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778A - 다중-밀도 밑창부재, 및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밀도 밑창부재, 및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778A
KR20150133778A KR1020157029841A KR20157029841A KR20150133778A KR 20150133778 A KR20150133778 A KR 20150133778A KR 1020157029841 A KR1020157029841 A KR 1020157029841A KR 20157029841 A KR20157029841 A KR 20157029841A KR 20150133778 A KR20150133778 A KR 20150133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mum density
sole member
region
sole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327B1 (ko
Inventor
조나단 그론딘
Original Assignee
뉴우바란스아스레틱슈우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우바란스아스레틱슈우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뉴우바란스아스레틱슈우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15013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 및 그 제조 시스템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밑창부재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프레스 몰드 공동에 밑창부재 프리폼을 삽입하는 단계; 및 프레스 몰드 공동 내에 밑창부재 프리폼을 프레스-성형하여 단일 완성품 밑창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완성품 밑창부재는: 제1밀도 및 경도를 갖는 제1영역; 및 제1밀도 및 경도와는 다른 제2밀도 및 경도를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밀도 밑창부재, 및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MULTI-DENSITY SOLE ELEMEN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본원은 2013년 3월 15일 제출된 미국 실용신안 특허출원 13/835,85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었다.
본 발명은 신발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변적 밀도 또는 경도의 밑창부재(variable density or hardness sole elements)를 가진 신발 물품 및 관련 시스템과 그 설계 및 제조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스포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체의 하나 이상의 관절 및/또는 근육에 대한 심한 피로감 및 부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예를 들어, 무릎 및/또는 연골 부상) 선수의 발과 다리의 여러 관절에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그것은 운동선수의 능력 발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심지어는 선수가 경기를 불가능하게 만들기도 한다. 일 예의 스포츠에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육상, 허들 등과 같은 트랙 및 필드 경기와, 축구, 럭비, 테니스, 스쿼시, 라켓볼, 배드민턴, 미식축구, 야구, 필드 하키, 라크로스, 크리켓, 농구 등과 같은 방향의 급격한 변경이 필요한 스포츠를 포함한다.
신발의 밑창 내에 적당한 수준의 지지 및 쿠션을 제공하여 그런 운동 경기를 하는 동안 운동선수의 발 및/또는 다리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상해의 위험을 감소 시키는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에는 흔히 보행(gait) 주기 또는 컷팅 동작을 하는 동안 신체 이동의 손상을 줄 수 있는 작용을 제어 및 감소시키는 지지 부재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는 흔히 과도한 내전 또는 외전을 통한 발목의 반갑지 않은 이동 방지를 돕도록 신발에 합체된다. 내전은 발의 횡측(즉, 외측)으로부터 발의 중간 측(즉, 내측)으로 발이 회전하거나 또는 전환하는 것이다. 표준 보행 주기 동안은 전형적으로 발이 발뒤꿈치의 외부(즉, 측면)가 처음으로 지면과 접촉하며, 그 후 중량이 밀어내기에 앞서 발의 중족부와 전족부분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목이 중간 측을 향해 회전한다. 상당한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내전 및 -외전은 운동선수의 발목 및 무릎에서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과도한-내전 및 -외전을 방지하는 신발 내부의 지지 부재는 흔히 신발에 상당한 비용추가, 복잡성 및 중량을 더하는 재료 및 지지 메커니즘의 상당히 복잡한 배열을 포함한다.
본원에 포함된 안정적인 기능성을 가진 매우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밑창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US 특허번호 7,464,428, 공개된 그 전체 기술내용은 참고로서 본원에 포함되었음), 아직까지는 복잡하며 고가인 제조 방법 및 파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신발 물품에 제어 및 타겟의 지지 및 쿠션작용을 제공하는 개선된 밑창에 대한 필요가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운동선수 및 체육 활동자에게 목표 수준의 지지 및 쿠션 작용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맞춤 부재를 갖는 맞춤 신발(그리고 의복 및/또는 스포츠 장비) 및 그 상관 부재, 그리고 그 설계 및 제조를 위한 상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밑창부재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밑창부재 프리폼을 프레스 몰드 공동에 삽입하는 단계, 및 프레스 몰드 공동 내의 밑창부재 프리폼을 프레스 성형하여 단일 완성품 밑창부재(unitary finished sole element)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일 완성품 밑창부재는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진 제1둘레 영역,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진 제2둘레 영역, 제3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진 제3둘레 영역, 및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제3둘레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4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진 중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측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며, 제2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중간 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며, 제3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측면 발뒤꿈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한다. 제3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는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또는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을 수 있다. 밑창부재 프리폼은 기본적으로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같은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거나, 기본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밑창부재 프리폼의 형성은 제1(또는 프리폼) 몰드 공동 내에 미발포된(unfoamed) 폴리머 물질의 발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 몰드 공동은 제1몰드 공동의 용적보다 작은 용적을 가질 수 있고, 압형 공동 내로 밑창부재 프리폼을 과도하게 채워넣을(over-stuffing) 필요가 있는 프레스 몰드 내로 밑창부재 프리폼을 삽입하는 단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미발포 폴리머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색채 물질(coloring material)도 포함한다. 미발포 폴리머 물질을 발포할 때, 이 색채 물질은 불균일하게 밑창부재 프리폼 전체에 걸쳐 분포될 수 있고, 그리고 특정 실시예에서는, 완성품의 밑창부재의 다른 영역에서 밀도 및/또는 경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는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보다 작고, 제3 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는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및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모두 보다 작고, 제4 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는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및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다.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제3둘레 영역, 및/또는 중앙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변하는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완성품 밑창부재는 신발 물품의 중간창(midsole)의 적어도 뒤꿈치(heel) 부분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를 포함한다. 밑창부재는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진 제1둘레 영역,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진 제2둘레 영역, 제3 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진 제3둘레 영역, 및 제4 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갖고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제3둘레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포함한다.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제3둘레 영역, 중앙 영역의 각각은 단일 구조(즉, 하나가 단일 물질 또는 단일 그룹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과 같은 단일 통합된 파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측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며, 제2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중간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며, 제3 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측부 발뒤꿈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한다. 제3 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는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또는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을 수 있다. 단일 구조체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폴리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머 물질은 밑창부재의 다른 영역에서의 밀도 및/또는 경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색채 물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는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보다 작고, 제3 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는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및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양측 보다 작고, 제4 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는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및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다.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제3둘레 영역, 및/또는 중앙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변하는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밑창부재는 신발 물품의 중간창(midsole)의 적어도 뒤꿈치(heel) 부분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부재는 제1밑창 부품과 제2밑창 부품을 포함한다. 제1밑창 부품은 제1물질을 포함하거나 기본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밑창 부품은 상부 면과 하부 면을 갖고, 상기 제1밑창부재의 상부 면은 밑창부재의 상부 면의 적어도 제1부분을 형성한다. 제2밑창 부품은 제2물질을 포함하거나 기본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밑창 부품은 상부 면과 하부 면을 갖고, 상기 제2밑창 부품의 상부 면의 적어도 제1부분은 제1밑창 부품의 하부 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정합하는데 사용된다. 제2부품은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갖는 제1영역, 및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와는 다른 제2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밑창 부품의 제1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제1밑창 부품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상향하여 연장되며 밑창부재의 상부 면의 제2부분을 형성하게 제1밑창부재의 상부 면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하는데 사용되는 상부 면을 갖는다. 제2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제1밑창 부품의 중간 측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상향하여 연장되며 밑창부재의 상부 면의 제2부분을 형성하게 제1밑창부재의 상부 면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하는데 사용되는 상부 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밑창 부품은 부가로 제1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 및 제2밀도 및/또는 경도 중 적어도 하나와는 다른 제3 최대 밀도 및/또는 경도를 갖는 뒤꿈치 영역을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이,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과 함께, 다음의 설명, 첨부 도면 및 청구범위를 통해 더욱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이 서로 배타적이지 않은 다양한 조합 및 순열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다른 각도로 보았을 때 동일한 부분을 지칭하게 표기되었다. 또한, 도면은 축척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도록 강조하여 나타내었다.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창부재 프리폼를 형성하기 위한 프리폼 몰드 공동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프리폼 몰드 공동에 형성된 밑창부재 프리폼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c는 도 1a의 프리폼 몰드 공동에 의해 형성된 밑창부재 프리폼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몰드 공동에 삽입되는 도 1c의 밑창부재 프리폼의 개략도이다.
도 1e는 도 1d의 프레스 몰드 공동 내에 삽입 후, 밑창부재 프리폼의 개략도이다.
도 1f는 도 1d의 프레스 몰드 공동에 형성된 압축된 밑창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1g는 도 1f의 완성품 밑창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뒤꿈치 및 중족부 영역을 위한 밑창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섹션 C-C를 통한 도 2a의 밑창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2c는 섹션 A-A를 통한 도 2a의 밑창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밑창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몰딩 전 및 후의 신발용 밑창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몰딩 전, 그를 통해 분포된 착색 요소를 가진 신발용 밑창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프레스 몰딩 후, 도 4a의 밑창부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물품용 다른 밑창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프레스 몰딩 전 및 후, 도 6a의 밑창부재의 중족부 측면도이다.
도 6c는 프레스 몰딩 전 및 후, 도 6a의 밑창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밀도 중간창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의 중간창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섹션 D-D를 통한 도 7a의 밑창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 및 도 7b의 중간창을 포함하는 신발의 측면도이다.
본원에 기재된 발명은 예를 들어 신발에 사용하는 물리적 특성이(예를 들어, 경도 및/또는 밀도) 서로 다른 영역을 갖는 폴리머 발포된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신발용 밑창, 또는 밑창의 부품과 같은 부재를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원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은 신발의 안창, 중간창 및/또는 바닥창을 형성하거나, 또는 신발의 안창, 중간창, 및/또는 바닥창에 합체하는(예를 들면, 접합을 통해 및/또는 기계적 부착을 통해, 다른 중간창 부재에 접합하는) 밑창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다중 밀도 및/또는 경도의 발포 파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부품 내의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은 물질 밀도 및 재료의 경도를 포함한다. 밀도가 낮은 재료는 작은 저항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서 높은 수준의 쿠션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반면에, 물질의 밀도, 즉, 단위 체적 당 물질의 질량은, 일반적으로 밀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지지 및 더 적은 유연성 및 쿠션 작용을 제공하는 상황에서, 물질의 밀도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를 한다. 경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압입 경도(즉, 날카로운 물체로부터의 일정한 압축 하중으로 인한 물질 변형에 대한 샘플의 저항 값)는 물질의 변형에 대한 저항 표시 값을 나타내며, 낮은 경도의 물질은 낮은 저항과 그에 따른 높은 수준의 쿠션 및 유연성을 나타낸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시스템은 고 밀도 영역에 대응하는 고 경도 영역을 갖는, 다중 경도 및 다중 밀도 영역을 가진 밑창 부품을 제공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시스템은 임의 수의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다중-밀도/경도의 파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런 파트는 신발 물품의 밑창 또는 밑창의 일부분의 형성 및/또는 신발 물품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중 밀도/경도 파트는 또한 예를 들어 의류에 포함되는 보호 덮개 및 패딩을 제공하는데 유용한 폴리머 물질을, 착용자의 상부 및/또는 하부 신체용 의복에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다중-밀도/경도 파트가 의복 또는 스포츠 부대장비의 발포 보호요소를 제공하게 배치할 수 있다. 다중 밀도/경도 파트도 또한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보호용 스포츠 액세서리(예를 들어, 팔꿈치 패드, 정강이 패드, 헤드 보호기 등), 가방 및 다른 운반 백 등과 같은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발 물품의 중간창에 합체하기 위한 다중 밀도, 다중 경도, 밑창부재[예를 들어, 다중 밀도 "차단제(blocker)" 요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밑창부재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밑창부재 프리폼을 프레스 몰드 공동 내에 삽입하는 단계, 프레스 몰드 공동 내의 밑창부재 프리폼을 프레스 성형하여, 서로 다른 밀도 및 경도의 다중 영역을 가진 단일체 구조의 완성품 밑창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밑창부재 프리폼은 임의의 적절한 기술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밑창부재 프리폼은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팽창 몰딩, 다이-컷팅, 발포 물질의 스컬팅(sculpting), 및/또는 압축 몰딩과 같은 몰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부재 프리폼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진 프리폼 몰드를 제공하고, 미발포 폴리머 물질로 공동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공동 내에 미발포 폴리머 물질을 삽입하고, 몰드를 밀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음, 미발포 폴리머 물질은 프리폼 몰드에 의해 발포되어 프리폼 몰드 공동의 형상 및 체적, 상기 공동에 삽입된 미발포 폴리머 물질의 체적, 및/또는 발포되는 폴리머 물질의 성질에 따른 필요한 형상, 크기, 및 물질 특성(예를 들면, 밀도)을 가진 프리폼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머 물질은 폴리머,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기본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 물질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VA 코폴리머, 폴리에틸렌(PE),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폴리우레탄(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듀폰™ 설린®, 블로우 고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 일 수 있다. 일 예의 실시예에서, 폴리머 물질은 지면-접촉 EVA이다(즉, EVA는 적절한 성능, 마모, 및 내구성 특성을 제공하여 신발의 지면-접촉 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특별히 제형화 됨).
다양한 실시예에서, 발포제는 폴리머 물질을 발포하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발포에 앞서 미발포 폴리머 물질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발포제는 임의의 적절한 발포제 레벨을 가진 미발포 폴리머 물질 혼합물로 도입될 수 있다. 발포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예를 들어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질소, 이산화탄소, 탄화수소(예, 프로판), 클로로플루오르카본, 희가스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적절한 타입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발포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기본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의 실시예에서, 발포제는 질소를 포함하거나, 기본적으로 구성한다. 발포제는 기체, 액체, 또는 초임계 유체(SCF)와 같은 유동성이 있는 물리적 상태에서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포제는 펠럿화된 고체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포제 소스는 프리폼 몰드 내로 재료를 압출하는 압출기에 주입할 때 초임계 유체 상태에 있는 발포제(예를 들어, 질소)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형태의 화학 발포제(예를 들면, 아조디카본아미드 또는 개질된-아조디카본아미드)는 미발포 폴리머 물질과 혼합되어, 활성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발포제는 미발포 폴리머 물질에 용해되거나, 다르게 혼합되어서,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특정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며, 용액에서 발생하여, 분해되어, 가스화되거나, 또는 다르게 복수의 마이크로셀 사이트가 응집하도록 발포를 개시하여 미발포 폴리머 물질을 발포한다. 예를 들어, 발포제는 용액을 활성화하거나 용액에서 발생하여,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 및/또는 설정 압력에 도달할 때 미발포 폴리머 물질을 발포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 안에서 분해된 발포제를 가진 미발포 폴리머 물질은 상승된 압력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미발포 폴리머 물질이 유지되는 압력이 강하될 때(예를 들어, 미발포 폴리머 물질이 유지되는 몰드 공동을 확정 또는 개방("균열")하여) 발포제가 활성으로 있다. 예를 들어, 그 안에서 혼합된 발포제를 가진 미발포 폴리머 물질(예를 들면, 초 임계 유체 발포제)은 상류 혼합 및 주입 시스템(upstream mixing and injection system) 내의 상승된 온도 및 압력에서 유지되고, 하나 이상의 주입 채널에서 혼합 및 주입 시스템이 몰드 공동(또는 공동들)에 연결되며, 물질이 주입 채널(들)을 나가고 몰드 공동(들)에 들어올 때 자동적으로 발포를 개시하거나 또는 단시간 후에 발포를 한다.
대안적으로, 임베디드 발포제와 미발포 폴리머 물질은(예를 들면, 액체 형태 또는 고체 펠릿 형태) 프리폼 몰드 공동 내로 삽입된다. 몰드 공동은 그 후 폐쇄되어, 발포제를 활성으로 하기에 충분한 온도 및/또는 압력으로 가열되며, 그 후 미발포 물질은 발포될 수 있다(예, 몰드를 "크래킹"하여 또는 몰드의 개폐식 벽을 후퇴하여) 발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미발포 폴리머 물질로부터 발포 프리폼를 형성하기위한 임의의 적절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발포 폴리머 물질 프리폼이 생성되었으면, 프리폼이 프레스 몰드 공동에 삽입되어, 완성품 파트를 생성하도록 압형 몰딩을 받게 할 수 있다. 프레스 몰드의 구조 및 작업은 신중하게 선택하여 큰 압력을 프리폼의 임의적 영역에 제공하며, 작은 압력을 프리폼의 다른 영역에 제공하여서 서로 다른 영역에서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완성품의 파트를 생산한다. 압형 몰드는 공동 내의 체적을 감소하게 압형 몰드 공동 안으로 가압하고 그 안에 위치한 발포 폴리머 물질 프리폼을 압축하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벽은 임의의 적절한 기계식, 공압식, 유압식, 전자기식, 및/또는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프리폼을 압축하도록 작동된다.
다중-밀도 파트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 1a 내지 도 1g에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에서, 프리폼 몰드(100)에는 몰드 공동(110)을 형성하는 제1몰드 부분(105), 및 주변 대기로부터 공동(110)을 밀봉(또는 부분적으로 밀봉)하도록 공동(110)을 덮기 위한 제2몰드 부분(115)이 제공된다. 제2몰드 부분(115)은 제1몰드 부분(105)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또는 피벗적으로, 또는 다르게 이동가능하게 제1몰드 부분(105)에 부착할 수 있다. 제2몰드 부분(115)은 몰딩 공정 동안 공동(110) 내의 적절한 밀봉 유지를 보장하도록, 임의의 적당한 기계적, 공압적, 유압적, 및/또는 전자기적 클램핑 시스템을 통해 제1몰드 부분(105)에 클램핑되거나, 나사 고정되거나, 또는 다르게 분리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몰드(100)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정합 및/또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는 부가적인 및/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몰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공동(110)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용량의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예를 들면, 미발포 EVA의 용량)을 수용하게 되어있다.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공동(110)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은 하나 이상의 주입구(125)를 통해 액체 형태로 공동(110)에 주입될 수 있다. 다르게는,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은 (예를 들어, 그 내부에 캡슐화된 발포제를 가진) 미발포 물질의 복수의 작은 펠릿으로 공동(110)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그 후 상기 물질은 발포제를 활성화하도록 가열되어, 용융되어서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을 발포한다.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의 펠릿은 손으로 공동(110) 내에 삽입하거나, 또는 호퍼에서 유지되어 발포에 앞서 공동(110) 내로 호퍼로부터 수동적 또는 자동적으로 방출된다.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이 몰드 공동(110) 내에 삽입되었으면, 몰드(100)는 임의의 적절한 발포 방법을 통해(예를 들면, 확장 또는 크랙 몰딩을 통해) 폴리머 물질의 발포를 유도하여, 발포 폴리머 프리폼(130)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 프리폼은 프레스 몰딩되어 완성품 다중-밀도 파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리폼(130)은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135), 제2연장부(140), 및 기초부(145)를 갖고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135)는 제2연장부(140)보다 기초부(145)에서 더 멀리 연장하고, 따라서 제2연장부(140)보다 더 많은 용량의 물질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리폼(130)은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일 수 있으며, 형성되는 특정한 완료 제품 파트 및 완료 파트에 필요한 특정한 밀도 분포에 따른, 연장부, 돌출부, 공동 및 다른 적절한 형상화 요소의 수 및/또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생성된 발포 프리폼(130)은 완성품 파트로 프레스 성형을 하기 위해 제2몰드(150)(즉, 압형 몰드)에 삽입될 수 있다. 압형 몰드(150)는 압형 몰드 공동(160)를 형성하는 제1몰드 부분(155), 및 주변 분위기로부터 공동(160)을 밀봉(또는 부분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공동(160)을 덮기 위한 제2몰드 부분(16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몰드(150)는 밀봉된, 또는 대체로 밀봉된 압형 몰드 공동(16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몰드(150)는 압형 몰드 공동(160)을 형성하며, 상기 공동(160)은 하나 이상의 통기 채널을 통해 또는 다른 몰드 부품 사이의 하나 이상의 공간 또는 크랙을 통해 주위 대기로 배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몰드(150)는 열적으로 제어되어(예를 들면, 필요에 따른 가열 및/또는 냉각) 완성품 파트(180)의 압축 및 셋팅 작업을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폼(130)은 프리폼이 배치되는 압형 몰드 공동(160)의 치수보다 큰 적어도 1차원의 치수(예를 들면, 폭 및/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프리폼(130)은 프리폼(130)이 프레스-성형하기에 앞서 공동(160) 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공동(160) 내에 강제로 들어가야만 한다(즉, "과도한-채워넣음"). 상기 과도한 채워넣음은 완성품 파트(180)에 발포 물질을 압축한 후 국부적인 밀도 변화의 생성을 제어하고 지원하는데 유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리폼(130)은 과도한 채워넣음의 필요가 없는, 압형 몰드 공동(160) 내로 대체로 정밀하게 끼워지는 형상 및 크기로 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압형 몰드 공동(160)의 치수보다 적어도 일 차원의 치수가 더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따라서 프리폼(130)은 프리폼(130)과 공동(160)의 적어도 하나의 벽 사이의 공간을 가진 공동(160) 내에 끼워진다).
프리폼(130)이 공동(160) 내에 배치되었으면, 몰드(150)는 도 1e 및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된다. 상기 프리폼은 완성품 파트(180)를 형성하도록 압축된다. 몰드(150)는 임의의 적절한 기계적, 공압적, 유압적 및/또는 전자기적 기구를 통해 제1몰드 부분(155)이 제2몰드 부분(165)과 접촉하게 힘을 가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몰드 부분(155) 및 제2몰드 부분(165)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폼 몰드 공동(160)의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가진 압형 몰드 공동(160)을 형성하는 형상 및 크기로 된다. 따라서, 압형 몰드(150)를 폐쇄할 때, 프리폼(130)의 다른 영역은 프리폼(130)의 해당 부분과 그 안에 배치되는 압형 몰드 공동(160)의 영역 사이에 용적의 차이에 따라 다른 수준의 압축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도 1e 및 도 1f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압형 몰드 공동(160)은 제1연장 공동 부분(170)[프리폼(130)의 긴 제1연장부(140)가 그 안에 배치됨]과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 공동 부분(170)은 제2연장 공동 부분(175)[프리폼(130)의 짧은 제2연장부(140)가 그 안에 배치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몰드(150) 폐쇄 시, 제1연장부(135)는 제2연장부(140)보다 더 큰 수준의 압축력을 받을 것이므로, 완성품 파트(180)는 제2연장부(140)보다 더 큰 밀도 및 경도를 갖는 제1연장부(135)를 갖고 형성된다. 기초부(145)는 도 1e 및 도 1f의 실시예에서, 제2연장부(140)보다는 크지만 제1연장부(135)보다는 작은 양으로 압축력을 받아서, 2개의 연장부의 밀도 및 경도 사이의 중간 밀도 및 경도를 갖는 기초부 영역을 형성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압형 몰드 공동(160)은 프리폼(130)과 압형 몰드 공동(160)의 특정 기하형상 및 완성품 파트의 특정 밀도 요건에 따라, 프리폼(130)의 임의의 적절한 영역에 임의의 압축 분포를 적용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형 몰드 공동(160)은 전체 프리폼(130)에 걸쳐 동일한 수준의 압축이 일어나게 구성되어, 완성품 파트가 균일한 밀도 분포를 갖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머 물질(120)은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 내에 불균일하게 분포된 (즉, 예를 들어 웹 형상 또는 마블 구조로서 또는 개별 스팟 또는 라인의 분포로서, 불균일하게 분포된) 하나 이상의 착색 요소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착색 염료, 안료 또는 페인트로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의 하나 이상의 펠릿을 코팅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의 내부 또는 펠릿은 제1색을 갖고, 펠릿의 외면은 제2색을 갖는다. 이 페인트/코팅 폴리머 물질(120)이 발포되면, 색채 물질은 발포 프리폼(130) 전체를 통해 불균일하게 분포된다(즉, 프리폼(130)의 표면에 양측 시각부가 프리폼(130)의 내부 전체를 통해 분포된다). 대안적으로, 색채 물질(예를 들면, 염료, 페인트 등)의 불균일한 분포는 색채 펠릿이 생성된 발포 프리폼 전체를 통해 불균일하게 분포되고 폴리머 물질(120)을 발포하도록 미발포 폴리머 물질(120) 내에 색채 물질의 펠릿을 혼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프리폼(130)이 프레스-성형을 하는 동안 압축될 때, 프리폼(130) 전체에 걸쳐 분포된 색채 요소가 또한 압축될 것이며, 완성품 파트의 더 조밀하게 채워진 영역은 더 조밀하게 채워진 색채 요소를 갖는다. 그 결과, 색채 요소는 완성품 파트(180)의 다양한 영역의 압축 (그리고 그 밀도) 수준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완성품 파트(180)의 밀도 분포의 변화를 나타낸 시각적 표시를 도 1f 및 도 1g에 나타냈으며, 제1연장부(135) 내의 높은 채색(즉, 고 밀도 색채 요소)은 해당 부분에 고 밀도의 발포 물질을 나타내며, 제2연장부(140) 내의 낮은 채색(즉, 저 밀도 색채 요소)은 해당 부분에 저 밀도의 발포 물질을 나타낸다. 기초부(145) 내의 중간 채색은 해당 영역 내의 중간 밀도 분포를 나타낸다.
색채 요소를 사용하여 완성품 파트(180)의 밀도 표시부를 제공하는 것은 여러 이유로 해서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 분포의 시각적 표시는 완성품 파트(180)가 정확하게 형성되었고, 필요한 밀도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있음을 간단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색채 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밀도 분포의 시각적 표시는 또한 다른 밀도 프로파일을 가진 유사한 형상의 파트 사이에 명확한 차이도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동일한 형상의 중간창 부품 사이, 하나는 측면에 배치된 고 밀도 영역을 가짐-횡방향으로 배치된 삽입체- 및 하나는 중간 측에 고 밀도 영역을 가짐-중간방향으로 배치된 삽입체). 이것은 예를 들어 특정 목적을 위한 특정한 신발에 선택한 중간창 부품의 하나를 조립하는 경우 유익할 수 있다. 또한, 채색 요소가 (단지 완성품 파트의 외부 면에 코팅되기 보다는) 완성품 파트(180)를 통해 분포되는 경우, 밀도 분포는 파트가 절단, 면도, 또는 다른 후 처리가 되더라도 여전히 시각성을 가질 것이다. 색채 요소는 또한 완성품 파트(180)를 포함하는 제품에 독특하고 매력적인 시각적 형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신발 물품(예를 들면,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서, 운동화, 워킹화, 또는 정형외과용 신발)용 밑창 부품을 포함한다. 밑창 부품은, 예를 들면, 신발의 중간창, 또는 그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밑창 부품은 뒤꿈치, 중족부, 및/또는 중간창의 앞꿈치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형성 및 구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중간 측면 및/또는 중간창의 중앙 영역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에 걸쳐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발 중간창에 대한 예시된 중간창 부품(200)은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내었다.
중간창 부품(200)은 중간 측 부분(205), 횡측 부분(210), 뒤꿈치 부분(215), 중앙부(220)를 포함하며, 신발의 뒤꿈치 영역(225)과 중족부 영역(23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착용자에게 쿠션 및 지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중간 측 부분(205)과 횡측 부분(210)은 중앙 기초부(220)로부터 상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여, 발의 중간 측 및 횡측을 따라 착용자의 발에 둘레 지지부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뒤꿈치 부분(215)도 또한, 착용자의 뒤꿈치에 둘레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중앙부/기초부(220)로부터 상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런 둘레 지지부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내전 또는 외전을 제어 및/또는 착용자의 발의 여러 영역(예를 들어, 뒤꿈치,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 및/또는 발바닥 근막)에 제어된 지지부를 제공하는데 유익할 수 있다.
중간창 부품(200)은 상부 면(235)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면(235)은 완전 조립된 밑창에서 중간창 부품(200) 위에 배치된 제2중간창 부품(예를 들면, 쿠션 요소)과 정합하게 형성되며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200)의 상부 면(235)은 그 위에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쿠션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완성품 밑창의 상부 표면을 직접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창 부품(200)은 또한 바닥 면(240)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 면은 신발에 지면 접촉 면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신발에 지면 접촉 면을 제공하도록 중간창 밑에 배치되는 분리된 외부창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면(240)은 하나 이상의 외부창 요소와 정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만입부 또는 공동(245)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200)의 바닥 면(240) 및/또는 상부 면은 유연한 요홈 또는 다른 만입부 또는 시핑(siping)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창 부품(200) 내의 밀도의 변화는 균일한 밀도를 가진 프리폼을 형성하고, 그 후 선택적으로 다른 위치에서 다른 밀도를 갖는 완성품 파트를 생성하도록 프리폼을 선택적으로 프레스-성형하여서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예를 들어 중간창 부품 프리폼(250) 및 완성품 파트(255)의 횡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중간 측 부분(260)은 [화살표(27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양으로 압축되며, 횡측 부분(265)은 [화살표(27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다 적은 제2양으로 압축된다. 중앙부(280)는 [화살표(28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적은 양으로 압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측 부분(260)의 프리폼(250)은 중간 측 부분(260)이 복합 각도(아래에 포함)로 압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횡측 부분(260)은 단지 상부 및 측면으로부터의 압력만을 받고, 중앙부(280)는 수직 방향으로 만의 압력을 받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리폼(250) 및 완성품 파트(255)의 다양한 부분의 크기 및 형상은 임의의 원하는 밀도 분포를 갖는 완성품 파트(255)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부분에서 필요로 하는 압축 정도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200)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해당 영역 내의 값의 범위로 압축되어, 해당 영역 내에 다양한 밀도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280)는 그 횡측에서 보다 중간 측에서 더 큰 압축력을 받아서, 중앙부(280)의 폭을 가로 질러 생기는 밀도 변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영역은 그 영역에 걸쳐 상대적으로 또는 정확하게, 일정한 밀도를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색채 요소는 프레스-성형 후에 완성품 파트의 밀도 분포의 시각적 표시를 생성하기 위해 프리폼 전체에 걸쳐 분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창 부품 프리폼(25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를 통해 불균일하게 분포된 색채 물질(290)을 갖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성품 파트(255)에서 변화된 색채 물질(290)의 분포(즉, 프레스-성형 후)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 밀도 부분(중간 측 부분(260))은 색채 물질(290)의 분포가 더 조밀하게 이루어져서, 저 밀도 횡측 부분(265) 또는 최저 밀도 중앙부(280)보다 더 짙은 색채로 나타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채색 물질(290), 또는 물질들은, 밀도 분포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데 사용된 채색 물질 및 파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폴리머 발포 물질과의 사이에서 임의의 적절한 굵기(bold) 또는 미세한 대비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5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밀도의 영역을 갖는 예시된 중간창 부품(300)을 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은 중앙 기초부 영역(310)을 둘러싸는 상승된 둘레 부분(305)을 포함한다. 상승 둘레 부분(305)은 중간 측 영역(315)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은 밑창의 중족부 부분에 중간창 부품(300)의 선단 엣지(320)로부터 밑창의 뒤꿈치에 중간창 부품(300)의 후면(325)으로 연장된다. 횡측 뒤꿈치 부분(330)은 중간창 부품(300)의 후면(325)으로부터 횡측 부분(335) 주위로 연장되며, 상기 횡측 부분(335)은 횡측 뒤꿈치 부분(330)으로부터 중간창 부품(300)의 선단 엣지(320)로 중간창 부품(300)의 횡측을 따라 연장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중간 측 영역(315)은 횡측 부분(335)보다 더 전방으로 (앞발을 향해)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 측 영역(315) 및 횡측 부분(335)은 동일한 거리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횡측 부분(335)은 더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의 선단 엣지(320)는 신발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거리에 위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뒤꿈치 내에, 중족부와 뒤꿈치 사이에, 중족부 내에, 중족부와 앞꿈치 사이에, 또는 앞꿈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은 신발의 전체 길이로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은 신발의 뒤꿈치, 중족부, 및/또는 앞꿈치의 임의의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영역 내에서 신발의 중간, 횡면, 및 중앙부의 임의의 적당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둘레 영역[즉, 중간 측 영역(315), 횡측 뒤꿈치 부분(330), 및 횡측 부분(335)]은 각각의 영역 내에서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밀도와, 서로 다른 최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앙 기초부 영역(310)은 둘레 영역 중 하나의 밀도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밀도를 갖거나, 또는 각각의 둘레 영역과는 다른 최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앙 기초부 영역(310)의 밀도는 전체 범위에 걸쳐 일정하거나 또는 그 지역에 걸쳐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측 영역(315) 내의 최대 밀도는 중간창 부품(300)의 다른 영역 내의 최대 밀도보다 크다. 이것은 예를 들어 내전을 제어하도록 착용자의 발의 중간 측에 지지부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횡측 뒤꿈치 부분(330) 내에서의 최대 밀도는 다른 둘레 영역의 것보다 낮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보행(gait) 주기 내에서 초기 착지를 하는 동안 착용자의 발에 많은 유연한 쿠션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발의 횡측 뒤꿈치는 흔히 달리거나 걷는 동안 발과 지면 사이의 제1접촉 지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의 둘레 부분(305)은 임의 수의 둘레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특별한 신발에 필요한 중간창 부품(300)의 특정 실행 특성에 따른 각 섹션 내에서 서로 다른 밀도 프로파일을 갖는다. 예를 들어, 둘레 부분(305)은 한 세트의 밀도를 가진 단일 섹션, 또는 타겟 구역에서 국부적인 최대 및 최소 밀도 내의 원만한 가변 밀도 프로파일을 갖는 단일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둘레 섹션(305)은 각 섹션 사이에서 계단식으로 또는 원만하게 변환하는 밀도를 가진 임의 수의 분리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 섹션(305)은 하나 이상의 중간 측 부분, 하나 이상의 횡측 부분, 및/또는 하나 이상의 뒤꿈치 부분(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중간 뒤꿈치 부분과 하나 이상의 측면 뒤꿈치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들 사이의 변환은 둘레(305)를 따라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중앙 기초부(310)는 한 세트의 밀도를 가진 단일 섹션, 또는 타겟 구역에서 국부적인 최대 및 최소 밀도 내의 원만한 가변 밀도 프로파일을 갖는 단일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앙 기초부(310)는 각 섹션 사이에서 계단식으로 또는 원만하게 변환하는 밀도를 가진 임의 수의 분리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창 부품(300)에 대한 예시적인 경도 분포를 고 밀도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또는 고 경도를 가진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냈다. 도 6a는 아스카-C 경도 유닛에서 강조된 중간창 부품(300)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재료의 경도 표시를 가진 중간창 부품(300)의 평면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중간창 부품(300)의 중간 측 및 횡측의 측면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나타낸 완성품 파트(300)의 가변 밀도/경도 분포의 형성에 사용되는 프리폼(350)의 형상을 가졌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창 부품(300)은 그 길이를 가로질러 원만하게 변하는 경도 및 밀도를 가진 중간 측 영역(315)을 갖고, 제1국부 최대치(355)는 중족부 영역(착용자 발의 오목한 부분을 지지)에 있고, 제2국부 최대치(380)는 중간 뒤꿈치 영역에 있다. 중간 측 영역(315)은 중간창 부품(300)의 후면(325)(즉, 발 뒤꿈치의 뒤쪽)으로 중간 뒤꿈치 부분 주위로 연장되며, 측면 뒤꿈치 부분(330)으로 변환(또는 혼합)되며, 국부적 최소치(365)를 가진 중간 측 영역(315)보다 낮은 밀도 및 경도를 갖는다. 다음, 측면 뒤꿈치 부분(330)은 횡측 부분(335)에 혼합되며, 국부적 최대치(370)에서 측면 뒤꿈치 부분(330)보다 큰 최대 밀도 및 경도를 갖는다. 횡측 부분(335) 내의 최대 밀도 및 경도는 중간 측 영역(315)의 것보다 작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기초부 영역(310)은 중족부 영역 내에서 [즉, 선단 엣지(320) 근방 및 착용자 발의 오목한 부분 아래 위치] 국부적인 최대 밀도 및 경도(375)를 갖고, 중앙 기초부 영역(310)의 뒤꿈치 영역은 (착용자의 뒤꿈치 아래에 더 많은 쿠션을 제공하도록) 낮은 밀도 및 경도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최대 및 최소 경도 및 밀도는 (프레스-성형 공정 동안 사용된 폴리머 물질 및 적용된 압축 수준에 따른) 도시된 것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고, 경도는 예를 들어, 40-80 사이의 아스카 C 경도, 또는 특별하게는 50-70 아스카 C 경도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프레스-성형을 하는 동안 상이한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에 변화 및/또는 프리폼 형상의 변화를 통한) 선택적 프레스-성형 공정은 중간창 부품(300)을 통한 경도 및 밀도의 임의의 적절한 원만한 변화 및/또는 계단식 변화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중간창 부품과 정합하여 신발의 전체 중간창을 형성할 수 있다. 2개 부품의 중간창(405)을 포함하는 신발(400)의 일례의 밑창을 도 7a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은 신발(400)의 뒤꿈치(410) 및 중족부(415) 내에 중간창(405)의 하부 부분을 형성한다. 상부 중간창 부품(425)은 중간창 부품(300)의 중앙 기초부 영역(310)의 상부 면(430)과 정합하며, 중간창(405)의 앞꿈치 부분을 형성하도록 신발(400)의 앞꿈치(420)쪽으로 연장되는 상부 중간창 부품(425)을 갖는다. 중간창(435)의 상부 면은 상부 중간창 부품(440)의 상부 면에 의해 형성되며, 중간 및 측면 중족부/뒤꿈치 영역에서는, 중간 측 영역(315) 및 측면 영역(335)의 상부 면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중간창 부품(440)은 특정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보다 더 연성이거나 더 저 밀도의 물질(예를 들어, 연성 EVA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위에 놓인 착용자의 발에 보다 부드럽고 쿠션이 있는 면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중간창 부품(300)의 둘레 영역은 횡측 및/또는 중간 측 상에 발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 및 상부 중간창 부품(425)은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우레탄, 실리콘, 또는 EVA-계 시멘팅 시스템과 같은 시멘팅 시스템(예를 들어, 접착 결합제)으로 함께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 및 상부 중간창 부품(425)은 임의의 적절한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기구를 통해 접속되거나, 또는 몰딩 공정에서 단일 중간창(400)으로 공동-성형(co-molded)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 및 상부 중간창 부품(425)은 함께 결합되지는 않지만, 일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상부 중간창 부품(425)으로, 어느 정도 일치되게, 별도의 결합재료 없이 함께 정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바닥창 요소(450)(예를 들면, 지면 접촉 고무)가 신발(400)의 지면 접촉 면을 형성하도록 중간창(405)의 하부 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 부품(300) 및 상부 중간창 부품(425)은 지면-접촉 EVA로 형성될 수 있어서, 추가적인 바닥창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지면 접촉 면으로 중간창(405)의 바닥면이 작용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창(435)의 상부 면은 착용자의 발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발 접촉 면으로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요소, 예를 들면, 안창 및/또는 스트로벨 보드가 중간창(435)의 상부 면과 착용자의 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405)은 그 내부에 구성된 가변성 밀도 분포를 갖는 단일의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은 (부품들과 접합되는 쿠션 요소를 가진) 뒤꿈치, 중족부 및/또는 앞꿈치 섹션 내에 예를 들어 분리된 가변적 밀도 부품을 갖춘 3개 이상의 별도의 요소를 포함하여, 밑창의 서로 다른 영역 내에 분리 제어되는 지지 및 쿠션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창(405)은 중간 측 및 횡측에서 분리된 가변적 밀도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밑창의 중간 측, 횡측, 또는 뒤꿈치 중 하나에서만 가변적 밀도 부품을 갖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안창이 발의 서로 다른 영역에 적절한 수준의 지지 및 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밀도 분포를 갖고 구성될 수 있는 신발 물품용 가변적 밀도의 안창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착용자에게 타겟된 지지 및/또는 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삽입체를 제공하기 위해 신발의 내부 부분(예를 들면, 발 뒤꿈치, 중족부, 및/또는 앞꿈치 영역) 내에 배치하기 위한 가변적 밀도 삽입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삽입체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발의 중간창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안창 부품으로 또는 안창 위에 배치되는 분리 요소로, 신발의 중간창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변적 밀도 중간창 부품은 신발의 앞꿈치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운동선수의 컷팅 타입 이동 시에 유익할 수 있는 측면 앞꿈치 영역에 ?지 요소를 생성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임의의 측면 및/또는 중간 ?지 요소들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신발(400)은 푸트 개구(465)를 가진 상부(460) 및 끈(470)을 구비하는 체결기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400)은 적절한 형태의 폐쇄 기구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적절한 형태(예를 들면, 부트, 운동화, 작업화, 샌들(flip-flop), 플랫(flat) 슈즈, 하이 힐 구두,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예를 들면 훈련화 또는 미끄럼 방지화와 같은 운동화용 밑창부재는 신발의 여러 영역(예, 내측 중족부, 뒤꿈치, 횡측 중족부 영역 내)을 통해 연장되는 둘레 부분으로 형성된 가변적 밀도/경도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변적 밀도 둘레 요소(들)는 밑창의 앞꿈치 영역으로 연장되며, 일 실시예에서는 신발의 전체 둘레의 주위로 연장되는 폐쇄된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둘레 영역에 의해 에워싸이고 기초부 영역 위에 배치된 쿠션 요소(예를 들면, 상부 중간창 부품)를 가진 상태로, 가변적 밀도/경도 둘레요소에는 밑창의 바닥 영역으로 연장되는 기초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변적 밀도/경도 둘레 요소(들)는 기초부 영역을 갖지 않고, 밑창의 전체 중앙 영역은 하나 이상의 분리된 쿠션 요소/상부 중간창 부품으로 형성된다. 쿠션 요소는 둘레 영역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하거나, 또는 둘레 영역의 상부 면 위로 연장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실시예에서, 미끄럼 방지부(cleats)는 가변적 밀도/경도 둘레 요소의 바닥으로부터, 기초부 영역의 바닥으로부터, 및/또는 쿠션 요소/상부 중간창 부품의 바닥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에 부착된 (및/또는 그와 같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부를 가진 하나 이상의 평판을 가변적 밀도/경도 둘레 요소의 바닥 면, 기초부 영역, 및/또는 쿠션 요소/상부 중간창 부품에 부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및/또는 실시예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재료,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본원에 기술된 모든 그 밖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기본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경은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20)

  1.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방법은:
    밑창부재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프레스 몰드 공동에 밑창부재 프리폼을 삽입하는 단계; 및
    프레스 몰드 공동 내에 밑창부재 프리폼을 프레스-성형하여 단일 완성품 밑창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완성품 밑창부재는:
    제1최대 밀도를 갖는 제1둘레 영역;
    제2최대 밀도를 갖는 제2둘레 영역;
    제3최대 밀도를 갖는 제3둘레 영역; 및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및 제3둘레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4최대 밀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횡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제2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중간 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제3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측면 뒤꿈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최대 밀도는 제1최대 밀도 또는 제2최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밑창부재 프리폼은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밑창부재 프리폼를 형성하는 공정은 제1몰드 공동에 미발포 폴리머 물질을 발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프레스 몰드 공동은 제1몰드 공동의 것보다 작은 용량을 갖고, 프레스 몰드 내로 밑창부재 프리폼을 삽입하는 공정은 압형 공동 내로 밑창부재 프리폼을 과도하게 채워넣는 공정(over-stuff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미발포 폴리머 물질은 부가로 적어도 하나의 색채 물질을 포함하며, 미발포 폴리머 물질을 발포할 때, 색채물질은 밑창부재 프리폼 전체에 걸쳐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밑창부재 프리폼을 프레스-성형하여 완성품 밑창부재를 형성할 때, 불균일하게 분포된 색채 물질이 완성품 밑창부재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밀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1최대 밀도는 제2최대 밀도보다 작고;
    제3최대 밀도는 제1최대 밀도 및 제2최대 밀도 양측보다 작고;
    제4최대 밀도는 제1최대 밀도 및 제2최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및 제3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밀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완성품 밑창부재는 신발 물품의 적어도 중간창의 뒤꿈치 부분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제1최대 밀도를 가진 제1둘레 영역;
    제2최대 밀도를 가진 제2둘레 영역;
    제3최대 밀도를 가진 제3둘레 영역; 및
    제4최대 밀도를 갖고,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및 제3둘레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제3둘레 영역 및 중앙 영역의 각각은 단일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횡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제2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중간 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제3둘레 영역은 밑창부재의 측면 뒤꿈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최대 밀도는 제1최대 밀도 또는 제2최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구조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물질은 밑창부재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밀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색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15. 제11항에 있어서,
    제1최대 밀도는 제2최대 밀도보다 작고;
    제3최대 밀도는 제1최대 밀도 및 제2최대 밀도 양측보다 작고;
    제4최대 밀도는 제1최대 밀도 및 제2최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16. 제11항에 있어서,
    제1둘레 영역, 제2둘레 영역 및 제3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밀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밑창부재.
  17. 제11항에 있어서,
    밑창부재는 신발 물품의 적어도 중간창의 뒤꿈치 부분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18. 신발 물품용 밑창부재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제1재료를 가진 제1밑창 부품, 및 제2재료를 가진 제2밑창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밑창 부품은 상부 면과 하부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밑창부재의 상부 면은 밑창부재의 상부 면의 적어도 제1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2밑창 부품은 상부 면과 하부 면을 구비하며, 적어도 제2밑창 부품의 상부 면의 제1부분은 적어도 제1밑창 부품의 하부 면의 일부분에 정합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2부품은 제1최대 밀도를 가진 제1영역, 및 제1최대 밀도와는 다른 제2최대 밀도를 가진 제2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밑창 부품의 제1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연장부는 제1밑창 부품의 횡측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상향하여 연장하며 밑창 부품의 상부 면의 제2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밑창부재의 상부 면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하는 상부 면을 갖고;
    제2밑창 부품의 제2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연장부는 제1밑창 부품의 중간 측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상향하여 연장하고 밑창부재의 상부 면의 제2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밑창부재의 상부 면과 동일한 높이로 연장하는데 사용되는 상부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20. 제19항에 있어서,
    제2밑창 부품은 부가로, 제1최대 밀도와 제2최대 밀도 중 적어도 하나와는 다른 제3최대 밀도를 구비하는 뒤꿈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부재.
KR1020157029841A 2013-03-15 2014-03-13 다중-밀도 밑창부재, 및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KR102164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35,859 2013-03-15
US13/835,859 US9282785B2 (en) 2013-03-15 2013-03-15 Multi-density sole elemen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PCT/US2014/025983 WO2014151552A2 (en) 2013-03-15 2014-03-13 Multi-density sole elemen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778A true KR20150133778A (ko) 2015-11-30
KR102164327B1 KR102164327B1 (ko) 2020-10-12

Family

ID=5062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841A KR102164327B1 (ko) 2013-03-15 2014-03-13 다중-밀도 밑창부재, 및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282785B2 (ko)
EP (1) EP2967195B1 (ko)
KR (1) KR102164327B1 (ko)
CN (2) CN109043723A (ko)
WO (1) WO20141515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409248D0 (en) 2014-05-23 2014-07-09 Zotefoams Plc Method for producing three dimensional foam articles
CA2854683C (en) * 2014-06-19 2021-07-13 Genfoot Inc. Method for injection moulding safety footwear
US10674789B2 (en) * 2014-08-05 2020-06-09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spaced recesses
EP3194138B1 (en) * 2014-08-06 2022-04-20 New Balance Athletics, Inc. Method of forming a foamed part
US10441033B2 (en) * 2014-11-11 2019-10-15 New Balance Athletics, Inc. Method of providing decorative designs and structural features on an article of footwear
DK3229636T3 (da) * 2014-12-12 2021-07-12 Harald Beck Modulært indlægssystem til skosåler
FR3030200B1 (fr) * 2014-12-17 2017-05-05 Babolat Vs Chaussure de sport
US20160302517A1 (en) * 2015-04-17 2016-10-20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781973B2 (en) 2015-08-14 2017-10-10 Thesis Couture, Inc. High heel shoe
JP2017213356A (ja) * 2016-04-14 2017-12-07 フエースト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種々の表面密度を持ったフォームマット
US20170318899A1 (en) * 2016-05-05 2017-11-09 Vionic Group LLC Footwear with built-in intrinsic midsole
US10244813B2 (en) 2016-05-19 2019-04-02 Vionic Group LLC Sandals with biomechanical foot support
CN107397295A (zh) * 2016-05-20 2017-11-28 丹斯克有限公司 轻量的热塑性鞋底
US20180020772A1 (en) * 2016-07-20 2018-01-25 Vionic Group LLC Composite orthotic device
CN110325071B (zh) * 2017-04-11 2021-08-2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多部件鞋底结构的鞋类物品
EP3918943B1 (en) 2017-06-01 2022-09-21 NIKE Innovate C.V.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s utilizing foam particles
US10973283B2 (en) * 2017-06-06 2021-04-13 Puma SE Method for producing a shoe
US10932522B2 (en) 2017-10-23 2021-03-02 Nike, Inc. Drop-in unitary footwear sole with first and second cushioning bodies of differing hardness
US10980310B2 (en) * 2017-10-27 2021-04-20 Nike, Inc. Articles including coated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coated fibers and articles
ES2914402T3 (es) * 2017-12-13 2022-06-10 Basf Se Un proceso para producir una plantilla de espuma de poliuretano
TWI755582B (zh) 2018-02-08 2022-02-2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鞋物件及其製作方法及利用共用模具製造多個不同的鞋物件的方法
WO2019210288A1 (en) * 2018-04-27 2019-10-31 Nike Innovate C.V. Methods for compression molding foam articles
US11547176B2 (en) * 2018-05-30 2023-01-10 Nike, Inc. Direct bottomed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sert
WO2020077125A1 (en) * 2018-10-12 2020-04-16 The North Face Apparel Corp. Flexible sole unit
EP3984401B1 (en) 2018-12-06 2023-06-07 Nike Innovate C.V.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utilizing foam particles
EP3905915B1 (en) * 2018-12-31 2023-07-05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having differing hardness regions
BR112021016385A2 (pt) * 2019-02-19 2021-10-19 What The Future Venture Capital (Wtfvc) B.V. Processo para fabricar um calçado e peças de calçado
EP4039754A1 (en) 2019-03-18 2022-08-10 NIKE Innovate C.V. Colorant solvent system, methods of use, and articles
CN111825876B (zh) * 2019-04-18 2022-10-21 福建大丰投资集团有限公司 用物理性制造的发泡鞋部件及其制造方法
IT201900019310A1 (it) * 2019-10-18 2021-04-18 Materias S R L Procedimento per realizzare prodotti in materiale polimerico espanso multi-gradiente
TWI716195B (zh) 2019-11-18 2021-01-11 大陸商中山宥威時尚科技有限公司 以編織物製成鞋底結構的方法及鞋底結構
US11617413B2 (en) 2019-11-19 2023-04-04 Nike,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having foam particles
TWI725743B (zh) * 2020-02-19 2021-04-21 捷欣企業股份有限公司 客製化鞋件的方法
US11884791B2 (en) 2020-03-09 2024-01-30 Nike, Inc. Footwear component manufacturing system
CN112172219B (zh) * 2020-08-27 2023-08-04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双硬度模压发泡鞋底的制备方法
WO2022067754A1 (en) * 2020-09-30 2022-04-07 Decathlon Midsole for footwear and matching footwear
JP2022142753A (ja) * 2021-03-16 2022-09-30 プーマ エス イー 型から履物製品の一部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3048969A1 (en) * 2021-09-21 2023-03-30 Kokanee Research Llc Wearable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344A (ko) * 1994-01-06 1995-08-18 임성조 고, 저밀도 이중 재질로된 완충 신발창
KR20040087311A (ko) * 2002-02-27 2004-10-13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9443A (ko) * 2010-07-13 2013-03-22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가변 밀도 시팅 재료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2196A (en) * 1954-05-21 1956-11-27 Us Rubber Co Shoe so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766669A (en) * 1969-08-21 1973-10-23 Usm Corp Profiled cellular article
US3591882A (en) 1969-08-21 1971-07-13 Usm Corp Chemical manufacture
US4364188A (en) * 1980-10-06 1982-12-21 Wolverine World Wide, Inc. Running shoe with rear stabilization means
DE3129888C2 (de) * 1981-07-29 1985-01-03 Secans AG, Zu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sse für die Abstützung von Teilen des menschlichen Körpers
JPS60150701A (ja) * 1984-01-17 1985-08-0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運動シユ−ズ用ミツドソ−ル
US4597195A (en) 1984-04-11 1986-07-01 Dananberg Howard J Human shoe sole
FR2595552B1 (fr) * 1986-03-14 1988-09-23 Salomon Sa Semelle interne de chaussure
US4730402A (en) * 1986-04-04 1988-03-15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Construction of sole unit for footwear
US5572805A (en) * 1986-06-04 1996-11-12 Comfort Products, Inc. Multi-density shoe sole
US4823483A (en) 1986-09-23 1989-04-25 Bernard Chapnick Shoe insert and laminating method
US4836814A (en) 1987-11-10 1989-06-06 Packaging Industries Group, Inc. Multicolored foam and method for making
US6789331B1 (en) * 1989-10-03 2004-09-14 Anatomic Research, Inc. Shoes sole structures
US7082697B2 (en) * 1990-01-24 2006-08-01 Anatomic Research, Inc. Shoe sole structures using a theoretically ideal stability plane
GB2277706B (en) * 1993-04-16 1997-07-09 Lo Chie Fang A multi-part rubber sol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BR9404462A (pt) * 1994-11-10 1997-03-04 Reynaldo Oscar Oliver Silva Processo para a produçao de artigos em materiais poliméricos reticulados expandidos e o produto assim obtido
US6061929A (en) * 1998-09-04 2000-05-16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sole with integrally molded shank
US6536137B1 (en) 2000-05-31 2003-03-25 H.H. Brown Shoe Technologies, Inc. Footwear support system
FR2819385B1 (fr) 2001-01-12 2004-01-09 Salomon Sa Semelle intermediaire et chaussure equipee d'une telle semelle
US20030115776A1 (en) * 2001-12-21 2003-06-26 Young Chu Climbing shoe with multiple hardness rubber sole
AU2003203502B2 (en) * 2002-04-10 2005-05-19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Sole
DE10352658A1 (de) 2003-11-11 2005-07-07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ohlenelementen
US7200955B2 (en)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082704B2 (en) 2004-07-30 2006-08-01 James L. Throneburg Insole, and footwear system incorporating same
TWM264892U (en) 2004-10-14 2005-05-21 Lar New Internat Corp Composite shoe pad
US7464490B2 (en) * 2005-06-06 2008-12-16 Columbia Insurance Company Multilayered sole
US20070175068A1 (en) * 2006-01-30 2007-08-02 Hung-Chi Lin PU sole for shoes
US20070220778A1 (en) * 2006-03-21 2007-09-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lightweight foam midsole
CN2884957Y (zh) * 2006-03-21 2007-04-04 林光获 鞋底结构改良
US7941941B2 (en) 2007-07-13 2011-05-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foam-filled elemen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foam-filled elements
US8056261B2 (en) * 2007-07-20 2011-11-15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sole construction
US8196316B2 (en) * 2009-01-26 2012-06-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wo part midsole assembly
US9167867B2 (en) 2010-05-13 2015-10-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art sole assembly
US20110283560A1 (en) * 2010-05-18 2011-11-24 Montrail Corporation Multiple response property footwear
DE102011108744B4 (de) * 2011-07-28 2014-03-13 Pum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hle oder eines Sohlenteils eines Schuh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344A (ko) * 1994-01-06 1995-08-18 임성조 고, 저밀도 이중 재질로된 완충 신발창
KR20040087311A (ko) * 2002-02-27 2004-10-13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9443A (ko) * 2010-07-13 2013-03-22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가변 밀도 시팅 재료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63353A (zh) 2016-01-20
WO2014151552A2 (en) 2014-09-25
US20160227877A1 (en) 2016-08-11
CN109043723A (zh) 2018-12-21
EP2967195B1 (en) 2019-08-14
EP2967195A2 (en) 2016-01-20
KR102164327B1 (ko) 2020-10-12
US10238172B2 (en) 2019-03-26
US20190261736A1 (en) 2019-08-29
CN105263353B (zh) 2018-07-13
WO2014151552A3 (en) 2015-03-05
US20140259801A1 (en) 2014-09-18
US11224264B2 (en) 2022-01-18
US9282785B2 (en)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4264B2 (en) Multi-density sole elemen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CN101896087B (zh) 带有流体填充室的鞋类物品及充注流体填充室的方法
EP3315040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with multiple por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3801100B1 (en) Methods for forming footwear using recycled plastics
US20230200490A1 (en) Article of footwear
EP3598913B1 (en) Cushioning element for sports apparel
US5667738A (e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resilient molded heels for boots and shoes
EP3193652B1 (en) Sole structure with bladd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149373B (zh) 制造鞋类物品的鞋底组件的方法
CN108606405B (zh) 运动鞋的鞋底
CN103607918B (zh) 制造具有承拉结构的带轮廓的流体填充室的方法
CN104687641B (zh) 具有非线性的粘性液体的鞋组件
KR20130031282A (ko) 다중 반응 특성 신발
KR101896168B1 (ko) 다수의 예비성형품들로부터 형성된 밑창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몰드
WO2000057740A1 (en) Contoured platform and footwear made therefrom
CN110062589A (zh) 鞋类及其制造方法
US20230210216A1 (en) Article of footwear
CN102892323A (zh) 结合有柔性板的流体填充的室
TWI665974B (zh) 一元化的充氣與密封的方法
KR101316061B1 (ko) 양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743857B1 (ko) 2개의 사전형성물로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 그리고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몰드
KR20150044589A (ko) 기능성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
TW201904462A (zh) 雙色雙硬度發泡鞋底製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