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887B1 - 수동착즙기 - Google Patents

수동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887B1
KR101286887B1 KR1020110026542A KR20110026542A KR101286887B1 KR 101286887 B1 KR101286887 B1 KR 101286887B1 KR 1020110026542 A KR1020110026542 A KR 1020110026542A KR 20110026542 A KR20110026542 A KR 20110026542A KR 101286887 B1 KR101286887 B1 KR 10128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main body
grinding
tab
manual jui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547A (ko
Inventor
이문현
Original Assignee
이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현 filed Critical 이문현
Priority to KR102011002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8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과일이나 채소 등의 즙을 추출하기 위해 수동으로 착즙을 하는 수동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분쇄홈부가 형성된 중공의 착즙하우징부; 상기 착즙하우징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착즙날이 형성되며, 상기 분쇄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착즙날과 착즙날 사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분쇄탭부가 구비된 착즙롤러부; 상기 착즙하우징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거름망부; 상기 착즙하우징부의 전단에 체결되며, 상기 착즙롤러부의 전단부가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부 및 상기 착즙롤러부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착즙롤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동착즙기에 따르면, 착즙하우징부의 내측에 오목한 분쇄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착즙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착즙롤러부의 외주면에 상기 분쇄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록한 분쇄탭부를 구비하여, 상기 분쇄탭부와 분쇄홈부 사이에서 피착즙물의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분쇄홈부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은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착즙기{Juice Extracting Apparatus that Manually Operated}
본 발명은 수동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과일이나 채소 등의 즙을 추출하기 위해 수동으로 착즙을 하는 수동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란 각종 채소 또는 과일 등의 재료를 압착하여 즙을 추출해내는 장치로써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의 상부에 주입구(2)를 형성하고 주입구(2) 측에서 배출구(1') 측으로 갈수록 차차 직경이 커지게 구성한 스크루(3)를 핸들(10)로 돌려 착즙하게 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몸체(1)의 내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돌조(1")를 축 방향으로 돌설하고 스크루(3)의 표면에는 파쇄돌침(5)을 형성하며 주입구(2)측의 스크루(3)의 날(3')에는 부분적으로 이빨(4)을 형성하고 배출구(1')측에 위치하는 스크루(3)의 날(3')과 날(3') 사이에 약간 경사진 횡방향으로 압착돌조(6)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7은 작은 구멍을 무수히 뚫은 거름판이며, 8은 마개이고, 9는 마개(7)에 뚫은 찌꺼기 배출구멍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착즙기는 과일이나 채소 등의 피착즙물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주입구(2)에 투입하여 수동으로 핸들(10)을 돌리게 되면 스크루(3)와 접하게 되는 피착즙물은 파쇄돌침(5)과 이빨(4)에 의하여 작은 덩어리로 파쇄되고 파쇄된 덩어리는 나선상으로 형성된 스크루(3)의 날(3')에 의하여 간격이 차차 좁아지는 배출구(1')쪽으로 계속 밀려가면서 파쇄돌침(5)에 의하여 더욱 잘게 분쇄된다.
이어서, 스크루(3)의 표면을 타고 이송중인 피착즙물은 압착돌조(6)에 막혀 정체되면서 돌조(1")에 강하게 압박되면서 즙이 짜여지게 되고, 돌조(1")가 압착돌조(6)와의 교차점을 벗어나게 되면 피착즙물은 돌조(1")와 돌조(1") 사이에 있게 되고, 스크루(3)를 타고 계속 이송되는 뒤쪽의 피착즙물에 밀려 앞쪽의 피착즙물은 돌조(1")와 돌조(1")사이의 공간부에서 압착돌조(6)를 넘어서 앞으로 이송된다. 이리하여 짜여진 즙은 배출구(1')로 배출되고, 찌꺼기는 배출구멍(9)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착즙기에서 돌조(1")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단턱 형태의 수직으로 돌출된 형태이므로, 돌조(1")와 돌조(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피착즙물은 단턱에 걸리어 돌조(1")와 돌조(1") 사이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여 돌조(1")와 돌조(1") 사이의 공간에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거름판(7)이 고정되지 않아서 상기 스크루(3)가 회전 시 상기 거름판(7)이 회전되어 상기 배출구(1')로 찌꺼기가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착즙하우징부의 내측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오목한 분쇄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착즙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착즙롤러부의 외주면에 상기 분쇄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볼록한 분쇄탭부를 구비하여, 상기 착즙롤러부가 회전 시 상기 분쇄탭부와 분쇄홈부 사이에서 피착즙물의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분쇄홈부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은 경사면을 따라서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동착즙기는, 내주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분쇄홈부가 형성된 중공의 착즙하우징부; 상기 착즙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착즙날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분쇄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분쇄탭부가 돌출 구비된 착즙롤러부; 상기 착즙하우징부의 내측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거름망부; 상기 착즙하우징부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착즙롤러부의 전단부가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부; 및 상기 착즙롤러부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착즙롤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즙하우징부는 분쇄홈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후방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는 중공의 호퍼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오목한 회전가이드부가 구비되고 하부로 포집구가 형성된 수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착즙롤러부는 전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후단부는 상기 회전가이드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착즙날과, 상기 분쇄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 분쇄탭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쇄홈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2경사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분쇄탭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3경사부와, 상기 제3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4경사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제1경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상기 제4경사부는 상기 제3경사부에 의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분쇄홈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2경사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며 전방에서 후방 사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름망부는 하부로 오목한 형상이고 복수의 미세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와 가이드홈부 사이에 위치된 망체부와, 상기 망체부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삽입된 가이드편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전단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탭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링형상의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 중공이며 원통형상의 이격부와, 상기 걸림탭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밀착부의 외주면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여 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된 걸림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부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의 단부는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부를 향하여 오목한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의 외주면 타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의 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걸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하부로 오목한 받침편과, 상기 받침편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연장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하향 경사지게 대칭으로 분기되어 연장 구비된 제1지지편 및 제2지지편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지부와,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하부로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이동공이 상하로 형성된 연결탭부와, 상하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연결탭부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되는 조절연장부와, 상기 조절연장부의 상단에 구비된 하부지지부와, 상기 조절연장부 하단에 구비된 조절탭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동착즙기에 따르면, 착즙하우징부의 내측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오목한 분쇄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착즙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착즙롤러부의 외주면에 상기 분쇄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볼록한 분쇄탭부를 구비하여, 상기 착즙롤러부가 회전 시 상기 분쇄탭부와 분쇄홈부 사이에서 피착즙물의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즙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분쇄홈부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은 경사면을 따라서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동착즙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수동착즙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하우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하우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의 A-A'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롤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롤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의 B-B'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하우징부와 착즙롤러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서의 C-C'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거름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거름망부와 착즙하우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커버부와 착즙하우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고정부와 착즙하우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고정부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다른 형태의 착즙하우징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다른 형태의 착즙하우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다른 형태의 착즙하우징부에서 상부본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7에서 가로 방향을 '축 방향', 세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하고,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111)를 향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 내측', 본체부(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반경 방향 외측'이라 하며, 도 8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원주방향'이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소 또는 과일 등의 피착즙물을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기 위한 착즙부(100)와, 상기 착즙부(100)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착즙부(1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즙이 추출되도록 하는 핸들부(300)와, 상기 착즙부(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착즙부(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즙부(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즙하우징부(110)에 착즙롤러부(130)가 삽입되고, 착즙롤러부(130) 하부에 상기 착즙하우징부(1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거름망부(150)가 구비되며, 커버부(800)가 상기 착즙하우징부(110)의 전단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즙롤러부(130)의 전단부는 상기 커버부(8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부(8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착즙롤러부(130)의 전단부에 상기 핸들부(300)를 연결하여 회전시켜면 상기 착즙롤러부(130)가 회전하면서 상기 착즙하우징부(110)로 투입된 피착즙물로부터 즙을 추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하우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하우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의 A-A'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착즙하우징부(1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의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연장되는 중공의 원추형상이며 후방 하부에 배출구(1115)가 형성된 본체부(111)와, 상기 본체부(111)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본체부(111)와 연통되는 중공의 호퍼부(113)와, 상기 본체부(111)의 후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오목한 회전가이드부(1151)가 구비되고 하부로 포집구(1153)가 형성된 수거부(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11)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11)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분쇄홈부(1113)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분쇄홈부(1113)는 각각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쇄홈부(111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1)의 내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경사부(a)와 상기 제1경사부(a)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경사부(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분쇄홈부(1113)의 제1경사부(a) 및/또는 제2경사부(b)는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경사부(b)는 상기 제1경사부(a)에 대해 원주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쇄홈부(1113)의 하부로 상기 본체부(11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부(111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부(111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 사이에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부(111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1)의 전단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탭부(117)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탭부(117)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1)의 전방 하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제1체결공(1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1117)은 상기 호퍼부(113)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롤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롤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의 B-B'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착즙롤러부(13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131)의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축 방향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연장되는 착즙날(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즙날(135)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열로 구비될 수 있다.
축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착즙날(135)과 착즙날(135) 사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분쇄탭부(137)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분쇄탭부(137)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1)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착즙롤러부(130) 또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쇄탭부(13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3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3경사부(c)와 상기 제3경사부(c)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4경사부(d)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분쇄탭부(137)의 제3경사부(c) 및/또는 제4경사부(d)는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4경사부(d)는 상기 제3경사부(c) 보다 원주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31)의 전방 일부는 끼움단부(1311)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방 일부는 상대적으로 반경의 길이가 짧은 소경단부(13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끼움단부(1311)는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아치형으로 형성된 곡면부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착즙하우징부와 착즙롤러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서의 C-C'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즙하우징부(110)와 착즙롤러부(130)가 이루어지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즙롤러부(130)를 상기 착즙하우징부(110)의 본체부(111)로 관통 삽입시켜 상기 본체부(111) 내에서 상기 착즙롤러부(130)가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31)의 전단부는 상기 본체부(111) 전방으로 돌출되며 후단부인 상기 소경단부(1315)는 상기 회전가이드부(115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1151)에는 원통형상의 제1부싱(710)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가이드부(1151)에 삽입되는 상기 소경단부(1315)는 상기 제1부싱(710)에 삽입되어 회전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즙롤러부(130)에 구비된 상기 분쇄탭부(137)는 상기 본체부(1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분쇄홈부(1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경사부(a)와 제3경사부(c)에 대하여, 상기 제2경사부(b)와 제4경사부(d)는 원주방향으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쇄탭부(137)는 상기 제3경사부(c)와 제4경사부(d)가 교차되는 지점과 상기 본체부(111)의 내측면 사이가 근접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제3경사부(c)와 제4경사부(d)가 교차되는 지점과 상기 본체부(111)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약 0.1mm 정도로 할 수가 있다.
피착즙물을 상기 착즙하우징부(110)로 투입시키고 상기 착즙롤러부(130)를 회전시키면, 피착즙물은 상기 착즙롤러부(130)의 착즙날(135)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즙이 추출된다.
여기서, 상기 착즙날(135)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피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착즙하우징부(110)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므로, 피착즙물이 상기 착즙날(135)을 따라서 이동되면 압착력이 증가되어 착즙 효율이 증가된다.
상기 착즙날(135)을 따라 이동되던 피착즙물은 상기 본체부(111)에 형성된 분쇄홈부(1113)로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착즙롤러부(130)가 회전하면 상기 분쇄홈부(1113)에 대응되도록 구비된 분쇄탭부(137)도 회전하면서 상기 착즙롤러부(130)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분쇄홈부(1113)에 피착즙물이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분쇄탭부(137)의 제4경사부(d)가 상기 분쇄홈부(1113)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을 압착하게 되므로 착즙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4경사부(d)와 상기 제2경사부(b)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면서 상기 제2경사부(b)와 제4경사부(d) 사이에 위치하던 피착즙물은 압착되면서 더욱 잘게 분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b)는 회전방향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쇄탭부(137)가 회전하여 상기 분쇄홈부(1113)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은 가압하면서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상기 분쇄홈부(1113)에 위치하는 피착즙물은 즙이 추출되면서 회전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쇄홈부(1113)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은 상기 분쇄홈부(1113)로 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상기 분쇄홈부(1113)로부터 이탈된 피착즙물은 상기 착즙날(135)을 따라서 계속 이동하여 즙이 추출된 후 남은 찌꺼기는 상기 포집부(115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피착즙물로부터 추출된 즙은 상기 배출구(11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거름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거름망부와 착즙하우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거름망부(15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의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연장되며 하부로 오목한 반 원추형상이고 복수의 미세공(157)이 관통 형성된 망체부(151)와, 상기 망체부(151)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편부(155)로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부(150)의 가이드편부(155)를 상기 본체부(111)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111)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시켜 상기 거름망부(150)가 상기 본체부(111)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망체부(151)는 상기 가이드홈부(1111)와 가이드홈부(1111)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본체부(111) 내측에 접촉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상기 망체부(151)는 상기 본체부(111)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1115)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11)에서의 피착즙물로부터 추출된 즙은 상기 망체부(151)를 통과한 후 상기 배출구(1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커버부와 착즙하우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커버부(80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밀착부(810)와, 상기 밀착부(81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 중공이며 원통형상의 이격부(830)와,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절곡되며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걸림홈부(851)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걸림브라켓(8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브라켓(850)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850)의 단부는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부를 향하여 오목한 걸림홈부(85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 타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850)의 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걸림홈부(851)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800)는 상기 밀착부(810)가 상기 본체부(111)의 전단에 밀착되도록 한 후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1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부(810)에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부(851)와 타측에 형성된 걸림홈부(85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이므로, 상기 커버부(8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착부(810)의 일측 걸림브라켓(850)에 형성된 걸림홈부(851)에는 상기 본체부(111)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탭부(117)가 삽입되고, 상기 밀착부(810)의 타측 걸림브라켓(850)에 형성된 걸림홈부(851)에는 상기 본체부(111)의 타측에 구비된 걸림탭부(117)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800)는 상기 본체부(111)의 전단부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800)를 상기 본체부(111)로 이탈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커버부(800)를 상기 본체부(111)에 결합시킬 때 회전시킨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부(8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착부(810)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850)은 상기 본체부(111)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탭부(117)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밀착부(810)의 타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850)은 상기 본체부(111)의 타측에 구비된 걸림탭부(117)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커버부(800)를 상기 본체부(111)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고정부와 착즙하우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고정부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착즙하우징부(110)를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1)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하부로 오목한 받침편(510)과, 상기 받침편(5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연장된 기둥부(520)와, 상기 기둥부(520)의 하단에 하향 경사지게 대칭으로 분기되어 연장 구비된 제1지지편(5301)과 제2지지편(5303)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지부(530)와, 상기 기둥부(5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된 연결부(540)와, 상기 연결부(54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이동공이 상하로 형성된 연결탭부(550)와, 상하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연결탭부(550)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되는 조절연장부(570)와, 상기 조절연장부(570)의 상단에 구비된 하부지지부(560)와, 상기 조절연장부(570) 하단에 구비된 조절탭부(58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편(510)에는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제2체결공(5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탭부(550)의 이동공이 형성된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연장부(570)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연장부(570)는 나사결합방식으로 상기 연결탭부(550)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500)가 이루어지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1)의 하면에 상기 받침편(510)을 결합시킨다.
상기 본체부(111)에 형성된 제1체결공(1117)과 상기 받침편(510)에 형성된 제2체결공(515)을 관통하여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11)에 상기 받침편(510)을 결합시킬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고정부(500)를 상기 본체부(111)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부(111), 받침편(510), 기둥부(520), 상부지지부(530), 연결부(540) 및 연결탭부(55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11)에 상기 고정부(500)가 결합되면 상기 착즙하우징부(110)를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500)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탁자 또는 책상 등의 판지지체(900)를 상기 상부지지부(530)와 하부지지부(560)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상부지지부(530)의 하면이 상기 판지지체(9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지지부(560)가 상기 판지지체(900)의 하면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조절탭부(580)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하부지지부(560)가 상기 판지지체(900)를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지지부(530)는 지1지지편(5301)과 제2지지편(5303)으로 나누어져 각각 접촉된 상태이므로 상기 판지지체(900)의 상면이 울퉁불퉁 하는 등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안정감 있게 접촉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착즙하우징부(110)가 결합된 고정부(500)를 상기 판지지체(900)에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즙하우징부(110)로 상기 착즙롤러부(130)를 삽입시키고, 상기 커버부(800)를 상기 본체부(111)의 전단부에 결합시키면, 상기 커버부(800)의 이격부(830) 전방으로 상기 회전축(131)의 전단부가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이격부(830) 내측에는 제2부싱(730)이 삽입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31)이 전단부는 상기 제2부싱(730)을 관통하여 상기 이격부(83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31)의 전방 일부인 끼움단부(1311)가 상기 이격부(83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즙롤러부(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들부(300)가 상기 회전축(131)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회전축(131)의 전방에 고정 결합되는 체결탭부(310)와, 상기 체결탭부(310)의 외주면 일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 연장부(330)와, 상기 연장부(330)의 단부에 축 방향 전방으로 구비된 손잡이부(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탭부(310)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상기 끼움단부(1311)가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300)가 상기 착즙롤러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단부(1311)는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아치형으로 형성된 곡면부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체결탭부(310)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주면에도 상기 끼움단부(1311)에 형성된 평탄부와 곡면부에 대응되는 평탄부와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착즙기가 이루어지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일이나 채소 등의 피착즙물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호퍼부(113)에 투입하여 손잡이부(350)를 잡고서 수동으로 핸들부(300)를 돌린다.
이어서, 상기 착즙롤러부(130)가 회전하게 되고, 피착즙물은 상기 착즙롤러부(130)의 착즙날(135)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즙이 추출된다.
상기 착즙날(135)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피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므로, 피착즙물은 상기 착즙날(135)을 따라서 이동되면 압착력이 증가되어 착즙 효율이 증가된다.
상기 착즙날(135)을 따라 이동되던 피착즙물은 상기 본체부(111)에 형성된 분쇄홈부(1113)로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착즙롤러부(130)가 회전하면 상기 분쇄홈부(1113)에 대응되도록 구비된 분쇄탭부(137)도 회전하면서 상기 착즙롤러부(130)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분쇄홈부(1113)에 피착즙물이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분쇄탭부(137)의 제4경사부(d)가 상기 분쇄홈부(1113)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을 압착하게 되므로 즙이 추출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2경사부(b)는 회전방향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쇄탭부(137)가 회전하여 상기 분쇄홈부(1113)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은 가압하면서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상기 분쇄홈부(1113)에 위치하는 피착즙물은 즙이 추출되면서 회전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쇄홈부(1113)에 존재하는 피착즙물은 상기 분쇄홈부(1113)로 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상기 분쇄홈부(1113)로부터 이탈된 피착즙물은 상기 착즙날(135)을 따라서 계속 이동하여 즙이 추출된 후, 남은 찌꺼기는 상기 포집부(115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피착즙물로부터 추출된 즙은 거름망부(150)를 통하여 상기 배출구(1115)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115) 및 포집부(1153) 하부에는 별도의 수납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배출구(1115)로 배출되는 즙과 상기 포집부(1153)로 배출되는 찌꺼기를 모을 수가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다른 형태의 착즙하우징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다른 형태의 착즙하우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착즙기를 이루는 다른 형태의 착즙하우징부에서 상부본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즙하우징부에서 본체부를 상부본체부(111a)와 하부본체부(111b)로 나눈 후 상부본체부(111a)의 하부와 하부본체부(111b)의 상부를 용접하여 본체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부(111a)와 하부본체부(111b) 사이에 거름망부(150a)를 삽입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본체부(111a)의 일측 및 타측 폭보다 하부본체부(111b)의 일측 및 타측 폭이 작도록 형성하여 상부본체부(111a)와 하부본체부(111b)가 결합 시 상기 상부본체부(111a)와 하부본체부(111b) 사이에서 단턱부(11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거름망부(150a)는 축 방향의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연장되며 하부로 오목한 반 원추형상이고 복수의 미세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부(150a)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단턱부(1112)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상기 거름망부(150a)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상기 거름망부(150)가 상기 상부본체부(111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거름망부(151a)는 일측과 타측이 상기 단턱부(1112)에 접촉되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상기 상부본체부(111a)의 내측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분쇄홈부(1114)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분쇄홈부(1114)는 상기 상부본체부(111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쇄홈부(1114)가 형성된 상기 상부본체부(111a)의 외측은 상기 분쇄홈부(1114)가 형성된 만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분쇄홈부(1114)는 상기 상부본체부(111a) 내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경사부(c)와, 상기 제1경사부(c)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평탄부(d)와, 상기 평탄부(d)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2경사부(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착즙하우징부 1113: 분쇄홈부
130: 착즙롤러부 135: 착즙날
137: 분쇄탭부 150: 거름망부
157: 미세공 300: 핸들부
800: 커버부

Claims (10)

  1. 내주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분쇄홈부(1113)가 형성된 중공의 본체부(111)를 가지는 착즙하우징부(110); 상기 착즙하우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착즙날(135)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분쇄홈부(1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분쇄탭부(137)가 구비된 착즙롤러부(130); 상기 착즙하우징부(110)에 구비되며 복수의 미세공(157)이 형성된 거름망부(150); 상기 착즙하우징부(110)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착즙롤러부(130)의 전단부가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부(800); 및 상기 착즙롤러부(13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착즙롤러부(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들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탭부(137)는 상기 본체부(111)의 내측면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탭부(137)와 상기 본체부(111)의 내측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하우징부(110)는 상기 본체부(111)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11)와 연통되는 중공의 호퍼부(113)와, 상기 본체부(111)의 후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오목한 회전가이드부(1151)가 구비되고 하부로 포집구(1153)가 형성된 수거부(1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롤러부(130)는 전단부는 상기 본체부(111)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후단부는 상기 회전가이드부(1151)에 삽입되는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131)의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착즙날(135)과, 상기 분쇄탭부(13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홈부(1113)는 상기 본체부(111) 내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경사부(a)와, 상기 제1경사부(a)의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2경사부(b)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분쇄탭부(137)는 상기 회전축(13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3경사부(c)와, 상기 제3경사부(c)의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4경사부(d)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부(b)는 상기 제1경사부(a)에 대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상기 제4경사부(d)는 상기 제3경사부(c)에 의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홈부(1113)는 상기 본체부 내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경사부(c)와, 상기 제1경사부(c)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평탄부(d)와, 상기 평탄부(d)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2경사부(e)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1)의 내측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며 전방에서 후방 사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홈부(1111)가 형성되며,
    상기 거름망부(150)는 하부로 오목한 형상이고 복수의 미세공(157)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1111)와 가이드홈부(1111) 사이에 위치된 망체부(151)와, 상기 망체부(15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홈부(1111)에 슬라이딩 삽입된 가이드편부(1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1)의 전단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탭부(117)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800)는 링형상의 밀착부(810)와, 상기 밀착부(81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 중공이며 원통형상의 이격부(830)와, 상기 걸림탭부(117)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여 걸림홈부(851)가 각각 형성된 걸림브라켓(8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850)의 단부는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부를 향하여 오목한 걸림홈부(851)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 타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850)의 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8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걸림홈부(8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1)의 하부에는 고정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500)는 하부로 오목한 받침편(510)과, 상기 받침편(5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연장된 기둥부(520)와, 상기 기둥부(520)의 하단에 하향 경사지게 대칭으로 분기되어 연장 구비된 제1지지편(5301) 및 제2지지편(5303)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지부(530)와, 상기 기둥부(520)의 일측에 연결되며 하부로 연장된 연결부(540)와, 상기 연결부(54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이동공이 상하로 형성된 연결탭부(550)와, 상하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연결탭부(550)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되는 조절연장부(570)와, 상기 조절연장부(570)의 상단에 구비된 하부지지부(560)와, 상기 조절연장부(570) 하단에 구비된 조절탭부(5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동착즙기.
KR1020110026542A 2011-03-24 2011-03-24 수동착즙기 KR10128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542A KR101286887B1 (ko) 2011-03-24 2011-03-24 수동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542A KR101286887B1 (ko) 2011-03-24 2011-03-24 수동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547A KR20120108547A (ko) 2012-10-05
KR101286887B1 true KR101286887B1 (ko) 2013-07-16

Family

ID=4728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542A KR101286887B1 (ko) 2011-03-24 2011-03-24 수동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8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2679A (zh) * 2016-06-15 2016-08-17 尚艳燕 一种手摇搅拌机
CN105852678A (zh) * 2016-06-15 2016-08-17 尚艳燕 一种手摇搅拌机
WO2019011210A1 (en) * 2017-07-12 2019-01-17 Golden Choice Products Ltd. DEVICE FOR EXTRACTING JU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1300A (zh) * 2013-05-06 2013-08-21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简易榨汁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655Y1 (ko) * 1982-02-24 1983-12-08 유병권 간이 착즙기
KR960000063Y1 (ko) * 1993-05-19 1996-01-04 김종길 착즙기
US20070277682A1 (en) * 2006-06-06 2007-12-06 Yan Kwong Wong Multi-function juic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655Y1 (ko) * 1982-02-24 1983-12-08 유병권 간이 착즙기
KR960000063Y1 (ko) * 1993-05-19 1996-01-04 김종길 착즙기
US20070277682A1 (en) * 2006-06-06 2007-12-06 Yan Kwong Wong Multi-function juic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2679A (zh) * 2016-06-15 2016-08-17 尚艳燕 一种手摇搅拌机
CN105852678A (zh) * 2016-06-15 2016-08-17 尚艳燕 一种手摇搅拌机
WO2019011210A1 (en) * 2017-07-12 2019-01-17 Golden Choice Products Ltd. DEVICE FOR EXTRACTING JU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547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4966C2 (ru) Сепаратор перетирающего действ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отделения фруктового или овощного сока от фруктовой или овощной мякоти
KR101343599B1 (ko)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TWI505798B (zh) 用於榨汁機的榨汁模組
KR101099429B1 (ko) 원액기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DK2649913T3 (en) Multi Purpose Juice Machine.
KR200483171Y1 (ko)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압착 유형 주스 추출기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KR101286887B1 (ko) 수동착즙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TWM473791U (zh) 榨汁機與用於榨汁機的硏磨座
KR20160016368A (ko) 솔리드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074420B1 (ko) 원액기
KR101858127B1 (ko)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432635B1 (ko) 사탕수수용 착즙기
KR200494674Y1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0439863Y1 (ko) 수직형 녹즙기의 녹즙찌꺼기 분리장치
US20150201667A1 (en) Masticating separator for separating fruit or vegetable juice from fruit or vegetable pulp
CN108697147B (zh) 柑橘类水果榨汁机
KR20170030628A (ko)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
KR101218489B1 (ko) 착즙기
KR200493891Y1 (ko) 착즙 주스기
CN106308443B (zh) 料理机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80111262A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