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393Y1 -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 Google Patents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393Y1
KR950009393Y1 KR2019930009466U KR930009466U KR950009393Y1 KR 950009393 Y1 KR950009393 Y1 KR 950009393Y1 KR 2019930009466 U KR2019930009466 U KR 2019930009466U KR 930009466 U KR930009466 U KR 930009466U KR 950009393 Y1 KR950009393 Y1 KR 950009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hole
piston
soft drink
com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240U (ko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영 filed Critical 정태영
Priority to KR2019930009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393Y1/ko
Publication of KR950001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제1도는 음료수병이 본 고안에 의한 밀봉구로 밀봉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첵크밸브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음료수병 내부가 본 고안에 의한 밀봉구로 가압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스톤 1a : 피스톤손잡이
1b : 반구형압축구 2 : 실린더형마개
2b : 마개부 2c : 실린더부
3 : 첵크밸브 3a : 화살형두부
3b : 원판형두부 4 : 구멍
5 : 밀폐용팩킹
본 고안은 청량음료수병의 기압식 밀봉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형병에 담겨진 콜라나 사이다와 같은 청량음료수를 일부 마신 다음 다시 보관할 때 병 내부가 가압되는 상태로 밀봉되게 함으로서 청량음료수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병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서 대형병에 담긴 청량음료수를 다 마실때까지 청량음료수의 맛이 항상 재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병밀봉구는 내용물을 일부마신다음 다시 밀봉시켜줄 때 음료수병의 입구를 단순하게 밀봉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밀봉한 후에도 음료수를 마신 만큼 커지게 되는 음료수액면과 병입구 사이의 빈 공간으로 청량음료수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가스가 서서히 빠져나오게 되므로 청량음료수 특유의 톡쏘는 맛을 지속시켜 줄 수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병에 담긴 음료수를 마신 만큼 커지기마련인 음료수액면과 병입구 사이의 빈 공간을 가압시키면서 병입구를 밀봉함으로서 병속에 남아있는 청량음료수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빈 공간속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시켜 줄 수 있는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밀봉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과, 이 피스톤(1)이 끼워지며 대형청량음료수병의 입구 바깥쪽과 나사결합되는 실린더형마개(2)와 첵크밸브(3)로 이루어진 것이다.
피스톤(1)의 상부에는 피스톤손잡이(1a)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1)하단부쪽 저면에는 나중에 설명되는 실린더형마개(2)의 실린더부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크기를 가진 반구형압축구(1b)가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있다.
실린더형마개(2)는 대형청량음료수병의 입구쪽 외주면에 있는 숫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부(2a)를 포함하는마개부(2b)와, 이 마개부(2b)로 부터 대형청량음료수병(6)의 입구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실린더부(2)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린더부(2c)의 막혀진 저벽(2d)중앙에는 구멍(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4)에는 첵크밸브(3)가 결합되어 있다.
체크밸브(3) 탄성이 풍부한 연질합성수지 또는고무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제2도에 잘표현된 바와같이 화살형두부(3a), 원판형하부(3b)와 수직부(3c) 로 이루어져 있다.
화살형두부(3a)와 수직부(3c)는 납작한 단면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구멍(4)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억지끼워 맞춤시켜 주었을때 제1도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화살형두부(3a)는 상기 구멍(4)을 관통하여 실린더형마개(2)의 실린더부(2c)쪽 저벽(2d)에 걸리지면서 원판형하부(3b)를 위로 끌어 당기어 상기 구멍(4)을 폐쇄시켜 줌으로서 병(6)을 밀봉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3도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병(6)을 밀봉시켜주고 있던 실린더형 마개(2)를 열고, 병(6)에 담긴 음료수를 일부 마신 다음 열었던 마개(2)를 도로 닫은후 피스톤(1)을 실린더부(2c)에 끼워 넣고 피스톤 손잡이(1a)를 잡고서 피스톤(1)을 하강시켜면 반구형압축구(1b)에 의해서 압축되는 공기가 첵크밸브(3)의 납작한 화살형두부(3a)와 상기 구멍(4)과 틈새를 유지하면서 끼워져 있는 수직부(3c)와 상기 구명(4)간의 틈새를 통과하여서 구멍(4)의 출구쪽과 밀착된체 구멍(4)을 폐쇄시켜주고 있던 원판형하부(3b)를 아래로 밀면서 병(6)내부로 유입되어서 병(6)내부를 가압시켜 줄 수 있도록되어 있다.
이때 병(6)내부로 유입되는 실린더부(2c)의 압축공기압력(Pl)은 병(6)내부의 압력(P2)보다 크므로, 실린더부(2c)의 압축공기가 병(6)내부로 유입되어서 병(6)내부의 압력을 높여주게 되고, 피스톤(1)을 하강시킨 다음 피스톤손잡이(1a)에서 손을 때면 압축공기를 토출한 후의 실린더부(2c)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진 병(6)내부의 가압된 압력(Ps)에 의해서 구멍(4)을 개방시켜 주었던 원판형하부(3b)가 제1도에 표현된 상태로 즉, 원래의 상태로 펼쳐지면서 구명(4)의 출구쪽과 밀착되어 구멍(4)을 폐쇄시켜주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피스톤(1)의 펌핑횟수는 병(6)에 담긴 음료수를 마신 만큼 커지기 마련인 음료수 액면과 병입구 사이의 빈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서 사용자가 조절하면서 사용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병(6)에 담긴 음료수를 일부 마신 다음 병(6)을 도로 밀봉시킬 때마다 명(6)내부를 가압시킨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병(6) 내부의 빈 공간속으로 청량음료수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가스가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주므로 대형병에 당긴 청량음료수를 다 마실때까지 청량음료수 고유의맛을 항상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나사결합부(2a)를 가진 마개부(2b)로 부터 길게 연장된 실린더부(2c)의 저벽(2d)중앙에 구멍(4)을 형성시킨 실린더형 마개(2)속에 손잡이(1a)와 반구형압축구(1b)를 가진 피스톤(1)을 끼워넣고, 납작한 화살형두부(3a) 및 수직부(3c)와 원판형하부(3b)로 이루어진 연질의 첵크밸브(3)를 실린더형마개(2)의 구멍(4)속에 억지끼워 맞춤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KR2019930009466U 1993-06-02 1993-06-02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KR950009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466U KR950009393Y1 (ko) 1993-06-02 1993-06-02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466U KR950009393Y1 (ko) 1993-06-02 1993-06-02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240U KR950001240U (ko) 1995-01-04
KR950009393Y1 true KR950009393Y1 (ko) 1995-10-25

Family

ID=1935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466U KR950009393Y1 (ko) 1993-06-02 1993-06-02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3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240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US5458165A (en) Gas actuator assembly
US7367479B2 (en) Device to retain carbonation
US53969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gas into a bottled fluid
US4640426A (en) Cap for a carbonated beverage bottle
US5823372A (en) Pump insert for bottle caps
US10882650B2 (en) Carbonation preservation device
US5010928A (en) Repressurizer for carbonated drink containers
US4838324A (en) Beverage container pressurizer
KR101635318B1 (ko) 병 마개
US4899896A (en) Container pressurizing apparatus
KR970009635B1 (ko) 탄산수 병뚜껑
US5396751A (en) Vacuum ejector for home use
US5826748A (en) Closed isobaric dispenser for carbonated liquid
US4842151A (en) Pressurizing closure apparatus for a carbonated beverage bottle
KR950009393Y1 (ko)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JP2911845B2 (ja) 炭酸飲料水収容容器の加圧装置
GB2249084A (en) Closure means allowing venting of a beverage container
US11332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EP0783433B1 (en) Gas actuator assembly
US5282495A (en) Beverage container pressurizing system
CN2450136Y (zh) 保鲜饮料箱
KR20130027722A (ko)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기 캡
KR960007649Y1 (ko)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KR101384032B1 (ko) 탄산가스 누출 방지 장치가 부가된 음료 병의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