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954A -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954A
KR20150132954A KR1020140059569A KR20140059569A KR20150132954A KR 20150132954 A KR20150132954 A KR 20150132954A KR 1020140059569 A KR1020140059569 A KR 1020140059569A KR 20140059569 A KR20140059569 A KR 20140059569A KR 20150132954 A KR20150132954 A KR 2015013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olar cell
terminal
unit solar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우
오종훈
조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to KR102014005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2954A/ko
Publication of KR2015013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소형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소형 태양전지 모듈에서 사용하고 있는 리본에 의한 납땜 방식을 현저히 개선하고, 소형 태양전지 모듈에서 G2G(Glass to Glass) 또는 G2B(Glass to back sheet) 대신 가볍고 견고한 PC(PolyCabonate)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10), 단위 솔라셀(20), 봉지재층(30), 보호필름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되,
둘 이상 다수의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로 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단위 솔라셀은 전도성 물질(50)로 접착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되,
둘 이상 다수의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로 되어 있고,
상기 기판에는 단자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자구에 전도체(51)를 주입 응고시켜 단위 솔라셀과 기판을 접착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1공정),
상기한 단위 솔라셀을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고정한 후 전도성 물질로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2공정),
봉지재층(30)을 형성하는 공정(3공정),
봉지재층(30) 위에 보호필름층(40)을 형성하는 공정(4공정)을 포함한 소형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PCB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기판은 단자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에서 상기 기판의 단자구에 전도체를 주입하여 응고시켜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a small sized solar cell modul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소형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소형 태양전지 모듈에서 사용하고 있는 리본에 의한 납땜 방식을 현저히 개선하고, 소형 태양전지 모듈에서 G2G(Glass to Glass) 또는 G2B(Glass to back sheet) 대신 가볍고 견고한 PC(PolyCabonate)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전지는 반도체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 빛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이며, 최근들어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와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의 보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작고, 얇고, 가벼운
고출력 태양 전지 모듈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솔라셀에서 셀은 태양 빛을 흡수하여 전하를 생성하는 반도체와, 빛이 입사하는 수광면 측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과, 상부 전극의 반대쪽 면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으로 구성되며, 솔라셀 모듈에서 각각의 셀은 금속 리본(금속 연결체)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된 전체 솔라셀은 투명 수지로 채워지게 되어 하부 시트와 투명한 상부 시트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때, 대부분의 개별 셀은 출력 전압이 0.6 이하이므로, 실제 요구되는 높은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셀들을 직렬 연결해야 한다. 이로서 각각의 금속 리본이 한 셀의 상부 전극과 이웃한 셀의 하부 전극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러나 금속 리본을 사용하는 구조에서는 셀 사이로 금속 리본이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최소 1 mm 정도의 셀 사이 간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이유로 모듈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금속 리본은 작은 힘으로도 쉽게 변형되어 셀 연결 이후 공정에서 작업성이 저하되고, 자동화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솔라셀 모듈의 셀 연결 구조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제 4,019,924호는 한쌍의 절연 시트 사이에 다수개 도전층이 패턴화된 라미네이트와, 이 라미네이트의 일정 부분을 절개하여 구부릴 수 있는 탭을 만들고, 이 탭에서 도전층이 노출된 부분과 셀의 상부 전극을 연결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4,131,755호 및 제 4,227,298호는 도전층과 유전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와, 이 라미네이트의 일정 부분을 뚫어 예각의 탭을 만들고, 이 탭을 셀의 상부 전극 위로 내밀어 도전층과 상부 전극을 연결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여러 조각셀(단위 솔라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일일이 납땜을 함으로서 셀에 직접적인 열적 스트레스 및 마이크로 크랙 같은 데미지를 주어 모듈공정에서 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으로써 생산loss가 생기는 문제점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또한 셀과 셀을 연결하기 위해서 태양광 제조회사에서는 리본(ribbon)이라는 도전체를 사용하는데 리본은 납이라는 성분이 들어가서 환경규제에 간섭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들이 개시하는 구조들은 셀 연결을 위한 납땜 작업이 있어 모듈의 제조 과정을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리본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만드는 공정의 문제점, 즉 여러 조각셀(단위 솔라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일일이 납땜을 함으로서 셀에 직접적인 열적 스트레스 및 마이크로 크랙 같은 데미지를 주어 모듈공정에서 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으로써 생산loss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셀과 셀을 연결하기 위해서 태양광 제조회사에서는 리본(ribbon)이라는 도전체를 사용하는데 리본은 납이라는 성분이 들어가서 환경규제에 간섭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이 개시하는 구조들은 단위 솔라셀 연결을 위한 납땜 작업이 있어 모듈의 제조 과정을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발명이 인쇄회로기판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리본을 사용하는 문제점과 일일이 납땜으로 단위 솔라셀을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매우 안정적이고 간편한 소형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판(10), 단위 솔라셀(20), 봉지재층(30), 보호필름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되,
둘 이상 다수의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로 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단위 솔라셀은 전도성 물질(50)로 접착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되,
둘 이상 다수의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로 되어 있고,
상기 기판에는 단자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자구에 전도체(51)를 주입 응고시켜 단위 솔라셀과 기판을 접착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1공정),
상기한 단위 솔라셀을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고정한 후 전도성 물질로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2공정),
봉지재층(30)을 형성하는 공정(3공정),
봉지재층(30) 위에 보호필름층(40)을 형성하는 공정(4공정)을 포함한 소형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PCB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기판은 단자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에서 상기 기판의 단자구에 전도체를 주입하여 응고시켜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판에 인쇄회로가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둘 이상 다수의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로 되어 있으며, 접착성 테이프, 전도성 접착 페이스트로 단위 솔라셀과 기판의 단자를 용이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한 리본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만드는 공정의 문제점, 즉 여러 조각셀(단위 솔라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일일이 납땜을 함으로서 셀에 직접적인 열적 스트레스 및 마이크로 크랙 같은 데미지를 주어 모듈공정에서 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으로써 생산loss가 생기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판에 단자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구를 통하여 전도성 접착 페이스트, 은 페이스트 등으로 단위 솔라셀과 기판의 단자를 용이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한 리본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만드는 공정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은 공정이 간단하여 종래 공정의 까다로움, 불량률의 높음, 생산원가가 높은 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결정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물질(전도성 테이프 또는 전도성 잉크 페이스트)로 기판과 단위 솔라셀을 연결한 소형 태양전지 모듈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체로 단자구가 형성된 기판과 단위 솔라셀을 연결한 소형 태양전지 모듈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렬로 연결되는 기판의 전면부의 일실시예.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직렬로 연결되는 기판의 인쇄회로의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물질(전도성 테이프 또는 전도성 잉크 페이스트)로 기판과 단위 솔라셀을 연결한 일 실시예.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체로 단자구가 형성된 기판과 단위 솔라셀을 연결한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구가 형성된 기판의 실시예.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구가 형성된 기판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판(10), 단위 솔라셀(20), 봉지재층(30), 보호필름층(40)으로 이루어진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판(10)은 단위 솔라셀(20)이 실장되어 조립되는 솔라셀(태양전지) 기판 또는 PCB 기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기판(10)이 PCB(Printed Circuit Board)판으로 이루어져 있되,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로 되어 있는 점이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기판(10), 단위 솔라셀(20), 봉지재층(30), 보호필름층(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과 단위 솔라셀은 전도성 물질(50)로 접착되어진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공한다.
또한, 도 1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기판(10), 단위 솔라셀(20), 봉지재층(30), 보호필름층(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과 단위 솔라셀은 전도체(51)로 접착되어진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판의 전면을 보여 주고 있고, 도 2b는 기판의 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상기한 기판(10)의 전면부는 (+)단자와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단자에 단위 솔라셀의 (+)전극이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한 (-)단자에는 단위 솔라셀의 (-)전극이 접촉되도록 실장한다.
상기한 PCB 기판(10)에는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다수의 단위 솔라셀이 실장 된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기판의 전면부에 형성된 (+)단자와 (-)단자는 기판의 면상(面上)에 형성되는 것이 하기할 전도성 물질로 단위 솔라셀을 연결하는데 용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기판에 실장되는 단위 솔라셀은 단위 솔라셀(1), 단위 솔라셀(2), 단위 솔라셀(3)의 (+)전극과 (-)전극이 순서대로 형성되도록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한 기판의 (+)단자(11) 및 (-)단자(12)에 단위 솔라셀의 (+)전극 및 (-)전극이 접촉되도록 실장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2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PCB 기판(10) 후면부(또는 기판의 내부)는 상기한 다수의 단위 솔라셀의 (+)전극 및 (-)전극이 기판의 (+)단자 및 (-)단자에 접촉되어 연결될 경우 직렬 회로가 형성되게 하는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2b는 하나의 실시 예로 상기한 단위 솔라셀(1, 2, 3)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13)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을 보여주며,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닌 어떠한 형태의 직렬회로를 구성하는 PCB 기판도 허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도 2의 기판의 (+)단자 및 (-)단자는 도 2b의 인쇄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형태로 되어 있는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다.(1공정)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기판의 (+)단자 및 (-)단자를 단위 솔라셀의 (+)전극 및 (-)전극에 연결하는 수단으로 전도성 물질(50)을 이용하여 연결한다는 점이다.
상기한 전도성 물질(50)은 전도성 테이프 또는 전도성 잉크 페이스트 등을 의미한다.
상기한 전도성 테이프는 양면에 접착능력이 있으며,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전도성 잉크 페이스트는 젤 상태의 은(銀)페이스트 등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단위 솔라셀을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고정한 후 전극에 전도성 테이프를 접착하고 이를 기판의 단자에 접착하는 공정으로 전도성 테이프로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2공정)
단위 솔라셀을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고정하는 공정은 기판의 크기와 동일한 박스에 단위 솔라셀의 전극이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임시 테이프 등으로 임시 고정하는 구성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 및 구조로 앞서 설명한 단위 솔라셀을 리본으로 납땜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상의 어려움 및 불량률의 증가를 현저히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창출되게 된다.
즉, 종래의 솔라셀 기판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한 PCB(Printed Circuit Board)판을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솔라셀 PCB판은 셀 지지용 기판 위에 (-)소자와 (+)소자가 앞뒤로 형성되어 있는 솔라셀을 일렬로 정렬한 후 솔라셀의 중앙의 (-)bus bar와 (+)bus bar를 리본이라고 통상적으로 불리우는 "연결소자"를 지그재그형식으로 연결하는 모양을 취한 후 솔더링(납땜)을 함으로써 솔라셀 모듈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소형 솔라셀 모듈에 있어서 이런 종래의 방식에 의하여 제조하게 되면, 단위 솔라셀의 조립 즉 기판 위에 정렬하는 것 자체도 어려운 공정일 뿐만 아니라 일단 정렬되어 고정된 단위 솔라셀을 연결소자로 연결하는 것 또한 힘든 공정에 해당하여 제작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불량률로 많이 상승하였던 것이다.
도 3은 상기한 기판(10)과 단위 솔라셀(20)이 전도성 테이프(50)로 서로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기판(10)이 단위 솔라셀을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13)가 형성되어 있되, 기판에 단자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된 단자구가 형성된 기판(10)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기판(10)에는 (+)단자구(11-1) 및 (-)단자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단자구(端子口)는 기판에 형성된 구멍 형태의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서, 단자구에 전도체(51)를 녹여서 주입하고 응고시키게 되면 전류를 통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 구조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단자구(11-1) 및 (-)단자구(12-1)가 형성된 기판(10)은 기판에 실장되는 단위 솔라셀이 단위 솔라셀(1), 단위 솔라셀(2), 단위 솔라셀(3)의 (+)전극과 (-)전극이 순서대로 형성되도록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판의 (+)단자구(11-1) 및 (-)단자구(12-1)에 전도체를 주입하여 응고시키는 경우 단위 솔라셀들의 (+)전극 및 (-)전극이 기판의 (+)단자구(11-1) 및 (-)단자구(12-1)에 연결되게 된다.
또한 도 2b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PCB 기판(10) 후면부(또는 기판의 내부)는 상기한 다수의 단위 솔라셀의 (+)전극 및 (-)전극이 기판의 (+)단자구 및 (-)단자구에 접촉되어 연결될 경우 직렬 회로가 형성되는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기판(10)에 형성된 (+)단자구(11-1) 및 (-)단자구(12-1)는 기판의 면상(面上)에서 후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하기할 전도성 물질로 단위 솔라셀을 연결하는데 용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전도체는 납땜, 은(銀)페이스트 등과 같이 녹여서 주입하고 응고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4b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단자구(11-1)는 기판의 인쇄회로와 연결되어 있어서, 단자구에 전도체를 녹여서 주입하고 응고시키면 인쇄회로와 단자구가 연결되고, 전도체는 단위 솔라셀의 전극에 연결하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3b에서 보는 것처럼 기판(10)의 단자구(11-1, 12-1)에 전도체(51)가 주입되어 응고되어 다수의 단위 솔라셀(20)의 전극이 서로 연결되어 직렬구조를 보여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한 단위 솔라셀을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고정한 후 기판의 (+)단자구 및 (-)단자구에 맞는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전극을 일치시켜서 놓은 후 상기한 단자구에 납땜 또는 은페이스트를 주입하여 응고시켜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2공정)
본 발명은 기판의 단자와 단위 솔라셀의 전극이 연결되어 기판 위에 단위 솔라셀이 실장된 것 위에 봉지재층(30)을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기판의 단자와 단위 솔라셀의 전극이 연결되어 기판 위에 단위 솔라셀이 실장된 것 위에 봉지재층(30)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다.(3공정)
상기한 봉지재층(30, encapsulant)은 고분자 화합물질로 적층하여 생성하게 한다.
상기한 고분자 화합물질은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VA(폴리비닐알코올), 또는 POE(폴리 올레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화합물질 수지를 발라서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봉지재층(30) 위에 보호필름층(40)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즉, 상기한 봉지재층(30) 위에 보호필름층(40)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다.(4공정)
상기한 보호필름층(40)은 고분자 화합물질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한 봉지재층 위에 적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보호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열가소성 고분자 화합물질(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보호필름층은 PC(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강도와 내구성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한 보호필름층을 적층한 후 진공, 가압, 가열하는 공정으로서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형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 제고, 가공,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형 태양전지 모듈을 불량률을 현저히 제거하고,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단위 솔라셀(1), 단위 솔라셀(2), 단위 솔라셀(3),
기판(10), (+)단자(11) 및 (-)단자(12),
(+)단자구(11-1) 및 (-)단자구(12-1),
인쇄회로(13),
단위 솔라셀(20), 봉지재층(30), 보호필름층(40),
전도성 물질(50), 전도체(51)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

Claims (5)

  1. 기판(10), 단위 솔라셀(20), 봉지재층(30), PC(폴리카보네이트)의 보호필름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되,
    둘 이상 다수의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로 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단위 솔라셀은 전도성 물질(50)로 접착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있되,
    둘 이상 다수의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로 되어 있고,
    상기 기판에는 단자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자구에 전도체(51)를 주입 응고시켜 단위 솔라셀과 기판을 접착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100).
  4. 단위 솔라셀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가 형성된 PCB(인쇄회로기판)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1공정),
    상기한 단위 솔라셀을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고정한 후 전도성 물질로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2공정),
    봉지재층(30)을 형성하는 공정(3공정),
    봉지재층(30) 위에 보호필름층(40)을 형성하는 공정(4공정)을 포함한 소형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기판은 단자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에서 상기 기판의 단자구에 전도체를 주입하여 응고시켜 단위 솔라셀의 전극과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방법.
KR1020140059569A 2014-05-19 2014-05-19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2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569A KR20150132954A (ko) 2014-05-19 2014-05-19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569A KR20150132954A (ko) 2014-05-19 2014-05-19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352A Division KR20160048733A (ko) 2016-04-08 2016-04-08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54A true KR20150132954A (ko) 2015-11-27

Family

ID=5484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569A KR20150132954A (ko) 2014-05-19 2014-05-19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29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3266B (zh) 太陽能電池模組
JP515309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152010B1 (ko) 태양 전지 모듈 기판 및 태양 전지 모듈
JP587951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4207316A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nterconnection member
JP5193605B2 (ja) 光電池パネル
CN107318269A (zh)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太阳能电池模块、以及布线板
JP466709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107710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5191125A (ja) 太陽電池素子接続用接続タブ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60048733A (ko)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428179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4428904A (zh) 太阳能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KR101005611B1 (ko) 태양전지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0627869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150263196A1 (en) Photovoltaic module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KR101172017B1 (ko) Pcb 타입의 버스바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제조방법
JP488389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50132954A (ko) 소형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5830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21260887A1 (ja) 発電機能を有するガラスブロック
JP616302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01720A (ko) 에프피씨비를 이용한 다중의 소형 태양전지 및 다중의 소형 태양전지 연결 방법
JP446160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電力リード引き出し方法
KR101610042B1 (ko) 에프피씨비를 이용한 다중의 소형 태양전지 및 다중의 소형 태양전지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