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241A -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Google Patents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241A
KR20160019241A KR1020140103719A KR20140103719A KR20160019241A KR 20160019241 A KR20160019241 A KR 20160019241A KR 1020140103719 A KR1020140103719 A KR 1020140103719A KR 20140103719 A KR20140103719 A KR 20140103719A KR 20160019241 A KR20160019241 A KR 2016001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air
screw assembly
juic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205B1 (ko
Inventor
김성욱
문성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3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2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스크류 조립체; 상기 스크류 조립체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브러쉬 고정부; 및 상기 브러쉬 고정부에 결합된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는, 상기 브러쉬 고정부에 결합되는 브러쉬 상단부 및 브러쉬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 고정부는, 상기 브러쉬 상단부 및 상기 브러쉬 하단부에 각각 상응하는 브러쉬 상단 고정부 및 브러쉬 하단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A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having a brush with enchanced binding and a juic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크류 조립체의 내측에 위치하여 주서기 작동시 스크류 조립체의 내측으로 유입된 착즙물을 쓸어주는 브러쉬에 있어서 브러쉬 상단부와 브러쉬 하단부가 브러쉬 상단 고정부와 브러쉬 하단 고정부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스크류 조립체에 결합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에 관한 발명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 중 하나가 주서기이다. 종래의 주서기는 덮개와 덮개 하부에 배치되는 드럼,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착즙망이 구비된 망드럼, 망드럼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류, 망드럼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브러쉬 회전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 조립체가 스크류 및 스크류와 분리된 착즙망을 포함한 것으로서, 스크류와 착즙망이 분리된 형식의 주서기이다. 이에 따라, 스크류가 회전함으로써 망드럼과의 사이에서 착즙이 이루어지고, 발생한 착즙물은 망드럼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또 다른 주서기로서, 드럼, 드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 조립체, 드럼에서 배출되는 착즙물 및 펄프를 수용하는 본체, 스크류 조립체 하단의 착즙망을 포함하는 주서기가 있다. 스크류 조립체가 스크류 및 스크류와 일치된 착즙망을 포함한 것으로서, 스크류와 착즙망이 일체인 형식의 주서기이다.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드럼과의 사이에서 착즙이 이루어지고, 생성된 착즙은 착즙망을 통하여 착즙망 내측으로 유동하여 착즙물과 펄프가 분리된다.
한편,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브러쉬는 스크류 조립체와 함께 회전하여 착즙시 착즙망을 통과한 착즙물을 쓸어주어 착즙물 배출공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관련 종래 기술인 브러쉬를 살펴본다.
종래 기술에서 브러쉬(27)는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브러쉬 고정부(28)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데,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서 브러쉬 고정부(28)에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브러쉬(27)가 브러쉬 고정부(28)에 결합될 때에는 단지 아래에서 위로 삽입하는 과정으로 결합되므로 결합 과정이 용이하고, 분리할 때에는 브러쉬(27)를 위에서 아래로 잡아당기므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브러쉬는 브러쉬 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꺾이면서 결합력이 약해져 브러쉬 고정부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착즙 후 스크류 조립체를 세척하는 경우 브러쉬의 상측을 고정시켜주는 부위가 없으므로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분리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즙물을 쓸어주는 부분 및 브러쉬 고정부에 결합되는 부분이 다른 부품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부품이기 때문에 분리된 경우에 분실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크류 조립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브러쉬 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는 브러쉬를 구비한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브러쉬 고정부에 결합될 때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브러쉬를 구비한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착즙 후 세척하는 경우에도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브러쉬를 구비한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스크류 조립체(200);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브러쉬 고정부(280); 및 상기 한쌍의 브러쉬 고정부(280)에 결합된 브러쉬(270);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270)는, 상기 브러쉬 고정부(280)에 결합된 브러쉬 상단부(272) 및 브러쉬 하단부(276)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 고정부(280)는, 상기 브러쉬 상단부(272) 및 상기 브러쉬 하단부(276)에 각각 상응하는 한쌍의 브러쉬 상단 고정부(281) 및 한쌍의 브러쉬 하단 고정부(28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쉬 상단부(272)는 일측에서 좌우 양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 1 돌출부(274)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 하단부(276)는 일측에서 좌우 양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2 돌출부(278)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 상단부(272)와 상기 브러쉬 하단부(276)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쉬 상단부(272)는 상기 브러쉬(270)의 일말단에 위치하며, 상기 브러쉬 하단부(276)는 상기 브러쉬(270)의 일말단과 상기 브러쉬(270)의 타말단의 사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쌍의 브러쉬 상단 고정부(281)는, 각각의 일측에서 돌출된 한쌍의 제 1' 돌출부(282); 및 상기 한쌍의 제 1' 돌출부(282)와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삽입홈(283);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브러쉬 하단 고정부(285)는, 각각의 일측에서 돌출된 한쌍의 제 2' 돌출부(286); 및 상기 한쌍의 제 2' 돌출부(286)와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제 2 삽입홈(287);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제 1 삽입홈(283) 각각에 상기 한쌍의 제 1 돌출부(274)가 삽입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삽입홈(287) 각각에 상기 한쌍의 제 2 돌출부(278)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쉬(270)의 내측에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홈(275)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라 스크류 조립체에 결합되는 브러쉬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착즙 후 브러쉬 세척시 브러쉬가 분리되지 않아 브러쉬 분실되지 않는다.
또한, 브러쉬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주서기 작동시에 브러쉬가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더라도 브러쉬 고정부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가요성의 브러쉬의 돌출부를 브러쉬 고정부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삽입하는 형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바,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브러쉬를 브러쉬 고정부에 결합할 때에 브러쉬가 비틀리거나 구부려져도 브러쉬 내측에 위치하는 홈에 의해서 그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주서기를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주서기를 아래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브러쉬를 구비한 스크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를 구비한 스크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즙율을 증가시키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착즙'의 용어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주입된 재료를 절단, 분쇄, 압착 및/또는 착즙물 추출의 모든 단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재료가 착즙되면 '착즙물'과 '펄프'가 생성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착즙물'은 사용자가 재료를 착즙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펄프'는 착즙물이 착즙되고 남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착즙 스크류 조립체(400) 및 주서기(500)의 구조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5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주서기(5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500)는 덮개(10), 덮개(10)와 체결되는 드럼(100), 드럼(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드럼(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본체(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드럼(100)과 스크류 조립체(200)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400)'로 지칭한다.
덮개(10)는 착즙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주입구(11)가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덮개(10)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회전축 고정홈(14) 및 바닥면 내경을 따라 결착턱(13)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1)에 착즙대상물이 잘 주입되도록 하는 막대형상의 주입봉(12)을 포함한다.
드럼(10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중공 원통 형태의 용기 구조로서, 상단 외부면에 형성되는 결착홈(150), 드럼(100) 내부 바닥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턱(110), 안내턱(110)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홈(115), 안내홈(115)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111), 안내턱(110)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홈(112), 찌꺼기 배출공(120), 착즙물 배출공(130), 찌꺼기 유동관(121), 착즙물 유동관(131), 드럼(100) 중앙부에 형성되는 방수원통(140)을 포함한다.
결착홈(150)은 드럼(100)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10)에 형성된 결착턱(13)과 대응하여 체결되어 덮개(10)와 드럼(100)이 결합된다.
제 1 가이드 홈(111)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안내홈(115)의 외측에 안내홈(115)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가이드 홈(111)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찌꺼기 배출공(120)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홈(112)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안내턱(110)의 내측에 안내턱(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가이드 홈(112)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착즙물 배출공(130)이 형성된다.
또한, 찌꺼기 유동관(121) 및 착즙물 유동관(131)이 상기 찌꺼기 배출공(120) 및 착즙물 배출공(130)과 각각 연통하여 드럼(100)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찌꺼기 및 착즙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방수원통(140)은 소정높이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서 드럼(100) 내부 중심에 관통형성되고, 방수부재(141)를 포함한다.
방수부재(141)는 상기 방수원통(140)의 상부에 부착되어 후술할 회전축(210)과 방수원통(140) 사이의 틈새를 막아 착즙시 착즙물의 누출을 방지한다.
스크류 조립체(200)는 상기 드럼(100)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0), 회전축(210)을 둘러싸는 착즙날(220), 착즙망(230),브러쉬(27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10)은 원통형의 회전체로서 상부회전축(211) 및 각형축공(212)을 포함한다.
상부회전축(211)은 회전축(210)의 상부에 회전축(210)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덮개(10)에 형성된 회전축 고정홈(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각형축공(212)은 회전축(210) 하부에 상기 상부회전축(211)과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 조립체(200)가 상기 드럼(100) 내부에 설치될 때 상기 회전축(210)이 드럼(100)에 형성된 방수원통(140)을 관통하여 각형축공(212)과 본체의 각형축(310)이 결합된다.
착즙날(220)은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착즙망(230)은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소정 높이를 가진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착즙공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착즙공의 크기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드럼(100)과 스크류 조립체(200) 사이에서 착즙된 착즙물은 착즙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가이드 홈(112)으로 흐르게 하고 찌꺼기는 착즙공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상기 제 1 가이드 홈(111)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착즙공의 크기는 착즙물과 찌꺼기가 분리될 수 있는 크기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브러쉬 고정부 설명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에는 브러쉬(27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브러쉬 고정부(280)가 위치한다.
브러쉬(270)는 브러쉬 상단부(272) 및 브러쉬 하단부(276)를 포함한다. 브러쉬 상단부(272)는 일측에서 좌우 양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 1 돌출부(274)를 포함하며, 브러쉬 하단부(276)는 일측에서 좌우 양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 2 돌출부(278)를 포함한다.
브러쉬 상단부(272)와 브러쉬 하단부(276)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바, 마찬가지로 이러한 한쌍의 제 1 돌출부(274)와 한쌍의 제 2 돌출부(278)도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한쌍의 제 1 돌출부(274)는 후술할 브러쉬 상단 고정부(281)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삽입홈(283)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한쌍의 제 2 돌출부(278)는 후술할 브러쉬 하단 고정부(285)에 형성된 한쌍의 제 2 삽입홈(28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브러쉬와 달리 브러쉬(270)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브러쉬 고정부(280)에 고정됨으로써 결합력이 증대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브러쉬와 달리 브러쉬(270)에 위로 또는 아래로 힘이 가해질 때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제 1 돌출부(274)와 한쌍의 제 2 돌출부(278)가 한쌍의 제 1 삽입홈(283)과 한쌍의 제 2 삽입홈(287)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브러쉬 상단부(272)는 브러쉬(270)의 일말단에 위치하며, 브러쉬의 하단부(276)는 브러쉬(270)의 일말단과 브러쉬(270)의 타말단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브러쉬 상단부(272)는 브러쉬 상단 고정부(281)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브러쉬 상단부(272)는 브러쉬(270)에서 최상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이 된다. 브러쉬 하단부(276)는 브러쉬 하단 고정부(285)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브러쉬 하단부(276)와 브러쉬(270)의 타말단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브러쉬(270)의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브러쉬 고정부(280)는 브러쉬 상단부(272)에 상응하는 브러쉬 상단 고정부(281) 및 브러쉬 하단부(276)에 상응하는 브러쉬 하단 고정부(285)를 포함한다.
브러쉬 상단 고정부(281)는 일측에서 돌출된 한쌍의 제 1' 돌출부(282) 및 한쌍의 제 1' 돌출부(282)와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삽입홈(283)을 포함한다. 한쌍의 제 1' 돌출부(282)는 위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브러쉬 하단 고정부(285)는 일측에서 돌출된 한쌍의 제 2' 돌출부(286) 및 한쌍의 제 2' 돌출부(286)와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제 2 삽입홈(287)을 포함한다. 한쌍의 제 2' 돌출부(286)는 아래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 1 돌출부(274)는 한쌍의 제 1 삽입홈(283)에 삽입되고, 한쌍의 제 2 돌출부(278)는 한쌍의 제 2 삽입홈(287)에 삽입되면 브러쉬(270)가 브러쉬 고정부(280)에 결합된다. 상부와 하부 양쪽에서 결합되어 브러쉬(270)가 위아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힘을 받아도 브러쉬 고정부(28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나아가 세척시에도 사용자가 힘을 주어 분리시키지 않는다면 브러쉬(270)가 브러쉬 고정부(28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아 분실 가능성이 낮아진다.
브러쉬(270)의 내측에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홈(275)이 위치한다. 도 6은 브러쉬(270)의 내측에 위치하는 홈(275)을 도시하기 위하여 홈(275)이 생성된 위치에의 브러쉬(270)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러한 홈(275)은 브러쉬(270)가 브러쉬 고정부(28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가해지는 힘을 줄여준다. 즉, 브러쉬(270)를 브러쉬 고정부(280)에 결합시키거나 브러쉬 고정부(280)로부터 분리시킬 때, 제 1 돌출부(274) 및 제 2 돌출부(278)를 제 1 삽입홈(283) 및 제 2 삽입홈(285)에 삽입하는 과정 중에 브러쉬(27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비틀거나 구부려서 삽입하게 된다. 이때 브러쉬(270)의 내측에 홈(275)이 위치하지 아니하면 브러쉬(270) 중에서 구부려지거나 비틀리는 지점에서 브러쉬(270)가 찢어지는 등 손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러쉬(270)의 내측에 홈(275)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275)은 브러쉬(270)의 일측면에서 파인 홈일 수 있거나 또는 브러쉬(270)의 내측 깊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3. 착즙 스크류 조립체(400) 및 주서기(500)의 동작 과정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500)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서기(500)의 스위치(330)를 켜서 주서기(5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300) 내부의 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에 구비된 각형축(310)이 회전하여 각형축(310)과 연결된 회전축(21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회전축(210)과 결합된 스크류 조립체(200)가 드럼(100) 내에서 회전하며 주서기(500)의 동작이 개시된다.
주서기(500)가 동작되면 상기 덮개(10)에 형성된 주입구(11)로 주입봉(12)을 이용하여 착즙대상물을 주입하고 주입된 착즙대상물은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하여 착즙날(220)에 의해 분쇄 및 착즙이 시작된다.
착즙이 시작되면 착즙물은 착즙망(230)에 형성된 착즙공을 통과하여 스크류 조립체(2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착즙물은 상기 드럼(100) 바닥면 내측에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112)에 모이게 되고 모여진 착즙물은 착즙물 배출공(130)을 통하여 착즙물 유동관(131)으로 흐르게 되어 주서기(500) 밖으로 배출되어 이를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한편, 찌꺼기는 착즙망(230)에 형성된 착즙공을 통과하지 못하여 착즙망(230) 외면과 드럼(100) 내벽을 따라 하강하고, 하강한 찌꺼기는 상기 드럼(100) 바닥면 외측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111)에 모이게 되고 모여진 찌꺼기는 찌꺼기 배출공(120)을 통하여 찌꺼기 유동관(121)을 지나 주서기(500) 밖으로 배출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0 : 주서기
400 : 착즙 스크류 조립체
10 : 덮개
11 : 주입구
12 : 주입봉
13 : 결착턱
14 : 회전축 고정홈
100 : 드럼
110 : 안내턱
111 : 제 1 가이드 홈
112 : 제 2 가이드 홈
115 : 안내홈
120 : 찌꺼기 배출공
121 : 찌꺼기 유동관
130 : 착즙물 배출공
131 : 착즙물 유동관
140 : 방수원통
141 : 방수부재
150 : 결착홈
200 : 스크류 조립체
210 : 회전축
220 : 상부회전축
212 : 각형축공
220 : 착즙날
230 : 착즙망
270 : 브러쉬
272 : 브러쉬 상단부
274 : 한쌍의 제 1 돌출부
275 : 홈
276 : 브러쉬 하단부
278 : 한쌍의 제 2 돌출부
280 : 브러쉬 고정부
281 : 브러쉬 상단 고정부
282 : 한쌍의 제 1' 돌출부
283 : 한쌍의 제 1 삽입홈
285 : 브러쉬 하단 고정부
286 : 한쌍의 제 2' 돌출부
287 : 한쌍의 제 2 삽입홈
300 : 본체
310 : 각형축

Claims (6)

  1. 스크류 조립체(200);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브러쉬 고정부(280); 및
    상기 한쌍의 브러쉬 고정부(280)에 결합된 브러쉬(270);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270)는,
    상기 브러쉬 고정부(280)에 결합된 브러쉬 상단부(272) 및 브러쉬 하단부(276)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 고정부(280)는,
    상기 브러쉬 상단부(272) 및 상기 브러쉬 하단부(276)에 각각 상응하는 한쌍의 브러쉬 상단 고정부(281) 및 한쌍의 브러쉬 하단 고정부(285)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상단부(272)는 일측에서 좌우 양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 1 돌출부(274)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 하단부(276)는 일측에서 좌우 양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2 돌출부(278)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 상단부(272)와 상기 브러쉬 하단부(276)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착즙 스크류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상단부(272)는 상기 브러쉬(270)의 일말단에 위치하며,
    상기 브러쉬 하단부(276)는 상기 브러쉬(270)의 일말단과 상기 브러쉬(270)의 타말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브러쉬 상단 고정부(281)는,
    각각의 일측에서 돌출된 한쌍의 제 1' 돌출부(282); 및
    상기 한쌍의 제 1' 돌출부(282)와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삽입홈(283);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브러쉬 하단 고정부(285)는,
    각각의 일측에서 돌출된 한쌍의 제 2' 돌출부(286); 및
    상기 한쌍의 제 2' 돌출부(286)와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된 한쌍의 제 2 삽입홈(287);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제 1 삽입홈(283) 각각에 상기 한쌍의 제 1 돌출부(274)가 삽입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삽입홈(287) 각각에 상기 한쌍의 제 2 돌출부(278)가 삽입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270)의 내측에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홈(275)이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0140103719A 2014-08-11 2014-08-11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287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19A KR102287205B1 (ko) 2014-08-11 2014-08-11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19A KR102287205B1 (ko) 2014-08-11 2014-08-11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241A true KR20160019241A (ko) 2016-02-19
KR102287205B1 KR102287205B1 (ko) 2021-08-06

Family

ID=5544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719A KR102287205B1 (ko) 2014-08-11 2014-08-11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851A (ko) * 2016-03-17 2017-09-27 세브 에스.아. 스위프 시스템을 구비한 과일류 및/또는 야채류 음식물 압착용 스크루 및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6262A (en) * 1982-06-01 1985-01-29 Sangster George G Linking means
KR20110005467U (ko) * 2009-11-26 2011-06-01 이상탁 플라스틱안경테의 렌즈 및 안경다리 결합구조
CN201929686U (zh) * 2011-01-18 2011-08-17 陈宜文 榨汁机网筒清理装置
KR20130042991A (ko) * 2011-10-19 2013-04-29 코웨이 주식회사 테이퍼 구조의 하우징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6262A (en) * 1982-06-01 1985-01-29 Sangster George G Linking means
KR20110005467U (ko) * 2009-11-26 2011-06-01 이상탁 플라스틱안경테의 렌즈 및 안경다리 결합구조
CN201929686U (zh) * 2011-01-18 2011-08-17 陈宜文 榨汁机网筒清理装置
KR20130042991A (ko) * 2011-10-19 2013-04-29 코웨이 주식회사 테이퍼 구조의 하우징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851A (ko) * 2016-03-17 2017-09-27 세브 에스.아. 스위프 시스템을 구비한 과일류 및/또는 야채류 음식물 압착용 스크루 및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205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553B1 (ko) 주스기용 착즙모듈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JP6077546B2 (ja) フィルタ付き作業用カップを備える家電装置
JP6110850B2 (ja) 果物又は野菜の果肉から果物又は野菜の汁を分離する遠心分離器
KR102314000B1 (ko) 솔리드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60851Y1 (ko) 원액기
KR101410908B1 (ko) 은행 껍질 자동탈피기
CN107105912A (zh) 模块化筛和榨汁装置
KR102254613B1 (ko) 세척을 위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패킹 구조체
CN107997525A (zh) 果茶机
KR20150051576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101858127B1 (ko)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TWM482345U (zh) 榨汁機
KR102536304B1 (ko) 미세홀을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66949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150026520A (ko) 수하식 양식굴 껍질 절삭세척기
KR20150019124A (ko) 청소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75273Y1 (ko) 착즙기
KR20150022643A (ko) 찌꺼기 배출 조절이 가능한 주서기
KR20160019241A (ko)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134052A (ko)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17618A (ko) 역류 방지 주서기
KR101311822B1 (ko) 착즙기
KR20150019923A (ko) 착즙율을 증가시키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326230B1 (ko) 드럼 수납 시스템을 구비한 음식물 압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