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864B1 - 기체주입장치 - Google Patents

기체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864B1
KR102168864B1 KR1020190046010A KR20190046010A KR102168864B1 KR 102168864 B1 KR102168864 B1 KR 102168864B1 KR 1020190046010 A KR1020190046010 A KR 1020190046010A KR 20190046010 A KR20190046010 A KR 20190046010A KR 102168864 B1 KR102168864 B1 KR 10216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tight
capsule
cap
gas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연
Original Assignee
김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연 filed Critical 김시연
Priority to KR102019004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blister, a capsule or like seal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B01F3/0479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는, 캡슐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체주입장치는, 기체가 저장되는 캡슐; 상기 캡슐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리브를 구비하는 캡; 상기 캡과 회전에 의해 결합하며, 상기 캡슐이 삽입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브릿지; 중심에 상기 캡슐이 관통하는 기밀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리브와 상기 브릿지 사이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기밀부재; 및 상기 브릿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캡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재에는, 상기 제한핀이 제거되어 상기 캡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브릿지의 상면과 상기 고정리브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체주입장치 {Gas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기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은 음료를 담는 용기 내에 산소(Oxygen) 등의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물을 마시게 되는 경우, 혈중 산소농도가 향상되고, 간의 해독작용과 인체의 소화효소 분비를 촉진시키는 등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효과가 입증되어 음료에 산소를 주입시키기 위한 기체주입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산소가 풍부한 기체를 음료(액체) 속에 유입시키는 방법 또는 음료 용기에 물과 산소를 충진하고 가압된 상태에서 장시간 체류시켜 용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체주입장치는 고농축 산소 캡슐을 이용하여 물, 맥주, 소주 등과 같은 음료에 산소를 공급시킴으로써 상기 음료에 산소가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체주입장치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하고 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KR10-2012-0041401A (이하, 선행문헌 1)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에 개시되는 기체주입장치는 산소 캡슐에 고압으로 압축된 산소기체가 용기 내로 분출된 후 음료 등이 역류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 KR10-1622949 B1 (이하, 선행문헌 2), KR10-1832367 B1 (이하, 선행문헌 3)이 있다.
상기 선행문헌 2 및 상기 선행문헌 3에는 기체주입장치에 음료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산소 캡슐을 파열시키기 위해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관(또는 핀)이 역류한 음료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문헌들은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선행문헌에서 개시되는 관(파열봉 또는 개방핀)은 캡슐의 저면을 파열시키면서 삽입되고, 상기 관이 형성하는 내부 유로를 통해 기체가 음료로 배출된다. 이때, 캡슐과 관 사이의 미세한 파열 공간에는 기체가 누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설된 기체는 상기 선행문헌에서 나사산으로 상호 결합되는 구성 간의 미세 공간으로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음료용기 내부로 배출된 기체는 음료용기와 결합하는 캡 사이의 미세 공간을 통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캡슐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액체에 용해되어 용존량을 높여야 하는 제품 본연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용기와 결합하는 구성에서도 기체 누설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캡슐의 기체를 음료용기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관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캡슐 파열 과정, 기체 유출 과정에서 발생되는 손상 등에 기인하여 상기 관으로부터 가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넷째, 상기 관 등은 상기 캡슐의 일 면을 파열 및 관통함으로써 상기 캡슐의 기체를 관내로 유입시켜 상기 음료용기로 가이드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발생된 가루가 음료에 섞이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음료 제품이 식용으로 적합하지 못한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섯째, 상술한 상기 관의 기체 유입 방식은, 상기 관내로 음료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하면, 기체주입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져 장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으며, 음료와 접촉되는 구성이 발생하여 부식 등의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제품의 제조단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KR10-2012-0041401 A, 휴대형 산소수 발생 장치 KR 10-1622949 B1, 압축기체 공급장치 KR 10-1832367 B1, 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캡슐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의 기체가 배출된 후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음료의 높아진 용존산소량을 유지할 수 있는 기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의 파열로 인한 기체의 외부 누설이 방지되고, 배출된 기체가 손실 없이 음료에 용해될 수 있는 기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생상 안전한 기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료와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및 운반 과정에서 캡슐이 기체를 배출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유지시키는 기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음료용기의 보관 규격에 알맞도록 소형화된 기체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는, 캡슐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주입장치는, 사용자가 제품의 사용시 선택적으로 캡슐의 기체를 음료용기에 배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배출된 기체가 밀폐 구조에 의하여 누설이 방지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주입장치는, 상기 캡슐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2중의 밀폐 구조 안에서 유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체주입장치는, 기체가 저장되는 캡슐; 상기 캡슐이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리브를 구비하는 캡; 상기 캡과 회전에 의해 결합하며, 상기 캡슐이 삽입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브릿지; 및 중심에 상기 캡슐이 관통하는 기밀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리브와 상기 브릿지 사이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밀부재에는, 상기 캡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릿지의 상면과 상기 고정리브의 하면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유동공간을 규정하는 내주면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과 회전 결합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기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기밀홈이 구비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에는, 음료용기의 상단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으로 규정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유동공간과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슐의 저면을 타격할 수 있는 가압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다수의 기밀홈에 삽입되도록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하부기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기밀홈은, 상기 내주면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기밀홈; 및 상기 제 1 기밀홈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기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의 저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리브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다수의 리브홈에 삽입되도록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상부기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캡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핀은, 상기 상부커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캡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한돌기; 및 일 측단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캡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봉은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가압봉은 브릿지의 일체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로부터 배출된 기체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의 높아진 기체 용존량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산소 또는 탄소가 용해되는 음료 제품의 본연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캡슐의 파열로 인한 미세 공간으로 기체를 배출시켜 음료용기로 가이드하는 구조가 제공되므로, 배출된 기체가 손실 또는 누설 없이 음료용기에 제공되어 용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가압봉에 의하여 금속 가루로부터 위생상 안전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음료용기가 브릿지의 하부로 삽입되므로 기체주입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의 음료와 기체주입장치의 구성 간에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음료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와 결합되는 브릿지는, 상기 음료용기에 용해된 기체가 미세공간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다수 회 절곡된 밀착 면을 형성하므로 음료용기의 차폐 및 기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한핀에 의하여 제조 및 운반 과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캡슐과 가압봉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체주입장치의 상하 구성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음료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기체주입장치의 외관에 대한 일체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제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한핀과 사용자의 손가락에 쉽게 파지되는 캡홈 및 본체홈이 외면에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기체주입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기체주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기체주입장치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브릿지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를 보여주는 상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를 보여주는 하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의 기체 주입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기체주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1)는 기체가 저장되는 캡슐(10), 상기 캡슐(10)을 고정시키는 캡(20), 상기 캡슐(10)이 수용되도록 상기 캡(20)과 결합하는 브릿지(30), 상기 브릿지(30)에 삽입되어 상기 캡(20)과 상기 브릿지(3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기밀부재(40) 및 상기 브릿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캡(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핀(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20)은 “상부캡”이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브릿지(30)는 “하부캡”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캡슐(10)은 내부에 유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10)에는 기체 또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슐(10)에는 고압으로 압축된 산소 또는 탄소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소가 저장된 캡슐(10)은 “산소 캡슐”이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캡슐(10)의 내부에는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슐(10)의 압력은 약 100 bar일 수 있다.
상기 캡슐(10)의 높은 압력에 의하면, 상기 캡슐(10)의 기체는 상기 캡슐(10)에 후술할 가압봉(150)이 관통할 때 순간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10)의 기체는, 캡슐(10)의 내부와 외부의 높은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기 가압봉(15)과 캡슐(10) 사이의 미세 공간을 통해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10)은 플라스틱 재질에도 용이하게 파열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10)은 상기 캡(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슐(10)은 상기 캡(20)의 내부에 삽입된 및/또는 끼워진 상태로 브릿지(30)에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슐(10)은 캡(20)의 고정리브(2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10)은, 고정리브(25), 기밀부재(40) 및 브릿지(30)의 단차부(320)에 의해 밀폐 및/또는 기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슐(10)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기체는 외기로부터 완전히 닫힌 공간(closed space)에서 음료용기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캡(20)은 연질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기체가 누설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캡(20)은 강성이 큰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20)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캡(20)은 브릿지(30)의 본체(100)에 대응되는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캡(20)은 외관을 형성하는 캡 케이스(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 케이스(21)는 상기 브릿지(30)의 본체(10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케이스(21)는 상기 본체(100)의 외관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20)과 상기 본체(100)는 시각적으로 일체감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캡 케이스(21)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 케이스(21)는 하면이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케이스(21)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함몰 면(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 면(21a)은, 상기 캡(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캡 케이스(21)의 함몰 면(21a)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상기 캡(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브릿지(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 케이스(21)의 함몰 면(21a)에 대응되는 함몰 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 홈(101)은 상기 브릿지(3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몰 홈(101)은 브릿지(30)의 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캡 케이스(21)의 함몰 면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어느 한 손으로 상기 함몰 홈(101)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함몰 면(21a)을 파지함으로써 쉽게 상기 캡(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캡 케이스(21)는 브릿지(30)의 상부커버(2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슐(10)은 상기 캡 케이스(21) 및 상부커버(200)에 의하여 2중으로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브릿지(30)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로부터 연장되는 상부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10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기 상면(105)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상기 상면(10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200)와 상기 본체(100)는 상기 캡(20)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커버(200), 상기 본체(100), 오링(35), 기밀부재(40), 상기 고정리브(25) 및 상기 캡슐(10)은 중심축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기 캡(2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커버(200)는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2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캡슐(10), 상기 캡슐(10)을 고정하는 캡(20)의 고정리브(25) 및 기밀부재(40)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200)의 내부 공간은 “설치공간(250)”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상부커버(200)에 결합되는 캡(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브릿지(3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면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주면 하단에 위치할 수 잇다. 일례로,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105)에 안착되어 상기 캡(2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20)은 상기 제한핀(50)의 지지에 의하여 상기 상면(105)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만 제한적으로 상기 상부커버(20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캡(20)은 상기 상부커버(200)에 결합시, 상기 제한핀(50)과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캡(20)에 고정된 캡슐(10)의 하면이 가압봉(150)의 상단과 접촉 또는 상기 가압봉(150)의 상단 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한핀(50)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캡(20)은 상기 제한핀(50)이 제거된 높이만큼 하방으로 상기 상부커버(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캡슐(10)은 내부의 기체를 본체(100)의 유동공간(310)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한핀(50)은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51a)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핀(50)은 일측 방향으로 개구(51a)가 형성되는 링 형상, 집게 형상 또는 말발굽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상부커버(200)가 상기 개구(51a)에 가압되도록 상기 제한핀(50)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제한핀(50)이 상기 상부커버(200)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상부커버(200)에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은 “안전 고정구”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제한핀(5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의 개구(51a)는 상기 상기 상부커버(200)에 끼워질 때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끼움부(51), 상기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한돌기(53)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51)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51)는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51)의 양 끝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양 끝단의 이격된 공간을 상술한 제한핀(50)의 개구(51a)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53)는 상기 끼움부(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53)는 상기 캡(20)의 하단, 즉, 상기 캡 케이스(2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20)은 상기 제한돌기(53)에 접촉될 때,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한돌기(53)는 상기 상부커버(200)와 결합된 상기 캡(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53)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55)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지부(55)는 상기 개구(51a)의 맞은 편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한핀(50)의 측 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55)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힘을 작용(F, 도7 참고)하여 상기 제한핀(50)을 상기 상부커버(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핀(50)의 개구(51a)는 사용자의 힘이 작용할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상기 제한핀(5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에 의하면, 상기 기체주입장치(1)가 설치된 음료의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상기 캡슐(10)이 파열되어 내부의 기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한핀(50)을 통해 상기 캡슐(10)을 원하는 시점에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내부의 기체가 음료로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상부커버(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상부커버(20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상부커버(200)의 설치공간(25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유동공간(31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공간(310)은 상기 설치공간(250)의 내측에서 상기 설치공간(25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동공간(310)은 상기 기밀부재(40) 및 캡(20)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 또는 기밀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부커버(200)에 결합하는 캡(20)과 대칭을 이루는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00)의 높이는 상기 캡(2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기체주입장치(1)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를 담는 음료용기(미도시)의 상단은 음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1)는 상기 뚜껑을 대체하여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본체(100)의 하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상기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삽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30)는 상기 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삽입구(130)는 상기 본체(100)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점의 위치를 따라 상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반경은, 상기 중심축(O)을 기준으로 상기 유동공간(310)의 반경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130)에 상기 음료용기가 결합되면, 상기 유동공간(310)을 통해 음료용기의 내부로 기체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3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삽입구(130)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링 형상의 공간을 상기 본체(100)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구(130)는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음료용기의 삽입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30)에 의하면,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은 상기 삽입구(130)를 규정하는 외측 면과 내측 면에 의해 밀폐 및/또는 기밀되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 기체주입장치는 음료용기의 상단의 외면을 따라 결합되어 미세 공간으로 기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1)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의 외면 및 내면을 일체로 결합 및 밀착시킴으로써 기체의 미세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삽입구(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으로 규정되는 베이스(120) 및 상기 캡슐(10)의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캡슐(10)을 파열시키는 가압봉(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는 상기 유동공간(310)을 규정하는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에는 상기 유동공간(310)과 연통되는 배출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60)은 상기 베이스(120)의 상하 방향을 개방시키는 개구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구(130)에 상기 음료용기가 결합되면, 상기 유동공간(310)으로 배출된 기체는 상기 배출홀(160)을 통과하여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60)은 본체의 내주면(300, 도4 참고)의 내측, 즉, 상기 유동공간(310)을 규정하는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60)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홀(160)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60)은 상기 가압봉(150)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캡슐(10)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캡슐(1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캡슐(10)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는 가압봉결합구(125, 도4 참고)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유동공간(31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봉(150)은 본체(100)의 중심축(O) 선상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본체(100)와 일체를 이루는 사출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봉(150)은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으로부터 원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지지리브(3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지지리브(30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중심축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105)으로부터 상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봉(150)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봉(150)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캡슐(10)의 하면 보다 강도(strength)가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봉(150)은 내부로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관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종래 기체주입장치에서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가압봉의 가루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기체주입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브릿지(30)에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밀부재(40)에는, 상기 캡(20)과 상기 브릿지(30)가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브릿지(30)로부터 상방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재(40)는 상하로 상기 고정리브(25)의 하면 및 상기 본체(100)의 후술할 단차부(3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캡슐(10)을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상기 브릿지(30)와 상기 캡(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밀부재(40)는 중심에 상기 캡슐(10)이 삽입 및/또는 관통하는 기밀홀(45)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밀부재(4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캡(20)에 삽입된 캡슐(10)은, 상기 기밀홀(45)을 관통하여 상기 브릿지(30)가 형성하는 내부의 유동공간(3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밀홀(45)을 관통하는 캡슐(10)은, 상기 기밀부재(4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밀부재(40)는 실리콘(silic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기밀부재(40)는 상하 방향에서 상기 캡(20)의 고정리브(25) 및/또는 상기 본체(100)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고정리브(25) 및/또는 상기 본체(10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고정리브(25)가 상기 캡(2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할 때, 상기 고정리브(25)에 밀착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대적인 관점에서 달리 표현하면,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본체(100)가 회전 이동할 때, 상기 고정리브(25) 및 단차부(32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캡슐(10)을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캡슐(10)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밀부재(40)는 상하로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과 상기 브릿지(30)의 상면에 기밀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재(40)는 상하로 돌출 또는 함몰되는 홈을 형성하여,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과 상기 브릿지(30)의 상면에 압착됨으로써 내측 공간의 기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는 캡슐(1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밀부재(40)는 “누설방지기”라 이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체주입장치(1)는 상기 삽입구(130)에 설치되는 오링(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링(35)은 상기 삽입구(130)에 결합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본체(100)의 기밀을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링(35)은 고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링(35)은 상기 삽입구(130)에 결합되는 음료용기의 상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130)의 최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기체주입장치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브릿지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캡(20)은 상기 브릿지(3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캡 나사산(22) 및 상기 캡슐(10)을 고정시키는 고정리브(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나사산(22)은 상기 캡 케이스(21)의 내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 나사산(22)은 상기 캡 케이스(21)의 내측 면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나사산(22)는 상하 방향으로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0)에는 상기 캡 나사산(22)에 대응되는 외부나사산(2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나사산(22)과 상기 외부나사산(210)은 서로 대응되는 암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나사산(22)과 상기 외부나사산(210)은 회전에 의해 형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20)은 상기 브릿지(30)에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결합을 이루고,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브릿지(3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캡 케이스(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캡 케이스(21)의 내측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캡(20)의 중심축(O)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제 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캡 케이스(21)는 상기 캡(20)의 중심축(O)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 1 거리 보다 긴 제 2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케이스(21)의 내측 면과 상기 고정리브(25)의 외측 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캡(20)과 상기 브릿지(30)가 결합할 때 상부커버(20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캡 케이스(2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캡 케이스(2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캡 케이스(21)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캡슐(1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리브(25)가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상기 캡슐(10)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캡슐(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상기 캡 케이스(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리브(25)는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캡슐(10)의 상면 및 상부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슐(10)은 상기 고정리브(25)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슐(10)은 상기 고정리브(25)에 하방에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5)에 끼워진 캡슐(10)은, 하면 및 하부 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10)은 상기 고정리브(25)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5)는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과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에는,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41,42)가 삽입되는 리브홈(26,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홈(26,27)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홈(26,27)은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41,42)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리브홈(26,27)은 내측리브홈(26) 및 상기 내측리브홈(27) 보다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외측리브홈(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리브홈(26)은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리브홈(26)에는, 상기 내측리브홈(26)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기밀돌기(4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측리브홈(27)은 상기 내측리브홈(26)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에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리브홈(27)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측리브홈(27)에는 상기 외측리브홈(27)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외측 상부기밀돌기(42)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리브홈(26)은 “제 1 리브홈”이라 이름하고, 상기 외측리브홈(27)은 “제 2 리브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과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는 서로 암수 형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고정리브(25)에 상기 기밀부재(4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과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은 일 평면이 아닌 다수 회 절곡되는 곡면으로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 평면의 경우 보다 미세 공간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더욱 향상된 기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30)와 상기 캡(20)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기 캡(20)과 회전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를 가이드하는 외부나사산(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나사산(21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나사산(210)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나사산(210)은 상하 방향으로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나사산(210)은 상기 캡 나사산(22)과 암수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나사산(210)과 상기 캡 나사산(22)이 서로 맞닿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캡(20)과 상기 상부커버(200)는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삽입구(13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음료용기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내부나사산(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나사산(110)은 상기 삽입구(130)를 규정하는 일측 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부나사산(110)은 상기 삽입구(130)를 규정하는 외측 면 또는 내측 면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나사산(110)은 상하 방향으로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구(130)를 규정하는 외측 면은, 상기 중심축(O)으로부터 상기 삽입구(130)를 규정하는 내측 면 보다 멀리 위치하는 원주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내부나사산(110)은 회전을 통하여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음료용기에는 상기 내부나사산(110)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나사산(110)과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은, 암수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릿지(30)에는 상기 기밀부재(40)가 안착되는 단차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상부커버(2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상부커버(200)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설치공간(250)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105)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유동공간(310)을 규정하는 내주면(300)의 상단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캡슐(10)이 삽입되는 상기 유동공간(31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상면(10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32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상부커버(200) 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중심축(O)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Hole)은 유동공간(310)의 일부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중심축(O)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커버(200)는 제 1 반경을 가지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제 1 반경 보다 짧은 제 2 반경을 가지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공간(310)을 규정하는 내주면(300)은, 상기 중심축(O)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반경과 같거나 짧은 제 3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차부(320)에는 상기 기밀부재(4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320)는 “기밀부재 삽입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기밀부재(4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320)의 상면에는 상기 기밀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20), 상기 단차부(3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기밀부재(40),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리브(25)에 의하여, 상기 캡(20)은 상기 유동공간(310)에서 하면이 상기 가압봉(150)에 의해 파열될 때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기밀부재(40)와 결합하는 홈(321,323,3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321,323,325)은, 상기 단차부(3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321,323,325)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폭은 후술할 기밀부재(40)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46,47,48)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홈(321,323,325)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홈(321,323,325)에는 상기 기밀부재(40)의 저면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재(40)에는 상기 다수의 홈(321,323,325)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차부(320)는 중앙기밀홈(321), 내측기밀홈(323) 및 외측기밀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기밀홈(321), 내측기밀홈(323) 및 외측기밀홈(325)은, 상기 단차부(320)의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측기밀홈(325)은 상기 중앙기밀홈(321) 보다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중앙기밀홈(321)은 상기 내측기밀홈(323) 보다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기밀홈(323)은 상기 중심축(O)을 향하여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외측기밀홈(325)은 상기 상부커버(200)의 내주면을 향하여 가장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내측기밀홈(323)은 상기 중심축(O)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제 1 길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기밀홈(321)은 상기 제 1 길이 보다 긴 제 2 길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외측기밀홈(325)은 상기 제 2 길이 보다 긴 제 3 길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기밀홈(323) 및 외측기밀홈(325)은, “양측기밀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중앙기밀홈(321)과 상기 양측기밀홈(323,325)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함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측기밀홈(323) 및 상기 외측기밀홈(325)은 동일한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단차부(32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기밀홈(321)은 상기 내측기밀홈(323) 및 상기 외측기밀홈(325) 보다 더 깊게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기밀홈(321), 내측기밀홈(323) 및 외측기밀홈(325)은, 각각, 상기 기밀부재(40)에 대응 형성되는 하부기밀돌기(46,47,48)의 돌출 길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이 결합된 경우, 상기 중앙기밀홈(321), 내측기밀홈(323) 및 외측기밀홈(325)은, 대응되는 상기 하부기밀돌기(46,47,48)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기밀홈(321), 내측기밀홈(323) 및 외측기밀홈(325)은, 상기 기밀부재(40)의 저면과 이격공간(32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322)은 상기 제한핀(50)이 제거되고 상기 캡(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밀부재(4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기밀부재(40)의 저면에 형성된 하부기밀돌기(46,47,48)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40)의 하부기밀돌기(46,47,48)가 삽입될 때, 상기 기밀부재(40)는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공간(322)은 상기 기밀부재(40)의 탄성 변형을 허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기밀홈(321), 내측기밀홈(323) 및 외측기밀홈(325)에 의하면, 상기 기밀부재(40)가 밀착되도록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동공간(310)으로 삽입되는 캡슐(10)의 주위를 밀폐 및/또는 기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단차부(320)의 다수의 홈과 상기 기밀부재(40)의 다수의 돌기는 서로 암수 형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단차부(320)에 상기 기밀부재(4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차부(320)의 상면과 상기 기밀부재(40)의 저면은, 일 평면이 아닌 다수 회 절곡되는 곡면으로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 평면의 경우 보다 미세 공간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더욱 향상된 기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기밀홈(321)은 “제 1 기밀홈”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내측기밀홈(323)은 “제 2 기밀홈”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외측기밀홈(325)은 “제 3 기밀홈”이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2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부나사산(210)에는 상기 캡(20)의 역회전을 방지 또는 제한하기 위한 제한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홈(220)은 상기 외부나사산(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홈(220)은 일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나사산(210)의 상면으로부터 사선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홈(200)이 허용하는 일 방향의 회전은 상기 캡(20)과 상기 상부커버(200)가 결합하는 회전방향으로 정의하며. 반대 방향의 회전은 상기 캡(20)이 상기 상부커버(200)로부터 분리되는 회전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홈(200)은 상기 캡(20)이 상기 상부커버(2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홈(220)은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선으로 함몰되는 공간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나사산(22)의 하면에는 상기 제한홈(220)에 대응되도록 사선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20)이 상기 상부커버(20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한홈(220)이 형성되는 사선 방향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캡 나사산(22)의 돌기는 결합시 상기 제한홈(220)을 통과할 수 있고, 분리시 상기 제한홈(200)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캡(20)과 상기 상부커버(200)는 결합을 허용하고, 분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를 보여주는 상방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를 보여주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캡슐(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밀부재(40)의 중심에는 상기 캡슐(10)이 관통하는 기밀홀(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홀(45)은 상기 고정리브(25) 및 상기 단차부(32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가압봉(150)이 상기 캡슐(10)의 저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리브(35)의 하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상기 캡슐(10)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밀부재(40)는 원반 형상, 도넛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고정리브(35)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상부기밀돌기(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부기밀돌기(41,42)는 상기 내측리브홈(26)에 삽입되는 내측 상부기밀돌기(41) 및 상기 외측리브홈(27)에 삽입되는 외측 상부기밀돌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상부기밀돌기(41)는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내측리브홈(26)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상부기밀돌기(42)는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리브홈(27)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상부기밀돌기(42)는 상기 내측 상부기밀돌기(41) 보다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상부기밀돌기(41)는 “제 1 상부기밀돌기”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상부기밀돌기(42)는 “제 2 상부기밀돌기”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고정리브(35)의 저면이 안착 및/또는 삽입되는 상부홈(4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홈(42)은 상기 내측 상부기밀돌기(41)와 상기 외측 상부기밀돌기(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홈(42)은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홈(43)에는, 상기 내측리브홈(26)과 외측리브홈(27)의 사이에 위치하여 돌출되는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부기밀돌기(41,42)에 삽입되는 고정리브(25)에 의하여,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과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캡슐(10)이 위치하는 중심 공간을 기밀시키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단차부(32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하부기밀돌기(46,47,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부기밀돌기(46,47,48)는 상기 중앙기밀홈(321)에 삽입되는 중앙 하부기밀돌기(46), 상기 내측기밀홈(323)에 삽입되는 내측 하부기밀돌기(47) 및 상기 외측기밀홈(325)에 삽입되는 외측 하부기밀돌기(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하부기밀돌기(46)는 상기 기밀부재(4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중앙기밀홈(321)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하부기밀돌기(47)는 상기 기밀부재(4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내측기밀홈(323)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하부기밀돌기(47)는 상기 중앙 하부기밀돌기(46)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하부기밀돌기(48)는 상기 기밀부재(4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외측기밀홈(325)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하부기밀돌기(48)는 상기 중앙 하부기밀돌기(46)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하부기밀돌기(46)는 “제 1 하부기밀돌기”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하부기밀돌기(47)는 “제 2 하부기밀돌기”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외측 하부기밀돌기(48)는 “제 3 하부기밀돌기”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부기밀돌기(46,47,48)는 상기 단차부(320)의 상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하부기밀돌기(46,47,48) 및 상기 단차부(320)는 상기 캡슐(10)이 위치하는 중심 공간을 기밀시키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밀돌기(41,42,46,47,48)는, 상하로 상기 고정리브(25)와 상기 단차부(320)에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캡슐(10)의 주위 공간을 밀폐시켜 기체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캡슐(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음료용기에 결합된 기체주입장치(1)는 상기 캡슐(10)을 상기 고정리브(25), 상기 기밀부재(40) 및 상기 단차부(320)에 의해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체주입장치(1)는 종래 기체주입장치에서 기체 누설에 따른 압력 변화로 음료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 구성으로 구비되는 역류방지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의 기체 주입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를 참조하여 상기 기체주입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기체주입장치(1)는 음료용기(미도시)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를 가정한다. 즉, 상기 삽입구(130)에 상기 음료용기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브릿지(30)에 결합된 제한핀(50)을 외부 방향(F)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한핀(50)이 제거되면 상기 캡(20)의 회전제한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캡(20)을 상기 브릿지(30)와 결합시키는 방향(R)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캡(20)은 상기 외부나사산(210)의 가이드에 따라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캡(20)의 하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캡(20)에 수용된 캡슐(10) 및 상기 고정리브(25)는 하방(D)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기밀돌기(41,42)는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에 형성된 리브홈(26,27)에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홈(26,27)에 의해 돌출되는 고정리브(25)의 저면은, 상기 기밀부재의 상부홈(43)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은 상기 기밀부재(40)의 상면을 하방(D)으로 가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기밀부재(40)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리브(25)의 저면에 더욱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재(40)는 상기 고정리브(25)의 하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단차부(320)로 하방 이동(D)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밀부재(40)의 하부기밀돌기(46,47,48)는 상기 단차부(320)에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기밀홈(321,323,325)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재(40)는 하방(D)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322)을 밀폐시키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밀부재(40)와 상기 단차부(320)는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리브(25)에 고정되어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는 캡슐(10)은, 상기 가압봉(150)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방(D)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캡슐(10)의 저면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캡슐(10)을 파열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봉(150)의 상단은, 상기 캡슐(10)의 하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캡슐(10)의 밑면을 파열 또는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압봉(150)은 상기 캡슐(10)의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캡슐(10)의 내부는 매우 높은 압력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캡슐(10)의 저면이 파열되는 순간, 상기 캡슐(10)에 저장된 기체는 상기 가압봉(150)과 상기 캡슐(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 공간으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점선 화살표 참고)
그리고 상기 캡슐(10)로부터 배출된 기체는, 상기 유동공간(310)을 통해 상기 배출홀(16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홀(160)을 통과한 기체는, 상기 음료용기로 유입될 수 있다. (점선 화살표 참고)
이때,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삽입구(130)를 규정하는 내측면과 외측면에 모두 밀착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홀(160)을 통과한 기체의 누설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용기 내의 음료에 상기 기체가 용해되어 상기 기체의 용존량이 상승하게 되며, 누설이 최소화되어 장시간 보관에도 용존량을 유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고정리브(25), 기밀부재(40) 및 단차부(320)는, 캡슐(10)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기체의 유동경로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은 삽입구(130)에서 세 방향으로 밀착되어 기체의 누설될 수 있는 미세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음료내부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음료에 용해되어 용존량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 경과 후에도 기체의 누설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봉(150)의 타격으로 형성된 상기 캡슐(10)의 미세한 틈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는, 상기 유동공간(310)으로 유동하며, 상기 배출홀(160)을 통해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동경로를 따르게 된다.
즉, 상기 기체주입장치(1)는, 종래의 기체주입장치에서 기체가 가압봉의 내부에 형성된 관을 통해 음료용기로 유입되는 유동경로와 다른 유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기체의 유동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1)는 종래 기체주입장치에서 금속재료로 형성된 가압봉의 오염 문제, 역류발생 문제 및 기체 누설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주입장치(1)의 구조에 의하면, 음료(수분)와 금속 재질의 캡슐(10)간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녹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식용 음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와 콤팩트(compact)하게 결합되므로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로 기체가 누설될 수 있는 미세 공간의 차단능력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료용기의 상부가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기체주입장치(1)의 상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체주입장치(1)가 결합된 음료용기를 냉장고 등과 같은 저장장치에 보관할 때, 기존의 음료용기 규격을 만족시키는 장점이 있다.
1 : 기체주입장치
10: 캡슐
20: 캡
30: 브릿지
40: 기밀부재
50: 제한핀
150: 가압봉
160: 배출홀

Claims (10)

  1. 유체가 저장되는 캡슐;
    상기 캡슐을 수용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리브 및 상기 고정리브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캡 케이스를 포함하는 캡;
    상기 캡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캡슐이 삽입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브릿지; 및
    상기 유동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리브와 상기 브릿지 간의 상하 방향 결합을 가이드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유동공간 및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음료용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밀부재 및 상기 고정리브가 내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커버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동공간의 상부를 규정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단차부의 상면과 상기 고정리브의 하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기체주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상면과 상기 고정리브의 하면에 의해 압착되는 기체주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 케이스의 내주면이 회전 결합하는 기체주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동공간의 하면을 규정하며,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기체주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슐의 저면을 타격할 수 있는 가압봉을 더 포함하는 기체주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는, 상기 유동공간 및 상기 배출홀을 통과하여 상기 음료용기로 주입되는 기체주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기밀부재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기밀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기밀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밀홈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기체주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밀홈은,
    상기 단차부의 내주면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기밀홈; 및
    상기 제 1 기밀홈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기밀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기밀돌기는, 상기 제 1 기밀홈 및 상기 제 2 기밀홈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기체주입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의 저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리브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다수의 리브홈에 삽입되도록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기밀돌기를 포함하는 기체주입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캡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핀은,
    상기 상부커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캡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한돌기;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기체주입장치.
KR1020190046010A 2019-04-19 2019-04-19 기체주입장치 KR10216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10A KR102168864B1 (ko) 2019-04-19 2019-04-19 기체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10A KR102168864B1 (ko) 2019-04-19 2019-04-19 기체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864B1 true KR102168864B1 (ko) 2020-10-22

Family

ID=7303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10A KR102168864B1 (ko) 2019-04-19 2019-04-19 기체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07A1 (ko) * 2020-09-11 2022-03-17 김시연 기체주입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99U (ko) * 1998-03-06 1999-10-05 김용진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JP2004276967A (ja) * 2003-03-17 2004-10-07 Nippon Tansan Gas Co Ltd ガス注入機能を備えたキャップ
KR20120041401A (ko) 2010-10-21 2012-05-02 청호전자통신주식회사 휴대형 산소수 발생 장치
JP2015155329A (ja) * 2014-02-19 2015-08-27 富士子 杉澤 ポンプ式容器用ストッパークリップ
KR101622949B1 (ko) 2014-11-07 2016-06-14 어윤수 압축기체 공급장치
KR20170077573A (ko) * 2015-12-28 2017-07-06 노예우 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99U (ko) * 1998-03-06 1999-10-05 김용진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JP2004276967A (ja) * 2003-03-17 2004-10-07 Nippon Tansan Gas Co Ltd ガス注入機能を備えたキャップ
KR20120041401A (ko) 2010-10-21 2012-05-02 청호전자통신주식회사 휴대형 산소수 발생 장치
JP2015155329A (ja) * 2014-02-19 2015-08-27 富士子 杉澤 ポンプ式容器用ストッパークリップ
KR101622949B1 (ko) 2014-11-07 2016-06-14 어윤수 압축기체 공급장치
KR20170077573A (ko) * 2015-12-28 2017-07-06 노예우 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KR101832367B1 (ko) 2015-12-28 2018-02-26 노예우 음료용기의 산소주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07A1 (ko) * 2020-09-11 2022-03-17 김시연 기체주입장치
JP2022553458A (ja) * 2020-09-11 2022-12-23 ヨン キム,シ 気体注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949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JP6480121B2 (ja) 吐出容器および吐出製品の製造方法
US10524558B2 (en) Cosmetic vessel
CN106458382A (zh) 具有自闭阀的水瓶
KR102168864B1 (ko) 기체주입장치
JP2017520489A (ja) 万能ボトルキャップ
KR102161468B1 (ko)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TWI621801B (zh) 聯接裝置及氣缸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2469822B1 (ko) 기체주입장치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KR101811247B1 (ko)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101575013B1 (ko) 원터치 누름캡과 일체형 밀봉막을 구비한 기능성 첨가제 전용 버틀캡
JP2008162626A (ja) 内容物混合装置
KR101122274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KR101574225B1 (ko) 음료용기용 캡
KR101299081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CN216003701U (zh) 瓶盖及具有其的饮料瓶
US20230383808A1 (en) Spring-biased dispensing valve
KR20180085158A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누출방지용 마개
KR101122273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US20240151365A1 (en) Valve for closing a gas container
KR20230052760A (ko) 회전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WO2021002414A1 (ja) 飲料サ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飲料供給機構
KR200304802Y1 (ko) 액상 내용물을 이용한 용기의 병목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