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319A -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319A
KR20220128319A KR1020220067346A KR20220067346A KR20220128319A KR 20220128319 A KR20220128319 A KR 20220128319A KR 1020220067346 A KR1020220067346 A KR 1020220067346A KR 20220067346 A KR20220067346 A KR 20220067346A KR 20220128319 A KR20220128319 A KR 2022012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capsule
cap
hole
oxyge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587B1 (ko
Inventor
한의수
Original Assignee
한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의수 filed Critical 한의수
Priority to KR102022006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5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blister, a capsule or like sea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소주입캡(10)과 누름캡(50)이 결합되되 누름캡(50)을 누르면 내부의 산소 캡슐(30)이 파열봉(18)으로 찔리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산소주입캡(10), 산소 캡슐(30), 누름캡(50)이 분리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음료에 산소 주입이 필요할 때 1차로 산소주입캡(10)을 음료병의 주입구에 결합시키고, 산소 캡슐(30)을 산소주입캡(10)에 넣은 다음 누름캡(50)을 산소주입캡(10)과 반정도 결합시킨 상태에서 음료병을 거꾸로 세워 테이블에 내려 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누름캡(50)의 결합돌기(60)가 산소주입캡(10)의 홀입구(21), 수평홀(22), 수직홀(23)을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산소 캡슐이 순간적으로 파열되도록 구성되었고 산소 캡슐과 산소주입캡의 밀착이 잘 유지되며 산소 캡슐의 고정이 잘 된다. 따라서 산소의 유실을 막고 산소 주입 효율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Oxygen injecting apparatus of beverage bottle}
본 발명은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를 마시기 직전에 음료병 입구에 결합하여 고농축 산소를 음료병에 주입할 수 있는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농축 산소수를 음용하는 경우 간의 해독작용과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이 밝혀져 산소를 음료에 용해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특히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하고 밀봉된 산소 캡슐에 구멍을 내어 음료 용기 내부로 산소를 주입하는 장치가 등록 특허 제10-183236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산소주입장치는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나사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된 산소 캡슐에 구멍을 내는 파열봉을 가지는 산소 주입캡과, 상기 산소 주입캡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산소 캡슐을 파열봉 쪽으로 밀어주는 산소공급캡으로 구성된다. 즉, 산소주입캡과 산소공급캡이 나사결합됨으로써 산소 캡슐이 파열되고 산소가 음료 용기 내부로 주입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산소주입장치에 따르면, 산소 주입캡과 산소공급캡이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이들 구성의 결합과정에서 산소가 새어나와 소실되는 점, 이들 구성의 결합 부위가 견고하지 못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점, 산소 공급캡을 여러번 돌려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1832367(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공개일 2017. 7. 6.)
본 발명의 목적은 산소 주입캡과 누름캡의 결합 방식을 개선하여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산소 캡슐이 파열되는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소 주입 과정에서 산소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소 캡슐 파열을 위한 동작에 힘이 많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가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고 내부에 캡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캡슐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파열봉을 구비하고 주입공이 형성되는 산소 주입캡, 상기 캡슐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고농축 산소를 밀봉된 상태로 함유하는 산소 캡슐, 상기 산소 주입캡과 결합하여 상기 캡슐 수용공간을 차폐하고, 눌러짐으로써 내부의 산소 캡슐을 파열봉에 찔리게 하는 누름캡을 포함하여, 상기 파열봉이 상기 산소 캡슐을 찌르면 파열봉과 주입공을 통해 산소가 음료 용기 내부로 주입된다.
상기 산소 주입캡의 하부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홀 입구, 상기 홀 입구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홀, 상기 수평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홀을 포함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캡의 내측에 상기 결합홀을 지나가는 결합돌기가 돌출된다.
상기 누름캡의 내부 하부에는 상기 산소 캡슐을 밀어주는 누름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누름판은 탄성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파열봉을 가운데 두고 하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산소 캡슐의 상부가 삽입되는 캡슐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캡슐지지부의 내부에 상기 파열봉과 상기 산소 캡슐 사이의 밀봉을 도와주는 가스켓이 더 구비된다.
상기 격벽의 끝단에 상기 산소 캡슐의 외주면과 밀착을 위해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산소 캡슐이 순간적으로 파열되도록 구성되었고 산소 캡슐과 산소주입캡의 밀착이 잘 유지되며 산소 캡슐의 고정이 잘 된다. 따라서 산소의 유실을 막고 산소 주입 효율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 주입을 위해 누름캡을 누르는 한가지 방법으로 음료용기를 거꾸로 세워 누름캡을 테이블에 내려칠 수 있으므로 사용자나 그 과정을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흥미와 재미를 느끼게 해준다.
아울러, 기존에 산소주입캡과 누름캡이 나사결합이어서 누름캡을 여러번 돌려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었졌고 누름캡을 반바퀴 정도 돌려주면 반결합을 만들고 그 상태에서 누름캡을 눌러주기만 하면 산소가 주입된다. 따라서 동작을 위한 힘이 적게 들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산소주입캡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보인 동작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는 도 1에서 보듯이 산소주입캡(10)과 누름캡(50)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산소주입캡(10), 산소 캡슐(30), 누름캡(50)이 분리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음료에 산소 주입이 필요할 때 1차로 산소주입캡(10)을 음료병의 주입구에 결합시키고, 산소 캡슐(30)을 산소주입캡(10)에 넣은 다음 누름캡(50)을 산소주입캡(10)과 반정도 결합시킨 상태에서 음료병을 거꾸로 세워 테이블에 내려 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물론, 이들 구성들의 결합 순서를 다르게 해도 상관없고 반드시 테이블에 내려칠 필요는 없다. 즉, 산소 캡슐(30)을 산소주입캡(10)과 누름캡(50) 사이에 넣고 이들을 반정도 결합시킨 상태에서 산소주입캡(10)을 음료병의 주입구에 나사결합시키고 이러한 상태의 음료병을 거꾸로 세우지 않고 똑바로 세워둔 상태에서 누름캡(50)을 눌러줄 수도 있다. 이처럼 구성들의 결합순서와 누름캡(50)을 누르는 방식을 다르게 하더라도 본 발명의 동작과 작용에는 큰 차이가 없다.
본 발명의 구성들을 하나씩 살펴본다.
먼저, 산소주입캡(10)은 산소주입장치의 전체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부의 내측에는 음료병(70)의 주입구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3)을 가진다. 도 3과 같이 산소주입캡(10)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를 차폐하는 격벽(14)이 형성된다. 격벽(14)의 중앙에는 후술할 파열봉(18)을 수용하는 파열봉 고정홈(14a)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파열봉 고정홈(14a)의 중앙에는 파열봉(18)의 중앙홀과 연통되는 주입공(19)이 형성된다.
산소주입캡(10)의 하부는 개구되어 있고 산소 캡슐(30)을 수용하는 캡슐수용공간(11)이 산소주입캡(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캡슐수용공간(11)은 누름캡(50)에 의해 차폐된다.
계속해서 산소주입캡(10)의 캡슐수용공간(11)에는 산소 캡슐(30)의 선단을 지지해주는 캡슐지지부(15)가 구비된다. 캡슐지지부(15)는 산소 캡슐(30)의 선단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이다. 캡슐지지부(15)가 상기 격벽(14)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가운데 위치하는 파열봉(18)을 보호하기도 하며, 산소 캡슐(30)의 선단을 지지하여 산소 캡슐(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캡슐지지부(15)의 내부 공간에는 산소가 새지 못하도록 산소 캡슐(30)의 파열부를 둘러 감싸는 가스켓(17)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캡슐지지부(15)의 입구 내측에 경사면(16)을 형성하여 산소 캡슐(30)과 캡슐지지부(15)의 입구 사이에 틈새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 또한 틈새를 최소화하여 산소의 소실을 막기 위한 것이다. 강력한 밀봉을 위하여 캡슐지지부(15)의 경사면(16)에 밀봉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누름캡(50)이 산소주입캡(10)의 결합부(12)에 결합된다. 누름캡(50)은 산소주입캡(10)과 협력하여 캡슐수용공간(11)를 차폐한다.
누름캡(50)의 개구부 내측에 결합돌기(60) 두 개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결합돌기(60)는 산소주입캡(10)의 결합부(12)에 형성되는 결합홀(20)을 따라 이동한다.
결합홀(20)은 결합돌기(60)를 통과시키는 홀입구(21), 결합돌기(60)를 수평으로 안내하는 수평홀(22), 수평홀(22)에 있는 결합돌기(60)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홀(2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결합홀(20)을 결합돌기(60)의 개수에 맞추어 두 군데 형성하였다.
결합돌기(60)를 홀입구(21)에 진입시킨 다음 누름캡(50)을 반바퀴 정도 돌리면 결합돌기(60)가 수평홀(22)을 따라 이동하여 수평홀(22)과 수직홀(23)이 연결된 위치에 이른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산소주입캡(10)과 누름캡(50)의 반결합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반결합 상태에서는 결합돌기(60)가 수평홀(22)을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누름캡(50)과 산소주입캡(10)이 분리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캡슐수용공간(11)의 크기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산소 캡슐(30)의 밀봉 상태는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반 결합 상태에서 누름캡(50)의 하단을 누르면 결합돌기(60)가 수직홀(2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며 산소 캡슐(30)이 파열봉(18)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산소 캡슐(30)의 파열부가 파열봉(18)으로 찔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산소 캡슐(30)에 담긴 산소가 파열봉(18) 통로와 주입공(19)을 따라 음료병 내부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캡(50)을 누르는 한 번의 동작으로 산소가 주입되며 산소 주입 완료에 1초 정도 시간밖에 걸리지 않으므로 순식간에 주입이 끝난다. 누름캡(50)이 산소 캡슐(30)에 가하는 순간적인 압력으로 산소 캡슐(30)이 파열되므로 산소 소실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한편, 도 3에 보이듯이 누름캡(50)의 내부 하단에는 누름판(55)이 탄성체(5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누름판(55)은 산소 캡슐(30)의 뒤쪽을 지지하며 산소 주입시에 산소 캡슐(30)의 뒤쪽을 밀어 산소 캡슐(30)과 캡슐지지부(16)의 밀착상태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누름판(55)이 산소 캡슐(30)을 밀어주는 힘은 상기 탄성체(58)의 복원력에서 온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58)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되었다. 탄성체(58)의 고정을 위해 누름판(55)의 저면과 누름캡(50)에 탄성체 안착홈(56, 59)이 형성된다.
누름캡(50)의 내면을 둘러 걸림턱(53)이 돌출된다. 걸림턱(53)은 누름판(55)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누름판(55)의 빠짐을 막는다.
누름판(55)의 상면에 캡슐지지돌기(57)가 환형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캡슐지지돌기(57)는 산소 캡슐(30)의 후단 측면을 지지하여 산소 캡슐(30)의 이탈과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산소 캡슐(30)이 전진할 때 직진성을 가지도록 돕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의 동작 과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산소주입캡(10), 누름캡(50)이 분리된 채로 산소 캡슐(30)과 함께 제공된다. 산소주입캡(10)과 누름캡(50)은 반복 사용할 수 있어 한 개씩 제공되고 산소 캡슐(30)은 일회성이라 여러개가 세트로 구성된다.
먼저 음료수를 음용하기 직전에 음료용기(70)의 마개를 제거한다. 도 4의 (a)와 같이 산소주입캡(10)을 음료용기(70)의 주입구에 결합시킨다.
그 다음 산소 캡슐(30)을 캡슐수용공간(11) 안에 넣는다. 그리고 누름캡(50)을 산소주입캡(10)과 반 결합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캡(50)과 산소주입캡(10)의 반 결합이란 누름캡(50)의 결합돌기(60)를 산소주입캡(10)의 홀입구(21)에 진입시킨 다음 수평홀(22)을 따라 끝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말한다. 결과적으로 누름캡(50)을 반 바퀴 정도 돌려준다. 이러한 반 결합 상태가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데, 산소주입캡(10)과 누름캡(50)이 분리되지 않으며 내부에 위치한 산소 캡슐(30)의 선단이 캡슐지지부(16) 가까이에 위치하지만 아직 파열봉(18)과 접촉하지는 않는다.
이 상태에서 음료용기(70)를 거꾸로 세워 잡고 테이블에 내려친다. 즉, 누름캡(50)이 테이블에 닿아 눌릴 수 있도록 힘을 가한다. 그러면 누름캡(50)이 눌려서 결합돌기(60)가 수직홀(2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누름판(55)이 산소 캡슐(30)을 밀어 올린다. 동시에 파열봉(18)이 산소 캡슐(30)의 파열부를 찌른다. 이때 산소가 순간적으로 파열봉(18)의 통로와 산소주입캡(10)의 주입공(19)을 통해 음료용기(70)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누름판(55)을 지지하는 탄성체(58)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55)이 산소 캡슐(30)을 계속 밀어준다. 이처럼 누름판(55)이 산소 캡슐(30)에 힘을 가해주므로 산소 주입 시 가스켓(19)과 캡슐지지부(16)의 경사면(16) 위치에서 산소 캡슐(30)과의 밀착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산소 캡슐(30)과 경사면(16) 사이, 산소 캡슐(30)과 가스켓(17) 사이에서의 산소 유실을 막는다.
산소 주입 완료까지는 약1~2초 가량 걸린다. 산소 주입이 완료되면 누름캡(50)을 눌렀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도 4의 (c)의 상태로 돌아간다. 즉, 누름판(55)이 원위치로 돌아가고 수직홀(23)의 상부 끝에 위치했던 결합돌기(60)가 수직홀(23)의 아래쪽으로 돌아와 다시 산소주입캡(10)과 누름캡(50)의 반결합상태가 된다. 이후 음료용기(70)를 바로 세우고 산소주입캡(10)을 분리한 다음 음료를 마시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산소 캡슐이 순간적으로 파열되도록 구성되었고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누름판이 산소 캡슐과 산소주입캡의 밀착을 잘 유지하며 산소 캡슐의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그리하여 산소 주입 과정에서 산소의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 주입을 위해 누름캡을 누르는 한가지 방법으로 음료용기를 거꾸로 세워 누름캡을 테이블에 내려칠 수 있으므로 사용자나 그 과정을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흥미와 재미를 느끼게 해준다.
아울러, 산소주입캡과 누름캡이 나사결합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들 구성의 결합을 위해 누름캡을 여러번 돌려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할때 힘이 적게 든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산을 가지는 음료 용기에 나사결합되는 산소주입캡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음료 용기의 주입구와 산소주입캡이 서로 결합되기만 하면 되므로 그 결합 방식을 나사결합에만 한정할 이유는 없다.
산소주입캡과 누름캡의 반결합상태에서 누름캡을 누를 때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과 다르게 음료 용기를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손바닥으로 누름캡을 내리 쳐도 무방할 것이다.
10:

Claims (5)

  1. 상부가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고 내부에 캡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캡슐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파열봉을 구비하고 주입공이 형성되는 산소 주입캡,
    상기 캡슐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고농축 산소를 밀봉된 상태로 함유하는 산소 캡슐,
    상기 산소 주입캡과 결합하여 상기 캡슐 수용공간을 차폐하고, 눌러짐으로써 내부의 산소 캡슐을 파열봉에 찔리게 하는 누름캡을 포함하여,
    상기 파열봉이 상기 산소 캡슐을 찌르면 파열봉과 주입공을 통해 산소가 음료 용기 내부로 주입되는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주입캡의 하부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홀 입구, 상기 홀 입구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홀, 상기 수평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홀을 포함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캡의 내측에 상기 결합홀을 지나가는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캡의 내부 하부에는 상기 산소 캡슐을 밀어주는 누름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누름판은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파열봉을 가운데 두고 하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산소 캡슐의 상부가 삽입되는 캡슐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캡슐지지부의 내부에 상기 파열봉과 상기 산소 캡슐 사이의 밀봉을 도와주는 가스켓이 더 구비되는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끝단에 상기 산소 캡슐의 외주면과 밀착을 위해 경사면이 형성되는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KR1020220067346A 2022-06-02 2022-06-02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KR102527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46A KR102527587B1 (ko) 2022-06-02 2022-06-02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46A KR102527587B1 (ko) 2022-06-02 2022-06-02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319A true KR20220128319A (ko) 2022-09-20
KR102527587B1 KR102527587B1 (ko) 2023-05-02

Family

ID=8344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346A KR102527587B1 (ko) 2022-06-02 2022-06-02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5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744A (ko) * 2014-05-16 2015-11-26 장성진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832367B1 (ko) 2015-12-28 2018-02-26 노예우 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JP2019511948A (ja) * 2016-03-25 2019-05-09 ノ イェ ウNOH, Ye Woo 酸素混合化粧品容器
KR200492756Y1 (ko) * 2019-07-24 2020-12-04 노예우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102300511B1 (ko) * 2020-06-11 2021-09-08 최용남 수소수 미스트 방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744A (ko) * 2014-05-16 2015-11-26 장성진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832367B1 (ko) 2015-12-28 2018-02-26 노예우 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JP2019511948A (ja) * 2016-03-25 2019-05-09 ノ イェ ウNOH, Ye Woo 酸素混合化粧品容器
KR200492756Y1 (ko) * 2019-07-24 2020-12-04 노예우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102300511B1 (ko) * 2020-06-11 2021-09-08 최용남 수소수 미스트 방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587B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246B1 (ko) 산소 혼합 음료용기
KR101832367B1 (ko) 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JP2004524914A (ja) 注入ペンカートリッジ内で薬品を用意するための横噴出注射器針を含むキット
US20150201794A1 (en) Soda water producing device
US4082123A (en) Carbonating apparatus
JP6741792B2 (ja) 酸素混合化粧品容器
WO1998055073A1 (fr) Dispositif medical comprenant un bouchon de type clapet elastique et une aiguille de perçage
CN108147353A (zh) 流体压力调节器
KR101635318B1 (ko) 병 마개
US9248416B2 (en) Apparatus for the pressurization and evacuation of a container
US20190015797A1 (en) Gas filling system
KR101663361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658742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KR20220128319A (ko) 음료병의 산소주입장치
KR200492756Y1 (ko)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102117004B1 (ko)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US20200087041A1 (en)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KR20170022004A (ko)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JP2019085156A (ja) 飲料水と水素ガスとを充填させたアルミ製の飲料水収納容器あるいはアルミパウチ、及びアルミパウチの生成方法と装置
US10617814B2 (en) Infusion pouch set with built-in injection medicine bottle having vial function
KR200491683Y1 (ko) 사용성이 개선된 음료 압력용기
JP2018154375A (ja) 炭酸飲料サーバ
KR20210088812A (ko) 일체형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2222429B1 (ko) 캡슐을 이용한 음료 제조 장치
KR102120744B1 (ko) 추가 물질이 주입 가능한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