력을 제공한다.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은 로크 티스(405-3-1), 셀프로킹 스위치(405-3-2), 장착 스루홀(405-3-3)과 토션 스프링장착홈(405-3-4)을 포함한다.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은 L자형의 판상 구조를 나타내고, 상기 로크 티스(405-3-1)는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앞단에 위치하고 상기 셀프로킹 스위치(405-3-2)은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꼬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 스루홀(405-3-3)은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L자형의 굽이돌이에 위치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장착홈(405-3-4)은 상기 장착 스루홀(405-3-3)의 근처에 위치한다. 상기 로크 티스(405-3-1)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의 상기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406)의 위치결정 돌출계단(402-2-1)은 요철 맞춤을 형성한다. 상기 셀프로킹 스위치(405-3-2)는 잠금해제 슬롯(401-2-2)에 돌출되고, 상기 핀(405-1)은 상기 장착 스루홀(405-3-3)로부터 통과되어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오른팔(401)의 장착홈(406) 내에 장착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23b, 도 23e, 도 23f, 도 23g, 도 23n, 도 23o를 참조한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조립은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주체의 장착과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의 장착 2개의 단계로 구분된다.
조립 시, 우선 상기 클램핑 펜치(400) 주체의 장착을 진행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404)의 일단을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의 우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1-2-3) 내에 위치시키고, 다음 상기 오른팔(401)과 왼팔(402)을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과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의 요철 맞춤에 의해 조립을 진행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404)의 다른 일단을 상기 왼팔 꼬리부(402-2)의 좌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2-2-3) 내에 위치시킨다. 상기 오른팔(401)과 왼팔(402)을 조립한 후, 상기 회전축(403)을 상기 우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1-3-1), 좌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2-3-1), 우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1-3-1)을 순서대로 통과시킨다. 억지끼워맞춤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403)을 상기 우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1-3-1)에 고정시키고, 좌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2-3-1)의 내경이 상기 회전축(403)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상기 왼팔(402)이 상기 회전축(403)을 에돌아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403)을 통하여 상기 오른팔(401)과 왼팔(402)을 조립하면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주체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의 조립을 진행한다. 우선, 상기 핀(405-1)을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의 핀홀(401-2-1)에 삽입시켜 상기 핀(405-1)이 토션 스프링(405-2),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장착 스루홀(405-3-3), 상기 핀홀(401-2-1)을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핀(405-1)과 상기 핀홀(401-2-1)의 끼워맞춤을 통하여 상기 핀(405-1)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스루홀(405-3-3)의 내경이 상기 핀(405-1)의 직경보다 크므로,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은 상기 핀(405-1)을 에돌아 회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405-2)의 일단을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토션 스프링장착홈(405-3-4) 내에 위치시키고, 다른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405-3)의 탄력 작용하에서,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의 로크 티스(405-3-1)가 왼팔 꼬리부(402-2)의 상기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406)의 위치결정 돌출계단(402-2-1)에 위치하도록 하여 요철 맞춤을 형성하고, 아래로 향하는 폐쇄력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의 장착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의 장착을 완성하는 바, 이는 도 23f, 도 23g를 참조한다.
도 23p 내지 도 23s를 참조하면, 사용 시에 우선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의 셀프로킹 스위치(405-3-2)를 눌러, 상기 클램핑 펜치의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의 로크 티스(405-3-1)를 상기 왼팔 꼬리부의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의 위치결정 돌출계단(402-2-1)으로부터 들어 올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펜치헤드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상기 클램핑 펜치의 오른쪽 작업 오목홈(401-1-1)과 왼쪽 작업 오목홈(402-1-1)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 내에 위치시킨다. 한편으로 상기 클램핑 펜치(400)를 폐쇄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살며시 회동시켜 상기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 및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1-1-3)과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삽입됨으로써 혓바닥 연결기구의 연결 돌출계단이 스레드 연결에 의해 혓바닥 연결기구의 지지체에 회전 삽입되는 준비작업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펜치(400)를 회전시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연결너트(12-7)가 스레드 연결에 의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의 연결스크류(11-7)에 고정됨으로써 스레드 연결 장착 작업을 완성한다.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의 셀프로킹 스위치(405-3-2)를 눌러, 상기 클램핑 펜치의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의 로크 티스(405-3-1)를 상기 왼팔 꼬리부의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의 위치결정 돌출계단(402-2-1)으로부터 들어 올려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펜치헤드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를 아웃시킨다.
이 밖에,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방안은 또 기타의 구체적인 설계를 진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리턴 스프링(404)을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토션 스프링으로 바꾸고, 토션 스프링형의 리턴 스프링(404)을 상기 회전축(403)에 감으며,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의 우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1-2-3)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의 좌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2-2-3)에 지지되어 본 발명의 클램핑 펜치를 제조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23t, 도 23u를 참조한다.
실시예24: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탄성 견인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펜치
도 24 내지 도 24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탄성 견인체를 장착하는 장착 펜치(500)에 대하여 공개하였고, 상기 장착 펜치(500)는 실시예19에 따른 3단식 탄성 견인체와 실시예20에 따른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와 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펜치(500)는 개방단(501)과 핸들단(502)을 포함하고, 개방단(501)에 2개의 대칭 분포되는 브래킷(501-1)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대칭 분포되는 브래킷(501-1) 사이의 거리(d501)는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최대직경보다 크다.
상기 브래킷(501-1)에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오목홈(501-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를 장착 펜치(500)의 브래킷(501-1)에 위치시킨 후, 장착 펜치(50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장착 펜치(500)의 브래킷(501-1)의 오목홈(501-1-1)의 위치결정작용으로 인해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는 장착 펜치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상기 장착 펜치(500)의 작업 과정이 더욱 안전적이고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핸들단(502)의 표면에 미끄럼방지 오목홈 또는 미끄럼방지 돌기에지 또는 미끄럼방지 패턴(502-1)이 있어 상기 장착 펜치(500)가 사용 과정에서 조작인원의 수중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펜치(500)는 의용고분자재료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장착 펜치(500)로 탄성 견인체(2)를 장착할 때, 장착 펜치(500)의 브래킷(500-1)과 인체 혀점막 조직이 자주 직접적으로 접촉될 지라도 사용자에 대하여 그 어떠한 불량한 작용을 형성하지 않는다.
도 24d 내지 도 24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착 펜치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장착할 때,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홀(21-1)을 탄성적으로 연장 및 확대시킨 후, 2개의 대칭되는 브래킷(501-1)에 씌우고, 상기 장착 펜치(500)의 핸들단(502)을 잡고 장착 펜치(500)를 이동시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를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과 가까이 위치시키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확대된 혀측 연결홀(21-1) 내에 위치시킨다. 다음, 상기 장착 펜치(500)를 빼내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홀(21-1)을 상기 브래킷(501-1)으로부터 슬라이드방식으로 이탈시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견인체(2)와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을 완성한다.
실시예25: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실잡이
도 25 내지 도 25h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실잡이(200)에 대하여 공개하였고, 상기 실잡이(200)는 실시예20에 따른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와 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실잡이(200)는 리드바(201)와 슬라이드블록(202)을 포함한다. 상기 리드바(201)는 평활한 가이드 헤드(201-1)와, 탄성 견인체(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훅(201-2)과, 슬라이드블록(202)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정지슬롯(201-3)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원활하게 과도하는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의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은 상기 리드바(201)의 정지슬롯(201-3)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이 정지슬롯(201-3)의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일단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장착훅(201-2)을 커버할 수 없고,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이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장착훅(201-2)과 가까운 일단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장착훅(201-2)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작업 상태에서 우선 상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을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단부에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상기 장착훅(201-2) 내에 위치시킨다. 다음,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을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장착훅(201-2)과 가까운 단부에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장착훅(201-2)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에 의하여 완전히 커버되도록 한다. 장착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상기 실잡이(200)를, 상기 가이드 헤드(201-1)를 이용하여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안정적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인출한 후, 다시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을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일단에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장착훅(201-2)을 노출시킨다. 다음,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상기 장착훅(201-2) 내로부터 빼낸다. 이로써, 상기 실잡이(200)가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에 대한 와이어 리딩 과정을 완성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안쪽 플랜지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을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의 원활한 과도를 실현하였고, 혀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켰으며, 상기 실잡이(200)의 작업 과정에서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헤드(201-1)의 상단은 표면이 원활한 원추체이다. 따라서, 상기 실잡이(200)가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에 대하여 와이어 리딩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 표면은 면접촉으로써 혀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잡이(200)가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에 대하여 와이어 리딩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방해를 받을 경우, 상기 가이드 헤드(201-1)는 장애물을 잘 에돌아갈 수 있어, 와이어 리딩 과정에서의 안정적인 진행을 확보할 수 있다.
작업 상태일 시,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에 대한 슬라이딩을 통하여 상기 장착훅(201-2)을 완전히 커버시킬 수 있고 또한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상기 장착훅(201-2)에 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잡이(200)가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통과할 때,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장착훅(20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장착훅(201-2)은 슬라이드블록(202) 밖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장착훅(201-2)과 혀점막 표면의 직접적인 접촉과 자극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와이어 리딩 과정 중의 쾌적함과 원활성을 대폭 증가시켰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유일한 구조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이러한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에 대하여 수많은 변화, 개선 및 대체를 진행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잇몸 내측용의 치아못 고정형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티타늄 니켈 형상기억 합금 와이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코일 스프링(9)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는 혀측 연결훅(21-3)을 사용하였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도 치아측 연결훅(22-3)을 사용하였다. 혓바닥 연결기구(1)는 타원형링 지지 브래킷이고, 상기 혀측 연결훅(21-3)은 혓바닥 연결기구(1)를 편리하게 걸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는 사용 상의 편리성이 아주 뛰어나다.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일부 혓바닥 연결기구(1)의 변화에 대하여 나타냈다.
도 27a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혓바닥 견인장치의 U형 지지체의 혓바닥 연결기구(1)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U형 지지체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는 U자형이고,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 돌출계단(12-2)이다.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과 지지체(11)는 일체화로 제조된 것이다. 한편, 연결 돌출계단(12-2)을 별도로 하나의 구성으로 제조한 후, 스레드 연결방식 또는 요철 맞춤 연결방식 또는 억지끼워맞춤방식 또는 접합 방식으로 지지체(11)의 U자형 양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혓바닥 견인장치의 타원형링 지지체의 혓바닥 연결기구(1)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동일한 티타늄 금속 와이어를 만곡시켜 형성된 것으로, 혀점막하에 식립된 타원형링 부분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를 구성하고, 타원형링의 혀점막 밖에 노출된 부분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구성한다.
도 27c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혓바닥 견인장치의 링 지지체의 혓바닥 연결기구(1)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동일한 티타늄 금속 와이어를 만곡시켜 형성된 것으로, 혀점막하에 식립된 링형 부분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지지체(11)를 구성하고, 링형의 혀점막 밖에 노출된 부분이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구성한다.
도 27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도 27a의 구별점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 오목홈(12-1)을 사용하였다. 상기 연결 오목홈(12-1)은 의용박막에 의해 제조된 띠상의 탄성 견인체(2)를 상기 연결 오목홈(12-1)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 오목홈(12-1)으로부터 편리하게 제거될 수도 있다.
도 27e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도 27a의 구별점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훅(12-3)을 사용하였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단일 티타늄 금속 와이어를 만곡시켜 형성된 것으로, 호형 지지체(11)를 혀점막하에 식립하고 양단의 연결훅(12-3)은 혀점막밖에 노출된다. 상기 연결훅(12-3)은 의용박막에 의해 제조된 띠상의 탄성 견인체(2)를 상기 연결훅(12-3)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훅(12-3)으로부터 편리하게 제거될 수도 있다.
도 27f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도 27e의 구별점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훅(12-3)을 사용하였다.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호형 지지체(11)는 단일 티타늄 금속 와이어를 만곡시켜 형성된 것으로, 혀점막하에 식립하고 양단의 연결훅(12-3)은 나사에 의해 지지체(11)에 연결되어 혀점막밖에 노출된다.
도 27g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 오목홈(12-1)을 사용하였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는 혀측 연결 돌출계단(21-2)을 사용하였다. 상기 혀측 연결 돌출계단(21-2)을 상기 혀측 고정기의 연결 오목홈(12-1)의 오목홈에 삽입하여 탈착 가능한 고정 연결을 형성한다.
도 27h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고리(12-6)를 사용한다. 상기 연결고리(12-6)는 지지체(11)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12-6)와 지지체(11)는 일체화 제조 성형을 통하여 또는 스레드 방식을 통하여 함께 연결되거나 또는 요철 맞춤방식을 통하여 함께 연결된다.
도 27i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연결고리(12-6)를 사용한다. 상기 지지체(11)는 원활한 과도성을 구비하는 긴띠형이고, 상기 지지체(11)의 양단부에 스레드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12-6)는 상기 연결고리(12-6) 하단의 스레드 로드를 통하여 지지체(11)의 스레드홀과 함께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고리(12-6)가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체(11)와 상기 연결고리(12-6)의 스레드 로드가 혓바닥 점막하에 식립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체(11)는 원활한 과도성을 구비하는 긴띠형 구조를 사용하므로, 상기 지지체와 혀체 조직 사이의 면접촉을 실현하고 접촉 면적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상기 탄성 견인체(2)가 혓바닥 연결기구(1)에 대하여 탄성 견인력을 인가하여 혀를 당길 때, 상기 지지체(11)는 혀체 조직에 대하여 절단작용이 없고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장기적인 사용과정에 따른 안전성과 쾌적성을 확보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탄성 견인체(2)의 일부 변화를 나타냈다.
도 28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양단은 치아측 연결훅(22-3)과 혀측 연결훅(21-3)이다.
도 2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단일 의용 스프링 와이어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2개의 코일 스프링(9)을 포함한다. 양단은 각각 치아측 연결훅(22-3)과 혀측 연결훅(21-3)이다.
도 28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일단에 혀측 연결선(21-4)이 구비되고 다른 일단에 치아측 연결선(22-4)이 구비된다. 상기 혀측 연결선(21-4)은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오목홈(12-1) 또는 연결 돌출계단(12-2) 또는 연결훅(12-3)에 편리하게 감길 수 있다. 상기 치아측 연결선(22-4)은 치아측 고정기(3)의 연결 오목홈(32-1) 또는 연결 돌출계단(32-2) 또는 연결훅(32-3)에 편리하게 감길 수 있다. 상기 혀측 연결선(21-4)과 치아측 연결선(22-4)은 의용 라텍스 박막 또는 의용 실리콘을 사용하여 일체화 제조된 것이다.
도 28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중부에 하나의 코일 스프링(9)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단은 2개의 치아측 연결훅(22-3)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단에 2개의 혀측 연결훅(21-3)을 포함한다. 상기 치아측 연결훅(22-3)과 혀측 연결훅(21-3)은 리벳의 방식에 의해 코일 스프링(9)과 함께 고정되어 있다.
도 28e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3개의 탄성 사상 물체를 포함한다. 이 중의 2개의 상기 탄성 사상 물체의 일단과 치아측 연결훅(22-3)은 리벳방식 또는 접합방식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 사상 물체의 일단은 혀측 연결훅(21-3)과 리벳방식 또는 접합방식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3개의 탄성 사상 물체의 일단은 리벳방식 또는 접합방식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상기 전체적인 탄성 견인체(2)는 Y자형을 구성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탄성 견인체(2)와 치아측 고정기(3) 사이의 연결방식의 일부 변화를 나타낸다.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포함하고, 상기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은 철 자성을 구비하는 의용 스테인리스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을 사용하고,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은 철 자성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자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와 치아측 고정기(3)의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한쌍의 서로 흡인하는 자성연결을 형성하여 장착과 위치결정의 편리를 도모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위치결정홀(22-1)은 또 치아측 고정기(3)의 위치결정 돌출계단(32-2)과 요철 맞춤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도30a 및 도30b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포함하고, 그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을 사용하며,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은 2개의 위치결정 돌출계단(32-2)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에 씌워 연결구조를 형성한다.
도31a 및 도32b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포함하고, 그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훅(32-3)을 사용하며,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훅(32-3)에 씌워 연결구조를 형성한다.
도32a 및 도3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을 포함하고, 그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 오목홈(32-1)을 사용한다.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치아측 연결 돌출계단(22-2)을 사용한다. 상기 치아측 연결 돌출계단(22-2)을 상기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 오목홈(32-1)의 오목홈에 삽입시켜 탈착 가능한 고정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 명세서에서 공개 및 설명한 구조는 기타 동일한 효과의 구조로 대체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해 소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유일한 구조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소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이러한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에 대하여 수많은 변화, 개선 및 대체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하고자 하는 기술방안의 사상과 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확정해야 할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1은 혓바닥 연결기구이고, 2는 탄성 견인체이며, 3은 치아측 고정기이고 4는 혀이며, 5는 치아이고, 6은 입술이며, 7은 설인두부의 기도이고, 8은 잇몸이며, 9는 코일 스프링이다. 4-1는 혀의 유곽유두이고, 4-2는 혀중선이며, 4-3는 식립형 혓바닥 연결기구의 혓바닥 영역이다. L은 혓바닥 연결기구가 식립된 혓바닥 영역의 길이이고, W는 혓바닥 연결기구가 식립된 혓바닥 영역의 너비이며, H는 혓바닥 연결기구가 식립된 혓바닥 영역의 깊이이다.
혓바닥 연결기구(1)에서, 100은 터널식 견인연결기구이고, 101은 혀에 고정된 연결체이며, 102는 풀식립형 연결체이고, 103은 하프식립형 연결체이며, 104는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이고, 105는 식립된 연결체의 변위를 방지하는 돌출계단이며, 106은 식립된 연결체의 변위를 방지하는 스루홀이다.
100-1은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이고, 100-2는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이며, 100-3은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이고, 100-4는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이다.
100-4-1은 위치결정 돌출계단이고, 100-4-2는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 밑부에서 혀점막 표면과 매칭되는 평활면이며, 100-4-3은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의 중심홀이다.
102-1은 편평상 물체이고, 1021-1은 자성유닛이며, 1021-2는 베이스체이다.
104-1은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의 지지 베이스이고, 104-2는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의 탄성 견인체와 연결되는 연결기구이며, 1042-1는 연결 오목홈이고, 1042-2는 연결 돌출계단이며, 1042-3는 연결훅이다.
11는 지지체이고, 11-5는 지지체의 요철 맞춤의 장착 돌출계단이며, 11-6는 지지체의 슬롯홀이고, 11-7은 지지체의 연결 스크류이다.
12는 탄성 견인체와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이고, 12-1은 연결 오목홈이며, 12-2는 연결 돌출계단이고, 12-3는 연결훅이다. 12-4는 가장자리가 혀 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키는 원추형 전이기구이고, 12-5는 연결 돌출계단의 요철 맞춤의 장착 오목홈이며, 12-6는 연결고리이고, 12-7는 연결 돌출계단의 연결 너트이다. 12-1-1은 횡방향 연결 오목홈이고, 12-1-2는 종방향 연결 오목홈이다.
d12는 원추형 전이기구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 근처 위치의 직경이고, d11는 원추형 전이기구의 지지체 근처 위치의 직경이며, β는 터널식 혓바닥 연결기구의 위치결정 돌출계단 양단의 2개의 평활면 사이의 협각이다.
탄성 견인체(2)에서, 20은 탄성 변형기구이고, 21은 혓바닥 연결기구와 서로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의 혀측 연결기구이며, 22는 치아측 고정기와 서로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의 치아측 연결기구이고, 212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이다.
21-1은 혀측 연결홀이고, 21-2는 혀측 연결 돌출계단이며, 21-3은 혀측 연결훅이고, 21-4는 혀측 연결선이며, 21-5는 혀측 연결단부이고, 22-1은 치아측 연결홀이며, 22-2는 치아측 연결 돌출계단이고, 22-3은 치아측 연결훅이며, 22-4는 치아측 연결선이다.
21-1-1은 혀측 연결홀의 돌기에지이고, 22-1-1은 치아측 연결홀의 돌기에지이다.
S1은 탄성 견인체의 혀측단에서 개설된 혀측 연결 스루홀이고, S2는 탄성 견인체의 혀측단에서 개설된 혀측 연결 스루홀이며, S3은 탄성 견인체의 혀측단에서 개설된 혀측 연결 스루홀이다. Y1은 탄성 견인체의 치아측단에서 개설된 치아측 연결 스루홀이고, Y2는 탄성 견인체의 치아측단에서 개설된 치아측 연결 스루홀이며,Y3은 탄성 견인체의 치아측단에서 개설된 치아측 연결 스루홀이다.
치아측 고정기(3)에서, 31은 지지 브래킷이고, 32는 탄성 견인체를 연결하는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이며, 33은 치아측 고정기를 고정하는 치아측 고정기구이고, 34는 견인력 조절기구이다.
31-1은 치아측 고정 지지 브래킷이고, 31-2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이며, 31-3은 치과 브레이스형 고정 지지 브래킷이고, 31-4는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이다. 32-1은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 오목홈이고, 32-2는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 돌출계단이며, 32-3은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훅이고, 33-1은 치아측 고정기구에 치아 표면과 적응되는 라디안을 구비하는 케이스체이며, 34-1은 회동기구이고, 34-2는 슬라이딩 기구이다.
31-1-1은 치아측 고정 지지 브래킷의 치아측 접합면이고, 31-1-2는 치아측 고정 지지 브래킷의 지지 베이스이며, 31-2-1은 치아 브레이스 고정형 치아측 고정기의 치조홈이고, 31-4-1은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이며, 31-4-2는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이고, 31-4-3은 입꼬리 지지 브래킷이며, 33-1-1은 케이스체에 구비된 글루 수용홀이고, 3411은 회전축이며, 3411-1은 회전축의 위치결정 다변형이고, 3411-2는 리턴 스프링이며, 3411-3은 위치결정 너트이고, 3411-4는 탄성 견인체 고정슬롯이며, 3411-5는 노브이다. 3412는 회전축 장착 위치결정 슬롯이고, 3412-1은 위치결정 다변형 슬롯이며, 3412-2는 리턴 스프링 장착홀이고, 3412-3은 위치결정 너트 장착홀이다. 3421은 슬라이딩 기구의 슬라이드블록이고, 3422는 슬라이딩 기구의 위치결정블록이며, 3421-1은 슬라이드블록의 위치결정치조이고, 3421-2는 슬라이드블록의 핸들이며, 3421-3은 슬라이드블록 브래킷이다.
Γ는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사이의 협각이고, ε는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사이의 협각이며, θ는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과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사이의 협각이다.
200은 실잡이이고, 400은 클램핑 펜치이며, 500은 장착 펜치이다.
실잡이(200)에서, 200은 일체형 탄성견인기구 실잡이이고, 212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이다.
201은 리드바이고, 202는 슬라이드블록이다.
201-1은 가이드 헤드이고, 201-2는 장착훅이며, 201-3은 정지슬롯이다.
202-1은 슬라이드 돌출계단이다.
클램핑 펜치(400)에서, 400은 클램핑 펜치이고, 401은 오른팔이며, 402는 왼팔이고, 403은 회전축이며, 404는 리턴 스프링이고, 405는 셀프로킹 기구이며, 406은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이고, 407은 미끄럼방지 패턴 및 미끄럼방지 오목홈이다.
401-1은 오른쪽 펜치헤드이고, 401-2는 오른팔 꼬리부이며, 401-3은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이다.
402-1은 왼쪽 펜치헤드,402-2는 왼팔 꼬리부,402-3는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이다.
405-1은 핀,405-2는 토션 스프링,405-3는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이다.
401-1-1은 오른쪽 작업 오목홈,401-1-2는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3은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 401-1-4는 위치결정 가이드슬롯,401-2-1은 핀홀,401-2-2는 잠금해제 슬롯,401-2-3은 우측 리턴 스프링장착홈,401-3-1은 우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이다.
402-1-1은 왼쪽 작업 오목홈이고,402-1-2는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이며, 402-1-3은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이고, 402-1-4는 위치결정 가이드블록이며, 402-2-1은 위치결정 돌출계단이고, 402-2-3은 좌측 리턴 스프링장착홈이며, 402-3-1은 좌측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이다.
405-3-1은 로크 티스이고, 405-3-2는 셀프로킹 스위치이며, 405-3-3은 장착 스루홀이고, 405-3-4는 토션 스프링 장착홈이다.
장착 펜치(500)에서, 501은 개방단이고, 502는 핸들단이다. 501-1은 브래킷이고, 501-2는 수납공간이며, 502-1은 미끄럼방지 오목홈이거나 미끄럼방지 돌기에지 및 미끄럼방지 패턴이고, 501-1-1은 오목홈이다.
d501은 브래킷 사이의 거리이다.

Claims (81)

  1. 혓바닥 연결기구(1), 탄성 견인체(2) 및 치아측 고정기(3)를 포함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설하수(glossoptosis)를 방지할 수 있는 혀점막하 터널식(submucosal tunnel) 견인연결기구(100)이거나 또는 혓바닥 위치에 구비되는 연결체(101)이고,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탄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연장될 수 있고 복원력을 형성하며 외력이 해제된 후 원시적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탄성 띠상 물체이거나 또는 탄성 사상 물체이거나 또는 스프링상 물체이거나 또는 탄성 띠상 물체를 포함하는 탄성기구이거나 또는 탄성 사상 물체를 포함하는 탄성기구이거나 또는 스프링상 물체를 포함하는 탄성기구이며,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브래킷(support bracket)(31)과,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될 수 있는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 및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에 고정시킬 수 있는 치아측 고정기구(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와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상기 지지 브래킷(31)에 설치되며, 베어링 지점으로서의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측 고정기구(33)를 통하여 치아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거나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치아측 고정기구(33)를 통하여 윗입술 밖 또는 아랫입술 밖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은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 연결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혀의 유곽유두(circumvallate papillae) 전방의 구강을 따라 세로 길이(L)가 0cm~5cm, 가로 너비(W)가 0.2cm~6cm, 깊이(H)가 0cm~1.0cm인 혓바닥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가 치아측 고정기(3)와 혓바닥 연결기구(1) 사이에서 형성하는 탄성 견인력은 15g 내지 3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혀점막하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는 꺼낸 후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100-2)가 제거된 후 보류된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이거나 또는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식립한 후 혀점막하에서 형성된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꺼낸 후 혓바닥 위치에서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100-2)는 의용 고분자재료 파이프 또는 의용 고분자재료 스프링파이프 또는 의용 고분자재료 와이어 또는 의용 고분자재료 띠 또는 의용 금속재료 파이프 또는 의용 금속재료 스프링파이프 또는 의용 금속재료 와이어 또는 의용 금속재료 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은 의용 고분자재료 박벽 파이프 또는 의용 고분자 스프링파이프 또는 의용 금속 박벽 파이프 또는 의용 금속재료 스프링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는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이고,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 양단에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는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을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이탈 방지의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에는 혀점막 표면과 매칭되는 평활면(100-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100-4-1) 양단의 2개 평활면(100-4-2) 사이의 협각(β)은 90˚~18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식 견인연결기구(100)는 의용 실리콘 또는 의용 고무 또는 의용 라텍스 또는 의용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용 연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체(101)는 혀점막하에 전부 식립할 수 있는 풀식립형 연결체(102)이거나 또는 일부가 혀점막하에 식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혀점막 밖에 노출되는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이거나 또는 혓바닥 점막에 고정할 수 있는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1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는 자성을 가지는 편평상 물체(10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의 자성을 가지는 편평상 물체(102-1)는 자성유닛(1021-1) 및 베이스체(1021-2)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유닛(1021-1)은 베이스체(1021-2)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의 자성을 가지는 편평상 물체(102-1)와 상기 탄성 견인체(2) 사이는 자성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풀식립형 연결체(102) 또는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식립부분에 식립물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는 스루홀(106) 또는 돌출계단(10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는 혓바닥 점막하에 장기적으로 식립될 수 있는 지지체(11)와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될 수 있고 혓바닥 점막 밖에 노출되는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지지체(1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상기 탄성 견인체(2)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오목홈(12-1) 또는 연결 돌출계단(12-2) 또는 연결훅(12-3) 또는 연결고리(1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지지체(11)는 호형 지지체 또는 U형 지지체 또는 링 지지체 또는 타원형링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탄성연결기구(1)가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일 경우,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지지체(11)는 탈착 불가한 일체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탄성연결기구(1)가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일 경우,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지지체(11)는 탈착 가능한 조립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스레드 연결 또는 요철 맞춤 연결 또는 억지 끼워맞춤 연결 또는 접합의 방식에 의해 지지체(1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가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일 경우,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는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 돌출계단(12-2)과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 오목홈(12-1)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오목홈(12-1)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오목홈(12-1)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오목홈(12-1)은 연결 돌출계단(12-2)의 축방향과 수직되는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및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과 공간적 교차를 형성하는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및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에 대하여 공간적 위치결정과 고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은 상기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에 수직되고, 연결 돌출계단(12-2)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에 4개의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이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은 표면이 평활한 반구형 또는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탄성연결기구(1)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지지체(11) 사이에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가장자리에 의한 혀표면 점막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는 원추형 전이기구(12-4)가 구비되고,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와 접근한 위치의 직경(d12)은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의 상기 지지체(11)와 접근한 위치의 직경(d11)보다 크며, 상기 원추형 전이기구(12-4)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 사이에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104)는 혓바닥 점막 표면에 접합 또는 흡착될 수 있는 지지 베이스(104-1)와, 탄성 견인체(2)와 연결되는 연결기구(104-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104-2)는 연결 오목홈(1042-1) 또는 연결 돌출계단(1042-2) 또는 연결훅(1042-3)이며, 상기 연결기구(104-2)는 상기 지지 베이스(104-1)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혀측 연결기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고정기(3)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치아측 연결기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와 혓바닥 연결기구(1)는 탈착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혀측 연결기구(21)는 혀측 연결홀(21-1) 또는 혀측 연결 돌출계단(21-2) 또는 혀측 연결훅(21-3) 또는 혀측 연결선(2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와 치아측 고정기(3)는 탈착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치아측 연결홀(22-1) 또는 치아측 연결 돌출계단(22-2) 또는 치아측 연결훅(22-3) 또는 치아측 연결선(2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탄성박막 또는 탄성 띠상물이고, 상기 의용 탄성박막 또는 탄성 띠상물은 의용 실리콘 박막 또는 의용 라텍스 박막 또는 의용 폴리우레탄 박막 또는 의용 고무 박막 또는 탄성 의용 재료 편직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며, 상기 의용 탄성박막 또는 탄성 띠상물의 두께는 0.01mm~3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의용 탄성 선상물이고, 상기 의용 탄성 선상물은 의용 실리콘 또는 의용 라텍스 또는 의용 폴리우레탄 또는 의용 고무 또는 탄성 의용 재료 편직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며, 상기 의용 탄성 선상물의 직경은 0.05mm~5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는 혀측 연결기구(21), 탄성 변형기구(20) 및 치아측 연결기구(22)를 포함하고,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와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에 하나의 혀측 연결홀(21-1)이 구비되어 있고, 치아측 연결기구(22)에 적어도 하나의 치아측 연결홀(2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상기 혀측 연결기구(21)와 치아측 연결기구(22)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또는 혀측 연결기구(21)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보다 크고,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상기 혀측 연결기구(21) 또는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서는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동종 성능의 탄성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제조할 경우,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작고 혀측 연결기구(21)의 횡단면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에 구비된 혀측 연결홀(21-1)의 주위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1-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에 구비된 치아측 연결홀(22-1)의 주위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2-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탄성 견인체(2)는 일체화 제조기술을 통하여 하나의 일체로 형성하여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혓바닥 연결기구(1)와 탄성 견인체(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치아측 연결기구(22), 탄성 변형기구(20) 및 혀측 연결기구(21)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양단에 위치하고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 적어도 하나의 치아측 연결홀(22-1)을 구비하며,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중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치아측 연결기구(2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 변형기구(20)는 상기 혀측 연결기구(21)를 통하여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의 탄성 변형량은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보다 크고,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상기 혀측 혓바닥 연결기구(1)에서는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3. 제 40 항에 있어서,
    동등한 응력 조건하에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의 탄성 변형량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량보다 크고,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에서는 탄성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긴띠상의 탄성물체로서,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 탄성 변형기구(20), 혀측 연결기구(21) 및 혓바닥 연결기구(1)는 치아측 연결기구(22)-탄성 변형기구(20)-혀측 연결기구(21)-혓바닥 연결기구(1)-혀측 연결기구(21)-탄성 변형기구(20)-치아측 연결기구(22)의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치아측 연결기구(22)에 구비된 치아측 연결홀(22-1)의 주위에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돌기에지(22-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6. 제 40 항에 있어서,
    동종 성능의 탄성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제조할 경우, 상기 탄성 변형기구(20)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치아측 연결기구(22)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작고 혓바닥 연결기구(1)의 횡단면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7.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는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로부터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혓바닥 연결기구(1)는 상기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과 서로 매칭되는 아크섹션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치아측 연결기구(22)는 자성연결방식에 의해 치아측 고정기(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4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는 자성연결방식에 의해 혓바닥 연결기구(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브래킷(31)은 윗니 또는 아랫니에 고정되는 치아측 고정 지지 브래킷(31-1)이거나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치과 뼈못형 고정 지지 브래킷(31-2)이거나 또는 윗니 또는 아랫니에 탈착 가능하게 일치되는 치과 브레이스형 고정 지지 브래킷(31-3)이거나 또는 윗입술/아랫입술 밖에 탈착 가능하게 일치되는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하는 즉 A.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에 탄성 견인체(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치아측 고정기의 위치결정 오목홈(32-1) 및 위치결정 돌출계단(32-2)를 포함하고, B. 상기 치아측 고정기(3)에 적어도 3개의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을 포함하며, C.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는 아치형 구조이고,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의 일단은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에 합류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를 아치형의 지지레그로 하며 상악/하악 밖 피부와 접촉되는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밑부의 표면을 지지점으로 하는 방사상 아치형 구조를 형성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및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을 포함하는 3개의 입술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을 포함하고,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사이의 협각(γ)은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 사이의 협각(ε) 이상이고,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과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 사이의 협각(γ)은 상기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과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 사이의 협각(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윗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1) 또는 아랫입술 밖 고정 지지 브래킷(31-4-2)의 길이는 상기 입꼬리 지지 브래킷(31-4-3)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4.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피부표면과 접촉되는 표면은 평활한 곡면(3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5.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은 평활한 원추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하는 즉 A. 상기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 상기 지지 브래킷(31) 및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는 횡단면이 “工”자형인 치아측 고정기(3)를 구성하고, B. 상기 치아측 고정기(3)의 탄성 견인체(2)와 서로 연결되는 탄성 견인체 치아측 연결기구(32)는 평활한 표면을 가지는 구형캡 위치결정 돌출계단(32-2)이며, C. 상기 지지 브래킷(31)은 평활한 기둥체이고, D.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는 치아 표면과 적응되는 라디안을 가지는 케이스체(33-1)인,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구(33)의 치아 표면과 적응되는 라디안을 가지는 케이스체(33-1)에 글루 수용홀(33-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측 고정기(3)는 탄성 견인체의 견인력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견인력 조절기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력 조절기구(34)는 회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를 말아 올리거나 또는 상기 탄성 견인체(2)의 회동기구(34-1)를 이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60.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력 조절기구(34)는 슬라이딩을 통하여 상기 탄성 견인체(2)의 슬라이딩 기구(34-2)를 조이거나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6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견인체(2) 또는 혓바닥 연결기구(1) 또는 치아측 고정기(3)는 인체조직과 매칭되는 컬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62.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장착하는 클램핑 펜치(clamping pinchers)에 있어서,
    A.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오른팔(401), 왼팔(402)과 회전축(403)을 포함하고, B. 상기 오른팔(401)은 오른쪽 펜치헤드(401-1), 오른팔 꼬리부(401-2),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을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펜치헤드(401-1)는 오른쪽 작업 오목홈(401-1-1),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1-1-3) 및 적어도 하나의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을 포함하며, 상기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에 회전축을 장착하기 위한 스루홀(401-3-1)이 구비되고, C. 상기 왼팔(402)은 왼쪽 펜치헤드(402-1), 왼팔 꼬리부(402-2),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을 포함하고, 상기 왼쪽 펜치헤드(402-1)는 왼쪽 작업 오목홈(402-1-1),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 및 적어도 하나의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을 포함하며, 상기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에 회전축을 장착하기 위한 스루홀(402-3-1)이 구비되고, D. 상기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1-3)과 상기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402-3)의 형상은 서로 매칭되고, 상기 오른팔 장착 회전축의 스루홀(401-3-1)과 상기 왼팔 장착 회전축의 스루홀(402-3-1)의 중선은 동일한 직선에 있으며, 상기 회전축(403)은 상기 오른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1-3-1)과 상기 왼팔 회전축 장착 돌출계단의 스루홀(402-3-1)을 순서대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오른팔(401) 및 상기 왼팔(402)이 회전축(403)에 의하여 개방 또는 폐쇄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펜치.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상기 오른쪽 작업 오목홈(401-1-1) 및 상기 왼쪽 작업 오목홈(402-1-1)은 상기 클램핑 펜치(400)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때 형성된 공간 내에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우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1-1-3) 및 좌측 이탈방지 정지 돌출계단(402-1-3)은 상기 연결 돌출계단(12-2)의 횡방향 연결 오목홈(12-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상기 우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1-1-2) 및 좌측 회동 정지 돌출계단(402-1-2)은 상기 종방향 연결 오목홈(12-1-2) 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펜치.
  64.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리턴 스프링(404)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 사이에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에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회전축(403)에 감겨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에 지지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404)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 사이에서 개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펜치.
  65.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펜치(400)는 셀프로킹 기구(405)를 포함하고,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하는 즉 A.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는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에 구비되고,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와 왼팔 꼬리부(402-2)는 상기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406)을 포함하며, B.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는 핀(405-1), 토션 스프링(405-2)과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을 포함하고, C.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를 장착하기 위한 핀홀(401-2-1)이 구비되며, D. 상기 핀(405-1)은 상기 핀홀(401-2-1), 토션 스프링(405-2),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을 순서대로 통과한 후, 상기 셀프로킹 기구(405)를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의 장착홈(406) 내에 고정시키고, 상기 토션 스프링(405-2)의 일단은 상기 오른팔 꼬리부(401-2)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에 지지되어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에 대하여 폐합력을 형성하며, E.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은 로크 티스(405-3-1), 셀프로킹 스위치(405-3-2)와 장착 스루홀(405-3-3)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티스(405-3-1)와 상기 왼팔 꼬리부(402-2)의 상기 셀프로킹 기구의 장착홈(406)의 위치결정 돌출계단(402-2-1)은 요철 맞춤을 형성하며, 상기 셀프로킹 스위치(405-3-2)는 잠금해제 슬롯(401-2-2)에서 돌출되고 상기 핀(405-1)은 상기 장착 스루홀(405-3-3)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셀프로킹 위치결정블록(405-3)은 상기 오른팔(401)의 장착홈(406) 내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펜치.
  66.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오른팔(401)의 외측 및 왼팔(402)의 외측에 미끄럼방지 패턴 또는 미끄럼방지 오목홈(40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펜치.
  67.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펜치(400)의 오른팔(401)과 왼팔(402)에 가이드 작용과 위치결정 작용을 발휘하는 한 쌍의 서로 배합되는 위치결정 가이드블록(402-1-4)과 위치결정 가이드슬롯(401-1-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펜치.
  68.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탄성 견인체를 장착하는 장착 펜치에 있어서,
    A. 상기 장착 펜치(500)는 개방단(501)과 핸들단(502)을 포함하고, B. 상기 개방단(501)은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501-1)을 포함하며, C. 상기 브래킷(501-1)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501-2)은 상기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펜치.
  69.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501-1)에 탄성 견인체(2)의 혀측 연결기구(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오목홈(501-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펜치.
  70.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단(501)에 2개의 브래킷(501-1)이 대칭되게 분포되고, 상기 2개의 대칭 분포된 브래킷(501-1) 사이의 거리(d501)는 상기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의 연결 돌출계단(12-2)의 최대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펜치.
  71.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단(502)의 표면에 미끄럼방지 오목홈, 미끄럼방지 돌기에지 또는 미끄럼방지 패턴(502-1)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펜치.
  72.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펜치(500)는 의용금속재료 또는 의용고분자재료 또는 의용금속재료와 의용고분자재료의 복합재료를 포함하고 인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의용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펜치.
  73.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일체형 탄성견인기구를 장착하는 실잡이(thread guide)에 있어서,
    A. 상기 실잡이(200)는 리드바(201)와 슬라이드블록(202)을 포함하고, B. 상기 리드바(201)는 평활한 가이드 헤드(201-1), 탄성 견인체(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훅(201-2)과 슬라이드블록(202)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정지슬롯(201-3)을 포함하며, C.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의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은 상기 리드바(201)의 정지슬롯(201-3)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D.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이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일단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장착훅(201-2)을 커버할 수 없고,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이 상기 정지슬롯(201-3)의 상기 장착훅(201-2)과 가까운 일단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장착훅(201-2)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잡이.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슬롯(201-3)의 횡단면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잡이.
  75.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202)은 상기 가이드 헤드(201-1)와 가까운 일단에 안쪽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박벽파이프이고, 상기 안쪽 플랜지는 상기 슬라이드 돌출계단(202-1)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잡이.
  76.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훅(201-2)은 U형훅 또는 J형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잡이.
  77.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식 견인연결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에 있어서,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혓바닥 연결기구(1)의 혀점막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는 식립체(100-2)를 식립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식립체(100-2)의 양단이 혀점막 밖에 노출되도록 하고, 수술 후 15일~60일에 상기 식립체(100-2)를 제거한 후, 혓바닥 점막하에서 일정한 인장력을 견뎌 낼 수 있는 혀점막하 상피화 터널(100-1)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의 상이한 구체적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의 입술 밖을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잠이 들기 전에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혓바닥 위치에서 형성된 혀점막하 상피화의 터널(100-1)을 통과시키고 다음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의 양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는 제3단계와,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혀점막하의 터널(100-1)로부터 빼내어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를 제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립방법.
  78. 혀점막하 박벽파이프 터널식 견인연결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에 있어서,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혓바닥 연결기구(1)의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를 식립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의 양단의 관구가 바로 혀점막 표면에 노출되도록 하고, 수술 후 15일~60일에 상기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100-4)을 당길 시에 환자가 통증 및 불편감이 없을 경우 혓바닥 견인을 진행할 수 있는 제1단계와,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의 상이한 구체적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의 입술 밖을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잠이 들기 전에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혓바닥 위치에서 형성된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을 통과시키고 다음 탄성 견인체(2)의 양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는 제3단계와,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 또는 일체형 탄성견인기구(21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박벽 파이프상 식립물을 포함하는 혀점막하 터널(100-3)로부터 빼내어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립방법.
  79. 혀점막하 풀식립형 연결체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에 있어서,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0.5cm~2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를 사용하여 혀점막상에서 0.5cm 너비로 횡방향 절개를 진행한 후, 전용기계를 사용하여 풀식립형 연결체(102)를 앞에서 뒤로 혀점막하에 식립하고, 혀중선의 좌우 양측에 본 발명의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풀식립형 연결체(102)를 적어도 하나씩 식립하는 제1단계와,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의 상이한 구체적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의 입술 밖을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잠이 들기 전에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고 탄성 견인체(2)의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일단을 혓바닥부에 진입시켜 본 발명의 풀식립형 연결체(102)와 가까운 부분에서 자성연결을 구성하고,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하에서 혀를 앞으로 당기는 제3단계와,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동시에 혓바닥부로부터 탄성 견인체(2)의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일단을 분리 및 제거함으로써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립방법.
  80. 혀점막하 하프식립형 연결체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에 있어서,
    국부마취하에서 최소절개수술방식을 통하여 혓바닥 점막표면 유곽유두 전방 약 0cm~5cm위치의 중선으로부터 약 1cm~3cm 거리를 둔 양측에서, 수술기계로 혀점막하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혓바닥 연결기구(1)의 하프식립형 연결체(103)를 식립 및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지지체(11)가 혀점막하에 매립되도록 하고,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가 혀점막 표면 밖에 노출되도록 하며, 수술 후 15일~60일에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103)을 당길 시에 환자가 통증 및 불편감이 없을 경우 혓바닥 견인을 진행할 수 있는 제1단계와,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의 상이한 구체적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의 입술 밖을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잠이 들기 전에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고 다른 일단을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에 고정시키며,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에 대하여 탄성 인장력을 형성하고, 탄성 견인체(2)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하에서 혀를 앞으로 당기는 제3단계와,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동시에 탄성 견인체(2)도 혓바닥 연결기구(1)의 하프식립형 연결체(103)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2)로부터 분리 및 제거됨으로써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립방법.
  81. 점막표면 고정형 연결체의 본 발명의 혓바닥 탄성견인장치의 식립방법에 있어서,
    환자가 거울 앞에서 자체 조작을 통하여 입을 벌리고 혀를 내밀어 혓바닥 표면을 청결 및 건조시킨 후 의용 접합제를 도포한 다음, 본 발명의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의 지지 베이스(104-1)의 접합면에 의용 접합제를 도포하여 혓바닥 표면에 접합 고정시키는 제1단계와,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의 상이한 구체적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치아측 고정기(3)를 치아 또는 치조골 또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악/하악의 입술 밖을 치아측 고정기(3)의 지지 고정점으로 하여 장착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잠이 들기 전에 탄성 견인체(2)의 일단을 치아측 고정기(3)에 고정시키고 다른 일단을 상기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의 탄성 견인체 혓바닥 연결기구(104-2)에 고정시키며, 탄성 견인체(2)는 치아측 고정기(3)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에 대하여 탄성 인장력을 형성하고, 혀를 앞으로 당기는 제3단계와, 기상 후 상기 탄성 견인체(2)를 치아측 고정기(3)로부터 떼내고 동시에 탄성 견인체(2)와 본 발명의 점막외 고정식 연결체(104)도 혓바닥으로부터 분리 및 제거됨으로써 혓바닥에 대한 견인을 해제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립방법.
KR1020147024858A 2013-02-04 2013-12-31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 KR20150135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063137.2U CN203370010U (zh) 2013-02-04 2013-02-04 舌背弹性牵引装置
CN201310043949.5A CN103961201B (zh) 2013-02-04 2013-02-04 舌背弹性牵引装置及植入方法
CN201320063137.2 2013-02-04
CN201310043949.5 2013-02-04
CN201310423351.9 2013-09-16
CN201310423353.8A CN104434377B (zh) 2013-09-16 2013-09-16 一种安装舌背弹性牵引装置的夹持钳
CN201310423258.8A CN104434374B (zh) 2013-09-16 2013-09-16 一种用于舌背弹性牵引装置的一体式弹性牵引机构
CN201310423312.9 2013-09-16
CN201310423258.8 2013-09-16
CN201310423351 2013-09-16
CN201310423417.4A CN104434379B (zh) 2013-09-16 2013-09-16 一种用于舌背弹性牵引装置的隧道式舌背连接机构
CN201310423417.4 2013-09-16
CN201310423353.8 2013-09-16
CN201310423355.7 2013-09-16
CN201310423312.9A CN104434375B (zh) 2013-09-16 2013-09-16 一种用于舌背弹性牵引装置的三段式弹性牵引体
CN201310423315.2A CN104434376B (zh) 2013-09-16 2013-09-16 一种用于舌背弹性牵引装置的舌背连接机构
CN201310423315.2 2013-09-16
CN201310423355.7A CN104434378B (zh) 2013-09-16 2013-09-16 一种安装舌背弹性牵引装置的一体式弹性牵引机构的引线器
CN201310733988.8 2013-12-26
CN201310733988.8A CN104739564A (zh) 2013-12-26 2013-12-26 一种安装舌背弹性牵引装置的弹性牵引体的安装钳
CN201310738009.8 2013-12-27
CN201310738009.8A CN104739565B (zh) 2013-12-27 2013-12-27 一种舌背弹性牵引装置中使用的牙侧固定器
PCT/CN2013/091266 WO2014117631A1 (zh) 2013-02-04 2013-12-31 舌背弹性牵引装置、夹持钳、安装钳、引线器及植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49A true KR20150135049A (ko) 2015-12-02

Family

ID=5126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858A KR20150135049A (ko) 2013-02-04 2013-12-31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675494B2 (ko)
EP (1) EP2952161B1 (ko)
JP (1) JP6430405B2 (ko)
KR (1) KR20150135049A (ko)
AU (2) AU2013376536A1 (ko)
CA (2) CA2876027A1 (ko)
HK (1) HK1211827A1 (ko)
IN (1) IN2014DN10199A (ko)
MY (1) MY167634A (ko)
SG (1) SG11201500044WA (ko)
WO (1) WO20141176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430A1 (ko) * 2017-04-21 2018-10-25 남관우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KR20190070298A (ko) * 2017-12-12 2019-06-20 청 시앙 훙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9928A (ja) * 2013-03-15 2016-04-04 フューグリスタ,ファビアン,ヘルマン,ウルバン 舌変形インプラント
CN106999291B (zh) 2014-12-12 2020-01-3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在舌头操纵系统中的舌头前进装置系统
CN105748187B (zh) * 2014-12-19 2017-12-01 张湘民 咽侧壁牵引装置和植入方法
CN105982777B (zh) * 2015-02-09 2018-09-04 张湘民 植入式舌中隔筋膜牵拉装置及植入方法
CN110352046A (zh) 2017-02-28 2019-10-18 凯斯西储大学 维持呼吸道通畅的口咽器具
EP3409235A1 (en) * 2017-05-29 2018-12-05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An orthodontic device
US11672690B2 (en) * 2018-01-31 2023-06-13 Odin Sleep, Llc Sleep apnea oral appliance with connectors
CN109589200A (zh) * 2018-12-14 2019-04-09 厦门医学院附属口腔医院(厦门市口腔医院) 一种前导再定位式阻鼾器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8584A1 (en) * 2006-06-13 2008-03-06 Aspire Medical, Inc. Glossopexy tension system and method
CN201271277Y (zh) * 2008-10-15 2009-07-15 张翠艳 多功能手术钳
CN101578080A (zh) * 2006-11-03 2009-11-1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使用影响上气道中的舌或舌骨肌的磁力系统的设备、系统和方法
CN102198010A (zh) * 2010-09-29 2011-09-28 周星 植入型舌牵拉装置、牵引板、牵引线、牵拉器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409A (en) * 1989-05-08 1991-10-01 Tepper Harry W Oral appliance for tongue thrust correction
US20030031980A1 (en) * 2001-08-07 2003-02-13 Owais Zaidoon Rakad Airways, lungs, and gastrointestinal tract protection system aginst aspiration and ingestion of foreign dental bodies in conscious and consciously sedated dental patients
JP2006507038A (ja) * 2002-09-06 2006-03-02 アプネオ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上気道系中の組織を移動および/または拘束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524954B2 (en) * 2004-02-26 2020-01-07 Linguaflex,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sleep apnea and snoring
US20050287495A1 (en) * 2004-06-03 2005-12-29 Longley William H Dental appliance for weight management
US8096303B2 (en) 2005-02-08 2012-0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irway implants and methods and devices for insertion and retrieval
US8371307B2 (en) 2005-02-08 2013-02-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airway obstruction, sleep apnea and snoring
US20070163603A1 (en) 2006-01-18 2007-07-19 Sikora Val J Tongue ret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7717707B2 (en) * 2006-03-31 2010-05-18 Under Dog Media, L.P. Orthodontic transpalatal intrusion arch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7607439B2 (en) 2006-06-19 2009-10-27 Li Kasey K Tongue retention system
US20080108008A1 (en) * 2006-11-08 2008-05-08 Kun Sung Chung System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treatments
US8882499B2 (en) * 2007-05-30 2014-11-11 Velton C. White Orthodontic appliance
WO2009096889A1 (en) 2008-01-31 2009-08-06 Gellerfors Mikael Paer Oral tongue positioning device
US20100015565A1 (en) * 2008-06-13 2010-01-21 Roberto J. Carrillo Gonzalez Orthodontic Devices
US8561617B2 (en) * 2008-10-30 2013-10-22 Ethicon, Inc. Implant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FR2942954B1 (fr) * 2009-03-11 2012-07-06 Remy Derbez Systeme de prevention de troubles respiratoires du sommeil
WO2011068952A1 (en) * 2009-12-02 2011-06-09 Entrigue Surgical, Inc. Devices for tongue stabilization
JP2013531523A (ja) * 2010-06-07 2013-08-08 スレエピ,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舌保持口腔装置
AU2011286287A1 (en) * 2010-07-26 2013-02-14 Revent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8656920B1 (en) * 2010-12-17 2014-02-25 Theresa Tannatt Device to alleviate snoring
US9204991B1 (en) * 2011-05-18 2015-12-08 Stephen J. Harkins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8875713B2 (en) * 2011-09-22 2014-11-04 James Metz Anti-obstructive airway dental orthotic
US9226866B2 (en) * 2012-10-10 2016-01-05 Susan Ann Haseley Speech therapy device
US9610009B2 (en) * 2013-11-15 2017-04-04 Shohreh Motamedi Dental retractor for protecting a patient's teeth from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a patient's mouth and tong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8584A1 (en) * 2006-06-13 2008-03-06 Aspire Medical, Inc. Glossopexy tension system and method
CN101578080A (zh) * 2006-11-03 2009-11-1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使用影响上气道中的舌或舌骨肌的磁力系统的设备、系统和方法
CN201271277Y (zh) * 2008-10-15 2009-07-15 张翠艳 多功能手术钳
CN102198010A (zh) * 2010-09-29 2011-09-28 周星 植入型舌牵拉装置、牵引板、牵引线、牵拉器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430A1 (ko) * 2017-04-21 2018-10-25 남관우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KR20190070298A (ko) * 2017-12-12 2019-06-20 청 시앙 훙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2161A4 (en) 2016-12-14
CA2876027A1 (en) 2014-08-07
CA3002858A1 (en) 2014-08-07
JP2016508772A (ja) 2016-03-24
WO2014117631A1 (zh) 2014-08-07
MY167634A (en) 2018-09-21
AU2013376536A1 (en) 2015-01-15
AU2016259356A1 (en) 2016-12-08
US9675494B2 (en) 2017-06-13
SG11201500044WA (en) 2015-08-28
IN2014DN10199A (ko) 2015-08-07
EP2952161B1 (en) 2018-04-04
EP2952161A1 (en) 2015-12-09
US20150064651A1 (en) 2015-03-05
JP6430405B2 (ja) 2018-11-28
HK1211827A1 (en) 2016-06-03
AU2016259356B2 (en)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5049A (ko)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
JP5623411B2 (ja) 睡眠時無呼吸を治療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03961201B (zh) 舌背弹性牵引装置及植入方法
US20160270878A1 (en) Dental device and suction device
JP2006507038A (ja) 上気道系中の組織を移動および/または拘束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00311008A1 (en) Oral tongue positioning device
JP2008526286A (ja) 人間または動物の身体の一部分を非空気圧式で調節可能に配置するための埋め込み型器具
US20120040301A1 (en) Mandibular advancement
KR20110031427A (ko) 코골이 및 수면성 무호흡 완화 장치
WO2016095746A1 (zh) 咽侧壁牵引装置和植入方法
WO2015051178A1 (en) Patient controlled dental device and method
EP3096709B1 (en) Orthodontic apparatus
JP2014506161A (ja) 舌を再訓練する歯科用器具
US11096820B2 (en) Tissue reten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ing and using them
WO2016160840A1 (en) Improved dental device and suction device
KR101108104B1 (ko) 치열교정기구
US20120180798A1 (en) Oral appliance for sleep airway management
CN118178009A (zh) 一种颌间牵引装置及其制备方法
WO2016127697A1 (zh) 植入式舌中隔筋膜牵拉装置及植入方法
TW201609066A (zh) 用於建立舌背粘膜下隧道的植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