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028Y1 -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 Google Patents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028Y1
KR200493028Y1 KR2020190002061U KR20190002061U KR200493028Y1 KR 200493028 Y1 KR200493028 Y1 KR 200493028Y1 KR 2020190002061 U KR2020190002061 U KR 2020190002061U KR 20190002061 U KR20190002061 U KR 20190002061U KR 200493028 Y1 KR200493028 Y1 KR 200493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mask
outlet
cosmetic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90U (ko
Inventor
전은숙
Original Assignee
전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숙 filed Critical 전은숙
Priority to KR2020190002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02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용액이 충진되는 제1 수용부와 마스크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된 파우치를 형성하고, 상기 미용액을 유출시키는 유출부와, 유출된 미용액을 마스크로 공급하는 유입부를 상기 파우치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유출부와 유입부를 연결관으로 연결하므로, 상기 파우치에 구비된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이용하여 미용액과 마스크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미용액을 연결관을 통해 마스크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관의 중앙 부분에는 개폐밸브를 설치 구성하여 연결관을 통해 제2 수용부로 공급되는 미용액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출관으로부터 연결관의 일단을 분리하더라도 미용액이 연결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면서, 그 유출관으로부터 분리된 연결관을 개폐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때문에 마스크로 공급되는 남은 미용액을 피부 등에 용이하게 발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유출부를 이용하여 미용액을 파우치의 내부에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 Packing pouch for mask pack }
본 고안은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용액이 충진되는 제1 수용부와 마스크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된 파우치를 형성하고, 상기 미용액을 유출시키는 유출부와, 유출된 미용액을 마스크로 공급하는 유입부를 상기 파우치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유출부와 유입부를 연결관으로 연결하므로, 상기 파우치에 구비된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이용하여 미용액과 마스크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미용액을 연결관을 통해 마스크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관의 중앙 부분에는 개폐밸브를 설치 구성하여 연결관을 통해 제2 수용부로 공급되는 미용액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출관으로부터 연결관의 일단을 분리하더라도 미용액이 연결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면서, 그 유출관으로부터 분리된 연결관을 개폐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때문에 마스크로 공급되는 남은 미용액을 피부 등에 용이하게 발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유출부를 이용하여 미용액을 파우치의 내부에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이란 피부 미용에 이용되는 화장품으로서, 얼굴 모공 깊숙히 쌓여 있는 피지 내지 노폐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얼굴 등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 팩은 부직포, 미용필름 등을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켜서 마사지할 얼굴 부위에 덮어 씌울 수 있도록 원형이나 얼굴 모양 등의 형태의 마스크를 형성하고, 그 마스크에 피부 노폐물 제거, 주름 제거, 피부 미백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성분을 함침시켜서 제작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마스크 팩은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소재로 형성된 필름의 가장 자리를 열 융합하여 수용 공간이 구비된 파우치를 형성하여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삽입하여 보관하거나 파우치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한다.
도 6과 도 7은 종래의 마스크 팩을 포장할 수 있는 파우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파우치(100)는 도 6과 같이 표면필름과 이면필름을 맞닿은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열 접착하여 수용 공간(120)이 구비되도록 밀페부(111)를 파우치 몸체(110)의 가장자리에 형성한다.
그리고 미용액(S)이 함침된 마스크 팩을 파우치 몸체(110)의 수용 공간(120)에 삽입시켜 보관하거나 파우치 몸체(110)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한다.
이때, 파우치 몸체(110)의 상부에는 도 6과 같이 절취선(130) 형성하여 상기 파우치 몸체(110)의 삽입된 마스크 팩(M)을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절취선(130)을 이용하여 파우치 몸체(110) 상부를 절취시킨 후 수용 공간(120)에 삽입된 마스크 팩(M)을 인출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의 문제점은 마스크(M)에 미용액(S)을 함침시켜 이루어진 마스크 팩을 파우치(100)에 삽입 밀폐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에 포장된 마스크(M)에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기존의 마스크 팩은 미용액(S)을 마스크(M)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파우치(100)의 수용 공간(120)에 넣은 후에 밀봉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을 마스크(M)에 함침시켜 사용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마스크(M)에 과도한 미용액(S)을 함침 시키게 되면, 상기 파우치(100)로부터 마스크 팩을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미용액(S)이 떨어져 의복 등이 오염되거나 또는 과도한 미용액(S)을 마스크(M)에 함침시켜 사용자가에게 공급하므로, 마스크 팩의 생산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이 함침되지 않은 마스크(M)를 파우치(100)에 포장하여 사용자에게 공급시 미용 효과가 미미하며, 이로 인하여 마스크 팩을 사용자가 재 구매를 하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한국등록특허 제 10-1841076 호
한국등록특허 제 10-1038751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미용액이 충진되는 제1 수용부와 마스크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된 파우치를 형성하고, 상기 미용액을 유출시키는 유출부와, 유출된 미용액을 마스크로 공급하는 유입부를 상기 파우치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유출부와 유입부를 연결관으로 연결하므로, 상기 파우치에 구비된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이용하여 미용액과 마스크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미용액을 연결관을 통해 마스크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관의 중앙 부분에는 개폐밸브를 설치 구성하여 연결관을 통해 제2 수용부로 공급되는 미용액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출관으로부터 연결관의 일단을 분리하더라도 미용액이 연결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면서, 그 유출관으로부터 분리된 연결관을 개폐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때문에 마스크로 공급되는 남은 미용액을 피부 등에 용이하게 발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유출부를 이용하여 미용액을 파우치의 내부에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중앙 부분에 구비된 분리부에 의해 미용액이 충진되는 제1 수용부와, 마스크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된 파우치와;
제1 수용부에 충진된 미용액이 유출되도록 파우치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출부와;
유출부로부터 유출된 미용액을 제2 수용부로 유입할 수 있게 파우치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입부와;
유출부와 유입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구성하여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을 이용하여 미용액과 마스크를 분리 보관한 상태에서 유출부와 유입부에 결합 된 연결관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을 마스크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미용액이 충진되는 제1 수용부와 마스크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된 파우치를 형성하고, 상기 미용액을 유출시키는 유출부와, 유출된 미용액을 마스크로 공급하는 유입부를 상기 파우치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유출부와 유입부를 연결관으로 연결하므로, 상기 파우치에 구비된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이용하여 미용액과 마스크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미용액을 연결관을 통해 마스크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관의 중앙 부분에는 개폐밸브를 설치 구성하여 연결관을 통해 제2 수용부로 공급되는 미용액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출관으로부터 연결관의 일단을 분리하더라도 미용액이 연결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면서, 그 유출관으로부터 분리된 연결관을 개폐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때문에 마스크로 공급되는 남은 미용액을 피부 등에 용이하게 발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유출부를 이용하여 미용액을 파우치의 내부에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의 결합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마스크 팩 포장 파우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마스크 팩 포장 파우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중앙 부분에 구비된 분리부(30)에 의해 미용액(S)이 충진되는 제1 수용부(40)와, 마스크(M)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41)가 구비된 파우치(10)와;
제1 수용부(40)에 충진된 미용액(S)이 유출되도록 파우치(1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출부(50)와;
유출부(50)로부터 유출된 미용액(S)을 제2 수용부(41)로 유입할 수 있게 파우치(2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입부(60)와;
유출부(50)와 유입부(60)를 연결하는 연결관(70);으로 구성하여 제1 수용부(40)와 제2 수용부(41)을 이용하여 미용액(S)과 마스크(M)를 분리 보관한 상태에서 유출부(50)와 유입부(60)에 결합 된 연결관(7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을 마스크(M)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부(50)는, 제1 수용부(40)와 연통되게 파우치(1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출관(51)과;
유출관(51)의 하단을 개폐시키는 마감캡(52);으로 구성하고,
유입부(60)는, 제2 수용부(41)와 연통되게 파우치(1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입관(61)과;
유입관(61)의 하단을 개폐시키는 캡(6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관(7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관 몸체(71)의 양측단에는 유출부(50)와 유입관(60) 내측으로 삽입되는 쇄기 모양의 삽입부(72)를 형성하고,
유출부(50)와 유입부(60)의 하단에 밀착되어 미용액(S)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부(73)를 상기 삽입부(72)로부터 이격되게 관 몸체(71)의 외주면에 형성하며,
연결관(7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2 수용부(41)로 공급되는 미용액(S)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밸브(74)를 관 몸체(71) 중앙에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의 단면도이다.
본원 고안은 마스크(M)와 미용액(S)을 하나의 파이치(10)를 이용하여 각각 분리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을 마스크(M)로 공급하여 상기 마스크(M)에 함침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파우치(10)와 상기 파우치(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파우치(10)는 파우치 몸체(20)에 구비된 수용 공간(21)을 분리부(30)로 분리 구획하여 하나의 파우치 몸체(20)에 도 1과 같이 제1 수용부(40)와 제2 수용부(41)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분리부(30)는 파우치 몸체(20)의 중간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열 접착시켜 형성한다.
상기 파우치(10)에 형성된 제1 수용부(40)의 내부에는 마스크(M)에 함침되는 미용액(S)을 충진시켜 보관하고, 제2 수용공간(41)에는 미용액(S)이 함침되는 마스크(M)를 삽입되게 결합한다.
미용액(S)과 마스크(M)가 각각 결합 된 파우치 몸체(20)의 하단에 연결수단을 형성하여, 제1 수용공간(40)에 충진된 미용액(S)이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마스크(M)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수용부(40)의 외면에는 연결수단을 통해 마스크(M)로 공급되는 미용액(S)의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도면 미 도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투명창 또는 표시 눈금으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연결수단은 제1 수용부(40)와 연통되게 파우치 몸체(20)의 하부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출부(50)와, 상기 유출부(50)와 대응되게 파우치 몸체(2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어 유출부(50)를 통해 유출되는 미용액(S)을 제1 수용부(41)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유입부(60)와, 상기 유출부(50)와 유출부(60)를 연결하는 연결관(70)으로 구성하며, 상기 연결관(70)에는 개폐밸브(74)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을 제2 수용부(41)로 공급하도록 한다.
즉, 유출부(50)를 구성하고 있는 유출관(51)은 도 4와 같이 파우치 몸체(20)에 구비된 밀폐부(111)를 관통되게 결합하여 제1 수용부(40)의 내부에 상단이 삽입되게 결합 되는 것이며,
유입부(60)를 구성하고 있는 유입관(61)은 파우치 몸체(20)에 구비된 밀폐부(111)를 관통되게 결합하여 제2 수용부(40)의 내부에 상단에 삽입되게 결합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입관(51)과 유출관(61)은 연질 또는 경질 재질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유출부(50)와 유입부(60)의 끝단에 마감캡(52)(62)을 각각 나사 결합하여 제1 수용부(40)에 충진된 미용액(S)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2 수용부(40)에 삽입 된 마스크(M)로 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입부(50)를 구성하고 있는 유출관(51)은 제1 수용부(40)에 충진된 미용액(S)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제1 수용부(40)의 내부로 미용액(S)을 충진시킬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감캡(52)(62)을 회전시켜 도 2와 같이 유출관(51)과 유입관(61)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삽입부(72)가 상기 유출관(51)과 유입관(61)의 하단을 통해 유입되게 연결관(70)을 유출부(50)와 유입부(60)에 억지로 끼워 결합한다.
상기 연결관(70)은 탄성력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70)의 중간에 설치된 개폐밸브(74)는 관 몸체(71)를 차단한 상태이면서, 유입부(50)와 유출부(60)는 도 5의 (a)와 같이 상부를 향하도록 파우치(10)를 상,하가 뒤집은 상태임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연결관(70)이 유출부(50)와 유입부(60)에 연결되게 결합 되면, 사용자는 유입부(50)와 유출부(60)가 하단을 향하도록 도 5의 (b)와 같이 파우치(10)를 회전한 후에 연결관(70)에 결합 된 개폐밸브(74)를 회전 작동시켜 관 몸체(71)를 개방한다.
상기 개폐밸브(74)가 개방됨과 동시에 제1 수용부(40)의 내부에 충진된 미용액(S)은 파우치(10)에 결합 된 유출관(50)을 통해 연결관(70)으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관(70)으로 공급된 미용액(S)은 파우치(10)에 결합 된 유입부(60)를 통해 제2 수용부(60)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2 수용부(60)에 삽입된 마스크(M)에 함침되는 데, 이때, 미용액(S)이 충진된 제1 수용부(50)에 도 3과 같이 압력을 가해 제2 수용부(41)의 내부로 빠르게 미용액(S)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수용부(41)의 내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이 공급되면, 사용자는 관 몸체(71)를 개방하고 있는 개폐밸브(74)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관(70)을 차단한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미용액이 마스크에 함침되는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는 제2 수용부(41)의 상부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절취선(130)을 이용하여 제2 수용부(41)의 상부를 개방한 후에 마스크 팩을 파우치(10)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미용액(S)이 충진되는 제1 수용부(40)와, 마스크(M)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41)를 하나의 파우치(10)에 형성하여 각각 보관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10)에 결합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이 마스크(M)에 함침되게 제2 수용부(41)의 내부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연결관(70)의 중간에는 관 몸체(71)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74)를 설치하여 제2 수용부(41)로 공급되는 미용액(S)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수용부(40)에 남은 미용액(S)을 연결관(70)을 통해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부(40)와 연결된 유출부(50)를 이용하여 미용액(S)을 파우치(10)의 내부로 유입하기 때문에 상기 미용액(S)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0,100: 파우치, 20,110: 파우치 몸체,
21,120: 수용 공간, 30: 분리부,
40: 제1 수용부, 41: 제2 수용부,
50: 유출부, 51: 유출관,
52: 마감캡, 60: 유입부,
61: 유입관, 62: 마감캡,
70: 연결관, 71: 관 몸체,
72: 삽입부, 73: 유출방지부,
74: 개폐밸브, M: 마스크,
S: 미용액, 111: 밀폐부,
130: 절취선,

Claims (3)

  1. 중앙 부분에 구비된 분리부(30)에 의해 미용액(S)이 충진되는 제1 수용부(40)와, 마스크(M)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41)가 구비된 파우치(10)와;
    제1 수용부(40)에 충진된 미용액(S)이 유출되도록 파우치(1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출부(50)와;
    유출부(50)로부터 유출된 미용액(S)을 제2 수용부(41)로 유입할 수 있게 파우치(2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입부(60)와;
    유출부(50)와 유입부(60)를 연결하는 연결관(70);으로 구성하여 제1 수용부(40)와 제2 수용부(41)을 이용하여 미용액(S)과 마스크(M)를 분리 보관한 상태에서 유출부(50)와 유입부(60)에 결합 된 연결관(7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미용액(S)을 마스크(M)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관(7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관 몸체(71)의 양측단에는 유출부(50)와 유입관(60) 내측으로 삽입되는 쇄기 모양의 삽입부(72)를 형성하고,
    유출부(50)와 유입부(60)의 하단에 밀착되어 미용액(S)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부(73)를 상기 삽입부(72)로부터 이격되게 관 몸체(71)의 외주면에 형성하며,
    연결관(7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2 수용부(41)로 공급되는 미용액(S)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밸브(74)를 관 몸체(71) 중앙에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유출부(50)는, 제1 수용부(40)와 연통되게 파우치(1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출관(51)과;
    유출관(51)의 하단을 개폐시키는 마감캡(52);으로 구성하고,
    유입부(60)는, 제2 수용부(41)와 연통되게 파우치(10)의 하단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유입관(61)과;
    유입관(61)의 하단을 개폐시키는 캡(6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3. 삭제
KR2020190002061U 2019-05-21 2019-05-21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KR200493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61U KR200493028Y1 (ko) 2019-05-21 2019-05-21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61U KR200493028Y1 (ko) 2019-05-21 2019-05-21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90U KR20200002590U (ko) 2020-12-01
KR200493028Y1 true KR200493028Y1 (ko) 2021-01-20

Family

ID=7378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61U KR200493028Y1 (ko) 2019-05-21 2019-05-21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02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18B1 (ko) * 2015-04-09 2016-06-30 이승호 병 마개
US20180344569A1 (en) * 2017-05-31 2018-12-06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18B1 (ko) * 2015-04-09 2016-06-30 이승호 병 마개
US20180344569A1 (en) * 2017-05-31 2018-12-06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90U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064B2 (en)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JP3105199B2 (ja) 空気取込が改良された放出ヘッドならびにこのようなヘッドを備えた収容放出ユニット
JP2005324868A (ja) 物質特に化粧品やケア製品の包装装置
KR101441850B1 (ko) 화장용 퍼프
US20130221037A1 (en) Container for liquid
BR112019028111B1 (pt) Dispositivo para distribuição de um fluido, cartucho para um dispositivo, método de fabricação e método de escorva
TW201532583A (zh) 用於施配可流動材料之施配器
KR101512442B1 (ko) 연질 브러시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0493028Y1 (ko) 마스크팩용 포장 파우치
KR20190017441A (ko) 재사용할 수 있는 캡 형 파우치
KR101289483B1 (ko) 화장품 용기
KR101376439B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KR20180131277A (ko) 다기능 미용팩 세트
JP4003937B2 (ja) 注出容器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TW201731431A (zh) 濕巾包裝體
KR102125080B1 (ko)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US10646019B2 (en) Cosmetic pot comprising a system for pressurizing a product supply container
KR102082345B1 (ko) 고무배출패드에 배출부재가 안착된 콤팩트 용기
KR102123467B1 (ko) 고무덮개가 구비된 액상용 콤팩트용기
KR20220108475A (ko)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KR200350255Y1 (ko) 휴대용 마사지 마스크
KR20050072889A (ko) 휴대용 마사지 마스크
KR102175587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