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744A - 압축기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744A
KR20150132744A KR1020140058963A KR20140058963A KR20150132744A KR 20150132744 A KR20150132744 A KR 20150132744A KR 1020140058963 A KR1020140058963 A KR 1020140058963A KR 20140058963 A KR20140058963 A KR 20140058963A KR 20150132744 A KR20150132744 A KR 20150132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tainer
cover
compressed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361B1 (ko
Inventor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장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진 filed Critical 장성진
Priority to KR102014005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3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담겨진 식품용기의 개방된 입구에 설치되기 위한 몸체,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용기의 마개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상기 식품용기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토출수단, 상기 몸체와 함께 마개에 의해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후, 폐쇄된 기체용기를 수납하며, 수납된 기체용기를 상기 토출수단을 향하여 가압시키기 위한 커버, 및 상기 몸체와 커버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체를 식품용기에 용이하게 공급시켜 담겨진 액체에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어 액체의 산소 용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체 공급장치{Compressed gas supply device}
본 발명은 기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용기에 담겨진 액체에 압축기체를 공급시켜 용해되도록 구성하여 액체의 기체 용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에는 다양한 기체가 용존하고 있으며, 음료수는 다양한 기체를 용해시켜 기호에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용 액체 중 술은 알콜과 물이 주를 이루고 있어 소화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가 생성됨에 따라 세포가 죽거나 숙취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몸에 해롭다는 것을 알면서도 술을 포기하지 못하고 있으며, 나름 건강을 챙긴다는 의미로 비타민이나 매실 등의 액품이나 액기스를 첨가하여 섭취하기도 한다.
이에, 종래 등록번호 제10-0146185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고압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관과 이 산소공급관과 연통된 물공급관이 구비되어 물과 산소가 혼합된 혼합수를 배출관(33)을 통해 분사되어 용기에 담겨짐에 따라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산소 공급장치는 산소탱크와 물탱크가 구비되어 됨에 따라 넓은 시설 설치공간이 필요하여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용존 산소량이 높은 물을 용기에 담더라도,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산소가 배출되어 용존 산소량이 떨어지며, 밀봉된 상태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외부 충돌에 의해 산소가 물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용기의 밀봉을 해제할 경우, 분리된 산소는 외부로 배출되어 최초 용존 산소량을 유지할 수 없어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액체에 기체를 용해시킴에 있어서, 용존 기체량을 유지시킴은 물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액체가 담겨진 식품용기의 개방된 입구에 설치되기 위한 몸체, 이 몸체에 구비되어 마개에 의해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후, 폐쇄된 기체용기의 마개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식품용기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토출수단, 몸체와 함께 기체용기를 수납하며, 수납된 기체용기를 토출수단을 향하여 가압시키기 위한 커버, 및 몸체와 커버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압축기체를 식품용기에 용이하게 공급시켜 담겨진 액체에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어 액체의 산소 용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가 담겨진 식품용기의 개방된 입구에 설치되기 위한 몸체,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마개에 의해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후, 폐쇄된 기체용기의 마개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상기 식품용기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토출수단, 상기 몸체와 함께 상기 기체용기를 수납하며, 수납된 기체용기를 상기 토출수단을 향하여 가압시키기 위한 커버, 및 상기 몸체와 커버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내부에 상기 기체용기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수단에 의해 커버가 몸체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커버는 기체용기를 토출수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수단에 의해 마개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된 기체가 식품용기 내부 음식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수납공간부의 저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상기 기체용기가 개방될 경우, 수납공간부에 존재하는 기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부의 내측면은, 상기 기체용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일단부와 상기 배출공이 연결되도록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어 배출되는 기체를 가이드하여 신속하게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기체용기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의 저면에 상기 토출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탈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에 탈부착되고,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부 방향으로 개방된 이동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몸체, 일단부가 이동공간부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용기를 토출수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타단부와 상기 커버몸체 사이에 탈부착되도록 구비되어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부재를 제거 후, 버튼을 눌러 상기 기체용기를 토출수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수단에 의해 마개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된 기체가 식품용기 내부 음식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부의 내측면은, 상기 토출수단이 형성된 일단부와 상기 기체용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어 배출되는 기체를 가이드하여 신속하게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토출수단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토출몸체, 상기 기체용기의 마개를 뚫기 위해 상기 토출몸체에서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늘, 상기 바늘과 토출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체용기의 압축기체가 식품용기로 주입되기 위한 주입공, 및 상기 바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기체가 수납공간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주입공은, 상기 바늘 내부에 형성된 제1주입공, 및 상기 토출몸체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주입공에서 다수 개 분기되는 제2주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제2주입공은, 상기 제1주입공의 통공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일단부가 상기 제1주입공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외측에 형성되되, 제1주입공을 중심으로 시계반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압축기체를 토출시켜 와류를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식품용기 내부에 위치되도록 주입관이 상기 토출몸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입공으로 주입되는 압축기체를 식품용기의 내부 하단부로 토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탈부착부, 및 상기 몸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제1탈부착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탈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의하면, 압축기체를 식품용기에 용이하게 공급시켜 담겨진 액체에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어 액체의 산소 용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가이드홈이 더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토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수단의 주입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공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주입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가이드홈이 더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토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수단의 주입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공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주입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체 공급장치(10)는 몸체(100), 토출수단(200), 커버(300) 및 탈부착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몸체(100)는 음식물이 담겨진 식품용기(30)의 개방된 입구에 설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토출수단(200)은 식품용기(30)의 입구에 위치되도록 몸체(100)에 구비되어 마개에 의해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후, 폐쇄된 기체용기(20)의 마개(22)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식품용기(30)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커버(300)는 몸체(100)와 함께 기체용기(20)를 수납하며, 수납된 기체용기(20)를 토출수단(200)을 향하여 가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탈부착수단(400)은 몸체(100)와 커버(300)를 탈부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커버(300)의 내부에 기체용기(2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부(500)가 형성되고, 탈부착수단(400)에 의해 커버(300)가 몸체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커버(300)는 기체용기(20)를 토출수단(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수단(200)에 의해 마개(22)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된 기체가 식품용기(30) 내부 음식물로 유입된다.
이러한 커버(300)는 수납공간부(500)의 저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배출공(510)이 더 형성되어 기체용기(20)가 개방될 경우, 수납공간부(500)에 존재하는 기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부(500)의 내측면은 기체용기(20)가 유입되는 개방된 일단부와 배출공(510)이 연결되도록 가이드홈(520)이 다수 개 더 형성되어 배출되는 기체를 가이드하여 신속하게 배출시킨다.
이러한 압축기체 공급장치(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을 제거한 식품용기(30)에 몸체(100)를 설치하고, 기체용기(20)를 수납한 커버(300)를 탈부착수단(400)에 의해 몸체(100)에 체결시킨다.
이때, 커버(300)는 기체용기(20)의 마개(22)가 토출수단(200)에 닿지 않도록 체결되며, 식품용기(30)를 뒤집어 압축기체 공급장치(10)가 하측에 위치시킨 후, 커버(300)를 몸체(100)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토출수단(200)에 의해 기체용기(20)의 마개(22)가 개방된다.
이에, 기체용기(20)의 압축된 기체는 식품용기(30) 내부로 토출되어 액체에 용해된다.
여기서, 기체용기(20)의 압축된 기체는 압축산소이며, 식품용기(30)의 액체는 술로써, 이 술에 압축산소를 공급하여 산소 용존율을 증가시켜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압축기체 공급장치(10)는 식품용기(30)를 똑바로 새운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이 당연하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 몸체(100')의 내부에 기체용기(2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부(500)가 형성되고, 수납공간부(500)의 저면에 토출수단(200)이 구비된다.
커버(300')는 커버몸체(310')와 버튼(320') 및 안전부재(330')로 구성된다.
커버몸체(310')는 탈부착수단(400)에 의해 몸체(100')에 탈부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부(500) 방향으로 개방된 이동공간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320')은 일단부가 이동공간부(312')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외측에 위치되도록 커버몸체(310')에 구비되어 기체용기(20)를 토출수단(20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안전부재(330')는 버튼(320')의 타단부와 커버몸체(310') 사이에 탈부착되도록 구비되어 버튼(320')이 의도하지 않게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체 공급장치(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을 제거한 식품용기(30)에 몸체(100')를 설치하고, 기체용기(20)를 몸체(100') 수납공간부(500)에 수납한 다음, 커버(300')를 탈부착수단(400)에 의해 몸체(100')에 완전히 체결시킨다.
이때, 기체용기(20)는 커버몸체(310')의 이동공간부(312')에 의해 토출수단(200) 방향으로 가압되지 않는다.
그리고 커버(300')의 안전부재(330')를 제거 후, 버튼(320')을 눌러 기체용기(20)를 토출수단(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수단(200)에 의해 마개(22)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된 기체가 식품용기(30) 내부 액체로 유입된다.
여기서, 압축기체 공급장치(10)를 식품용기(30)에 설치한 상태에서 식품용기(30)를 뒤집은 상태에서 안전부재(330')를 제거 후, 버튼(320')을 누를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수납공간부(500)의 내측면은 토출수단(200)이 형성된 일단부와 기체용기(20)가 유입되는 개방된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가이드홈(520)이 더 형성되어 배출되는 기체를 가이드하여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물론, 수납공간부(500)는 수납된 기체용기(20)와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크게 형성되되, 기체용기(20) 이동 시, 야간의 뒤틀림을 허용하는 정도의 간격임이 당연하다.
그리고 토출수단(20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몸체(210)와 바늘(220), 주입공(230) 및 배출공(240)로 구성된다.
토출몸체(210)는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늘(220)은 기체용기(20)의 마개(22)를 뚫기 위해 토출몸체(210)에서 커버(30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바늘(220)의 돌출된 단면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마개(22)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입공(230)은 바늘(220)과 토출몸체(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기체용기(20)의 압축기체가 식품용기(30)로 주입되기 위해 형성되며, 배출공(240)은 바늘(220) 주변에 형성되어 식품용기(30)의 기체를 수납공간부(500)로 배출시키기 위해 토출몸체(210)에 형성된다.
여기서, 주입공(23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입공(232)과 제2주입공(234)으로 구성된다.
제1주입공(232)은 바늘(220) 내부에 형성되고, 제2주입공(234)은 토출몸체(210) 내부에 형성되되, 제1주입공(232)에 연통되도록 다수 개 분기된다.
이에, 주입되는 압축기체가 분기된 각 제2주입공(234)을 따라 다수의 방향으로 토출시켜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제2주입공(234)은 제1주입공(232)의 통공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일단부가 제1주입공(232)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제1주입공(232)의 외측에 형성되되, 제1주입공(23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압축기체를 토출시켜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더욱 용이하게 압축기체를 액체에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용기(30) 내부에 위치되도록 주입관(600)이 토출수단(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주입관(600)은 토출수단(200)의 토출몸체(210)에 연장형성되거나 탈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주입관(230)과 연통되어 식품용기(30)의 내부 하단부에서 압축기체를 토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각 실시 예의 압축기체 공급장치(10)는 식품용기(30)를 똑바로 새운 상태에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탈부착수단(400)은 제1탈부착부(410)와 제2탈부착부(420)로 구성된다.
제1탈부착부(410)는 몸체(100)와 커버(300) 중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탈부착부(420)는 몸체(100)와 커버(3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제1탈부착부(410)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탈부착부(410) 몸체(100)와 커버(3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제2탈부착부(420)는 몸체(100)와 커버(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10 : 공급장치 20 : 기체용기
100, 100' : 몸체 200 : 토출수단
300, 300' : 커버 400 : 탈부착수단
500 : 수납공간부 600 : 주입관

Claims (11)

  1. 액체가 담겨진 식품용기의 개방된 입구에 설치되기 위한 몸체;
    상기 식품용기의 입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마개에 의해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후, 폐쇄된 기체용기의 마개를 개방시켜 압축된 기체를 상기 식품용기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토출수단;
    상기 몸체와 함께 상기 기체용기를 수납하며, 수납된 기체용기를 상기 토출수단을 향하여 가압시키기 위한 커버; 및
    상기 몸체와 커버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 상기 기체용기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수단에 의해 커버가 몸체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커버는 기체용기를 토출수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수단에 의해 마개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된 기체가 식품용기 내부 음식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수납공간부의 저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상기 기체용기가 개방될 경우, 수납공간부에 존재하는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의 내측면은,
    상기 기체용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일단부와 상기 배출공이 연결되도록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어 배출되는 기체를 가이드하여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기체용기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의 저면에 상기 토출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탈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에 탈부착되고,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부 방향으로 개방된 이동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몸체;
    일단부가 이동공간부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용기를 토출수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타단부와 상기 커버몸체 사이에 탈부착되도록 구비되어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부재를 제거 후, 버튼을 눌러 상기 기체용기를 토출수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수단에 의해 마개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된 기체가 식품용기 내부 음식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의 내측면은,
    상기 토출수단이 형성된 일단부와 상기 기체용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어 배출되는 기체를 가이드하여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토출몸체;
    상기 기체용기의 마개를 뚫기 위해 상기 토출몸체에서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늘;
    상기 바늘과 토출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체용기의 압축기체가 식품용기로 주입되기 위한 주입공; 및
    상기 바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식품용기의 기체가 수납공간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은,
    상기 바늘 내부에 형성된 제1주입공; 및
    상기 토출몸체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주입공에서 다수 개 분기되는 제2주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주입공은,
    상기 제1주입공의 통공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일단부가 상기 제1주입공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외측에 형성되되, 제1주입공을 중심으로 시계반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압축기체를 토출시켜 와류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 내부에 위치되도록 주입관이 상기 토출몸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입공으로 주입되는 압축기체를 식품용기의 내부 하단부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탈부착부; 및
    상기 몸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제1탈부착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탈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20140058963A 2014-05-16 2014-05-16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66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963A KR101663361B1 (ko) 2014-05-16 2014-05-16 압축기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963A KR101663361B1 (ko) 2014-05-16 2014-05-16 압축기체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59A Division KR101658742B1 (ko) 2015-12-01 2015-12-01 압축기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744A true KR20150132744A (ko) 2015-11-26
KR101663361B1 KR101663361B1 (ko) 2016-10-07

Family

ID=5484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963A KR101663361B1 (ko) 2014-05-16 2014-05-16 압축기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3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37A1 (ko) * 2016-12-22 2018-06-28 (주)씨앤지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2188189B1 (ko) * 2019-06-21 2020-12-07 김금아 압축기체캡슐 토출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산소공급용 텀블러
KR20220128319A (ko) * 2022-06-02 2022-09-20 한의수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22B1 (ko) * 2018-08-29 2020-03-03 김락현 압축기체캡슐용 토출기
KR102117004B1 (ko) * 2019-06-28 2020-05-29 노예우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552A (ja) * 1995-02-03 1996-08-13 Kenichi Asaba 蓄圧式噴霧器
KR19980053761U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노즐
JPH11267208A (ja) * 1998-02-05 1999-10-05 Boc Group Plc:The 無針医療用器具
KR20110007327A (ko) * 2009-07-16 2011-01-24 어윤수 휴대용 물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552A (ja) * 1995-02-03 1996-08-13 Kenichi Asaba 蓄圧式噴霧器
KR19980053761U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노즐
JPH11267208A (ja) * 1998-02-05 1999-10-05 Boc Group Plc:The 無針医療用器具
KR20110007327A (ko) * 2009-07-16 2011-01-24 어윤수 휴대용 물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37A1 (ko) * 2016-12-22 2018-06-28 (주)씨앤지 압축기체 공급장치
CN110099856A (zh) * 2016-12-22 2019-08-06 Cng株式会社 压缩气体供应装置
CN112455912A (zh) * 2016-12-22 2021-03-09 Cng株式会社 压缩气体供应装置
CN112455912B (zh) * 2016-12-22 2023-03-28 Cng株式会社 压缩气体供应装置
KR102188189B1 (ko) * 2019-06-21 2020-12-07 김금아 압축기체캡슐 토출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산소공급용 텀블러
KR20220128319A (ko) * 2022-06-02 2022-09-20 한의수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361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361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658742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713246B1 (ko) 산소 혼합 음료용기
MX341564B (es) Aparato y metodo para preparar una mezcla liquida.
EP1886823A3 (en) Liquid injecting method and liquid container
TW200626376A (en) Method of liquid filling of cartridge, liquid filling device, and cartridge
RU2016118223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данного количества напитка
JP2014515668A5 (ko)
JP2009166862A (ja) 容器
CN108147353A (zh) 流体压力调节器
US10668437B2 (en) Gas filling system
KR20160055596A (ko)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US20200087041A1 (en)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JP2006306459A (ja) 中栓付きキャップ
KR101929203B1 (ko)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KR20220128319A (ko)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KR102117004B1 (ko)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EP1323665B1 (en) Gas driven cork remover
AR061502A1 (es) Sistema de vial y metodo para un inyector sin aguja
JP2016222306A (ja) 噴霧装置
EP3061723B1 (en) Siphon bottle with pressure relief function
KR20120010900A (ko) 산소수 제조장치
JP2010184181A (ja) 吐出器
KR20130011298A (ko) 압력기체를 이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CN205124468U (zh) 安全便利的植物输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