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004A -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 Google Patents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004A
KR20170022004A KR1020150116434A KR20150116434A KR20170022004A KR 20170022004 A KR20170022004 A KR 20170022004A KR 1020150116434 A KR1020150116434 A KR 1020150116434A KR 20150116434 A KR20150116434 A KR 20150116434A KR 20170022004 A KR20170022004 A KR 20170022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ic acid
capsule
beverage bottle
bottl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연
옥윤선
Original Assignee
지연
옥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연, 옥윤선 filed Critical 지연
Priority to KR1020150116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004A/ko
Publication of KR2017002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80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B01F2003/04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음료수 내에 탄산이 떨어질 때 충전하여 마실 수 있게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에 관한 것으로, 음료수병의 바닥부에서 상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캡슐삽입부와, 음료수에 충전될 탄산이 들어있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캡슐삽입부에 삽입되는 탄산캡슐과, 상기 캡슐삽입부에 체결되어서 상기 탄산캡슐이 상기 캡슐삽입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로 구성되어서, 상기 탄산캡슐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캡슐삽입부의 상부에 형성된 탄산주입구를 통해 음료수병의 내부로 탄산이 공급되게 하여 탄산이 충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Portable bottle of carbonated beverage}
본 발명은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게 하는 음료수병으로서 탄산이 떨어지면 탄산을 충전하여 마실 수 있게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에 관한 것이다.
탄산음료는 섭취했을 때의 상쾌한 느낌을 즐기기 위한 음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소비되고 있으며, 예컨대 맥주 등의 알코올 음료나, 콜라, 사이다라고 하는 감미계 음료, 과즙 함유 탄산음료 등 실로 폭넓게 전개되어 있다.
탄산음료는, 탄산 특유의 상쾌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탄산의 자극에 의해 음료의 맛을 향상시킴으로써, 더 맛있게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음료를 마실 때 상쾌감이나 풍미는, 함유하는 탄산의 양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탄산음료 중의 탄산이 감소하게 되면 그 상쾌감을 느끼기 어려워져 음료의 맛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감소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캔이나 페트병 등의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탄산음료를 컵 등에 따라 마시는 경우에, 따른 직후에는 탄산에 의한 상쾌감을 얻을 수 있지만 빠르게 탄산이 상실되어, 상쾌감을 느끼기 어려워져, 맛있게 마실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페트병에 충전되어 있는 탄산음료이면, 한번에 소비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 그 경우 남은 탄산음료 중의 탄산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손실되어 가는 것에 기인하여, 입에 닿는 느낌이나 풍미라고 하는 품질이 변화하기 때문에, 탄산음료로서 맛있게 마실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00705호에서와 같이 "시간 경과에 따른 탄산의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이는 이산화탄소의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 음료용 액체 중에 공급하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에서는 전용 기계가 필요하고, 음료의 제조 공정이 복잡화되는 등,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실1998-0008006호에는 탄산음료 용기의 개구부에 체크밸브 및 압 조절밸브가 설치된 가압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용기 내에 잔여 음료를 보관할 때 탄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산음료 고유의 풍미를 장기간 유지케 할 수 있도록 한 탄산음료 용기의 탄산 보존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탄산보조 장치에 있어서는, 가압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다수 번의 착탈로 인하여 미세한 틈새의 발생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탄산가스의 누출이 쉽게 일어나 음료수 내의 탄산가스를 장시간 보존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겠다.
[선행기술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00705호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실1998-0008006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게 하는 음료수병으로서 탄산이 떨어지면 탄산을 공급/충전하여 마실 수 있게 하되, 탄산을 충전하는 기구가 간편하게 구성되어 있고, 탄산을 충전하는 캡슐을 음료수병과 별도 구비하여 사용시 때마다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수의 음용시 때마다 원래의 탄산 풍미를 그대로 유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음료수 내에 탄산이 떨어질 때 충전하여 마실 수 있게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은, 음료수병의 바닥부에서 상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캡슐삽입부와, 음료수에 충전될 탄산이 들어있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캡슐삽입부에 삽입되는 탄산캡슐과, 상기 캡슐삽입부의 마개입구에 체결되어서 상기 탄산캡슐이 상기 캡슐삽입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로 구성되어서, 상기 탄산캡슐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캡슐삽입부의 상부에 형성된 탄산주입구를 통해 음료수병의 내부로 탄산이 공급되게 하여 탄산이 충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슐삽입부의 탄산주입구는, 상기 탄산캡슐의 하부를 누를 때 배출되는 탄산의 미는 힘을 통해서 개방되는 노즐 형태로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산캡슐이 상기 캡슐삽입부로 삽입될 때 벽부가 압착됨으로써 탄산이 배출되어 상기 탄산주입구를 통해 상기 음료수병의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슐삽입부의 하부는 나사산의 마개가 체결되게 하고, 상기 마개의 체결에 의한 누르는 힘을 통해 상기 탄산캡슐이 위로 압착됨으로써 탄산이 배출되어 음료수병의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개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슐삽입부에 체결된 상기 마개를 누르면 상기 탄산캡슐이 위로 압착됨으로써 탄산이 배출되어 음료수병의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을 이용하게 되면,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게 하는 음료수병으로서 탄산이 떨어지면 탄산을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게 하되,
탄산을 충전하는 기구가 탄산캡슐과 그 캡슐을 삽입하는 삽입구로 간편하게 구성되어 있어 제조 및 사용이 간편하여 어느 누구라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며,
탄산을 충전하는 캡슐을 음료수병과 별도 구비하여 사용시 때마다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산이 음료수병으로부터 새어나온다 하더라도 음료수의 음용시 새로운 탄산캡슐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원래의 탄산 풍미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에 대한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의 마개 체결상태를 보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의 마개 체결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게 하는 음료수병으로서 탄산이 떨어지면 탄산을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게 하되, 탄산을 충전하는 기구가 간편하게 구성되어 있고, 탄산을 충전하는 캡슐을 음료수병과 별도 구비하여 사용시 때마다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수의 음용시 때마다 원래의 탄산 풍미를 그대로 유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삽입부(10), 탄산캡슐(20) 및 마개(30)로 구성된다.
상기 캡슐삽입부(10)는 음료수병(1)의 바닥부에서 상향 내측으로 구비되어서탄산캡슐(20)이 삽입 설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산캡슐(20)은 음료수에 충전될 탄산을 포함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캡슐삽입부(10)에 삽입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 탄산을 배출하여 음료수병(1) 내부의 음료수에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캡슐삽입부(10)에 탄산주입구(11)가 구비되는 데, 그 탄산주입구(11)는 탄산캡슐(20)의 하부를 누를 때 배출되는 탄산의 미는 힘을 통해서 개방되는 노즐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탄산주입구(11)는 탄산캡슐(20)에 의해 탄산이 주입되는 동안에는 개방되어 있다가 탄산이 주입되지 않은 동안에는 폐쇄되어 음료수병(1) 내부에 있는 음료수나 탄산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탄산 음료수병의 탄산 충전은, 탄성재질의 탄산캡슐(20)을 상기 음료수병(1)에 구비된 캡슐삽입부(10)로 삽입 설치하고, 상기 탄산캡슐(20)의 하부를 눌러서 캡슐삽입부(10)의 상부에 형성된 탄산주입구(11)를 통해 음료수병(1)의 내부로 탄산이 공급되게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개(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삽입부(10)의 하부에 형성된 마개입구(12)에 나사산 체결되어서 탄산캡슐(20)을 캡슐삽입부(10)에 장착되게 함과 동시에 탄산캡슐(20)로부터 탄산이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료수병(1) 내부로 탄산이 공급되어 충전되는 형태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들 중 세 가지의 예를 통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방식으로는, 도 3a와 같이 탄산캡슐(20)이 캡슐삽입부(10)로 실린더가 작동하는 것과 같이 삽입되는 미는 힘을 통해서 탄산이 배출되어 탄산주입구(11)를 통해 상기 음료수병(1)의 내부로 공급되는데, 이는 탄성재질의 탄산캡슐(20)이 캡슐삽입부(10)로 삽입될 때 탄산캡슐(20)의 벽부가 캡슐삽입부(10)의 벽부와 마찰하여 눌려짐과 동시에 그 내부에 있는 탄산을 압축하여 탄산주입구(11) 쪽으로 밀어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두 번째 방식으로는, 상기 캡슐삽입부(10)의 하부가 나사산의 마개(30)가 체결되게 하고, 상기 마개(30)의 체결에 의한 누르는 힘을 통해 탄산캡슐(20)이 위로 압착됨으로써 또는 탄산캡슐(20)의 하부가 눌려지면서 탄산을 위로 밀어올려 배출되게 함으로써 음료수병(1)의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 방식으로는, 상기 마개(30)를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캡슐삽입부(10)에 체결된 마개(30)를 누르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탄산캡슐(20)이 위로 압착됨으로써 탄산이 배출되어 음료수병(1)의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의 실시상태를 도 3a 내지 도 3c를 통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탄산 음료수병(1)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료를 음용하는 사용자가, 마시던 음료수의 탄산이 새어나와 맛이 떨어졌다고 생각할 때, 같이 휴대하고 다니는 탄산캡슐(20)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작동과 같이 음료수병(1)의 캡슐삽입부(10)로 삽입하여 설치한다.
상기 캡슐삽입부(10)로 탄산캡슐(20)을 밀어넣은 상태에서 음료수병(1) 내부로 탄산을 공급하거나, 아니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30)를 체결하여 그 때 발생된 누르는 힘을 통해서 탄산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캡슐삽입부(10)로 탄산캡슐(20)을 밀어넣고 마개(30)를 체결한 다음에는, 탄성재질의 마개(30)를 눌러 그 힘에 의해 탄산캡슐(20)이 눌러지게 함으로서 탄산이 공급되게 한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캡슐(20)이 외부의 작용을 통해서 압착되고 그에 의해 내부에 들어있는 탄산이 압축되어 위로 배출됨과 동시에 탄산주입구(11)를 통과하여 음료수병(1) 내부의 음료수로 혼입된다.
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산이 음료수병(1)으로부터 새어나온다 하더라도 음료수의 음용시 새로운 탄산캡슐(2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원래의 탄산 풍미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음료수병
10: 캡슐삽입부 11: 탄산주입구
12: 마개 입구
20: 탄산캡슐
30: 마개

Claims (5)

  1.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음료수 내에 탄산이 떨어질 때 충전하여 마실 수 있게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에 있어서,
    음료수병(1)의 바닥부에서 상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캡슐삽입부(10)와, 음료수에 충전될 탄산이 들어있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캡슐삽입부(10)에 삽입되는 탄산캡슐(20)과, 상기 캡슐삽입부(10)의 마개입구(12)에 체결되어서 상기 탄산캡슐(20)이 상기 캡슐삽입부(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30)로 구성되어서,
    상기 탄산캡슐(20)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캡슐삽입부(10)의 상부에 형성된 탄산주입구(11)를 통해 음료수병(1)의 내부로 탄산이 공급되게 하여 탄산이 충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삽입부(10)의 탄산주입구(11)는, 상기 탄산캡슐(20)의 하부를 누를 때 배출되는 탄산의 미는 힘을 통해서 개방되는 노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산캡슐(20)이 상기 캡슐삽입부(10)로 삽입될 때 벽부가 압착됨으로써 탄산이 배출되어 상기 탄산주입구(11)를 통해 상기 음료수병(1)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삽입부(10)의 하부는 나사산의 마개(30)가 체결되게 하고, 상기 마개(30)의 체결에 의한 누르는 힘을 통해 상기 탄산캡슐(20)이 위로 압착됨으로써 탄산이 배출되어 음료수병(1)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개(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슐삽입부(10)에 체결된 상기 마개(30)를 누르면 상기 탄산캡슐(20)이 위로 압착됨으로써 탄산이 배출되어 음료수병(1)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KR1020150116434A 2015-08-19 2015-08-19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KR20170022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434A KR20170022004A (ko) 2015-08-19 2015-08-19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434A KR20170022004A (ko) 2015-08-19 2015-08-19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004A true KR20170022004A (ko) 2017-03-02

Family

ID=5842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434A KR20170022004A (ko) 2015-08-19 2015-08-19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0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6017A (zh) * 2017-04-14 2018-11-02 岳造宇 可携式气泡水瓶
CN109393970A (zh) * 2017-08-15 2019-03-01 沃拓创意股份有限公司 可携式气泡水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6017A (zh) * 2017-04-14 2018-11-02 岳造宇 可携式气泡水瓶
CN109393970A (zh) * 2017-08-15 2019-03-01 沃拓创意股份有限公司 可携式气泡水瓶
CN109393970B (zh) * 2017-08-15 2021-01-15 沃拓创意股份有限公司 可携式气泡水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69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gas into a bottled fluid
CA1265991A (en) Process for producing carbonated beverages
US20020157970A1 (en) Beverage flavor dispensing cap
JPH107147A (ja) 炭酸飲料容器
EA014514B1 (ru) Емкость, ее применение, камера для добавки и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емкости
WO2015011847A1 (ja) 水素生成器、及び、水素生成容器
US9205387B2 (en) Carbon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KR101635318B1 (ko) 병 마개
KR20170022004A (ko)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JP6309150B1 (ja) 飲料水と水素ガスとを充填させたアルミ製の飲料水収納容器あるいはアルミパウチ、及びアルミパウチの生成方法と装置
KR200285759Y1 (ko) 액체분사용기
KR20100110053A (ko)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KR20120002952A (ko) 산화방지용 용기
KR101434901B1 (ko) 휴대용 탄산수 제조장치
KR20190141354A (ko) 탄산수 제조가 가능한 텀블러
KR20130027722A (ko)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기 캡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101331508B1 (ko) 알콜 및 탄산음료병 마개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100000038A (ko) 병뚜껑 구조
RU2169107C2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сатур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способ ее заправ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ачи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KR20070114423A (ko) 탄산가스 주입수단을 구비한 식품용기
US20210101725A1 (en) Additives Bottle C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