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081B1 -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081B1
KR101299081B1 KR1020110128641A KR20110128641A KR101299081B1 KR 101299081 B1 KR101299081 B1 KR 101299081B1 KR 1020110128641 A KR1020110128641 A KR 1020110128641A KR 20110128641 A KR20110128641 A KR 20110128641A KR 101299081 B1 KR101299081 B1 KR 10129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ottleneck
container
cas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178A (ko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이재일
(주) 아름다운 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일, (주) 아름다운 화장품 filed Critical 이재일
Priority to KR102011012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0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Abstract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상면에 약품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병목부와, 상기 병목부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병목부의 약품배출홀과 연통된 내부 공간에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이 저장되는 몸체부로 구성된 케이스와; 중앙측 저부에 상기 케이스 상면과 밀착되어 약품배출홀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 하부에 상기 케이스의 병목부를 감싼 채 병목부와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부의 일측으로부터 결합부와 연결되는 지점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상부홈과, 상기 상부홈과 연결된 채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수직홈으로 구성된 압력조절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병목부 상단과 맞닿아 약품배출홀을 밀폐시키는 차단부 또는 병목부 상면에 형성된 상부홈과, 병목부와 체결되는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으로 구성된 압력조절홈을 형성함으로써,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때 용기 내부의 공기가 압력조절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압력 상승에 따른 용기의 파손 및 내부 염색약이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의 바닥면에 수직홈과 연결된 하부홈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바닥면이 몸체부 상면과 맞닿을 경우에도 공기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수직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홈이 결합부의 내주면에 계단식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흔들림 등에 의해 용기 내부의 염색약이 외부로 흘러나올 때 다단으로 형성된 계단형성부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 경우 계단형성부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내부의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압력조절홈에 다수 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약품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Vessel for hair dye with hydrogen peroxide}
본 발명은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색약에 포함되는 과산화수소의 경우 보관 상태나 온도, 직사광선의 노출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분해 속도가 가속화되어 부풀어오르게 되어 종래의 염색약 용기의 경우 염색약이 용기 밖으로 터져 누설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바, 염색약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용기 내부의 팽창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의 염색을 위해서는 제1제인 염모제와, 제2제인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를 혼합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제2제에는 통상적으로 과산화수소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과산화수소는 보관 상태나 온도, 직사광선의 노출 정도에 따라 분해 속도가 가속화되어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제2제가 수용된 용기의 강도 이상으로 압력이 커지게 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가장 약한 부분을 통해 약품이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해 왔다.
또, 운송이나 보관 중에 약품이 누설되지 않더라도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실러를 뜯어냈을 때 염색약이 폭발하듯이 누설되어 사용이 곤란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용기를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한 것을 이용해 왔으나 이처럼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할 경우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염색약품용 용기는 아니지만 "압력용기의 안전마개 및 이를 구비한 압력용기"(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581호, 특허문헌 1)에는 1페이지 요약에 압력용기가 내부에 압력유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압력 유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안전마개로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의 내주연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제1커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커버; 및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제2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용기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제1커버와 제2커버를 구비해야 하고, 개폐부재 및 스프링을 구비해야 하므로 용기 재질을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는 것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필요로 해야 하는 바,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염색약 저장용 용기로는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KR 20-2011-0004581 (22011.05.11)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병목부 상단과 맞닿아 약품배출홀을 밀폐시키는 차단부 또는 병목부 상면에 형성된 상부홈과, 병목부와 체결되는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으로 구성된 압력조절홈을 형성함으로써,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때 용기 내부의 공기가 압력조절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압력 상승에 따른 용기의 파손 및 내부 염색약이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 뚜껑의 바닥면에 수직홈과 연결된 하부홈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바닥면이 몸체부 상면과 맞닿을 경우에도 공기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수직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홈이 결합부의 내주면에 계단식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흔들림 등에 의해 용기 내부의 염색약이 외부로 흘러나올 때 다단으로 형성된 계단형성부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이 경우 계단형성부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내부의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압력조절홈에 다수 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약품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내부턱을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뒤집은 상태로 염색약을 충진할 때 염색약이 덜 충진되도록 하여 여유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배출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면에 약품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병목부와, 상기 병목부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병목부의 약품배출홀과 연통된 내부 공간에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이 저장되는 몸체부로 구성된 케이스와; 중앙측 저부에 상기 케이스 상면과 밀착되어 약품배출홀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 하부에 상기 케이스의 병목부를 감싼 채 병목부와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부의 일측으로부터 결합부와 연결되는 지점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상부홈과, 상기 상부홈과 연결된 채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수직홈으로 구성된 압력조절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와 같이 케이스와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약품배출홀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병목부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상부홈과, 상기 상부홈과 연결된 채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수직홈으로 구성된 압력조절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압력조절홈은 상기 수직홈과 연결된 채 상기 뚜껑의 하단 외주면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여 있으며, 상기 뚜껑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직홈은 결합부 내주면 상부에서 하향되게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끝단에서 결합부 내주면을 감싸는 방향으로 형성된 계단형성부로 구성되고, 수직부와 계단형성부가 다수 형성된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계단형성부는 상부의 수직부 하부 끝단으로부터 하부의 수직부 상부 끝단을 연결하되, 상부의 수직부 하부 끝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홈에 바닥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압력조절홈은 깊이가 0.5 ~ 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내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병목부 상단과 맞닿아 약품배출홀을 밀폐시키는 차단부 또는 병목부 상면에 형성된 상부홈과, 병목부와 체결되는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으로 구성된 압력조절홈을 형성함으로써,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때 용기 내부의 공기가 압력조절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압력 상승에 따른 용기의 파손 및 내부 염색약이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뚜껑의 바닥면에 수직홈과 연결된 하부홈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바닥면이 몸체부 상면과 맞닿을 경우에도 공기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홈이 결합부의 내주면에 계단식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흔들림 등에 의해 용기 내부의 염색약이 외부로 흘러나올 때 다단으로 형성된 계단형성부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 경우 계단형성부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내부의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압력조절홈에 다수 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약품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내부턱을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뒤집은 상태로 염색약을 충진할 때 염색약이 덜 충진되도록 하여 여유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배출 원할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이 저장된 용기가 보관, 운송 중에 터져버린 현상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뚜껑의 저부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용기의 일측 및 압력조절홈이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계단형성부가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계단형성부가 형성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압력조절홈에 돌기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는 크게 케이스(100),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부(110)와 몸체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병목부(110)는 상면에 약품배출홀(11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둘레에는 뚜껑(200)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20)는 상기 병목부(110)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병목부(110)의 약품배출홀(111)과 연통된 내부 공간에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이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부(110)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병목부(110)와 연결되는 상면에는 병목부(110) 상단과 평행하거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연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용기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미도시되어 있으나, 내부에 제1제 및 제2제가 각각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칸막이가 설치되어 다수 개의 약품배출홀(1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뚜껑(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결합부(210)와 차단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부(220)는 뚜껑(200)의 중앙측 저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 상면(113)과 밀착되어 약품배출홀(111)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220) 하부에 상기 케이스(100)의 병목부(110)를 감싼 채 병목부(110)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병목부(110)의 나사산(112)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결합부(210)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200)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외경이 병목부(110)의 외경보다 크면서 몸체부(1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뚜껑(200)의 외측 하단은 나사결합을 완료했을 때 상기 연결부(121)와 맞닿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특징인 압력조절홈(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홈(310), 수직홈(3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하부홈(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각 홈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부홈(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220)의 일측으로부터 결합부(210)와 연결되는 지점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와 같은 경우 상부홈(310)은 상향으로, 도 3과 같은 경우 상부홈(310)은 하향되게 패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수직홈(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홈(310)과 연결된 채 결합부(21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홈(310)을 케이스(100)의 약품배출홀(111)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병목부(110)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까지 케이스(100)에 형성하고, 수직홈(320)은 상기 상부홈(310)과 연결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200)의 결합부(21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와 같은 구성의 경우 케이스(100)의 상면에 미도시된 실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외주면 하단이 몸체부(120)의 연결부(121)와 맞닿아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뚜껑(200)의 저부에 하부홈(330)을 형성하고, 이 하부홈(330)은 상기 수직홈(320)과 연결된 채 상기 뚜껑(200)의 하단 외주면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이도록 구성하여 내부 공기가 하부홈(330)을 통해 원할히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종래의 용기에서는 내부의 공기는 약품배출홀 상부에 설치된 실러 또는 케이스와 뚜껑이 맞닿아 체결됨에 의해 외부 배출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뚜껑(200)의 저부와 케이스(100) 상단 사이에 형성된 상부홈(310) 및 상부홈(310)과 연결된 채 뚜껑(200) 내측면에 형성된 수직홈(320)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도 4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조절홈(300)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부분에서는 뚜껑(200)이 병목부(110)의 상면(113)을 완전히 차단하고 있어 내부 공기의 배출이 어렵게 되어 있는 반면, 압력조절홈(300)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상부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부홈(310)은 수직홈(3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압력조절홈(300)은 그 깊이가 0.5 ~ 4 mm 정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깊이가 상기 범위보다 깊을 경우 케이스(100) 내부의 내용물이 케이스(10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흔들림, 기울어짐 등의 현상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기 쉬어지며, 반대로 깊이가 상기 범위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미세하게 공기가 배출되다 홈에 약품이 묻어 홈을 막아버리게 되면 공기가 원할히 배출되지 않아 케이스(100)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약품배출홀(111)은 하나만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품배출홀(111)은 하나의 용기에 다수 개 설치될 수 있고, 이 중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이 들어가는 부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조절홈(300)이 설치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내측, 바람직하게는 병목부(110) 내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내부턱(114)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케이스(100) 내부에 염색약을 공급할 때, 원통 형상의 케이스(100)를 뒤집은 상태에서 내부에 염색약을 투입하고, 케이스 끝단을 접착시킨 후 다시 뒤집어 보관하게 되는데, 염색약은 물과 달리 로션, 크림이나 젤과 같은 상태로 점도가 높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상부 내측에 내부턱(114)이 형성된 채 케이스(100)를 뒤집어 염색약을 공급하게 되면, 염색약이 내부턱(114)에 걸리면서 병목부(110) 측으로 공급되고, 염색약의 점도가 높은 점에 의하여 내부턱(114)에 의해 둘러쌓인 부분에 순간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처럼 염색약을 공급할 때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면 염색약이 충분히 충진되지 않고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병목부(110)가 위로 향하도록 케이스(100)를 뒤집으면 이때 역시 염색약의 점도 때문에 빈 공간은 병목부(110) 내부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보관 중에 실외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케이스(10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때 케이스(100)의 저부나 케이스의 측면 측으로 압력이 향하지 않게 되고, 병목부(110) 측으로 압력을 해소하도록 자연스럽게 가이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력조절홈(300)을 통해 자연스럽게 산소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케이스(100) 내부에 염색약을 충전할 때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산소 배출을 가이드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산소 배출이 원할해지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홈(320)을 계단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홈(320)은 결합부(210) 내주면 상부에서 하향되게 형성된 수직부(321)와, 상기 수직부(321) 끝단에서 결합부(210) 내주면을 감싸는 방향으로 형성된 계단형성부(322)로 구성되고, 수직부(321)와 계단형성부(322)가 다수 형성된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계단식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부홈(310) 및 수직홈(320)을 통해 공기가 아닌 내부 염색약이 외부로 이동하려 하는 경우 수직부(321)를 따라 흘러내린 염색약이 계단형성부(322)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염색약이 뚜껑(200)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성부(322)는 상부의 수직부(321) 하부 끝단으로부터 하부의 수직부(321) 상부 끝단을 연결하되, 상부의 수직부(321) 하부 끝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 약품의 배출을 보다 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홈(300)을 구성하는 수직홈(320)이나 상부홈(310)에 바닥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340)를 형성할 경우 걸림돌기(340)에 의해 약품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는 바, 약품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는 알루미늄, 폴리에틸렌(PE), 페트(PET), 라미네이팅 튜브 등 공지된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병목부
111 : 약품배출홀 112 : 나사산
113 : 상면 114 : 내부턱
120 : 몸체부 121 : 연결부
200 : 뚜껑 210 : 결합부
220 : 차단부 300 : 압력조절홈
310 : 상부홈 320 : 수직홈
321 : 수직부 322 : 계단형성부

Claims (8)

  1.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있어서,
    상면(113)에 약품배출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병목부(110)와, 상기 병목부(110)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병목부(110)의 약품배출홀(111)과 연통된 내부 공간에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이 저장되는 몸체부(120)로 구성된 케이스(100)와;
    중앙측 저부에 상기 케이스(100) 상면(113)과 밀착되어 약품배출홀(111)을 차단하는 차단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220) 하부에 상기 케이스(100)의 병목부(110)를 감싼 채 병목부(110)와 체결되는 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부(220)의 일측으로부터 결합부(210)와 연결되는 지점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상부홈(310)과, 상기 상부홈(310)과 연결된 채 결합부(21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수직홈(320)으로 구성된 압력조절홈(3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2.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있어서,
    상면(113)에 약품배출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병목부(110)와, 상기 병목부(110)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병목부(110)의 약품배출홀(111)과 연통된 내부 공간에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이 저장되는 몸체부(120)로 구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병목부(110)에 체결되며, 중앙측 저부에 상기 케이스(100) 상면(113)과 밀착되어 약품배출홀(111)을 차단하는 차단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220) 하부에 상기 케이스(100)의 병목부(110)를 감싼 채 병목부(110)와 체결되는 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약품배출홀(111)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병목부(110)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상부홈(310)과, 상기 상부홈(310)과 연결된 채 결합부(21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인 수직홈(320)으로 구성된 압력조절홈(3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320)과 연결된 채 상기 뚜껑의 하단 외주면까지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패여 있으며, 상기 뚜껑(200)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홈(3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320)은 결합부(210) 내주면 상부에서 하향되게 형성된 수직부(321)와, 상기 수직부(321) 끝단에서 결합부(210) 내주면을 감싸는 방향으로 형성된 계단형성부(322)로 구성되고, 수직부(321)와 계단형성부(322)가 다수 형성된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성부(322)는 상부의 수직부(321) 하부 끝단으로부터 하부의 수직부(321) 상부 끝단을 연결하되, 상부의 수직부(321) 하부 끝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홈(300)에 바닥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3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홈(300)은 깊이가 0.5 ~ 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8.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내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내부턱(1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KR1020110128641A 2011-12-02 2011-12-02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KR101299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41A KR101299081B1 (ko) 2011-12-02 2011-12-02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41A KR101299081B1 (ko) 2011-12-02 2011-12-02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78A KR20130062178A (ko) 2013-06-12
KR101299081B1 true KR101299081B1 (ko) 2013-08-27

Family

ID=48860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641A KR101299081B1 (ko) 2011-12-02 2011-12-02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1104A1 (en) 2014-07-02 2016-01-07 Unilever Plc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889U (ko) * 1998-07-30 2000-02-25 이재용 가스유출이 가능한 탁주병 뚜껑
KR200185435Y1 (ko) * 1998-04-20 2000-07-01 김종찬 탁주병용 뚜껑
JP2003265227A (ja) * 2002-03-18 2003-09-24 Hoyu Co Ltd 染毛剤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435Y1 (ko) * 1998-04-20 2000-07-01 김종찬 탁주병용 뚜껑
KR20000003889U (ko) * 1998-07-30 2000-02-25 이재용 가스유출이 가능한 탁주병 뚜껑
JP2003265227A (ja) * 2002-03-18 2003-09-24 Hoyu Co Ltd 染毛剤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78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47876A (en) Containers having caps permitting pressure equalization of contents of container
US6230913B1 (en) Straw in a bottle
KR102492789B1 (ko)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및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과의 연결 구조
JP6480121B2 (ja) 吐出容器および吐出製品の製造方法
CN107531377B (zh) 用于容纳饮料的容器组件、用于制造容器组件的预成型组件和制造容器组件的方法
KR10161995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6125887B2 (ja) 二重容器
KR101299081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JP6570422B2 (ja) 注出キャップ及び注出容器
KR20180103813A (ko) 용기
KR101122274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JP6637830B2 (ja) 吐出キャップ
US6142326A (en) Straw in a bottle
KR101122273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KR200469854Y1 (ko) 혼합용기
KR20110139385A (ko) 누액차단이 가능한 받침대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JP2016141428A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MXPA06015205A (es) Inserto flotante de camaras multiples para envases de liquido.
JP7343341B2 (ja) 二重構造容器
KR102168864B1 (ko) 기체주입장치
JP4884940B2 (ja) 詰め替え用容器
JP6942650B2 (ja) 注出容器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6456797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7023578B2 (ja) 注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