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004B1 -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004B1
KR102117004B1 KR1020190078075A KR20190078075A KR102117004B1 KR 102117004 B1 KR102117004 B1 KR 102117004B1 KR 1020190078075 A KR1020190078075 A KR 1020190078075A KR 20190078075 A KR20190078075 A KR 20190078075A KR 102117004 B1 KR102117004 B1 KR 102117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pening hole
liquid
upper portion
ru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예우
노기우
Original Assignee
노예우
노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예우, 노기우 filed Critical 노예우
Priority to KR102019007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blister, a capsule or like sea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기본 내용물(각종 화장품, 음료수, 생수, 기능성 수 등)인 제1액에 압축기체인 가스와 별도의 첨가제인 제2액을 동시에 공급하여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한 가스와 2액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액이 수용되는 저장공간과 하부에 형성된 캡연결관(110)을 구비하는 본체(100); 본체(100)의 바닥에 형성되어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파열하는 파열봉(210)과 역류방지용 패킹(220)을 구비하는 밸브체(200); 캡연결관(110)에 나사결합되어 가스캡슐(C)을 파열봉(210)으로 상승시키는 가스공급캡(300); 밸브체(200)의 상부에 기밀하게 장착되어 제2액이 수용되는 2액실과 상부에 형성된 개구공(410)을 구비하는 저장통(400);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 개구공(410)을 폐쇄하고 가스분출시 개구공(410)을 개방하는 개폐부재(500); 캡연결관(1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파열봉(210)과 파열막(C1)을 이격시키는 안전링(6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와 2액 혼합 용기{Mixing containers of gas and two liquid}
본 발명은 용기 내의 기본 내용물에 압축기체인 가스를 공급하여 내용물과 혼합하는 가스와 2액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기의 기본 내용물(각종 화장품, 음료수, 생수, 기능성 수 등)인 제1액에 압축기체인 가스와 별도의 첨가제인 제2액을 동시에 공급하여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한 가스와 2액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피부에 접촉하는 산소는 피부 세포 간의 호흡을 강화시켜 피부 속의 독소 및 노폐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활성화 시키며 피부의 대사 작용을 활발하게 진행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산소는 호흡뿐만 아니라 각종 피로 물질을 분해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며 근육 및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는 등, 사람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기체이다.
최근 들어 기능성 화장품이나 음료수 등이 출현하면서 소비자에 의해 사용되는 시점에서 용기 내의 기본 내용물에 압축기체인 산소를 공급하여 내용물과 혼합하는 산소 혼합 용기가 제시되고 있다.
선행기술의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149904호에는 화장품 구성 물질에 직접 관여하지 않으면서 다량의 고순도 산소를 화장품 속에 포함시켜 화장품의 원래 고유 영양 성분이 피부에 보다 잘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의 다른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공개특허 제10-2011-0122286호에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물에 직접 가스를 공급하여 가스가 물에 신속하게 녹아들어가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산소수 제조용 물통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1149904호와 공개특허 제10-2011-0122286호의 경우에는 단순히 용기의 기본 내용물에 산소만을 공급하여 혼합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용기의 기본 내용물에 또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별도의 첨가제를 혼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1149904호와 공개특허 제10-2011-0122286호의 경우에는 산소캡슐이 불필요하게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구조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유통과정이나 보관시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산소캡슐의 파열막이 파열되어 산소가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713246호에는 안전커버에 내장되어 산소주입시 절개부를 통해 음료수로 투입되는 첨가제가 수용된 분말캡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말캡술의 내부에는 기능성 식품분말이나 각종 비타민분말, 영양제, 미네날 등의 첨가제가 수용된 산소 혼합 음료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1713246호에 기재된 분말캡슐의 경우에는 용기의 기본 내용물에 첨가제를 신속하게 혼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분말캡슐이 내용물에 녹아드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상기 분말캡슐에 수용된 첨가제 분말이 내용물에 녹아드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기본 내용물에 첨가제를 신속하게 혼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149904호(등록일자 : 2012.05.18) 특허문헌 2 : 공개특허 제10-2011-0122286호(공개일자 : 2011.11.10) 특허문헌 3 : 등록특허 제10-1713246호(등록일자 : 2017.02.2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가스캡슐의 파열막을 파열하여 가스를 분출시키는 밸브체의 상부에 별도의 첨가제인 제2액이 수용된 저장통을 장착하고, 저장통의 개구공에는 평상시 개구공을 폐쇄하고 가스분출시 개구공을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가스분출시 가스와 저장통에 수용된 제2액을 용기의 기본 내용물인 제1액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가스와 2액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기본 내용물인 제1액에 압축기체인 가스와 별도의 첨가제인 제2액을 동시에 공급하여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하고, 유통과정이나 보관시 불필요하게 가스캡슐이 상승하여 파열막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스와 2액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본 내용물인 제1액을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구비된 본체의 하부에 캡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바닥 중앙에 가스캡슐의 파열막을 파열하는 파열봉과 역류방지용 패킹이 구비된 밸브체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캡연결관에 가스캡슐을 파열봉으로 상승시키는 가스공급캡을 나사결합으로 연결하고, 상기 밸브체의 상부에 첨가제인 제2액을 수용하는 2액실과 개구공이 구비된 저장통을 패킹으로 기밀하게 장착하며, 상기 저장통의 개구공에 평상시 개구공을 폐쇄하고 가스분출시 개구공을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캡연결관의 상부에 파열봉과 가스캡슐의 파열막을 이격시키는 안전링을 분리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밸브체의 상부 외경에는 패킹이 끼워지는 패킹홈을 형성하고, 상기 패킹홈에는 다수의 배출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개구공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의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상부에 형성되어 개구공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마개를 구비하는 차단판과, 상기 승강봉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공을 구비하는 이탈방지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의 하부 외경에는 개구공의 하부 외측에 걸리는 걸림턱을 돌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캡연결관의 상부 외경에는 안전링이 끼워지는 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전링은 'C'형으로 형성하여 중앙부 외경에는 손잡이를 돌출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와 2액 혼합 용기에 따르면, 가스캡슐의 파열막을 파열하여 가스를 분출시키는 밸브체의 상부에 별도의 첨가제인 제2액이 수용된 저장통이 장착되고, 저장통의 개구공에는 평상시 개구공을 폐쇄하고 가스분출시 개구공을 개방하는 개폐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가스분출시 가스와 저장통에 수용된 제2액을 본체의 기본 내용물인 제1액에 간단하게 공급하여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기본 내용물인 제1액에 압축기체인 산소, 수소, 질소 등 어느 하나의 가스와 각종 비타민, 영양제, 미네날 등 어느 하나의 첨가제인 제2액을 동시에 공급하여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고, 캡연결관의 상부에는 밸브체의 파열봉과 가스캡슐의 파열막을 이격시키는 안전링이 설치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이나 보관시 불필요하게 가스캡슐이 상승하여 파열막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시 안전링을 분리하고 가스공급캡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스와 제2액을 간단하게 본체의 제1액에 공급하여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통과 개폐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재의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스와 2액 혼합 용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본 내용물인 제1액이 수용되는 상부가 개방된 저장공간과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캡연결관(110)을 구비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바닥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파열하는 파열봉(210)과 역류방지용 패킹(220)을 구비하는 밸브체(200); 상기 캡연결관(110)에 나사결합되어 가스캡슐(C)을 파열봉(210)으로 상승시키는 가스공급캡(300); 상기 밸브체(200)의 상부에 패킹(P)으로 기밀하게 장착되어 첨가제인 제2액이 수용되는 2액실과 상부에 형성된 개구공(410)을 구비하는 저장통(400); 상기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 개구공(410)을 폐쇄하고 가스분출시 개구공(410)을 개방하는 개폐부재(500); 상기 캡연결관(1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파열봉(210)과 파열막(C1)을 이격시키는 안전링(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스와 2액 혼합 용기는 각종 화장품, 음료수, 생수, 기능성 수 등의 용기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가스와 2액 혼합 용기는 본체(100), 밸브체(200), 가스공급캡(300), 저장통(400), 개폐부재(500) 및 안전링(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기본 내용물(각종 화장품, 음료수, 생수, 기능성 수 등)인 제1액을 저장하여 보관 및 판매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100)의 상부에는 제1액을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주입구(10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가 음료수, 생수, 기능성 수 등의 용기로 사용될 경우 주입구(101)에는 뚜껑(1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0)가 화장품 용기로 사용될 경우 주입구(101)에는 토출버튼(2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주입구(101)에는 뚜껑(10)과 토출버튼(20)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는 가스캡슐(C)에서 분출되는 순간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압력용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는 가스캡슐(C)에서 분출되는 순간 압력으로 인해 고압 및 내압이 3kg bar 이상 및 가스용존량이 30PPM(PART PER MILLION) 이상 견딜 수 있는 압력용기를 사용한다. 즉, 상기 가스캡슐(C)에서는 파열막(C1)의 파열시 순간 3kg bar 이상의 강한 가스 압력이 본체(100)의 제1액으로 분출되고, 이에 의해 본체(100)의 가스용존량은 30PPM까지 증가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가스용존량 30PPM 이상의 내압을 견딜 수 있는 압력용기를 사용한다. 참고로, 기존의 일반 생수용기는 가스캡슐(C)의 가스 분출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폭발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상기 본체(100)는 가스와 2액 혼합 용기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제1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하부에는 캡연결관(1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저장공간에 수용된 제1액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연결관(110)은 본체(100)의 하부에 본체(100)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캡연결관(110)의 내부에는 가스캡슐(C)의 상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캡연결관(110)은 가스공급캡(300)을 본체(10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체(200)는 본체(100)의 바닥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밸브체(200)의 하부 중앙에는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파열함과 동시에 분출되는 가스를 저장통(400)의 내부로 공급하는 파열봉(210)이 설치되고, 밸브체(200)의 상부 외경에는 평상시 제2액이 밸브체(200)의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스분출시 가스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되는 역류방지용 패킹(22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파열봉(210)은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용이하게 파열할 수 있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패킹(220)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a,5b에서와 같이, 상기 밸브체(200)의 상부 외경에는 패킹(220)이 끼워지는 패킹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201)에는 다수의 배출공(202)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220)은 패킹홈(201)에 장착되어 배출공(202)을 개폐하는 것으로, 이러한 패킹(220)은 체크밸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5a에서와 같이 평상시 상기 패킹(220)은 패킹홈(201)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배출공(202)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5b에서와 같이 가스분출시 상기 패킹(220)은 배출공(202)으로 분출되는 가스 압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캡슐(C)은 밸브체(200)의 파열봉(210)에 파열되는 파열막(C1)을 구비하여 저장통(400)의 내부 2액실로 가스를 분출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스캡슐(C)에는 고압으로 압축된 산소, 수소, 질소 등의 가스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가스캡슐(C)을 파열봉(210)으로 밀어 넣으면 파열막(C1)이 파열되고, 이와 동시에 가스가 파열봉(210)으로 분출되면서 가스 압력으로 패킹(220)을 개방하기 때문에, 가스캡슐(C)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는 파열봉(210)과 배출공(202)을 통해 저장통(400)의 내부 2액실로 분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산소가 저장된 가스캡슐(C)을 이용하여 저장통(400)과 본체(100)의 저장공간에 산소 가스를 분출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수소 또는 질소 등의 가스가 저장된 가스캡슐을 이용하여 저장통(400)의 내부 2액실에 수소 또는 질소 등의 가스를 분출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가스공급캡(300)은 캡연결관(110)에 나사결합되어 가스캡슐(C)을 파열봉(210)으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가스공급캡(300)의 내부 중앙에는 가스캡슐(C)을 지지하는 지지관(310)이 형성되고, 가스공급캡(300)의 상부에는 가스공급캡(300)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링(600)이 배치된다. 이때, 도 3,5a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안전링(600)에 의해 가스캡슐(C)의 파열막(C1)과 파열봉(210)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안전링(600)에 의해 가스공급캡(300)의 상승이 방지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유통과정이나 보관시 불필요하게 가스공급캡(300)과 가스캡슐(C)이 상승하여 파열막(C1)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캡연결관(110)의 상부에 끼워진 안전링(600)을 분리한 상태에서 가스공급캡(300)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스공급캡(300)이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가스공급캡(300)이 가스캡슐(C)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은 상승하면서 파열봉(210)에 의해 파열된다.
상기 가스공급캡(300)의 내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캡연결관(110)의 외경에는 가스공급캡(300)의 암나사와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통(400)은 밸브체(200)의 상부에 패킹(P)으로 기밀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저장통(400)의 내부에는 별도의 첨가제인 제2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2액실이 형성되고, 저장통(400)의 상부에는 제2액을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공(4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통(400)의 내부 2액실에 수용되는 첨가제인 제2액은 예를 들어 본체(100)가 음료수, 생수, 기능성 수 등의 용기로 사용될 경우 각종 비타민, 영양제, 미네날 등의 액체 또는 분말이 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0)가 화장품 용기로 사용될 경우 제2액은 피부 보습에 좋은 콜라겐 등의 액체 또는 분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통(400)은 가스캡슐(C)에서 분출되는 순간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통(400)은 2액실에 수용된 제2액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500)는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폐부재(500)는 평상시 개구공(410)을 폐쇄하고 가스분출시 개구공(410)을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와 도 5a,5b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500)는 개구공(4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의 승강봉(510)과, 상기 승강봉(5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개구공(410)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마개(521)를 구비하는 차단판(520)과, 상기 승강봉(5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공(531)을 구비하는 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521)의 하부 외경에는 개구공(410)의 하부 외측에 걸리는 걸림턱(521a)이 돌출된다.
상기 승강봉(510)은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봉(510)은 다수로 이루어져 차단판(520)의 하부와 이탈방지링(53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봉(510)은 2개 내지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판(520)은 승강봉(5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차단판(520)의 하부에는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마개(521)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521)의 하부 외경에는 개구공(410)의 하부 외측에 걸리는 걸림턱(521a)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520)의 마개(521)는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차단판(520)의 마개(521)는 도 5a에서와 같이 평상시 개구공(4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구공(410)을 폐쇄하게 되고, 상기 마개(521)의 걸림턱(521a)은 개구공(410)의 하부 외측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가스분출시 걸림턱(521a)과 마개(521)는 강한 가스 압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개구공(410)을 개방하기 때문에, 분출된 가스와 저장통(400)에 수용된 제2액은 개방된 개구공(410)을 통해 본체(100)의 내부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면서 제1액에 신속하게 혼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링(530)은 승강봉(5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탈방지링(530)에는 개구공(410)에 대응하는 배출공(5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링(530)은 도 5b에서와 같이 가스분출시 상승하면서 저장통(400)의 개구공(410) 외주부 저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탈방지링(530)은 가스분출시 개폐부재(500)가 개구공(41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단판(520)은 돔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중앙에는 파지부(522)가 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링(530)의 상부에는 톱니형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단(5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링(530)의 외주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되므로 조립시 이탈방지링(530)을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용이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520)의 상부에는 파지부(522)가 돌출되므로 조립시 파지부(522)를 잡고 개폐부재(500)의 이탈방지링(530)을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용이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본체(100)의 주입구(101)가 작아 내부로 손이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저장통(400)을 밸브체(200)에 조립할 때 파지부(522)를 별도의 공구로 파지한 상태에서 저장통(400)을 밸브체(200)에 용이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링(530)의 상부에는 걸림단(532)이 톱니형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기 때문에, 이탈방지링(530)의 상승시 끝이 뾰족한 걸림단(532)이 저장통(400)의 저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링(530)의 상승시 걸림단(532)과 저장통(400)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기 안전링(600)은 캡연결관(1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링(600)은 파열봉(210)과 파열막(C1)을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안전링(600)은 유통과정이나 보관시 불필요하게 가스캡슐(C)이 상승하여 파열막(C1)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링(600)이 캡연결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가스공급캡(300)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므로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이 불필요하게 파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한편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파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도 5b에서와 같이 캡연결관(110)에서 안전링(600)을 분리한 상태에서 가스공급캡(300)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파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연결관(110)의 상부 외경에는 안전링(600)이 끼워지는 링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링(600)은 'C'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 외경에는 손잡이(610)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6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캡연결관(110)의 링홈(111)에 안전링(600)을 간단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하게 당겨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링(600)은 'C'형으로 형성되어 링홈(111)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링(600)의 손잡이(610)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멍(6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통과정이나 보관 등과 같이 가스와 제2액을 공급하기 전의 평상시에는 도 3,5a에서와 같이 안전링(600)은 캡연결관(110)의 링홈(11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가스캡슐(C)의 파열막(C1)과 밸브체(200)의 파열봉(210)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밸브체(200)의 패킹(220)은 배출공(202)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부재(500)의 마개(521)는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구공(41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 기본 내용물인 제1액과 저장통(400)의 내부 2액실에 수용된 첨가제인 제2액은 개폐부재(500)의 차단판(520)에 의해 서로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도 3,5a에서와 같은 상태에서는 안전링(600)에 의해 가스공급캡(300)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이 불필요하게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전링(600)을 분리하면 안전링(600)의 높이만큼 가스공급캡(300)은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안전링(600)을 분리한 상태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가스공급캡(300)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스공급캡(300)과 가스캡슐(C)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도 5b에서와 같이 가스공급캡(300)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동시에 가스공급캡(300)이 가스캡슐(C)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은 상승하면서 파열봉(210)에 의해 파열된다.
도 5b에서와 같이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이 파열되면 가스가 파열봉(210)을 통해 밸브체(200)의 배출공(202)으로 강하게 분출되고, 이와 동시에 가스 압력에 의해 역류방지용 패킹(220)이 벌어지면서 배출공(202)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가스캡슐(C)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는 파열봉(210)과 배출공(202)을 통해 저장통(400)의 내부로 강하게 분출된다.
도 5b에서와 같이 저장통(400)의 내부로 가스가 강하게 분출되면 개폐부재(500)의 마개(521)는 가스 압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개구공(410)을 개방하기 때문에, 분출된 가스와 저장통(400)에 수용된 첨가제인 제2액은 개방된 개구공(410)을 통해 본체(100)의 내부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면서 기본 내용물인 제1액에 신속하게 혼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파열하여 가스를 분출시키는 밸브체(200)의 상부에 별도의 첨가제인 제2액이 수용된 저장통(400)이 장착되고,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는 평상시 개구공(410)을 폐쇄하고 가스분출시 개구공(410)을 개방하는 개폐부재(500)가 설치되기 때문에, 가스분출시 가스와 저장통(400)에 수용된 제2액을 본체(100)의 기본 내용물인 제1액에 간단하게 공급하여 혼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100)의 기본 내용물인 제1액에 압축기체인 가스와 별도의 첨가제인 제2액을 동시에 공급하여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고, 캡연결관(110)의 상부에는 밸브체(200)의 파열봉(210)과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이격시키는 안전링(600)이 설치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이나 보관시 불필요하게 가스캡슐(C)이 상승하여 파열막(C1)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시 안전링(600)을 분리하고 가스공급캡(300)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스와 제2액을 간단하게 본체(100)의 제1액에 공급하여 신속하게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본체 110 : 캡연결관
111 : 링홈 200 : 밸브체
201 : 패킹홈 202 : 배출공
210 : 파열봉 220 : 패킹
300 : 가스공급캡 400 : 저장통
410 : 개구공 500 : 개폐부재
510 : 승강봉 520 : 차단판
521 : 마개 521a : 걸림턱
530 : 이탈방지링 531 : 배출공
600 : 안전링 610 : 손잡이
C : 가스캡슐 C1 : 파열막
P : 패킹

Claims (4)

  1. 기본 내용물인 제1액이 수용되는 상부가 개방된 저장공간과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캡연결관(110)을 구비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바닥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스캡슐(C)의 파열막(C1)을 파열하는 파열봉(210)과 다수의 배출공(202)이 형성된 패킹홈(201)에 끼워지는 역류방지용 패킹(220)을 구비하는 밸브체(200);
    상기 캡연결관(110)에 나사결합되어 가스캡슐(C)을 파열봉(210)으로 상승시키는 가스공급캡(300);
    상기 밸브체(200)의 상부에 패킹(P)으로 기밀하게 장착되어 첨가제인 제2액이 수용되는 2액실과 상부에 형성된 개구공(410)을 구비하는 저장통(400);
    상기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의 승강봉(510)과, 승강봉(5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차단판(520)과, 승강봉(5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져 평상시 개구공(410)을 폐쇄하고 가스분출시 개구공(410)을 개방하는 개폐부재(500);
    상기 캡연결관(1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파열봉(210)과 파열막(C1)을 이격시키는 안전링(600)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520)의 하부에는 저장통(400)의 개구공(410)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마개(521)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521)의 하부 외경에는 개구공(410)의 하부 외측에 걸리는 걸림턱(521a)이 돌출되며,
    상기 이탈방지링(530)에는 개구공(410)에 대응하는 배출공(531)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링(530)의 상부에는 톱니형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가스분출시 상승하면서 저장통(400)의 개구공(410) 외주부 저면에 접촉되는 걸림단(532)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링(530)의 외주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520)의 상부 중앙에는 파지부(522)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연결관(110)의 상부 외경에는 안전링(600)이 끼워지는 링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링(600)은 'C'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 외경에는 손잡이(610)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KR1020190078075A 2019-06-28 2019-06-28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KR102117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75A KR102117004B1 (ko) 2019-06-28 2019-06-28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75A KR102117004B1 (ko) 2019-06-28 2019-06-28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004B1 true KR102117004B1 (ko) 2020-05-29

Family

ID=7091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075A KR102117004B1 (ko) 2019-06-28 2019-06-28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511B1 (ko) * 2020-06-11 2021-09-08 최용남 수소수 미스트 방출장치
KR102626019B1 (ko) * 2023-07-26 2024-01-17 주식회사 뉴에이스 산소혼합용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286A (ko) 2010-05-04 2011-11-10 어윤수 산소수 제조용 물통
KR101149904B1 (ko) 2009-12-31 2012-06-19 어윤수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20130011298A (ko) * 2011-07-21 2013-01-30 이정민 압력기체를 이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50007187A (ko) * 2013-07-10 2015-01-20 (주)윤영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KR101660884B1 (ko) * 2014-11-10 2016-09-28 노예우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20160112872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압력 패키지 시스템
KR101663361B1 (ko) * 2014-05-16 2016-10-07 장성진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713246B1 (ko) 2016-07-15 2017-03-09 노예우 산소 혼합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04B1 (ko) 2009-12-31 2012-06-19 어윤수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20110122286A (ko) 2010-05-04 2011-11-10 어윤수 산소수 제조용 물통
KR20130011298A (ko) * 2011-07-21 2013-01-30 이정민 압력기체를 이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50007187A (ko) * 2013-07-10 2015-01-20 (주)윤영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KR101663361B1 (ko) * 2014-05-16 2016-10-07 장성진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1660884B1 (ko) * 2014-11-10 2016-09-28 노예우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20160112872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압력 패키지 시스템
KR101713246B1 (ko) 2016-07-15 2017-03-09 노예우 산소 혼합 음료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511B1 (ko) * 2020-06-11 2021-09-08 최용남 수소수 미스트 방출장치
KR102626019B1 (ko) * 2023-07-26 2024-01-17 주식회사 뉴에이스 산소혼합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246B1 (ko) 산소 혼합 음료용기
US8844715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tegral type working member
KR102117004B1 (ko) 가스와 2액 혼합 용기
JP6741792B2 (ja) 酸素混合化粧品容器
KR1016358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US20100025268A1 (en) Pressurization type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US20050115845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CN110325474A (zh) 具有一体式通气系统的桶封闭件
MX2010004472A (es) Tapa de liberacion de concentrado.
KR20160055596A (ko)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20090110695A (ko)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CN111345694B (zh) 可携式气泡水瓶及其控制气阀
US20190084704A1 (en) Carbonation Preservation Device
CN109415145A (zh) 具有将添加剂引入到容器中的液体中的机构的容器封闭件
KR200492756Y1 (ko)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WO2008002160A2 (en) Cap with a capsule rupturable by a cutter
EP2043924B1 (en) Inserts for multiple component containers
CN111634549B (zh) 一种内置容舱的瓶盖
US10266322B2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CN106195632A (zh) 加压气体容器
US20230109263A1 (en) Cosmetic container cap with duo-mix function
KR200486192Y1 (ko) 스포이드가 장착된 혼합용 용기
KR100579444B1 (ko) 용기 마개
JP5518987B2 (ja) 吐出容器
KR100593244B1 (ko)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