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198A - 진공 유지용 마개 - Google Patents

진공 유지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198A
KR20180081198A KR1020170001867A KR20170001867A KR20180081198A KR 20180081198 A KR20180081198 A KR 20180081198A KR 1020170001867 A KR1020170001867 A KR 1020170001867A KR 20170001867 A KR20170001867 A KR 20170001867A KR 20180081198 A KR20180081198 A KR 2018008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cuum
communication hole
closing me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235B1 (ko
Inventor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주)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17000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2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4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65D51/16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formed by a slit or narrow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결합부와, 돌림조작부와, 승강부 및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상기 돌림조작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용기 내의 진공이 해제되도록 하거나, 용기 내를 진공시키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혹은, 용기 내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등의 선택적인 상태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각 상태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진공 유지용 마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 유지용 마개{bottle cap for vacuum preservation}
본 발명은 용기의 마개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밀폐를 위한 마개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해당 마개의 회전 조작으로써 용기 내의 진공을 위한 작업이나 진공 유지 혹은, 진공 해제를 위한 작업을 위한 각 상태별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각 상태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각종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써, 상기 담는 물건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용기 중 음료나 주류 혹은, 화장품 등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병 종류의 용기는 마개로 그 내부 환경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폐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내용물의 변질을 최대한 지연시켜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용기의 마개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046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942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7722호, 등록특허 제10-1635318호, 등록특허 제10-1616879호, 등록특허 제10-1108079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22163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은 각 종류의 마개에 의해 용기 내부에 대한 다양한 상태로의 유지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전술된 각 종래의 기술 중 등록특허 제10-1108079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221637호의 경우는 용기 내부의 진공 유지나 진공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내용물에 대한 진공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진공 보관을 위한 마개의 기술들은 진공 해제를 위한 조작이 누름 조작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용기의 보관시나 운반시 부주의에 의해 상기 진공 해제를 위한 누름 조작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진공 해제를 위한 누름 조작이 발생되더라도 이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내용물의 변질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진공 해제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인지를 정확히 하지 못하여 진공이 해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진공 상태로 인지하고 보관함에 따라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변질이 발생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046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942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7722호 등록특허 제10-1635318호 등록특허 제10-1616879호 등록특허 제10-1108079호 등록실용신안 제20-221637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밀폐를 위한 마개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해당 마개의 회전 조작으로써 용기 내의 진공을 위한 작업이나 진공 유지 혹은, 진공 해제를 위한 작업을 위한 각 상태별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각 상태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에 따르면 용기의 주둥이 부위에 결합되며, 내측 중앙에는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용기결합부; 상기 용기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림조작부; 상기 돌림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결합부의 연통홀 상부를 승강 이동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통과홀이 관통 형성된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용기결합부의 연통홀에 밀착되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거나 혹은, 연통홀으로부터 이격되어 연통홀을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돌림조작부는 상기 용기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돌림조작부 및 용기결합부에는 서로 간의 상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식이 각각 형성 혹은, 프린팅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결합부는 외측 둘레 부위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의 주둥이 부위를 감싸면서 체결 결합되는 체결단과, 내측 둘레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용기의 주둥이 부위 내부로 수용되는 수용단과, 상기 체결단과 수용단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단과, 상기 수용단의 저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에는 상기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가림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림조작부는 상기 용기결합부에 상하 이동되지 않고 회전만 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돌림조작부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승강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허브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 및 상기 안내허브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면서 맞물리는 나선형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돌림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안내허브 내에서 상기 승강부가 승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구형의 볼(ball)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는 그 내부에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개폐부재의 하측 끝단 일부는 하향 노출되도록 파지하는 파지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용기결합부에 형성되는 연통홀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밀착되도록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밀착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진공 해제 및 진공 잠금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용기 내부의 진공을 위한 작업도 해당 진공 유지용 마개를 결합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는 진공 해제나 진공 잠금 및 진공 작업을 위한 각 상태의 전환이 회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누름 조작에 의한 각 상태로 전환하는 구조에 비해 보관시 원치않게 진공 해제가 이루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는 용기결합부와 돌림조작부에 각 상태별 표시를 위한 표식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용기에 대한 각 상태를 더욱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진공 해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진공 해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 중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진공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진공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진공 유지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진공 유지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가 적용되는 용기(10)는 주둥이를 갖는 병임을 그 예로 하며,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는 상기 병으로 이루어진 용기(10)의 주둥이를 덮어서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마개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진공 해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진공 해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는 크게 용기결합부(100)와, 돌림조작부(200)와, 승강부(300) 및 개폐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상기 돌림조작부(200)의 조작 상태에 따라 용기(10) 내의 진공이 해제되도록 하거나, 용기(10) 내를 진공시키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혹은, 용기(10) 내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등의 선택적인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용기결합부(100)는 용기(10)에 결합되면서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를 덮어서 폐쇄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용기결합부(100)는 체결단(110)과, 수용단(120)과, 연결단(130) 및 가림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단(110)은 용기결합부(100)의 외측 둘레 부위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를 감싸면서 체결 결합되는 원통형의 부위이며, 이때 상기 체결단(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에 형성되는 나선과 대응되게 형성된 나선이 형성되면서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와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용단(120)은 용기결합부(100)의 내측 둘레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 내부로 수용되는 원통형의 부위이며, 이때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는 상기 체결단(110)과 상기 수용단(120) 사이로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단(130)은 상기 체결단(110)과 수용단(120)의 상단을 연결하는 부위이며,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가 과도하게 체결됨을 방지하는 역할도 추가로 수행한다.
특히, 상기 연결단(130)의 상면 중 외측 둘레에는 걸림후크(131)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단(130)의 상면 중 내측 둘레에는 받침돌기(132)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후크(131)는 후술될 돌림조작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고, 상기 받침돌기(132)는 후술될 돌림조작부(200)의 상단 저면을 받쳐주기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 즉, 상기한 걸림후크(131)와 받침돌기(132)로 인해 돌림조작부(200)는 상기 용기결합부(100)에 단순히 회전만 될 뿐 승강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써 후술될 승강부(300) 만이 승강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단(130)의 저면인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의 상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패킹부재(133)가 구비되면서 상기 용기(10)의 주둥이 부위를 기밀하게 밀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림단(140)은 상기 수용단(120)의 저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부위이며, 이때 상기 가림단(140)의 중앙에는 용기(10) 내부의 공간과 연통하기 위한 연통홀(141)이 관통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연통홀(141)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태의 밀착링(150)이 더 구비되어 후술될 개폐부재(400)의 밀착에 따른 연통홀(141)의 폐쇄가 기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돌림조작부(200)는 그의 돌림 조작을 통해 상기 용기결합부(100)의 연통홀(141)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돌림조작부(200)는 상기 용기결합부(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저부로 개방된 캡(cap) 구조로 형성되며, 외측 둘레 부위를 이루는 조작단(210) 및 내측 부위를 이루는 회전단(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작단(210)의 내측 둘레면 및 회전단(220)의 외측 둘레면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단(210)의 외측 둘레벽의 내면에는 상기 용기결합부(100)의 연결단(130) 상면에 형성된 걸림후크(131)에 걸리도록 걸림턱(21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단(130) 상면에 형성되는 받침돌기(132)는 상기 회전단(220)의 저면을 받쳐주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돌림조작부(200)가 용기결합부(100)에 상하 이동되지 않고 회전만 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단(220)의 중앙에는 공기의 유입 및 배기를 위한 진공홀(2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전단(220)의 저면에는 후술될 승강부(300)가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승강부(300)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도록 관체로 이루어진 안내허브(230)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안내허브(230)의 하단은 상기 용기결합부(100)를 이루는 수용단(1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허브(230)의 둘레면에는 오링(231)이 결합되면서 상기 수용단(120)의 내주면과 상기 안내허브(230)의 둘레면 사이로 외부 공기의 유입 혹은, 내부 공기의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림조작부(200) 및 용기결합부(100)에는 서로 간의 상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식(150,241,242,243))이 각각 형성 혹은, 프린팅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표식(150,241,242,243)은 사용자가 현재의 용기 상태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진공 해제상태, 진공 작업상태 및 진공 잠금상태로 구분되며, 상기 용기결합부(100)의 둘레면에는 지시용 표식(150)이 형성되고, 상기 돌림조작부(200)를 이루는 조작단(210)의 상면에는 진공 해제용 표식(241)과, 진공 작업용 표식(242) 및 진공 잠금용 표식(243)이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300)는 돌림조작부(2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후술될 개폐부재(400)를 승강시키면서 용기결합부(100)의 연통홀(141)이 개폐되도록 보조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승강부(300)는 내부로 통과홀(310)이 관통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돌림조작부(200)를 이루는 회전단(220)의 안내허브(23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돌림조작부(220)를 이루는 조작단(2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승강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부(300)의 외주면 및 상기 안내허브(230)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면서 맞물리는 나선형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돌림조작부(2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안내허브(230) 내에서 상기 승강부(300)가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승강부(300)의 통과홀(310) 내주면에는 후술될 개폐부재(400)의 상단을 받쳐주기 위한 복수의 받침턱(320)이 돌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각 받침턱(320)들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각 받침턱(320)들 사이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300)의 승강 이동거리가 상기 돌림조작부(200)의 회전 조작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결합부(100)에 형성된 지시용 표식(150)에 돌림조작부(200)의 진공 해제용 표식(241)이 일치되도록 조작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개폐부재(400)가 용기결합부(100)의 연통홀(141)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을 정도로 승강부(300)가 상향 이동되게 설정하고,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결합부(100)에 형성된 지시용 표식(150)에 돌림조작부(200)의 진공 작업용 표식(242)이 일치되도록 조작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개폐부재(400)가 용기결합부(100)의 연통홀(141)을 자중에 의해서만 접촉될 수 있도록 승강부(300)가 상향 이동되게 설정하며,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결합부(100)에 형성된 지시용 표식(150)에 돌림조작부(200)의 진공 잠금용 표식(243)이 일치되도록 조작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개폐부재(400)가 용기결합부(100)의 연통홀(141)에 완전히 밀착되어 폐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승강부(300)가 하향 이동되게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승강부(30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용기결합부(100)의 연통홀(141)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개폐부재(400)는 상기 승강부(300)의 하향 동작시 상기 연통홀(141)의 밀착링(142)에 밀착되어 상기 연통홀(141)이 폐쇄되도록 하거나 혹은, 승강부(300)의 상향 동작시 상기 연통홀(141)의 밀착링(14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통홀(141)이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개폐부재(400)가 구형의 볼(ball)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300)의 하단에는 그 내부에 상기 개폐부재(400)가 수용되면서도 상기 개폐부재(400)의 하측 끝단 일부는 하향 노출되도록 파지하는 파지링(330)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파지링(330)은 상기 구형의 볼로 형성되는 개폐부재(400)가 상기 승강부(300)의 승강 동작과 함께 상향 및 하향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위로써 내측 저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개폐부재(400)의 하단측 둘레를 받쳐주어 그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면서도 상기 개폐부재(400)의 일부는 저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의 조작 및 이러한 각 조작에 따른 상태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장기간 진공 보관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용기(10) 내에 담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지용 마개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진공 유지용 마개의 상태는 첨부된 도 1 및 도 3과 같은 진공 해제상태나 도 6 및 도 7과 같은 진공 작업상태 혹은, 도 8 및 도 9와 같은 진공 잠금상태 중 어떠한 상태이더라도 관계없다.
그리고, 상기한 진공 유지용 마개를 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10) 내부를 진공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돌림조작부(200)를 회전 조작하여 진공 작업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림조작부(200)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돌림조작부(200)에 형성된 진공 작업용 표식(242)을 용기결합부(100)의 둘레면에 형성된 지시용 표식(150)에 일치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이러한 진공 작업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00)가 그 자중에 의해서만 연통홀(141)의 밀착링(142)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승강부(300)는 그의 통과홀(310)을 통해 제공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400)가 일부 상승 이동될 수 있을 정도만 하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개폐부재(400)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00)의 일부 상승 이동이라 함은 진공흡입력의 제공시 연통홀(141)을 통한 공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진공흡입력의 제공 중단시 해당 개폐부재(400)가 즉각적으로 연통홀(141)을 폐쇄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진공펌프(예컨대, 가정용 핸디형 진공펌프)(도시는 생략됨)를 돌림조작부(200)의 조작단(210)에 형성된 진공홀(221)에 밀착시킨 후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을 통해 용기(10) 내부를 진공화한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이 진공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은 진공홀(221)과 통과홀(310)을 통해 개폐부재(400)가 위치된 공간으로 제공되며, 이로써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진공 흡입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밀착링(142)으로부터 이격되어 연통홀(141)을 개방시키게 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개방된 연통홀(141)과 통과홀(310) 및 진공홀(2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의해 용기(10) 내부가 진공 상태를 이루어 더 이상의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진공펌프의 동작 중단이 이루어진다면 개폐부재(400)는 그의 자중과 상기 연통홀(141)을 통해 역으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밀착링(142)에 밀착되면서 상기 연통홀(141)을 폐쇄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돌림조작부(200)를 회전 조작하여 진공 잠금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림조작부(200)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돌림조작부(200)에 형성된 진공 잠금용 표식(243)을 용기결합부의 둘레면에 형성된 지시용 표식(150)에 일치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이러한 진공 잠금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300)가 진공 작업상태에 비해 더욱 하강 이동된 상태로 개폐부재(400)의 상단을 추가로 하향 가압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개폐부재(400)는 밀착링(142)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결국, 전술된 진공 잠금상태에서는 용기(10) 내부가 원치않게 진공 해제됨이 방지되며, 이로써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진공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된 진공 잠금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취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돌림조작부(200)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돌림조작부(200)에 형성된 진공 해제용 표식(241)을 용기결합부(100)의 둘레면에 형성된 지시용 표식(150)에 일치시킨다.
이로써, 첨부된 도 1과 도 3 및 도 4와 같이 승강부(300)가 돌림조작부(200)의 회전단(220)에 형성된 안내허브(230) 내에서 상승 이동됨과 더불어 이러한 승강부(300)의 상승 이동에 의해 개폐부재(400) 역시 상승 이동되면서 용기결합부(100)의 연통홀(141)을 개방하게 된다.
이로써 진공 유지용 마개가 덮힌 용(10)기 내부에 대한 진공이 해제되며, 이렇게 용기(10) 내부의 진공이 해제됨에 따라 용기결합부(100)를 용기(10)로부터 체결 해제하여 분리하는 작업 역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진공 해제 및 진공 잠금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용기(10) 내부의 진공을 위한 작업도 해당 진공 유지용 마개를 결합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는 진공 해제나 진공 잠금 및 진공 작업을 위한 각 상태의 전환이 회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누름 조작에 의한 각 상태로 전환하는 구조에 비해 보관시 원치않게 진공 해제가 이루어지는 현상 등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진공 유지용 마개는 용기결합부(100)와 돌림조작부(200)에 각 상태별 표시를 위한 표식(150,241,242,243)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용기(10)에 대한 각 상태를 더욱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된다.
10. 용기 100. 용기결합부
110. 체결단 120. 수용단
130. 연결단 131. 걸림후크
132. 받침돌기 133. 패킹부재
140. 가림단 141. 연통홀
142. 밀착링 150. 지시용 표식
200. 돌림조작부 210. 조작단
211. 걸림턱 220. 회전단
221. 진공홀 230. 안내허브
231. 오링 241. 진공 해제용 표식
242. 진공 작업용 표식 243. 진공 잠금용 표식
300. 승강부 310. 통과홀
320. 받침턱 330. 파지링
400. 개폐부재

Claims (5)

  1. 용기의 주둥이 부위에 결합되며, 내측 중앙에는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용기결합부;
    상기 용기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림조작부;
    상기 돌림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결합부의 연통홀 상부를 승강 이동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통과홀이 관통 형성된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용기결합부의 연통홀에 밀착되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거나 혹은, 연통홀으로부터 이격되어 연통홀을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유지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림조작부는 상기 용기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돌림조작부 및 용기결합부에는 서로 간의 상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식이 각각 형성 혹은, 프린팅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유지용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결합부는
    외측 둘레 부위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의 주둥이 부위를 감싸면서 체결 결합되는 체결단과,
    내측 둘레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용기의 주둥이 부위 내부로 수용되는 수용단과,
    상기 체결단과 수용단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단과,
    상기 수용단의 저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에는 상기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가림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유지용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림조작부는 상기 용기결합부에 상하 이동되지 않고 회전만 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돌림조작부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승강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허브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 및 상기 안내허브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면서 맞물리는 나선형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돌림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안내허브 내에서 상기 승강부가 승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유지용 마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구형의 볼(ball)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는 그 내부에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개폐부재의 하측 끝단 일부는 하향 노출되도록 파지하는 파지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용기결합부에 형성되는 연통홀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밀착되도록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밀착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유지용 마개.
KR1020170001867A 2017-01-05 2017-01-05 진공 유지용 마개 KR10192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867A KR101922235B1 (ko) 2017-01-05 2017-01-05 진공 유지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867A KR101922235B1 (ko) 2017-01-05 2017-01-05 진공 유지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198A true KR20180081198A (ko) 2018-07-16
KR101922235B1 KR101922235B1 (ko) 2019-02-21

Family

ID=630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867A KR101922235B1 (ko) 2017-01-05 2017-01-05 진공 유지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460B2 (en) 2015-08-14 2018-10-09 Yeti Coolers, Llc Container with magnetic cap
USD787893S1 (en) 2015-11-20 2017-05-30 Yeti Coolers, Llc Jug
US10959553B2 (en) 2016-10-17 2021-03-30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11034505B2 (en) 2016-10-17 2021-06-15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10959552B2 (en) 2016-10-17 2021-03-30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CN115844231A (zh) 2016-10-17 2023-03-28 野醍冷却器有限责任公司 容器与容器构成方法
USD860716S1 (en) 2017-03-27 2019-09-24 Yeti Coolers, Llc Container lid
USD896572S1 (en) 2018-08-20 2020-09-22 Yeti Coolers, Llc Container lid
USD883737S1 (en) 2018-10-17 2020-05-12 Yeti Coolers, Llc Lid
USD883738S1 (en) 2018-10-17 2020-05-12 Yeti Coolers, Llc Lid
USD871133S1 (en) 2018-10-17 2019-12-31 Yeti Coolers, Llc Lid
USD897151S1 (en) 2018-10-17 2020-09-29 Yeti Coolers, Llc Lid
KR102200699B1 (ko) 2019-07-30 2021-01-12 김홍빈 진공 유지용 덮개 어셈블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081Y1 (ko) * 1993-05-04 1996-08-19 곽춘근 용기덮개용 밸브장치
KR20000030460A (ko) 2000-03-02 2000-06-05 김문록 병마개
KR200221637Y1 (ko) 2000-11-14 2001-04-16 고려알파라인주식회사 병마개
KR20030029425A (ko) 2001-10-08 2003-04-14 고려알파라인(주) 진공보존용 병마개
KR200438978Y1 (ko) * 2006-11-03 2008-03-14 권만현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101108079B1 (ko) 2010-11-24 2012-01-30 구정오 진공 유지 및 해지 장치를 구비한 마개
KR20130027722A (ko) 2011-09-08 2013-03-18 양원동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기 캡
KR101616879B1 (ko) 2014-11-04 2016-04-29 정진옥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KR101635318B1 (ko) 2015-04-09 2016-06-30 이승호 병 마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081Y1 (ko) * 1993-05-04 1996-08-19 곽춘근 용기덮개용 밸브장치
KR20000030460A (ko) 2000-03-02 2000-06-05 김문록 병마개
KR200221637Y1 (ko) 2000-11-14 2001-04-16 고려알파라인주식회사 병마개
KR20030029425A (ko) 2001-10-08 2003-04-14 고려알파라인(주) 진공보존용 병마개
KR200438978Y1 (ko) * 2006-11-03 2008-03-14 권만현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101108079B1 (ko) 2010-11-24 2012-01-30 구정오 진공 유지 및 해지 장치를 구비한 마개
KR20130027722A (ko) 2011-09-08 2013-03-18 양원동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기 캡
KR101616879B1 (ko) 2014-11-04 2016-04-29 정진옥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KR101635318B1 (ko) 2015-04-09 2016-06-30 이승호 병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235B1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235B1 (ko) 진공 유지용 마개
US11045026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CN208485020U (zh) 便携式饮料容器以及与其一起使用的盖组件
US8777040B2 (en) Flask
US20130037540A1 (en) Twist Vacuum-Sealed Container
US8517216B2 (en) Angled spout dispensing device
CA2459477A1 (en) Closure system
RU2431209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RU2013131630A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крышкой и подвижной защелкивающей системой
US11673720B2 (en) Container lid with rotatable sipper and flexible handle
US6431380B1 (en) Child-resistant flip top closure
CA2703183A1 (en) Angled spout dispensing device
EP3498623B1 (en) Vented closure assembly for a spray container
US20150368013A1 (en) Container assembly
KR100613226B1 (ko) 소다수용기의 마개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JP6593926B2 (ja) ねじ込み式連結容器
CN206202872U (zh) 油漆桶
CN218651272U (zh) 一种可单手开盖的咖啡杯
US20190270549A1 (en) Container Having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Lid
CN216569436U (zh) 一种吸管可拆卸的水杯
CN213110555U (zh) 一种花型瓶盖
CN219687944U (zh) 一种危化品提篮
US20220144492A1 (en) Hooked Container
KR200482280Y1 (ko) 텀블러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