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649Y1 -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649Y1
KR960007649Y1 KR2019940009087U KR19940009087U KR960007649Y1 KR 960007649 Y1 KR960007649 Y1 KR 960007649Y1 KR 2019940009087 U KR2019940009087 U KR 2019940009087U KR 19940009087 U KR19940009087 U KR 19940009087U KR 960007649 Y1 KR960007649 Y1 KR 960007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pump
air
bevera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316U (ko
Inventor
김재열
Original Assignee
김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열 filed Critical 김재열
Priority to KR2019940009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649Y1/ko
Publication of KR950030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3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linearly, i.e. without rotation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 캡본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료용기11 : 주입구
100 : 압축마개110 : 캡본체
111 : 장홈120 : 펌프
121 : 누름면122 : 공기유통공
123 : 밸브124 : 압축실
130 : 승강캡131 : 단턱
140 : 차단판141 : 공기공급공
142 : 밸브
본 고안은 청량음료를 마시고 난 다음 잔여분의 음료수를 아무런 맛의 변화없이 음료용기에 그대로 보관하기 위하여 음료용기내에 기압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음료용기의 압축마개에 관한 것으로, 본 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5258)호의 구조를 개량 보완하여 보다 원활한 펌프작용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고, 또한 음료용기의 밀폐력을 높이어 보관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량음료는 음용시 시원한 쾌감을 주는 탄산가스를 내포하고 있기때문에 음료수가 갖는 고유한 맛을 보존하기 위하여 밀폐용기내에 밀봉된 상태로 판매가 되고 있는 것이었으며, 이와같이 음료용기에 내장되는 음료수는 마개를 개봉하고 나면 즉시 음료내에 포함된 탄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탄산가스가 배출되고 나면 음료수는 그 자체가 갖는 독특한 맛이 상실되므로서 음료용기의 마개를 개봉하고 난 후에는 곧바로 음료수를 마셔야만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나, 비교적 음료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마개를 개봉하고 난 후 대부분 곧바로 마시지 못하고 일정시간 보관하였다가 다시 마시게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경우 마시고 난 음료용기내의 잔여분의 음료수를 맛을 그대로 보존한 상태에서 오랜시간동안 보관하기 위하여서는 음료수에 포함된 탄산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음료용기를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보관하여야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대부분 음료용기내의 음료수를 마시고 난 후 잔여분의 음료수는 음료용기 자체 마개를 재차 닫아서 보관하게 되는 것이었으나, 금속 재질의 마개를 병따개를 사용하여 개봉할 경우 금속재질의 마개는 휘어지나, 벌어져 음료용기를 재차 닫아서 장기보관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자체 마개를 닫아 잔여분의 음료를 보관하도록 하였으나, 이 또한 마개와 음료용기의 주입구 사이에 일정 간격의 이격이 생기게 됨으로서 장기간의 보관에 어려움이 있어왔음은 물론, 음료수가 충만되지 않은 음료용기 상부측공간으로 탄산가스가 배출됨으로서, 잔여분의 음료량이 적을수록 청량음료 고유의 맛을 상실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별도의 압축마개가 개발되어져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즉 이러한 음료용기 압축마개를 일예를들어 살펴보면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식으로 착탈되는 캡본체와 이의 캡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펌프식으로 공기를 음료용기내부로 공급시키도록 하는 펌프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개봉된 음료용기를 재차 밀봉하고자 할경우에는 캡본체를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체결한 상태에서 펌프를 펌핑하게 되면 이의 펌핑력으로 외부의 공기가 음료용기내로 즉 음료용기내의 음료수상부측공간부로 공급되어져 상부측공간부내에 배출된 탄산가스를 음료수내로 재차 밀어 넣음과 동시에 탄산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외부의 공기를 음료용기 내부로 강제공급하므로서 음료용기내 상측부공간으로 배출된 탄산가스를 음료수내로 재차 밀어 넣는 효과와 탄산가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기대할 수가 있었으나 펌프가 상, 하진 퇴식으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성이 좋지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고, 또한 펌프가 진퇴되는 운동거리가 길기때문에 음료용기의 취급사용에 불편함이 있었을뿐 아니라 이에따른 작업성도 좋지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원인의 선출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5258)호는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식으로 착탈가능토록 하는 캡본체와 이의 캡본체 상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음료용기 내부로 공급토록 하는 펌프를 구비한 음료용기의 압축마개를 출원한 바 있다.
즉 사용자가 펌프 상면 중앙의 공기유통공을 손가락으로 폐쇄시키면서 펌프를 하향압축하여 펌프 내부 압축실의 공기를 음료용기내로 공급하고, 이와 반대로 손가락을 놓게되면 외부의 공기가 압축실내로 유입되는 작용을 반복하여 음료용기 내부를 압축하도록 하였으나, 펌프의 자체 탄성력이 부족하여 초기 상태로의 복원력이 감소됨으로서 압축실내에 외부 공기의 유입량이 감소되는 문제점과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펌프를 압축할 경우 펌프가 찌그러져 압축실내 공기의 완활한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핑시 펌프 상면 중앙의 공기유통로를 반드시 폐쇄시킨 연후에 펌핑을 행하게됨으로 사용상의 불편을 가져왔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펌프의 상, 하동작을 정확히 유지시키므로서 펌프가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음료용기의 보조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축실내의 공기를 음료용기내로 완활히 공급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식으로 착탈가능토록 하는 캡본체와 이의 캡본체의 상단에 억지끼워진 줄음관형의 펌프, 또한 펌핑시 펌프의 안내 역할을 수행하는 승강캡과 상기 승강캡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캡본체를 구비하여 펌프의 압축시 찌그러지는 현상은 물론,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원할한 펌핑을 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단면하여 보인 구성도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의 압축마개를 표시하고 있고, 또한 보호 10은 본 고안의 압축마개(100)가 체결된 음료용기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음료용기(10)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음료용기로서 그 상단에 주입구(11)가 구비되어 있고 이의 주입구(11)는 외연에는 나사부를 갖추어져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마개(100)는 전술한 음료용기(10)의 주입구(11)에 나사체결되는 캡본체(110)와 이의 캡본체(110) 상부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구비된 펌프(120) 및 상기 펌프(120)의 외부로 구비된 승강캡(130)갖추고 있으며, 펌프(120)내부 상, 하부에는 밸브(130)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본체(110)은 대략 원통형으로 구비하되 음료용기(10)의 상부 주입구(11)에 나사부와 이맞물림 대응되는 너트부를 갖추어 음료용기(10)착탈이 가능토록 구성되며 또한, 외연에는 장홈(130)을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펌프(120)는 탄성력이 좋은 실리콘 재질의 줄음관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하단은 캡본체(110)의 상부내경에 억지끼움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누름면(121)을 구비하되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유통공(122)이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펌핑작용에 따라 공기유통공(122)을 개폐토록하는 밸브(123) 역시 구비된다.
상기 펌프(120)내부는 일정한 공간을 가지므로서 외부공기가 주입되어 음료용기(10)내부로 압축공급되는 압축실(124)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펌프(120)의 내부 하단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차단판(140)을 구비하되 이의 차단판(140)의 중심하방향으로 구비되는 밸브(142)와 상기 차단판(140)의 중심에 근접되게 관통되어 밸브(142)에 의해 개폐되는 공기공급공(141)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펌프(120)의 외부에는 승강캡(130)를 구비하되 승강캡(130)내부 하단에 구비된 단턱(131)은 캡본체(110) 외연 장홈(111)내에 끼워져 펌핑작용시 장홈(111)을 따라 상, 하향동작됨으로서 펌프(120)가 한쪽 방향으로 쏠리거나,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3도는 캡본체(1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외연으로 소정 깊이의 장홈(111)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반대로 캡본체(110)외연 전체에 소정 높이의 턱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제4도는 음료용기(10)상부 주입구(11)에 나사부가 구비되지 않은 음료용기(10')에 보조마개(100)를 구비하기 위한 캡본체(110) 조임수단(1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캡본체(110)외연에 원형의 클램프(151)를 감아 보울트, 너트를 체결함으로 캡본체(110)을 음료용기(10)상부 주입구(1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151)이외에 다른 조임수단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의 제1도는 개봉된 음료용기(10)에 압축마개(100)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펌프(120)의 자체 탄성에 의해 부풀려 있는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펌프(120)상면 누름면(121)중앙부에 구비된 밸브(123)는 내부의 공기압력으로 인하여 공기유통공(122)을 폐쇄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첨부된 도면의 제2도는 사용자는 펌프의 상면 누름면을 손가락으로 누르게되면 펌프(120)는 하향 압축되고 펌프(120)내 압축실(124)의 공기는 압축실(124) 하단에 하향방향으로 구비된 밸브(123)를 밀어내면서 음료용기(10)내부로 강제공급되어 음료용기 상부측공간에 배출된 탄산가스를 음료수내로 재차 밀어넣게 되어 지는 것이다.
이 때에 펌프(120)의 외부로 구비된 승강캡(130)은 캡본체(110)의 외연을 따라 상, 하향동작됨으로서 정확한 펌핑 동작을 행하여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음료용기(10)내로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누름작동한 손가락을 놓게되면 줄음관형의 펌프(120)의 자체 탄성력으로 복귀됨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는 공기유통공(122)을 통해 밸브(123)를 밀어내며 압축실내로 유입되고, 반대로 하단의 밸브(142)는 음료용기(10)내의 기압의 상승에 의해 공기공급공(143)을 폐쇄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음료용기(10)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되어져 음료용기(10)내부의 기압을 상승시키므로서 음료수에 포함된 탄산가스의 유출이 방지함으로 음료수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보완으로 펌프의 복원력 향상되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 승강캡을 구비함으로서 보다 완활한 펌프작용이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개봉된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나사결합시킨 캡본체 상부에 일방향 밸브를 구비하는 펌프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음료용기내에 압축공급토록 하여 기압을 상승시키도록한 압축마개에 있어서, 상단 중심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통공을 개폐토록 하는 밸브를 구비한 줄음관형의 펌프와, 상기 펌프를 감싸며 승강동작과 이완 방지의 단턱이 구비된 승강캡과, 상기 단턱이 승강되도록 외연에 장홈을 구비한 캡본체로 구성된 압축 마개.
KR2019940009087U 1994-04-28 1994-04-28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KR960007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087U KR960007649Y1 (ko) 1994-04-28 1994-04-28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087U KR960007649Y1 (ko) 1994-04-28 1994-04-28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316U KR950030316U (ko) 1995-11-20
KR960007649Y1 true KR960007649Y1 (ko) 1996-09-06

Family

ID=1938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087U KR960007649Y1 (ko) 1994-04-28 1994-04-28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6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597A (ko) * 2001-06-07 2001-09-15 우남균 진공이중마개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316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091A (en) Pressurizing closure apparatus
US4640426A (en) Cap for a carbonated beverage bottle
KR0116509Y1 (ko) 음료수의 맛을 보존하는 공기압축식 뚜껑
MX2007010639A (es) Cerradura de plastico de multiples partes.
KR970009635B1 (ko) 탄산수 병뚜껑
KR960007649Y1 (ko) 음료용기의 압축마개
GB2249084A (en) Closure means allowing venting of a beverage container
US20200087041A1 (en)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KR200367470Y1 (ko) 매니큐어 용기
KR200269865Y1 (ko) 김치통
KR20130027722A (ko)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기 캡
KR101384032B1 (ko) 탄산가스 누출 방지 장치가 부가된 음료 병의 병마개
KR950009393Y1 (ko) 청량음료수병의 가압식 밀봉구
KR20140003156U (ko) 펌핑 기능을 갖는 병마개
KR200277791Y1 (ko) 배출구의 공기차단변을 형성한 튜브용기
CN220765256U (zh) 一种即配型饮用装置
KR102591205B1 (ko) 개선된 압축기체 공급장치
KR200230242Y1 (ko) 컵 겸용 음료용기 뚜껑
AU762234B2 (en) A closure means for sealing a container containing a carbonated liquid
KR200175988Y1 (ko) 액체 용기
KR920003667Y1 (ko) 자동 개폐식 용기 뚜껑
DE9403990U1 (de) Überdrucksicherung
KR900010053Y1 (ko) 공기주입장치가 형성된 용기마개
KR200270814Y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100452119B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