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565A -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Google Patents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565A
KR20150131565A KR1020140058397A KR20140058397A KR20150131565A KR 20150131565 A KR20150131565 A KR 20150131565A KR 1020140058397 A KR1020140058397 A KR 1020140058397A KR 20140058397 A KR20140058397 A KR 20140058397A KR 20150131565 A KR20150131565 A KR 20150131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crew assembly
juice
protrusion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열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1565A/ko
Publication of KR2015013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서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 조립체; 및 상기 스크류 조립체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원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A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having drum wear prevention function and a juic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하기 위해 스크류 조립체가 회전하면서 스크류 조립체의 하단부와 드럼 바닥면이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드럼의 마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 조립체 하단부에 삽입되는 가요성의 드럼 원형부재를 구비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 중 하나가 주서기이다. 종래의 주서기는 덮개와 덮개 하부에 배치되는 드럼,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착즙망이 구비된 망드럼, 망드럼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류, 망드럼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브러쉬 회전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 조립체가 스크류 및 스크류와 분리된 착즙망을 포함함한 것으로서, 스크류와 착즙망이 분리된 형식의 주서기이다. 이에 따라, 스크류가 회전함으로써 망드럼과의 사이에서 착즙이 이루어지고, 발생한 착즙물은 망드럼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또 다른 주서기로서, 드럼, 드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 조립체, 드럼에서 배출되는 착즙물 및 펄프를 수용하는 본체, 스크류 조립체 하단의 착즙망을 포함하는 주서기가 있다. 스크류 조립체가 스크류 및 스크류와 일치된 착즙망을 포함한 것으로서, 스크류와 착즙망이 일체인 형식의 주서기이다.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드럼과의 사이에서 착즙이 이루어지고, 생성된 착즙은 착즙망을 통하여 착즙망 내측으로 유동하여 착즙물과 펄프가 분리된다.
한편, 주서기는 드럼 내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드럼 내에 투입된 착즙 대상물을 착즙한다. 이때, 드럼 바닥면 또는 드럼 바닥면에 위치하는 안내턱 등과 스크류 조립체 하단부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기간 주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술한 접촉에 의해 드럼에서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모가 증대될수록 주서기의 수명이 짧아지고 주서기의 주된 기능인 착즙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주서기의 착즙은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 조립체와 드럼과의 사이에서 착즙이 이루어지는 바, 드럼에 부착된 리브와 스크류 조립체와의 구조적 관계에서 중점으로 다루어진 바, 스크류 조립체의 하단부와 드럼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의 하단부와 드럼과의 접촉으로 야기되는 드럼의 마모를 방지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첵적으로, 스크류 조립체가 회전하면서 드럼과 맞닿는 부분에 마모 방지 수단을 구비시키고, 나이가 이러한 마모 방지 수단이 주서기 주된 기능인 착즙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마모를 방지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는, 드럼(100); 상기 드럼(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상기 드럼(100)과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된 가요성의 원형부재(2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형부재(250)는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시에도 고정되어 상기 드럼(100)의 바닥면의 마모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형부재(250)는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형부재(250)는, 원형의 제 1 지지부(251); 상기 제 1 지지부(251)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지지부(251)에서 상기 드럼(100)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지지부(252); 및 상기 제 2 지지부(252)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10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253);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지지부(251)와 상기 제 2 지지부(252)의 사이에 위치하는 홈으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형부재(250)는, 상기 제 1 돌출부(253)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돌출부(253)의 위 및 아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돌출부(2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돌출부(253)는 상기 제 2 돌출부(254)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돌출부(253)의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돌출부(254))와 상기 제 2 지지부(252)는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지지부(251)와 상기 제 2 지지부(252) 사이에 상부 홈(255)과 하부 홈(256)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 홈(255)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100)은, 상기 드럼(100)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된 안내턱(110); 및 상기 안내턱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115);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부재(250)는 상기 안내턱(110)과 상기 제 1 가이드 홈(115)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스크류 조립체가 삽입되는 원형부재에 의해 드럼의 바닥면 또는 드럼 바닥면에 위치하는 안내턱 등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드럼의 마모를 방지하면서 주서기의 주된 기능인 착즙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 주서기의 수명을 늘릴 수 있고, 주서기의 착즙 효율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아래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서 원형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크류 조립체 및 원형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드럼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착즙'의 용어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주입된 재료를 절단, 분쇄, 압착 및/또는 착즙물 추출의 모든 단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재료가 착즙되면 '착즙물'과 '펄프'가 생성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착즙물'은 사용자가 재료를 착즙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펄프'는 착즙물이 착즙되고 남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주서기의 일반적 구성요소 및 작동 방법의 설명
도 1, 2를 참조하여, 주서기의 일반적인 구성요소 및 작동을 설명한다. 종래기술 부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망드럼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두 가지 형식이 존재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망드럼없이 스크류 하단에 착즙망이 일체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1) 구성요소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덮개(50), 덮개(50)와 체결되는 드럼(100), 드럼(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드럼(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드럼(100)과 스크류 조립체(200)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로 지칭한다.
드럼(10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중공 원통 형태의 용기 구조로서, 드럼(100) 내부 바닥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턱(110), 안내턱(110)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111), 안내턱(110)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홈(112)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 홈(111)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안내턱(110)의 외측에 안내턱(1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가이드 홈(111)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펄프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홈(112)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안내턱(110)의 내측에 안내턱(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가이드 홈(112)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착즙물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스크류 조립체(200)는 상기 드럼(100)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0), 회전축(210)을 둘러싸는 착즙날(220), 착즙망(23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10)은 원통형의 회전체로서 상부회전축(211) 및 각형축공(212)을 포함한다.
상부회전축(211)은 스크류 조립체(200)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210) 선 상에서 스크류 조립체(200)의 상부면에 회전축(210)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덮개(50)에 형성된 회전축 고정홈(54)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각형축공(212)은 회전축(210)의 하부에 상기 상부회전축(211)과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된다.
착즙날(220)은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착즙망(230)은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소정 높이를 가진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착즙공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착즙공의 크기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드럼(100)과 스크류 조립체(200) 사이에서 착즙된 착즙물은 착즙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가이드 홈(112)으로 흐르게 하고 펄프는 착즙공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상기 제 1 가이드 홈(111)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착즙공의 크기는 착즙물과 펄프가 분리될 수 있는 크기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50)는 착즙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덮개(50)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형성된 주입구(55), 상기 주입구(55)에 착즙대상물이 잘 주입되도록 하는 막대형상의 주입봉(미도시)을 포함한다.
(2) 작동 설명
주서기의 스위치를 켜서 주서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미도시) 내부의 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에 의한 회전력이 회전축(210)에 전달된다.
따라서, 회전축(210)과 결합된 스크류 조립체(200)가 드럼(100) 내에서 회전하며 주서기의 작동이 개시된다.
주서기가 작동되면 상기 덮개(50)에 형성된 주입구(55)로 주입봉(미도시)을 이용하여 착즙대상물을 주입하고 주입된 착즙대상물은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하여 착즙날(220)에 의해 분쇄 및 착즙이 시작된다.
착즙이 시작되면 착즙물은 착즙망(230)에 형성된 착즙공을 통과하여 스크류 조립체(2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착즙물은 상기 드럼(100) 바닥면 내측에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112)에 모이게 되고 모여진 착즙물은 착즙물 배출공(130)을 통하여 착즙물 유동관(131)으로 흐르게 되어 주서기 밖으로 배출되어 이를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한편, 펄프는 착즙망(230)에 형성된 착즙공을 통과하지 못하여 착즙망(230) 외면과 드럼(100) 내벽을 따라 하강하고, 하강한 펄프는 상기 드럼(100) 바닥면 외측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111)에 모이게 되고 모여진 펄프는 펄프 배출공(미도시)을 통하여 펄프 유동관(미도시)을 지나 주서기 밖으로 배출된다.
2. 본 발명에 따른 원형부재 설명
도 3,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형부재(250)를 설명한다.
종래기술 부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망드럼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두 가지 형식이 존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원형부재(250)는 두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스크류와 착즙망이 분리된 형식의 주서기와 스크류와 착즙망이 일체인 형식의 주서기 모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는 스크류와 착즙망이 일체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원형부재(250)를 포함한다.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하면서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와 드럼(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드럼(10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원형부재(250)는 주서기 작동시 스크류 조립체(200)와 드럼(100)에 사이에 위치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와 드럼(100)이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100)의 마모를 방지한다.
원형부재(250)의 재질은 가요성이다. 가요성이 아닌 경우에는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에 의해 원형부재(250)가 절단될 수 있거나 회전에 의해 원형부재(250)가 드럼(100)에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형부재(250)는 스크류 조립체(200)와 분리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일정 사용 기간이 경과 후에는 원형부재(250)만을 교체하여 주서기의 수명 및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원형부재(250)는 제 1 지지부(251), 제 1 지지부(251)에서 드럼(10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제 2 지지부(252), 제 2 지지부(252)에서 드럼(10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253), 및 제 1 돌출부(253)와 연결되면서 제 1 돌출부(253)의 위 또는 아래로 돌출된 제 2 돌출부(254)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251)와 이에 연결된 제 2 지지부(252)에 의해 상부 홈(255)과 하부 홈(256)이 형성되는데, 스크류 조립체(200)는 상부 홈으로 삽입된다. 하부 홈(256)으로 인하여 제 1 지지부(251)와 제 2 지지부(252)가 드럼(100)의 바닥면과 맞닿으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원형부재(250)와 드럼(100)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드럼(10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1 돌출부(253)는 제 2 돌출부(254)가 연결된 지점에서부터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며, 결국 안내턱(110)에 접촉하는 제 1 돌출부(253) 말단의 단면적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훨씬 적은 단면적이다. 제 1 돌출부(253)의 강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드럼(100)과의 접촉, 특히 안내턱(110)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 2 돌출부(254)와 제 2 지지부(252)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제 1 돌출부(253)가 회전에 의해 위 또는 아래로 휘어지는 경우, 휘어질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여유 공간을 만들어 놓기 위함이다. 다만, 제 1 돌출부(253)가 일정 이상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돌출부(254)가 구비된다.
즉, 제 1 돌출부(253)가 회전시 제 1 돌출부(253)가 위 또는 아래로 휘어지더라도 제 2 돌출부(254)와 제 1 지지부(252) 사이에 해당하는 여유 공간만큼만 휘어지게 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에 최소한으로 영향을 주기 위함이다. 다만, 이러한 휘어짐이 상술한 여유 공간이 완충할 수 있는 이상으로 휘어지는 경우 원형부재(250)가 절단되거나 마모 방지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드럼(100)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음), 상술한 여유 공간 이상으로 제 1 돌출부(253)가 휘어지는 경우 제 1 돌출부(253)의 휘어짐에 밀려 제 2 돌출부(254)와 제 2 지지부(252)가 접촉된다. 이러한 제 2 돌출부(254)와 제 2 지지부(252)의 접촉으로 제 1 돌출부(253)가 일정 이상으로 휘어지지 않게 된다.
원형부재(250)는 안내턱(110)과 제 1 가이드 홈(111)의 사이에 위치한다.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원형부재(250)가 갖는 자체의 폭 및 착즙물이 안내되는 안내턱(110)과 펄프가 안내되는 제 1 가이드 홈(111)의 구조를 고려하여 생성된 착즙물과 펄프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 덮개
54: 회전축 고정홈
55: 주입구
100: 드럼
110: 안내턱
111: 제 1 가이드 홈
112: 제 2 가이드 홈
200: 스크류 조립체
210: 회전축
211: 상부회전축
212: 각형축공
220: 착즙날
230: 착즙망
250: 원형부재
251: 제 1 지지부
252: 제 2 지지부
253; 제 1 돌출부
254: 제 2 돌출부
255: 상부 홈
256: 하부 홈

Claims (9)

  1. 드럼(100);
    상기 드럼(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상기 드럼(100)과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된 가요성의 원형부재(250)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부재(250)는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시에도 고정되어 상기 드럼(100)의 바닥면의 마모를 방지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부재(250)는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부재(250)는,
    원형의 제 1 지지부(251);
    상기 제 1 지지부(251)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지지부(251)에서 상기 드럼(100)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지지부(252); 및
    상기 제 2 지지부(252)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10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253);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지지부(251)와 상기 제 2 지지부(252)의 사이에 위치하는 홈으로 삽입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부재(250)는,
    상기 제 1 돌출부(253)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돌출부(253)의 위 및 아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2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돌출부(253)는 상기 제 2 돌출부(254)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돌출부(253)의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254))와 상기 제 2 지지부(252)는 이격된,
    착즙 스크류 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251)와 상기 제 2 지지부(252) 사이에 상부 홈(255)과 하부 홈(256)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 홈(255)에 삽입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100)은,
    상기 드럼(100)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된 안내턱(110); 및
    상기 안내턱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115);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부재(250)는 상기 안내턱(110)과 상기 제 1 가이드 홈(115)의 사이에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0140058397A 2014-05-15 2014-05-15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131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397A KR20150131565A (ko) 2014-05-15 2014-05-15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397A KR20150131565A (ko) 2014-05-15 2014-05-15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565A true KR20150131565A (ko) 2015-11-25

Family

ID=5484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397A KR20150131565A (ko) 2014-05-15 2014-05-15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5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8579A (zh) * 2017-12-20 2019-06-2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8579A (zh) * 2017-12-20 2019-06-2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109938579B (zh) * 2017-12-20 2023-11-2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7352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кух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ессующим шнеком
US2311379A (en) Juicer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JP6110850B2 (ja) 果物又は野菜の果肉から果物又は野菜の汁を分離する遠心分離器
EP3011875A1 (en) Juice extractor
US10448775B2 (en) Juice extractor
US20170332843A1 (en) Chopping accessory, chopping unit and domestic appliance for chopping
KR20150013689A (ko)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AU2014316897B2 (en) Device for preparing foodstuffs in order to extract juices and/or coulis
KR20110120681A (ko) 다용도 탈피기
KR20150051576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GB2035062A (en) Peeling machine for vegetables and fruits
KR20150131565A (ko)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19124A (ko) 청소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747946B1 (ko)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KR101311822B1 (ko) 착즙기
KR20150022643A (ko) 찌꺼기 배출 조절이 가능한 주서기
KR101286887B1 (ko) 수동착즙기
KR20150019923A (ko) 착즙율을 증가시키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80111262A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17618A (ko) 역류 방지 주서기
KR20150041558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101713779B1 (ko) 커팅 기능을 갖는 주스기
KR102261629B1 (ko) 세척을 위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KR20160019241A (ko)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