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3689A -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689A
KR20150013689A KR1020147034005A KR20147034005A KR20150013689A KR 20150013689 A KR20150013689 A KR 20150013689A KR 1020147034005 A KR1020147034005 A KR 1020147034005A KR 20147034005 A KR20147034005 A KR 20147034005A KR 20150013689 A KR20150013689 A KR 20150013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ing device
rotary actuating
screw
leading edge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392B1 (ko
Inventor
파비앙 들라보
크리스티앙 로드
니콜라 수베르비에
다비드 지네스테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5001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가전기기를 위한 회전식 작동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식 작동 장치는 2개의 교차 삽입된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를 갖는 압착용 스크루(7)를 포함하고,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76a, 76b)를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의 상부 선두 에지(74b, 74a)와 마련하는 열린 상부(75a, 75b)에 의해 연장되고, 각각의 열린 상부(75a, 75b)는 상부 선두 에지(74a, 74b)에서 후퇴되어 연장되는 중간 받침면(77a, 77b)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중간 받침면(77a, 77b)은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의 상부 선두 에지(74b, 74a) 하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쳐지는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에 의해 연장되고,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는 중간 받침면(77a, 77b)에 대하여 단절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형의 회전식 작동 장치(100)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ROTARY WORKING MEMBER AND ELECTRIC HOUSEHOLD FOOD PREPARATION APPLIANCE COMPRISING A PRESSING SCREW}
본 발명은 주로 수직인 회전축을 따라 작동 챔버 내에 배치된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주스 또는 퓨레를 제조하기 위한, 필터 요소에 연결된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압착기 유형, 및/또는 다짐 요리를 위한, 출구에서 회전식 칼에 연결된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다짐기 유형의 조리용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문헌 CN 2 02020270U는 2개의 교차 삽입된 주 스크루 스레드를 갖는 주스 추출기를 위한 압착용 스크루를 개시한다. 그 압착용 스크루의 상부는 평평하고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는 상부로부터 압착용 스크루 축의 둘레를 감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단점은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의 열린 상단부가, 한편으로는 선두 에지 하부에서 이어지는 다른 스크루 스레드와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크루 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경사를 이루는 선두 에지를 형성한다는 점이다. 음식물 투입용 슈트(chute) 하부에서 그러한 압착용 스크루가 회전할 때, 음식물 투입용 슈트 하부에서 선두 에지가 매 번 통과할 때마다 상대적으로 많은 분량의 음식물이 절단될 수 있고, 나아가 절단 높이가 실제로 조절되지 않는다. 본 구성들은 압착 효율이 음식물 투입률에 적용되어있지 않으면 기기의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면서도, 압착용 스크루에 대한 공급을 더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리용 가전기기를 위한 회전식 작동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기의 공급률이 더 양호하게 조절되는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 목적들은, 축 둘레로 배치되어 교차 삽입된 2개의 주 스크루 스레드를 갖는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를 위한 회전식 작동 장치로서,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는 음식물 절단을 위하여 준비된 상부 선두 에지까지 이어지는 열린 상부에 의해 연장되고, 각각의 열린 상부는 나머지 열린 상부의 상부 선두 에지와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마련하고, 각각의 열린 상부는 상부 선두 에지에서 후퇴하여 펼쳐지는 중간 받침면을 갖는, 조리용 가전기기를 위한 회전식 작동 장치로써 달성되는데, 각각의 중간 받침면은 다른 열린 상부의 상부 선두 에지 하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쳐지는 하부 측부 리세스(recess)에 의해 연장되고, 하부 측부 리세스는 중간 받침면에 대하여 단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은 상부 선두 에지들과 상기 상부 선두 에지와 거리를 두고 이어지는 열린 상부 사이에 마련된 각각의 통로의 규모를 더욱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절단된 음식물은 그와 같이 압착용 스크루의 스레드에 의해 압착되고 수송되기 이전에 하부 측부 리세스 내에 수집된다. 그러한 구성은 주 스크루 스레드들이 상기 통로의 위치에서 거의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압착용 스크루에 비하여 통로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음식물 절단을 더욱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그 경우 유리하게는, 각각의 하부 측부 리세스는 다른 열린 상부의 상부 선두 에지 전체의 하부에서 펼쳐진다. 다시 말하자면,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의 길이 전체가 하부 측부 리세스의 상부에서 이어진다. 그러한 구성은, 상부 선두 에지들이 하부 측부 리세스 너머로 이어질 때보다, 절단율의 제어에 지장을 주지않고, 더 큰 단면을 갖는 음식물 통로를 마련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구성은 절단된 음식물의 조각들이 리세스 내로 떨어지는 것을 유리하게 하고, 음식물 조각들이 상부 선두 에지들과 중간 받침면들 사이에 끼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각 중간 받침면은 경사도가 1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5도 미만이고 하부 측부 리세스에 의해 연장되는 단면을 갖는다. 그러한 구성은 큰 개방 단면을 갖는 슈트(chute)의 사용을 유리하게 한다. 음식물의 절단 높이는 더욱 양호하게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받침면 상에 놓인 음식물은 상부 선두 에지에 의해 절단되기 전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상기 단면은 거의 일정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회전식 작동 장치 절반을 각각 마주하여 배치된 2개의 슈트 또는 하나의 이중 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중간 받침면은 상부 선두 에지와 절단용 지지대 단면 사이에서 하나의 계단을 형성하는 접합 단면을 갖는다. 그러한 구성은, 우수한 절단 정확도를 갖기에 유리한 중간 경사를 갖는 절단용 지지대 단면을 허용하면서, 경사도가 거의 일정한 중간 받침면보다 더 큰 절단 높이를 수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상부 선두 에지들은 테두리 크라운으로 둘러싸인다. 그러한 구성은 회전식 작동 장치의 상부에서 작동 챔버 내에서 음식물들을 중앙에 집중시킬 수 있게 하고, 작은 조각들이 회전식 작동 장치 둘레에 끼이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는 열린 상부에서부터 감소하는 경사도를 갖는 경사진 상부면을 하부 측부 리세스 내에 갖는다. 그러한 구성은 하부 측부 리세스들 내에 음식물이 축적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는 테두리 방향으로 함몰한다. 그러한 구성은 음식물의 절단을 유리하게 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는 볼록하다. 그러한 구성 또한 음식물의 절단을 유리하게 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는 압착용 스크루의 주 본체 상에 부착된 절단용 날에 속한다. 그러한 구성은, 특히 당근 등과 같은 단단한 재료들의 경우, 절단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상부 선두 에지들은 돌출한 상부 윤심 둘레로 배치된다. 그러한 구성은 회전식 작동 장치의 그립(grip)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회전식 작동 장치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해진다.
그러한 목적들은 또한 압착용 스크루의 상단부와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식물 투입용 슈트 및 배출구를 갖는 작동 챔버 내에서 주로 수직인 축을 따라 회전 구동되는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에 의해서도 달성되는데, 이는 압착용 스크루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한 특성들 중 하나에 따른 회전식 작동 장치에 속하기 때문이다.
유리하게는, 그 회전식 작동 장치는 작동 챔버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 조리용 가전기기는 회전식 작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마련된 상부 구동 출구에 연결된 전기 모터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 작동 챔버는 케이싱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체예로서, 케이싱은 작동 챔버에 연합될 수 있다.
주스 또는 퓨레의 수득을 위하여 적용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요소가 회전식 작동 장치를 수용하는 제1 구획과 배출구를 갖는 제2 구획으로 작동 챔버를 분리한다.
다짐 요리를 수득하기 위하여 적용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그릴(grill)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식 칼이 회전식 작동 장치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절대 비한정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와 변형예를 숙지함으로써 더욱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가전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입면도 및 부분 단면도로서, 모터를 수용하는 케이싱은 개략적으로 도시됨.
도2는 도1에 도시된 기기의 작동 챔버 내에 수용된 필터 요소의 상부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기기의 필터 요소 및 작동 용기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
도4 및 도5는 도1에 도시된 기기의 작동 챔버 내에 수용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작동 장치의 2개 시각에서의 상부 사시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기기의 상부 구동 출구 및 케이싱의 일부를 도시.
도7은 도1에 도시된 기기의 작동 챔버 내에 수용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작동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
도1에 도시된 조리용 가전기기는 케이싱(1) 및 음식물 투입용 슈트(40)와 배출구(9)를 갖는 작동 챔버(2)를 포함한다. 회전식 작동 장치(100)는 작동 챔버(2) 내에서 주로 수직인 축(15)을 따라 회전 구동된다. 회전식 작동 장치(100)는 압착용 스크루(7)를 포함한다. 음식물 투입용 슈트(40)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의 상단부와 소통한다. 압착용 스크루(7')를 포함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의 변형예는 도7에 도시되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챔버(2)는 뚜껑(4)에 의해 폐쇄되는 작동 용기(3)를 포함한다. 작동 용기(3)는 배출구(9)를 갖는다. 필터 요소(5)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를 수용하는 제1 구획(6)과 배출구(9)를 갖는 제2 구획(8)으로 작동 챔버(2)를 분리한다. 케이싱(1)은 작동 용기(3)가 그 상부에 놓이는 받침대(10)를 형성한다. 케이싱(1)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전기 모터(11)를 수용한다. 전기 모터(11)는 원하는 경우, 개략적으로 도시된 동력전달 장치(13)를 통하여 상부 구동 출구(12)에 연결된다. 상부 구동 출구(12)는 받침대(10) 상에 배치된다.
더욱 특별하게는, 도1 및 도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 구동 출구(12)는 받침대(10)의 돌출부(14)로부터 나온다. 상부 구동 출구(12)는 축(15)의 둘레로 회전 구동된다. 상부 구동 출구(12)는 원하는 경우 동력전달 장치를 통하여, 회전식 작동 장치(100)의 구동을 위하여 마련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용기(3)는 케이싱(1)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작동 챔버(2)는 케이싱(1)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필터 요소(5)는 작동 용기(3)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식 작동 장치(100)는 작동 챔버(2)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용기(3)는 뚜껑(4)에 의해 폐쇄되는 상부 개방부를 갖는다. 배출구(9)는 필터 요소(5) 외부에서 작동 용기(3)의 하부 내에 설치된다. 작동 용기(3)는 돌출부(14)를 덮기 위하여 마련된 축 방향 돌기(31)를 포함하는 바닥 벽(30)을 갖는다.
작동 용기(3)는 전기 모터(11)와 회전식 작동 장치(100) 사이의 동력전달 수단(16)의 통로를 위하여 준비된다. 이를 위하여 축 방향 돌기(31)는 축 방향 개방부(32)를 갖는다. 조인트(33)가 유리하게는 동력 전달 수단(16)과의 밀폐를 보장하기 위하여 축 방향 개방부(32) 내에 장착된다.
뚜껑(4)은, 특히 바요넷(bayonet)(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작동 용기(3) 상에서 잠길 수 있다. 뚜껑(4)은 음식물 투입용 슈트(40)를 갖는다. 음식물 투입용 슈트(40)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의 축에 대하여 측면으로 배치된다. 태핏(tappet)(41)이 음식물 투입용 슈트(40) 내에 배치된다.
필터 요소(5)는 압착용 스크루(7)와 맞대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여과부(55)를 포함한다. 주스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여과부(55)가 주로 압착용 스크루(7)와 배출구(9) 사이에 배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요소(5)는 압착용 스크루(7)를 둘러싼다. 필터 요소는 유리하게는 베이스(51) 및 상부 크라운(52)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다수의 여과부(55)는 그 베이스(51)와 상부 크라운(52)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 링(53)이 베이스(51)와 상부 크라운(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특별하게는, 필터 요소(5)는 작동 용기(3)의 바닥벽(30) 상에 놓인다. 뚜껑(4)이 필터 요소(5)의 상부 크라운(52)을 지탱한다.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중간 링(53)이 베이스(51)와 상부 크라운(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요소(5)는 하부 여과부(50)의 상부에서 펼쳐지는 골이 진(ribbed) 내부 구역(56)을 포함한다. 골이 진 내부 구역(56)은 예를 들어 일련의 수직 중간 리브들(58)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골이 진 내부 구역(56)은 하나 또는 다수의 여과부(56) 너머로 이어진다. 골이 진 내부 구역(56)은 바람직하게는 압착용 스크루(7)의 모든 둘레에서 음식물의 분쇄를 유리하게 하도록 환형이다. 도1 내지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5)는 골이 진 내부 구역(56)의 상부에서 펼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여과부(54)를 갖는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5)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부 여과부의 상부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리브(59)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상부 리브(59)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여과부(55) 위치에서 압착 구역들 쪽으로의 음식물 운반을 유리하게 하기 위하여 압착용 스크루(7) 상부의 스크루 스레드들과 협력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요소(5)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여과부(55)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된 금속판(61) 상에 오버몰딩된 플라스틱 재질의 필터 본체(60)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 또는 다수의 상부 리브들(59) 및 중간 리브들(58)은 필터 본체(60)로부터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 본체(60) 상에 접착에 의해 부착되거나 필터 본체(60)의 고정용 구조물에 맞대어 삽입된 하나 또는 다수의 여과부(55)와 같은, 다른 실시 태양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필터 요소(5)는 특히 하나 또는 다수의 구조물(62)과 같은 모든 공지된 수단에 의해 작동 용기(3)에 대하여 연동된다.
더욱 특별하게는, 압착용 스크루(7)는 필터 요소(5) 상에 놓인다. 탈부착 가능한 압착용 스크루(7)는 도6에 더욱 양호하게 식별되는 상부 구동 출구(12)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도1, 도4 및 도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압착용 스크루(7)는 필터 요소(5)에 맞대어 음식물을 밀어내기 위하여 마련된 스크루 스레드들을 구비한 스크루 본체(70)를 포함한다. 도4, 도5 및 도7에 더욱 양호하게 식별되는 바와 같이, 압착용 스크루(7, 7')는 축(15)의 둘레로 배치되어 교차 삽입된 2개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를 갖는다. 주 스크루 스레드들(71a, 71b)은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압착용 스크루(7, 7')는 시메트리 오더(symmetry order) 2를 가지며 압착용 스크루(7, 7') 둘레로 압착할 음식물을 더욱 양호하게 분배할 수 있다.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는 하부면(72a, 72b)과 상부면(73a, 73b)을 갖는다.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는 음식물을 절단하기 위하여 마련된 상부 선두 에지(74a, 74b)까지 이어지는 열린 상부(75a, 75b; 75'a, 75'b)에 의해 연장된다. 회전식 작동 장치(100)는 그와 같이 스크루 본체(70) 상에서 상부 선두 에지들(74a, 74b)을 포함하는 사전 절단 장치와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를 갖는 스크루 본체(70) 둘레로 이어지는 스크루 스레드들로 형성되는 압착 장치를 결합한다.
각 열린 상부(75a, 75b; 75'a, 75'b)는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 75'b, 75'a)의 선두 에지(74b, 74a)와 적어도 하나의 통로(76a, 76b)를 마련한다. 각 열린 상부(75a, 75b; 75'a, 75'b)는 축(15)에 대하여 상부 선두 에지(74a, 74b)에서부터 후퇴하여 펼쳐지는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을 갖는다. 각각의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은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 75'b, 75'a)의 상부 선두 에지(74b, 74a) 하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쳐지는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에 의해 연장되고,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는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에 대하여 단절부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과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 사이에 경사면의 단절이 존재한다. 원하는 경우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의 상부면(73a, 73b)은 해당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은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의 상부로 나아가는 버팀용 하부 에지(85a, 85b)를 갖는다. 각각의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 내에서는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의 상부면(73a, 73b)의 경사도가, 열린 상부(75a, 75b; 75'a, 75'b)로부터, 더욱 특별하게는 버팀용 하부 에지(85a, 85b)로부터 감소한다. 따라서, 각 열린 상부(75a, 75b; 75'a, 75'b)는 나머지 주 스크루 스레드(71b, 71a)에 의해 덮인 상부면(73a, 73b)의 인접부보다 적은 경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부분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는, 열린 상부(75a, 75b; 75'a, 75'b)에서 부터 경사도가 감소하는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 내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진 상부면(73a, 73b)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압착용 스크루(7, 7')의 주 본체(70) 상에 부착된 절단용 날(81a, 81b)에 속한다. 절단용 날들(81a, 81b)은 유리하게는 금속성이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된, 예를 들어 PBT로 구현된, 주 본체의 오버몰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대체예로서, 절단용 날들(81a, 81b)은 특히 주 본체(70) 상에 리벳 접합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와 변형예에서 더욱 특별하게는, 각각의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는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 75'b, 75'a)의 상부 선두 에지(74b, 74a) 전체의 하부로 펼쳐진다. 각각의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은 10도 미만의, 바람직하게는 5도 미만의 하부 경사도를 갖는,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에 의해 연장되는 절단용 지지대 단면(79a, 79b; 79'a, 79'b)을 갖는다. 절단시에 음식물들의 최상의 안정화를 위하여, 절단용 지지대의 단면(79a, 79b, 79'a; 79'b)은 거의 일정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단용 지지대의 단면(79a, 79b; 79'a, 79'b)은 압착용 스크루(7, 7')의 상부 원주 둘레의 적어도 8분의 1 상으로, 바람직하게는 6분의 1 상으로 펼쳐진다.
도1, 도4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중간 받침면(77a, 77b)은 상부 선두 에지(74a, 74b)와 절단용 지지대의 단면(79a, 79b) 사이에서 계단을 형성하는 접합부 단면(83a, 83b)을 갖는다. 더욱 특별하게는, 각각의 중간 받침면(77a, 77b)은 변동 경사도를 가지며, 접합부 단면(83a, 83b)의 경사도는 절단용 지지대의 단면(79a, 79b)의 경사도를 초과한다.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접합부 단면(83a, 83b)의 경사도보다 적은 경사도를 갖는 상부 단면(82a, 82b)에 의해 연장된다.
도7에 도시된 변형예는 중간 받침면(77'a, 77'b)이 절단용 날(81a, 81b)과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 사이에서 펼쳐지는 일정한 경사의 단면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1, 도4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들은 압착용 스크루(7, 7')의 상단부 부근에서 확장된다.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는, 도4 및 도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압착용 스크루(7, 7') 원주의 적어도 4분의 1 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압착용 스크루(7, 7') 원주의 적어도 2분의 1 상으로 펼쳐지는 하부면(72a, 72b)을 갖는다. 주 스크루 스레드들(71a, 71b)은, 도4, 도5 및 도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축(15)을 따라 압착용 스크루(7, 7') 높이의 적어도 3분의 2 상으로 이어진다.
도4, 도5 및 도7에 보이는 바와 같이, 2개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스크루 스레드(90)는 압착용 스크루(7, 7')의 상단부와 거리를 두고, 더욱 특별하게는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와 거리를 두고 중단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와 변형예에서 더욱 특별하게는, 상부 선두 에지들(74a, 74b)은 테두리 크라운(80)으로 둘러싸인다. 상부 선두 에지들(74a, 74b)은 회전식 작동 장치(100)의 상부 가이딩을 보장하기 위하여 마련된, 돌출된 상부 윤심(101)의 둘레로 배치된다. 원하는 경우, 상부 윤심(101)은 뚜껑(4) 내에 배치된 베어링(43) 내에서 회전하기 위하여 마련된 테논(tenon)(102)을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볼록하다.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테두리 방향으로 함몰한다.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부 측부 리세스들(78a, 78b)들 중 하나의 상부로 이어진다.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평평한 상부면(81a, 81b)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의 평평한 상부면(81a, 81b)은 압착용 스크루(7, 7')의 회전축(15)과 수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는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고 작동된다.
사용자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를 작동 챔버(2) 내에 위치시키고, 그 작동 챔버(2)를 폐쇄하고 기기를 작동시킨다. 상부 선두 에지들(74a, 74b)은 음식물 투입용 슈트(40)의 하부 개방부를 연속적으로 스위프(sweep) 한다. 음식물 투입용 슈트(40) 내에 투입된 음식물은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들 중 하나의 중간 받침면(77a, 77b) 상에서, 나머지 주 스크루 스레드(71b, 71a)의 상부 선두 에지(74b, 74a)에 의해 절단되기 전에 받쳐질 수 있다.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의 회전축(15)에 비하여 적은 높이를 갖는 통로(76a, 76b)로 인하여 음식물 절단율 및 주 스크루 스레드들(71a, 71b) 사이에 투입된 절단된 음식물들의 양을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압착용 스크루(7, 7')의 성능을 초과하여 음식물이 기기에 공급될 위험을 더욱 용이하게 피할 수 있다. 한편, 충분히 큰 사이즈의 조각들은 그 조각들이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 내로 하강하는 것과 압착용 스크루(7, 7')의 스크루 스레드에 의하여 압착되는 것을 유리하게 한다. 나아가, 압착용 스크루(7, 7')의 주 본체(70)에 통합된 상부 선두 에지들(74a, 74b)은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의 조작과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상반되는 2개의 주 스크루 스레드의 존재는 압착용 스크루(7, 7') 둘레에 있는, 특히 압착용 스크루(7, 7')의 상부에 있는 음식물들의 더욱 균형잡힌 분배를 유리하게 하며, 이는 압착용 스크루(7, 7')의 양호한 회전을 유리하게 한다. 따라서 더욱 규칙적이고, 급격한 움직임의 경향이 적은 작동이 달성될 수 있고, 이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의 유지와 구동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변형예로서, 각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의 열린 상부(75a, 75b)는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 75'b, 75'a)의 상부 선두 에지(74b, 74a)와 반드시 단일 통로(76a, 76b)를 마련하지는 않는다. 원하는 경우,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는 특히 상부 선두 에지(74b, 74a) 및 그와 연결된 열린 상부(75a, 75b; 75'a, 75'b) 사이를 점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장치, 예를 들어 각 상부 선두 에지(74a, 74b)의 하부에서 서로 다른 2개의 통로(76a, 76b)를 분리하는 절단용 날을 가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축(15)은 반드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직 방향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각도를 갖는, 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는 음식물 투입용 슈트를 배출구로 연결하는 파이프를 형성하는 작동 용기(3)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고, 압착용 스크루(7)에 의해 압축된 음식물을 다지기 위하여, 그릴과 회전식 칼이 압착용 스크루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다. 작동 챔버(2)는 그 경우 필터 요소(5)를 반드시 수용하지는 않는다.
변형예로서, 작동 용기(3)는 케이싱(1)에 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변형예로서, 작동 챔버(2)는 뚜껑(4)으로 폐쇄되는 용기(3)를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는다. 특히, 뚜껑(4)은 필터 요소(5) 상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변형예로서, 잔여물을 제1 구획(6)으로부터 외부 및/또는 찌꺼기 수집조를 향하여 배출하기 위하여 또 다른 배출구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명시된 실시예에 절대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 내에서 다수의 변형예를 포괄한다.

Claims (15)

  1. 축(15)의 둘레로 배치되고 교차 삽입된 2개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를 갖는 압착용 스크루(7, 7')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를 위한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에 있어서,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는 음식물을 절단하기 위하여 준비된 상부 선두 에지(74a, 74b)까지 펼쳐지는 열린 상부(75a, 75b; 75'a, 75'b)에 의해 연장되고, 각각의 열린 상부(75a, 75b; 75'a, 75'b)는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 75'b, 75'a)의 상기 상부 선두 에지(74b, 74a)와 적어도 하나의 통로(76a, 76b)를 마련하고, 각각의 열린 상부(75a, 75b; 75'a, 75'b)는 상기 상부 선두 에지(74a, 74b)에서 후퇴하여 펼쳐지는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을 갖고,
    상기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은 상기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 75'b, 75'a)의 상부 선두 에지(74b, 74a) 하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펼쳐지는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는 상기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에 대하여 단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는 상기 나머지 열린 상부(75b, 75a; 75'b, 75'a)의 상부 선두 에지(74b, 74a) 전체의 하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간 받침면(77a, 77b; 77'a, 77'b)은 10도 미만의 경사도, 바람직하게는 5도 미만의 경사도를 갖고, 상기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에 의해 연장되는 절단용 지지대 단면(79a, 79b; 79'a, 79'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간 받침면(77a, 77b)은 상기 상부 선두 에지(74a, 74b)와 상기 절단용 지지대 단면(79a, 79b) 사이에서 한 계단을 형성하는 접합 단면(83a, 83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두 에지들(74b, 74a)은 테두리 크라운(80)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주 스크루 스레드(71a, 71b)는 상기 하부 측부 리세스(78a, 78b) 내에 상기 열린 상부(75a, 75b)에서부터 감소하는 경사도를 갖는 경사진 상부면(73a, 73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테두리 방향으로 함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선두 에지(74a, 74b)는 상기 압착용 스크루(7, 7')의 주 본체(70) 상에 부착된 절단용 날(81a, 81b)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두 에지들(74a, 74b; 74'a, 74'b)은 돌출한 상부 윤심(101, 101') 둘레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
  11. 압착용 스크루(7, 7')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압착용 스크루(7, 7')는 상기 압착용 스크루(7, 7')의 상단부와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식물 투입용 슈트(40) 및 배출구(9)를 갖는 작동 챔버(2) 내에서 주로 수직인 축(15, 15')을 따라 회전 구동하고,
    상기 압착용 스크루(7, 7')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는 상기 작동 챔버(2)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를 구동하기 위해 준비된 상부 구동 출구(12)에 연결된 전기 모터(11)를 수용하는 케이싱(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챔버(2)는 상기 케이싱(1)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5)가 상기 회전식 작동 장치(100, 100')를 수용하는 제1 구획(6)과 상기 배출구(9)를 갖는 제2 구획(8)으로 상기 작동 챔버(2)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KR1020147034005A 2012-05-07 2013-05-06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KR102085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4184A FR2990121B1 (fr) 2012-05-07 2012-05-07 Organe de travail rotatif et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FR1254184 2012-05-07
PCT/FR2013/051012 WO2013167839A1 (fr) 2012-05-07 2013-05-06 Organe de travail rotatif et appareil électroménager de pré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689A true KR20150013689A (ko) 2015-02-05
KR102085392B1 KR102085392B1 (ko) 2020-03-05

Family

ID=4759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005A KR102085392B1 (ko) 2012-05-07 2013-05-06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46664B1 (ko)
KR (1) KR102085392B1 (ko)
CN (2) CN203328562U (ko)
CA (1) CA2870109A1 (ko)
FR (2) FR2990121B1 (ko)
WO (1) WO2013167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9685B2 (en) 2010-04-29 2019-10-22 Whirlpool Corporation Food processor with adjustable blade assembly
US8720325B2 (en) 2010-04-29 2014-05-13 Whirlpool Corporation Food processor with a lockable adjustable blade assembly
FR3013201B1 (fr) * 2013-11-20 2016-02-05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presentant un appui axial
JP5883112B2 (ja) * 2014-05-12 2016-03-09 ハッピーコ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上部駆動式搾汁機
US9750278B2 (en) 2014-05-12 2017-09-05 Happycall Co., Ltd.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US10085599B2 (en) 2014-12-19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ok and food processing prep product
CN107997560B (zh) * 2016-11-02 2023-06-0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及食物处理机
CN108013725A (zh) * 2016-11-02 2018-05-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及食物处理机
KR200491517Y1 (ko) * 2017-01-05 2020-04-20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CN109567548B (zh) * 2017-09-28 2021-02-0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处理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CN202020270U (zh) * 2011-05-09 2011-11-02 上海国生实业有限公司 圆锥型双头螺旋榨汁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2665B1 (fr) * 2008-06-24 2013-05-31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de jus.
CN201530138U (zh) * 2009-09-17 2010-07-21 九阳股份有限公司 榨汁机用粉碎装置及其榨汁机
CN101953647B (zh) * 2010-07-28 2013-05-0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碾磨功能的豆浆/榨汁机
KR101214203B1 (ko) * 2010-08-31 2012-12-20 주식회사 해피콜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FR2967034B1 (fr) * 2010-11-09 2013-08-23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KR101099429B1 (ko) * 2011-07-28 2011-12-27 범진아이엔디(주) 원액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CN202020270U (zh) * 2011-05-09 2011-11-02 上海国生实业有限公司 圆锥型双头螺旋榨汁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90121A1 (fr) 2013-11-08
FR2990121B1 (fr) 2014-06-13
EP2846664B1 (fr) 2016-03-23
CA2870109A1 (fr) 2013-11-14
CN104271009A (zh) 2015-01-07
EP2846664A1 (fr) 2015-03-18
FR2990122B1 (fr) 2014-12-26
CN203328562U (zh) 2013-12-11
FR2990122A1 (fr) 2013-11-08
WO2013167839A1 (fr) 2013-11-14
CN104271009B (zh) 2016-05-11
KR102085392B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3689A (ko)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CN107184069B (zh) 包括压榨螺杆的烹饪制备家电设备
JP5183809B2 (ja) ジューサモジュール及び垂直スクリュージューサ
US20120325946A1 (en) Electric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a Pressing Screw and a Pre-Cutting Device
KR101902609B1 (ko) 필터를 구비한 작업 용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129933B1 (ko) 압착용 스크루 및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KR200454079Y1 (ko) 수직형 녹즙기의 다짐용 보조 용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JP2014221184A (ja) 回転磨砕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具えたジューサー
KR102536304B1 (ko) 미세홀을 포함하는 주서기
KR101455080B1 (ko) 착즙기
KR20150066949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190002091U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KR102326230B1 (ko) 드럼 수납 시스템을 구비한 음식물 압착기
KR102148326B1 (ko) 축 방향으로 유도되는 압착용 나사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 기기
KR102295790B1 (ko) 축 방향 지지부를 갖는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KR20150017618A (ko) 역류 방지 주서기
KR20150019923A (ko) 착즙율을 증가시키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US20220022694A1 (en)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
KR20150041558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102287205B1 (ko)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69922Y1 (ko) 착즙기
KR20150131565A (ko) 드럼 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84492A (ko) 교체가능한 절단모듈을 구비한 덮개를 포함한 주서기
KR20160065587A (ko) 주스 저장 챔버를 구비한 주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