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298A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298A
KR20190070298A KR1020180159851A KR20180159851A KR20190070298A KR 20190070298 A KR20190070298 A KR 20190070298A KR 1020180159851 A KR1020180159851 A KR 1020180159851A KR 20180159851 A KR20180159851 A KR 20180159851A KR 20190070298 A KR20190070298 A KR 2019007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tooth
elastic member
teeth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331B1 (ko
Inventor
청 시앙 훙
Original Assignee
청 시앙 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 시앙 훙 filed Critical 청 시앙 훙
Publication of KR2019007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Abstract

환자의 치조궁의 치아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치아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틀(shell)을 포함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가, 틀의 하나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조궁의 치아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한다.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되며 그리고 치아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도록 틀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로 인해 치조궁 상에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유지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는, 2017년 12월 12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597,60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치과교정술적 교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정렬된 치아들은, 사람의 치과적 미학, 기능, 및 건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과교정술적 교정의 목표는, 치과적 기능 및 심미감(aesthetic)이 개선되는 위치들 또는 방향들로 치아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계적 힘을 가하는, 기기들을 사용함에 의해 치아들을 적절한 정렬 상태로 이끄는 것이다.
통상적인 교정기들은, 치아들을 위치 재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탄성적 위치 재설정 기기들이다. 교정기들은 일반적으로, 치과교정술적 처치를 위한 일련의 연속적인 틀들 내에서 사용된다. 각 틀은, 그러한 스테이지에 대한 치아들의 목표 교정 위치들에 합치하도록 성형된다. 초기에 착용될 때, 교정기의 틀은,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하도록 변형되며 그리고 자체의 본래 형상으로 복귀하려고 시도함에 따라 그러한 치아들 상에 탄성력을 가한다.
교정기들은, 교정기가 적절하게 설치될 때, 흔히 잇몸 가장자리(gingival margin) 근처의, 환자의 치아들의 치간 영역들과 접촉하도록, 틀의 벽 내에 형성되고, 크기 결정되며 그리고 위치하게 되는, 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돌기들의 그러한 배치는, 치간 영역들에서의 접촉과 더불어, 치아 구역들에서 부가적인 마찰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돌기들은, 교정기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잇몸 가장자리 및 치간 영역들을 따라 하나의 치아보다 더 많이 접촉하는 연속적인 돌기일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탄성적 교정기 틀은, 작은 증분만큼 치아들을 이동시키며, 그리고 종래기술의 틀 돌기들은, 개선된 유지를 제공하는 가운데, 환자에게 고통을 야기함 없이 제거하기 어렵다. 치아들이 복수의 작은 증분들의 집합(aggregate)인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용이한 제거를 허용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며, 그리고 치아들에 작용하는 치과교정술적 탄성을 위한 강성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틀을 갖는, 환자 제거 가능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언급된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함 없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이점을 갖는, 치조궁 상에서 개선된 유지력을 갖는 환자 제거 가능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환자의 치조궁의 치아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치아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틀(shell)을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가, 틀의 하나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조궁의 치아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한다.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되며 그리고 치아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도록 틀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로 인해 치조궁 상에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유지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는, 중심 지지 부재 및, 중심 지지 부재의 양 측부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노치를 포함한다.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는, 중심 지지 부재를 둘러쌈에 의해 그리고 노치들과 맞물림에 의해,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노치는, L-자 형상이며 그리고, 긴 부분 및 긴 부분에 직교하는 짧은 부분을 구비한다. 긴 부분은,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노치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짧은 부분은, 노치 내에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다수의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노치는, F-자 형상이며 그리고, 긴 부분 및 긴 부분에 직교하는 2개의 짧은 부분을 구비한다. 긴 부분은,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이 노치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짧은 부분들은, 노치 내에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틀이 치조궁 상에 착용될 때,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대응하는 틀의 치아 수용 캐비티가,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그러한 공간에 끼워지는 것 및 치아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아 수용 캐비티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수용 캐비티 및 복수의 제2 치아 수용 캐비티를 포함한다. 제1 치아 수용 캐비티는,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치아 수용 캐비티들은, 교정을 요구하지 않는 치조궁의 다수의 제2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치아 수용 캐비티는, 제1 치아가 자체의 목표 교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구비하며, 그리고 제2 치아 수용 캐비티들은, 제2 치아들과 어울리는 형상들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틀은 추가로,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틀의 내부에 진입하기 위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 인해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개구가,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통과하는 것을 그리고 틀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 인해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틀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들은, 제1 치아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개구가,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통과하는 것을 그리고 틀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 인해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틀의 협측 측면 및 설측 측면 상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틀은 추가로,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2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를 형성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제2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되며 그리고 제1 치아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 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지는 후속의 상세한 설명 및 예들을 읽음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조궁 상에 착용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와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의 결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와 복수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의 결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치아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는, 도 1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후방 치아들을 압박하기 위해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틀의 내부로 연장되는, 도 1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조궁 상에 착용되기 이전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조궁 상에 착용되는 도 5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치아 수용 캐비티의 형상이 교정되는 치아의 목표 교정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조궁 상에 착용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틀의 순측 측면 상에 형성되는 개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치아 수용 캐비티의 형상이 교정되는 치아의 목표 교정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절단 도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예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도면들이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제시된다.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에서, "밑에", "아래에", "아래쪽", "위에", "위쪽"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에 대한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부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배향에 부가하여, 사용 또는 작동 중인 장치의 상이한 배향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장치는 달리 배향될 될 수 있으며(90° 회전하게 되거나 또는 다른 방향으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기술어들은 마찬가지로 그에 따라 해석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개시는, 다양한 예에서 참조 숫자들 및/또는 문자들을 반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함 및 명료함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논의되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구성들 사이의 관련성을 그 자체로 기술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특징부들이 임의로, 단순함 및 명료함을 위해 상이한 축적으로 작도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다양한 치과적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들에 관한 예시적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가,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틀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되며 그리고 환자의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도록 틀의 내부로 연장되어, 그로 인해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치조궁 상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유지를 개선하도록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일부 변형예들이 설명된다. 다양한 도면들 및 예시적 실시예들 전체에 걸쳐, 공통적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조궁(M) 상에 착용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를 도시하는 개략도인, 도 1을 참조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후에 추가로 설명될) 전방 치아 후퇴(retraction)를 위해 후방 치아들과 전방 치아들 사이에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여러 개의 후방 치아를 원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압박하기 위한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치조궁(M)의 후방 치아들을 원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압박하기 위해,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환자의 하악 치조궁(M)(간결함을 위해, 또한 치조궁으로 지칭됨) 상에 착용되는 틀(12)을 포함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실제 요구에 따라,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상악 치조궁 상에 착용되는 틀을, 또는 환자의 2개의 치조궁 상에 착용되는 2개의 틀을, 또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틀(12)은, 치조궁(M)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될 수 있는, 리테이너이다. 틀(12)은, 치조궁(M)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성형된다. (도 1에 파선들에 의해 묘사되는 바와 같은) 복수의 치아 수용 캐비티(121)가, 치조궁(M)의 치아들(T)을 수용하기 위해, 틀(12)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틀(12)의 내부는, 치아 수용 캐비티들(121)에 의해 한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틀(12)은 탄성적이지 않으며, 그리고 틀(12)은, (통상적인 교정기와 대조적으로) 치아들(T)을 위치 재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틀(12)은, (이후에 추가로 설명될)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치아들(T) 상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여러 개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위한 고정물(anchorage)로서 역할을 하도록 강성이다. 틀(12)은, 치과교정술적 수지 또는 구강 적용들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다른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틀(12)은,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치조궁(M)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성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가 착용될 때, 치조궁(M) 상에서의 틀(12)의 유지를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가, 틀(12)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제공되며 그리고, 치조궁(M) 상에서의 틀(12)의 유지를 개선하도록 하기 위해, 개별적인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가, 틀(12)의 좌측 협측 측면 및 우측 협측 측면 상에 개별적으로 형성된다(제한된 시야각으로 인해 단지 하나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만이 묘사됨). 그러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들(14)의 개수 및 위치는,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틀(12)의 좌측 및 우측 설측 측면 상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틀(12)이 치조궁(M) 상에 착용될 때, 각각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는, 치아(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치조궁(M)의 제1 소구치(T1); 그러나, 각각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는, 상이한 실시예에서 다른 치아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될 수 있음)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언더컷 구역(undercut region)"은, 치아의 가장 돌출된 지점들의 연결 라인에 의해 한정되는, 치아의 구역을 지칭한다(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점들이 찍힌 구역).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들(14)은, 틀(12)의 협측 측면의 잇몸측 에지(122)(즉, 치아들(T)의 잇몸측 부분들 근처의 에지) 내로 절단함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또한, 틀(12) 상에 형성되는 2개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2개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는, 일부 실시예에서, 중심 지지 부재(141) 및, 중심 지지 부재(141)의 양 측부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노치(142)를 포함한다.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예를 들어, O-링들)는, 중심 지지 부재(141)를 둘러쌈에 의해 그리고 노치들(142)과 맞물림에 의해,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에 결합될 수 있다. 노치(142)는, 일부 예에서, 긴 부분(1421) 및, 긴 부분(1421)에 직교하는 짧은 부분(142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즉, 노치(142)는 L-자 형상임)(도 2a). 긴 부분(1421)은,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가 노치(142)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짧은 부분(1422)은, 노치(142) 내에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는, 복수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를 배치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42)는, 긴 부분(1421) 및, 긴 부분(1421)에 직교하는 2개의 짧은 부분(1422)을 구비한다(즉, 노치(142)는 F-자 형상임). 긴 부분(1421)은,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이 노치(142)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짧은 부분들(1422)은, 노치(142) 내에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은, 개별적인 치아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도록 틀(12)의 내부로 더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12)이 착용될 때,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14)에 대응하는 치아 수용 캐비티(121)는, 개별적인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가 그러한 공간(S)에 끼워지는 것 및 개별적인 치아(T)(예를 들어, 제1 소구치(T1))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치아 수용 캐비티(121)의 벽과 개별적인 치아(T) 사이에) 공간(S)을 제공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따라서,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치조궁(M) 상에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유지가, 개선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전방 치아 후퇴를 위해 후방 치아들(예를 들어, 제2 소구치들, 제1 어금니들, 및 제2 어금니들)과 전방 치아들 사이에 공간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후방 치아들을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교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예를 들어, 고무 밴드들)를 더 포함한다. 후방 치아들은, 전방 치아들의 후퇴를 위한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후퇴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어금니 및 제1 어금니는, 제2 소구치의 후퇴를 위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설치 이전에 별개로 후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12)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을 참조하면, 한 쌍의 개구(20)의 개구가, 제2 소구치의 근심 에지(mesial edge)로부터 원위측으로 작은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각 부분의 협측 측면 및 설측 측면 상에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2 쌍의 개구(22, 22)가, 제2 어금니의 원위 단부로부터 근심측으로 작은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틀(12)의 2개의 원위 단부에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들(20, 22)은, 틀(12)의 잇몸측 에지(122) 상에 (예를 들어, 절단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치아들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한다.
개구들(20, 22)은, 2개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가, 통과하는 것(각각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에 대해, 한 쌍의 개구(20) 및 한 쌍의 개구(22)를 통과함)을, 그리고 (도 4에서 파선들에 의해 묘사되는 바와 같이) 틀(12)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가 착용될 때,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8)은,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틀(12)이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8)을 위한 고정물로서 역할을 하는 가운데(즉, 틀(12)은, 치아들을 밀기 위한 힘을 제공하지 않음), (도 4에서 화살표들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소구치를 제1 어금니 및 제2 어금니를 향해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제2 소구치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한다.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18)은, 치조궁(M) 상에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설치 이전에, 틀(12)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18)은, 휠 수 있고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이들은,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설치를 방해하지 않는다.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18)은 또한,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치과교정술적 나사들, 파워 체인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유형의 탄성 부재들로 교체될 수 있다.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18)은, 실제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장력을 가질 수 있다.
치과교정술적 처치 이후에,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18)을 절단한 이후에, 치조궁(M)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함 없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자 또는 치과의사는,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18)을 절단하기 위해 절단 도구를 사용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절단 도구(100)의 개략도이다. 절단 도구(100)는, 절단 도구(100)의 후크-형상 끝단 부분(102) 내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101)를 포함하는, 세장형 구조이다. 후크-형상 끝단 부분(102)은, 블레이드(101)가 손을 절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른 유형의 절단 도구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조궁(M) 상에 착용되기 이전의 다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조궁(M) 상에 착용되는 도 5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오정렬된 치아를 그들의 계획된 또는 목표 교정 위치로 압박하도록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틀(12), 2개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예를 들어, O-링들), 및 하나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예를 들어, 고무 밴드)를 포함한다. 공통적 요소들은, 이상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기되며, 그리고 동일한 세부사항들은, 반복되지 않는다.
치아 수용 캐비티들(121)은, 치조궁(M)의 치아들(T)을 수용하기 위해, 틀(12)의 내측 표면(12A) 상에 형성된다. 비록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지만, 2개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예를 들어, 도 2a 및/또는 도 2b에 도시된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들(14))가, 틀(12) 상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이들은, 개별적으로, 이상의 방법(도 2a 및 도 2b)에 의해 2개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를 배치하고 유지하기 위해, 틀(12)의 좌측 설측 측면 및 우측 설측 측면 상에 형성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가 착용될 때, 각각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는, 치아(T)[예를 들어, 제1 어금니; 그러나, 각각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는,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다른 치아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할 수 있음]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도록 틀(12)의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치조궁(M) 상에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유지가, 개선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환자의 2개의 송곳니(T2)가, 교정을 요구하는, 오정렬된 치아들(제1 치아들)이다. 송곳니들(T2)은, 협측 측면을 향해 개별적으로 경사진다(밖으로 벌어짐, 도 6 및 도 7 참조). 틀(12)의 치아 수용 캐비티들(121)은, 교정을 요구하는 2개의 제1 치아(T2)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제1 치아 수용 캐비티(121A) 및 교정을 요구하지 않는 다른 치아들(T)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치아 수용 캐비티(121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치아 수용 캐비티(121A)는, (이후에 추가로 설명될) 자체의 목표 교정 위치에서 개별적인 제1 치아(T2)를 한정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치아 수용 캐비티들(121B)은, 제2 치아들(T)과 맞춰지는 형상을 구비하고, 따라서 틀(12)은,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제1 치아들(T2)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기 위한,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를 위한 고정물로서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12)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을 참조하면, 2 쌍의 개구(또는 노치)(24, 26)가, 개별적인 제1 치아 수용 캐비티(121A) 근처의 각 부분의 협측 측면 및 설측 측면 상에 형성된다. 2 쌍의 개구(또는 노치)(24, 26)는,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의 양단부가 2개의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가운데)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가, 통과하는 것을 그리고 틀(12)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2개의 제1 치아 수용 캐비티(121A)에 대응하는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의 2개의 섹션이, 치조궁(M) 상에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설치 이전에, 그러한 캐비티들 외측에 배치된다(도 5 참조).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설치 시, 제1 치아 수용 캐비티들(121A)에 대응하는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의 섹션들은 각각, 개별적인 오정렬된 제1 치아(T2)와 접촉하도록 그러한 캐비티 내부에 놓여(도 6 참조), 그로 인해 (도 6에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치아를 수직으로 세우기 위해 제1 치아(T2)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치아 수용 캐비티(121A)는, 개별적인 제1 치아(T2)가 그의 목표 교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성형된다. 그에 따라, 제1 치아 수용 캐비티(121A)의 형상은, (도 7에 파선들에 의해 묘사되는 바와 같이) 교정되는 제1 치아(T2)의 목표 교정 위치를 결정한다. 목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치아 이동의 양은, 단지 복수의 종래기술 교정기를 사용함에 의해서만 달성되는, 복수의 작은 증분의 집합일 수 있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또한, 치과교정술적 처치 이후에 절단 도구(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는 절단 도구(100))로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18)을 절단한 이후에, 치조궁(M)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조궁 상에 착용되는 또 다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를 도시하는 개략도인, 도 8을 참조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돌출을 교정하기 위해 돌출하는 앞니들을 후방으로 압박하도록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하나 이상의 오정렬된 치아를 그들의 계획된 또는 목표 교정 위치로 압박하도록 다른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틀(12), 4개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예를 들어, O-링들), 하나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예를 들어, 고무 밴드), 및 2개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9)(예를 들어, O-링들)를 포함한다. 틀(1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및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는, 이상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기되는 요소들과 유사하며, 그리고 동일한 세부사항들은 반복되지 않는다.
치아 수용 캐비티들(121)(도 10 참조)은, 치조궁(M)의 치아들(T)을 수용하기 위해, 틀(12)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비록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지만, 4개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예를 들어, 도 2a 및/또는 도 2b에 도시된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들(14))가, 틀(12) 상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이들은, 개별적으로, 이상의 방법(도 2a 및 도 2b)에 의해 4개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를 배치하고 유지하기 위해, 틀(12)의 좌측 협측 측면, 좌측 설측 측면, 우측 설측 측면, 및 우측 협측 측면 상에 형성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가 착용될 때, 각각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6)는, 치아(T)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도록 틀(12)의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치조궁(M) 상에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의 유지가, 개선된다.
본 실시예에서, 환자의 2개의 앞니(T3)가, 과도하게 돌출되어 있는 교정을 요구하는, 오정렬된 치아들이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는, 돌출을 교정하기 위해 돌출하는 앞니들(T3)을 후방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틀(12)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는,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의 양단부가 2개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가운데, 틀(12)의 순측-협측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틀(12)은,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8)가 틀(12)의 내부에 진입하기 위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 인해 돌출을 교정하기 위해 (도 8에 후방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돌출하는 앞니들(T3)을 후방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하는, 틀(12)의 순측 측면 상에 형성되는 세장형 개구(28)를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환자의 2개의 제1 어금니(T4)가 또한, 교정을 요구하는 오정렬된 치아들이고, 예를 들어, 이들은 개별적으로, 설측 측면을 향해 이동되어 있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9)은, 제1 어금니들(T4)을 그들의 목표 교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탄성 교정력들을 가하도록, 틀(12)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들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2개의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음)가, 틀(12) 상에 (예를 들어, 틀(12)의 좌측 설측 측면 및 우측 설측 측면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2개의 제1 어금니(T4)에 대응한다. 각각의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19)는, 개별적인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되며 그리고 틀(12)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로 인해 (도 8에 좌측 화살표 및 우측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어금니를 이동시키도록 압박하기 위해 개별적인 제1 어금니(T4)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정렬된 제1 어금니(T4)에 대응하는 치아 수용 캐비티(121)는, 제1 어금니(T4)가 목표 교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성형된다. 그에 따라, 제1 치아 수용 캐비티(121)의 형상은, (도 10에 파선들에 의해 묘사되는 바와 같이) 교정되는 제1 어금니(T4)의 목표 교정 위치를 결정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0")는 또한, 치과교정술적 처치 이후에 절단 도구(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는 절단 도구(100))로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16, 18, 19)을 절단한 이후에, 치조궁(M)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치과적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제거 가능한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틀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치과교정술적 처치 도중에 치조궁 상에서의 장치의 유지를 개선하도록 하기 위해, 틀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치아들과 맞물린다. 더불어, 틀 상에 장착되는 다른 제거 가능한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이, 오정렬된 치아들을 그들의 계획된 또는 목표 교정 위치들로 이동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일의 틀이 치과교정술적 처치 전체에 걸쳐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달리 표현하면, 틀을 교체할 필요가 없음),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비록 본 개시의 실시예들 및 그의 이점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치환, 변형들이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여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많은 특징들, 기능들, 프로세스들 및 재료들이, 본 개시의 범위 이내에 남아있는 가운데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더불어, 본 출원의 범위는, 명세서에 설명되는, 프로세스, 기계, 제조, 재료의 조성, 수단, 방법 및 단계에 대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 중 하나가 본 개시의 개시로부터 쉽게 인식할 것으로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대응하는 실시예들과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기존의 또는 이후에 개발될, 프로세스, 기계, 제조, 재료의 조성, 수단, 방법 및 단계가, 본 개시에 따라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 청구범위는, 그러한 프로세스, 기계, 제조, 재료의 조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를 보호 범위 이내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부가적으로, 각 청구항은, 별개의 실시예를 구성하며, 그리고 여러 청구항 및 실시예들의 조합이 본 개시의 범위 이내에 놓인다.

Claims (11)

  1.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로서:
    환자의 치조궁의 치아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치아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틀로서,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가, 상기 틀의 하나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조궁의 치아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하는 것인, 틀; 및
    상기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되며 그리고, 치조궁 상에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치아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도록 상기 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는, 중심 지지 부재 및 상기 중심 지지 부재의 대향하는 측부들 상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는, 상기 중심 지지 부재를 둘러쌈에 의해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노치와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노치는, 긴 부분 및 상기 긴 부분에 직교하는 짧은 부분을 포함하는, L-자 형상이고, 상기 긴 부분은, 상기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상기 노치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짧은 부분은, 상기 노치 내에 상기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각각의 노치는, 긴 부분 및 상기 긴 부분에 직교하는 2개의 짧은 부분을 포함하는, F-자 형상이고, 상기 긴 부분은, 상기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이 상기 노치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짧은 부분들은, 상기 노치 내에 상기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이 치조궁 상에 착용될 때, 상기 제1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대응하는 상기 틀의 치아 수용 캐비티가, 상기 제1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그러한 공간에 끼워지는 것 및 치아의 언더컷 구역과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수용 캐비티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수용 캐비티 및 복수의 제2 치아 수용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수용 캐비티는,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치아 수용 캐비티들은, 교정을 요구하지 않는 치조궁의 복수의 제2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치아 수용 캐비티는, 제1 치아가 그의 목표 교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치아 수용 캐비티들은, 제2 치아들과 맞춰지는 형상들을 구비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틀은 추가로, 상기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상기 틀의 내부에 진입하기 위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 인해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한 쌍의 개구가,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통과하는 것을 그리고 틀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 인해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상기 틀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의 언더컷 구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한 쌍의 개구가,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가, 통과하는 것을 그리고 틀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 인해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상기 틀의 협측 측면 및 설측 측면 상에 형성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은,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2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를 더 형성하며, 그리고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상기 제2 탄성 부재 유지 특징부에 결합되며 그리고 제1 치아 상에 탄성 교정력을 가하도록 상기 틀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2 치아교정술적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KR1020180159851A 2017-12-12 2018-12-12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KR102133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7602P 2017-12-12 2017-12-12
US62/597,602 2017-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98A true KR20190070298A (ko) 2019-06-20
KR102133331B1 KR102133331B1 (ko) 2020-07-14

Family

ID=6466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851A KR102133331B1 (ko) 2017-12-12 2018-12-12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90137B2 (ko)
EP (1) EP3498219B1 (ko)
JP (1) JP6942689B2 (ko)
KR (1) KR102133331B1 (ko)
CN (1) CN109998710B (ko)
CA (1) CA3027088C (ko)
PH (1) PH12018000440A1 (ko)
TW (1) TWI6973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7534B2 (en) * 2017-07-26 2023-01-10 Spartan Orthodontics Inc. Orthodontic lip advancer
EP3586791B1 (en) * 2018-06-21 2021-04-07 Cheng-Hsiang Hung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CN112932701A (zh) * 2021-01-22 2021-06-11 湘南学院附属医院 一种口腔正畸用多功能矫正器
CN114081648A (zh) * 2021-11-22 2022-02-25 四川大学 正畸复合矫治器、加工半成品及加工方法
TWI781831B (zh) * 2021-11-23 2022-10-21 柯百俞 具有隆起部之矯正牙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978A (en) * 1982-05-17 1983-11-08 Kurz Craven H Orthodontic retainer
US20130230819A1 (en) * 2011-12-15 2013-09-05 Airton Arruda Apparatus for orthodontic aligner tray retention
US20150216627A1 (en) * 2014-01-31 2015-08-06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with elastics
KR20150135049A (ko) * 2013-02-04 2015-12-02 시앙민 창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
US20160074137A1 (en) * 2010-04-30 2016-03-17 Align Technology, Inc. Reinforced aligner hooks
EP3028664A2 (en) * 2014-12-05 2016-06-08 Jinkyun Lee Device for generating data on clear aligner
KR20170105429A (ko) * 2016-03-09 2017-09-19 청 시앙 훙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2907A (en) 1960-02-12 1963-06-11 Harry A Traiger Intraoral traction apparatus
US6702575B2 (en) 2002-04-03 2004-03-09 Jack Keith Hilliard Orthodontic aligner auxiliary system
PL1871276T3 (pl) * 2004-03-25 2012-10-31 Dror Ortho Design Ltd Aparat ortodontyczny
KR101109114B1 (ko) * 2011-08-17 2012-02-15 김태원 투명 교정기용 견인 장치
US9675427B2 (en) 2013-06-07 2017-06-13 Align Technology, Inc. Adjusting a tooth position
CN106073912B (zh) 2015-04-27 2019-06-25 洪澄祥 咀嚼式齿列矫正装置
WO2017007964A1 (en) * 2015-07-07 2017-01-12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with variable properties and integrally formed components
FR3038510B1 (fr) 2015-07-07 2022-03-04 Panthera Dental Inc Methode de conception d'une orthese d'avancee mandibulaire, orthese d'avancee mandibulaire et orthese intra-orale
TWM531253U (zh) * 2016-08-08 2016-11-01 wei-zhen Zhang 齒列矯正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978A (en) * 1982-05-17 1983-11-08 Kurz Craven H Orthodontic retainer
US20160074137A1 (en) * 2010-04-30 2016-03-17 Align Technology, Inc. Reinforced aligner hooks
US20130230819A1 (en) * 2011-12-15 2013-09-05 Airton Arruda Apparatus for orthodontic aligner tray retention
KR20150135049A (ko) * 2013-02-04 2015-12-02 시앙민 창 혓바닥 탄성견인장치, 클램핑 펜치, 장착 펜치, 실잡이 및 식립방법
US20150216627A1 (en) * 2014-01-31 2015-08-06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with elastics
JP2017505181A (ja) 2014-01-31 2017-02-16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弾性体を有する歯列矯正器具
EP3028664A2 (en) * 2014-12-05 2016-06-08 Jinkyun Lee Device for generating data on clear aligner
KR20170105429A (ko) * 2016-03-09 2017-09-19 청 시앙 훙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42689B2 (ja) 2021-09-29
CN109998710B (zh) 2021-11-23
KR102133331B1 (ko) 2020-07-14
US20190175305A1 (en) 2019-06-13
CN109998710A (zh) 2019-07-12
TW201927256A (zh) 2019-07-16
CA3027088A1 (en) 2019-06-12
JP2019103807A (ja) 2019-06-27
US11090137B2 (en) 2021-08-17
EP3498219B1 (en) 2021-12-01
TWI697323B (zh) 2020-07-01
CA3027088C (en) 2021-03-23
EP3498219A1 (en) 2019-06-19
PH12018000440A1 (en)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0298A (ko)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JP6968230B6 (ja) 咀嚼式歯列矯正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4350528B2 (ja) 矯正アライナ補助システム
US5002485A (en) Orthopedic appliance
JP6656280B2 (ja) 咀嚼式歯列矯正装置
KR101111976B1 (ko)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EP0548473B1 (en) Orthodontic device for expansion of arches with imbedded wire
KR102106213B1 (ko)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TW202200086A (zh) 齒列矯正裝置
CN114052950B (zh) 壳状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
CN110840591A (zh) 腭侧支架式种植支抗
ITFI980054A1 (it) Apparecchio modulare polifunzionale per ortodonzia e ortopedia dento maxillo facciale.
US3311977A (en) Tooth finishing appliance
CN211271268U (zh) 腭侧支架式种植支抗
CN110840592A (zh) 扩弓种植支抗装置
TW202312948A (zh) 牙齒矯正裝置
JP2021194032A (ja) 歯列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