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850B1 -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850B1
KR101441850B1 KR1020140059564A KR20140059564A KR101441850B1 KR 101441850 B1 KR101441850 B1 KR 101441850B1 KR 1020140059564 A KR1020140059564 A KR 1020140059564A KR 20140059564 A KR20140059564 A KR 20140059564A KR 101441850 B1 KR101441850 B1 KR 10144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puff
unit
cov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욱
Original Assignee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850B1/ko
Priority to PCT/KR2014/004738 priority patent/WO20151785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화장용 퍼프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장용 퍼프는 퍼프베이스와, 상기 퍼프베이스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일부가 관통된 투입구가 형성되며 신축가능한 탄력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투입구가 확장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퍼프커버로 구성된 퍼프본체; 및, 상기 투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퍼프베이스에 공급되는 화장재를 내장한 화장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COSMETIC PUFF}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교체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프는 분말 또는 케익 상의 파우더나 트윈 케익등으 화장품을 묻혀서 인체의 얼굴 부위에 바르면서 화장하는데 사용되며, 퍼프본체와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파우더는 통상적으로 파우더 케이스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퍼프 및 화장재(파우더)가 들어 있는 파우더 케이스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화장재를 퍼프에 묻혀 화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퍼프본체는 라텍스나 우레탄, 후로킹(flocking), PVA(Poly Vinyl Alcohol), 고 등의 소재로 된 수용부재(sponge)의 양면을 퍼프원단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퍼프본체에 일정길이로 재단된 손잡이 리본의 양단부를 재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퍼프 뿐만 아니라 항상 화장재가 들어 있는 케이스를 들고 다녀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181168호,등록특허 1283123호에서 화장재가 들어 있는 별도의 케이스를 들고 다닐 필요 없이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화장용 퍼프를 제안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제조 및 사용자 측면에서 보다 더 개선된 화장용 퍼프에 대한 연구 개발을 계속하였다.
본 발명은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화장재의 수명이 다했을 때, 화장재만을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장용 퍼프는 퍼프베이스와, 상기 퍼프베이스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일부가 관통된 투입구가 형성되며 신축가능한 탄력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투입구가 확장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퍼프커버로 구성된 퍼프본체; 및, 상기 투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퍼프베이스에 공급되는 화장재를 내장한 화장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재는 액상 화장재 또는 분말 화장재인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화장재유닛은, 일면 중앙에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화장재용기; 상기 화장재용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액상 화장재를 함유한 수용부재; 및, 상기 미세공을 막도록 상기 화장재용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밀폐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화장재유닛은, 양단이 상기 화장재용기의 테두리에 결합설치되는 띠 형태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커버의 일측에는 파지부가 돌출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화장재유닛은, 상기 밀폐커버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화장재유닛이 상기 퍼프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당김동작에 의해 상기 밀폐커버를 상기 화장재용기로부터 분리해내게 하는 스트립;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화장재유닛은 상기 미세공이 상기 퍼프베이스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화장재유닛이 상기 퍼프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화장재용기 측면을 감싸 끝단이 상기 투입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커버와 상기 스트립은 연결부가 접혀진 형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화장재유닛은, 일면 중앙에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분말 화장재가 채워진 화장재용기; 및, 상기 미세공을 막도록 상기 화장재용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밀폐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퍼프커버는 상기 투입구가 대칭되게 2개가 이격형성되어, 상기 2개의 투입구 사이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퍼프본체 내에 화장재유닛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화장재유닛의 수명이 다한 경우, 쉽게 화장재유닛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퍼프본체는 퍼프커버가 탄력재질로 구성되고 투입구가 관통형성된 구조로서, 사용자가 투입구를 벌려 화장재유닛을 퍼프본체에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어 화장재유닛의 교체작업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프커버는 관통형성된 2개의 투입구 사이에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서, 별도로 손잡이리본을 설치해야 할 필요도 없으며, 퍼프커버 자체가 화장재유닛의 투입기능과 사용자의 손잡이 파지기능을 동시할 수 있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서 퍼프본체에 화장재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서 퍼프본체와 화장재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장재유닛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장재유닛에서 밀폐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화장재유닛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화장재유닛에서 화장재용기내의 수용부재에 액상화장재를 주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서 퍼프본체에 화장재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서 퍼프본체와 화장재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화장재유닛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화장재유닛의 밀폐커버와 스트립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서 퍼프본체에 화장재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서 퍼프본체와 화장재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서 퍼프본체에 화장재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서 퍼프본체와 화장재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1)를 설명한다.
화장용 퍼프(1)는 퍼프본체(10)와 화장재유닛(20)을 포함한다.
퍼프본체(10)는 퍼프베이스(11)와 퍼프커버(15)로 구성되며, 퍼프베이스(11)와 퍼프커버(15)는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테두리가 결합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퍼프베이스(11)와 퍼프커버(15) 테두리는 초음파융착, 열융착, 접착재, 재봉질 등 어떠한 방식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퍼프베이스(11)는 피부와 접촉되어 화장재를 피부에 도포시켜 주는 것으로 통상의 퍼프 원단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퍼프커버(15)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력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투입구(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입구(16)를 벌려 확장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도 2와 같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화장재유닛(20)은 투입구(16)가 확장된 상태에서 투입구(16)를 통해 퍼프본체(10)의 내부 장착공간에 삽입하여 장착되며, 도 1 및 도 3과 같이, 퍼프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화장재를 퍼프베이스(11)에 배출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화장재유닛(20)은 화장재용기(21), 액상화장재를 함유한 수용부재부재(25), 손잡이부(26), 밀폐커버(27)을 포함한다.
화장재용기(21)는 전면시트(22)와 후면시트(23)의 테두리가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부재(25)가 수용될 공간이 형성된다.
전면시트(22)와 후면시트(23)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이때, 전면시트(22)는 투명재질로 구성되고, 후면시트(23)는 불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면시트(23)는 퍼프커버(15)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화장재용기(21)는 전면시트(22)가 퍼프베이스(11)와 마주하도록 퍼프본체(11) 내부에 장착된다. 전면시트(22)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미세공(24)이 타공 형성되어 있어, 화장재용기(21) 내의 액상화장재가 퍼프베이스(11)에 배출될 수 있다.
전면시트(22)와 후면시트(23)의 테두리는 열융착, 초음파 융착, 접착제로 결합되어, 미세공(24)을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도록 완전 밀폐된다.
수용부재(25)는 다공성의 스펀지형태로 형성되어, 액상화장재가 스며들어 흡수된 상태로 액상화장재를 함유하고 있으며, 화장재용기(21)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화장재용기(21)를 눌러주면 수용부재(25)의 부피가 축소되면서 수용부재(25)가 함유한 액상 화장재가 수용부재(25)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손잡이부(26)는 띠형태로 형성되어 후면시트(23)와 마주하도록 양단이 화장재용기(21)의 테두리에 부착된다. 이때, 손잡이부(26)는 후면시트(23)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26)는 후면시트(23)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화장재용기(21)의 테두리에 융착되어 결합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밀폐커버(27)는 화장용 퍼프의 제품 사용전 미세공(24)을 막아 화장재용기(21)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부재(25)의 액상화장재가 굳거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판 형태로 된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미세공(24)을 막도록 전면시트(22) 중앙에 부착된다. 이때, 밀폐커버(27)는 점착제에 의해 전면시트(22)에 부착되어 쉽게 분리와 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의 화장재유닛(20)은 밀폐커버(27)가 전면시트(22)에 부착된 상태로 제품출시되고, 사용시에 사용자가 밀폐커버(27)를 전면시트(22)로부터 떼내어 미세공(24)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밀폐커버(27)의 일측에는 파지부(27a)가 돌출형성되어, 사용자가 밀폐커버(27)를 떼어낼 때 파지부(27a)를 잡고 밀폐커버(27)를 떼어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화장재유닛(20)의 제작시, 액상 화장재를 함유하지 않은 수용부재(25)를 화장재용기(21)로 감싸 밀폐시키고, 도 7과 같이, 화장재용기(21)의 미세공(24) 형성영역 상에 화장재 인젝션(i)의 니들(n)을 꽂아, 액상화장재를 수용부재(25)에 주입한 후, 미세공(24)을 막도록 밀폐커버(27)를 전면시트(22)에 부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화장재유닛(20)이 퍼프본체(10)와 분리된 상태에서, 화장재유닛(20)의 밀폐커버(27)를 전면시트(22)로부터 떼내 분리한 후, 밀폐커버(27)가 제거된 화장재용기(21)를 퍼프본체(10)의 투입구(16)를 벌려 확장시킨 상태에서 투입구(16)를 통해 퍼프본체(10)의 내부공간에 삽입 장착해 준다. 이때, 전면시트(22)는 퍼프베이스(11)와 마주하여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26)와 후면시트(23)사이에 손을 끼우고, 퍼프베이스(11)를 피부에 대고 눌러주고 두드려주면, 수용부재(25)가 수축되면서 수용부재(25)가 함유한 액상화장재가 수용부재(25)로부터 빠져나와 미세공(24)을 통해 퍼프베이스(11)에 배출공급되어 퍼프베이스(11)에 흡수됨으로써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재(25)가 함유한 액상화장재가 모두 소모되어 화장재유닛(20)의 수명이 끝난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교체용 화장재유닛(20)을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명이 다한 화장재유닛(20)을 투입구(16)를 통해 퍼프본체(10)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투입구(16)를 벌린 다음 교체용 새 화장재유닛(20)을 퍼프본체(10)에 넣고 외력을 제거하면 투입구(16)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화장재유닛(2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는 통상적으로 제품출시시 도 1 및 도 3과 같이 화장재유닛(20)이 퍼프본체(10)에 장착된 상태로 제품이 출시 될 수 있으며, 사용시 화장재유닛(20)을 퍼프본체(10)에서 빼내서, 밀폐커버(27)를 제거한 후, 밀폐커버(27)가 제거된 화장재유닛(20)을 퍼프본체(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는 여분의 교체용 화장재유닛(20) 복수개와 하나의 퍼프본체(10)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해서 제품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화장재유닛이 액상화장재를 사용하는 구성으로서, 액상화장재가 수용부재(25)에 흡수된 상태로 화장재용기(21)에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말 화장재를 사용하는 구성으로서, 수용부재(25) 구성을 삭제하고, 분말화장재가 화장재용기(21)에 직접 채워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밀폐커버(27)를 화장재용기(21)로부터 떼내어 미세공(24)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미세공(24)이 퍼프베이스(11)와 맞닿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화장용 퍼프의 퍼프베이스(11)를 피부에 대고 두드려주면 화장재용기(21) 내의 분말화장재가 미세공(24)을 통해 퍼프베이스(11)에 배출공급되어 퍼프베이스(11)에 흡수됨으로써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퍼프본체(10) 내에 화장재유닛(20)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화장재유닛(20)의 수명이 다한 경우, 쉽게 화장재유닛(2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퍼프본체(10)는 퍼프커버(15)가 탄력재질로 구성되고 투입구(16)가 관통형성된 형태로서, 사용자가 투입구(16)를 벌려 화장재유닛(20)을 퍼프본체(10)에 넣어 보다 쉽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1-1)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의 화장용 퍼프(1)는 밀폐커버(27) 일측에 돌출되게 파지부(27a)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화장재유닛(20)을 퍼프본체(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화장재유닛(20)의 밀폐커버(27)를 전면시트(22)로부터 제거한 후, 화장재유닛(20)을 퍼프본체(1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구성이었으나, 제 2 실시 예의 화장용 퍼프(1-1)는화장재유닛(20)이 퍼프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밀폐커버(27)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재유닛(20)의 밀폐커버(27)의 파지부(27a)를 삭제하고 밀폐커버(27)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밀폐커버 제거용 스트립(28)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삭제한다.
구체적으로, 스트립(28)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길이를 갖는 띠형태로 밀폐커버(27)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스트립(28)은 밀폐커버(27)와의 연결부(A)가 접혀지고, 화장재유닛(20)이 퍼프본체(10)에 장착된 경우, 스트립(28)이 화장재 용기(21)의 측면을 감싸서, 스트립(28)의 끝단부(28a, 도 9참조)가 투입구(16)에 노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화장재유닛(20)이 퍼프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트립(28)의 끝단부(28a)를 잡아당기면, 밀폐커버(27)가 도 12와 같이 스트립(28)에 대해 펴지면서 밀폐커버(27)가 전면시트(22)로부터 떨어지고, 투입구(16)를 통해 빠져나온다.
이처럼, 제 2 실시 예의 화장용 퍼프(1-1)는 밀폐커버(27)의 제거를 위해 화장재유닛(20)이 퍼프본체(10)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이, 화장재유닛(20)이 퍼프본체(10)에 장착되어 출시된 상태에서, 손쉽게 스트립(28)을 잡아당겨 밀폐커버(27)를 제거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1-2)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의 화장용 퍼프(1)는 손잡이부(26)가 화장재유닛(20)의 구성으로서 별도의 부재로, 후면시트(23)에 마주하게 화장재유닛(20)에 설치되는 구성이었으나, 제 3 실시 예의 화장용 퍼프(1-2)는 화장재유닛(20)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퍼프커버(15)의 일부가 손잡이부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의 퍼프커버(15)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력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칭되게 이격된 2개의 투입구(16-1)가 형성되어, 이 2개의 투입구(16-1) 사이에 손잡이부(17)가 형성된다. 화장재유닛(20)은 이 2개의 투입구(16-1) 중 어느 하나가 확장된 상태에서 퍼프본체(10)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1-2)는 퍼프커버(15)에 2개의 투입구(16)가 관통형성되어, 그 투입구 사이(16)에 손잡이부(17)가 형성되는 형태로서, 별도의 손잡이리본을 화장재유닛(20)에 설치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퍼프커버(15)가 화장재유닛(20)의 투입구역할과 함께 손잡이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1-3)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의 화장용 퍼프(1-3)는 제 3 실시 예의 화장용 퍼프(1-2)에 비해, 스트립(28)이 추가된 것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제 4 실시 예의 스트립(28)은 제 2 실시 예의 스트립(28)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 4 실시 예의 화장용 퍼프(1-3)는 제 1 실시 예의 화장용 퍼프(1)에 비해, 화장재유닛(20)에서 손잡이부(26)가 삭제되고, 퍼프커버(15)에 2개의 투입구(16)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 손잡이부(17)가 형성되며, 밀폐커버(27)로부터 연장되게 스트립(28)이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퍼프본체
11...퍼프베이스
15...퍼프커버
16, 16-1...투입구
17...손잡이부
20...화장재유닛
21...화장재용기
22...화장재용기의 전면
23...화장재용기의 후면
24...미세공
25...수용부재
26...손잡이부
27...밀폐커버
28...스트립

Claims (10)

  1. 퍼프베이스와, 상기 퍼프베이스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일부가 관통된 투입구가 형성되며 신축가능한 탄력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투입구가 확장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퍼프커버로 구성된 퍼프본체;
    상기 투입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퍼프베이스에 공급되는 화장재를 내장한 화장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는 액상 화장재 또는 분말 화장재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유닛은 ,
    일면 중앙에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화장재용기;
    상기 화장재용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액상 화장재를 함유한 수용부재; 및,
    상기 미세공을 막도록 상기 화장재용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밀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유닛은,
    양단이 상기 화장재용기의 테두리에 결합설치되는 띠 형태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의 일측에는 파지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유닛은,
    상기 밀폐커버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화장재유닛이 상기 퍼프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당김동작에 의해 상기 밀폐커버를 상기 화장재용기로부터 분리해내게 하는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유닛은 상기 미세공이 상기 퍼프베이스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화장재유닛이 상기 퍼프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화장재용기 측면을 감싸 끝단이 상기 투입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와 상기 스트립은 연결부가 접혀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유닛은,
    일면 중앙에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분말 화장재가 채워진 화장재용기; 및,
    상기 미세공을 막도록 상기 화장재용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밀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커버는 상기 투입구가 대칭되게 2개가 이격형성되어, 상기 2개의 투입구 사이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KR1020140059564A 2014-05-19 2014-05-19 화장용 퍼프 KR10144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564A KR101441850B1 (ko) 2014-05-19 2014-05-19 화장용 퍼프
PCT/KR2014/004738 WO2015178525A1 (ko) 2014-05-19 2014-05-27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564A KR101441850B1 (ko) 2014-05-19 2014-05-19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850B1 true KR101441850B1 (ko) 2014-09-18

Family

ID=5176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564A KR101441850B1 (ko) 2014-05-19 2014-05-19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1850B1 (ko)
WO (1) WO201517852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140A (ko) * 2014-04-24 2015-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화장용 퍼프
KR20160148377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실리콘 퍼프
KR101717957B1 (ko) * 2016-06-12 2017-03-20 뉴프론텍(주) 화장품용 액상 화장료를 내장한 화장품용 퍼프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1757728B1 (ko) 2015-06-16 2017-07-14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KR101795372B1 (ko) * 2017-01-04 2017-11-08 박정규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806904B1 (ko) * 2017-04-10 2017-12-12 (주)영서물산 발포펀칭 하이브리드 쿠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펀칭 하이브리드 쿠션
KR101894591B1 (ko) * 2017-06-19 2018-09-04 주식회사 뉴벨 화장용 퍼프
KR20200124731A (ko) * 2018-03-29 2020-11-03 로레알 파우더 퍼프와 같은 물품
KR102176747B1 (ko) * 2019-06-24 2020-11-0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기능성 화장료의 자가 배출형 퍼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55B1 (ko) * 2018-01-23 2019-12-04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손잡이 리본이 접합된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제조 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퍼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02B1 (ko) 2011-04-05 2012-01-18 배명근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KR101283123B1 (ko) 2012-12-13 2013-07-05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US20130236231A1 (en) 2011-06-13 2013-09-12 Daehyun Industrial Arts Co., Ltd Puff manufacturing method and puff manufactured thereby
KR20140091862A (ko) * 2013-01-14 2014-07-23 양혜지 탈부착 기능을 갖는 화장용 퍼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608A (ja) * 1999-12-02 2001-06-12 Kokeshipafu Kogyo Kk 化粧用パフ
KR200294046Y1 (ko) * 2002-04-29 2002-11-04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화장용 퍼프
KR200306866Y1 (ko) * 2002-09-09 2003-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양면 퍼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02B1 (ko) 2011-04-05 2012-01-18 배명근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US20130236231A1 (en) 2011-06-13 2013-09-12 Daehyun Industrial Arts Co., Ltd Puff manufacturing method and puff manufactured thereby
KR101283123B1 (ko) 2012-12-13 2013-07-05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20140091862A (ko) * 2013-01-14 2014-07-23 양혜지 탈부착 기능을 갖는 화장용 퍼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140A (ko) * 2014-04-24 2015-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화장용 퍼프
KR101724410B1 (ko) 2014-04-24 2017-04-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화장용 퍼프
KR20160148377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실리콘 퍼프
KR101757728B1 (ko) 2015-06-16 2017-07-14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KR101717957B1 (ko) * 2016-06-12 2017-03-20 뉴프론텍(주) 화장품용 액상 화장료를 내장한 화장품용 퍼프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1795372B1 (ko) * 2017-01-04 2017-11-08 박정규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806904B1 (ko) * 2017-04-10 2017-12-12 (주)영서물산 발포펀칭 하이브리드 쿠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펀칭 하이브리드 쿠션
KR101894591B1 (ko) * 2017-06-19 2018-09-04 주식회사 뉴벨 화장용 퍼프
KR20200124731A (ko) * 2018-03-29 2020-11-03 로레알 파우더 퍼프와 같은 물품
KR102440122B1 (ko) * 2018-03-29 2022-09-02 로레알 파우더 퍼프와 같은 물품
KR102176747B1 (ko) * 2019-06-24 2020-11-0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기능성 화장료의 자가 배출형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525A1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850B1 (ko) 화장용 퍼프
KR101476224B1 (ko) 니트릴 고무를 이용한 크림 화장품용 비흡수성 퍼프의 제조방법
KR101276325B1 (ko) 화장기구
JP6936223B2 (ja) 止血器具
US20060099026A1 (en) Applicator and a kit including such an applicator
CN105283391A (zh) 湿纸巾包装体
EP2763564B1 (en) Semi-rigid concave applicator of encapsulated liquids
CN106660222A (zh) 一次性流体分配贮存器
KR20160061079A (ko) 마스크 팩 포장 용기 및 마스크 팩 포장 방법
KR20120102894A (ko)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 밴드 부착방법과 이에 따른 화장용 퍼프
ITMI20081177A1 (it)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di una ferita con mezzi per creare una pressione negativa.
US6945253B2 (en) Cosmetic applicator
KR101930227B1 (ko) 탄력배출망에 의해 배출판이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
KR102176744B1 (ko) 일회용 교체퍼프를 갖는 실리콘 퍼프
KR20170003579U (ko) 미용 마스크 팩
CN110167386A (zh) 面膜包套件
KR101140514B1 (ko) 일회용 퍼머 기구
TWM511245U (zh) 護髮器結構
KR102192133B1 (ko) 화장 도구
KR20150004550U (ko) 블리스터팩을 활용한 일회용 모발 염색기구
JP2004154557A (ja) 2つの受け器を一体化できる結合部材を備えた包装兼塗布器具
WO2011145580A1 (ja) 精子採取器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9071090A (zh) 湿巾包装体
KR200467750Y1 (ko) 액상화장품용 퍼프
KR102448329B1 (ko) 화장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