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318B1 - 병 마개 - Google Patents

병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318B1
KR101635318B1 KR1020150050061A KR20150050061A KR101635318B1 KR 101635318 B1 KR101635318 B1 KR 101635318B1 KR 1020150050061 A KR1020150050061 A KR 1020150050061A KR 20150050061 A KR20150050061 A KR 20150050061A KR 101635318 B1 KR101635318 B1 KR 101635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ttle
balloon
inlet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2015005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318B1/ko
Priority to PCT/KR2016/003048 priority patent/WO201616367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기존의 일반 병 마개 대신에 대체하여 사용하면 병속 음료나 주류를 마시고 남은 잔량을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음료나 주류의 처음 신선한 맛을 그대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병 마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병 마개는,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공기주입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마개 몸체부와, 마개 몸체부의 내부에 공기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부와,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하단에 결합되고 병의 입구단을 통해 병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는 풍선부와,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를 통해 풍선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며, 마개 몸체부가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주입부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밸브부가 공기주입구를 개방하여 공기가 풍선부에 주입되어 풍선부를 팽창시켜서 병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켜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병속 빈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병 마개{BOTTLE CAP}
본 발명은 병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속 음료나 주류를 마시고 남은 잔량을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음료나 주류의 처음 신선한 맛을 그대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병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라, 사이다, 맥주 등과 같은 탄산을 함유한 음료나 주류는 큰 용량의 펫트병, 유리병 등에 담겨져 판매되는데, 이러한 탄산음료나 주류는 공장에서 병속에 빈 공간이 거의 없이 가득 채워지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흔들려도 병속 빈 공간이 협소하므로 병속 액체 상태의 내용물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 가스가 높은 압력 때문에 일정량 이상의 방출이 어려워 처음의 일정한 맛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병 마개를 개봉한 후, 병속 내용물을 일시에 음용하지 않고 일정량을 여러번 나누어 마시고 잔량을 보관하게 되면, 병 마개를 닫아도 병속 액체 상부의 비워진 만큼의 빈 공간으로 액체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 가스가 유출되어 탄산 음료 처음의 맛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여러번 나누어 음용함에 따라 병속 액체 상부의 공간이 커지게 되는데, 이때 액체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가스가 빈 공간의 공기와 접촉하여 장시간 보관시 산화되거나 맛이 변하게 되므로 탄산음료의 특유한 신선한 맛을 느낄 수가 없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6853호(2004.07.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시고 남은 병속 음료나 주류의 빈 공간을 풍선과 같이 부피조절이 가능한 물질로 채워 액체에 용해되어 있던 가스가 빈 공간으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보관시 음료나 주류의 처음 신선한 맛을 그대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병 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는,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공기주입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마개 몸체부; 상기 마개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부;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하단에 결합되고, 병의 입구단을 통해 병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는 풍선부; 및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를 통해 상기 풍선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 몸체부가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주입부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밸브부가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여 공기가 상기 풍선부에 주입되어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켜서 병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켜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공기와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몸체부는 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병의 입구단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몸체부는 하단 외주면에 결속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풍선부의 입구 내주면이 상기 결속돌기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마개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밸브실; 상기 밸브실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로 이동 시 상기 공기주입구를 밀폐하고 하부로 이동 시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밸브 지지부재; 및 상기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몸체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실은 상기 공기주입구의 상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주입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실의 상단에는 상기 공기주입구를 밀폐시 상기 밸브 몸체가 수용되는 단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는 상부로 이동 시 상기 밸브실의 단차홈에 수용되면서 상기 밸브실과 연통되는 상기 공기주입구를 밀폐하고, 하부로 이동시 상기 밸브실의 단차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부는,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주입관; 및 상기 공기주입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반복적인 펌핑 동작을 통해 상기 풍선부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키는 에어펌핑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병 마개는,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로 이동시 상기 풍선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원통형 튜브 형상을 가지며, 상단측에 공기배출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하단측에 공기통로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풍선부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공기배출부를 눌러주면 상기 공기배출부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 몸체를 눌러주어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풍선부의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통로홀을 통과하여 상기 공기배출부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기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아래로 이동시 상기 밸브 몸체를 가압하여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공기배출부의 하단에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공기주입부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배출부의 상단에 삽입연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공기주입부로부터 공기가 주입될 경우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 몸체를 눌러주어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공기주입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풍선부로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키고, 상기 공기주입부로부터 공기 주입이 없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 이동하는 상기 밸브 몸체에 의해 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공기주입구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풍선부 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는,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공기주입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마개 몸체부;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하단에 결합되고, 병의 입구단을 통해 병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는 풍선부; 및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상기 풍선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 몸체부가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주입부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가 상기 풍선부에 주입되어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켜서 병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켜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병 속 빈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공기와의 접촉도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부는,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공기주입관; 및 상기 공기주입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반복적인 펌핑 동작을 통해 상기 풍선부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키고, 상기 공기주입관과의 밀폐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풍선부의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관과의 밀폐체결 해제 부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풍선부를 수축시키는 에어펌핑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는,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유체주입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마개 몸체부; 상기 마개 몸체부의 유체주입구 하단에 결합되고, 병의 입구단을 통해 병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는 풍선부; 및 상기 마개 몸체부의 유체주입구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주입구를 통해 상기 풍선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 몸체부가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유체주입부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면 유체가 상기 풍선부에 주입되어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켜서 병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켜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공기와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주입부는, 상기 마개 몸체부의 유체주입구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유체주입관; 및 상기 유체주입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실린더 내에 유체가 충진되며, 피스톤의 전진 동작을 통해 상기 풍선부의 내부로 유체가 주입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키고, 상기 피스톤의 후진 동작을 통해 상기 풍선부로부터 유체가 빠져나오도록 이동시켜 상기 풍선부를 수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병 마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의 일반 병 마개 대신에 본 발명의 병 마개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큰 용량의 탄산음료 또는 주류를 여러 번 나누어 마시고 남은 잔량을 보관하더라도 탄산음료나 주류, 특유의 청량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둘째, 마시고 남은 병속 음료나 주류의 빈 공간을 풍선과 같이 부피조절이 가능한 물질로 채워서 병속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켜 액체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 가스가 병속 빈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일정량이상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공기와의 접촉 또한 최소화하여 장시간 보관시 병속 액체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탄산음료나, 주류의 처음 신선한 맛을 그대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콜라, 사이다, 맥주 등 탄산 가스를 함유한 음료나 주류 이외에도 탄산 가스를 다량 함유하지 않은 음료나 주류, 예컨대 과일쥬스 또는 와인, 휘발성 알콜을 함유한 위스키 등도 공기와 접촉하여 장시간 보관시 산화되거나 맛이 변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의 제 1 작동 상태(공기주입/풍선팽창)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의 제 2 작동 상태(병마개밀폐/공기배출차단)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의 제 3 작동 상태(공기배출/풍선수축)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병 마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100)는 마개 몸체부(110), 밸브부(120), 풍선부(130), 공기주입부(140) 및 공기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개 몸체부(110)는 콜라, 사이다, 맥주 등과 같은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음료나 주류가 담긴 병(10)의 입구단(11)을 밀폐하도록 결합된다. 마개 몸체부(110)는 병 입구단(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병 입구단(1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형 단면체 형상을 갖는다. 마개 몸체부(110)는 병 입구단(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맞물려 트위트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마개 몸체부(110)의 측면 내주면에 나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산 가스를 다량 함유하지 않은 음료나 주류, 예컨대 과일쥬스 또는 와인, 휘발성 알콜을 함유한 위스키 등과 같은 음료나 주류는 병 내부의 높은 압력이 거의 없어 압력 상승에 의해 병 마개(100)가 분리되지도 않고, 병 또한 유리병일 수 있기 때문에 병 마개(100)가 반드시 트위트식이 아닌 와인의 코르크 마개와 같이 탄성체를 구비하여 병 입구단(11)에 끼워넣는 방식도 가능하다.
마개 몸체부(110)는 공기주입구(113)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공기주입구(113)는 마개 몸체부(110)의 상면 중앙에서 판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마개 몸체부(110)의 하면 중앙까지 일직선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주입구(113)는 상단측이 공기주입부(140)와 연결되고 하단측이 풍선부(130)의 입구와 연결된다.
또한, 마개 몸체부(110)는 하부에 풍선부(130)의 입구가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개 몸체부(110)의 하단부(115) 직경을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 몸체부(110)는 하단 외주면에 결속돌기(116)가 돌출 형성되어 풍선부(130)의 입구 내주면이 결속돌기(116)에 의해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주입에 따른 풍선부(130)의 팽창시 풍선부(130)가 마개 몸체부(1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 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에 결속돌기(116)를 한 개만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풍선부(130)가 마개 몸체부(110)에 결속되는 결속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마개 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에 결속돌기(116)를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마개 몸체부(110)는 내부에 형성되는 밸브실(121)에 밸브 몸체(1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밸브실(12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좌우 한 쌍의 마개 몸체 또는 상하 한 쌍의 마개 몸체로 분리 제작한 후 일체로 서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밸브부(120)는 마개 몸체부(110)의 내부에 공기주입구(113)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밸브부(120)는 밸브실(121), 밸브 몸체(123), 밸브 지지부재(125) 및 탄성부재(1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밸브실(121)은 마개 몸체부(110)의 내부에 공기주입구(113)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밸브실(121)은 공기주입구(113)의 상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공기주입구(1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실(121)의 상단에는 공기주입구(113)를 밀폐시 상부로 이동하는 밸브 몸체(123)가 수용되는 단차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몸체(123)는 밸브실(121)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로 이동 시 공기주입구(113)를 밀폐하고 하부로 이동 시 공기주입구(113)를 개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밸브 몸체(123)는 상부로 이동 시 밸브실(121)의 단차홈(122)에 수용되면서 밸브실(121)과 연통되는 공기주입구(113)를 밀폐하고, 하부로 이동시 밸브실(121)의 단차홈(12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공기주입구(113)를 개방한다. 밸브 몸체(123)는 상단부가 밸브실(121)의 상측과 연통되는 공기주입구(113)에 삽입되어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밸브 몸체(123)의 하단부 측면으로 단차돌기(124)가 돌출 형성되어 밸브 몸체(123)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공기주입구(113)를 밀폐시 밸브실(121)의 단차홈(122)에 수용된다. 또한, 밸브 몸체(123)는 하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후술할 코일스프링의 상단측이 끼워지게 된다.
밸브 지지부재(125)는 밸브 몸체(12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밸브실(121)의 내부에 설치된다. 밸브 지지부재(125)는 밸브실(121)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봉의 양단이 밸브실(121)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밸브 지지부재(125)는 지지봉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지지봉 형태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개방되므로 밸브 지지부재(125)가 설치된 밸브실(121) 내에서 공기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 지지부재(125)의 중앙에는 상부로 고정돌기(126)가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하단측이 고정돌기(126)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27)는 밸브 몸체(123)와 밸브 지지부재(125)의 사이에 설치되어 밸브 몸체(123)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127)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코일스프링의 상단측이 밸브 몸체(123)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고 코일스프링의 하단측이 밸브 지지부재의 고정돌기(126)에 끼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27)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 또는 다양한 형태의 탄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풍선부(130)는 부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연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풍선부(130)는 마개 몸체부(110)의 공기주입구(113) 하단에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풍선부(130)의 입구 내주면이 마개 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돌기(116)에 결속됨으로써, 공기주입에 따른 풍선부(130)의 팽창시 풍선부(130)가 마개 몸체부(1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풍선부(130)는 병(10)의 입구단(11)을 통해 병(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게 된다. 따라서, 풍선부(130)는 병속 액체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 예컨대 실리콘 풍선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의 크기나 음료의 잔량에 따라 풍선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교체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풍선부(130)는 공기주입부(140)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부피가 증가(팽창)하면서 병속 액체의 수위를 올리게 되고, 병속 액체의 수위가 병 입구단(11)을 넘치지 않을 정도로 부풀려져 병속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10)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병속 액체 상부의 공기가 병(10) 밖으로 배출됨에 따라 병속 빈 공간의 공기 부피는 작아지게 되므로 액체에 함유된 탄산가스는 공기와 접촉이 최소화되어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풍선부(130)는 후술할 공기배출부(150)를 통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부피가 감소(수축)하면서 병속 액체의 수위를 낮추게 되고, 부피가 축소된 풍선부(130)를 병(10) 입구 밖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공기주입부(140)는 마개 몸체부(110)의 공기주입구(113)를 통해 풍선부(13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공기주입부(140)는 공기주입구(113)의 상단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반복적인 펌핑 동작을 통해 풍선부(13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고, 풍선부(130)에 공기 주입이 완료되면 공기주입구(113)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마개 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공기주입부(140)는 공기주입관(141) 및 에어펌핑기(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주입관(141)은 튜브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주입관(141)의 선단은 마개 몸체부(110)의 공기주입구(113) 상단에 삽입되고, 공기주입관(141)의 후단은 에어펌핑기(143)에 결합된다.
에어펌핑기(143)는 공기주입관(141)의 후단에 체결되며, 피스톤실린더의 팽창 및 수축의 반복적인 펌핑 동작시 공기가 일방향으로 계속 공급되어 풍선부(130)에 공기 주입만 가능하다. 이는 에어펌핑기(143)가 수축될 경우 에어펌핑기(143)의 공기흡입구(미도시)는 밀폐되고 공기배출구(미도시)는 개방되어 에어펌핑기(143)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구를 통해 풍선부(130)의 내부에 주입되어 풍선부(130)를 팽창시키고, 수축된 에어펌핑기(143)가 다시 팽창될 경우 공기배출구는 밀폐되어 풍선부(130) 내의 공기가 에어펌핑기(143) 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공기흡입구는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공기흡입구를 통해 에어펌핑기(143) 내로 흡입됨으로써, 에어펌핑기(143)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적인 펌핑 동작시 공기가 풍선부(130)에 계속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펌핑기(143)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피스톤실린더 형태의 에어펌핑기(143)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제 2 실시예의 에어튜브구 형태의 에어펌핑기(233, 도 5 참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배출부(150)는 마개 몸체부(110)의 공기주입구(113)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로 이동시 풍선부(13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공기배출부(150)는 원통형 튜브 형상을 가지며, 상단측에 공기배출홀(15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하단측에 공기통로홀(15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공기배출부(150)는 풍선부(13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경우 공기배출부(150)를 눌러주면 공기배출부(150)가 공기주입구(113) 내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밸브실(121) 내의 밸브 몸체(123)를 눌러주어 밸브실(121)과 연결되는 공기주입구(113)를 개방하게 되고 풍선부(130)의 내부 공기가 공기주입구(113)를 통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공기통로홀(153)을 통과하여 공기배출부(15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배출홀(151)을 통해 배출된다.
공기배출부(150)는 상단 개방구에 공기주입관(141)의 선단에 구비된 삽입연결단(142)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부(150)는 아래로 이동시 밸브 몸체(123)를 가압하여 아래로 눌러줄 수 있도록 공기배출부(150)의 하단에 가압돌기(15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배출부(150)는 공기주입부(140)로부터 공기가 주입될 경우 공기배출홀(151)은 삽입연결단(142)에 의해 막히고, 아래로 이동하면서 밸브 몸체(123)를 눌러주어 공기주입구(113)를 개방함으로써 공기주입부(1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풍선부(130)로 주입되도록 하여 풍선부(130)를 팽창시킨다. 또한, 공기주입부(140)로부터 공기 주입이 없을 경우 탄성부재(127)에 의해 상향 이동하는 밸브 몸체(123)에 의해 위로 이동하면서 밸브 몸체(123)가 공기주입구(113)를 밀폐함으로써 풍선부(130) 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의 작동 상태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의 제 1 작동 상태(공기주입/풍선팽창)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기존의 일반 병 마개를 열고 병속 액체 내용물, 예컨대 콜라, 사이다, 맥주 등 탄산음료 또는 주류를 일시에 음용하지 않고 여러번 나누어 마시고 남은 잔량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존 병 마개 대신 본 발명의 병 마개(100)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 몸체부(110)를 병 입구단(11)에 꽂고 병 마개(100)를 밀폐하기 전에 공기주입부(140)의 에어펌핑기(143)를 펌핑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압에 의해 밸브 몸체(123)가 아래로 이동하여 공기주입구(113)를 개방하거나 공기주입관(141)을 통해 에어펌핑기(143)와 연결된 공기배출부(150)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밸브 몸체(123)를 눌러주어 공기주입구(113)를 개방함으로써 공기주입부(1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풍선부(130)의 내부에 주입되어 풍선부(130)가 팽창하게 된다. 이때, 병속 액체의 수위가 병 입구단(11)을 넘치지 않을 정도로 풍선부(130)를 부풀려서 병속의 빈 공간을 채워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10)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병속 빈 공간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하고 공기와 접촉도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의 제 2 작동 상태(병마개밀폐/공기배출차단)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속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10) 밖으로 배출시킨 상태에서, 에어펌핑기(143)를 마개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하고 병 마개(100)를 돌려 병 입구단(11)을 완전히 밀폐한 후 보관한다. 또는, 병 마개(100)를 돌려 병 입구단(11)을 완전히 밀폐한 후 에어펌핑기(143)를 마개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에어펌핑기(143)의 펌핑을 멈추어 풍선부(130)에 공기 주입을 중지시키면, 공기주입구(113)에 가해지는 공기압이 해제되어 밸브실(121) 내에서 밸브 몸체(123)가 탄성부재(127)에 의해 상향 이동하게 된다. 탄성부재(127)에 의해 상향 이동하는 밸브 몸체(123)는 밸브실(121)의 상측과 연통되는 공기주입구(113)를 밀폐함으로써 풍선부(130) 내의 공기 배출이 차단된다. 이렇게 부피가 팽창된 풍선부(130) 내의 공기 배출을 차단한 상태에서 병 마개(100)로 병 입구단(11)을 완전히 밀폐하여 병속의 잔량 액체를 보관한다.
따라서, 병(10)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10) 밖으로 배출시켜 병속 액체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 가스가 병속 빈 공간으로의 유출을 막고, 공기와의 접촉도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보관시 병속 액체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탄산음료나 주류의 특유한 신선한 맛을 처음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일반 병 마개 대신에 본 발명의 병 마개(100)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큰 용량의 탄산음료 또는 주류를 여러번 나누어 마시고 남은 잔량을 보관하더라도 탄산음료나 주류의 처음 신선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콜라, 사이다, 맥주 등 탄산 가스를 함유한 음료나 주류 이외에도 탄산 가스를 다량 함유하지 않은 음료나 주류, 예컨대 과일쥬스 또는 와인, 휘발성 알콜을 함유한 위스키 등도 공기와 접촉하여 장시간 보관시 산화되거나 맛이 변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의 제 3 작동 상태(공기배출/풍선수축)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속에 보관 중인 액체, 예컨대 음료 또는 주류를 다시 음용하고자 할 경우, 병 마개(100)에 설치된 공기배출부(150)를 눌러주면, 공기배출부(150)의 하단 가압돌기(155)가 밸브 몸체(123)를 아래로 눌러주어 밸브실(121)의 상측과 연통되는 공기주입구(113)를 개방하게 된다. 팽창된 풍선부(130) 내부의 공기는 개방된 공기주입구(113)를 통해 공기배출부(150)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배출홀(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풍선부(130)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수축되어 병 입구단(11)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풍선부(130)를 축소시킨 상태에서 병 마개(100)를 오픈방향으로 돌려 병 입구단(11)으로부터 분리한 후 병속 음료 또는 주류를 음용할 수 있다. 또는, 밀폐된 병 마개(100)를 오픈방향으로 돌려서 병속에 보관 중인 음료나 주류에서 유출된 탄산가스를 먼저 배출시키고 병 마개(100)의 공기배출부(150)를 눌러서 풍선부(13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병 마개(100)를 병 입구단(11)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병 마개(100)를 오픈하는 순서는 팽창된 풍선부(130)의 내부 공기를 먼저 배출하는 것이 압력에 의해 병속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존의 일반 병 마개 대신에 본 발명의 병 마개(100)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큰 용량의 탄산음료 또는 주류를 여러번 나누어 마시고 남은 잔량을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탄산음료 특유의 신선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200)는 마개 몸체부(210), 풍선부(220) 및 공기주입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개 몸체부(210)는 콜라, 사이다, 맥주 등과 같은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음료나 주류가 담긴 병(10)의 입구단(11)을 밀폐하도록 결합된다. 마개 몸체부(210)는 병 입구단(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병 입구단(1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형 단면체 형상을 갖는다. 마개 몸체부(210)는 병 입구단(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맞물려 트위트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마개 몸체부(210)의 측면 내주면에 나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산 가스를 다량 함유하지 않은 음료나 주류, 예컨대 과일쥬스 또는 와인, 휘발성 알콜을 함유한 위스키 등과 같은 음료나 주류는 병 내부의 높은 압력이 거의 없어 압력 상승에 의해 병 마개(200)가 분리되지도 않고, 병 또한 유리병일 수 있기 때문에 병 마개(200)가 반드시 트위트식이 아닌 와인의 코르크 마개와 같이 탄성체를 구비하여 병 입구단(211)에 끼워넣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마개 몸체부(210)는 공기주입구(213)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공기주입구(213)는 마개 몸체부(210)의 상면 중앙에서 판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마개 몸체부(210)의 하면 중앙까지 일직선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주입구(213)는 상단측이 공기주입부(230)와 연결되고 하단측이 풍선부(220)의 입구와 연결된다.
또한, 마개 몸체부(210)는 하부에 풍선부(220)의 입구가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개 몸체부(210)의 하단부(215) 직경을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 몸체부(210)는 하단 외주면에 결속돌기(216)가 돌출 형성되어 풍선부(220)의 입구 내주면이 결속돌기(216)에 의해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주입에 따른 풍선부(220)의 팽창시 풍선부(220)가 마개 몸체부(2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풍선부(220)는 마개 몸체부(210)의 공기주입구(213) 하단에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풍선부(220)의 입구 내주면이 마개 몸체부(21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돌기(216)에 결속됨으로써, 공기주입에 따른 풍선부(220)의 팽창시 풍선부(220)가 마개 몸체부(2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풍선부(220)는 병 입구단(11)을 통해 병(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게 된다. 따라서, 풍선부(220)는 병속 액체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 예컨대 실리콘 풍선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선부(220)는 후술할 공기주입부(230)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부피가 증가(팽창)하면서 병속 액체의 수위를 올리게 되고, 병속 액체의 수위가 병 입구단(11)을 넘치지 않을 정도로 풍선부(220)를 부풀려져 병속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병속 액체 상부의 공기가 병 밖으로 배출됨에 따라 병속 빈 공간의 부피는 작아지게 되므로 액체에 함유된 탄산가스는 빈 공간의 압력이 높아져 유출이 최소화되고, 공기와의 접촉도 최소화되어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풍선부(220)는 후술할 에어펌핑기(233)와 공기주입관(231)의 체결 해제를 통해 풍선부(22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부피가 감소(수축)하면서 병속 액체의 수위를 낮추게 되고, 부피가 축소된 풍선부(220)를 병 입구 밖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공기주입부(230)는 마개 몸체부(210)에 일체로 결합되며, 마개 몸체부(210)의 공기주입구(213)를 통해 풍선부(22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공기주입부(230)는 공기주입관(231) 및 에어펌핑기(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주입관(231)은 튜브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주입관(231)의 선단은 마개 몸체부(210)의 공기주입구(213)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공기주입관(231)의 후단은 에어펌핑기(233)에 결합된다.
에어펌핑기(233)는 내부에 에어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흡입구(미도시)와 타측에 공기배출구(미도시)가 각각 형성되며, 에어튜브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적인 펌핑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형 또는 반구형의 에어튜브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펌핑기(233)는 공기주입관(231)의 후단에 공기배출구가 연결되며, 팽창과 수축의 반복적인 펌핑 동작을 통해 풍선부(220)에 공기를 주입하여 풍선부(220)를 팽창시킨다. 에어펌핑기(233)는 팽창과 수축의 반복적인 펌핑 동작시 공기가 일방향으로 계속 공급되어 풍선부(220)에 공기 주입만 가능하다. 이는 에어펌핑기(233)가 수축될 경우 에어펌핑기(233)의 공기흡입구는 밀폐되고 공기배출구는 개방되어 에어펌핑기(233)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구를 통해 풍선부(220)의 내부에 주입되고, 수축된 에어펌핑기(233)가 다시 팽창될 경우 공기배출구는 밀폐되어 풍선부(220) 내의 공기가 에어펌핑기(233) 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공기흡입구는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공기흡입구를 통해 에어펌핑기(233) 내로 흡입됨으로써, 에어펌핑기(233)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적인 펌핑 동작시 공기가 풍선부(220)에 계속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에어펌핑기(233)는 공기주입관(231)과의 밀폐체결을 해제하거나 밀폐체결부위를 회전시켜 개방하여 풍선부(220)의 내부 공기가 공기주입관(231)과의 밀폐체결부(232)해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풍선부(220)를 수축시킨다. 이러한 에어펌핑기(233)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에어튜브구 형태의 에어펌핑기(233)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피스톤실린더 형태의 에어펌핑기(143, 도 1 참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2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 몸체부(210)를 병 입구단(11)에 꽂고 병 마개(200)를 밀폐하기 전에 공기주입부(230)의 에어펌핑기(233)를 펌핑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가 풍선부(220)의 내부로 주입되어 풍선부(220)가 팽창하게 된다. 이때, 병속 액체의 수위가 병 입구단(11)을 넘치지 않을 정도로 풍선부(220)를 부풀려서 병속의 빈 공간을 채워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병속 빈 공간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하고 병속 빈 공간의 공기와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병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켜 병속 액체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 가스가 병속 빈 공간으로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보관시 병속 액체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하여 탄산음료나 주류의 특유한 신선한 맛을 처음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병속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킨 상태에서, 병 마개(200)를 돌려 병 입구단(11)을 완전히 밀폐한 후 보관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속에 보관 중인 액체, 예컨대 음료 또는 주류를 다시 음용하고자 할 경우, 에어펌핑기(233)와 공기주입관(231)의 밀폐체결을 해제하거나 밀폐체결부(232)를 회전시켜 개방하면, 풍선부(220)의 내부 공기가 공기주입관(231)과의 밀폐체결부(232)해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풍선부(220)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수축되어 병 입구단(11)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풍선부(220)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병 마개(200)를 오픈방향으로 돌려 병 입구단(11)으로부터 분리한 후 병속 음료 또는 주류를 음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일반 병 마개 대신에 본 발명의 병 마개(200)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큰 용량의 탄산음료 또는 주류를 여러번 나누어 마시고 남은 잔량을 보관하더라도 탄산음료 특유의 신선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300)는 마개 몸체부(310), 풍선부(320) 및 유체주입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개 몸체부(310)는 콜라, 사이다, 맥주 등과 같은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음료나 주류가 담긴 병(10)의 입구단(11)을 밀폐하도록 결합된다. 마개 몸체부(310)는 병 입구단(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병 입구단(1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형 단면체 형상을 갖는다. 마개 몸체부(310)는 병 입구단(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맞물려 트위트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마개 몸체부(310)의 측면 내주면에 나사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산 가스를 다량 함유하지 않은 음료나 주류, 예컨대 과일쥬스 또는 와인, 휘발성 알콜을 함유한 위스키 등과 같은 음료나 주류는 병 내부의 높은 압력이 거의 없어 압력 상승에 의해 병 마개(300)가 분리되지도 않고, 병 또한 유리병일 수 있기 때문에 병 마개(300)가 반드시 트위트식이 아닌 와인의 코르크 마개와 같이 탄성체를 구비하여 병 입구단(11)에 끼워넣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마개 몸체부(310)는 유체주입구(313)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유체주입구(313)는 마개 몸체부(310)의 상면 중앙에서 판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마개 몸체부(310)의 하면 중앙까지 일직선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주입구(313)는 상단측이 유체주입부(330)와 연결되고 하단측이 풍선부(320)의 입구와 연결된다.
또한, 마개 몸체부(310)는 하부에 후술할 풍선부(320)의 입구가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개 몸체부(310)의 하단부 직경을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 몸체부(310)는 하단 외주면에 결속돌기(316)가 돌출 형성되어 풍선부(320)의 입구 내주면이 결속돌기(316)에 의해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주입에 따른 풍선부(320)의 팽창시 풍선부(320)가 마개 몸체부(3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풍선부(320)는 마개 몸체부(310)의 유체주입구(313) 하단에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풍선부(320)의 입구 내주면이 마개 몸체부(31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돌기(316)에 결속됨으로써, 유체주입에 따른 풍선부(320)의 팽창시 풍선부(320)가 마개 몸체부(3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풍선부(320)는 병 입구단(11)을 통해 병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게 된다. 따라서, 풍선부(320)는 병속 액체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 예컨대 실리콘 풍선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선부(320)는 후술할 유체주입부(330)를 통해 유체가 내부로 주입되면, 부피가 증가(팽창)하면서 병속 액체의 수위를 올리게 되고, 병속 액체의 수위가 병 입구단을 넘치지 않을 정도로 부풀려져 병속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병속 액체 상부의 공기가 병 밖으로 배출됨에 따라 병속 빈 공간의 공기 부피는 작아지게 되므로 액체에 함유된 탄산가스는 공기와 접촉이 최소화되어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풍선부(320)는 후술할 유압실린더(333)와 유체주입관(331)의 체결 해제를 통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부피가 감소(수축)하면서 병속 액체의 수위를 낮추게 되고, 부피가 축소된 풍선부(320)를 병 입구 밖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유체주입부(330)는 마개 몸체부(310)에 일체로 결합되며, 마개 몸체부(310)의 유체주입구(313)를 통해 풍선부(320)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유체는 물, 냉각제 등으로서 냉기를 오래 유지하는 액체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체는 액체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체주입부(330)는 유체주입관(331) 및 유압실린더(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체주입관(331)은 튜브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주입관(331)의 선단은 마개 몸체부(310)의 유체주입구(313)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유체주입관(331)의 후단은 유압실린더(333)에 결합된다.
유압실린더(333)는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는 실린더(334)와 실린더(334)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335)으로 이루어진 주사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333)는 유체주입관(331)의 후단에 결합되고, 피스톤(335)의 전진 동작을 통해 풍선부(320)의 내부로 유체가 주입되도록 이동시켜 풍선부(320)를 팽창시키고, 피스톤(335)의 후진 동작을 통해 풍선부(320)로부터 유체가 빠져나오도록 이동시켜 풍선부(320)를 수축시킨다. 즉, 유압실린더(333)는 피스톤(335)의 전진 및 후진 이동시 유체를 매개체로 하여 풍선부(320)를 팽창 및 수축시킬 수 있다. 피스톤이 보관시 전후로 밀리지 않게 고정하는 것과 이러한 유압실린더(333)에 관한 것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병 마개(3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 몸체부(310)를 병 입구단(11)에 꽂고 병 마개(300)를 밀폐하기 전에 유압실린더(333)의 피스톤(335)을 전진시키면 풍선부(320)의 내부로 유체가 주입되어 풍선부(320)를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병속 액체의 수위가 병 입구단(11)을 넘치지 않을 정도로 풍선부(320)를 부풀려서 병속의 빈 공간을 채워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병속 빈 공간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하고 병속 빈 공간의 공기와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병(10)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10) 밖으로 배출시켜 병속 액체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 가스가 병속 빈 공간의 공기와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보관시 병속 액체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탄산음료나 맥주 등 특유의 톡 쏘는 맛을 처음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병속 액체 상부의 빈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10) 밖으로 배출시킨 상태에서, 병 마개(300)를 돌려 병 입구단(11)을 완전히 밀폐한 후 보관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속에 보관 중인 액체, 예컨대 음료 또는 주류를 다시 음용하고자 할 경우, 유압실린더(333)의 피스톤(335)을 후진시키면 풍선부(320) 내부의 유체가 유압실린더(333)쪽으로 이동하면서 풍선부(320)가 수축된다. 이렇게 풍선부(320)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병 마개(300)를 오픈방향으로 돌려 병 입구단(11)으로부터 분리한 후 병속 음료 또는 주류를 음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일반 병 마개 대신에 본 발명의 병 마개(300)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큰 용량의 탄산음료 또는 주류를 여러번 나누어 마시고 남은 잔량을 보관하더라도 탄산음료 특유의 청량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수 있다는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한정적인것이 아닌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200,300 : 병 마개 110,210,310 : 마개 몸체부
120 : 밸브부 121 : 밸브실
123 : 밸브 몸체 125 : 밸브 지지부재
127 : 탄성부재 130,220,320 : 풍선부
140,230 : 공기주입부 141,231 : 공기주입관
143,233 : 에어펌핑기 150 : 공기배출부
231 : 공기주입관 232 :밀폐체결부
330 : 유체주입부 331 : 유체주입관
333: 유압실린더 334 : 실린더
335 : 피스톤

Claims (16)

  1.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공기주입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마개 몸체부;
    상기 마개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부;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하단에 결합되고, 병의 입구단을 통해 병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는 풍선부;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를 통해 상기 풍선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로 이동시 상기 풍선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 몸체부가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주입부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밸브부가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여 공기가 상기 풍선부에 주입되어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켜서 병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켜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빈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몸체부는 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병의 입구단과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몸체부는 하단 외주면에 결속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풍선부의 입구 내주면이 상기 결속돌기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마개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밸브실;
    상기 밸브실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로 이동 시 상기 공기주입구를 밀폐하고 하부로 이동 시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밸브 지지부재; 및
    상기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몸체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병 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은 상기 공기주입구의 상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주입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실의 상단에는 상기 공기주입구를 밀폐시 상기 밸브 몸체가 수용되는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는 상부로 이동 시 상기 밸브실의 단차홈에 수용되면서 상기 밸브실과 연통되는 상기 공기주입구를 밀폐하고, 하부로 이동시 상기 밸브실의 단차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는,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주입관; 및
    상기 공기주입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반복적인 펌핑 동작을 통해 상기 풍선부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키는 에어펌핑기;를 포함하는 병 마개.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원통형 튜브 형상을 가지며, 상단측에 공기배출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하단측에 공기통로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풍선부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공기배출부를 눌러주면 상기 공기배출부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 몸체를 눌러주어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풍선부의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통로홀을 통과하여 상기 공기배출부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기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아래로 이동시 상기 밸브 몸체를 가압하여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공기배출부의 하단에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공기주입부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배출부의 상단에 삽입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공기주입부로부터 공기가 주입될 경우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 몸체를 눌러주어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공기주입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풍선부로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키고, 상기 공기주입부로부터 공기 주입이 없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 이동하는 상기 밸브 몸체에 의해 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공기주입구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풍선부 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13.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공기주입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마개 몸체부;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하단에 결합되고, 병의 입구단을 통해 병의 내부로 삽입되어 병속 액체에 잠겨지는 풍선부; 및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상기 풍선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주입부는,
    상기 마개 몸체부의 공기주입구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공기주입관; 및
    상기 공기주입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반복적인 펌핑 동작을 통해 상기 풍선부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키고, 상기 공기주입관과의 밀폐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풍선부의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관과의 밀폐체결 해제 부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풍선부를 수축시키는 에어펌핑기;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 몸체부가 병의 입구단을 밀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주입부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가 상기 풍선부에 주입되어 상기 풍선부를 팽창시켜서 병 내부의 액체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병 밖으로 배출시켜 액체에 함유된 가스가 병속 빈 공간으로의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마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50061A 2015-04-09 2015-04-09 병 마개 KR10163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61A KR101635318B1 (ko) 2015-04-09 2015-04-09 병 마개
PCT/KR2016/003048 WO2016163672A1 (ko) 2015-04-09 2016-03-25 병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61A KR101635318B1 (ko) 2015-04-09 2015-04-09 병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318B1 true KR101635318B1 (ko) 2016-06-30

Family

ID=5635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061A KR101635318B1 (ko) 2015-04-09 2015-04-09 병 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5318B1 (ko)
WO (1) WO201616367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198A (ko) 2017-01-05 2018-07-16 (주)포에스텍 진공 유지용 마개
KR102109284B1 (ko) 2018-11-30 2020-05-28 박민석 용기 밀폐용 마개
KR20200002590U (ko) * 2019-05-21 2020-12-01 전은숙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WO2023027362A1 (ko) * 2021-08-24 2023-03-02 김학수 와인 보관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9244A (zh) * 2016-12-20 2017-05-31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地质大队(山东省第地质矿产勘查院) 一种地下水溶解气现场取样器
CN110271745B (zh) * 2019-07-25 2024-03-15 珠海市启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分离式饮料保鲜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249A (ja) * 1997-01-31 1998-08-18 Ueda Serbo Kikai Kk 炭酸飲料水収容容器の加圧装置
KR200356853Y1 (ko) 2004-04-26 2004-07-19 임익재 샴페인병 마개 구조
JP2006036277A (ja) * 2004-07-27 2006-02-09 Tomomi Sekihara ボトルに残っている液体の劣化防止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1093610A (ja) * 2009-09-29 2011-05-12 Yuitto:Kk 液体保持容器および液体供給装置
JP2013056685A (ja) * 2011-09-08 2013-03-28 Koji Terabayashi 容器の保存用蓋を用いた液体の保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24B1 (ko) * 2010-06-03 2012-03-07 조휘성 병 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249A (ja) * 1997-01-31 1998-08-18 Ueda Serbo Kikai Kk 炭酸飲料水収容容器の加圧装置
KR200356853Y1 (ko) 2004-04-26 2004-07-19 임익재 샴페인병 마개 구조
JP2006036277A (ja) * 2004-07-27 2006-02-09 Tomomi Sekihara ボトルに残っている液体の劣化防止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1093610A (ja) * 2009-09-29 2011-05-12 Yuitto:Kk 液体保持容器および液体供給装置
JP2013056685A (ja) * 2011-09-08 2013-03-28 Koji Terabayashi 容器の保存用蓋を用いた液体の保存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198A (ko) 2017-01-05 2018-07-16 (주)포에스텍 진공 유지용 마개
KR102109284B1 (ko) 2018-11-30 2020-05-28 박민석 용기 밀폐용 마개
KR20200002590U (ko) * 2019-05-21 2020-12-01 전은숙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KR200493028Y1 (ko) * 2019-05-21 2021-01-20 전은숙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WO2023027362A1 (ko) * 2021-08-24 2023-03-02 김학수 와인 보관 용기
KR20230029231A (ko) * 2021-08-24 2023-03-03 김학수 와인 보관 용기
KR102555920B1 (ko) * 2021-08-24 2023-07-17 김학수 와인 보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3672A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318B1 (ko) 병 마개
US7395949B2 (en) Volumetric displacement dispenser
US102330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wine and other perishable substances
US92728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wine and other perishable substances
US20050199652A1 (en) Device to retain carbonation
US10800589B2 (en) Automatic preservative gas replenishing system
CN213736505U (zh) 一种饮品瓶盖及饮料瓶
CN107428519B (zh) 用于将氮引入饮料的方法和系统
US11332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KR101011446B1 (ko) 펌핑 마개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AU2017237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wine and other perishable substances
JP6929092B2 (ja) 炭酸飲料サーバ
US11352192B2 (en) Device for serving by single glasses
AU2020240041B2 (en) Automatic preservative gas replenishing system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KR200313473Y1 (ko) 음료 용기
KR19980019500A (ko) 탄산음료 PET병의 탄산가스 분사식 재투입장치(Apparatus for re-injecting carbonic acid gas into PET bottles)
KR20240037086A (ko)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KR950009393Y1 (ko)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KR20100030478A (ko) 가스 주입기가 구비된 액체저장용기
KR20090009603U (ko) 음료용기의 마개
KR20100012097U (ko) 음료용기의 기체 밀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